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251Y1 - 독취장치 - Google Patents

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51Y1
KR960001251Y1 KR2019950033979U KR19950033979U KR960001251Y1 KR 960001251 Y1 KR960001251 Y1 KR 960001251Y1 KR 2019950033979 U KR2019950033979 U KR 2019950033979U KR 19950033979 U KR19950033979 U KR 19950033979U KR 960001251 Y1 KR960001251 Y1 KR 960001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document
image sensor
cover glass
regul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3698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3685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2019950033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15Feeding using one or more cylindrical platens or roller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main scanning l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6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scanning elements and the picture-bearing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독취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l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2 도는 제 1 실시예의 요부분해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 부재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 7 도는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9 도는 제 3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 l0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11 도는 제 4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 1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13 도는 제 5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 1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15 도는 제 6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 1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17 도는 제 16 도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제 18 도는 종래의 독취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본 고안은 독취수단의 독취면상에서 원고를 반송함으로써 원고의 서화상을 상기 독취수단에 의해서 독취하도록 한 독취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송되는 원고의 서화상을 독취하도록 한 독취장치에서는 독취수단의 독취위치에서 원고를 소정의 거리내에 예를 들면 독취수단의 피사계심도내로 안내함으로써 독취수단에 의한 원고의 해상도가 실용역이 되도록 하고 있다.
제 18 도는 이 종류의 독취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원고(1)의 반송역(2)을 사이에 끼워서 독취장치(10)의 독취위치(α)에 대향하는 부위에 가이드롤러(3)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롤러(3)는 그 주면을 상기 독취수단(10)의 독취면을 구성하는 투명판(11)의 외표면에 압접되어 있는 태양으로 그 축심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는 기어열을 거쳐서 전기모터 등의 구동원(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독취장치에 의하면 상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3)의 주면에 의해서 반송되는 원고(1)가 상기 투명판(11)의 외표면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거리(t)이내로 안내되어 독취수단(10)에 의한 원고독취시의 해상도가 실용적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고(1)의 서화면을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독취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3)가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구동원(4)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동축(3a)의 배치위치를 이동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이 독취장치에서는 원고의 두께가 상기 투명판(11)의 외표면과 가이드롤러(3)의 주위와의 사이에 설정된 간극(t)보다도 두꺼운 경우에, 그 서화상의 독취를 행할 수 없다.
이 간극(t)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독취수단(10)의 피사계심도에 대응한 것이기 때문에 즉 필요 이상으로 큰값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독취원고가 대폭으로 제한되게 된다.
또 상기 독취장치에서는 그 내부에 가이드롤러(3)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이나 구동원(4)을 배설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소형화를 도모하기 어려워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두꺼운 원고의 독취도 행할 수 있는 독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상기 독취수단의 독취위치에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독취면에 대해서 근접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고 또한 이 독취면과의 사이에 원고가 도입되는 규제부재와 상기 규제부재를 상시 독취면을 향해서 힘주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반송되는 원고의 두께에 따라서 규제부재가 적의 이동하고 이 이동된 위치에 있어서 이 규제부재가 상기 원고를 사전에 설정된 거리이내로 안내하기 때문에 두꺼운 원고의 독취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기어렬이나 구동원 등의 구동계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용이하게 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독취장치는 제 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 하우징(101)과 본체 하우징(101)에 대해서 개폐가능, 또는 착탈 가능하게 배설된 서브 하우징(102)를 구비하고 이들 본체(101) 및 서브하우징(102)간에 원고방송역(103)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100)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 서브하우징(102)에 독취수단(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팩시밀리장치(100)에 적용되는 독취수단(110)은 그 하나의 측면이 커버유리(111)에 의해서 덮힌 프레임(112)내에 광원(113), 로드 렌즈 어레이(114) 및 광전변환소자어레이(115)가 배치된 소위 밀착성 이미지센서라고 칭하는 것이며 이 커버유리(111)를 상기 원고반송역(103)에 위치한 태양으로 상기 서브하우징(102)에 보지되어 있다.
