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056B1 - 레이져 다이오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져 다이오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056B1
KR950013056B1 KR1019920008305A KR920008305A KR950013056B1 KR 950013056 B1 KR950013056 B1 KR 950013056B1 KR 1019920008305 A KR1019920008305 A KR 1019920008305A KR 920008305 A KR920008305 A KR 920008305A KR 950013056 B1 KR950013056 B1 KR 95001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ower
monitoring
read
las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602A (ko
Inventor
아까라 미나미
시게요시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사와 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사와 요시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
제 1 도는 종래 레이저 다이오드의 장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제 2 도는 양전원의 가정으로 이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장치 구조 예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예시도.
제 5 도는 제 3 도에 도시한 발광전류, 발광전력, 및 감시전류의 특성도.
제 6 도는 제 3 도의 발광 조절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 7 도는 제 6 도의 발광 조절동작의 계속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 9 도는 제 8 도에 연결된 AC 전류 절환의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발광전류, 발광전력 및 감시전류의 특성도.
제 12 도는 제 10 도의 발광 조절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 13 도는 제 12 도의 발광 조절 동작의 계속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이저 다이오드 12-1 : 방출형 제 1전류원수단
12-2 : 흡수형 제 2 전류원수단 12-3 : 흡수형 제 3 전류원수단
12-4 : 방출형 제 4 전류원수단 12-5 : 흡수형 제 5 전류원수단
12-6 : 방출형 제 6 전류원수단 12-7 : 흡수형 제 7 전류원수단
14-1 : 제 1 전류스위치 14-2 : 제 2 전류스위치
14-3 : 제 3 전류스위치 14-4 : 제 4 전류스위치
16 : 감시수단 18 : 자동 발광전력 제어수단
20 : 변조수단 22 : 포토다이오드
24 : 전류미러회로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광디스크, 자기광의 디스크와 같은 광학적으로 교정 가능한 매체 또는 비고정 기록매체에 발산되는 레이저 비임의 발광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발산이 수행되고,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 회로를 경유하여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 자기광디스크, 광카드와 같은 광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광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다이오드는 광원으로 이용되고, 광 발산은 기입 또는 소거모드시에 많은 기입전력으로 제어되고, 독출모드시에는 적은 독출전력으로 제어된다.
적은 전력에 해당하는 독출모드시에 있어서, 전력 레벨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노이즈 영역에 존재하고, 재생신호의 S/N비는 약화된다. 그러므로, 발광출력을 변조하여 기록 주파수보다 1개 이상의 디지트만큼 높은 주파수에서의 노이즈 레벨을 초과하는 피크 레벨을 갖도록 하고, 피크전력이 높을지라도 실행전력이 노이즈 영역내로 억압되도록 한 독출 변조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사용시 발광전력의 변동을 억압하기 위해서는 자동 전력제어(이하 APC라 한다)가 이용되므로써 독출모드시의 발광전력과 기입 모드시의 특정전력(광발산이 없을 경우의 최저전력 레벨)은 기준값으로 설정토록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는 감시를 위한 포토다이오드와 일체로 패키징되는 장치 구조를 갖는다. 음전원은 통상적으로 장치 구조에서 다이오드 연결에 사용된다.
그러나, 소형의 디스크 장치 분야에 있어서, 양전원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소형 디스크 장치는 양전원에 의해 구동되어질 필요가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 자기광디스크등의 기록 및 재생에 사용되는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레이저 다이오드(LD)와 감시를 위한 포토 다이오드(PD)가 집적된 장치로서 패키징된다. 패키지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음극단자(1), 포토다이오드(PD)의 양극단자(2) 및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양극과 포트다이오드(PD)의 음극이 공통으로 연결된 공통단자(3)는 외부핀으로서 추출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회로로서는 하기와 같은 2가지 방법중 한 가지가 이용된다.
(1) 음전원이 제어회로를 위해 이용된다.
(2) 장치구조의 케이스 부위가 절연되고, 구동 회로가 플로팅 프로세스에 의해 양전원에 의해 구성된다. 음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자기광디스크 장치로는 일본 특허출원 제 63-37848호에 설명된 장치가 있다.
그러나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회로로서 음전원을 사용하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연속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된다.
한편,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이용되는 소형 디스크의 분야에 있어서는 밧데리 전원이 사용되기 때문에 +5V 또는 +12V의 양전원만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음전원을 사용하는 종래의 광디스크나 자기광디스크가 시스템에 설치될 경우에는 많은 종류의 전원이 증가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제 1 도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변동되고 양전원으로 이용될 경우, 단위 케이스는 공통베이스 접지에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무선파형 고장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야만 한다는 결점이 있게 된다.
최근들어서 제 1 도의 종래 장치와는 달리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기와 같은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 즉,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양극단자(4), 포토다이오드(PD)의 음극단자(5) 및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음극과 포토다이오드(PD)의 양극이 공통으로 연결된 공통단자(6)가 외부핀으로서 취해진다. 제 2 도의 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양전원만을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일본 특허출원 제 3 -69030, 제 62 -149033호 참조) .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회로로서 양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음전원의 경우 NPN 트랜지스터로서의 전류스위치, 예컨대, 독출전력의 고주파수 변조 또는 기입전력의 데이타 변조를 수행하는 전류스위치는 트랜지스터 접속 구조에 기인하여 양전원의 경우 PNP 트랜지스터 접속 구조에 기인하여 양전원의 경우 PNP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전류스위치로 대치된다.
