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313B1 - 조정 가능한 수평로울세트 및 수직로울세트를 구비한 만능압연기 - Google Patents

조정 가능한 수평로울세트 및 수직로울세트를 구비한 만능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313B1
KR950011313B1 KR1019880005477A KR880005477A KR950011313B1 KR 950011313 B1 KR950011313 B1 KR 950011313B1 KR 1019880005477 A KR1019880005477 A KR 1019880005477A KR 880005477 A KR880005477 A KR 880005477A KR 950011313 B1 KR950011313 B1 KR 95001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olling mill
vertical
chok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627A (ko
Inventor
스바그르 알렉산드르
보겐되르퍼 한스
리입슐레거 클라우스
라이스만 한스-유르겐
베니히 후버투스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슐레만-지이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요하네스 얀센, 알베르트 하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슐레만-지이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요하네스 얀센, 알베르트 하욱크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슐레만-지이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8001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8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differently-directed roll axes, e.g. for the so-called "universal" rolling process
    • B21B13/1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differently-directed roll axes, e.g. for the so-called "universal" rolling process all axes being arranged in one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8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differently-directed roll axes, e.g. for the so-called "universal" rolling process
    • B21B13/1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differently-directed roll axes, e.g. for the so-called "universal" rolling process all axes being arranged in one plane
    • B21B2013/106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differently-directed roll axes, e.g. for the so-called "universal" rolling process all axes being arranged in one plane for sections, e.g. beams,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22Aligning on rolling axis, e.g. of roll cal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2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mechanically, e.g. by thrust blocks, inserts for removal
    • B21B31/26Adjusting eccentrically-mounted roll bearing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정 가능한 수평로울세트 및 수직로울세트를 구비한 만능압연기
제1도는 옆에서 본 만능 압연기의 부분단면도이고,
제2도는 압연방향으로 본 수평로울세트와 수직로울세트를 갖춘 프레임 케이지의 부분 단면도이고,
제3도는 옆에서 본, 수평로울세트와 수직로울세트가 강하프레임에서 강하되어 있는 프레임 케이지의 도면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이고,
제5도는 옆에서 본 프레임 케이지를 갖춘 만능 압연기의 다른 실시예의 약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이고,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0, 41 : 컬럼비임 14, 16, 18, 45, 46, 47 : 로울
13, 15, 17, 49, 50, 53 : 베어링초크 19, 56 : 프레임 케이지
22, 56a : 경계벽 29, 57 : 지지용 이어
31 : 강하프레임 40a, 41a : 안내면
59 : 인상장치 62 : 편심행정기어
63 : 구동핀
본 발명은, 수평로울세트의 베어링쵸크는 각 컬럼비임쌍들의 컬럼비임들 사이에서, 또한 수직로울세트의 베어링초크는 이 컬러비임쌍의 돌출한 돌출부 사이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컬럼비임쌍들을 연결하는 크로스비임들중의 위의 것은 인상(引上) 가능하고 또는 수평 선회가능한, 조정가능하고 압연기의 창홈안에서 안내되는 수평로울세트 및 수직로울세트를 갖고 있는 만능 압연기, 특히 크로스거어더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각각 크로스비임을 가진 한쌍의 컬럼비임으로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압연대 반부를 가진 형의 만능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류에 속하는 만능 압연기의 공지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회사간행물 SMS SCHLOEMANNSIEMAG AG W 2/317-November 1984 및 W 2/1158-June 1981), 로울교체를 조립 또는 해체하려면 먼저 컬럼비임을 연결하는 두 크로스비임이 압연기로부터 풀리고 상승되거나 외측방향으로 수평선회된다.
이어서 크레인의 도움으로 수평로울세트중의 상부 수평로울이 그의 베어링 초크와 함께 압연기로부터 상승된다. 그 다음 베어링 초크와 함께 수직 로울세트의 수직로울을 인상하기 위해서는 컬럼비임의 밖으로 나온 컬럼비임의 돌출부들 사이에서 이 베어링 초크가 안내되어야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하나의 수직로울 그리고 다음에는 다른 수직로울을 초크와 함게 이 돌출부 영역으로부터 바깥으로 수평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그렇게 되면 수직로울들은 역시 크레인의 도움으로 차례로 압연기로부터 위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그후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 수평로울이 그의 초크와 함께 압연기로부터 인상될 수 있다.