이 이미지센서(110)에서는 상기 커버유리(111)의 외표면(111a)에 독취면이 구성되고 또 커버유리(111)의 중앙부에 독취위치(β)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제 l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미지센서(110)의 피사계심도는 상기 커버유리(111)의 외표면(111a)으로부터 0.6mm 떨어진 위치까기 설정되어 있다.
또 이 팩시밀리장치(100)는 상기 본체 하우징(101)의 상기 원고방송역(103)에 위치한 부위에 凹부(101a)를 갖고 있다. 이 凹부(101a)는 상기 이미지센서(110)에 있어서 프레임(112)의 하나의 측면과 대략 같은 크기의 장방형개구부를 갖고 있고 이 이미지센서(11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凹부(101a)의 내부에는 한쌍의 코일스프링(120)을 끼운 상태로 규제부재(121)가 수용되어 있다.
규제부재(121)는 제 3 도∼제 5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이미지센서(110)의 커버유리(111)와 대략 동일크기를 갖는 장방형의 평판상을 이루고 상기 원고반송역(103)에 있는 표면이 백색으로 도장된 작용부(121a)와 이 작용부(121a)의 긴 변의 측면단연부로부터 각각 이면방향을 향하여 굴곡형성된 가이드부(121b)와 상기 작용부(121a)의 표면으로 돌출 설비된 4개의 돌출부(121c)를 갖고 있고 상기 원고방송역(103)에 대해서 근접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돌출부(121c)는 상기 작용부(121a)의 4개의 구석부에서 각각 표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비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센서(110)의 피사계심도에 대응한 높이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서는 0.6mm의 높이를 갖고 있다. 또 이 규제부재(121)는 금속제이고 금속박판에 프레스가공 등의 기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작용부(121a), 가이드부(121b) 및 4개의 돌출부(121c)가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상기 팩시밀리장치(100)는 제 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01)에 있어서의 상기 규제부재(121)의 상류측(제 2 도중에서 우측) 및 하류측(제 2 도중에서 좌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구동롤러(130, 131)를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서브하우징(102)에 있어서의 상기 이미지센서(110)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핀치롤러(132, 133)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롤러(130, 131)는 제 4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규제부재(121)보다도 충분히 폭이 좁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원고반송역(103)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개개의 주면을 이 원고반송역(103)까지 위치시키는 태양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1)에 회동자재하게 배설되어 있다.
핀치롤러(132, 133)은 각각 상기 구동롤러(l30, 131)와 동일폭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구동롤러(130, 131)에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 개개의 주면을 상기 원고반송역(103)에 위치시키는 태양으로 상기 서브하우징(102)에 회동자재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 도면에 나타내 있지 않지만 상기 구동롤러(130, 131)는 각각 기어렬을 거쳐서 모터 등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있다. 또 핀치롤러(132, 133)는 각각 상기 원고반송역(103)에 대해서 근접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설되고 또한 코일스프링등의 힘주는 수단에 의해서 상시 원고반송역(103)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주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100)에서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하우징(102)을 본체 하우징(101)의 소정위치에 장착하면 핀치롤러(132, 133)의 주면이 각각 원고반송역(103)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동롤러(130, 131)의 주면에 압접된 상태로 보지되는 동시에 한쌍의 코일스프링(l20)의 힘에 의해서 규제부재(121)에 배설된 4개의 돌출부(121c)가 각각 이미지센서(110)의 커버유리(111)에 압접되어 상기 원고반송역(103)에 있어서 이 커버유리(111)의 외표면(111a)과 규제부재(121)의 표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는 태양으로 이 규제부재(121)의 작용부(121a)가 상기 커버유리(111)에 대해서 평행상태로 보지된다.
