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076B1 - 이동모국장치 및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그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모국장치 및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그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076B1
KR950011076B1 KR1019910018260A KR910018260A KR950011076B1 KR 950011076 B1 KR950011076 B1 KR 950011076B1 KR 1019910018260 A KR1019910018260 A KR 1019910018260A KR 910018260 A KR910018260 A KR 910018260A KR 950011076 B1 KR950011076 B1 KR 95001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ireless
station
mobi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06A (ko
Inventor
고오이찌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2000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모국장치 및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그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제1도∼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이동모국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도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이동자국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
제3도는 이동모국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
제4도는 고정국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
제5도는 제1무선회선 및 제2무선회선의 설정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무선통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구성도.
제7도는 제1무선회선 및 제2무선회선의 설정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모국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
제9도는 종래의 이동무선통신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본 발명은 휴대무선전화시스템, 자동차전화시스템 또는 코드레스전화시스템 등의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시스템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셀루러 방식의 자동차 무선전화시스템이 있다. 제9도는 그 개략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시스템은 유선전화망(NW)에 접속된 제어국(CS)과, 이 제어국(CS)에 대해서 각각 유선회선(CL1∼CLn)을 거쳐서 접속된 복수의 고정국(BS1∼BSn)과 복수의 이동국(MS1∼MSm)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고정국(BS1∼BSn)은 각각 다른 에어리어에 무선존(E1-∼En)을 형성한다. 이동국(MS1∼MSm)은 자국이 위치하고 있는 무선존의 고정국에 대해서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고 또 이 고정국에서 제어국(CS)을 거쳐서 유선 전화망(NW)에 접속된다.
또 이 시스템은 각 고정국(BS1∼BSn) 및 이동국(MS∼MSm)이 복수의 무선주파수를 공용하고 발호 또는 착호시에 이들의 무선주파수중에서 비어 있는 무선주파수를 선택하여 고정국(BS1∼BSn)과의 사이를 무선접속한다. 소위 주파수분할 다원접속방식(FDMA)을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 이동국(MS3)에서 발호를 행하기 위하여 후크스위치가 ON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이 이동국(MS3)은 우선 제어용 무선주파수를 선택하고 또 자기국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 발신신호를 상기 제어용 무선주파수에 의해서 확립된 제어채널을 거쳐서 무선고정국(BS2)를 향해서 송신한다. 이에 대해서 고정국(BS2)은 수신대기시에 상기 제어채널에 의해 발호의 발생을 감시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국(BS3)에서 발신신호가 도래하면 당해 이동국(MS3) 및 자기국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발호신호를 발생시켜 제어국(CS)으로 송출한다.
제어국(CS)은 상기 발호신호를 포함되는 식별코드로 이 발호가 자기 시스템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자기 시스템의 것이면, 자기 시스템이 보유하는 복수의 봉화용 무선주파수중에서 비어있는 무선주파수를 선택하여 이 무선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봉화채널정보)를 포함하는 발호응답을 고정국(BS2)으로 반송한다. 고정국(BS2)은 제어국(CS)으로부터 상기 발호응답신호가 반송되면 통화채널지정정보 및 발호원의 이동국(MS3)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발신응답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를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이동국(MS3)으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서 이동국(MS3)은 상기 발신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통화채널지정정보에 따라서 고정국(BS2)과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주파수에 의한 봉화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트레이닝을 행한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에 의해서 통화채널이 확립되면, 제어국(CS)에서 유선전화망(NW)으로 발호신호가 송출된다. 이 발호신호가 송출되면 유선전화망(NW)은 제어국(CS) 및 고정국(BS2)를 거쳐서 발호원의 이동국(MS3)으로 다이얼신호의 송출을 요구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이동국(MS3)에서는 이 다이얼신호의 송출을 요구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이동국(MS3)에서는 이 다이얼신호의 송출요구가 도래하면 다이얼조작이 가능하게 된 취지가 표시된다.