그러나, PNP 형 장치구조에 있어서는 접속 용량이 크기 때문에 고속 전류스위치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고속 NPN 형 전류스위치는 독출전력을 고주파수 변조 및 기입전력의 데이터 변조를 실행하기 위한 전류스위치로서 이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음전원으로부터 양전원으로의 변화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양전원에 독특한 제어회로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전원만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동작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용 전류스위치에 의해 전류 흡수형 전류원과 전류 방출형 전류원의 조합을 절환함으로써 발광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어회로가 양전원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밧데리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단순한 전원 구성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입전력의 데이터 변조를 실행하는 전류스위치, 독출전력의 고주파수 변조를 실행하는 스위치와 같이 고속 동작 속도를 필요로하는 전류스위치를 전류흡수형으로 구성시켜 고속 동작이 NPN 형 고속 전류스위치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시 다른 목적은 최대 기입 전류 또는 최대 소거전류가 기입 또는 소거모드시에 방출형 정전류원으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로 공급되어 레이저 다이오드가 기입전력 또는 소리전력의 광을 발산토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입전류가 방출형 정전류원으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고, 기입전류와 독출전류간의 차이가 독출모드시 흡수형 정전류원에 의해 기입전류로부터 흡수되어 레이저 다이오드가 독출전력의 광을 발산토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형 정전류원에 연결된 전류스위치가 기입 모드시 기입 데이타에 따라 절환되어 기입전력을 제어토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출원 정전류원과 흡수형 정전류원이 전류스위치를 매개로 레이저 다이오드와 유사한 방법으로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에 연결되고, 자동광량 제어수단이 독출전력에 해당하는 감시광에 의해 동작되어 온도 또는 시간 중속 변화에 기인하여 광량의 변동을 감소시키도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독출모드시 기입데이터 경우의 주파수보다 1 이상의 디지트만큼 높은 주파수에 의해 변조가 수행되어 레이저 다이오드의 노이즈 또는 혼신잡음에 의한 영향을 경감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시 다른 목적은 고주파수 변조 신호의 평균 전력과 기입 모드시의 베이스 독출전력(DC 성분)을 동일 레벨로 조정함으로써, APC가 독출모드시뿐만 아니라 기입 모드 및 소거모드시에도 수행될 수 있고, 광량을 매우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경유하여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되며 그의 광발산이 구동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어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어에 있어서, 기입전력 PW에 해당하는 전류 IW를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하기 위한 토출형의 제 1전류원이 제공된다. 또한, 기입모드시의 기입 데이터에 따라 온/오프되는 ( 또는 소거모드시에 오프되는) 제 1전류스위치를 통해 제 1전류원과 레이저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며 기입전력 PW(또는 소거전력 Pe)에 해당하는 전류 I(또는 Ie)와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전류 Ir간의 차동전류 Iw-Ir( 또는 Ie-Ir)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2전류원이 제공된다.
더욱이, 독출모드시 온되는 제 2전류스위치를 통해 제 1전류원과 레이저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며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전류 Ir와 영전력에 해당하는 전류 Ith간의 차동전류 Ir-Ith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3 전류원이 제공된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기입 모드 및 독출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감시수단 ; 및 감시수단으로부터 복귀되는 감시 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 제 1정전류원의 출력전류 Iw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발광전력제어수단(APC)이 제공된다.
그리고, 독출모드시 기입데이터의 경우보다 높은 주파수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발산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변조수단은 제 1전류원과 레이저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며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 값이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도록 한 전류 Ihfm을 공급하는 흡수형 제 4전류원 ; 및 기입 및 소거모드시에 온되고 독출모드시 기입 데이터보다 높은 주파수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3 전류스위치를 통해 제 1전류원과 레이저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고, 고주파수 변조 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도록 한 전류 Ihfm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5 전류원을 갖는다.
감시수단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을 감시하기 위한 포토다이오드 ; 감시전류로서, 포토 다이오드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 ; 전류미러회로와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 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 Imw와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 Imr 간의 차동전력(Imw-Imr)를 공급하는 방출형 제 6전류원 ; 및 기입도는 서거 모드시 오프되고, 독출모드시 온되는 제 4 전류스위치를 통해 전류미러회로와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 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 Imw와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 Imr간의 차동전류(Imw-Imr)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7전류원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 발광전력제어 수단은 감시수단으로부터 복귀되는 감시전류와 프리셋 기입전력 기준신호간의 차이신호를 기준으로하여 제 1 정전류원의 출력 기입전류 Iw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역시 소거모드시 유사하게 실행된다.
레이저 다이오드의 이러한 제어에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최대 전류, 예컨대 기입 전류는 방출원 제 1정전류원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고, 기입 전류와 독출 전류간의 차이는 독출모드시 흡수형 제 2정전류원에 의해 방출형 제 1정전류원으로부터 유도되므로써 독출 전류는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하게 된다.
기입 모드시, 제 1 전류스위치는 흡수형 제 2정전류원에 연결되어 기입데이터에 따라 절환된다.
또한, 방출형 제 6정전류원과 흡수형 제 7 정전류원 역시 제 4 전류스위치를 경유하여 포토다이오드에 연결되어 레이저 다이오드측과 유사한 방식으로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발산을 감시하게 된다. 자동 광량 제어수단(APC)은 독출 전력에 해당하는 감시광에 의해 동작되어 온도 및 시간 중속 변화에 기인한 광량의 변화를 경감시킨다.
독출모드시, 변조는 기입 데이터의 경우보다 1이상의 디지트 높은 주파수에서 실행되므로 레이저 다이오드의 노이즈와 혼신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줄이게 된다.
고주파 변조신호의 평균 전력과 기입 모드시의 베이스 독출전력(DC 성분)을 동일 레벨로 제어함으로써, APC는 독출모드시 뿐만 아니라 기입 모드 및 수거모드 시에는 수행될 수 있고, 광량은 매우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고속 동작 속도가 필요한 전류스위치에 있어서, 즉 기입전력 Pw의 데이터 변조를 실행하는 제 2 전류스위치와 독출전력 Pr의 고주파 변조를 실행하는 제 5 전류스위치에 있어서는 전류 흡수형 전류스위치를 설정함으로써 NPN 형 고속 전류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제 1실시예]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 3 도에 있어서, 참조번호 10은 감시용 포토 다이오드(22)와 일체로 장치(40)내에 패키징된 레이저 다이오드를 표시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회로와 유사하게 레이저 다이오드(10)의 양극 단자와 포토다이오드(22)의 음극단자가 공통으로 연결되고, 레이저 다이오드(10)의 음극과 포토다이오드(22)의 양극이 공통으로 연결된 공통단자는 외부로 취출된다. 이 공통단자는 0V로 도시한 양전원의 접지에 연결된다.
제 1 정전류원으로서의 V-I 변환기(12-1)는 레이저 다이오드(10)와 +5V 양전원 사이에 연결되므로써 최대전류로서 기입전력 Pw의 광을 발산하는 기입전류 Iw 또는 기입진류 Iw와 동일한 소거전류 Ie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할 수 있다.
V-I 변환기(12-1)는 PNP 형이고, 전류 방출형 전류원으로서 작동한다.
V-I 변환기(12-1)에 대한 제어전압은 스위치(SW1)를 통해 자동발광전력 제어회로(이하 APC 회로라 한다)(18)로부터 공급되거나, 스위치(SW2)를 통해 D/A 변환기(30-1)로부터 공급된다.
APC 회로(18)는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발산을 제어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할 D/A 변환기(30-1)로부터의 기준전압과 감시전압간의 차이를 기준하여 일정한 기입전력을 유지토록 한다.
