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027Y1 - 셔터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셔터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027Y1
KR960000027Y1 KR92006451U KR920006451U KR960000027Y1 KR 960000027 Y1 KR960000027 Y1 KR 960000027Y1 KR 92006451 U KR92006451 U KR 92006451U KR 920006451 U KR920006451 U KR 920006451U KR 960000027 Y1 KR960000027 Y1 KR 960000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shutter curtain
shutter
control
predetermin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577U (ko
Inventor
데쓰이찌 · 오또 히로유끼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이와베 깅고
분까셔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베 깅고, 분까셔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베 깅고
Publication of KR930014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46Bottom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36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obstac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85Braking mechanism activated by the bottom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셔터용 안전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가 적응된 전동셔터를 나타낸 개략도
제 2 도는 본 실시예의 안전장치의 제어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
제 3 도는 제 2 도의 스텝(118)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
제 4 도는 제 2도의 스텝(120)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정기 12 : 셔터커튼
14 : 문미부(문위에 가로댄 부재) 16 : 바닥면
18 : ㄷ자형의가이드레일 20 : 권취샤프트
22 : 모터(개폐기) 24 : 체인
26 : 좌판스위치 28 : 발광부
30 : 송신기 32 : 위치 검출 유니트
33 : 기어 34 : 제어장치
36 : 신호선 38 : 조작기
46,48 : 리미트 스위치 50 : 수광부
본 고안은 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셔터의 무인 자동 폐쇄시 및 원격 조작시 등에 있어서의 셔터 커튼의 폐쇄동작을 안전하게 행하기 위한 셔터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셔터의 무인 제어나 원격조작을 보다 안전하게 하고, 전동셔터의 집중제어를 가능케하는 안전제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 51-46737호 공보), 이 안전 제어장치에서는 셔터 커튼이 장해물(유체물)에 맞닿았을때에 셔터 커튼을 일단 정지시킨후,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시켜서 재정지시키고, 계속하여 셔터 커튼을 재차 하강시켜서 장해물이 제거될때까지 상기의 상승,하강동작을 반복하여 행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안전 제어 장치에서는 장해물이 제거될때까지 상승,하강 동작이 반복되기 때문에 셔터구동모터(개폐기)의 연속동작에 의해 셔터 구동모터의 온도가 상승하여 셔터 구동모터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동셔터의 무인 자동 패쇄시 및 원격 조작시 등에 있어서의 안전을 확실한 것으로 하는 동시에, 셔터 구동용 모터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는 셔터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강중의 셔터 커튼에 대하여 장해로 되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장해물 검지수단과 장해물 검지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 수단과, 장해물 검지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하였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한 위치까지 상승시킨후에 하강시켜, 장해물을 검지한 회수가 소정치로 되었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해물 검지수단은 하강중의 셔터 커튼에 대하여 장해로 되는 장해물을 검지한다. 또한, 계수 수단은 이 장해물 검지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한 회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장해물 검지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하였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한 위치까지 상승시킨후에 하강시킨다 또한. 이 제어수단은 계수 수단에 의해서계수된 장해물의 검지회수가 소정치로 되었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한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장해물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셔터 커튼의 하강,상승동작이 반복되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이 반복 회수가 소정치로 되면 셔터커튼이 상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장해물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 셔터 커튼의 하강상승 동작의 반복회수를 소정치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셔터용 구동 모터의 면속동작에 의해 셔터용 구동 모터의 온도가 상승하는 일이 없고, 이에 의해서 셔터 구동 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장해물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셔터 커튼을 상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때문에, 긴급시 등에 사람의 출입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장해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동셔터의 무인 자동 패쇄시 및 원격 조작시 등에 있어서의 안전을 확실한 것으로 하는 동시에, 셔터 구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 실시예의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동셔터가 도시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은 문미부(楣部; 문위에 가로 댄 부재)(14)로부터 바닥면(16)까지 가로 지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의 가이드 레일(18)에 양단부가 안내되어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셔터 커튼(12)의 상단부는 권취 샤프트(20)에 부착되어 있다. 이 권취 샤프트(20)가 체인(24)을 통하여 모터(개폐기)(20)에 의해서 회전됨으로써, 셔터 커튼(12)이 감겨지고 또는 인출되어 셔터 커튼(12)이 상하로 동작된다.