이 표시를 확인한 통화자가 다이얼키에 의해서 통화상대방의 다이얼번호를 입력하면 이동국(MS3)은 상기 다이얼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신호를 무선통화채널을 거쳐서 고정국(BS2)으로 송신한다. 고정국(BS2)은 상기 다이얼신호를 수신하면 고정국(BS2)은 상기 다이얼신호를 수신하면 이 다이얼신호를 제어국(CS)을 거쳐서 유선전화망(NW)으로 전송한다. 이때문에, 유선전화망(NW)에서는 교환동작이 행해져 이에 의해서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 전화기가 호출된다. 또 이 호출에 대해서 상대방 통화자가 OFF 후크하여 응답하면 상대방전화기와 발호원의 이동국(MS3)과의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되고 이후 이 통화로를 거쳐서 상대방 전화기와 이동국(MS3)과의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FDMA 방식을 사용한 시스템은 이동국의 수용능력이 낮기 때문에 가입자의 증가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동국장치는 장치본체에 핸드세트를 카알코드(curl cord)등에 의해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문에 통화자가 운전자의 경우에는 카알코드가 운전조작에 악영향을 주든지 또 조수석의 사람이나 뒤좌석의 사람이 통화하려 하여도 카알코드의 길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착선한채로 자유로운 자세로 통화할 수 없어 매우 불편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한정된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면서도 이동국의 수용능력을 높여 가입자의 증가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핸드세트의 조작성을 높여서 자유로운 위치에서 또한 자유로운 자세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이동모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무선통신시스템은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국과 이동국에 대해서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복수의 이동모국과 이들의 이동모국에 대해서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자국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무선회선의 접속방식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주파수 및 복수의 타임슬롯을 공용하는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을 각각 사용하고 또 상기 이동모국은 상기 고정국과 이동자국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제1무선회선에서 사용되는 타임슬롯을 기준으로 상기 제2무선회선에서 사용하는 타임슬롯을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모국장치는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과의 사이에서 시분할다원접속방식을 적용시킨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송수신수단과, 이동자국과의 사이에서 시분할다원접속방식을 적용시킨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송수신수단과, 접속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국과 이동자국과의 사이클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접속제어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1무선회선에서 사용되는 타임슬롯을 기준으로 상기 제2무선회선에서 사용하는 타임슬롯을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이동모국장치는 제1 및 제2무선회선의 각 송신타임슬롯을 설정할 때에 이들의 송신타임슬롯의 타이밍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 및 고정국과 복수의 이동자국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경우에 제1무선회선에서 사용되는 타임슬롯을 기준으로 제2무선회선상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자국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임슬롯을 설정하는 것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이동모국장치는 제1송수신수단과 제2송수신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용하고 이 공용된 송수신수단의 송신전력을 제2무선회선의 바스트송신전력이 제1무선회선을 바스트송신전력보다도 작아지게 제어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동모국장치는 송화음성을 입력하여 이 송화음성을 송화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수화신호를 수화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송수화수단을 설비하고 이 송수화수단을 사용하여 이동자국과의 사이에서 무선통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 무선통화를 위한 타임슬롯을 제1무선회선의 통신과는 독립하여 제2무선회선에 설정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이동무선통신시스템에 의하면, 고정국과 이동모국과의 사이의 통신이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을 사용하여 행해지므로 종래의 FDMA방식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일정한 무선주파수당의 이동국의 수용능력이 향상되고 이에 의해서 가입자의 증설요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동모국과 이동자국과의 사이, 예를 들면 이동국장치본체와 핸드세트와의 사이가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다. 이때문에 카알코드가 불필요하게 되어 핸드세트의 조작성이 매우 향상되고 이에 의해서 후부좌석에서도 착석한 채로 자유로운 자세로 통화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동모국과 이동자국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무선회선에 대해서도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을 적용시키고 그 타임슬롯을 고정국과 이동극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무선회선의 타임슬롯을 기준으로 설정하도록 한 것이므로 쌍방의 무선회선간에서 혼신등의 장해를 일으키지 않고 안정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동모국장치에 의하면 고정국과의 사이에서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에 의해서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되고 또 이동자국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이 이동자국과의 사이에 있어서도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에 의한 무선통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시스템은 유선전화망(NW)에 대해서 각각 유선회선(CL∼CLn)을 거쳐서 접속된 복수의 고정국(BSS1∼BSSn)과 이들의 고정국(BSS1∼BSSn)에 대해서 FDMA/TDMA 방식을 적용시킨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복수의 이동국(MS1∼MSm)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들의 이동국(MS1∼MSm)은 각각 이동모국(MSS)과 이동자국(PSS)으로 구성되고 이들의 이동모국(MSS)과 이동자국(PSS)과의 사이는 FDMA/TDMA 방식을 사용한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다.
FDMA/TDMA 방식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복수의 국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무선주파수를 공유하고 또한 이들이 무선주파수의 각각을 타임프레임구성으로 하고 1타임프레임을 예를 들면 6개의 타임슬롯(TS1∼TS6)으로 시분할한다. 그리고 통신을 행할때에 국이 이들의 무선주파수중에서 적당한 무선주파수를 우선 선택하고 또 이 무선주파수의 6개의 타임슬롯중에서 비어 있는 타임슬롯을 선택하여 설정하고 이후, 이 타임슬롯을 무선회선으로 하여 통신을 행하게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고정국(BSS1∼BSSn), 이동모국(MSS) 및 이동자국(PSS)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제2도는 이동자국(PSS)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이 이동자국(PSS)은 송신계, 수신계 및 제어계로 대별된다. 또 40은 전원으로서 배터리이다.