이때에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규제부재(121)에 배설된 돌출부(121c)는 각각 커버유리(111)에 있어서의 로드렌즈어레이(114) 및 광전변환 소자 어레이(115)의 배설역보다도 외부에서 그 외표면(111a)에 압접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원고(140)의 독취를 행하기 위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동스위치를 ON 시키면 상기 구동롤러(130, 131)가 각각 회전함으로써 구동롤러(130, 131) 및 핀치롤러(132, 133)의 협동에 의해서 원고(140)의 반송이 개시되는 동시에 이미지센서(110)가 구동되고 그 독취동작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센서(110)는 그 독취위치(β)에 원고(140)가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규제부재(121)의 작용부(121a)에 도장된 백색을 독취하고 이것을 실제로 원고(140)을 독취할 때의 백색기준으로서 채용한다.
상류측의 구동롤러(130) 및 핀치롤러(132)에 의해서 반송된 원고(140)는 상기 커버유리(111)와 규제부재(121)와의 사이에 확보된 간극을 통과한 후에 또 하류쪽의 구동롤러(131) 및 핀치롤러(133)에 의해서 하류로 반송된다. 이 동안에 이미지센서(110)는 그 독취위치(β)에 있어서 원고(140)를 순차 독취하고 그 서화상에 대응한 화상데이타를 얻는다.
그때에 이 팩시밀리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원고(140)가 규제부재(121)의 표면에 의해서 이미지센서(110)에 의한 커버유리(111)의 외표면(111a)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거리이내로 안내되어 이 이미지센서(110)에 의한 원고독취시의 해상도가 실용역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고(140)를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한편 원고의 두께가 상기 이미지센서(110)의 커버유리(111)와 상기 규제부재(121)의 표면과의 사이에 확보된 간극보다도 큰 경우에는 이 규제부재(121)가 적의 커버유리(111)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 원고의 하류로의 통과가 허가되고 상기 이미지센서(110)에 의한 원고의 독취가 가능해진다.
그때에 이 팩시밀리장치(100)에 의하면 코일스프링(120)에 의해서 힘주어진 규제부재(121)에 의해서 원고가 상기 독취위치(β)에서 커버유리(111)의 외표면(111a)에 밀착된 상태로 되고 이 이미지센서(110)에 의한 원고독취시의 해상도가 실용역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고를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또, 이 제 1 실시예에 예시한 팩시밀리장치(100)에서는 규제부재(121)의 표면에 배설된 돌출부(121c)에 의해서 이 규제부재(121)의 표면과 상기 이미지센서(110)에 있어서의 커버유리(111)의 외표면(11la)과의 사이에 상시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빳빳하지 않는 원고에 기재된 서화상을 독취할 수도 있다.
또 이 팩시밀리장치(100)에서는 상기 규제부재(121)와 이미지센서(110)의 커버유리(111)가 평행상태로 보지되기 때문에 이미지센서(110)의 독취위치(β)가 상류쪽이나 하류쪽으로 엇갈려 있는 경우에도 그 해상도 가열화되는 일이 없다.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독취장치는 앞서 제 1 실시예에서 예시한 팩시밀리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본체하우징(201)과 이 본체하우징(201)에 대해서 개폐가능, 또는 착탈가능하게 배설된 서브하우징(202)을 구비하고 이들 본체하우징(201) 및 서브하우징(202)간에 원고반송역(203)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200)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100)와는 밀착형 이미지센서의 독취위치 및 규제부재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동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이미지센서(210)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그 하나의 측면이 커버유리(211)에 의해서 덮힌 프레임(212)내에 광원(213), 로드렌즈어레이(214) 및 광전변환소자어레이(215)가 배설되고 이 커버유리(211)를 상기 원고반송역(203)에 위치시키는 태양으로 상기 서브하우징(202)에 보지되어 있고 상기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에 독취면을 구성하고 또 이 커버유리(211)의 중앙보다도 하류쪽(제 6 도중에서 좌측)에 독취위치(γ)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제 2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이미지센서(210)의 피사계심도도 상기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으로부터 0.6mm 떨어진 위치까지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221)는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이미지센서(210)의 커버유리(211)와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장방형의 평판상을 이루고 상기 원고반송역(203)에 위치하는 표면이 백색으로 도장된 작용부(221a)와 이 작용부(221a)의 긴 벽쪽의 양단연부로부터 각각 이면방향을 향해서 서로 평행하게 또한 상기 작용부(221a)에 대해서 경사진 태양으로 굴곡형성된 가이드부(221b)와 상기 작용부(221a)의 표면에 돌출설비된 한쌍의 작은 돌출부(221c) 및 한쌍의 큰 돌출부(221d)를 갖고 있다.
