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85Y1 -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85Y1
KR960001185Y1 KR2019900021328U KR900021328U KR960001185Y1 KR 960001185 Y1 KR960001185 Y1 KR 960001185Y1 KR 2019900021328 U KR2019900021328 U KR 2019900021328U KR 900021328 U KR900021328 U KR 900021328U KR 960001185 Y1 KR960001185 Y1 KR 960001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raking
chain wheel
brak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892U (ko
Inventor
송은섭
전승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85Y1/ko
Publication of KR920011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85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철도차량 객차실내용 수용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도
제 2 도는 종래의 전동차 운전실의 수용 제동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수용 제동장치의 일부절결 설치상태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고안의 제동연결장치인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상세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본 고안의 핸들장치부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동연결장치부 21 : 스크류바아
22 : 트러넌 23 : 브레이크링크
24 : 브레이크로드 30 : 핸들장치부
31 : 벽면 32 : 체인휘일
35 : 핸들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객차 또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객차의 공간을 확보하여 통행을 용이하게 하고 수월하게 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철도차량용 수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철도차량에 이용되는 제동장치는 객차의 객실에 설치되는 제동장치와 운전석에 설치되는 제동장치를 구분하어 설치되어진다.
객차의 객실에 설치되는 종래의 제동장치는 첨부한 도면 제 1 도에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객차의 객실바닥면(1)에 고정된 지지브라켓(5)의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핸들(2)에 스크류바아(3)와, 이에 고정된 링크(4)를 고정하여 상기 지지브라켓(5)에 내장되고, 상기 링크(4)에는 객실 바닥면(1)의 하부에 장착된 로울러(6)에 감긴 체인(7)에 연결되어지되 상기한 체인(7)은 브레이크샤프트 및 제동로드(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제동장치는 핸들(2)을 좌, 우로 돌리는 것에 의해서 스크류바아(3)가 지지브라켓트(5)내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링크(4)와 체인(7)을 통하여 브레이크 사프트 및 제동로드를 이동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철도차량을 제동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동장치는 객실의 바닥면(1)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의 이동통로를 가로막게 되어 통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특히 통행중에 승객의 무분별한 작동에 의해 급정거를 시킴으로써 사고를 낼 수 있는 원인이 되고, 수동작에 의하여 작동시켜야 하므로 제동이 극히 힘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석에 설치되는 전동차용 수용 제동장치는 첨부한 도면 제 2 도에서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핸들(10)의 작동에 의해 래칫휘일(11)을 통해서 그 회전력을 피니언기어(12)를 통하여 체인휘일(13)을 전달하게 되고 다시 체인휘일(13)은 로울러(14)를 통하여 이에 감겨진 체인(15)을 당겨줌으로서, 상기 체인(15)에 연결된 브레이크로드(미도시)를 당겨주는 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 철도차량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 경우에는 래칫휘일(11)에 의하여 제동하게 하므로 스크류우 방식에 의하는 것보다 많은 제동힘이 필요하게 되고, 특히 제동이 걸린후에는 래칫휘일(11)이 해지가 되지 아니하므로 래칫휘일(11)의 해지를 위한 별도의 해지수단인 페달(16)을 작동시켜야만 체인휘일(13)이 역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운전석의 벽면에 돌출설치되므로 운전석의 공간확보와 제동이 힘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그외에도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화 52-93111호 및 일본국 특허 공보공고 소화 44-29769호에서도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제동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제동장치는 하나같이 핸들을 작동시키면 이의 운동이 기어에 전달되고 이러한 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동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기어 물림식은 기어가 서로 맞물려진 것에 의한 회전운동에 따라 체인이 감겨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감겨진 체인이 풀리려는 복원력으로 제동을 하기 위한 작동힘이 여전히 많이드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단점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동장치는 객차를 이루는 벽면상에 매립시켜 객차의 공간확보 및 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크게 대별하여 제동연걸장치부(20)와 핸들장치부(3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한 제동연결장치부(20)는 첨부한 도면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언더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는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크류바아(21)에 치합된 트러넌(Trunnion)(22)에 브레이크링크(23)가 고정되어지고, 상기 브레이크링크(23)에는 브레이크로드(24)가 장착되어지되 상기 스크류바아(21)에는 체인휘일(25)이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핸들장치부(30)는 객실 또는 운전실 벽면(31)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지는바, 상기 객실 또는 벽면(31)에 내장설치된 체인휘일(32)에 체인(34)이 감겨지고 상기 체인휘일(32)의 체인휘일축(33)에는 핸들(35)이 고정되어지되 상기 체인(34)에는 텐숀풀리(3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연결장치부(20)의 체인휘일(2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제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핸들(35)을 조작하여 돌려주게 되면 체인휘일(32)이 돌게된다. 