그렇게 때문에 로울세트는 해체하거나 새 로울세트를 조립할때는 조립비용과 시간낭비가 많으면 그로인해 만능 압연대가 배치되어 있는 전체 압연라인은 장시간 운전이 중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압연기의 조립 및 해체를 간략화하고 그리하여 필요로 하는 시간소비 및 조립해체 경비를 절감하는 것은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대상(플래트폴상) 경계벽을 갖고 있고 인상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 케이지(frame cage)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 프레임 케이지는 경계벽의 외면으로 컬럼비임쌍들의 컬럼비임의 서로 대향한 안내면을따라 압연기내에서 수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으로 안내 이동될 수 있고 압연기에 진입하고 안연기에서 퇴출할 수 있으며, 이 프레임 케이지에 있어서 경계벽의 내면은 하나 또는 둘이상의 로울의 베어링 초크의 조정운동을 위한 안내면을 형성하고, 베어링 초크들은 프레임 케이지에 의해 담지되어 있고 및/또는 서로 걸려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모든 로울세트는 그들의 베어링 초크와 함께 공동으로 프레임 케이지가 출입할때 압연기안에 진입하거나 압연기로부터 퇴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프레임 케이지의 경계벽의 안내면에서 안내되지 않는 로울의 베어링 초크는 컬럼비임의 안내면에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수평로울세트중 상부로울의 베어링초크는 프레임 케이지의 경계벽에서 수직안내되고, 수직로울세트의 베어링 초크는 이 경계벽과 걸려 결합될 수 있고, 또한 하부 수평로울의 베어링초크는 수직로울세트의 베어링초크와 걸려 결합될 수 있어, 수직로울세트 및 하부 수평로울의 베어링초크는 컬러비임의 안내면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안내된다.
수평로울세트중의 상부의,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의 로울의 베어링초크가 프레임 케이지의 경계벽 내에 수직으로, 또한 수직로울세트의 베어링초크는 이 경계벽내에서 수평으로 안내되고 지지될때,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생기는데, 왜냐하면 그렇게하면 전체 로울세트가 출입과정중 컬럼비임의 안내면에서 간접 안내될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대응 구조적 형상의 경우에는 프레임 케이지가 로울세트와 함께 횡으로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 태양에 따라, 두 압연대 반부의 컬럼비임에 프레임 케이지와 결합할 수 있고 거리조정 및 위치고정 가능한 인상장치가 배치되면, 수직로울세트의 로울도 수직으로 위치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로울세트의 교체후 로울세트를 압연라인에 조정하려 할때 만능 압연기 전체를 높이 변위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통로 중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직로울의 위치조정이 각 압연 패스사이에 행해질 수 있고 그와 함께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압연재가 가능한한 수평위치에서 로울간극안에 유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에 만능 압연기 전·후에 배치되던 소위 틸팅 테이블 로울러가 생략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라 압연기는 단지 수평로울세트중의 상부로울러 베어링 초크만이 프레임 케이지의 경계벽안에서 수직으로 안내되고 수직로울세트의 베어링 초크는 그 안에서 수평으로 안내되며, 하부 수평로울의 베어링초크는 수직로울세트의 베어링 초크와 걸림 결합되어 컬럼비임의 안내면에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프레임 케이지가 원하는 위치에 옮겨져 위치 고정되고 이어서 수평로울세트의 로울이 조정장치의 도움으로 조정된 새 압연선에 중심 맞춰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종속항에 표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수평로울의 축에 수직한 서로 다른 평면으로 절단된 모습으로 만능 압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의 컬럼비임(1)에는 네개의 지지봉(2)이 관통되어 배치되어 있고, 각 지지봉(2)은 지지봉(2)에 구비된 워엄휘일(4)과 맞물려 있는 동력구동워엄(3)을 통해 회전구동될 수 있다. 지지봉(2)의 양단은 상·하 크로스비임(7, 8)의 홈안에 있는 압력너트(6)와 맞물려 있는 나사스핀들(5)로 되어 있다.