송신계는 송화기(11)와 음성부호기(SPCOD)(12)와 에러정정부호기(CHCOD)(13)와 디지탈 변조기(MOD)(14)와 가산기(15)와 전력증폭기(PA)(16)와 고주파스위치회로(SW)(17)와 안테나(18)로 구성된다. 음성부호기(12)에서는 송화기(11)에서 출력된 송화신호의 부화가 행해진다. 또 에러정정부호기(13)에서는 상기 음성부호기(12)에서 출력된 디지탈화송화신호 및 후숭하는 제어회로(3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화제어신호의 에러정정부호가 행해진다. 디지탈변조기(14)에서는 상기 에러정정부호기(13)에서 출력된 디지탈화송신신호에 응한 변조신호가 발생된다. 가산기(15)에서는 이 변조신호가 주파수 신세사이저(32)에서 출력된 반송파신호에 가산되고 이에 의해서 주파수변환된다. 전력증폭기(16)에서는 상기 가산기(15)에서 출력된 무선 송신신호가 소정의 송신전력으로 증폭된다. 고주파스위치(17)는 제어회로(31)에서 지정된 송신타임슬롯의 기간만 도통상태로 되고 이 기간에 상기 전력증폭기(16)에서 출력된 무선송신신호를 안테나(18)로 공급하고 이 안테나(18)에서 고정국(BSS1∼BSSn)을 행해서 송출한다.
이에 대해서 수신계는 수신기(RX)(21)와 디지탈복조기(DEM)(22)와 에러정정복호기(CHDEC)(23)와 음성복호기(SPDEC)(24)와 수화기(25)로 구성된다. 수신기(21)에서는 소정타임슬롯에 있어서 안테나(18) 및 고주파스위치(17)에 의해서 수신된 무선수신신호의 주파수변환이 행해진다. 디지탈복조기(22)에서는 상기 수신기(21)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에 대한 비트동기 및 프레임 동기가 취해진다. 그 동기신호는 제어회로(31)로 공급된다. 에러정정복호기(23)에서는 상기 디지탈복조기(22)에서 출력된 디지탈 복조신호가 에러정정복호화된다. 그리고 에러정정복호화에 의해서 얻어진 디지탈화 수화신호는 음성복호기(24)로 출력되고 또 디지탈화 제어신호는 제어회로(31)로 공급된다. 음성복호기(24)에서는 음성부호기(12)의 역변환동작을 행한다. 즉 상기 디지탈통화신호의 복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에러정정복호기(23)의 출력을 복호하여 아나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후 이 복호화처리에 의해서 원래로 되돌려진 아날로그의 수화신호는 수화기(25)에서 확성출력된다.
또 제어계는 제어회로(CONT)(31)와 주파수 신세사이저(SNY)(32)와 수신전계강도검출회로(RSSI)(33)와 발신요구스위치(3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회로(31)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제어부로서 구비한 것이고, 통화제어 및 제2무선회선의 접속제어등을 행한다. 신세사이저(32)는 제어회로(31)의 지시에 따라서 고정국(BSS1∼BSSn)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필요한 국부발진주파수를 발생한다. 수신전계강도 검출회로(33)에서는 고정국(BSS1∼BSSn)에서 송신된 전파의 수신전계강도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는 제어회로(31)로 공급된다.
다음에 제3도는 이동모국(MSS)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이동모국(MSS)은 제1무선회선을 사용하여 고정국(BSS1∼BSSn)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송수신부(50)와 제2무선회선을 사용하여 이동자국(PSS)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송수신부(80)를 갖고 있다.
제1송수신부(50)는 송신계, 수신계 및 제어계로 대별된다. 이들중 송신계는 축적회로(STR)(51)와, 음성부호기(SPCOD)(52)와, 에러정정부호기(CHCOD)(53)와, 디지탈변조기(MOD)(54)와, 가산기(55)와, 전력증폭기(PA)(56)와, 고주파스위치회로(SW)(57)와, 안테나(58)로 구성된다. 축적회로(51)에서는 후술하는 제2송수신부(80)의 수신계에서 출력된 디지탈 통화신호가 일시 축적된다. 음성부호기(52)에서는 상기 축적회로(51)에서 출력된 디지탈통화신호의 속도변환이 행해진다. 또 에러정정부호기(53)에서는 상기 음성부호기(52)에서 출력된 디지탈봉화신호 및 후숭하는 제어회로(3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제어신호의 에러정정부호화가 행해진다. 디지탈변조기(54)에서는 상기 에러정정부호기(53)에서 출력된 디지탈송신신호에 따른 변조신호가 발생된다. 가산기(55)에서는 이 변호신호가 주파수 신세사이저(72)에서 출력된 고주파신호에 가산되고 이에 의해서 무선채널주파수로 변환된다. 그리고 전력증폭기(56)에서는 상기 가산기(55)에서 출력된 무선송신신호가 소정송신전력으로 증폭된다.
고주파스위치(57)는 제어회로(71)에서 지정된 송신타임슬롯의 기간만 도통상태로 되고 이 기간에 상기 전력 증폭기(56)에서 출력된 무선송신신호를 안테나(58)로 공급하고 안테나(58)에서 고정국(BSS1∼BSSn)을 향하여 송출한다.
