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74B1 - 로드레스 실린더 - Google Patents

로드레스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74B1
KR960000574B1 KR1019920020422A KR920020422A KR960000574B1 KR 960000574 B1 KR960000574 B1 KR 960000574B1 KR 1019920020422 A KR1019920020422 A KR 1019920020422A KR 920020422 A KR920020422 A KR 920020422A KR 960000574 B1 KR960000574 B1 KR 96000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table
guide member
cylinder
cylinder body
rodles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415A (ko
Inventor
요시유끼 다까다
미찌까즈 미야모도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끼가이샤
요시유끼 다까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끼가이샤, 요시유끼 다까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082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the motor being of the slotted 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드레스 실린더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레스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드레스 실린더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드레스 실린더 및 그 미끄럼이동테이블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드레스 실린더의 미끄점이동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드레스 실린더에 사용되는 피스톤을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선 Ⅵ-Ⅵ의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드레스 실린더에 사용되는 제1밀봉부재를 슬릿에 끼워 맞춤한 방식을 도시한 부분절취 종단면도, 및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로드레스 실린더와 다르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드레스 실린더의 본체와 미끄럼이동테이블을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로드레스 실린더 12 : 실린더 본체
14 : 미끄럼이동테이블 16 : 보어
18 : 슬릿 20 : 제1지지부재
23a,23b : 경사표면 24 : 레일형상의 부재
26 : 보올베어링 30 : 연장부
62 : 피스톤 84 : 제1밀봉부재
94 : 제2밀봉부재
본 발명은 로드레스 실린더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외측에 배치되고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변위되는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작용되는 부하가 분산되고 실린더측에 지지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미끄럼이동테이블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로드레스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로드레스 실린더는 공장등에 가공물 이송장치로서 다양한 빙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로드레스 실린더는 로드가 연결된 실린더에 비하여 행정이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레스 실린더에 의해서 점령되는 면적은 작으며 로드레스 실린더는 쉽게 조정된다. 로드레스 실린더는 상기 설명된 로드연결식 실린더에 비하여 먼지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높은 위치결정작업이 달성될 수 있다.
로드레스 실린더는 길이방향으로 뻗기 위하여 슬릿이 형성된 실린더 본체 및 미끄럼이동테이블을 통상 가지고 있다. 실린더 본체에 장전된 피스톤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로드레스 실린더는 예컨대 U.S.P No. 4,373,427 또는 DE-PS 3,124.915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DE-ES 3,124,915에 개시된 로드레스 실린더는 안내홈이 실린더 튜브 외측에 위치된 소정의 부분에 형성되고 미끄럼이동테이블의 끝으로부터 소정의 부분을 향해 뻗어 있는 레그에 장착된 안내수단이 안내홈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PS 3,124,915에 따라, 가로방향 힘이 작용하면 안내수단은 안내홈에 대하여 유지되어 슬릿폭의 증가를 회피하게 된다.
하지만, DE-PS 3,124,915에 따라 레그는 미끄럼이동테이블에서 보았을 때 실린더 튜브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향해 뻗어서 안내수단을 유지하기 위하여 배치된어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가로방향 힘이 작용함에 따라 안내수단이 안내홈에 끼워지면, 슬릿을 형성하고 있는 실린더 튜브의 한쪽 끝면은 반대측상에서 슬릿을 형성하는 실린더 튜브의 다른쪽 끝면에 강제적으로 접근한다. 따라서, 실린더 튜브에 형성된 보어의 내경은 전체적으로 축소되어서 피스톤은 강제적으로 비작동된다.
즉, 피스톤은 가로방향 힘이 작용될 때에 이동이 정지된다.
