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343B1 -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343B1
KR960002343B1 KR1019920025230A KR920025230A KR960002343B1 KR 960002343 B1 KR960002343 B1 KR 960002343B1 KR 1019920025230 A KR1019920025230 A KR 1019920025230A KR 920025230 A KR920025230 A KR 920025230A KR 960002343 B1 KR960002343 B1 KR 96000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elevator
parking
screw shaf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135A (ko
Inventor
정하택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김경수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343B1/ko
Publication of KR94001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61Cap
    • H01L2924/1615Shape
    • H01L2924/16195Flat cap [not enclosing an internal cavity]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 정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기계장치 구성 평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승강기 구성 평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주차대 구조 확대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파렛트 구성 정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작동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각틀 프레임 2 : 브레이크
3 : 감속기 4, 4' : 모터
5, 5' : 스크류축 6, 6' : 풀리
7 : 인코더 8 : 승강기
9, 9' : 와이어로프 10, 10', 19 : 안내바퀴
11 : 주차대 12 : 파렛트
13 : 밸런스 웨이트 14 : 구동도르래
15, 15' : 가이드채널 16 : 고무판
17 : 후크 18 : H형강 프레임
20, 20' : 걸림편 21 : 슬라이더
본 발명은 파렛트 이동방식으로 차량을 입체적으로 이동주정차 시킬 수 있는 스크류 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올나사를 이용한 방식으로 승강기의 양 끝단에 나사축을 설치하여, 양단의 너트에는 후크(HOOK)를 부착하여된 슬라이더를 상기 나사축에 결합 설치하고 이 나사축의 양단에는 모터와 브레이크 및 커플링과 인코더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나사축이 회전하여 슬라이터가 상, 하 동작하여 이동되어진 파렛트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켜 주고 주차대와 승강기에는 바퀴를 달아 슬라이더로서 파렛트를 좌/우로 밀어 이동시킬때 마찰을 최소화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비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파렛트 이동방식에서는 차량의 입/출고 작업을 가장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한 스크류방식의 입체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는 차량의 수는 많고 주차장의 면적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건물마다 엘리베이터 방식으로 입체주차 설비를 하여 차량을 주/정차 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입체주차설비 시스템을 보면 파렛트 이동식이 있고, 포크식이 있다.
파렛트 이동식에는 횡행 구동방식인 체인구동 방식과, 대차주행방식이 있는데 상기 체인구동 방식은 승강기 중앙에 있는 2쌍의 체인으로 파렛트의 후크를 걸어 파렛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파렛트에는 양끝단에 바퀴를 부착시켜 주차대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체인구동 방식의 주차설비 시스템은 있으나 이는 차량의 입/출고 시간이 다소 느리고 구조도 복잡하여 많아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인 대차주행 방식의 주차설비 시스템은 승강기의 양끝단에 체인으로 구동되는 대차가 파렛트를 싣고 주차대로 이동하여 파렛트를 내려놓고 대차는 승강통로로 이동하면서 차량을 입/출고시킬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대차주행 시스템은 구조는 전자의 경우 보다는 간단하나 차량의 입/출고 시간이 가장늦고, 작업경로도 복잡하며, 주차설비의 높이도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포크 방식의 입체주차설비 시스템에는 고정주차대 방식과 이동주차대 방식이 있는데, 전자의 고정주차대 방식은 승강기에 있는 대차가 차량을 싣고 주차실로 이동하여 차량을 주차대에 내려놓고 대차는 승강통로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차량을 입/출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고정주차대 방식은 차량의 입/출고 시간은 신속하나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주차설비의 높이가 높은 관계로 설비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인 이동주차대 방식은 승강기가 올라오면 승강기 밑으로 주차대가 승강통로로 이동하여 승강기에 실린 차량을 받아 주차실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차량을 입/출고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방식은 차량의 입/출고 시간은 최소한으로 단축하여 가장 신속하게 차량을 입/출고 할 수 있으나 있는 장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주차설비의 높이도 다소 높기 때문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므로 이 또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설비들에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파렛트 