이때의 체인휘일(32)의 회전력은 이에 감겨진 체인(34)를 통하여 제동연결장치부(20)를 구성하는 체인휘일(25)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는 첨부한 도면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체인휘일(25)의 회전력이 다시 스크류바아(21)에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스크류바아(21)의 회전에 의해서 트러넌(22)이 상기 스크류바아(21)상에서 회전하면서 일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연결된 브레이크링크(23) 역시 이와함께 이동하여 브레이크로드(24)를 당겨주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로드(24)의 당김력에 의해 결국 브레이크로드(24)의 작동에 의해서 제동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제동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를 해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일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핸들(35)을 돌려주게 되면 결국 이의 회전력이 스크류바아(21)에 미치게 되므로 트러넌(22)이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되게 하므로써 제동이 해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부호 텐숀풀리(36)는 체인(34)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이를 지지하여 주게 되므로 체인(34)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비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객실 또는 운전실 벽면에 매립시키되 단지 핸들만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므로서 객실 및 운전석의 공간 확보를 유지하여 객실 또는 운전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트러넌에 의한 나사식 이동방식에 의하게 함으로서 제동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정정) 철도차량의 핸들조작에 의한 제동장치에 있어서,
    체인휘일(32)과 이에 감겨진 체인(34)이 텐숀풀리(36)에 지지되어서 객실 또는 운전실 벽면(31)내에 매립되어지되 상기 체인휘일(32)의 체인휘일축(33)에는 핸들(35)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핸들장치부(30)와,
    상기 핸들장치부(30)를 구성하는 체인(34)이 체인휘일(25)에 감겨지고, 이 체인휘일(25)에는 트러넌(22)에 치합된 스크류바아(21)가 고정되어지되 상기트러넌(22)에는 브레이크로드(24)가 고정된 브레이크링크(23)가 고정되는 제동연결장치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KR2019900021328U 1990-12-28 1990-12-28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KR960001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328U KR960001185Y1 (ko) 1990-12-28 1990-12-28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328U KR960001185Y1 (ko) 1990-12-28 1990-12-28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92U KR920011892U (ko) 1992-07-24
KR960001185Y1 true KR960001185Y1 (ko) 1996-02-08

Family

ID=1930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328U KR960001185Y1 (ko) 1990-12-28 1990-12-28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92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17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pplying and releasing automotive type parking brakes
ES2173671T3 (es) Instalacion de freno de estacionamiento para vehiculos.
CA2100004A1 (en) User friendly wheel chock
US4310064A (en) Multi-purpose automobile brake anti-creep device
US3353634A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automobiles
KR960001185Y1 (ko) 철도차량용 수용 제동장치
CN101143585A (zh) 一种智能手刹车的方法及装置
US3299999A (en) Single lever service and emergency brake system
CN201086706Y (zh) 智能手刹车装置
JPH0246420B2 (ko)
JPS6324855B2 (ko)
KR0153301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200229911Y1 (ko) 화차용 수용제동기의 조작장치
KR100193761B1 (ko)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0214967B1 (ko) 후드 개방시의 주차 브레이크 유지장치
JPS63254237A (ja) 逆転防止装置
KR200167968Y1 (ko) 파킹 브레이크 장치
JPH10250577A (ja) モノレール車の安全装置
KR900008482Y1 (ko) 전동주차 브레이크 장치
JPS59109446A (ja) 自動車の急停止装置
KR0154044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0391542B1 (ko) 족동식 주차 페달을 이용한 회전 시트 차량의 안전 장치
KR19980054498U (ko) 주차브레이크 자동해지장치
JPH0211469A (ja) 無動力車
KR200147864Y1 (ko) 전.후륜 잠금 자동차 파킹 브레이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