하부 압력너트(6)는 하부 크로스비임(8) 안에 직접 삽입되어 있는 한편, 상부 압력너트(6)는 각각 결합부시(9) 안에 배치되어 있고, 이 결합부시(9)는 하부 압력너트처럼 컬럼비임(1)상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크로스비임(7)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결합(커플링) 부시 주위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상부 크로스비임(7)의 대향단에는 홈(7a)이 있고, 이 홈(7a)은 대응계단형태로 결합부시(9)의 돌출부를 포착하는 한편, 옆으로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크로스비임(7)이 일선회로 약 90°만큼 선회할때 컬럼비임(1)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창(10)을 통해 형성된 자유공간이 제공된다. 하우징 창(10)은 그의 개구가 하부 수평로울(14)의 베어링초크(13)의 폭에 상당하는 하부 측면(11)을 갖고 있다. 돌출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 창(10)의 측면(12)은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15)를 직접 안내할 수 있는 큰 개구를 갖고 있다. 또한 그 위로는 상부 수평로울(18)의 베어링 초크(17)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초크(17)는 경계벽들(22) 사이에서 수직하게 안내되는데 이 벽들(22)은 공동으로 베어링요오크(21)에 의해 프레임 케이지(19)에 결합되어 있고, 프레임 케이지(19)는 인상기구를 사용하여 지지용 고리(20)에 의해 승강될 수 있고, 지지용 고리(20)는 경계벽(22)에 연결된 요오크(21)에 주합되어 있다.
요오크(21) 또는 경계벽(22)은 하우징 창(10)내에서 경계벽(22)의 설치를 제한하고 위치결정하는 측방 고정(억제) 스트립(23)과 연결되어 있다.
압연기내에 있어서 프레임 케이지(19)의 고정위치를 보장하기 위해서, 프레임 케이지의 요오크(21) 및/또는 경계벽(22)에는 고정공(24)(제2도 참조)이 구비되어 있고, 컬럼비임(1)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부재안에 안내된 고정핀이 이 고정공에 삽입될 수 있다. 그래서 경계벽(22)은 한편으로는 하우징 창(10)의 측면에 지지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목적에 따라 축방향 이동으로부터 보호되어 그의 내면으로 상부 수평로울(18)의 베어링초크(17)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한다. 경계벽의 밑으로 향한 경계면은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15)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고 그 초크를 수직이동하지 않도록 받쳐주며, 그리하여 하우징 창(10)의 측면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좁은 유격만을 허용하는 수직안내와 함께 수평안내가 가능해질 수 있고, 마찬가지로 수직로울과 함께 이 베어링쵸크(15)를 미리 수평이동시키지 않고도 간단하게 베어링초크(15)가 상방으로 들려질 수 있다.
경계벽(22)에는 그의 내면의 하부영역에 각각 지지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에는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15)의 상면에 위치되어 수평으로 뻗어있는 지지탄성부(26)가 맞물려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이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15)의 하면에는 후방 절결된 지지홈(27)이 있고, 이 홈에는 지지용 이어(suppotear)(29)의 구부러진 단부가 걸려질 수 있다. 이 지지용 이어(29)는 그 측부에서(제2도 참조) 하부 수평로울(14)의 베어링초크(13)의 돌출부(30)를 감싸고 있다. 그리고 지지용 이어(29)의 하부에 있는 웨브(29b)는 각각 돌출부(30)를 간격을 두고 아래로 둘러싸는 한편, 지지용 이어(29)의 측부(29a)는 베어링 초크(13)의 돌출부(30)의 마모판(wear plate)(30a)에 의해 덮여져 운전중 하부 수평로울(14)의 조정거리에 방해가 될만한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지지용 이어(29)의 하부웨브(29b)는 그의 돌출부(30) 방향의 측면이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로울(14)을 상승시키려 할때 돌출부(30)와 대응 형성된 홈(30b)과 맞물려진다.