작은 돌출부(221c)는 상기 작용부(221a)에 있어서의 상기 이미지센서(210)의 독취위치(γ)에 대향하는 양구석부로부터 각각 상기 가이드부(221b)와 평행이 되도록 돌출 설비되어 있고 이 이미지센서(210)의 피사계심도에 대응한 높이, 예를들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0.6mm의 높이를 갖고 있다. 큰 돌출부(221d)는 상기 작은돌출부(221c)보다도 충분히 높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용부(221a)의 하류쪽 양구석부로부터 각각 상기 가이드부(221b)와 평행이 되도록 돌출 설비되어 있다.
또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큰 돌출부(221d)는 각각의 선단과 상기 작은 돌출부(221c)의 선단을 포함하는 면이 상기 가이드부(221b)가 뻗어있는 방향에 직교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재(221)도 상기 제 1 실시예의 것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1)에 형성된 (201a)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220)을 끼운 상태로 상기 원고반송역(203)에 대해서 근접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 이 규제부재(221)도 금속제이고 금속박판에 프레스가공등이 기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작용부(221a), 가이드부(221b) 및 4개의 돌출부(221c, 221d)가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200)에서는 제 6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하우징(202)을 본체하우징(201)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면 핀치롤러(232, 233)의 주면이 각각 원고반송역(203)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동롤러(230, 231)의 주면에 압접된 상태로 보지되는 동시에 한쌍의 코일스프링(220)의 힘에 의해서 규제부재(221)에 배설된 작은 돌출부(221c) 및 콘돌출부(221d)가 각각 이미지센서(210) 위 커버유리(211)에 압접되고 상기 원고반송역(203)에 있어서 이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과 규제부재(221)의 표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는 태양이고 이 규제부재(221)의 작용부(221a)가 상기 커버유리(211)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보지된다. 이때에 상기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과 규제부재(211)의 표면과의 사이에 확보되는 간극은 작은 돌출부(221c) 및 큰 돌출부(221d)의 높이차로 인해서 상류쪽(제 6 도중에서 우측)으로 향해서 점차 증대되는 태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규제부재(221)에 배설된 돌출부(221c, 221d)는 각각 커버유리(211)에 있어서의 로드렌즈어레이(214) 및 광전변환소자어레이(215)의 배설역보다도 외부에서 이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에 압접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원고(240)의 독취를 행하기 위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동스위치를 ON 시키면 상기 기동롤러(230, 231)가 각각 회전됨으로써 이 구동롤러(230, 231) 및 핀치롤러(232, 233)의 협동에 의해서 원고(240)의 반송이 개시되는 동시에 이미지센서(210)가 구동되고 그 독취동작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센서(210)는 그 독취위치(γ)에 원고(240)가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규제부재(221)의 작용부(221a)에 도장된 백색을 독취하고 이것을 실제로 원고(240)를 독취할 때의 백색 기준으로서 채용한다.
상류쪽의 구동롤러(230) 및 핀치롤러(232)에 의해서 반송된 원고(240)는 상기 커버유리(211)와 규제부재(221)와의 사이에 확보된 간극을 통과한 후에 더 하류쪽의 구동롤러(231) 및 핀치롤러(233)에 의해서 하류로 반송된다. 이 동안에 이미지센서(210)는 그 독취위치(γ)에 있어서 원고(240)를 순차독취하고 그 서화상에 대응한 화상데이타를 얻는다.