한편, 가공물 이송작동이 예기치 않게 정지되어 미끄럼이동테이블과 맞물림상태로 유지된 가공물이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기치 않은 힘이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작용되더라도 실린더내에 형성된 실린더 튜브가 축소되지 않고 이때 피스톤도 정지되지 않고 미끄럼이동테이블을 원활하게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 본체내에 형성되어 있고 끝이 폐쇄된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실린더 본체내에 형성된 보어가 외부와 연통가능하도록 하는 슬릿을 가진 실린더 본체, 실린더 본체의 보어내에꺼 왕복운동가능하게 이동되는 피스톤, 슬릿을 통하여 뻗어 있는 연결부분에 의해서 피스톤에 연결되고,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이동되는 미끄럼이동테이블, 및 슬릿을 폐쇄하기 위하여 피스톤 및,또는 미끄럼이동테이블과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제1 및 제2밀봉부재로 구성된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미끄럼이동테이블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각각 부하를 받는 제1 및 제2표면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실린더 본체는 미끄럼이동테이블의 제1표면에 대향되는 제1표면상에 장착된 제1안내부재. 및 미끄럼이동테이블의 제2표면에 대향되는 실린더 본체의 제2표면상에 장착된 제2안내부재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미끄럼이동테이블은 실린더 본체의 제1안내부재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기 위하며 제1표면상에 제공된 제1지지부재, 및 제2안내부와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기 위하여 제2표면상에 제공된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지지부재는 부하가 동일방향으로부터 작용될 때에 부하를 분산시키고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안내부재가 레일형상의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지지부재가 리니어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제2지지부재가 안내로울러를 포함하고 있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안내부재가 제1지지부재로서 사용되는 리니어 안내부재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제1레일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제2안내부재가 제2지지부재로서 사용되는 안내로울러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제2레일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리니어 부재가 대체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올베어링을 가지고 있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2안내부재로 사용된 레일형상의 부재가 제1안내부재로서 사용되는 레일형상의 부재에 평행한 제3표면상에 장착되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3표면이 실린더 본체로부터 돌출한 연장부상에 형성되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미끄럼이동테이블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부하를 각각 수용하도록된 제1 및 제2표면을 가지고 있고 제1부재 및 이 제1부재와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는 제1지지부재가 실린더 본체의 제1표면과 미끄럼이동테이블의 제1표면에 각각 장착되고 부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작용될 때에 모든 방향으로부터 작용되는 어떤 부하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지지부재가 사용되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안내부재가 서로 뻗어 있고 모든 방향으로부터 작용된 어떤 부하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경사표면을 가지고 있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체예의 방식으로 도시된 첨부도면을 수반하여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도에는 참조번호(10)가 본 발명에 따른 로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로드레스 실린더(10)는 실린더 본체(12)와 L자형상의 미끄럼이동테이블(14)을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 본체(12)에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어(16)가 형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 보어(16)는 실린더 본체(12)의 한쪽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릿(18)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리니어 안내부재 (22)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제1지지부재(20)는 미끄럼이동테이블(14)에 대하여 유지되는 실린더 본체(12)의 상부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부재(10)는 실린더 본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도브테일단면 즉 확대된 경사표면(23a,23b)을 포함하고 있다.
레일형상의 부재(24)는 복수의 보올베어링(26)을 수용하도록된 대향홈을 가지고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선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제2도 참조).
한편, 실린더 본체(12)는 실린더 본체(12)의 상부표면에 평행한 표면을 가지고 있고 또한 슬릿(18)측으로 부터 돌출한 연장부(30)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표면상에 형성된 레일을 가지고 있으며 제2지지부재(34)를 형성하기 위하여 미끄럼이동테이블(14)의 끝에 장착된 한쌍의 구름베어링(32, 32)과 맞물림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각각의 구름베어링(32)은 캠종동자로 대체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12)의 길이방향에 따라 뻗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끼우는데 사용되는 연장흠(38a,38b)은 연장부(30)에 대향된 실린더 본체 (12)의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다.