이에 대해서 수신계는 수신기(RX)(61)와, 디지탈복조기(DEM)(62)와, 에러정정부호기(CHDEC)(63)와, 음성복호기(SPCOD)(64)와, 축적회로(STR)(65)로 구성된다. 수신기(61)에서는 소정타임슬롯에 있어서 안테나(58) 및 고조파스위치(57)에 의해서 수신된 무선수신신호의 주파수변환이 행해진다. 디지탈복조기(62)에서는 상기 수신기(61)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 대한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가 취해져 그 동기신호는 제어회로(71)를 공급된다. 에러정정부호기(63)에서는 상기 디지탈복조기(62)에서 출력된 디지탈복조신호가 에러정정복호화 된다. 그리고 이 에러정정복호화에 의해서 얻어진 디지탈통화신호는 음성복호기(64)로 출력되고 또 디지탈제어신호는 제어회로(71)로 공급된다. 음성복호기(64)에서는 상기 디지탈통화신호의 속도변환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속도변환된 디지탈 통화신호는 축적회로(65)에 일단 축적된 후에 제2송수신부(80)의 송신계로 출력된다.
또 제어계는 제어회로(CONT)(71)와 주파수 신세사이저(SYN)(72)와 수신전계강도검출회로(RSSI)(7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회로(71)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부로서 구비한 것이며, 고정국(BSS1∼BSSn)과의 사이의 접속 및 이동자국(PSS)과의 사이의 접속에 관한 일련의 제어를 실행한다.
주파수 신세사이저(72)는 제어회로(71)의 지시에 따라서 고정국(BSS1∼BSSn)과의 사이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국부발진 주파수를 발생한다. 수신전계강도검출회로(73)에서는 고정국(BSS1∼BSSn)에서 송신된 무선송신신호의 수신전계강도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는 제어회로(71)로 공급된다.
한편, 제2송수신부(80)는 상기 제1송수신부(50)와 같이 송신계, 수신계 및 제어계로 대별된다. 송신계는 음성부호기(SOCOD)(82)와 에러정정부호기(CHCOD)(83), 디지탈변조기(MOD)(84), 전력증폭기(PS)(86)와, 고주파 스위치회로(SW)(87)와, 안테나(88)로 구성된다. 이들중 전력증폭기(86)의 송신전력은 상기 제1송수신부(50)의 전력증폭기(56)의 송신전력에 비해서 낮게 설정되어 있다. 수신계는 수신기(RX)(91)와 디지탈복조기(DEM)(92)와, 에러정정복호기(CHDEC)(93)와, 음성복호기(SPDEC)(94)로 구성된다. 제어계는 주파수 신세사이저(102)와 수신전계강도검출회로(103)을 갖고 있다. 주파수 신세사이저(102)는 제어회로(71)의 지시에 따라서 이동자국(PSS)과의 사이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국부발진 주파수를 발생한다. 수신전계강도검출회로(103)에서 이동자국(PSS)에서 송신된 무선송신신호의 수신전계강도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는 제1송수신부의 제어회로(71)로 공급된다.
최후에 제4도는 고정국(BSS1∼BSSn)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고정국(BSS1∼BSn)은 상기 이동자국(PSS)과 같이 송신계, 수신계 및 제어계로 대별되고 또 송신계 및 수신계를 유선회로(CL1∼CLn)으로 접속하기 위한 하이브리드회로(111)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계는 음성부호기(SOCOD)(112)와, 에러정정부호기(CHCOD)(113)와, 디지탈변조기(MOSD)(114)와, 가산기(115)와 전력증폭기(PA)(116)과, 고주파스위치회로(SW)(117)와, 안테나(118)로 구성된다. 음성부호기(112)에서 유선전화망(NW)측에서 유선회로(CL)를 거쳐서 매도한 송화신호의 부호화가 행해진다. 또 에러정정부호기(113)에서는 상기 음성부호기(112)에서 출력된 디지탈화 송화신호 및 후술하는 제어회로(3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화한 제어신호의 에러정정부호화가 행해진다. 디지탈변조기(114)에서는 상기 제어정정부호기(113)에서 출력된 디지탈화 송신신호에 따른 변조신호가 발생된다. 가산기(115)에서는 변조신호가 주파수 신세사이저(32)에서는 출력된 반송파신호에 가산되고 이에 의해서 주파수 변환된다. 전력증폭기(116)에서는 상기 가산기(115)에서는 출력된 무선송신신호가 소정의 송신전력으로 증폭된다. 고주파스위치(117)는 제어회로(131)에서 지정된 송신타임슬롯이 기간만 도봉상태로 되고 이 기간에 상기 전력증폭기(116)에서 출력된 무선송신신호를 안테나(118)로 공급하며 이 안테나(118)에서 이동모국(MSS1∼MSSm)를 향하여 송출된다.
이에 대해서 수신계는 수신기(RX)(121)와, 디지탈복조기(DEM)(122)와, 에러정정복호기(CHCOD)(123)와, 음성복호기(SPDEC)(124)와, 수화기(125)로 구성된다. 수신기(121)에서는 소정의 타임슬롯에 있어서 안테나(118) 및 고주파스위치(117)에 의해서 수신된 무선수신신호의 주파수 변환이 행해진다. 디지탈 복조기(122)에서는 상기 수신기(121)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 대한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가 취해지고 그 동기신호는 제어신호(131)로 공급된다. 에러정정복조기(123)에서는 상기 디지탈복조기(122)에서 출력된 디지탈 복조신호가 에러정정복호화 된다. 그리고 이 에러정정복호화에서 의해서 얻어진 디지탈화수화신호는 음성복호기(124)로 출력되고 또 디지탈제어신호는 제어회로(131)로 공급된다. 음성복호기(124)에서는 상기 디지탈화 통화신호의 복호화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복호화처리에 의해서 원래로 되돌려진 아날로그 수화신호는 하이브리드회로(111)를 거쳐서 유선회선(CL)으로 송출된다.