그때에 이 팩시밀리장치(200)에 의하면 상기 원고(240)가 규제부재(221)의 표면에 의해서 이미지센서(210)에 있어서의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에서 사전에 설정된 거리이내로 안내되고 이 이미지센서(210)에 의한 원고독취시의 해상도가 실용역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고(240)를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한편 원고의 두께가 상기 이미지센서(210)의 커버유리(211)와 상기 규제부재(221)의 표면과의 사이에 확보된 간극보다도 큰 경우에는 이 규제부재(221)가 적의 커버유리(211)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원고의 하류로의 통과가 허가되고 상기 이미지센서(210)에 의한 원고의 독취가 가능해진다.
그때에 이 팩시밀리장치(200)에 의하면 코일스프링(220)에 의해서 힙주어진 규제부재(221)에 의해서 원고가 상기 독취위치(γ)에서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에 밀착된 상태로 되고 이 이미지센서(210)에 의한 원고독취시의 해상도가 실용역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고를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또 이 제 2 실시예에 예시한 팩시밀리장치(200)에서는 규제부재(221)의 표면에 배설된 돌출부(221c, 221d)에 의해서 이 규제부재(221)의 표면과 상기 이미지센서(210)에 있어서 커버유리(211)의 외표면(211a)과의 사이에 상기 각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빳빳하지 않는 원고에 기재된 서화상을 독취할 수도 있다.
또 이 팩시밀리장치(200)에서는 상기 규제부재(221)와 이미지센서(210)의 커버유리(211)와의 간극이 상류쪽을 향해서 점차 증대되는 태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극으로의 원고의 도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 8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독취장치는 먼저 제 1 실시예에서 예시한 팩시밀리장치 (100)와 마찬가지로 본체 하우징(301)과 이 본체하우징(301)에 대해서 개폐 가능 또는 착탈 가능하게 배설된 서브하우징(302)을 구비하고 이들 본체하우징 (301) 및 서브하우징(302) 사이에 원고반송역(303)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300)는 규제부재의 구성만이 달라져 있다.
즉 이 제 3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321)는 제 8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미지센서(310)의 커버유리(311)와 대략 동일한 폭 및 길이를 갖고 이 이미지센서(310)의 독취위치(β)에서 상류쪽(제 8 도중에서 우측) 및 하류측(제 8 도중에서 좌측)을 향해서 각각 상기 원고반송역(303)에 대해서 점차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힝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원고반송역(303)에 위치하는 외주면이 백색으로 도장되어 있고 상기 본체하우징(301)에 형성된 凹부(301a)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320)을 끼워 있는 상태에서 상기 원고반송역(303)에 대해서 근접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 이 규제부재(321)도 금속제이고 금속박판에 프레스가공 등의 기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성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300)에서는 제 8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하우징(302)을 본체하우징(301)의 소정위치에 장착하면 핀치롤러(332, 333)의 주면이 각각 원고반송역(303)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동롤러(330, 331)의 주면에 압접된 상태로 보지되는 동시에 한쌍의 코일스프링(320)의 힘에 의해서 상기 원고반송역(303)에서의 이미지센서(310)의 독취위치(β)에서 상기 규제부재(321)의 외주면이 그 전체폭에 걸쳐서 이 이미지센서(310)의 커버유리(311)에 압접된 상태로 보지된다.
이 상태에서 원고(340)의 독취를 행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기동스위치를 ON 시키면 상기 구동롤러(330, 331)가 각각 회전됨으로써 원고(340)의 반송이 개시되는 동시에 이미지센서(310)가 구동되고 그 독취동작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센서(310)는 그 독취위치(β)에 원고(340)가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규제부재(321)에 도장된 백색을 독취하고 이것을 실제로 원고(340)를 독취할때의 백색기준으로서 채용한다.