로울 교체시는 컬럼비임들(1) 사이에 상·하부 개부를 개방하기 위해 두 상하부 크로스비임(7, 8)을 90°만큼 외측으로 선회시키게 하면 된다.
고정핀을 푼뒤 프레임 케이지(19)는 지지용 이어(29) 작용하는 호이스트에 의한 간단한 인상방법으로 컬럼비임(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그래서 특별한 다른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한, 상부 수평로울(18)의 베어링초크(17)는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15) 위에 놓여지고, 이 두 초크는 경계벽(22)의 지지홈(25) 맞물려 있는 수직로울(16)의 초크(15)의 지지탄성부(스트립)(26)에 의해 위로 들어올려진다. 베어링초크(5)가 들어올려지면 여기에 걸린 지지용 이어(29)도 인상되며, 지지용 이어의 웨드(29b)가 하부 수평로울(14)의 초크(13)의 돌출부(33)에 있는 홈(30b) 안에 놓여진 뒤, 이 초크는 이어의 웨드(29b)가 하부 수평로울(14)의 초크(13)의 돌출부(30)에 있는 홈(30b) 안에 놓여진 뒤, 이 초크는 하부 수평로울(14)과 함께 그리고 두 로울에스ㅌ, 즉 수평로울(18, 14) 및 수직로울(16)이 함께 한번의 동작으로 인상된다.
이들 로울세트를 처리하고 다시 해체하기 위해 그 위에 로울세트가 강하(내려놓여짐) 할 수 있는 강하프레임(31)(제3도 및 제4도 참조)이 있다.
그래서 각각의 베어링초크(13, 15, 17)는 경우에 따라 조정가능하게 형성되는 받침면 위에 내려놓여진다. 하부 수평로울(14)의 베어링초크(13)를 위해서는 조정성 받침판(32)이 설치되고 있고, 베어링초크(15)는 양쪽으로 배치된 지지판(33)에 의해 수납되고, 상부 수평로울(18)의 경계벽(22) 및/또는 베어링초크(17)는 지지판(34)에 의해 수납된다. 또한 경계벽(22)과 베어링초크(17)를 위해 각각 별도의 지자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예컨대 지지판 특히 경계벽을 위한 지지판을 수평로울의 축방향으로 동력수단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유용하다. 이를 위해 경계벽의 상이한 형상 또는 이것에 공통레일에 작용하는 네개의 유압실린더장치(35)가 배설되어 있다.
가역 기어에 의해, 특히 랙들 사이에 단단하게 장착된 피니온에 의해 지지프레임(31)의 상이한 단부에 있는 지지체들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경계벽(22)의 두께가 커지거나 그에 대응하여 컬럼비임(1), 즉 경계벽을 수납하는 하우징 창(10)의 개구폭이 커지면 별도의 고정부재(23)는 생략할 수 있다. 이경우 경계벽(22)의아래로 향한 경계면이 그의 외부영역으로 컬럼비임(1)내에 있어서의 프레임 케이지(19)의 수직위치를 확실하게 하는 한편 이 경계면의 내부영역은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15)의 수직운동을 제한한다.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만능압연기의 실시예는 크로스거어더(4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의 압연대 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각 압연대 반부에는, 각각 상부 크로스비임(43)과 하부 크로스비임(4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는 한쌍의 컬럼비임(40, 41)이 있다. 컬럼비임쌍들의 컬럼비임들(40, 41) 사이에서 두 수평로울(46, 47)의 베어링초크(49, 50)가 수직으로 승강가능하다(제5도).