중심에 위치된 배관으로 사용되는 유체통로(40a,40b)는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실린더 본체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슬릿(18)은 보어(16)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게 한다. 하지만, 단부(42a,42b)는 슬릿(18)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응 평행벽 표면(92a,92b)과 연속적으로 제공되며 보어(16)를 향해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보어(16)에 대향한 측에서 슬릿(18)의 벽표면(92a,92b)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 있는 표면은 순차적으로 수직면과 미끄럼이동테이블(14) 사이의 간격 또는 갭(44)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직표면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실린더 본체(12)의 양끝은 포오트(48a,48b)가 각각 형성된 끝캡 (50a,50b)에 의해서 기밀하게 폐쇄되어 있다(제1도 참조). 이 경우 피스톤은 유체통로(40a,40b)중의 하나 예컨대 끝캡(50b)에 포오트(48b)를 형성하지 않고 유체통로(40a)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막힘 캡으로 포오트(48b)를 폐쇄시킴으로써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포오트(48a)와 상이한 포오트는 유체통로(40a)와 연통하기 위하여 끝캡(50a)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통로(40a)의 다른 끝이 끝캡(50b) 측상의 보어 (16)내에서 개방되면 피스톤은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53)은 피스톤 또는 미끄럼이동테이블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미끄럼이동테이블(14)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이동테이블(14)은 비교적 두꺼운 L자형상의 블록(54)을 포함하고 있다. 레일형상의 부재(24)에 대해 유지되는 리니어 안내부재(22)는 미끄럼이동테이블(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기 위하여 실린더 본체 (12)의 상부표면에 대향된 블록(54)의 한면(14b)을 가진 판상에 장착된다.
복수의 보올베어링 (26)은 등간격으로 리니어 안내부재(22) 내측에 선형적으로 배치된다. 도면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안내부재(22)에는 레일형상의 부재(24)의 경사면(23a,23b)에 대면관계로 뻗어있는 확대된 경사표면(27a,27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홈(56)은 미끄럼이동테이블(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도록 미끄럼이동테이블(14)의 다른면(14a)을 가진 판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타원형으로 확대된 공간(58)은 홈(56)의 중심에 대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고 실린더 본체(12)에 대향된 블록(54)의 표면을 향해 만곡된 오목부(60)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재(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린더 본체(12)의 연장부(30)상에 장착된 레일(36)과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한쌍의 구름베어링( 32,32)은 블록(54)판의 면(14a)의 끝에 장착된다.
제5도에는 피스톤(62)이 도시되어 있다. 피스톤(62)은 제1압력수용표면(64)과 제1압력수용표면(64)에 대향한 표면상에 형성된 제2압력수용표면(66)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피스톤(62)에는 완충시일(68a,68b)이 제공되어 있다(제5도 참조).
벨트 분리기 (70a,70b)는 원통형 실린더위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 요크(72)상에 확실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형공간(73)이 중심적으로 형성되는 커플러(74)는 피스톤 요크(72)위에 위치되도록 팽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로울러 (76)는 커플러(7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홈(75)은 커플러 (74)의 주축선을 따라 타원형 커플러 (74)에 형성되어 있으며 로울러 (76)의 축은 홈(75)에 끼워진다. 따라서 로울러 (76)는 공간(73)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78a,78b)는 미끄럼이동테이블(14) 내측에 제공된다. 이 경우 커플러(74)는 공간(58)에 끼워진다.
제6도에 도시된 참조번호(80)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1밀봉부재를 피스톤내에 삽입시키기 위한 통로를 나타내고 있고, 참조번호(84)는 완충링을 나타내고 있다.
단부(42a,42b)에 끼워지는 제1밀봉부재(84)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밀봉부재(84)는 혀형상부 (86a,86b)와 이 혀형상부(86a,86b)상에 각각 배치되는 연장부(88a,88b)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제1밀봉부재(84)는 연장부(88a,88b)로부터 상향으로 향하도록 뻗어 있고 상향방향으로 약간 확대되는 맞물림부분(90a,90b)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88a ,88b)는 내압이 피스톤에 작용하면 단부(42a,42b)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도록 사용된다. 더욱이 맞물림부분(90a,90b)은 슬릿(18)을 형성하는 벽표면(92a,92b)에 대해 유지되어 있다. 제1밀봉부재(84)는 전체가 가요성 합성수지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밀봉부재(94)는 슬릿(18)을 폐쇄하는데 사용된다.