제 2전류원으로서 V-I 변환기(12-2)는 제 1전류스위치(14-1)를 통해서 V-I 변환기(12-1)와 레이저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V-I 변환기(12-2)는 NPN 형이고 전류 흡수형 전류원으로서 작동한다.
V-I 변환기(12-2)는 D/A 변환기(30-2)의 변환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V-I 변환기(12-2)는 기입 전류 Iw와 독출전류 Ir 간의 차동전류(Iw-Ir)를 공급한다.
전류스위치(14-1)는 고속 NPN 형으로 구성되어 AND 회로(32)와 레벨 변환회로(34-1)에 의해 제어된다.
기입 게이트(WG)와 기입 데이터(WD)는 MPU(26)로부터 AND 회로(32)에 인가된다. 전류스위치(14-1)는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WG] [HD] [전류스위치 14-1]
H H 오프
H L 온
L L 온
즉, 기입 데이터(WD)가 기입 게이트(WG)의 온 상태에서 온(H)일 경우, 전류스위치(14-1)는 오프되므로써 V-I 변환기(12-1)로부터의 기입 전류 Iw는 레이저 다이오드(10)에 흐르게 된다.
기입 데이터(WD)가 상기의 상태에서 오프될 때 (로우(L) 레벨로 설정될 때), 전류스위치(14-1)는 온된다. 전류(Iw-Ir)는 기입전류 Iw로부터 흡수되고, 레이저 다이오드(10)에 흐르는 전류는 기입전류 Iw로부터 독출전류 Ir(기입모드시 베이스 발광전력)로 감소된다.
2개의 제어선이 레벨변환회로(34-1)로부터 존재하는 이유는 전류스위치(14-1)가 이 후 상세히 설명할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스위칭 회로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흡수형 제 3 전류원으로서 V-I 변환기(12-3)는 제 2전류스위치(14-2)를 통해 V-I 변환기(12-1)와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독출전류 Ir와 영 발광전력에 해당하는 한계전류 Ith 간의 차동전류(Ir-Ith)를 공급한다.
전류스위치(14-2)는 MPU(26)로부터의 기입 게이트(WG)를 인버터(36)에 의해 반전시키고, 반전된 신호를 레벨 변환기(34-2)에 의해 레벨 변환시킴으로서 얻어진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전류스위치(14-2)는 기입 게이트(WG)가 오프(L) 될 때 인 독출모드시 온 된다. 레이저 다이오드(10)에 흐르는 독출전류 Ir로부터 차동전류(Ir-Ith)를 흡수함으로써, 전류 Ir는 영발광전력에 해당하는 한계전류 Ith로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방출형 제 4전류원으로서 V-I 변환기(12-4)는 V-I 변환기(12-1)와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된다. 흡수형 제 5전류원으로서 V-I 변환기(12-5) 역시 제 3전류스위치(14-3)를 통해 연결되어있다.
이들 구성 소자들은 독출전력 Pr의 발광시 기입 데이터(WD)의 경우보다 1이상의 디지트 높은 주파수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회로(20)를 구성한다.
V-I 변환기(12-4)는 D/A 변환기(30-4)로부터의 변환 전압에 의해 제어되고, 고주파 변조 전력의 평균 값이 독출전력 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 Ihfm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한다.
V-I 변환기(12-5)는 고주파 변조 전력의 평균 값이 V-I 변환기(12-4)와 유사하게 독출전력 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 Ihfm을 흡수한다.
V-I 변환기(12-5)에 의해 흡수되는 전류 Ihfm는 전류스위치(14-3)에 의해 온/오프 되어 변조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게 된다.
전류스위치(14-3)는 NAND 회로(38)를 통해 얻어진 기입 게이트(WG)가 오프될 때 레벨 변환회로(34-3)를 통해 MPM(26)으로부터의 클럭에 의해 제어된다.
즉, 기입 게이트(WG)가 온될 때(하이(M) 레벨로 설정될 때), 클럭은 마스크되고, 전류스위치(14-3)는 온 상태로 유지된다. V-I 변환기(12-4)로부터의 방출 전류 Ihfm는 V-I 변환기(12-5)에 흡수되고 변조전류는 레이저 다이오드(10)에 흐르지 않게 된다.
독출모드시 기입 게이트(WG)가 오프(L)될 경우, 전류스위치(14-3)는 클럭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류Ihfm의 폭이 변화하는 변조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게 된다.
포토다이오드(22)의 수광전류에 따른 발광전력의 감시회로(16)를 설명하기로 한다.
포토다이오드(22)와 -V의 전원 사이에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전류미러회로(24)는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의 방향은 바꾸게 된다. 이러한 전류는 연산증폭기(42)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되는데, 이 전압 신호는 샘플 홀드 회로(S/H 회로)(44)에 공급되어 A/D 변환기(46)에 의해 디지틀 신호로 변환된 뒤 발광전력의 감시 데이터로서 MPU(26)에 전송된다.
연상 증폭기(42)로부터의 감시 전압은 APC 회로(18)에 인가된다.
전류 방출형 제 6정전류원으로서의 V-I 변환기(12-6)는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된다. 전류 흡수형 제 7 정전류원(12-7) 역시 제 4전류스위치(14-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V-I 변환기(12-6)는 기입전력 Pw의 감시전류 Imw와 독출전력 Pr의 감시전류 Imr간의 차동전류(Imw-Imr) 를 발생한다.
V-I 변환기(12-7)는 기입전력 Pw의 감시전류 Imw와 독출전류 Pr 감시전류 Imr간의 차동전류(Imw-Imr)를 흡수한다.
전류스위치(14-1)와 유사하게 전류스위치(14-4)는 AND 회로(32)와 레벨 변환 회로(43-1)에 의해 제어되고 기입 발광 모드시에 오프되고 기입 비발광모드 및 독출모드시에 온된다.
그러므로, 기입 발광 전력 Pw에 해당하는 수광전류 Imw가 기입 발광모드시에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를지라도, 전류(Imw-Imr)는 전류스위치(14-4)의 턴오프에 의해 V-I 변환기(12-6)로부터 공급되므로 전류미러회로(24)에 흐르는 감시전류 Im는 Im=Imw-(Imw-Imr)=Imr이 된다.
독출미러전류 Imr과 동일한 전류가 기입 발광 모드시에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독출모드와 마찬가지로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감시 전압이 기입 발광 모드와 기입 비발광모드시에 APC 회로(18)에 항상 공급된다.
APC 회로(18)는 V-I 변환기(12-1)의 방출 전류 Iw를 제어하여 감시회로(16)로부터 복귀되는 감시 전압과 D/A 변환기(30-1)로부터 발생된 일정한 독출전력 Pr을 얻기 위한 기준전압간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미러전압을 독출전력 기준 전압으로 유지토록 한다.