문미부(14)의 상부에는 제어장치(34)가 배설되어 있다. 제어장치(34)는 ROM, RAM, CPU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34)에는 상기한 모터(22)가 접속되는 동시에 신호선(36)을 통하여 조작기(38)가 접속되어 있다 이 조작기(38)에는 수동으로 셔터 커튼(12)을 상승(개방), 하강(폐지) 및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40,42,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22)의 근방에는 셔터 커튼(12)의 상한위치(전부 열린위치)를 검출하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LS)(46) 및 하한 위치(전부가 닫힌 위치)를 검출하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48)를 구비한 위치 검출 유니트(3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위치 검출 유니트(32)는 모터(22)의 회전력이 기어(33)를 통하여 전달되어서 회전하는 동시에 숫나사가 형성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숫나사에 나사 맞추어져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블록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 블록의 이동범위의 양단위치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46 48)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블록의 이동범위와 셔터 커튼(12)의 이동범위를 대응시켜 두면 셔터 커튼(12)의 전부 열림 및 전부 닫힘 위치, 즉 상,하한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한 및 하한 리미트 스위치(46,48)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셔터 커튼(12)의 하단부에는 장해물 등이 맞닿았을때에 온(ON) 하는 좌판 스위치(26)와, 좌판 스위치(26)가 온 하였을때에 적외선을 사출하는 발광부(28)를 구비한 송신기(3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문미부에는 발광부(28)로부터 발광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5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수광부(50)는 제어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적외선에 대신하여 전파나 초음파 등의 음파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제어장치(34)에는 안전제어 모드의 종류. 상한위치에서의 셔터 커튼의 정지시간, 장해물 검지시의 셔터 커튼의 하강,상승회수, 또한 이 하강,상승의 반복시간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10)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장치(34)는 원격지에 존재하는 중앙관리실의 집중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이집중제어 장치에 이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중앙 관리실의 집중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 2 도-제 4 도를 참조하여 제어장치(34)에 의한 본 실시예의 제어루틴을 설명한다. 스텝(100)에서는 집중관리 장치로부터 셔터 커튼 하강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하강신호가 아닌 경우, 즉 상승신호, 또는 정지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102)에서 이들 신호에 따라 셔터 커튼을 제어한다. 즉, 상승 신호의 경우에는 셔터 커튼이 상승되고, 상한 리미트 스위치(46)가 온 하였을때에 셔터 커튼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셔터 커튼이 상승 또는 하강중에 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바로 셔터 커튼이 정지된다.
스텝(100)에서 하강신호가 입력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때에는 스텝(104)에서 셔터 커튼을 하강시키고, 스텝(106)에서 좌판스위치(26)에 의해서 장해물이 검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104)을 최초로 통과한 때에는 타이머가 개시된다. 장해물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108)에서 하한 리미트 스위치(48)가 온 하였는지 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동시에 스텝(110)에서 좌판 스위치(26)가 온 하였는지 안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하한 리미트 스위치(48)가 온 한후에 좌판 스위치(26)가 온 하였을때에는 셔터 커튼(12)의 하단이 바닥면(16)에 도달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112)에서 셔터 커튼의 동작을 정지하고, 스텝(114)에서 장해물 검지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치(C)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반복 동작시간을 정하는 타이머를 리세트 한다. 스텝(110)에서 좌판스위치(26)가 온 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때는, 송신기(30)의 전지가 소모된 이상상태라고 판단하여, 스텝(144)에서 전동 셔터를 전체 정지시키는 동시에 스텝(146)에서 집중 제어장치에 이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서, 집중 제어장치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셔터 커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동시에 접중제어장치에 이상이 보고 통지된다.
다음의 스텝(148)에서는 복구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복구 신호가 입력되었을때에는 스텝(150)에서 전동 셔터를 복구시킨다.