또 제어계는 제어회로(CONT)(131)와, 주파수 신세사이저(SYN)(132)와, 수신전계강도검출회로(RSSI)(133)와, 발신요구스위치(3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회로(131)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부로서 구비한 것이며 제1무선회선의 접속통제등을 행한다. 신세사이저(132)는 제어회로(131)에 의해 지정된 무선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발생한다. 수신전계강도검출회로(133)에서는 이동모국(MSS1∼MSSm)에서 송신된 전파의 수신전계강도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는 제어회로(131)로 공급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동작을 제1도∼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제 가령 고정국(BSS2)의 무선존(E2)에 존재하는 이동국(MS2)에 있어서, 이동자국(PSS)을 사용하여 봉화자가 발신요구스위치(34)를 조작하였다고 하자 그러면 이동자국(PSS)은 우선 자국의 ID코드를 삽입한 발신신호를 작성하고 이 발신신호를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이동모국(MSS)으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서 이동모국(MSs)은 이동자국(PSS)에서 발신신호가 도래하면 우선 고정국(BSS1∼BSSn)과의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회선중의 비어 있는 것을 서치한다. 즉, 우선 제5도에서와 같이 복수의 수화용 무선주파수(fRA)(A=1,2,……n)중에서 우선 fR1을 수신하는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 fR1의 수신전계강도로 타임슬롯(TS1∼TS6)중에 비어 있는 타임슬롯이 하나라도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 예를 들면 상기 수화용 무선주파수(fR1)의 전체 타임슬롯(TS1∼TS6)이 사용중이었다고 하면 이번에는 수화용 무선주파수(fR2)를 수신하는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주화용 무선주파수(fR2)의 타임슬롯(TS1∼TS6)에도 전혀 비어있는 것이 없으면 다음 수신무선주파수(fR3)를 수신하여 그 사용상황을 조사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이동모국(MSS)은 수화용 무선주파수의 타임슬롯(TS1∼TS6)에 비어있는 것이 발견되도록까지 이상의 제어를 반복한다.
그런데 이제 예를 들어 수화용 무선주파수(fR1)에 있어서 비어있는 타임슬롯이 발견되었다 하자 그러면 이동 모국(MSS)은 이 수화용무선주파수(fR1)에서 사용중인 타임슬롯(TS1)의 수신신호에서 동기워드를 검출하고 이 동기워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이 타임슬롯(TS1)에 뒤이어 비어 있는 타임슬롯(TS2)의 위치를 산출하고 이 위치(TS2)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화용 무선주파수(fR1)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제어회로(71)내의 RAM에 기억한다. 그리고 주파수 신세사이저(72)를 제어하여 제어채널 C-CH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비어있는 타임슬롯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수화용 무선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이동모국(MSS)의 식별코드가 삽입된 발신신호를 작성하고 이 발신신호를 상기 제어채널 C-CH에 의해서 고정국(BSS1∼BSSn)을 향하여 송신한다. 또 여기서 상기 제어채널에는 사전에 설정된 제어용 무선주파수가 사용된다.
한편 고정국(BSS1∼BSSn)은 대기상태에 있어서 제어회로(131)에 의해서 유선전화망(NW)으로 부터의 착신신호의 착신감시와 각 이동국(MS1∼MSm)의 이동모국(MSS)으로부터의 발신신호의 착신감시를 반복하여 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국(MS2)의 이동모국(MSS)에서 발신신호가 착신되면 고정국(BSS2)은 이 발신신호에 포함되는 이동모국(MSS)의 식별코드를 포함한 발신응답신호를 작성하고 이 발신응답신호를 제어채널(C-CH)에 의해서 이동모국(MSS)으로 반송한다.
이에 대해서 이동모국(MSS)은 발신신호의 송신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면서 고정국(BSS2)으로 부터의 발신응답신호의 반송을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이내에 발신응답신호가 반송되면 앞서 기억한 수화무선주파수(fR1)에 따라서 이후 무선주파수(fT1)의 타임슬롯(TS2)의 송신기간만 송신동작하고 또 무선주파수(fR1)의 타임슬롯(TS2)의 수신기간만 수신동작을 행하도록 송신계 및 수신계를 제어한다.
또 발신신호의 송신개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해도 발신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금 사용한 무선주파수 및 타임슬롯에서는 통화채널을 확립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무선주파수 및 비어있는 타임슬롯의 선택을 다시한다.
고정국(BSS2)은 발신응답신호의 반송후에 무선주파수(fT1)의 타임슬롯(TS2)의 수신기간만, 수신동작가능하고 또 무선주파수(fR1)의 타임슬롯(TS2)의 송신기간만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수신계 및 송신계를 제어한다.
그리하여 고정국(BSS2)고 이동국(MS2)의 이동모국(MSS)과의 사이는 제5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주파수(fT1,fR1) 및 그 타임슬롯(TS2)으로 되는 제1무선회선에 의해서 접속된다.
