KR960002393B1 -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393B1
KR960002393B1 KR1019910018797A KR910018797A KR960002393B1 KR 960002393 B1 KR960002393 B1 KR 960002393B1 KR 1019910018797 A KR1019910018797 A KR 1019910018797A KR 910018797 A KR910018797 A KR 910018797A KR 960002393 B1 KR960002393 B1 KR 960002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de
recording
variable length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224A (ko
Inventor
마사카즈 니시노
타쯔로 쥬리
히데끼 오오타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8912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609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738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7290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기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구성요소중 하나인 부호화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부호화회로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포맷터를 도시한 블록도.
제4도 및 5도는 제3도에 도시된 포맷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압축단위의 부호화열의 배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7도는 제2실시예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복호화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북호화회로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디포맷터를 도시한 블록도.
제9도 및10도는 제8도에 도시된 디포맷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압축단위의 부호화열의 배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부호화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검출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검출회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압축단위의 부호화열의 배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검출회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압축단위의 부호화열의 배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검출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된 검출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압축단위의 부호호열의 배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검출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디지틀 VTR등의 고능률부호화를 특징으로 하는 미지틀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VTR,비디오디스크등)를 구성하기 위하여, 원영상신호의 데이터량을 감축하는 대역압축기술(또는 고능률부호화기술)을 장시간 녹화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음단락으로 이와같은 대역압축기술의 일예로서, 하다마르변환(Hadamard transformation)이나 이산코사인변환(DCT)을 사용한 직교변환부호화가 알려져 있다. 직교변환부호화시에, 우선, 영상신호는 예를 들면, 수평8화소 및 수직 8화소의 연속 8×8화소의 작은 영역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다음에, 블록단위로 주파수분할하여 얻은 각각의 주파수성분이 부호화된다. 이때에, 시각특성에 있어 열화의 효과가 작은 고주파성분에 대해서는, 원영상신호의 데이터량은 데이터할당량을 감축하는 기술이나 다른 방법에 의해 감축되고, 이것은 화질의 열화가 작고 유효한 대역압축기술중 하나이다. 또한, 직교변환에 의해 얻은 데이터값에 따라 부호길이가 다른 가변길이부호를 할당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데이터값의 발생빈도에 따라, 짧은 부호길이의 부호어를 발생의 빈도가 높은 값에 할당하여 데이터량을 전체적으로 감축한다.
종래의 예로서, VTR에 의한 영상신호기록재생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대역압축기술중 하나인 직교변환부호화에 의해 감축된 데이터는 가변길이부호화에 의해 데이프상에 기록되고, 이때에 재생시의 최소동기단위로서, 특정데이터량 단위의 동기블록으로 분할되어 기록된다. 동기블록은, 동기패턴(SYNC), 블록수 및 동기블록의 프레임수등의 식별정보(ID), 영상신호부호화데이터, 오류정정패리티 및 기타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가변길이 부호화후의 데이터량은 입력영상신호와 함께 변동되지만, 변집시간 및 기록시간의 관점에서 볼때, 단위시간마다 테이프소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데이터량이 특정한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되도록 부호화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류전파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한 범위는 가능한한 짧아야 한다. 그러나, 특정한 범위가 너무 짧으면, 특정한 범위내에서의 데이터발생빈도는 변동하고, 가변길이부호화에 의한 압축효과가 감소하므로, 화질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싱크블록단위의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직교변환응블록으로 분할된 영상신호에서, 블록의 특정한 수가 압축단위로써 그룹화되고, 또한 데이터량은 상기 압축단위가 일정데이터량을 가지도록 제어된다.
압축단위의 특정한 데이터량은 서너개의 동기블록에 동등하게 할당되어 기록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에서는, 재생처리시에 발생하는 오류에 의해 1동기블록의 데이터에 의해 검출하여 재생할 수 없는 경우 오류에 대한 오류전파는 압축단위의 블록전체에 걸쳐 전개된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시간적으로 인접한 선행화면과 후속화면에 있어 동일위치에서 데이터로 치환되는 은폐가 압축단위내에 있는 모든 블록에서 행하여진다. 특히, 특정한 재생기술중 하나인 고속조사시에, 이와같은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매우빈번하게 은폐를 필요로 하며, 압축단위전체가 항상 은폐되는 경우, 화면이 거의 갱신되지 않아 탐색기능이 상실된다.
다른 문제점으로서, 압축단위의 정보량이 상당히 많고, 따라서 데이터량을 감ㅋ축하기 위해 장치에 내장된 정량화기만으로는 특정한 데이터량의 범위내에 설정하는 것이 가끔 불가능하다(이런 현상을 오버플로라 한다). 종래의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에서는 이와같은 경우에, 특정한 데이터량을 초과하는 부호화데이터는 기록될 수 없었다.
특정한 블록의 데이터전체가 이와같이 기록불가능한 부호화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와같이 기록 불가능한 블록은 정상적인 기록시에도 존재하여 블록전체가 재생시에 재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오류발생시나 고속재생시에 재생될 수 없는 동기블록이 있는 경우, 판독출력되는 동기블록 및 동기블록내의 데이터만으로 화면상의 보다 넓은 영역에 재생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단위에서의 초과정보량에 기인하여 오버플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화질을 극히 손상하지 않도록 압축단위의 모든 블록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블록으로 분할하여 직교변활하는 직교변환수단과,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데이터량을 동일하도록 직교변환수단의 출력을 가변길이로 부호화하여는 부호화수단과, 상기 부호화수단의 출력을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한 영상신호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부호화수단이 직교변환수단의 출력을 특정한 수의 블록의 동일데이터량으로 부호화할때에, 직교변환수단의 출력이 동일데이터량을 초과하면, 동일데이터량이내의 가변길이부호만을 기록수단에 전송하고, 특정한 계수의 블록이내의 가변길이부호는 저주파성분 및 고주파성분에 대해 별도의 동기블록에 기록되고, 모든 블록의 저주파수성분은 부호화수단에서 기록수단으로 전송된 가변길이부호에 항상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된 가변길이부호를 얻기위해 기록매체에서 영상신호녹화장치에 의해 기록된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의 출력을 가변길이로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과, 복호화수단의 출력을 역직교변환하는 역직교변환수단을 포함한 영상신호재생장치를 제공한다.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종료신호가 동일데이터량의 범위내에서 기록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복호화수단은 특정한 개수의 블록에 도달하는 종료신호가 검출기록신호직후에 연속한 것으로 가정하여 가변길이로 복호화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고주파수성분의 동기블록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압축단위전체에 걸쳐 재생이 억제되지 않지만, 재생화면은 판독출력되는 저주파수성분으로만 구성되어 재생영역을 화장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고속재생시에 효율적이고, 압축단위가 할당되는 동기블록전체를 나타낼 수 없는 경우, 나타난 동기블록에 의해 보다 넓은 화면영역을 재생하므로 재생속도에 대응하는 재생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수성분과 고주파수성분이 분리되어 있기때문에, 오버플로시에, 기록불가능한 데이터는 고주파수성분뿐이고, 모든 블록에서 항상 기록되어야하는 저주파수성분은 용이하게 기록되고, 따라서 블록전체가 손상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기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디지틀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틀영상신호의 화면을 블록단위로 분할하여 고능률로 부호화하고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회전헤드형디지틀 VTR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직교변환회로(2)는 입력단자(1)로부터 얻은 디지틀영상신호를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블록에서 직교변환한다. 우선, 부호화회로(3)는 한개의 압축단위로서 직교변환된 신호의 특정한 개수의 블록(이하, 특정한 개수의 블록을 2n 블록으로 가정함)을 수집하고, 각각의 압축단위가 동일 데이터량으로 되도록 정량화한다. 이와같이 정량화된 데이터는 가변길이로 부호화된다. 가변길이부호화된 부호는 특정한 수의 동기블록(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동기블록)으로 할당하고, 기록회로(4)에 전송된다. 기록회로(4)는 부호화회로(3)에 의해 부호가 할당된 동기블록에 대해 오류정정부호화 및 변조를 행함으로써 기록헤드(40)에 의해 자기테이프(5)상에 자기적으로 기록한다. 동기블록의 동기신호(SYNC), 식별정보(ID) 및 재생에 필요한 기타가 기록회로(4)에서 부가된다.