두 컬럼비임쌍(40, 41; 제6도 및 제7도)에는 외측으로 돌출한(플랜지가 나있는) 돌출부(51, 52)가 있는데, 이 돌출부의 단부는 긴 나사스핀들(51a, 52a)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51, 52) 사이에는 수직로울(45)의 베어링 초크(53)가 수평으로 움직인다. 실시예에서는 이 나사스핀들(51a, 52a)은 이 스핀들의 나사에 의해 안내된 수평 크로스비입(54, 5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압연대 반부의 컬럼비임쌍(40, 41)의 안내면(40a, 41a) 사이에서는 프레임 케이지(56)의 판형상의 경계벽(56a)이 그의 외면으로 안내되고 있다. 이 경계벽(56a)의 내면은 안내면에서 안내되는 상부 수평로울(46)의 베어링초크(49)의 수직 조정운동 뿐만 아니라 수직로울(45)의 베어링초크(53)의 수평 조정운동을 위한 안내면을 갖고 있다. 조정운동 자체는, 상부 수평로울(46)에 대해서는 크로스비임(43)의 대응 상하운동에 의해서 또한 수직로울(45)의 조정운동은 수평크로스비임(54 및 55)의 수평운동에 의해 본 발명에 속하지 않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로울(45)의 베어링초크(53)는 아래로부터 지지되어 서랍모양으로 프레임 케이지(56)의 판형상의 경계벽(56a)에서 안내된다.
하부 수평로울(47)의 베어링초크(50)는 앞의 실시예(제1도 내지 제4도)의 경우에 설명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수직로울(45)의 베어링초크(53)와 여기에 걸려있는 지지용 이어(57)에의해 결합된다.
초크(50)와 함께 하부 수평로울(47)의 수직 조정이동은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속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으로 하부 크로스비임에 의해 행해진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 케이지(56)의 판형상의 경계벽(56a)은 관통홈(58a)과 평평한 수직 접촉면(58b)을 갖고 있다. 이 접촉면(58b)은 인상장치(59)와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뻗은 평평한 안내면(59a)위에 놓여있고 인상장치(59)들은 각각 압연대 반부의 인근 컬럼비임(40, 41)에 쌍으로 배치되어 있고 모우터(60)에 의해 구동되도록 결합스핀들(61)을 통해 작동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인상장치(59)는 편심 행정기어(62)(제5도) 안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 구동핀(63)을 갖고 있고, 그 구동핀(63)은 프레임 케이지(56)의 판형상의 경계벽(56a)의 각 관통홈(58a) 안에 출입할 수 있다(제5도).
컬럼비임(40, 41)에 배치된 쇄선으로 표시된 피스톤-실린더-장치(66)는 조정 동작시 크로스비입(43)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5도 및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프레임 케이지(56)는 압연기의 해체 또는 조립을 위해 컬럼비임(40, 41)의 안내면(40a, 41a)에서 미끄럼 안내되어 압연기로부터 위로 인상되거나 하강된다.
상부 수평로울(46)의 베어링초크(49)는 수직로울(45)의 베어링초크(53)위에 놓여있고, 베어링초크(53)는 서랍식으로 안내되고 아래로 프레임 케이지(56)안에 지지되어 있다. 제1도 내지 4도에 의한 전술한 실시예에에서와 같이, 컬럼비임(40, 41)의 안내면(40a, 41a) 사이에서 직접 안내되는 하부 수평로울(47)의 베어링초크(50)는 수직로울(45)의 베어링초크(53)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용 이어(47)에 걸리게 되어 압연기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압연라인의 위치를 한 수직의 높은 위치(W1) 또는 한 수직의 낮은 위치(W2)(제5도)로 변경하기 위해 서는, 편심행정기어(62)에 배치된 피스톤-실린더-장치(70)의 도움으로 구동핀(63)을 판형상의 경계벽(56a)의 돌출부(58)의 접촉면(58b)의 관통홈(58a) 안에 삽입한다.
이 관통홈(58a)은 수평으로 뻗은 긴 슬롯의 형상(제5도)으로 되어 있다.