그런데 그와 같이 하여 제1무선회선이 설정되면 이동모국(MSS)은 이 제1무선회선을 기준으로 이동자국(PSS)과의 사이의 제2무선회선의 설정을 행한다. 즉, 이동자국(PSS)과의 사이의 통신용으로서 사전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수화무선주파수를 예를 들면, 세가지 무선주파수(fRA, fRB, fRC)를 차례로 수신하고 이들 중에서 비어있는 타임슬롯을 갖는 수화무선주파수를 검출한다. 이제 가령 수화무선주파수(fRA)를 비어있는 타임슬롯이 있었다고 하면 다음에 이 수화무선주파수(fRA)와 쌍을 이루는 송화주파수(fTA)의 비어있는 타임슬롯중에서 상기 제1무선회선의 수화타임슬롯(TS2)의 위치에서 소정기간만큼 늦은 위치에 있는 타임슬롯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이동모국(MSS)에서 고정국(BSS2)으로 보내온 디지탈신호를 제1송수신부(50)에서 수신한 후에 제2송수신부(80)에서 이동자국(PSS)으로 향해서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 예를 들면 2타임슬롯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송화무선주파수(fTA)에서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임슬롯(TS2)이 선택된다.
그리고 송화타임슬롯(TS2)이 선택되면 이동모국(MSS)은 이 송화타임슬롯(TS2) 및 송화무선주파수(fTA)를 지정하기 위한 채널지정정보와 ID코드를 삽입한 발신응답신호를 작성하고 이 발신응답신호를 제어채널을 거쳐서 이동자국(PSS)으로 송신한다. 또 이 송신후에 무선주파수(fTA)의 타임슬롯(TS2)의 송신기간만 송신동작하고 또 무선주파수(fRA)의 타임슬롯(TS2)의 수신기간만 수신동작을 행하도록 수신계 및 송신계를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 이동자국(PSS)은 발신신호와 송신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면서 이동모국(MSS)으로 부터의 발신응답신호의 반송을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발신응답신호가 반송되면 이 발신응답신호에 삽입된 채널지정정보에 따라서 이후 무선주파수(fTA)와 타임슬롯(TS2)의 수신기간만 수신동작하고 또 무선주파수(fRA)의 타임슬롯(TS)의 송신기간만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수신계 및 송신계를 제어한다.
그리하여 이동자국(PSS)과 이동모국(MSS)과의 사이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무선주파수(fTA, fRA) 및 그 타임슬롯(TS2)으로 되는 제2무선회선에 의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이 제2무선회선은 앞에서 이동모국(MSS)과 고정국(BSS2)과의 사이에 설정된 제1무선회선과 이동모국(MSS)에 의해서 접속된다. 이 때문에 이동자국(PSS)과 고정국(PSS2)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통화로가 형성되어 이후 이 통화로를 거쳐서 다이얼신호의 송출이나 통화상대방과의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국(BSS1∼BSSn)과 이동모국(MSS)과의 사이는 물론 이동모국(MSS)과 이동자국(PSS)과의 사이도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동국장치본체와 핸드세트부를 접속하는 카알코드는 필요치 않고 통화자는 예를 들면 자동차내에서 통화하는 장소 및 자세에 규제를 받지 않고 자유로운 위치 및 자세로 통화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통화조작에 관한 자유도를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관광버스등과 같이 실내가 넓은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 본 실시에에서는 고정국(BSS1∼BSSn)과 이동모국(MSS)과의 사이 및 이동모국(MSS)과 이동자국(PSS)과의 사이를 각각 FDMA/TDMA 방식을 적용시킨 무선회선에 의해서 접속되게 한 것이므로 FDMA 방식에 의해서만 접속되는 경우에 비해서 이동국(MS1∼MSm)의 수용능력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가입자의 증가에 비교적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고 또 수적으로 한계가 있는 무선주파수의 유효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무선회선의 송화타임슬롯과 제2무선회선의 송화타임슬롯과의 타이밍을 다르게 하였으므로 두가지 송신계가 동시에 동작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송신 스프리어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피크소비전류를 저감시켜 전원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타임슬롯뿐만 아니고 수신타임슬롯의 타이밍에 대해서도 서로 다르게 하고 있으므로 네가지 전파의 상호간섭을 미연에 방지하여 품질이 우수한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이동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시스템은 이동모국(MSS)에 복수의 이동자국(PSS1,PSS2)을 브랜치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서 복수의 이동자국(PSS1,PSS2)을 동시에 사용하여 공통통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제 가령 고정국(BSS2)과 이동모국(MSS)과의 사이가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무선주파수(fT1, fR1)의 타임슬롯(TS2)을 사용하여 접속되고 또 상기 이동모국(MSS)과 이동자국(PSS1)과의 사이가 무선주파수(fTA, fRA)의 타임슬롯(TS3, TR4)을 사용하여 접속되고 이동자국(PSS1)이 이들의 무선회선을 거쳐서 통화상대방과 통화중인 것으로 하면, 이 상태에서 이 통화에 참가하려고 다른 사람이 이동자국(PSS2)을 사용하여 발신요구 스위치를 조작했다고 하면 이동자국(PSS2)은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발신신호를 이동모국(MSS)으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서 이동모국(MSS)은 이동자국(PSS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기간에 제어채널의 감시를 행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자국(PSS2)으로 부터의 발신신호가 수신되면 이 이동자국(PSS2)에 대해서 무선회선을 할당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
즉, 먼저 이동자국(PSS1)에서 신호가 수신되어 있지 않는 기간에 수화무선주파수(fRA)의 다른 타임슬롯에 비어있는 슬롯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비어있는 타임슬롯이 있으면 이 비어있는 타임슬롯중에 적당한 타임슬롯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적당하다고 판정되는 타임슬롯이라 함은 제1무선회선의 수화타임슬롯(TS2)의 수신타이밍보다도 소정시간이상 늦은 위치에 있고 또 제 무선회선의 송화타임슬롯(TS2)의 송신기간과 일치되지 않는 위치에 있는 타임슬롯이다. 또 상기 소정기간이라 함은 제1실시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모국(MSS)에서 고정국(BSS2)에서 보내온 신호를 수신한 후에 이동자국(PSS2)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이다.