제2밀봉부재(94)는 실린더 본체(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린더 본체(12)의 상부끝에 형성된 슬릿(18)위의 위치로부터 뻗어 있는 대향홈(96)에 끼워져 있다. 또한, 제1밀봉부재(84)는 피스톤(62)의 통로(80)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1밀봉부재(84)는 제2밀봉부재(94)와 함께 끝캡(50a,50b)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레스 실린더(10)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레스 실린더 (10)의 작동과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압축공기가 포오트(48a)로부터 도입되면, 이 압축공기는 완충링 (82)내에 형성된 유로 또는 통로를 통과하고 제2압력수용표면(66)에 대하여 가압한다. 따라서 피스톤(62)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변위된다. 이때 커플러(74)가 미끄럼이동테이블(14)의 공간(58)에 끼워지므로, 피스톤(62)은 미끄럼이동테이블(14)을 일체적으로 변위시켜서 우측으로의 피스톤(62)의 변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미끄럼이동테이블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벨트 분리기 (70a,70b)는 제1밀봉부재(84)와 제2밀봉부재(94)가 미끄럼이동테이블(14)과 피스톤 (62)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가공물은 미끄럼이동테이블(14)상에 놓여질 때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압축공기가 포오트(48b)에 도입되면 상기 작동에 정반대인 작동이 수행된다.
또한, 로울러(76)는 제2밀봉부재(94)의 운동을 도모하기 위하여 로울러(76)의 회전 운동중에 제2밀봉부재(94)와 접촉상태로 미끄럼이동된다.
가공물이 피스톤(62)의 변위작용하에서 이송될 때 예기치 않은 부하, 예컨대 제3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작용되는 예기치 않은 부하(F1)가 미끄럼이동테이블(14)에 가해질 경우에, 부하(F1)는 미끄럼이동테이블(14)의 면으로부터 제1지지부재(20)의 리니어 안내부재(22)의 한쪽에 전달 또는 작용되어 보올베어링 (26)을 통하여 레일형상의 부재 (24)에 전달된다.
부하(F2)가 제3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미끄럼이동테이블 (14)의 면(14a)에 작용하면, 부하(F2)는 제2지지부재(34)의 구름베어링 (32)으로부터 레일(36)을 통하여 실린더 본체(12)의 연장부(32)에 직접 전달된다.
수평 및 수직력이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작용될 때, 보어 (16)의 내경이 축소되어서 마찰력이 보어(16)와 피스톤(62) 사이에서 증가되며 이에따라 소망위치로 가공물을 이송하는 동안에 피스톤을 비작동시키는 상황을 피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센서 (53)은 피스톤(62)과 미끄럼이동테이블(14)의 위치를 검출한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레스 실린더(100)는 로드레스 실린더(10)에 채용되는 지지부재(34), 레일(36) 및 구름베어링(32)을 제외하고는 보드레스 실린더(10)와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로드레스 실린더에서 사용되는 요소와 동일한 요소의 구조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었으며 이 요소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부하(F1)가 상기 구성하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작용되면, 레일형상의 부재(24)의 경사표면(23a)은 부하(F1)를 수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형태의 구조는 미끄럼이동테이블 (14)에 작용된 부하가 비교적 낮을때 사용된다. 부품갯수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로드레스 실린더(100)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에 따라, 어떤 부하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부터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작용되더라도, 미끄럼이동테이블과 일체로 이동되는 피스톤 또는 미끄럼이동테이블은 작동정지없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분하게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 및 변경은 이룰 수가 있다.