제2도는 부호화회로(3)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직교변환회로(2)에 의해 직교변환된 신호는 부호화회로의 입력단자(30)로부터 입력되어 데이터량추정기(31)에 설정된다. 데이터량추정기(31)에 있어서, 상이한 정량화 단계폭을 가지는 복수의 정량화기에 의해 정량화함으로써, 정량화된 데이터의 가변길이부호화의 부호량은 특정한 계수의 블록의 단위로 계산된다. 정량화선택기(32)는 데이터량추정기(31)에 의해 계산된 부호호량과 자기 테이프상의 3개의 동기블록에 기록될 수 있는 데이터량을 2n개의 블록(목적데이터량 Q로 칭함)으로 비교한다. 부호량이 목적데이터량 Q을 초과하지 않는 최대데이터량을 가진 정량화기를 선택한다. 정량화기(33), 즉, 정량화선택기(32)에 의해 선택된 정량화기는 직교변환된 신호를 정량화한다. 정량화된 신호는 가변길이부호화기(34)에 의해 가변길이로 부호화되어 포맷터(35)에 전송된다. 가변길이부호화기(34)는 블록마다 블록종료(EOB)를 나타내는 종료신호를 가변길이부호호열에 삽입한다.
포맷터(35)는 2n개의 블록에서의 입력가변길이부호를 n개의 블록마다 2개의 부효열(부호열 A 및 부호열 B)로 분할된다. 부호열 A는 각각의 블록의 저주파수성분에서부터 연속적인 3개의 동기블록중 하나의 동기블록에 할당되고, 부호열 B도 마찬가지로 저주파수성분에서부터 연속적인 다른 하나의 동기블록에 할당된다. 부호열 A 및 부호열 B의 저주파수성분에 대한 2개의 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없는 고주파성분의 나머지 부호는 부호열 A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최종의 1개의 동기블록에 할당된다.
포맷터(35)의 실제적인 구성예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고, 제3도의 구성요소인 각가의 메모리회로에서 부호열의 배열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한개의 압축단위의 블록수, 즉 2n의 값은, 오류전파범위, 압축효과, 프레임마다의 총블록수 및 입력영상신호에 기록되는 동기블록의 수 및 기타에 의해,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최적의 값을 결정한 것이다.
본 발명자에 의한 연구에 따르면, 한개의 압축단위는 20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개의 압축단위의 블록수를 6(n=3)개로 가정한다. 따라서, 부호열 A 및 부호열 B의 블록수는 각각 3개이다. 2n의 값은 최적의 값보다 작지만, 포맷터(35)의 기능에 대한 설명에는 문제되지 않는다. 3개의 동기블록의 각각의 동기블록마다 영상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은, 목표데이터량 Q이 3개의 동일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을 가정하면, Q/3이다.
제4도에서 6개의 블록(A1,A2,A3,B1,B2,B3)의 부호열(a)이 제3도에 도시된 입력단자(300)를 통하여 포맷터(35)에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부호열(a)은 목표데이터량 Q(Q는 영상데이터상에 할당된 3개의 동기블록의 데이터량)보다 작은 데이터량을 가지도록 되어있다.
블록분할기(301)는 6개의 블록의 부호열(a)을 3개의 앞쪽블록(제4b도의 A1,A2,A3)의 부호열(b)과, 3개의 뒤쪽블록(제4c도의 B1,B2,B3)의 부호열(c)로 분할한다.
제1부호분배기(302)는 저주파수성분에서의 순차적인 특정위치에서부터 부호열(b)의 각각의 블록의 부호열에 대한 특정한 데이터량으로만 제1동기메모리(311)를 채운다. 본 설명에서는, 3개의 블록의 부호는 1개의 동기블록에 동등하게 분배되며, 1개의 동기블록에 할당된 영상할당(Q/3)의 1/3에 대응하는 각각의 Q/9가 각각의 블록의 저주파성분에 할당된다. 각각의 블록을 부호로 채우기 시작하는 위치는 한개의 동기블록을 3개의 동일부분으로 분할하는 위치이다. 제1부호분배기(302)에 의해 부호열(a)을 제1동기메모리(311)에 할당한 부호열의 배열결과를 제4d도에 도시한다. 제1부호분배기(302)는 제1동기메모리(31)에 기록되지 않은 각각의 블록의 고주파수성분의 부호를 블록의 고주파수성분의 부호를 블록 A1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버퍼메모리(305)에 기록한다.제1버퍼메모리(305)의 부호열배열을 제4e도에 도시한다. 제4e도에서 "A'1","A'2","A'3"은 각각 "A1","A2","A3"의 고주파성분을 나타낸다.
한편, 제2부호분배기(303)는, 제1부호분배기(302)와 마찬가지의 작동으로, 부호열(b)에 대하여 "B1","B2","B3"의 저주파수성분으로 제2동기메모리(312)를 채우고, 또한 제2동기블록(312)에 할당되지 않은 각각의 블록의 고주파수성분으로 제2버퍼메모리(306)를 채운다. 그결과, 제2동기블록 및 제2버퍼메모리(306)의 부호열배열은 2제4f도 및 제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제3부호분배기(304)는, 제1버퍼메모리(305) 및 제2버퍼메모리(306)의 데이터향의 유무에 따라 제1버퍼메모리(305) 및 제2버퍼메모리(306)의 각각의 블록의 고주파수성분의 부호를 제1동기메모리(311), 제2동기메모리(312) 및 제3동기메모리(313)에 분배한다. 제3부호분배기(304)에 의한 부호의 분배순서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단계]
제1버퍼메모리(305)에는 부호가 있고 제2버퍼메모리(306)에는 부호가 없는 경우, 제1버퍼메모리(305)의 부호는 시작부터 순차적으로 제2동기메모리(312)의 부호열(b)의 공백부분에 분배된다.
[제2단계]
제2버퍼메모리(306)에는 부호가 있고, 제1버퍼메모리(305)에는 부호가 없는 경우, 제2버퍼메모리(306)의 부호는 시작부터 순차적으로 제1동기메모리(311)의 부호열(a)의 공백부분에 분배된다.
[제3단계]
제1단계, 제2단계후에, 제1버퍼메모리(305)의 부호는 제3동기메모리(313)에 시작부터 순차적으로 분배된 다음, 제2버퍼메모리(306)의 부호는 시작부터 순차적으로 분배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제1동기메모리(311) 및 제2동기메모리(312)는 부호로 채워지며, 고주파수성분의 부호는 제1버퍼메모리(305) 및 제2버퍼메모리(306)의 양쪽에 남겨두고, 제3단계의 부호할당만이 실행된다. 따라서, 제3동기메모리(313)의 부호배열을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에는, 제5도에서 6개의 블록(A1,A2,A3,B1,B2,B3으로 가정함)의 부호열(a')을 입력단자(300)를 통하여 제3도의 포맷터(35)에 입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열(a')은 블록분할기(301)에 의해 3개의 앞쪽블록(제4d'도의 A1,A2,A3)의 부호열(b')과, 3개의 뒤쪽블록(제5c'도의 B1,B2,B3)부호열(c')로 분할된다. 부호열(b')은, 제5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호분배기(302)에 의해 각각의 블록의 저주파수성분에서 제1동기메모리(311)에 할당된 Q/9부분을 가지는 반면에 나머지 고주파성분은 제5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버퍼메모리(305)에 할당된다.