스텝(106)에서 좌판 스위치(26)에 의해서 장해물이 검지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116)에서 설정기(10)로 설정된 안전 제어 모드가 회수제어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회수 제어 모드일때에는 스텝(118)에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회수제어를 실행하고, 회수제어 모드가 아닌때에는 스텝(120)에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시간제어를 실행한다.
제 3 도는 스텝(118)의 회수제어의 상세한 것을 나다낸 것이다.
스텝(122)에서는 스텝(114)에서 리세트되는 계수치(C)를 인크리멘트하고 스텝(124)에서 셔터 커튼을 일정시간(예를 들면 1초 정도)정지시킨다. 이에 의해서 장해물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셔터 커튼이 이 이상 하강하지않도록 제어된다. 스텝(126)에서는 셔터 커튼을 상승시키고, 스텝(128)에서는 조작기(38)의 정지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정지 스위치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130)에서 정지 스위치에 따른 제어를 실행한후 스텝(100)으로 나아간다.
정지스위치가 조작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132)에서 상한 리미트 스위치(46)가 온 하였는지 안하였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셔터 커튼이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셔터 커튼이 상한 위치에 도달되어지 않을 때에는 스텝(126)으로 되돌아가서 셔터 커튼의 상승을 계속하고, 셔터 커튼이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134)에서 계수치(C)가 소정치(C0)(예컨대 2)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계수치(C)가 소정치(C0)로 되어 있지 않을때에는 스텝(136)에서 셔터 커튼을 일정시간 정지시키고, 스텝(138)에서 셔터 커튼을 재차 하강시킨다. 스텝(140)에서는 정지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조작 되었을때에는 스텝(142)에서 정지스위치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고, 정지스위치가 조작되어 있지 않을때에는 스텝(100)으로 나아간다.
이에 의해서, 장해물 검지후의 상승,제어에서 정지 스위치가 조작 되었을때에는 정지스위치로부터의 신호가 우선되어, 이동중의 셔터 커튼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스텝(134)에서 계수치(C)가 소정치(C0)로 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장해물의 검지 회수가 소정치로 되었기 때문에, 즉, 셔터 커튼의 하강,상승회수가 소정치로 되었기 때문에, 스텝(144)에서 전동셔터를 전체 정지시키는 동시에 스텝(146)에서 집중제어 장치에 이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서 집중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셔터 커튼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동시에 집중제어장치에 이상이 보고 통지된다. 다음의 스텝(148)에서는 복구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복구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스텝(150)에서 전동셔터를 복구시킨다. 이 복구 신호로서는 조작기의 정지 스위치의 조작이나, 조작 스위치를 2개 이상 조합한 조작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회수 제어에서는 셔터 커튼의 안전동작중에 조작 스위치에 의해서 셔터 커튼을 조작하였을 때에는 계수치(C)가 리세트되지 않고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의 반복 동작중에 수동으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반복 동작을 중단하고, 소정 시간후에 집중제어장치로부터의 하강 신호에 의해서 셔터 커튼이 하강되어 좌판 스위치가 작동한 경우에는 나머지의 회수, 반복 동작을 한후에 상한 위치에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을때에 계수치(C)가 소정치(C0)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였으나, 송신기(3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였을때에 계수치가 소정치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를 기억해 두어서 상한 위치에서 정지시켜도 좋다.
다음에, 제 4 도를 참조하여 스텝(120)의 시간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4 도는 제 3 도와 대략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상이점만을 설명한다. 스텝(138)에서는 셔터 커튼을 재차 하강시키는 동시에, 하강 개시와 동시에 제 2 도의 스텝(114)에서 리세트되는 타이머를 개시시킨다. 스텝(154)에서는 타이머에서 계수된 시간(T)과 설정시간(T0)(예를 들면 3분)을 비교하여 시간(T)이 설정시간(T0) 이상으로 되었을때에 스텝(144)에서 상기와 동일한 전체 정지를 행하고. 시간(T)이 설정시간(T0)으로 될때까지는 하강,상승의 반복 동작을 한다. 그리고, 이 타이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로 스텝(104)을 통과할때에 개시되고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었을때에 스텝(130,142)에서 리세트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셔터 커튼이 하강중에 장해물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장해물 검지회수가 소정 회수로 될때까지, 또는 최초의 하강 개시부터 소정시간 경과할때까지 상승,하강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을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장해물이 제거되지 않을 때에는 셔터 커튼을 상한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출입시에 사람이 셔터 커튼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출입이 용이해지고, 또한 장해물을 제거하기 쉽게 된다.