Claims (9)

  1.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본체, 끝이 폐쇄된 실린더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실린더 본체내에 형성되어 있는 보어가 외부와 연통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슬릿, 상기 실린더 본체의 보어내에서 왕복적으로 이동되는 피스톤, 상기 슬릿을 통하여 뻗어 있는 연결부분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이동되는 미끄럼이동테이블, 상기 슬릿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 및/또는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과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제1 및 제2밀봉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부하를 각각 받는 제1 및 제2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실린더 본체는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의 상기 제1표면에 대향되는 제1표면상에 장착된 제1안내부재, 및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의 제2표면에 대향되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제2표면상에 장착되는 제2안내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기 제1안내부재와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표면상에 제공된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안내부재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표면상에 제공된 제2지지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밀봉부재는 상기 부하가 동일방향으로부터 작용될 때 상기 부하를 분산시키고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안내부재는 레일형상의 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리니어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안내 로울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로 사용되는 상기 리니어 안내부재와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는 제1레일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로 사용되는 상기 안내로울러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제2레일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안내부재는 대체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보올베어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재로 사용되는 상기 레일형상의 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재로 사용되는 상기 레일형상의 부재와 평행한 제3표면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표면은 상기 실린더 본체로부터 돌출한 연장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부하를 각각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제1및 제2표면을 가지고 있고, 제1안내부재 및 상기 제1안내부재와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제1지지부재는 실린더 본체의 제1표면과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의 상기 제1표면상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부재는 부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작용될 때에 모든 방향으로부터 작용되는 어떤 부하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는 서로 뻗어 있도록 또한 모든 방향으로부터 상기 미끄럼이동테이블에 작용하는 어떤 부하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경사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레스 실린더.
KR1019920020422A 1991-11-01 1992-11-02 로드레스 실린더 KR960000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88121A JP2575245B2 (ja) 1991-11-01 1991-11-01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91-288121 1991-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15A KR930010415A (ko) 1993-06-22
KR960000574B1 true KR960000574B1 (ko) 1996-01-09

Family

ID=1772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422A KR960000574B1 (ko) 1991-11-01 1992-11-02 로드레스 실린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11810A (ko)
EP (1) EP0540015B1 (ko)
JP (1) JP2575245B2 (ko)
KR (1) KR960000574B1 (ko)
DE (1) DE6920771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74Y1 (ko) * 2011-07-05 2013-09-10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로드레스 실린더의 엔드 커버 조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1358B1 (fr) * 1994-06-21 1996-09-06 Parker Hannifin Rak Sa Vérin pour module de manipulation à piston fixe.
JP3434369B2 (ja) * 1994-11-14 2003-08-04 Smc株式会社 ロッドレスシリンダ
GB2300228A (en) * 1995-04-26 1996-10-30 Martin Geoffrey Cole Lifting apparatus using fluid pressure operated cylinders
JP3011084B2 (ja) * 1995-12-27 2000-02-21 豊和工業株式会社 直線作動機
WO1997040279A1 (en) * 1996-04-22 1997-10-30 Tol-O-Matic, Inc. Slot bearing
US5868499A (en) * 1996-09-06 1999-02-09 Deutsche Star Gmbh Linear guiding unit
DE29706493U1 (de) 1997-04-11 1997-07-03 Festo Kg Kolbenstangenloser Linearantrieb
TW494187B (en) * 1997-06-11 2002-07-11 Howa Machinery Ltd A rodless power cylinder
US6257123B1 (en) 1997-10-24 2001-07-10 Phd, Inc. Rodless slides
US5988042A (en) * 1997-10-24 1999-11-23 Phd, Inc. Rodless cylinder with internal bearings
US6336393B1 (en) 1998-07-01 2002-01-08 Parker-Hannifin Corporation Rodless pneumatic cylinder
EP1182359B1 (de) * 2000-08-23 2003-01-15 FESTO AG & Co Kolbenstangenloser Linearantrieb sowie zugehöriges Gehäuse
US6857780B2 (en) * 2002-11-15 2005-02-22 Phd, Inc. Rodless slide assembly
JP4538803B2 (ja) * 2005-04-19 2010-09-08 Smc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の変位差吸収機構
JP4587103B2 (ja) * 2005-04-19 2010-11-24 Smc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のガイド機構
JP4702663B2 (ja) * 2005-04-19 2011-06-15 Sm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軸受支持構造
MX2009010168A (es) * 2007-03-28 2009-10-13 Norgren Gmbh Porcion de soporte de piston para conjunto de piston de cilindro sin vastago.