한편, 부호열(c')은 제5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호분배기(303)에 의해 제2동기메모리(312)에 분배된 각각의 블록의 저주파성분으로 Q'9부분을 가지므로 제4도와 상이하고, 부호열(c')의 부호량은 1개의 동기블록의 영상데이터의 할당량보다 작고, 제2버퍼메모리(306)에 할당된 고주파수성분은 없다(제2버퍼메모리(306)의 부호열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서, 데이터로 할당되지 않은 영역은 제2동기 메모리(312)에 남아있다. 이때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록의 부호의 초기할당위치는 일정하므로,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은 영역은 B1직후에 존재하고, 부호량은 제5f'도에 빗금친 면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Q'9에서부터의 1개의 블록은 부호량이 작다.
제5f'도의 빗금친 영역은, 제1버퍼메모리(305)의 시작부분으로 할당된다. 즉, 제3부호분배기(304)의 부호분배공정의 제1단계에서 부호열(e')의 A'1의 시작부분으로 할당된다. 그결과, 제2동기메모리(312)의 부호배열은 제5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고, 제1버퍼메모리(305)으 부호배열은 제5h'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다음에, 제3부호분배기(304)는, 제2버퍼메모리(306)에 부호가 없으므로, 부호분배공정의 제3단계에서 제5i'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동기메모리(313)에 제1버퍼메모리(305)의 부호열(h')을 직접 할당함으로써 실행을 종료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6개의 블록부분에 대한 압축단위의 부호량은 항상 특정한 데이터량(Q)이하이지만, 각 블록의 부호량을 분산함에도 불구하고, 각 블록의 저주파수성분은 제1, 제2동기블록에 할당되고 고주파수성분은 항상 제3동기블록에 할당된다. 따라서, 압축단위의 부호량중에서 특정한 데이타(Q)이 과다한 정보량(오버플로)에 기인하여 제어될 수 없는 경우, 제3동기메모리(313)에 설정되지 않은 부호는 제3부호분배기(304)의 부호를 분배하는 제3단계에서 무시될 수 있다. 즉, 다음 사항은 제3부호분배기(304)의 분배공정의 제3단계에 부가된다.
[제3단계의 부가]
제1버퍼메모리(305)나 제2버퍼메모리(306)에 부호가 남아있어도, 제3동기메모리(313)에 부호를 할당하기 위한 영역이 없는 경우 부호의 할당은 종료된다.
이런 분배공정에 의해, 손상은 항상 고주파성분에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의 동작은, 제3동기메모리(313)에 기록된 데이터량을 카운트함으로써 부호할당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블록의 주요성분인 저주파수성분은 제1동기블록이나 제2싱크블록에 항상 할당되고 다른 고주파수성분은 제3동기블록에 할당되므로, 오류나 고소재생에 기인하여 제3동기블록이 검출되기 않은 경우에 제1, 제2동기블록에 의해서만 압축단위의 모든 블록의 저주파수성분에 의해 화면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이상의 화면을 은폐시킴이 없이 신뢰성있는 재생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이 오류나 고색재생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에도,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에 할당된 블록만으로 충분히 은폐시킬 수 있어 필요이상의 화면은폐를 방지할 수 있다. 오버플로시에, 손상되는 데이터는 고주파성분으로만 한정되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블록자체를 녹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영상신호재생장치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영상신호재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영상신호기록장치에 의해 고능률부호화로 디지틀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자기테이프에서 디지틀영상신호를 재생하는 회전헤드형 디지틀 VTR에 관한 것이다.
제6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5)에는 제1실시예에 의해 고능률부호화로 디지틀영상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기록된 자기신호는, 재생헤드(60)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검출회로(6)에 의해 복조화 및 오류정정복호화를 행함으로써, 각각의 동기블록마다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생한다. 이때에, 동기블록의 SYNC에 의해, 동기블록을 동기화하고, ID에 의해 각각의 동기블록이 식별된다. 동기블록의 동기화, 식별 및 오류정정복호화의 결과, 오류를 정정할 수 없는 동기블록의 검출과 함께 은폐가 행해진다.
복호화회로(7)는 제1실시예의 부호화회로(3)의 역처리를 행하고, 가변길이부호화열은, 검출회로에서 얻은 동기블록단위의 신호로부터 재배열되어, 가변길이 부호화 및 역정량화에 의해 역직교변환회로에 전송된다. 역직교변환회로(8)는 블록마다 역직교변환을 행하고, 원화소값상태인 디지틀영상신호로 복귀하여 출력단자에 전달된다.
제7도는 복호화회로(7)의 일예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검출회로(6)에서 얻은 동기블록단위의 영상신호는, 각각의 블록마다 가변길이부호가 연속하는 부호열을 디포맷터(71)에 의해 구성하고, 가변길이복호화호는, 각각의 블록마다 가변길이부호가 연속하는 부호열을 디포멧터(71)에 의해 구성하고, 가변길이복호화기(72)는 디포맷터(71)에 의해 얻은 부호열을 가변길이로 복호화하고 역정량화기(73)에 의해 역정량화하여 원직교변화계수로 복귀하고, 따라서 복호화회로(7)의 출력을 얻는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검출회로(6)의 출력의 동기블록신호에 있어서, 제1, 제2, 제3동기블록의 복호가 오류, 고속재생 또는 오버플로시에 연속적으로 되지 않거나, 오버플로에 의해 EOB가 손상될 수 있다. 이와같은 예방책을 위해, 디포맷터(71)에서 얻은 부호열의 EOB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EOB검출기(75) 및 EOB삽입기(76)가 있다. EOB삽입기(76)는 EOB검출기(75)의 검출결과에 의해 손실된, EOB의 블록의 EOB를 삽입한다. 따라서, 다음 단계의 가변길이복호기(72)에서, 각각의 블록의 부호열의 종료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가변길이부호나 후속블록의 부호가 아닌 데이터는 오류로 복호화되지 않는다.
디포맷터(71)의 실제적인 예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고, 제8도의 구성요소로서 각각의 메모리회로의 부호열배열이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한개의 압축단위의 블록수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6개이다. 제9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 제4도에 도시한 경우의 압축단위내를 디포맷할때에 부호배열을 도시하고 있고, 제10도는 제5도의 부호열배열이다. 우선 제9도를 참조하면서, 디포맷터(71)의 작동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8도의 제1동기메모리(711), 제2동기메모리(712), 제3동기메모리(713)에는 제5도의 부호열(d),(f),(h)에 저장되어 있다. 제1동기분배기(700)는 제1동기메모리(711)의 각각의 블록의 부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특정한 위치에서 각각의 블록의 특정한 데이터량(Q/3) 부분을 볼수 있는 바와같이, 제1부호메모리(731)의 특정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EOB까지 부호를 기록하고, 제1버퍼메모리(701)의 시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다른 부호를 기록한다. 제9도의 실시예에서는, 부호열(d)로 나타낸 바와같이, Q/3의 할당된 모든 데이터량이 각각의 블록의 부호열에 할당되므로, 데이터는 제1버퍼메모리(701)에서 기록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2동기분배기(702)는 제1동기분배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고, 제2동기메모리(712)의 부호데이터를 제2부호메모리(732) 및 제2버퍼메모리(703)로 분해한다. 부호열(f)에 있어서, Q/3의 할당된 모든 데이터량이 각각의 블록의 부호열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는 제2버퍼메모리(703)에 기록되지 않는다. 그결과, 제9도의부호열(u)로 도시된 바와같이 부호는 제1부호메모리(731)에 기록되고, 부호열(v)로 도시된 바와같은 부호는 제2부호메모리(732)에 기록된다. 도면에서 빗금친 영역은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을 나타낸다.
제3동기부호분배기(704)는 제1버퍼메모리(701) 및 제2버퍼메모리(703)의 데이터와 제3동기메모리(713)의 데이터를 제1부호메모리(731) 및 제2부호메모리(732) 에 기록한다. 제3동기분배기(704)의 분배 및 기록순서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단계]
제1버퍼메모리(701)에 부호가 있고 제2버퍼메모리(703)의 부호가 없는 경우, 제1버퍼메모리의 부호는 시작부터 순차적으로 EOB까지 제2부호메모리(732)의 특정한 블록다음에 기록된다.