본 실시예의 안전장치는 전국의 은행 그외의 금융기관의 자동 금전출납실의 셔터 커튼이나 백화검 기타 대건축물의 각 출입구의 셔터등을 집중제어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강중의 셔터 커튼에 대하여 장해로 되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장해물 검지 수단과,
    장해물 검지 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장해물 검지 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하였을때에 셔터 커튼을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켜 상기 소정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정지시킨 후에 하강시켜, 장해물을 검지한 회수가 소장치로 되었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기 소정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셔터용 안전장치.
  2. 하강중의 셔터 커튼에 대하여 장해로 되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장해물 검지 수단과,
    장해물 검지 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한 회수를 계수하는 계수 수단과.
    집중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한 셔터 커튼의 하강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장해물 검지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하였을때에 셔터 커튼을 소정 의치까지 상승시킨후에 하강시켜, 장해물을 검지한 회수가 소정치로 되었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기 소정위치에서 정지시키는 회수 제어와. 장해물 검지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하였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기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킨후에 하강시켜, 집중제어장치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한 셔터 커튼의 하강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으로 되었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기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시간제어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셔터용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를 구비한 셔터용 안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회수 제어 및 상기 시간 제어에 있어서, 상기 셔터 커튼을 상기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킨때에, 상기 소정 위치에서 셔터 커튼을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정지시키는 셔터용 안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를 구비한 셔터용 안전장치.
  6. 하강중의 셔터 커튼에 대하여 장해로 되는 장해물을 검지하는 장해물 검지 수단과,
    집중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한 셔터 커튼의 하강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수하는 계수 수단과,
    장해물 검지수단이 장해물을 검지하였을때에 셔터 커튼을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켜 상기 소정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정지시킨 후에 하강시켜, 집중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한 셔터 커튼의 하강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으로 되었을때에 셔터 커튼을 상기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셔터용 안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릍 구비한 셔터용 안전장치.
KR92006451U 1991-12-13 1992-04-18 셔터용 안전장치 KR9600000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15291 1991-12-13
JP91-103152 1991-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577U KR930014577U (ko) 1993-07-27
KR960000027Y1 true KR960000027Y1 (ko) 1996-01-04

Family

ID=1434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451U KR960000027Y1 (ko) 1991-12-13 1992-04-18 셔터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0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577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3087A (en) Automatic door control apparatus
US6082433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oll-up door
EP0054245B1 (en)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KR960000027Y1 (ko) 셔터용 안전장치
JP2588526Y2 (ja) シャッター用駆動装置
JP2000038886A (ja) 電動シャッターの障害物検知装置
JPH0633199Y2 (ja) 建築用電動シヤツターにおける通行規制装置
JPH051703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650704B2 (ja) 上下動開閉体電動開閉装置
JPH0546634Y2 (ko)
JPH0791927B2 (ja) 電動シヤツタ−の制御方法
JPH0616137Y2 (ja) 電動シヤツターの安全装置
JP3020106B2 (ja) 建築用電動開閉体の安全装置
JP2622543B2 (ja) 電動シヤツターの安全制御装置
JP2550038Y2 (ja) 建築用電動開閉体の安全装置
JP6779148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2618628B2 (ja) 安全シヤツター
JPH08232564A (ja) 建物用電動開閉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JPH0320478Y2 (ko)
JP2022113438A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装置の制御方法
JPH0627454B2 (ja) 開閉体の制御装置
JP2007077791A (ja) 電動シャッターの防犯装置
JP2022173939A (ja) 開閉体装置及び開閉体装置の制御方法
JPH0137100Y2 (ko)
KR860001585B1 (ko) 자동 도어 개폐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