CN102678658A (zh) * 2012-03-22 2012-09-19 宁波亚德客自动化工业有限公司 线性执行器
CN109099025A (zh) * 2018-11-08 2018-12-28 无锡能手工控科技有限公司 一种无杆气缸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0427A (en) * 1937-04-22 1940-05-14 Merz Francesco Propeller device
GB859821A (en) * 1958-04-28 1961-01-25 Johanssons Press & Hejarverkty Rectilinear-motion bearing
US3820446A (en) * 1971-12-20 1974-06-28 Origa Cylindrar Ab Means at pressure fluid cylinders
US4373427A (en) * 1980-01-31 1983-02-15 Tol-O-Matic, Inc. Fluid pressure cylinder
DE3124915C2 (de) * 1981-06-25 1984-10-31 Kaiser, Siegmund H., Ing.(grad.), 7440 Nürtingen Druckmittelzylinder mit einem längsgeschlitzten endseitig verschlossenen Zylinderrohr
SE8107724L (sv) * 1981-12-22 1983-06-23 Mecman Ab Anordning vid en kolvstangslos tryckmediecylinder
EP0104364B1 (de) * 1982-08-05 1986-05-28 Knorr-Bremse Ag Kolbenstangenloser Arbeitszylinder mit Bremsvorrichtung
DE3328786A1 (de) * 1983-08-10 1985-02-2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olbenstangenloser arbeitszylinder
DE3436977A1 (de) * 1984-10-09 1986-04-10 Antriebs Steuerungstech Ges Linearantrieb
US4724744A (en) * 1985-12-18 1988-02-16 Tol-O-Matic, Inc. Carrier bracket for power cylinder
JPS63106408A (ja) * 1986-10-21 1988-05-11 Ckd Corp ブレ−キ機構付きロツドレスシリンダ
JPH0765602B2 (ja) * 1987-01-30 1995-07-19 豊和工業株式会社 ロツドレスシリンダ
JPH0426482Y2 (ko) * 1987-04-21 1992-06-25
SE461746B (sv) * 1987-06-03 1990-03-19 Linjaer Transportteknik I Stoc Styrning vid linjaert kraftaggregat
EP0447379B1 (en) * 1990-02-09 1993-11-18 Bo Granbom A braking arrangement in operating devices for linear motion
DE4024716A1 (de) * 1990-08-03 1992-02-06 Knorr Bremse Ag Druckmittelzylinder mit laengsgeschlitztem zylinderrohr
JPH0743453Y2 (ja) * 1990-11-01 1995-10-0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シリンダにおけるレールの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74Y1 (ko) * 2011-07-05 2013-09-10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로드레스 실린더의 엔드 커버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15A (ko) 1993-06-22
US5311810A (en) 1994-05-17
DE69207715T2 (de) 1996-09-12
EP0540015A3 (en) 1993-12-22
EP0540015B1 (en) 1996-01-17
JPH05126112A (ja) 1993-05-21
DE69207715D1 (de) 1996-02-29
JP2575245B2 (ja) 1997-01-22
EP0540015A2 (en) 1993-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574B1 (ko) 로드레스 실린더
KR100307830B1 (ko) 스토퍼 실린더
EP0704275B1 (en) Linear actuator
US5363741A (en) Slide actuator
US4744287A (en) Rodless cylinder
KR950009978B1 (ko) 로드리스 실린더
KR0147727B1 (ko) 슬라이드 테이블을 갖춘 액츄에이터
JP4273476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EP0713748B1 (en) Linear Actuator
KR970001665B1 (ko) 로드레스 실린더
WO1996029528A1 (en) Linear motion device
JP3795968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EP0263215B1 (en) Rodless cylinder
KR100227966B1 (ko) 실린더장치
US6007247A (en) Slot bearing
EP0711928B1 (en) Rodless cylinder
JPH0781563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613337B2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H05126111A (ja) ロツドレスシリンダ
US6584887B1 (en) Linear motor device
KR100340342B1 (ko) 슬라이드 실린더
JP3767647B2 (ja) スライドシリンダ
JP2512354B2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H0666304A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JP3909462B2 (ja) シリンダ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