편심행정기어(62)의 도움으로 모든 인상장치(59)의 구동핀(63)은 공동의 인상 또는 하강운동을 수행하고 그에 의해 프레임 케이지(56) 그리고 그와함께 수직로울(45)이어떤 위치에 놓여지게 되며그에 따라서 압연선이 (W1)과 (W2) 사이의 원하는 높이로 옮겨진다. 이어서 이 목적을 위해 가볍게 쐐기상으로 뻗은 접촉면을 갖고 있는 구동핀(63)이 관통홈(58)안에 단단히 압입되고 그리하여 프레임 케이지(56)를 조정된 압연위치에 고정시킨다. 뒤이어 수 수평로울(46 및 47)을 크로스비임(43 및 44)에 의해 압연선에 정확히 맞춘다.

Claims (9)

  1. 수평로울세트(18, 14; 46, 47)의 베어링 쵸크(17, 13; 49, 50)는 각 컬럼 비임쌍들의 컬럼비임들(1; 40, 41) 사이에서, 그리고 수직로울세트(16;45)의 베어링초크(15;53)는 이 컬러비임쌍들의 바깥으로 돌출한 돌출부 사이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컬럼비임쌍들을 연결하는 크로스비임들(7;43)중에서 최상부의 것은 수평으로 또는 인상을 위해 선회가능하고, 경계벽(22;56a)을 가지며 그 안내면으로 안내되는 지지프레임은 컬럼비임쌍의 컬럼비임(1:40, 41의 상호 마주보는 안내면과 적어도 상부 수평로울(18;46)의 베어링초크(17;49)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하며, 크로스거어더에 의해 연결되고 크로스비임(7, 8;43, 44)을 가진 한쌍의 컬럼비임으로 각각 구성된 두개의 압연대 반부를 가진 만능압연기 형태의, 컬럼비임(1; 40, 410의 창홈안에서 안내되는 수평로울세트(18, 14; 46, 47) 및 수직로울세트(16; 45)를 구비한 만능압연기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판형상 경계벽(22, 56a)들은 상부 수평로울(18; 46)의 베어링초크(17;49)만을 위해서 또는 이 베어링초크(17;49)들과 수직로울(16;45)의 베어링초크(15;53) 모두를 위해서, 프레임 케이지(19;56)를 이루는데, 이 프레임 케이지는 인상장치와 연결가능하고, 수직하게 압연기 아래로 하강 또는 압연기 위로 인상가능하며, 수직로울세트(16;45)의 베어링초크(15;53)는 프레임케이지(19;56)에서 걸림 결합되거나 또는 안내되고, 하부 수평로울세트(14;47)의 베어링초크(13;50)는 걸림 결합되며 수직로울세트(16;45)의 초크(15;53)에서 주기하게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케이지(19)의 경계벽(22)과 수직로울세트(16)의 베어링초크(15)를 안내하는 컬럼비임(1)의 안내면 및 프레임 케이지(19)의 외부 경계벽(22)은 각각 한평면에 놓여있으며, 하부 수평로울(14)의 베어링초크(13)를 위하여 안내면을 향하여 내측으로 향한 컬럼비임(1)의 돌출부를 넘어 연장되고, 그래서 돌출부의 위로 향한 면은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15)의 수평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궤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 케이지(19)는 고정공(24)내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핀에 의해 압연대 반부의 컬럼비임(1)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수평로울(46)의 베어링초크(49, 50) 및 수직로울세트(45)의 베어링초크(53)를 프레임 케이지(56)의 경계벽(56a)내에서 안내하는 것은 수직로울세트(45)의 베어링초크(530가 이 프레임 케이지(56)내에서 서랍식으로 안내되어 이루어지고 하부 수평로울(47)의 걸림결합된 베어링초크(50)는 컬럼비임쌍(40, 41)의 안내면(40a, 41a)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5. 제4항에 있어서, 양 압연대 반부의 컬럼비임(40, 41)에 배치되고 프레임 케이지(56)와 결합될 수 있고 거리조정 및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인상장치(5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압연기.