[제2단계]
제2버퍼메모리(703)에 부호가 있고 제1버퍼메모리(701)의 부호가 없는 경우, 제2버퍼메모리(703)의 부호는 시작부터 EOB까지 순차적으로, 제1부호메모리(731)의 특정한 블록다음에 기록된다.
[제3단계]
제1단계, 제2단계다음에, 제3동기메모리(713)의 부호는 시작부터 순차적으로 EOB까지 제1부호메모리의 특정한 블록다음에 기록된 후, 제2부호메모리(732)의 특정한 블록다음에 기록된다.
이 경우에는, 특정한 블록은 EOB에 의한 블록의 부호열이 아직 완성되지 않은 블록으로 칭한다.
이 기록공정에 의해, 제1부호메모리(731) 및 제2부호메모리(732)의 부호배열은 제9도의 부호열(W),(X)로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블록마다 부호열의 초기순서로 복귀된다.
따라서, 블록커플러(705)는 제1부호메모리(731) 및 제2부호메모리(732)의 각각의 3개 블록마다 2개의 부호열을 결합하고, 각각의 압축단위마다 6블록으로 부호화하여 디포맷터(71)의 출력신호를 얻는다 .
제10도에 있어 부호열(d'),(g'),(i')을 디포맷터(71)에 입력하는 작동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싱크메모리(711)의 부호열(d')은 제9도에 나타낸 경우와 같고, 제1싱크 분배기(700)에 의해 제1부호메모리(731)의 부호열은 (u')와 같아지며, 제1버퍼 메모리(701)에는 부호가 기록되지 않는다.
제2동기분배기(702)는 제2동기메모리(712)의 부호열(g')을 분배하고 제2부호메모리(732) 및 제2버퍼메모리(703)에 기록한다. 부호열(g')의 블록 B1에서는, 부호열은 EOB의 검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블록 B1에 할당된 데이터량 Q,'3이내에 완성되므로, 남아있는 A'1부분은 제2버퍼메모리(703)에 기록된다(제10도의 부호열(W')).
제3동기분배기(704)는 기록공정의 제2단계에서 제1부호메모리(731)에 제2버퍼메모리(703)의 부호열(W')을 기록한다. 이때에, 부호열(W')중에서 부호열(A'1은 부호열(u')의 블록 A1의 부호열 직후에 기록되는 바와같이, 제10도의 부호열(x')과 같이 된다. 다음에, 기록공정의 제3단계에서, 제3동기메모리(713)의 부호열(i')은 제1부호메모리에 존재하고 부호열(z')은 제2부호메모리에 존재한다.
실시예에 의해, 저주파수성분이 제1동기블록 또는 제2동기블록에 할당되고, 남아 있는 고주파성분이 제3동기블록에 할당되면, 각각의 블록마다 부호열의 분할에 의해, 원디지틀 영상신호는 부호열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3동기블록이 오차나 고속재생에 기인하여 검출될 수 없고, 또한 각각의 블록의 부호열이 도중에 손상될 경우, EOB는 각각의 블록마다 삽입되고, 따라서 가변길이 복호화를 오류없이 검출된 부호를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오버플로에 기인하여 모든 부호를 기록할 수 없을 경우, 적어도 가변길이 복호화는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기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3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영상신호기록장치에 있어 오버플로시에 부호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오버플로시에도 실패없이 각각의 블록마다 EOB를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의 제1실시예의 구성 및 제3도의 포맷터(35)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복호화회로(3)의 구성은 제2도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부가된 신규의 2개의 구성요소를 가진다.
제11도는 본 실시예의 부호화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1도에 있어서, 부호량 비교기(37)는 가변길이부호화기(34)의 출력의 부호열과 한개의 압축단위의 목표데이터량 Q를 비교하여, EOB의 삽입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EOB삽입기(38)에 전송한다. 부호비교기(37)의 작동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부호량비교기(37)는 가변길이부호화기(34)에서 얻은 한개의 압축단위의 블록수(2n개의 블록)를 순차적으로 카운터하고, "cb"를 얻는다. 동시에, 부호열의 부호어단위의 부호량을 카운트하여, "qw"를 얻는다. 그러나, "qw"는 EOB의 부호량(EOB의 부호량을 "qe"로 가정함)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한개의 압축단위의 블록수가 2n개이면, "qw"의 최대값은 다음과 같이 된다.
max(qw)=Q-2n×qe ……………………………(1)
한편, "cb"의 최대값도 2n이 됨을 물론이다.
다음에, 부호량비교기(37)는 EOB의 삽입명령은 EOB삽입기(38)에 전송되지 않는 반면에, "qw"값은 상기식(1)에서 max(qw)보다 작다. 그러나, "qw"가 max(qw) 보다 큰 부호어를 검출할 경우, EOB의 삽입명령은 EOB삽입기(38)에 전송되는 반면에, 삽입될(2n-cb)개의 EOB가 전송된다.
EOB삽입기(38)는 부호량비교기(37)로부터 포맷터(35)에 EOB를 삽입하는 것을 명령할때에 부호어다음에 가변길이부호화기(34)로부터 얻은 부호열을 전송되지 않지만, 그대신(2n-cb)개의 EOB를 포맷터(35)에 전송한다.
부호량비교기(37) 및 EOB 삽입기(38)의 작동에 의해 포맷터(35)에 전송된 부호열은 목표데이터량 Q를 초과하지 않고 특정한 개수의 EOB블록이 항상 포함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영상신호녹화장치에 의해, EOB는 오버플로시에도 기록되는 동기 블록에서 소멸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생시에 가변길이복호화하는 경우, 복호화는 잘못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동기블록의 일부가 오류에 기인하여 검출될 수 없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이다. 즉, 부분적인 오류에 의해, 오류부호가 어느블록에 존재하는지를 알수 없기 때문에 복호화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2n개의 블록의 부분에 대해 항상 EOB를 기록유지하고 또한 부분적인 오류전후에서 부호열이내의 EOB의 개수를 알아냄으로써, 오류부분의 블록이 제한될 수 있고, 따라서, 오류위치 다음의 블록의 부호도 또한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오류전파범위는 부분적으로 오류를 포함하는 블록에만 짧게 한정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다음에,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영상신호기록장치는 상부에 도시되어 있고, 영상신호재생장치를 하부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재생장치에 대해서는, 검출회로(6)에 의해 검출된 동기블록단위의 신호는 복호화회로(7) 및 더빙출력단자(90)로 전송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재생기능이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더빙출력단자(90)는 영상신호를 가변길이 부호화된 상태로 직접 다른 영상으로 전달하는 단자이다.
한편, 영상신호기록장치는 영상신호재생장치의 더빙출력단자(90)로부터 얻은 영상신호와 가변길이부호화신호를 입력하는신호를 입력하는 더빙입력단자(10)와, 부호화회로(3)에 의해 얻은 신호 및 더빙입력단자(10)로부터 얻은 신호를 선택하여 기록회로(4)에 전송하는 입력신호선택기(11)을 신규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제3실시예의 영상신호기록장치와 동일한 기록기능을 가진다.