상류쪽의 구동롤러(330) 및 핀치롤러(332)에 의해서 반송된 원고(340)가 상기 이미지센서(310)에 있어서의 독취위치(β)의 직전에 도달되면 이 원고의 반송력에 의해서 상기 규제부재(321)가 코일스프링(320)의 힘에 대향하여 커버유리(311)에서 적의 이격되어 이동되고 이들 규제부재(321) 및 커버유리(311)간에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고(340)의 하류로의 통과가 허가되는 동시에 상기 이미지센서(310)에 의한 원고(340)의 독취가 가능해진다.
그때에 이 팩시밀리장치(300)에 의하면 코일스프링(320)에 의해서 힘주어진 규제부재(321)에 의해서 원고(340)가 상기 독취위치(β)에서 커버유리(311)의 외표면(311a)에 밀착된 상태로 되고, 이 이미지센서(310)에 의한 원고독취시의 해상도가 실용역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고(340)을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또 상기 규제부재(321)는 원고(340)의 두께에 따른 거리만큼만 커버유리(311)에서 이격 이동되기 때문에 두꺼운 원고의 독취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미지센서(310)의 독취위치(β) 보다도 상류쪽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리(311)와 상기 규제부재(321)와의 사이에 큰 간극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독취위치(β)로의 원고의 도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제 3 실시예에 예시한 팩시밀리장치(300)에서는 규제부재(321)를 직접 커버유리(311)의 외표면(311a)에 압접시키도륵 하고 있으나. 제 1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규제부재(421)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이미지센서(410)의 피사계심도에 대응한 높이를 갖고 또한 원고(440)의 반송방향에 따라서 연속하는 돌출부(421c)를 설비하고 제 10 도에 나타낸 제 4 실시예와 같이 이들 돌출부(421c)를 한쌍의 코일스프링(420)에 의해서 커버유리(411)의 외표면(411a)에 압접시켜도 상관없다.
이 제 4 실시예에 나타낸 팩시밀리장치(400)에 의하면 커버유리(411)의 외표면(411a)과 규제부재(4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빳빳하지 않는 원고에 기재된 서화상을 독취할 수 있다.
제 1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독취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 예시하는 독취장치는 앞서 제 1 실시예에 예시한 팩시밀리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본체하우징(501)과 이 본체하우징(401)에 대해서 개폐가능, 또는 착탈가능하게 배설된 서브하우징(402)을 구비하고 이들 본체하우징(501) 및 서브하우징(502)간에 원고반송역(503)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500)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100)와는 밀착형 이미지센서의 독취위치 및 규제부재의 구성이 다르다.
즉 동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이미지센서(51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것과 같이 그 하나의 측면이 커버유리(511)에 의해서 덮인 프레임(512)내에 광원(513), 로드렌즈어레이(514) 및 광전변환소자어레이(515)가 배설되고 이 커버유리(511)를 상기 원고반송역(503)에 위치시킨 태양으로 상기 서브하우징(502)에 보지되어 있고 상기 커버유리(511)의 외표면(511a)에 독취면을 구성하고 또 커버유리(511)의 중앙보다도 하류쪽(제 12 도중에서 좌측)에 독취위치(γ)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제 5 실시예에 적용되는 규제부재(521)는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미지센서(510)의 커버유리(511)와 대략 동일한 폭 및 길이를 갖고 이 이미지셴서(510)의 독취위치(γ)에서 상류쪽(제 12 도중에서 우측)을 향해서 상기 원고반송역(503)에서 점차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원고반송역(503)에 위치하는 외주면이 백색으로 도장된 작용부(521a)와 이 작용부(521a)의 상류쪽 단연부에 설비된 원통상의 지점부(521b)와, 이 지점부(521b)에 회동 자재하게 관통 삽입되어 있는 축부재(522)를 갖고 있고 상기 본체하우징(501)에 형성된 凹부(501a) 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520)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522)의 양단부를 각각 이 본체하우징(501)에 고착시킴으로써 상기 원고반송역(503)에 대해서 근접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500)에서는 제 1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하우징(502)을 본체하우징(501)의 소정위치에 장착하면 핀치롤러(532, 533)의 주면이 각각 원고반송역(503)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동롤러(530, 531)의 주면에 압접된 상태로 보지되는 동시에 한쌍의 코일스프링(520)의 힘에 의해서 상기 원고반송역(503)에서의 이미지센서(510)의 독취위치(γ)에서 상기 규제부재(521)의 외주면이 그 전체폭에 걸쳐서 이 이미지센서(510)의 커버유리(511)에 압접된 상태로 보지된다.