  6. 제5항에 있어서, 인상장치(59)는 각각 쌍으로 양 압연대 반부의 인접한 컬럼비임(40, 41)에 배치되고 공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상장치(59)는, 프레임 케이지(56)의 접촉면(58b)에 배치될 수 있고 인상 구동요소(63)를 위한 관통홈을 가진 수직안내면(58b)을 갖고 있고, 이상 구동요소는 프레임 케이지(56)의 접촉면에 있는 관통홈(58a)내에 출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8. 제7항에 있어서, 인상 구동요소(63)는 편심 행정기어(62)내에 배설되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9. 제4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수평로울(47)의 베어링초크(50)는, 수직로울(16)의 베어링초크(53)와 결합할 수 있고 그것을 하부에서 파지하는 지지용 이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압연기.
KR1019880005477A 1987-05-16 1988-05-11 조정 가능한 수평로울세트 및 수직로울세트를 구비한 만능압연기 KR950011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16501 1987-05-16
DEP3716501.1 1987-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627A KR880013627A (ko) 1988-12-21
KR950011313B1 true KR950011313B1 (ko) 1995-09-30

Family

ID=632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477A KR950011313B1 (ko) 1987-05-16 1988-05-11 조정 가능한 수평로울세트 및 수직로울세트를 구비한 만능압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44175A (ko)
EP (1) EP0291719B1 (ko)
JP (1) JPH07100163B2 (ko)
KR (1) KR950011313B1 (ko)
CN (1) CN88103216A (ko)
AT (1) ATE78728T1 (ko)
DE (1) DE3873163D1 (ko)
ES (1) ES2033996T3 (ko)
RU (2) RU18380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4587A1 (de) * 1988-10-11 1990-04-12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stellung und zur veraenderung der hoehe der durchlaufebene des walzgutes durch walzen der walzgerueste eines formstahlwalzwerkes
JP2876627B2 (ja) * 1989-07-11 1999-03-31 大同特殊鋼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
DE3942452A1 (de) * 1989-12-22 1991-06-27 Schloemann Siemag Ag Ermittlung der federkennlinie eines vor- und fertiggeruestes
JPH0721306Y2 (ja) * 1990-01-22 1995-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ングルフェーサの段ロールユニット交換装置
IT1252823B (it) * 1991-07-25 1995-06-28 Simac Spa Gabbia di laminazione universale smontabile
ES2106207T3 (es) * 1992-02-26 1997-11-01 Danieli Off Mecc Bastidor de laminacion universal.
DE19508972A1 (de) * 1995-03-13 1996-09-19 Schloemann Siemag Ag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Positionierung von Walzgerüsten mit Kaliberwalzen und diesen vorgeordneten Walzbalken und Walzarmaturen auf die Walzmitte
US5983694A (en) * 1998-05-28 1999-11-16 Morgan Construction Company Rolling mill roll stand
US6341897B1 (en) * 1999-04-20 2002-01-29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Roll support frame without housing
UA29556C2 (uk) * 1999-12-20 2000-11-15 Дочірнє Підприємство "Нексус - Виробничо-Комерційна Компанія " Прокатна кліть
DE10355977A1 (de) * 2003-11-27 2005-06-30 Sms Demag Ag Walzenständer für Stauchgerüste in Walzwerken, der mehrteilig ausgeführt ist
CN100363121C (zh) * 2005-10-10 2008-01-23 燕山大学 空间自位型高刚度万能轧机
CN102189115B (zh) * 2010-03-11 2014-12-03 上海宝信软件股份有限公司 工作辊的正负弯辊切换方法
CN102335676A (zh) * 2010-07-28 2012-02-01 德阳市西川机械技术研究所 一种预应力轧钢机机架
CN102179408B (zh) * 2011-01-24 2012-12-26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万能轧机的轧辊组
CN104138908B (zh) * 2014-07-01 2016-04-20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直接式工作辊水平移动装置
CN104438330B (zh) * 2014-12-18 2016-11-30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板轧机及其多功能驱动梁装置