이 구성에 있어서, 더빙의 실행시에, 입력신호선택기(11)를 더빙입력단자(10)에서 얻은 신호를 직접 기록회로(4)에 전송하여, 영상신호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된 자기테이프(5)와 상이한 자기테이프(50)에 기록헤드(40)를 통해 기록한다. 통상의 기록시에, 입력단자(1)에서 얻은 디지틀영상신호의 직교변환 및 가변길이부호화에 의해 얻은 신호가 기록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다른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더빙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더빙은 영상신호의 압축상태로 직접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역정량화, 정량화, 역직교변환 및 직교변환을 실행없이, 압축처리에 의한 화질의 열화는 최초에만 발생하고, 그 이상의 화질의 열화가 발생함이 없이 더빙을 실행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영상신호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2 및 제4실시예의 영상신호재생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제1, 제2 또는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영상신호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려고 의도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특징은 검출회로(6)의 구성 및 기능에 있다. 제13도는 본 실시예의 검출회로(6)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3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5)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헤드(60)에 의해 재생되어 검출되고, 이 신호는 우선 검출회로(6)의 동기검출기(61)에 공급된다. 동기검출기(61)는, 기록신호의 디지틀패턴으로 재생클록을 검출하고 또한 SYNC패턴을 검출하여 동기블록의 동기화를 달성한다. 검출된 신호는 복조기(62)에 의해 불조되지만, 동기블록이 오류에 의해 검출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오류검출신호 "E1"는 은폐제어기(64)로 전송된다. 한편, 복조기(62)에 의해 복조된 신호는 오류정정복호기(63)에 의해 오류가 정정되어 은폐기(65)에 전송된다. 이때에, 오류정정복호기(63)는 동기검출기(61)에 의해 동기가 검출되어도 동기블록의 데이터가 잘못된 것과 정정불가능한 오류를 포함한 것을 검출하여, 오류검출신호 "E2"를 오류은폐제어기(64)로 전송된다.
은폐기(65)는, 오류정정복호기(63)에서 얻은 신호를, 은폐제어기(64)에서 얻은 은폐제어신호 "E3"에 의해, 한개의 프레임부의 동기블록을 저장하기 위한 은폐메모리(66)에서 얻은 선행의 프레임데이터로 치환하여 은폐시킨다.
오류은폐제어기(64)는 동기오류검출신호 "E1" 및 오류검출신호 "E2"에 의해 잘못된 동기블록을 은폐하도록 명령하는 은폐제어신호 E3를 은폐기(65)에 전송하고, 오류신호 "Err"를 전달한다. 상기 오류신호는 이후의 단계에서 복호화회로(7)의 제3동기분배기(704)에 전송된다. 제3동기블록(704)은, 오류신호 "Err"에 의해 제3동기블록의 데이터 즉, 제3동기메모리(713)의 데이터를 무시하고 또한 제1부호메모리(731) 및 제2부호메모리(732)에 기록하는 것을 금지한다. 상기 설명한 디포멧터의 내부구성은, 제8도의 디포멧터구조의 제3동기분배기(704)에 에러신호 "Err"를 전송할 뿐이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공정의 제3단계에 다음공정이 부가되는 점이 상이하다.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공정을 제3단계가 부가
오류신호 "Err"가 제3동기블록에 오류 "i"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3동기메모리(713)의 부호는 제1부호메모리(731) 및 제2부호메모리(732)에 기록되지 않는다.
제14도의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상기 은폐작동을 이하 설명한다.
제14도에 있어서, (a)는 오류정적복호기(63)로부터 은폐기(65)에 입력되는 m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에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3개의 동기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A(m),b(m)은 저주파수성분이고, A'(m), B'(m)은 고주파수성분이다. (b)은 은폐메모리(66)에서 얻기전의 한개의 프레임의 데이터 즉, m-1번째프레임의 은폐장치(65)의 출력신호인 동기블록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제14도의 (c)는, 제3동기블록이(a)에서 잘못된 때의 오류신호 Err(3), 은폐기(65)에 의한 오류정정복호기(63)와 은폐메모리(66)사이의 절환을 나타내는절환신호 Sw(3) 및 은폐후 동기블록의 데이터배열 Data(c)를 나타낸다. 절환신호 "Sw"는 오류정정복호기(63)에서 얻은 신호가 은폐장치(65)에서부터 전달된 경우에는 X축에 있고, 은폐메모리(66)쪽에서 얻은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Y축에 있다. 따라서, 제3동기블록이 잘못된 경우에만, Sw(3)은 X쪽데이터를 직접전달하지만, 오류신호 Err(3)가 제3동기블록의 오류로 간주되어 이후의 단계에서 복호기(7)에 의한 가변길이 복호화가 금지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단위는 A(m) 및 B(m)의 저주파수성분에 의해서만 화면상에 재생된다.
한편, 제1동기블록 및 제2동기블록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절환스위치 Sw를 3개의 동기블록주기에 대해 Y쪽으로 설정함으로써 압축단위전체가 은폐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3동기블록만이 잘못인 경우, 압축단위전체는 은폐되지 않고, 따라서 고속재생에서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의 화질보다 고속에 가까운 화면재생을 필요로 할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제5실시예의 영상신호재생장치에 비해 제6실시예로서 재생속도에 보다 더 대응하여 재생의 은폐과정에 대한 예를 제6실시예로서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공정 및 은폐제어기(64) 이후의 은폐작동이 다른점을 제외하고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공정은 상기 기록공정의 제1단계 및 제2단계에 부가된 다음이 작동을 가지고 있다.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공정을 제1단계에 부가
오류신호 Err가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1버퍼메모리(701)의 부호는 제2부호메모리(732)내로 기록되지 않는다.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공정을 제2단계에 부가
오류신호 Err가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2버퍼메모리(703)의 부호는 제1부호메모리(731)에 기록되지 않는다.
즉, 제1동기메모리 또는 제2동기메모리가 잘못된 경우, 은폐기(65)는 보다 신뢰성있는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 잘못된 동기블록만을 은폐하지만 제10도의 경우에는, 제1동기블록의 부호열과 제2동기블록의 부호열 사이에는 동기의 연속성이 없어 가변길이로 연속적으로 복호하지 않게 된다.
이하, 제15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오류은폐제어기(641)와 후속되는 회로에 의한 은폐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동기블록에서만 오류가 있는 경우, 제5실시예의 오류 은폐작동과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오류정정복호기(63)와 은폐메모리(66)에서 얻은 신호는 제14도의 (a)및 (b)이다.
우선, 한개의 압축단위를 구성하는 3개의 동기블록에서 제1동기블록만이 잘못된 경우, 오류신호 Err(1), 절환신호 Sw(1) 및 은폐기(65)의 출력신호의 데이터 배열 Data(d)가 제15c도에 도시되어 있다.
Err(7)은 제2, 제3동기블록이 잘못된 것을 나타낸다. Sw(1)은, Y축에서 오류를 가지는 제1동기블록주기를 설정하고, m번째프레임부호열(a)와 A(m)을 m-1번째 프레임의 A(m-1)으로 치환함으로써, Data(d)를 전달한다. 따라서, Err(1)은 제1동기블록 및 제2동기블록 및 제2동기블록의 부호열이 제3동기분배기(704)에서 불연속적임을 나타내고 또한 제3동기블록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도록 명령한다.
제15도에 있어서, (e)는 제2동기블록에서만 오류가 있을 경우의 각각의 신호의 모드를 나타낸다. 절환신호 Sw(2)는 오류은폐메모리(66)쪽에서 오류를 가지는 제2동기블록주기만을 설정하고, 은폐기(65)의 출력신호로서 B(m-1)을 구성하는 Data(e)를 얻는다. 오류신호 Err(2)은 Err(1)과 동일한 신호로서, 제1동기블록 및 제2동기블록의 불연속성과 제3동기블록의 데이터의 사용금지를 나타낸다.
제5실시예에 부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동기블록 또는 제2동기블록만이 잘못된 경우, 원래의 동기블록의 데이터는 압축단위전체를 은폐함없이 사용되므로, 각각의 프레임의 화질보다 한층더 정확하게 재생속도에 대응하는 화면재생이 고속 재생시에 요구되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이다.