통상의 사용상태시에, 스위치(SW1)는 턴온되고, 스위치(SW2)는 MPU(26)에 제어에 의해서 턴오프되며, APC 회로(18)에 의한 제어가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장치의 사용초기시의 자동조절 모드에 있어서, 스위치(SW2)는 턴온되고, 스위치(SW1)는 턴오프된다. D/A 변환기(30-1)의 제어전압은 V-I 변환기(12-1)에 직접 인가되어 MPV(26)로 하여금 기입 전류를 조정토록 한다.
MPU(26)는 D/A 변환기(30-1)∼(30-5)에 선택 신호를 각각 공급하고 전류 제어용 데이터를 이들에게 제공한다. 선택 신호를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서 D/A 변환기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고, 데이터는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된다.
제 4 도는 제 3 도 실시예의 주요부분에 대한 동작 원리를 도시하였다.
제 4 도에 있어서, 방출형 제 1 전류원(12-1)은 우선적으로 기입전력 Pw에 해당하는 전류 Iw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한다. 흡수형 제 2 전류원(12-2)은 제 1 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 전류원(12-1)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 모드시 기입 데이터에 따라 턴 온/오프 되므로써, 기입전력 Pw에 해당하는 전류 Iw와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전류 Ir간의 차동전류(Iw-Ir)가 공급될 수가 있다.
감시회로(16)는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고, 기입 모드 및 독출모드시에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감시신호를 발생한다. APC 회로(18)는 감시회로(16)로부터 복귀되는 감시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 간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정전류원(12-1)의 출력전류 Iw를 제어한다.
제 5 도는 제 3실시예의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류 Ied에 대한 발광전력 Ped의 특성과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 Ped에 대한 포토다이오드(22)이 감시전류 Im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레이저 다이오드(10)에 대해서, 최대전류로서 기입전류 Iw(또 소거전류 Ie)가 설정되므로써 기입전력( 또는 소거전력 Pe)가 얻어진다.
판독전류 Ir가 설정되고, 판독 전력 Pr이 유도된다. 감시전류 Imw와 Imr은 기입전력 Pw와 판독전력 Pr에 대응하여 얻어진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초기점을 제공하는 한계 전류 Ith가 설정된다.
판독 발광모드시 변조전류 Ihfm이 설정되므로 클럭에 의한 변조 상태시의 감시전류는 판독 감시전류 Imr와 일치한다. 즉, 변조 발광전력의 평균 값은 판독 전력 Pr과 일치한다.
고속으로 절환될 수 있는 NPN형 전류스위치는 모든 전류스위치(14-1)∼(14-4)로 이용된다.
NPN형의 전류스위치(14-1) ∼(14-4)에 대응하여 NPN형 변환기들이 V-I 변환기(12-2) (12-3) (12-5) 및 (12-7)로서 이용된다. 그리고, 저속 NPN형 변환기들이 다른 V-I 변환기(12-1)와 (12-6)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의 발광조정]
제 5 도에 도시한 특성을 얻기 위한 발광 조정 공정을 제 6 도 및 제 7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5 도에 있어서, 발광 조정 공정에 관련된 조정 순서는 참조번호 ①∼⑦로 표시하였다.
제 6 도에 있어서, 발광 조정은 스텝(S1)에서 기입 게이트(WG)와 기입데이터(WD)를 모두 턴오프(L) 시킴으로써 시작되고, 스텝(S2)에서는 APC 회로(18)를 턴오프 시킨다. APC 회로(18)는 스위치(SW1)를 턴오프시키고, 스위치(SW2)를 턴온시킴으로써 턴오프된다.
스위치(SW2)를 턴온시키면, D/A 변환기(30-1)의 출력은 V-I 변환기(12-1)에 직접 인가되어 기입 모드( 또는 소거모드)시 전류 Iw( 또는 Ie)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게 된다.
즉, D/A 변환기(12-1)의 출력 전압이 스텝(S3)에서 증가되는 동안, 스텝(S4)에서는 특정의 기입전력 Pw( 또는 소거전력 Pe)이 얻어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발광전력 Ped의 감시 값이 하기의 방식으로 독출된다. 감시를 위한 포토다이오드(22)와 출력전류방향은 PNP 층 전류미러회로(24)에 의해 바뀌게 된다. 그 결과 전류는 연산 증폭기(42)에 의한 전압으로 I/V 변환된다. 이 전압은 S/M 회로(44)를 통해 전송되고 A/D 변환기(46)에 의해 변환되므로서 감시값을 판독하게 된다.
A/D 변환기(12-1)에 대한 입력전압이 광헤드로부터 발광전력을 위한 특정 값으로 설정되도록 연산증폭기(42)의 I-V 변환기(즉, 입/출력 특성 E=R×I을 제공하는 저항의 R의 값)를 계산할 필요가 있다.
스텝(S5)에서는 D/A 변환기(30-5)의 출력 전압이 증가하고, 스텝(S6)에서는 발광전력의 감시값이 독출전력 Pr과 동일하고 감시독출 전류 Imr가 흐르는 때에 제어가 정지된다.
이 때문에 감시 독출 전류 Imr를 제공하는 D/A 변환기(30-5)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억된다.
V-I 변환기(12-6)과 (12-7)은 대칭형으로 배치되므로 V-I 변환기(12-6)에 공급되는 전류와 동일한 양의 전류가 V-I 변환기(12-7) 안으로 흡수될 수가 있다.
전류스위치(14-4)가 현재 오프되기 때문에 감시값은 독출전력 Pr에 해당하는 감시 값 Imr과 동일하게 된다. 감시값 Imr은 메모리에 기억된다.
스텝(S7)에서 전류스위치(14-4)가 연속적으로 턴온될 경우, 감시값은 기입전력 Pw에 해당하는 감시값 Imw으로 설정된다.
D/A 변환기(30-2)의 출력은 스텝(S8)에서 증가하게 되고, 스텝(S9)에서는 독출전력 Pr이 유도될 때 제어가 정지된다.
상기의 제어에 있어서, 흡수전류(Iw-Ir)는 증가하게 되고, 레이저 다이오드(10)에 흐르는 전류는 전력이 기입전력 Pw으로부터 독출전력 Pr으로 변하게 되는 방향으로 감소하게 된다. 독출전력 Pr이 얻어질때 D/A 변환기(30-2)의 데이터는 전류(Iw-Ir)를 얻기 위한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기억된다.