이동방식에서 엘리베이터 스크류 방식으로서 볼나사를 이용한 방식으로 승강기의 양끝단에 나사축을 설치하고 이에 고정설치되는 너트에는 후크를 부착시켜 슬라이더를 제작한 후 이를 나사축에 좌/우슬라이딩 동작가능하게 설치하여 파렛트가 이동되어 오면 상기 슬라이더가 파렛트를 좌/우로 밀어 이동시켜 줄 수 있게 하고 차량이 안치되는 주차대와 승강기에는 바퀴를 달아 파렛트의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의 주/정차를 종래보다 더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설비의 구조도 간소화시켜 공간의 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게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면 제1도와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구조를 프레임(1) 상부로 중심위치에 브레이크(2)와 감속기(3)가 연결되는 모터(4)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3)에는 스크류축(5)이 연결되어 이 양단에 풀리(6)(6')가 설치되며, 스크류축(5)의 일측단에는 인코더(7)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5)의 양단 풀리(6)(6')에는 승강기(8)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9)(9')가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각틀 프레임(1)의 내측으로 양벽에는 다수의 층으로 안내바퀴(10)(10')가 설치되는 주차대(11)가 등간격으로 배열설치되며, 상기 주차대(11)의 상면에는 차량을 싣고 승강기(8)에 올려지는 파렛트(12)가 각각의 주차대(11)에 설치되고 이 파렛트(12)의 하단에는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부(22)(22')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승강기(8)와 연결되며 스크류축(5)의 양단의 풀리(6)(6')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9)(9')의 타단에는 밸런스 웨이트(13)가 설치되어 구동도르래(14)상에 걸려지게 구성되고, 상기 주차대(11) 상부에 설치되는 파렛트(12)의 하면에는 가이드채널(15)(15')이 설치되며 그 전면 위치로는 충격방지용 고무판(16)과 파랫트(12) 좌/우 이송용 후크(17)가 설치 구성된다.
상기 사각틀 프레임(1)의 내측으로 하단 H형강 프레임(18) 양측에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렛트(12)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안내바퀴(19)들을 다수 설치하고 이 외측으로는 이송되어온 파렛트(12)의 후크(17)를 걸어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걸림편(20)(20')이 일체로 구성되는 슬라이더(21)가 인코더(7')와 브레이크(2') 및 모터(4')와 연결되는 스크류축(5')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서 스크류축(5')의 회전동작으로 좌/우 이동하면서 상기 파렛트(12)의 후크(17)를 걸어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축(5)(5')는 회전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베어링으로 지지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설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입고시에는 홈 포지션에 입고차량이 승강기(8) 위에 있는 2R/5R 파렛트(12)에 안치시킨 후 이들의 안전상태를 확인한 후 파렛트(12)가 없는 주차대(11)인 2R/5R의 높이까지 승강기(8)가 상승한 후 높이를 확인한 다음 슬라이더(21)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20)(20')이 파렛트(12)의 후크(17)를 걸어 파렛트(12)를 우측 또는 좌축으로 밀어 이동시켜 상기의 빈 2R/5R 주차대(11)에 차량을 입고시키고 나서 홈 포지션에 가까우며 빈 파렛트(12)있는 주차대(11)인 2L/3L을 향하여 빈승강기(8)는 약400㎜ 하강 또는 상승하여 빈 승강기(8)가 목표한 주차대(11)인 2L/3L의 400㎜ 위 또는 아래까지 하강 또는 상승하고 동시에 슬라이더(21)의 좌측 또는 우측의 걸림편(20)(20')이 목표한 주차대(11)의 중앙까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빈 승강기(8)가 목표한 주차대(11)인 2L/3L의 높이까지 하강 또는 상승한 후 파렛트(12)의 후크(17)를 슬라이더(21)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20)(20')이 걸어주게 되고 이를 확인한 후에는 모터(4')를 동작시켜 슬라이더(21)가 좌/우로 이동하여 빈 파렛트(1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승강기(8)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의 빈 파렛트(12)를 실은 승강기(8)는 하강하여 최초의 홈 포지션 위치에 도달하여 다음 차량을 상기한 동작의 원리로 빈 주차대(1)에 입고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동작은 자동 콘트롤로 입력된 지령에 의하여 자동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원하는 차량을 연속해서 입고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명령을 주어 원하는 차량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출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차량 입/출고 동작시 파렛트(12)의 좌/우 이동시에는 주차대(11)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바퀴(10)(10')와 (19)에 의해서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시 승강기(8)의 이동은 모터(4)의 동력에 따라 스크류축(5)이 회전하여 와이어로프(9)(9')를 감고 풀러주는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파렛트(12)의 좌/우 이동시에 프레임(1)과의 충격을 고무판(16)이 방지하여 주게 되고 상기 와이어로프(9)(9')의 타단에 연결된 밸런스 웨이트(13)가 균형을 잡아주고 승강기(8)의 정지는 브레이크(2)(2')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렛트 이동방식에서 