제6실시예의 영상신호재생장치에 비해, 재생속도에 한층 더 대응하는 화면을 재생하기 위한 영상신호기록장치 및 재생장치의 예에 대하여 제7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기록장치의 구성은, 제3도의 포맷터(34)의 구성요소인 제3부호분배기(304)가 압축단위에 있어 앞쪽블록의 부호열과 뒤쪽블록의 부호열의 경계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부호데이터와 함께 기록하기 위해 기록회로(4)에 전송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도, 제2도, 제3도 또는 제11도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예에서는, 위치정보는 제4h도의 제3동기메모리에 존재하는 경계위치 즉, 제3동기브록상의 A'3과 B'1사이의 경계우치를 나타낸다. 제5도의 경우에는, 경계는 제5g'도의 제2동기메모리에 존재하고 즉, 제2동기블록의 B1과 A'1사이에 존재하고, 따라서 이 경우에는, 위치정보가 제2동기블록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튼 데 충분하다.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 재생장치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6실시예에 비해서,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재생장치는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처리와 오류은폐제어기(64) 이후의 은폐작동에 대한 제3단계의 처리가 다르다.
본 실시예의 검출회로(6)의 구성이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6도에서, 제13도의 제6실시예의 구성과 다른점은 오류은폐제어기(641)이고, 오류은폐제어기(641)는 오류은폐제어기(64)와 달리, 오류정정복호기(63)와 오류은폐메모리(6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치정보를 사용하여 절환신호 E3를 발생한다(오류정정복호기(63)로부터 얻은 m번째프레임의 위치정보는 P1이고, 은폐메모리(66)롭터 얻은 위치정보는 P2이다). 위치정보 P1 및 위치정보 P2를 사용하여, 제17도의 데이터 배열을 참조하면서 은폐작동을 설명한다.
제17도에서, (a)는 m번째프레임이 은폐기(65)에 공급되는 압축단위의 3개의 동기블록의 데이터배열을 나타내며, (b)는 은폐메모리(77)에서 얻은 m-1번쩨프레임의 은폐이후의 데이터배열을 나타낸다. 또한, (f)는 데이터열(a)에서 제1동기 블록만이 잘못된 경우의 에러신호 Err(1)와, 절환신호 Sw(1) 및 은폐이후의 데이터배열 Data(f)를 나타낸다. 제1동기블록만이 잘못되어 있기 때문에, Sw(1)은 제1동기블록주기동안에는 Y쪽 은폐메모리(66)로부터 얻은 A(m-1)을 선택하고, 제2동기블록주기동안에는 X쪽 B(m)을 선택한다. 제3동기블록주기동안에는, Y축 A'(m-1)은 시작에서부터 m번째프레임위치정보 P1까지 선택되고, X축 B'(m)은 P1에서 최종기간까지 선택된다. 그 결과, Data(1)로 도시된 바와같이, A(m-1),A'(m-1) 또는 B(m),B'(m) 등의 분할된 부호열 A 및 B의 저주파수성분과 고주파수성분사이에 연속성이 유지된다. 또한, Err(1)은 제1동기블록만이 잘못됨을 나타낸다.
제17도에서, (g)는 제2동기블록만이 잘못된 신호예를 나타낸다. 제2동기블록이 잘못되어 있기 때문에, Sw(2)는 제2동기블록주기동안에는 Y쪽 오류은폐메모리(66)에서 얻은 B(m-1)을 선택하고, 제1동기블록주기동안에는 X쪽 A(m)을 선택한다. 제3동기블록죽동안에는, X쪽 A'(m)은 시작부터 m-1번째프레임의 위치정보 P2까지 선택되고, Y쪽 B'(m-1)은 P2부터 최종주기까지 선택된다. 그 결과, Data(g)에서, A(m),A'(m) 또는 B(m-1),B'(m-1) 등의 분할된 부호열 A 및 B의 저주파수성분과 고주파수성분 사이에 연속성이 유지된다. 또한, Err(2)는 제2동기블록만이 잘못됨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은폐된 신호는 제3동기분배기(704)에 의해 신호열 A 및 B로 분배되고, 이에 대한 기록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3동기분배기(704)의 기록 공정중에서, 제1단계와 제2단계는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제3단계만 설명한다.
[제3단계]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실행한 후에, 처음부터 제3동기메모리(713)의 위치정보(P)까지의 부호는 제1부호메모리(731)의 특정한 블록다음부터 E0B가지 순차적으로 기록되고, 제3동기메모리(713)의 위치정보(P)부터의 부호는 제2부호메모리(732)의 특정한 블록다음부터 E0B까지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오류(Err)는 제3동기블록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낼 때에, 제3동기메모리(713)의 부호는 제1부호메모리(731) 및 제2부호메모리(732)에 기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동기분배기(704)에서 기록을 행한 다음에 제3단계에서, 제1동기 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의 부호열은 위치정보에 부여된 우선순위로 제3동기블록의 부호열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7도의 Data(f)에서는, A'(m-1) 이후에서 위치정보(P1)까지의 빗금친 영역은 제2동기블록의 B(m)직후에 부호열로서 결합되지 않고, 그대신 위치정보(P1) 이후의 B'(m)이 결합된다. 또한, Data(g)에서는, A'(m)은 인터럽트된 부호열로 되지만, 위치정보(P2)를 나타내는 위치까지만 A'(m)로서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B'(m-1)는 잘못하여 A'(m)에 연속적으로 되지않거나 B'(m-1)의 시작을 잘못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6실시예의 특징에 부가하여,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만 잘못되면, 제3동기블록에 대해 고주파성분을 사용하여 화면이 구성될 수 있고, 고속재생시에서와 같이 각 프레임자체의 화질보다 재생속도에 한층더 대응하는 화상재생이 요구될 때에 한층더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통상의 재생 작동시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화면은 고주파수성분을 포함하여 재생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실시예에서는, 위치정보로서, 제3동기블록에 경계가 있는 경우 경계위치는 위치정보로서 간주되지만,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에 경계가 있는 경우 제1동기 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그 이유로서는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경계이후의 고주파수성분의 부호열이 한 위치에서 계속하여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에 할당된 n계(압축단위에서 2n개의 블록의 1/2)의 블록에서 부호량이 개별적으로 매우 작은 경우, 동기블록에 할당된 고주파성분은 각각으 n개의 블록직후에 직접 기록된다. 그 결과, 모든 경계가 위치정보로 기록되므로, 기록데이터량이 매우 많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위치정보는 가변길이를 복호화하기전의 신호상태에서 은폐작동을 실행하여야만 효과적이고,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의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의 정보에 대해서만 가변길이복호화한 후에 후속의 부호열의 결합이 실행되어야 한다.
선행의 실시예의 영상신호기록장치 및 재생장치에 비해서, 보다 효과적인 은폐기능을 소유하고 특히 더빙실행시에 효과적인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일예는 제8실시예로서 설명되었다.
본 실시예의 영상기록장치는, 선행의 실시예의 영상신호기록장치와 상이하고, 자기테이프상에 압축단위마다 은폐정보를 기록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구성은 압축상태에서 더빙입력단자를 구비한 제12도의 제4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영상신호재생장치는 제12도와 동일한 더빙출력단자를 가지고 있다. 다른점은 검출회로(6)의 은폐처리에 관계되는 구성요소이다. 구성의 일예가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8도의 검출회로(6)에 대해서는, 제16도의 구성에 비해서, 제2오류은폐기(651)를 오류은폐메모리(66)의 다음단계에 형성되어 있고, 제2오류은폐기(651)의 출력신호는 검출회로(6)의 출력신호로 사용된다. 오류은폐제어기(642)는 오류 은폐기(65)로부터 얻는 새로운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현행프레임의 데이터로 대치하도록 명령하는 제2절환신호(E4)를 제2오류은폐장치(651)에 전송한다. 제2오류은폐장치(65)는 은폐함이 없이 정상상태에서 오류은폐메모리(66)쪽 (Z쪽)으로부터 얻은 신호를 전달하지만, 제2절환신호(E4)가 은폐될때에는 오류은폐메모리(66)의 입력쪽(W쪽)의 신호를 전달한다. 즉, 오류은폐메모리(66)는 한개의 프레임만큼 지연시킨 것처럼 작동하고, 따라서 Z쪽신호를 한개의 프레임두에 있는 데이터로 치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은폐작동은 오류은폐기(65)에 의해 선행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은폐와 제2오류은폐장치(651)에 의해 후속의 프레임의데이터를 사용하여 은폐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같은 은폐방향을 결정하는 은폐제어기(642)의 기능으로서, 화면변화나 화면동작에서 영향이 작고 또한 보다 큰 상관관계를 가지는 프레임의 데이터로 치환하는 것과 같은 많은 기술이 있지만, 은폐정보를 사용하여 더빙시에 효과적인 은폐작동만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은폐정보는, 통상의 디지틀영상신호를 작교변환하고 부호화하여 기록할 때에는 은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은폐가 없는 상태를 나타내지만, 더빙시에는 영상신호재생장치의 은폐처리에 의해 은폐정보를 갱신하여 기록한다. 은폐정보의 내용은, 압축단위의 블록전체가 은폐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거나, 압축단의전반블록(저주파성분이 제1동기블록에 할당된 블록) 또는 후반블록(저주파성분이 제2동기블록에 할당된 블록)을 은폐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앞쪽프레임 또는 뒤쪽프레임의 데이터로 대치함으로써 은폐가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은폐방향을 은폐정보로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는 효과에 대하여 압축단위의 블록전체로 이하 설명한다.