스텝(Sl0)에서는 D/A 변환기(30-3)의 출력전압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반면에 스텝(S11)에서는 전력이 영으로 감소될 때 제어가 정지된다.
상기의 제어에 있어서, 흡수전류(Ir-Ith)는 증가하게 되고, 전력은 발광의 정지시까지 독출전류 Pr로부터 감소된다. 독출전력이 영으로 설정될 때 전류 Ith를 제공하는 전류(Ir-Ith)를 얻기 위한 D/A 변환기(30-3)용 데이터는 스텝(S11.1)에서 메모리에 기억된다.
공정은 제 7 도의 스텝(S12)으로 진행되는 바, 스텝(S12)에서 기입 게이트(WG)는 턴오프(L)되어 클럭이 NAND 회로(38)로부터 발생되도록 하고, 전류스위치(14-3)는 클럭에 의해 턴온/오프되며, 독출전력의 변조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의 상태에 있어서, D/A 변환기(30-4)의 출력전압은 증가하고, 스텝(S13)에서 감시값이 독출전력 Pr에 도달했을 때 제어가 정지된다.
상기의 제어에 있어서, D/A 변환기(12-4),(12-5)의 방출 및 흡수전류 Ihfm는 변조 발광 상태에서 증가하고, 변조 발광전력의 평균 값으로 얻어지는 감시값이 독출값 Pr에 도달할 때 Ihfm을 제공하는 D/A 변환기(30-4)용 데이터는 스텝(S14)에서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후, D/A 변환기(30-1)용 세트 데이터는 스텝(S14)에서 리셋되고, APC 회로(18)는 턴온된다. APC회로(18)는 스위치(SW1)를 턴온시키고, 스위치(SW2)를 오프시킴으로써 턴온된다.
이 때문에 제어모드는 발광 조절 모드로부터 APC 모드로 절환되어진다.
스텝(S15)에서는 독출전력 Pr을 제공하는 데이터가 D/A 변환기(30-1)안에 최종적으로 설정된다. 독출전력 기준 전압은 APC 회로(18)에 인가된다. 제어모드는 APC 모드로 설정되어 V-I 변환기(12-1)의 방출 전류 Iw에 의해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기준전압과 감시회로(16)로부터 얻어진 감시전압 간의 차이를 영으로 설정함으로써 특정의 독출전력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그러면 일련의 조정 동작이 끝나게 된다.
APC 회로(18)을 제어함으로써 독출전력 Pr에 대응한 독출 감시전류 Im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 역시 전류스위치(14-4)의 턴오프에 의해 기입 발광 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 얻어진다. 발광은 독출전력을 기준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전력으로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제 3 도에 있어서, 공통 D/A 변환기(30-1)는 APC를 위한 D/A 변환기 및 발광 조정을 위한 D/A 변환기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들 D/A 변환기 역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스위치(SW1,SW2) 역시 MPU(26) 대신에 외부회로에 의해 온·오프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인 바, 이 제 2실시예는 제 3 도의 제 1실시예의 변조회로(20)에 제공된 제 4 전류원으로서 방출형 V-I 변환기(12-4)가 회로구성을 간단화하기 위해 삭제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도는 V-I 변환기(12-4)의 삭제에 관해서, 제 8 도의 제 2실시예는 콘덴서(C1)가 전류스위치(14-2)를 위해 제공되고, 레이저 다이오드(10) 및 제 5전류원으로서 흡수형 V-I 변환기(12-5)가 AC 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도는 제 8 도에 도시한 전류스위치(14-3)의 회로도이다. NPN 트랜지스터(48,50)의 데이터는 V-I변환기(12-5)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NPN 트랜지스터(48)의 콜렉터는 +5V 라인에 직접 연결된다. NPN트랜지스터(50)의 콜렉터는 코일(52)을 통해 +5V 라인에 연결되며, NPN 트랜지스터(50)의 콜렉터와 코일(52)간의 접속점에는 콘덴서(C1)를 매개로 레이저 다이오드(10)의 일측이 교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NPN 트랜지스터(48,50)는 기입 게이트(WG)와 OR 회로(38) 및 레벨 변환회로(34-3)와 같은 기능을 하는 인버터(54) 및 AND 회로(56)에 의한 클럭을 기준으로하여 제어된다.
즉, 기입 게이트나(WG)가 오-프(L) 될 경우, 앤드회로(56)는 허용상태로 설정되어 클럭을 통과시킨다. 클럭이 온(H) 될 경우, 트랜지스터(48)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50)는 턴온된다. 클럭이 오프(L)될 경우 트랜지스터(48)는 턴온되며 트랜지스터(50)는 턴 오프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48,50)를 어느 하나는 항상 온 상태로 있고, D/A 변환기(30-4)의 출력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전류 Ihfm는 V-I 변환회로(12-5)안으로 흐르게 된다.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되는 전류의 변조에 있어서, 에너지가 트랜지스터(50)의 턴온시에 코일(52)에 축적되고, V-I 변환기(12-5)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 Ihfm가 트랜지스터(50)의 턴 오프시에 콘덴서(C1)를 통해 공급되며, 전류 Ihfm에서 항시 흐르는 한계전류 Ith를 가산하여 얻어진 전류가 공급되도록 동작을 반복한다.
제 8 도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전류, 발광전력 및 감시전류의 특성은 제 3 도의 제 1 실시예에 관해 제 5 도에서 도시한 특성과 동일하다.
각 전류값을 설정하기 위한 자동 조정은 제 6 도 및 제 7 도의 것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인 바, 이 제 3 실시에는 제 3 도 제 1 실시예의 감시회로(16)에 제공된 제 6 전류원으로서 V-I 변환기(12-6)가 회로구성을 간단화하기 위해 삭제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제 10 도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제 3 도에 도시한 V-I 변환기의 삭제에 관해, 광발산은 기입모드, 소거모드 및 독출모드시 기입전력 Pw을 소정의 값으로 항상 유지토록 APC 회로(18)에 의해 제어된다.
즉, 흡수형 제 7 전류원으로서 V-I 변환기(12-7)만이 전류스위치(14-4)를 통해 감시회로(16)를 위해 제공되었기 때문에 전류미러회로(24)의 감시전류 Im은
기입모드시 스위치오프 : Im=Imw
독출모드시스위치온 : Im=Irm+(Imw-Imr)=Imw
가 된다.
기입전력 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 Imw는 항상 얻어진다.
APC 모드에 있어서, MPU(26)는 기입전력 Pw를 D/A 변환기(12-1)에 제공하는 기준데이터를 설정하고, APC 회로(18)는 감시전류 Imw에 해당하는 감시전압을 복귀시킴으로써 기입전력 Pw을 특정값으로 항상 유지토록 광발산을 제어한다.