CN106553380B (zh) * 2015-09-18 2020-10-20 广东中包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制袋机的八边型站立袋全自动制袋机
DE102015218360A1 (de) * 2015-09-24 2017-03-30 Sms Group Gmbh Walzgerüst und Verfahren zum Wechseln von Arbeitswalzen
CN107052044B (zh) * 2016-12-01 2019-02-05 成都金中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集中传动悬臂两辊单偏心套轧机及调节方法
CN106807739B (zh) * 2017-03-10 2019-05-24 唐山坤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万能轧机的偏心压下机构
CN109158425B (zh) * 2018-09-27 2024-04-05 中重科技(天津)股份有限公司 万能轧机传动侧立辊横梁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71156C (de) * 1929-02-07 Demag Akt Ges Walzgeruest
DE919528C (de) * 1941-01-31 1954-10-25 Siemag Vertriebsgesellschaft M Walzenwechselrahmen fuer Walzgerueste
DE1602134A1 (de) * 1967-01-14 1970-04-09 Siemag Siegener Maschb Gmbh Universalwalzgeruest
DE1752581C3 (de) * 1968-06-18 1974-05-09 Bwg Bergwerk- Und Walzwerk-Maschinenbau Gmbh, 4100 Duisburg Quarto-Walzgerüst
FR1600389A (ko) * 1968-07-08 1970-07-20
GB1358646A (en) * 1971-09-06 1974-07-03 Schloemann Ag Universal roll stand
DE2353731C3 (de) * 1973-10-26 1978-09-07 Klaus Dipl.-Ing. 6670 St Ingbert Neumann Einrichtung zum Walzenwechsel an einem Walzgerüst, insbesondere Universal-Walzgerüst
JPS5316791B2 (ko) * 1974-02-18 1978-06-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1719B1 (de) 1992-07-29
US4944175A (en) 1990-07-31
EP0291719A3 (en) 1990-01-10
CN88103216A (zh) 1988-12-07
DE3873163D1 (de) 1992-09-03
EP0291719A2 (de) 1988-11-23
RU1838009C (ru) 1993-08-30
JPH07100163B2 (ja) 1995-11-01
JPS63309312A (ja) 1988-12-16
KR880013627A (ko) 1988-12-21
ES2033996T3 (es) 1993-04-01
ATE78728T1 (de) 1992-08-15
RU2048935C1 (ru) 199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313B1 (ko) 조정 가능한 수평로울세트 및 수직로울세트를 구비한 만능압연기
US4706484A (en) Universal rolling mill
WO2006002732A1 (de) Vorrichtung für die stützung und oszillation einer stranggiesskokille zum stranggiessen von flüssigen metallen, insbesondere von flüssigen stahlwerkstoffen und verfahren zum montieren oder demontieren sowie instandhalten
US5327760A (en) Roller leveller
JP4796276B2 (ja) 圧延装置
US4781882A (en) Guide roller assembly for nuclear reactor refueling apparatus
DE102005017226A1 (de) Vorrichtung für die Stützung und Oszillation einer Stranggießkokille zum Gießen von flüssigem Metall, insbesondere von flüssigem Stahlwerkstoff
KR910005829B1 (ko) 지지롤러를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작업롤을 가지는 압연스탠드
US5195345A (en) Reversing two-high section rolling mill stand
KR940002748B1 (ko) 형강의 압연용 안내장치
JPH01502891A (ja) ハウジング構造
US3926027A (en) Roll changing apparatus for a rolling mill or the like
KR101923097B1 (ko) 세그먼트 롤 작업 장치
JPS6281216A (ja) ロ−ル組替装置
US3631916A (en) Arrangement for mouting rolls in a guide roll rack
SU935144A1 (ru) Вертикальна клеть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KR100646627B1 (ko) 선형 롤 갭 조절이 가능한 연주기 세그먼트
KR101923099B1 (ko) 세그먼트 롤의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세그먼트 롤 작업 장치
CN215844874U (zh) 一种移动装置
CN210059343U (zh) 轧辊的在线补偿装置
SU1622047A1 (ru) Опора валов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со сдвоенным приводом
JPH0357506A (ja) 形材圧延用逆転二段式圧延機
JPH0123606Y2 (ko)
GB2103976A (en) Rolling mill housing
JP5027539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