우선, 초기상태에서, (m-1)번째프레임, m번째프레임 및 (m+1)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의 데이터를 각각 D(m-1),D(m) 및 D(m+1)으로 가정하면, 압축단위의 프레임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m-1)… > D(m) … > D(m+1)
오류가 압축단위의 D(m+1)에서 발생한 경우, 실시예의 은폐(제13도 또는 제16도의 구성에 있어서의 은폐)에 의해 선행의 프레임의 데이터로 치환되고, 그 출력신호는 더빙에 의해 다른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되도록 한다. 그 결과, 압축단위의 프레임은 더빙한 후에 자기테이프상에 다음과같이 배열된다.
D(m-1) … > D(m) … > D(m)
그러나, (m+1) 번째 프레임의 압축단위 D(m)을 선행의 프레임으로부터 은폐를 나타내는 은폐정보와 결합한다.
더빙한 후 자기테이프를 재생할 때에, 오류가 m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은폐제어기(642)는 (m+1)번째 프레임의 은폐정보를 검색함으로써, (m+1)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가 선행의 프레임(m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로 치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압축제어기(642)는 후속의 프레임의 데이터 즉, (m+1)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m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를 은폐한다, 그 결과 압축단위의 프레임배열은 다음과 같이 된다.
D(m-1) … > D(m) … > D(m)
m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는 오차가 없는 동일한 상태로 정확하게 복구될 수 있다.
m번째프레임의 압축단위의 은폐정보는 은폐없는 상태에 있음은 물론이다.
이 은폐작동은 압축단위의 전반의 부호열과 후반의 부호열에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명드린 바와같이, 반복된 더빙에 기인한 오류는 오류가 없는 것처럼 은폐할 수 있으므로, 더빙과 은폐를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화질의 열화를 한층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실용적이다.
한편, 제3실시예에서는, 오버풀로시에 압축단위의 블록배열의 끝부분에서 EOB를 삽입함으로써 압축단위에서의 블록배열의 최종블록의 보다높은 고주파성분을 기록하지 않도록 의도되어 있지만, EOB삽입회로 대신에, 각 블록의 최고의 고주파성분의 부호어로부터 데이터를 삭제하여 적절한 메모리를 가지도록, 부호어삭제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부호어 삭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메모리용량은 제3실시예의 메모리용량보다 증가되지만, 블록배열의 최종적인 블록등의 특정한 블록에 부호어의 삭제가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Claims (20)

  1. 영상신호를 블럭으로 분할하여 직교변환하는 직교변환수단과,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데이터량의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출력을 가변길이로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상기 부호화수단의 출력을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특정한 개수의 블록에 대해서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출력을 동일데이터량으로 설정할 때, 상기 직교변환수단은 출력이 동일데이터량의 범위내에서 결정되지 않을 경우, 동일데이터량의 가변길이부호만을 기록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영상신호기록장치 또는 재생장치로부터 얻은 가변길이부호화신호가 입력되어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매체상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부호어를 기록수단에 전송할 때에 부호어를 특정한 개수의 동기블록으로 분할하고, 부호어의 제1부호열을 주요성분부터 제1동기블록에 배치하고, 부호어의 제2부호열을 주요성분부터 제2동기블록에 배치하고, 제1부호열의 제1동기블록에 할당되지 않은 부호어열과 제1부호어열의 제2동기블록에 할당되지 않은 부호어열의 제3동기블록에 배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제3동기블록에 부호어를 배치하고, 제1동기블록에 할당되지 않은 제1부호어열의 부호어를 제3동기블록에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제2동기블록에 할당되지 않은 제2부호어열의 부호어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특정한 개수의 동기블록에 부호어를 배치하고, 제1부호어열의 데이터량이 제1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량보다 작고 또한 제2부호어열의 데이터량이 제2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량보다 큰 경우, 제1동기블록에 제1부호어열을 배치한 후, 제2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없는 제2부호어열의 부호어를 제1동기블록에 배치하고, 제1동기블록에 할당할 수 없는 제2부호어열의 부호어를 제3동기블록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어수단은, 특정한 개수의 동기블록에 부호어를 배치하고, 제2부호어열의 데이터량이 제2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량보다 작고 또한 제1부호어열의 데이터량이 제1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있는 데이터량보다 큰 경우, 제2동기블록에 제2부호어열을 배치한 후, 제1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없는 제1부호어열의 부호어를 제2동기블록에 배치하고, 제2동기블록에 할당될 수 없는 제1부호어열의 부호어를 제3동기블록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7.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가변길이부호를 기록수단에 전송하고, 제1,제2,제3동기블록에 배치된 제1,제2부호어열의 경계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가변길이부호어와 함께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가변길이부호를 기록수단에 전송하고, 제1,제2부호어열에 대한 은폐상태를 나타내는 은폐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가변길이부호와 함께 은폐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데이터량이 상기 동일데이터량으로 할당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동일데이터량의 범위내의 가변길이부호만을 전송하고, 상기 기록수단에 전송되지 않는 신호는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출력의 고주파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상기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데이터량이 상기 동일데이터로 할당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동일데이터량의 범위내의 가변길이부호만을 상기 기록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기록수단에 전송되지 않는 신호는 상기 직교변환수단의 출력의 고주파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기록수단에 전송되지 않은 고주파성분에 블록의 종료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기록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동일데이터량의 범위내의 가변길이부호만을 상기 기록수단에 전송하고,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종료신호를 기록수단에 전송된 신호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녹화장치.
  13. 청구항 11항에 기재된 영상신호기록장치에 의해 기록된 신호를 기록매체에서 검출함으로써 기록된 가변길이부호를 얻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을 가변길이로 복화하는 복호화수단과, 상기 복호화수단의 출력을 역직교 변환하는 역직교변환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수단은, 특정한 수의 블록에 도달하는 종료신호가 검출된 기록신호직후에 후속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동일한 데이터량의 범위내의 기록신호 또는 위치정보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영역의 범위내의 기록신호에 특정한 수의 블록의 종단신호가 없는 경우 가변길이로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부호는 다른 영상신호기록장치 또는 영상신호재생장치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15. 제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이 잘못된 경우는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검출수단의 출력을 가진 다른 신호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이 잘못된 경우, 검출수단의 출력이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다른 신호로 치환될 때에 은폐정보는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을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다른 신호로 치환하는 경우 특정한 수의 블록의 가변길이 부호전체는 다른 신호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은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다른 신호로 치환되지만, 특정한 수의 블록의 가변길이부호의 제3동기블록에만 오루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신호로 치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영상신호재생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은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다른 신호로 치환되지만,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가변길이부호의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이 잘못된 경우에는, 잘못된 동기블록만이 다른 신호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은 가변길이로 부호화된 다른 신호로 치환되지만, 특정한 개수의 블록의 가변길이부호의 제1동기블록이나 제2동기블록이 잘못된 경우에는, 잘못된 동기블록과 제3동기블록의 잘못된 동기블록에 포함된 부호어열만이 다른신호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재생장치.