이제 예를 들면 적당한 타임슬롯으로서 수화무선주파수(fRA)의 타임슬롯(TS5)이 발견되었다고 하며 이동모국(MSS)은 이 송화타임슬롯(TS5)에 대응하는 송화무선주파수(fTA) 및 송화타임슬롯(TS4)을 지정하기 위하여 채널지정정보와 ID코드를 삽입한 발신응답신호를 작성한다. 그리고 이 발신응답신호를 제어채널을 거쳐서 이동자국(PSS2)으로 송신한다. 또 이 송신후에 이동자국(PSS1)과의 통신을 위하여 이미 설정중의 송화타임슬롯(TS3)에 가하여 상기 송화타임슬롯(TS4)이 송신기간에 대해서도 송신상태로 하고 또 설정중의 수화무선주파수(fRA)의 수화타임슬롯(TS4)에 가하여 수화타임슬롯(TS5)의 수신기간에 대해서도 수신상태로 한다.
이에 대해서 이동자국(PSS1)은 발신신호의 송신시점에서 일정시간이 경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면서 이동모국(MSS)으로부터의 발신응답신호의 반송을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발신응답신호가 반송되면 이 발신응답신호에 삽입된 채널지정정보에 따라서 이후 무선주파수(fTA)의 타임슬롯(TS4)의 수신기간에만 수신동작하고, 또 무선주파수(fRA)의 타임슬롯(TS5)의 송신기간에만 송신동작을 행하도록 수신계 및 송신계를 제어한다.
그리하여 이동국(PSS2)과 이동모국(MSS)과의 사이는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무선주파수(fTA)의 송화타임슬롯(TS4) 및 무선주파수(fRA)의 수화타임슬롯(TS5)으로 되는 무선회선에 의해서 접속된다. 그리고 이 무선회선은 이미 접속되어 있는 이동자국(PSS1)의 무선회선과 함께 이동모국(MSS)과 고정국(BSS2)과의 사이에 설정된 제1무선회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동자국(PSS2)은 이동모국(MSS)에 대해서 이동국(PSS1)과 함께 브랜치접속되고 이후 공통 통화상대방과의 사이에서 이동국(PSS1)의 통화자와 함께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이동자국(PSS, PSS2)을 이동모국(MSS)에 접속하고 공통통화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브랜치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나타낸 것고 같이 이동모국(MSS)과 이동자국(PSS)과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무선주파수의 1타임 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수가 고정국(BSS1∼BSSn)과 이동모국(BSS)과의 사이에 사용하는 무선주파수의 1타임 프레임에서의 타임슬롯수 보다도 적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한 이유는 이동모국(MSS)와 이동자국(PSS)과의 사이에서는 고정국(BSS1∼BSSn)과 이동모국(MSS)과의 사이에 비해서 회선 트래픽이 낮고 큰 회전용량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이와 같이 하면 디지탈전송데이타의 비트레이트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이동자국(PSS1,PSS2)의 제어회로(31)에서 처리속도가 낮은 CPU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회로를 염가화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이동모국의 고정국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송수신부와 이동자국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송수신부의 일부를 공용화하여 구성한 것이다.
제8도는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모국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또 동 도면에서 상기 제3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했다.
본 실시예의 이동모국은 제1송수신부 및 제2송수신부를 구성하는 각 회로중 제어계의 제어회로(171), 주파수 신세사이저(172) 및 수신전계강도 검출회로(173), 송수신계의 가산기(155), 전력증폭기(156), 고주파스위치(157), 안테나(158) 및 수신기(161)를 각각 공통화시키고 있다. 상기 제어회로(171)는 고정국과의 사이의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송화타임슬롯 및 수화타임슬롯의 타이밍과 이동자국과의 사이의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송화타임슬롯 및 수화타임슬롯의 타이밍이 일치되지 않도록 각 타임슬롯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제어기능을 갖고 있다.