이 상태에서 원고(540)의 독취를 행하기 위하여 도시되어 있지 않는 기동스위치를 ON 시키면 상기 구동롤러(530, 531)가 각각 회전됨으로써 원고(540)의 반송이 개시되는 동시에 이미지센서(510)가 구동되고 그 독취동작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센서(510)는 그 독취위치(γ)에 원고(540)가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규제부재(521)의 작용부(521a)에 도장된 백색을 독취하고 이것을 실제로 원고(540)를 독취할 때의 백색기준으로서 채용한다
상류쪽의 구동롤러(530) 및 핀치롤러(532)에 의해서 반송된 원고(540)가 상기 이미지센서(510)에 있어서의 독취위치(γ)의 직전에 도달되면 이 원고(540)의 반송력에 의해서 상기 규제부재(521)가 코일스프링(520)의 힘에 대향하여 커버유리(511)로부터 적의 이격되어 이동되고 이들 규제부재(521) 및 커버유리(511)간에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고(540)의 하류로의 통과가 허가되는 동시에 상기 이미지센서(510)에 의한 원고(540)의 독취가 가능해진다.
그때에 이 팩시밀리장치(500)에 의하면 코일스프링(520)에 의해서 힘주어진 규제부재(521)에 의해서 원고(540)가 상기 독취위치(γ)에서 커버유리(511)의 외표면(511a)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 이미지센서(510)에 의한 원고독취시의 해상도가 실용역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고(540)를 정확하게 독취할 수 있다. 또 상기 규제부재(521)는 원고(540)의 두께에 따른 거리만큼 커버유리(511)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두꺼운 원고의 독취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미지센서(510)의 독취위치(γ) 보다도 상류쪽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리(511)와 상기 규제부재(521)와의 사이에 큰 간극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독취위치(γ)로의 원고의 도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제 5 실시예에 예시한 팩시밀리장치(500)에서는 규제부재(521)를 직접 커버유리(511)의 외표면(511a)에 압접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제 15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규제부재(621)의 작용부(621a)에 있어서의 이미지센서(610)의 독취위치(γ)에 대향하는 양 구석부에서 각각 이 이미지센서(610)의 피사계의 심도에 대응한 높이 예를 들면 0.6mm의 높이를 갖는 한쌍의 돌출부(621c)를 설비하고 제 14 도에 나타낸 제6 실시예와 같이 이들 돌출부(621c)를 한쌍의 코일스프링(620)에 의해서 커버유리(611)의 외표면(611a)에 압접시켜도 상관없다.