제 11 도는 제 10 도의 제 3실시예에서의 발광전류, 발광전력 및 감시전류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비록 각각의 값들이 제 5 도의 경우와 동일할지라도 발광 조장 모드에서의 조정 절차는 다르다.
[제 3 실시예에서의 발광조정]
제 10 도의 제 3실시예에서의 발광조정 동작을 제 12 도 및 제 13 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2 도에 있어서, 발광조정은 스텝(S1)에서 기입게이트(WG)와 기입 데이타(WD)를 (L)로 만들고, 또한 APC 회로(18)를 턴 오프시킴으로써, 즉, 스텝(S2)에서 스위치(SW1)를 턴오프시키고, 스위치(SW2)를 턴온시킴으로써 시작된다.
그리고나서, 스텝(S3)에서는 D/A 변환기(12-1)의 출력 전압이 증가하는 반면에 스텝(S4)에서는 특정기입전력 Pw( 또는 소거전력 Pe)이 얻어지는가를 판별한다.
그 다음, 스탭(S5)에서는 D/A변환기(30-2)의 출력이 증가하게 된다. 스텝(S6)에서는 독출전력 Pr이 얻어질 때 제어가 정지된다. 상기의 제어에 있어서, 흡수전류 (Iw-Ir)는 증가하게 되고,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되는 전류는 전력이 기입전력 Pw으로부터 독출전력 Pr까지 변화하는 방향으로 줄어들게 된다. 독출전력 Pr이 얻어질때의 D/A변환기(30-2)용 데이터는 전류(IW-IR)를 얻기 위한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저장된다.
스텝(S7)에서는 D/A 변환기(30-3)의 출력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스텝(S8)에서는 전력이 영으로 될 때 제어가 정지된다.
상기의 제어에 있어서, 흡수전류(Ir-Ith)는 증가하게 되고, 전력은 독출전력 Pr으로부터 발광의 정지까지 줄어든다. 독출전력이 영으로 될 때 전류 Ith를 제공하는 전류 (Ir-Ith)를 얻기 위한 D/A 변환기(30-3)용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 다음 스텝(S9)에서는 기입게이트(WG)가 턴 오프(L)되어 NAND 회로(38)로부터 클럭이 발생된다. 전류스위치(14-3)는 클럭에 의해 턴온/오프되고, 판독전력의 변조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D/A 변환기(30-4)의 출력전압은 증가하게 되고, 스텝(S10)에서는 감시 값이 독출전력 Pr에 도달할때 제어가 정지된다.
상기의 제어에 있어서, D/A 변환기(12-4)와 (12-5)의 방출 및 흡수전류 Ihfm(피크 전류)는 변조 발광상태에서 증가한다. 변조 발광전력의 평균값으로서 유도된 감시값이 독출전력 Pr에 도달했을 경우의 전류Ihfm를 제공하는 D/A 변환기(30-4)용 데이터가 얻어진다. 스텝(S10.1)에서는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후, 제 3 도에 도시한 스텝(S11)에서는 감시회로(16)의 D/A 변환기(30-5)의 출력전압이 증가한다. 스텝(S12)에서는 발광전력의 감시값이 기입전력 Pw에 도달했을 때 제어가 정지되고 감시 독출 전류 Imr이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감시 기입 전류 Imw를 제공하는 D/A 변환기(30-5)용 데이터는 스텝(S13)에서 메모리에 저장된다.
스텝(S14)에서는 D/A 변환기(30-1)용 셋트데이터가 리셋되고, APC 회로(18)는 턴온된다.
APC 회로(18)는 스위치(SW1)를 턴온시키고, 스위치(SW2)를 턴 오프시킴으로써 턴온된다. 따라서, 제어모드는 발광 조정모드로부터 APC 절환된다.
기입전력 Pw을 제공하는 데이터는 스텝(S15)에서 D/A 변환기(30-1)를 위해 최종적으로 설정되고, 기준전압은 APC 회로(18)에 공급된다. 제어모드는 APC 모드로 설정되어 발광 제어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V-I 변환기(12-1)로부터의 기입전류 Iw가 조정되어 기준전압과 감시회로(16)로부터 유도된 감시전압간의 차이를 영으로 설정하고, 특정의 기입전력이 유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련의 조정 동작이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다이오드는 양전원만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헤드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장치내에 음전원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는 간단한 밧테리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가 재기입 가능한 자기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이용될지라도 본 발명은 다른 광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28)

  1.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된 레이저 다이오드(10) ; 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기 위한 방출형 제 1전류원수단(12-1) ; 기입 모드시의 기입 데이터에 따라 턴 온/오프 되는 제 1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lr)간의 차동전류(Iw-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전류원수단(12-2)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기입모드 및 독출모드시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감시수단(16) ; 및 상기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 신호를 기준으로하여 제 1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발광 전력 제어수단(18)으토 구성시켜서 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2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영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Ir-Ith)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3 전류원수단(12-3) ; 및 독출모드시 기입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방사된 광선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20)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수단(20)은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방출형 제 4전류원수단(12-4)과 ;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 턴온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 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전류스위치(14-3)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가 레이저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5전류원수단(12-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 수단(20)은 고주파 변조 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5전류원수단(12-5) ; 및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데이터에서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전류스위치(14-3)로 구성되고, 상기의 제 5 전류원수단(12-5)은 제 3 전류스위치(14-3)와 콘덴서(C1)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교류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제 15 항에 있아서, 상기의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진류(Imw-Iwr)을 공급하는 방출형 제 6전류원수단(12-6) ; 및 기입모드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턴온되는 제 4전류스위치(14-4)를 통해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m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7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6.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된 레이저 다이오드(10) ; 소거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e)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기 위한 방출형 제 1전류원수단(12-1) ;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는 제 1 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소거진력(Pe)에 해당하는 전류(Ie)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간의 차동전류(Ie-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 전류원수단(12-2)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소거모드 및 독출모드시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감시수단(16) ; 및 상기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하여 제 1 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발광전력 제어수단(18)으로 구성시켜서 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2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영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Ir-Ith)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3전류원수단(12-3) ; 및 독출모드시 기입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방사된 광선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20)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수단(20)은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방출형 제 4전류원수단(12-4)과 ;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 턴온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 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전류스위치(14-3)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가 레이저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5 전류원수단(12-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 수단(20)은 고주파 변조 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5전류원수단(12-5) ; 및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데이터에서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전류스위치(14-3)로 구성되고, 상기의 제 5 전류원수단(12-5)은 제 3 전류스위치(14-3)와 콘덴서(C1)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어오드(10) 사이에 교류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의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wr)을 공급하는 방출형 제 6 전류원수단(12-6) ; 및 기입모드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턴온되는 제 4 전류스위치(l4-4)를 통해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m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7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1.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되어 발광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0) ; 기입 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기 위한 방출형 제 1전류원수단(12-1) ; 기입 모드시의 기입 데이터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제 1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l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간의 차동전류(Iw-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전류원수단(l2-2) ;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2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영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Ir-Ith)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3전류원수단(12-3)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기입모드 및 독출모드시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감시수단(16) ; 및 상기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하여 제 1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 발광 전력 제어수단(l8)으로 구성시켜서 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기입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4전류스위치(14-4) ; 제 4전류스위치를 통해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lmr)를 공급하는 방출형 제 7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3.