KR1019910018797A 1990-10-25 1991-10-25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KR960002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9126A JPH04160990A (ja) 1990-10-25 1990-10-25 映像信号の録画方法
JP90-289126 1990-10-25
JP90-307389 1990-11-13
JP30738990A JP2697290B2 (ja) 1990-11-13 1990-11-13 映像信号の録画装置および再生装置および録画方法および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224A KR920009224A (ko) 1992-05-28
KR960002393B1 true KR960002393B1 (ko) 1996-02-16

Family

ID=2655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797A KR960002393B1 (ko) 1990-10-25 1991-10-25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51131A (ko)
EP (1) EP0482888B1 (ko)
KR (1) KR960002393B1 (ko)
DE (1) DE6912639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5663A1 (de) * 1989-08-03 1991-02-07 Thomson Brandt Gmbh Digitales signalverarbeitungssystem
US5313471A (en) * 1991-02-26 1994-05-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rror concealing method
JP3141896B2 (ja) * 1991-08-09 2001-03-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
JPH05260438A (ja) * 1991-11-12 1993-10-08 Samsung Electron Co Ltd 可変速再生のためのディジタル磁気テープ記録再生方法
US5473479A (en) * 1992-01-17 1995-12-05 Sharp Kabushiki Kaisha Digital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of video signal rearranging components within a fixed length block
JP3360844B2 (ja) * 1992-02-04 2003-01-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伝送装置およびフレーム化方法
JP2706398B2 (ja) * 1992-02-14 1998-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信号のディジタル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0160610B1 (ko) * 1992-04-07 1999-01-15 강진구 가변장부호화에 의한 영상압축방법과 신장방법 및 그 장치
EP0585051B1 (en) * 1992-08-21 2001-03-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4234723A1 (de) * 1992-10-15 1994-04-21 Philips Patentverwaltung Anordnung für Gerät zur Aufzeichnung und/oder Wiedergabe digitaler Videodaten
US5502571A (en) * 1992-11-18 1996-03-26 U.S. Philips Corporation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first coded by means of variable length coding and device for inversely processing signals thus processed
JP2855067B2 (ja) * 1992-11-28 1999-02-10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ジタルvcrの画像記録方法
US7035336B2 (en) * 1992-12-22 2006-04-25 Canon Kabushiki Kaisha Coding/decod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n order opposite to the inputting order
JP3320125B2 (ja) * 1992-12-22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復号化装置
JPH06205386A (ja) * 1992-12-28 1994-07-22 Canon Inc 画像再生装置
JP3240017B2 (ja) * 1993-01-11 2001-12-17 ソニー株式会社 Mpeg信号記録方法およびmpeg信号再生方法
US5786858A (en) * 1993-01-19 1998-07-28 Sony Corporation Method of encoding image signal,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method of decoding image signal,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signal, and image signal recording medium
GB9301093D0 (en) * 1993-01-20 1993-03-10 Rca Thomson Licensing Corp Digital video tape recorder for digital hdtv
JPH06325503A (ja) * 1993-05-11 199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データの処理方法
US5555193A (en) * 1993-05-25 1996-09-10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compression system with editing flag
JP2979900B2 (ja) * 1993-05-26 1999-11-1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記録媒体
US5812735A (en) * 1993-07-09 1998-09-22 Sony Corporaiton Picture signal decoding method and picture signal decoding apparatus
JPH0795525A (ja) * 1993-09-17 1995-04-07 Canon Inc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H07115647A (ja) * 1993-10-15 1995-05-02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
US6434319B1 (en) 1994-01-19 2002-08-13 Thomson Licensing S.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for digital HDTV
JPH07226022A (ja) * 1994-02-15 1995-08-22 Sony Corp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89319A (ja) * 1994-06-23 1996-01-12 Sony Corp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046224B2 (ja) * 1994-07-26 2000-05-29 三星電子株式会社 固定ビット率の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高速探索のためのトラッキング方法
KR0139164B1 (ko) * 1994-12-19 1998-06-01 김광호 적응적 직교변환부호화 장치
JP3518700B2 (ja) * 1995-01-25 2004-04-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信号復号装置
US5852706A (en) * 1995-06-08 1998-12-22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tra-frame and inter-frame encoded video data arranged into recording frames
JP3355888B2 (ja) * 1995-09-19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符号化記録再生装置
DE19840853B4 (de) * 1997-10-24 2004-12-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Codieren eines Audiosignals
US7218251B2 (en) * 2002-03-12 2007-05-15 Sony Corporation Signal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signal recording method and device, and code sequence generating method and device
JP3990641B2 (ja) 2002-03-27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道路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装置と道路情報生成方法
GB2425011A (en) * 2005-04-07 2006-10-11 Ely Jay Malkin Encoding video data using a transformation function
US20090027517A1 (en) * 2007-07-25 2009-01-2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e-compression assessment of compressed data length
CN109660805B (zh) * 2017-10-10 2020-07-31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解码播放中音视频同步优化方法、存储介质、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8997B2 (ja) * 1988-07-22 1998-1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適応型変換符号化装置
JP2908459B2 (ja) * 1988-07-27 1999-06-21 株式会社東芝 画像符号化方式
US4984076A (en) * 1988-07-27 1991-01-0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compression coding system
JP3152394B2 (ja) * 1988-12-13 2001-04-03 株式会社東芝 画像符号化方式
US5170264A (en) * 1988-12-10 1992-12-08 Fuji Photo Film Co., Ltd. Compression coding device and expansion decoding device for a picture signal
US5051840A (en) * 1988-12-14 1991-09-24 Fuji Photo Film Co., Ltd. Device for coding a picture signal by compression
JP2900385B2 (ja) * 1988-12-16 1999-06-02 ソニー株式会社 フレーム化回路及び方法
JPH02200061A (ja) * 1989-01-30 1990-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符号化装置
US5073821A (en) * 1989-01-30 1991-12-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rthogonal transform 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ded signals to be processed and transmitted
EP0401854B1 (en) * 1989-06-09 1997-08-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 apparatus for orthogonal transform coding
JP2969782B2 (ja) * 1990-05-09 1999-11-02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データ編集方法及び符号化データ編集装置
DE69125329T2 (de) * 1990-09-10 1997-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Kodiervorrichtung für digitale Bildda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6396D1 (de) 1997-07-10
EP0482888A3 (en) 1993-05-12
US5351131A (en) 1994-09-27
KR920009224A (ko) 1992-05-28
EP0482888A2 (en) 1992-04-29
EP0482888B1 (en) 1997-06-04
DE69126396T2 (de) 199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393B1 (ko)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EP0533947B1 (en) Encoder and decoder
EP0556816B1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56994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digital image signal
JP3037407B2 (ja) デジタル信号処理システム
JP3134424B2 (ja) 可変長符号化方法及び装置
EP0627853B1 (en) Picture reproduction apparatus and picture decoding apparatus
KR100420235B1 (ko) 디지탈신호복호장치
EP0492537B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EP0575997B1 (en)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349384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igital image signals
KR0137736B1 (ko) 디지틀 영상신호의 처리장치
US5995171A (en) Coding and/or decoding apparatus for decoding variable-length coded image information
KR100302027B1 (ko) 최소하나의테이프헤드를가진디지탈비디오레코더및이레코더를이용한화상데이타기록방법
JPH0646373A (ja) 画像データ復号装置および方法
US6807366B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6393197B2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58389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compressed picture data
JPH07231427A (ja) 圧縮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2985586B2 (ja) 記録再生装置
KR0155716B1 (ko) 디지탈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H05234261A (ja) ディジタルvtrの記録方式およびその装置
JPH1084530A (ja) 映像信号の再生装置
JPH0486179A (ja) ディジタル記録方法
JPH0898139A (ja) ディジタルvt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