엘리베이터 스크류 방식으로서 볼나사를 이용한 방식으로 승강기의 양끝단에 나사축을 설치하고 이에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더에는 걸림편을 부착시켜 슬라이더를 제작한 후 이를 나사축에 좌/우 슬라이딩 동작가능하게 설치하여 파렛트가 이동되어 오면 상기 슬라이더가 파렛트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를 걸어 이를 좌/우로 밀어 이동시켜 줄 수 있게 하고 차량이 안치되는 주차대와 승강기에는 바퀴를 달아 파렛트의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의 주/정차를 종래보다 더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설비의 구조도 간소화시켜 공간의 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원가도 절감시켜 널리 보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사각구조를 프레임(1) 상부로 중심위치에 브레이크(2)와 감속기(3)가 연결되는 모터(4)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3)에는 스크류축(5)이 연결되어 이 양단에는 풀리(6)(6')가 설치되며, 스크류축(5)의 일측단에는 인코더(7)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5)의 양단 풀리(6)(6')에는 승강기(8)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9)(9')가 연결설치되고 또한 상기 사각틀 프레임(1)의 내측으로 양벽에는 다수의 층으로 안내바퀴(10)(10')가 설치되는 주차대(11)가 등간격으로 배열설치되며, 상기 주차대(11)의 상면에는 차량을 싣고 승강기(8)에 올려지는 파렛트(12)가 각각이 주차대(11)에 설치되고 이 파렛트(12)의 하단에는 좌/우 이동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부(22)(22')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승강기(8)와 연결되며 스크류축(5)의 양단에는 풀리(6)(6')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9) (9')의 타단에는 밸런스 웨이트(13)가 설치되어 구동도르래(14)상에 걸려지게 구성되고, 상기 주차대(11) 상부에 설치되는 파렛트(12)의 하면에는 가이드채널(15)(15')이 설치되며 그 전면위치로는 충격방지용 고무판(16)과 파렛트(12) 좌/우 이송용 후크(17)가 설치 구성되고, 상기 사각틀 프레임(1)의 내측으로 하단 H형강 프레임(18) 양측에는 상기 파렛트(12)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안내바퀴(19)들을 다수 설치하고 이 외측으로는 이송되어 온 파렛트(12)의 후크(17)를 걸어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걸림편(20)(20')이 일체로 구성되는 슬라이더(21)가 인코더(7')와 브레이크(2') 및 모터(4')와 연결되는 스크류축(5')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4')의 동작에 의해서 스크류축(5')의 회전동작으로 좌/우 이동하면서 상기 파렛트(12)의 후크(17)를 걸어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스크류방식의 입체 주차 시스템.
KR1019920025230A 1992-12-23 1992-12-23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KR960002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230A KR960002343B1 (ko) 1992-12-23 1992-12-23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230A KR960002343B1 (ko) 1992-12-23 1992-12-23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135A KR940015135A (ko) 1994-07-20
KR960002343B1 true KR960002343B1 (ko) 1996-02-16

Family

ID=1934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230A KR960002343B1 (ko) 1992-12-23 1992-12-23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856A (ko) * 1998-10-02 2000-05-06 이해규 주차설비의 리프트 정지위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135A (ko) 199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343B1 (ko) 스크류방식의 입체주차 시스템
JPH11217950A (ja) 駐車設備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2620123B2 (ja) 建築工事用仮設揚重装置
JP3094713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3020018B2 (ja) ピット式駐車装置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KR100295876B1 (ko) 엘리베이터방식주차설비의턴테이블장치
KR100257111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승강바닥장치
KR100257109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횡행 구동장치
JP2727130B2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KR100257110B1 (ko)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 횡행장치
KR960014365B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장치
JP2534600Y2 (ja) エレベーター式立体駐車装置
KR100328200B1 (ko) 입체주차설비와 입, 출고 제어방법
JPH0754063B2 (ja) 多段式駐車装置
JP3449669B2 (ja) 昇降式駐車装置
JP2001173259A (ja) 立体駐車場および立体駐車場の建築方法
JPH0740033Y2 (ja) 立体駐車装置
JP3556042B2 (ja) 昇降式駐車装置
KR100335987B1 (ko) 승강기식 주차설비
KR920003098Y1 (ko) 자동차용 주차대
KR0128216Y1 (ko) 주차시스템의 리프트 안전장치
JP2663829B2 (ja) 立体駐車設備
KR20010048935A (ko) 주차설비의 차량 고정장치
JPH06240910A (ja) 扛上運搬車利用の自動車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