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 ;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전류(Ie)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제공하기 위한 방출형 제 1전류원수단(12-1) ;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는 제 1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과 레이저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전류(Ie)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간의 차동전류(Ie-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전류원수단(12-2) ; 독출모드시에는 턴온되는 제 2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영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Ir-Ith)를 공급하게 위한 흡수형 제 3전류원수단(12-3)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소거모드 및 독출모드시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감시신호를 발생하는 감시수단(16) ; 및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신호와 프리셋 소거전력기준신호 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하여 제 1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Ie)를 조절하기 위한 자동발광전력제어수단(18)으로 구성시켜서 된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4전류스위치(14-4) ; 및 제 4전류스위치(14-4)를 통해 전류미러회로(24)와 포트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e)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lme-Imr)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7 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5. 매체에 대한 레이저 비임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광학적으로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장치에있어서 ;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된 레이저다이오드(10) ;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기 위한 방출형 제 1전류원수단(12-1) ; 기입모드시의 기입데이터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제 1 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간의 차동전류(Iw-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 전류원수단(12-2)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기입모드 및 독출모드시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감시수단(16) ; 및 상기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하여 제 1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발광 전력 제어수단(18)으로 구성시켜서 된 광디스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2 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영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Ir-lth)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3 전류원수단(12-3) ; 및 독출모드시 기입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방사된 광선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2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수단(20)은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방출형 제 4전류원수단(12-4)과 ;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 턴온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 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 전류스위치(14-3)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가 레이저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5전류원수단(12-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 수단(20)은 고주파 변조 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5전류원수단(12-5) ; 및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데이터에서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전류스위치(14-3)로 구성되고, 상기의 제 5 전류원수단(12-5)은 제 3 전류스위치(14-3)와 콘덴서(C1)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교류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의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mr)을 공급하는 방출형 제 6전류원수단(12-6) ; 및 기입모드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턴온되는 제 4 전류스위치(14-4)를 통해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m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7 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20. 기록 매체에 대한 레이저 비임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광학적으로 기록 및 재생 하기 위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이 양전압측에 연결된 레이저 다이오드(10) ;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전류(Ie)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기 위한 방출형 제 1전류원수단(12-1) ; 소거모드시의 턴오프되는 제 1 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과 레이저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전류(Ie)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간의 차동전류(Ie-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전류원수단(12-2)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소거모드 및 독출모드시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감시수단(16) ; 및 상기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하여 제 1 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발광 전력 제어수단(18)으로 구성시켜서 된 광디스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2 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Q)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영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Ir-Ith)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3전류원수단(12-3) ; 및 독출모드시 기입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가수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방사된 광선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2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수단(20)은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방출형 제 4 전류원수단(12-4)과 ;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 턴온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 데이터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주파수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 전류스위치(14-3)를 통해 제 1전류원수단(12-1)가 레이저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조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5 전류원수단(12-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조 수단(20)은 고주파 변조 전력의 평균값이 독출전력(Pr)과 동일하게 되는 전류(Ihfm)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5 전류원수단(12-5) ; 및 기입모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기입데이터에서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신호에 의해 턴온/오프되는 제 3 전류스위치(14-3)로 구성되고, 상기의 제 5 전류원수단(12-5)은 제 3 전류스위치(14-3)와 콘덴서(C1)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교류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의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량을 감시한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mr)을 공급하는 방출형 제 6전류원수단(12-6) ; 및 기입모드시 또는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턴온되는 제 4 전류스위치(14-4)를 통해 전류에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m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7 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25. 매체에 대한 레이저 비임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광학적으로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되어 발광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0) ;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를 상기의 레이저 다이오드(10)에 공급하기 위한 방출형 제 1 전류원수단(12-1) ; 기입모드시의 기입데이터에 따라 턴온/오프되는 제 1 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전류(I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간의 차동전류(Iw-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전류원수단(12-2) ;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2 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양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Ir-Ith)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3전류원수단(12-3)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기입모드 및 독출모드시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감시수단(16) ; 및 상기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 신호와 프리셋 독출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발광전력 제어수단(18)으로 구성시켜서 된 광디스크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공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기입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턴온되는 제 4 전류스위치(14-4) ; 제 4 전류스위치를 통해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기입전력(Pw)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w)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w-Imr)를 공급하는 방출형 제 7 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27. 