이 제 6 실시예에 나타낸 팩시밀리장치(600)에 의하면 커버유리(611)의 외표면(61la)과 규제부재(6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시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빳빳하지 않은 원고에 기재된 서화상을 독취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 1, 제 2, 제 4 및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는 즉 돌출부에 의해서 독취수단의 독취면과 규제부재와의 사이에 소정간극을 확보하도록 한 독취장치에서는 어느것이나 규제부재에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독취수단에 돌출부를 배설해도 좋고 별개로 형성된 독출부재를 독취수단 및 규제부재의 어느 한쪽에 부착하여 돌출부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예를들면 제 16 도 및 제 17 도에 나타낸 독취장치(700)의 제 7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미지센서(710)의 커버유리(711)를 가공하여 이 커버유리(711)에 돌출부(711c)를 형성하고 한쌍의 코일스프링(720)에 의해서 이 돌출부(711c)에 규제부재(721)를 압접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유리(711)의 외표면(711a)과 규제부재(721)와의 사이에 상기 이미지센서(710)의 피사계의 심도에 대응한 간극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Claims (9)

  1. 독취수단의 독취면상에서 원고를 반송함으로써 상기 원고의 서화상을 상기 독취수단에 의해서 독취하도록 한 독취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독취수단(110 : 210 : 310 : 410 : 510 : 610 : 710)의 독취위치에 대향하는 부위에서 투명판(11)의 독취면(111a : 211a : 311a : 411a : 511a : 611a : 711a)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독취면과의 사이에서 원고가 도입되는 규제부재(121: 221 : 321 : 421 : 521 : 621 : 721) 및
    상기 규제부재를 상기 독취면을 향해서 밀어주는 가압수단(120 : 220 : 320 : 420 : 520 : 620 : 720)을 구비하며, 상기 규제부재의 어느 한쪽에 다른 쪽이 맞닿아 상기 독취면과 상기 규제부재간에 소정의 간격을 확보하는 독출부(121c : 221c : 221d : 421c : 621c : 711c)가 설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수단은 상기 투명판의 외표면에 구성된 독취면을 갖는 밀착형 이미지센서인 독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적어도 상기 독취면에 대향하는 부위가 백색인 독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121 : 221 : 721)는 적어도 상기 독취면에 대향하는 부분이 평판상인 독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121 : 721)는 상기 독취면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치된 독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221)는 상기 독취면과의 거리가 상기 독취위치에서 그 상류쪽을 향해서 점차 확대되는 태양으로 배치된 독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321 : 421)는 적어도 상기 독취면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이 독취면과의 거리가 상기 독취위치에서 그 상류쪽으로 향해서 점차 확대되는 만곡된 형상인 독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521 : 621)가 그 상류쪽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요동되는 독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121 : 221 : 321 : 421 : 521 : 621 : 721)凹부(101a : 201a : 301a)가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독취장치.
KR2019950033979U 1991-05-14 1995-11-16 독취장치 KR960001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979U KR960001251Y1 (ko) 1991-05-14 1995-11-16 독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36980 1991-05-14
JP3136980A JPH04336857A (ja) 1991-05-14 1991-05-14 画像読取装置
KR1019920008104A KR920022051A (ko) 1991-05-14 1992-05-14 독취장치
KR2019950033979U KR960001251Y1 (ko) 1991-05-14 1995-11-16 독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104A Division KR920022051A (ko) 1991-05-14 1992-05-14 독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251Y1 true KR960001251Y1 (ko) 1996-02-09

Family

ID=2731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979U KR960001251Y1 (ko) 1991-05-14 1995-11-16 독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4382A (en) Data reader
JP2656123B2 (ja) 読取装置
JP2004032152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US5956071A (en) Mechanism for positioning film into a scanning position in an internal drum laser scanner assembly
KR960001251Y1 (ko) 독취장치
JPH10190947A (ja) 画像読取装置
US4380389A (en) Document transport for raster scanners
JPS62281665A (ja) 画像形成装置
JP2975289B2 (ja) 画像読取装置
JPH0724850Y2 (ja) 原稿読取り装置
JPS6134784Y2 (ko)
JPH01277054A (ja) 画像読取装置
JPH01151873A (ja) 画像読取装置
JPH07273936A (ja) 画像読取装置
JPH04179661A (ja) 原稿給送装置
JPS6134780Y2 (ko)
JPH1073890A (ja) 画像読取装置
JP2001242670A (ja) 原稿押圧板
JP2740363B2 (ja) 読み取り装置
JPH0580614A (ja) 原稿読取装置
JPS61280156A (ja) 原稿読取り装置
JPH06178060A (ja) 画像読取装置
JPH05122453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229158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H0492553A (ja) 原稿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