매체에 대한 레이저 비임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광학적으로 음극이 양전원의 접지측에 연결되고, 양극이 제어회로를 통해 양전원의 양전압측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 ;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전류(Ie)를 레이저 다이오드(10)에 제공하기 위한 방출형 제 1 전류원수단(12-1) ; 소거모드시 턴오프되는 제 1 전류스위치(14-1)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과 레이저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어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전류(Ie)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간의 차동전류(Ie-Ir)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2전류원수단(12-2) ; 독출모드시 턴온되는 제 2 전류스위치(14-2)를 통해 제 1 전류원수단(12-1)과 레이저 다이오드(10) 사이에 연결되어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전류(Ir)와 양전력에 해당하는 전류(Ith)간의 차동전류(lr-Ith)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형 제 3 전류원수단(12-3) ; 레이저 다이오드(10)의 발광전력을 감시하며 소거모드 및 독출모드시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감시신호를 발생하는 감시수단(16) ; 및 감시수단(16)으로부터 복귀된 감시신호와 프리셋 소거전력 기준신호간의 차동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전류원수단(12-1)의 출력전류(Ie)를 조절하기 위한 자동발광전력 제어수단(18)으로 구성시켜서 된 광디스크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16)은 레이저 다이오드(10)의 광량을 감시하는 포토다이오드(22) ; 포토다이오드(22)에 흐르는 수광전류에 해당하는 감시전류로서의 전류를 발생하는 PNP 형 전류미러회로(24) ; 소거모드시에는 턴오프되고, 독출모드시에는 턴온되는 제 4 전류스위치(14-4) ; 및 제 4전류스위치(14-4)를 통해 전류미러회로(24)와 포토다이오드(22) 사이에 연결되어 소거전력(Pe)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e)와 독출전력(Pr)에 해당하는 감시전류(Imr)간의 차동전류(Ime-Imr)를 공급하는 흡수형 제 7전류원수단(12-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KR1019920008305A 1991-05-16 1992-05-16 레이져 다이오드 제어장치 KR950013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11486 1991-05-16
JP3111486A JP2550447B2 (ja) 1991-05-16 1991-05-16 レーザダイオードの制御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602A KR920022602A (ko) 1992-12-19
KR950013056B1 true KR950013056B1 (ko) 1995-10-24

Family

ID=1456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305A KR950013056B1 (ko) 1991-05-16 1992-05-16 레이져 다이오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76671A (ko)
EP (1) EP0513785B1 (ko)
JP (1) JP2550447B2 (ko)
KR (1) KR950013056B1 (ko)
DE (1) DE6921828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956A (en) * 1991-09-30 1993-11-09 Nikon Corporation Laser drive circuit
JPH06152027A (ja) * 1992-11-12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JPH07141677A (ja) * 1993-11-18 1995-06-02 Olympus Optical Co Ltd 半導体レーザの駆動装置
JP3441212B2 (ja) * 1995-01-19 2003-08-25 株式会社リコー パワー制御方式
JPH1079549A (ja) * 1996-07-12 1998-03-24 Ricoh Co Ltd 半導体レーザ制御装置
JPH1079548A (ja) * 1996-07-12 1998-03-24 Ricoh Co Ltd 半導体レーザ制御装置
US5767704A (en) * 1996-08-30 1998-06-16 Larson; Francis Willard High frequency analog switch for use with a laser diode
JP3315892B2 (ja) * 1997-04-24 2002-08-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ーモジュールの制御回路
US5966394A (en) * 1997-05-30 1999-10-12 Eastman Kodak Company Laser diode controller
JP3736953B2 (ja) * 1997-10-20 2006-01-18 富士通株式会社 電界吸収型光変調器の駆動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光送信器
JP3795652B2 (ja) * 1997-12-19 2006-07-12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駆動装置のレーザパワー制御装置
JP2002261381A (ja) * 2001-02-28 2002-09-13 Hamamatsu Photonics Kk 駆動電流供給回路
WO2004057588A1 (en) * 2002-12-19 2004-07-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c drive apparatus
DE10358957A1 (de) * 2003-12-15 2005-07-07 Deutsche Thomson-Brandt Gmbh Kompatibler optischer Abtaster mit verbessertem Lasermodulator für Aufzeichnungs- oder Wiedergabegeräte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KR100680918B1 (ko) * 2005-01-27 2007-02-08 한국과학기술원 적어도 3개의 전극을 갖는 페브리 페롯 레이저 다이오드를이용한 파장 제어장치
JP2007242172A (ja) * 2006-03-10 2007-09-20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US7642770B2 (en) * 2007-03-16 2010-01-05 Mediatek Inc. Light-driv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signal-measured calibration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US8565048B1 (en) * 2012-05-15 2013-10-22 Lsi Corporation Unipolar current driver
EP3208897B1 (en) 2014-10-15 2019-05-15 Fujikura, Ltd. Optical transmitter, active optical cable,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JP6190072B2 (ja) * 2014-10-15 2017-08-3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送信器、アクティブ光ケーブル、onu、及び光送信方法
US9853545B2 (en) 2015-06-30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regulator having current and voltage modes
US10914627B2 (en) * 2019-02-13 2021-02-09 Semtech Corporation Configurable laser monitor photodiode in optical modulation amplitud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097A (en) * 1985-07-25 1987-08-04 Laser Magnetic Storage International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for a semiconductor laser
JP2615553B2 (ja) * 1985-11-14 1997-05-28 富士通株式会社 レーザ制御装置
JPH079710B2 (ja) * 1985-11-30 1995-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ザの光量制御装置
JPH0827951B2 (ja) * 1986-12-03 1996-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ザ駆動回路
JPH01220144A (ja) * 1988-02-29 1989-09-01 Canon Inc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2624788B2 (ja) * 1988-07-22 1997-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
JPH02161626A (ja) * 1988-12-14 1990-06-21 Asahi Optical Co Ltd 自動強度制御装置
JPH03171453A (ja) * 1989-11-29 1991-07-24 Sony Corp 光磁気信号再生方法
JP2525943B2 (ja) * 1990-08-02 1996-08-21 富士通株式会社 光学記録再生装置のレ―ザダイオ―ド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8286D1 (de) 1997-04-24
JPH04339328A (ja) 1992-11-26
EP0513785A2 (en) 1992-11-19
DE69218286T2 (de) 1997-10-09
KR920022602A (ko) 1992-12-19
JP2550447B2 (ja) 1996-11-06
US5276671A (en) 1994-01-04
EP0513785A3 (en) 1993-01-20
EP0513785B1 (en) 199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056B1 (ko) 레이져 다이오드 제어장치
US4701609A (en) Semiconductor laser drive circuit with peak detection and control
US5197059A (en) Laser diode current supply including a threshold current component subject to automatic power control
JPH1064069A (ja) 光記録再生装置
US5513197A (en) Semiconductor laser drive circuit including switched current source
JPWO2006137303A1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並びに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を備える光ディスク装置及び集積回路
JP3539524B2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CN102194483A (zh) 光盘装置和信息记录方法
EP0405952B1 (en) Semiconductor laser driving circuit
JP2003078202A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および半導体レーザ駆動方法
US5831959A (en) Laser control circuit in recordable optical disk drive
JP2000244052A (ja) 半導体レーザ駆動装置
US20060238160A1 (en) Drive apparatus
JPH0626275B2 (ja) 半導体レ−ザ駆動回路
JP3440497B2 (ja) レーザダイオード駆動回路
JP321075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3156740A (ja) 発光素子駆動装置
KR100765734B1 (ko)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에서 자동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 제어장치
JP2005332546A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2507051B2 (ja) 光学式デ―タ記憶再生装置
JPH04157632A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JP2754735B2 (ja) 光学式データ記憶再生装置
JPS6116044A (ja) 半導体レ−ザ−駆動回路
JP2581688B2 (ja) 半導体レ−ザ−駆動回路
JPH05145153A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