또 제1송수신부 및 제2송수신부에 있어서의 음성부호기(52,82), 음성복호기(64,94) 및 축적회로(54,65)는 1개의 음성코딕으로서 집적화되어 있다. 이 음성코딕은 예를 들면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DSP)(140)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이므로 우선 고정국으로부터 제1무선회선의 수화타임슬롯에 의해서 발송된 디지탈통화신호는 상기 수화타임슬롯의 수신기간중에 안테나(158) 및 음성스위치(157)를 거쳐서 수신기(161)에서 수신되고 그런후에 디지탈복조기(62)에서 처리된다.
그리고 이 복조된 디지탈통화신호는 에러정정복호기(63)에서 에러정정복호화된 후에 음성복호기(64)에서 속도변환되어 축적회로(65)에 일단 축적된다. 이 축적회로(65)에 축적된 디지탈통화신호는 이동자국으로의 송화타임슬롯의 송신시간에 독출되고 음성부호기(82)에서 속도변환된 후에 에러정정부호기(83)에서 에러정정부호화 다.
그리고 디지탈변조기(84)에서 변조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조신호는 가산기(155)에서 주파수 신세사이저(172)에서 발생된 반송파신호에 가산되어 무선송신호로 되고 이 무선송신신호는 전력증폭기(156)에서 증폭된 후에 고주파스위치(157)를 거쳐서 안테나(158)에서 이동자국으로 향하여 송신된다. 또 이때의 전력증폭기(56)의 송신전력은 이동자국까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작은 값으로 제어된다.
한편 이동자국에서 제2무선회선의 수화타임슬롯에 이해서 보내온 무선신호는 상기 수화타임슬롯의 수신기간에 있어서 안테나(158) 및 고주파스위치(157)를 거쳐서 수신기(161)에서 수신되고 디지탈복조기(92)에서 복조된다. 그리고 이 복조된 디지탈통화신호는 에러정정복호기(93)에서 에러정정복호화된 후에 음성복호기(94)에서 속도변환되어 축적회로(54)에 일단 축적된다. 이 축적회로(54)에서 축적된 디지탈통화신호는 고정국으로의 송화타임슬롯의 송신기간에 독출되고 음성부호기(52)에서 속도변환된 후에 에러정정부호기(53)에서 에러정정부호화된다.
그리고 디지탈변조기(54)에서 변조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조신호는 가산기(155)에서 주파수 신세사이저(172)에서 발생된 반송파신호에 가산되어 무선신호로 되고, 이 무선송신신호는 전력증폭기(156)에서 증폭된 후에 고주파스위치(157)를 거쳐서 안테나(158)에서 고정국을 향해서 송신된다. 또 이때에 전력증폭기(156)의 전력은 고정국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국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송수신부를 구성하는 각 회로중의 일부회로를 공용화하고 또한 각 음성부호기, 음성복호기 및 축적회로를 음성코딕으로 하여 종합집적화 함으로써, 이동모국의 회로구성을 간단화 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서 이동국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모국의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에 있어서의 부호화방식 및 변조방식을 동일방식으로 하였으나 이동자국과의 사이의 무선회선은 고정국과의 사이의 무선회선에 비해서 통신국이 짧고 고속 페이징에 의한 에러도 적으므로 제2송수신부의 부호화방식 및 변조방식은 간단한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또 이동모국에 송화기 및 수화기를 내장한 핸드세트를 카알코드등에 의해서 접속해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종래의 이동국과 같이 핸드세트를 사용하여 통화를 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이동자국을 구비하여 예를 들면 자동차내의 후부좌석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핸드세트와 이동자국과의 사이에서 내선통화를 행할 수 있게 하든지 핸드세트 및 이동자국에 의해서 브랜치 통화를 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또 임의의 이동자국의 통화중에 핸드세트와 다른 이동자국와의 사이에서 내선통화를 행할 수 있게 하든지 핸드세트 및 복수의 이동자국을 사용하여 3자 통화를 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에에서는 FDMA/TDMA방식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TDMA방식만을 사용해도 좋다. 또 제1무선회선 및 제2무선회선을 fT1=fR1및 fTA=fRA로 하고 일반적으로 핑퐁방식으로 불리우는 TDD방식에 의해서 무선통신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모국(MSS)이 고정국(BSS)에 대해서 발신할 때에 이동모국(MSS)이 비어있는 타임슬롯을 서치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국(BSS)이 각각 사전에 할당된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서는 각 고정국(BSS)이 각각 자기에 할당된 무선주파수의 비어있는 타임슬롯을 모두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고정국(BSS)이 비어있는 타임슬롯을 서치하여 설정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기타 1타임 프레임의 타임슬롯수나 비트레이트, 고정국의 회로구성, 이동모국 및 이동자국의 회로구성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실시할 수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은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국과 이 고정국에 대해서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복수의 이동모국과 이들의 이동모국에 대해서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자국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무선회선의 접속방식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주파수 및 복수의 타임슬롯을 공유하는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을 각각 사용하고 또 상기 이동모국은 상기 고정국과 이동자국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제1무선회선에 사용되는 타임슬롯을 기준으로 상기 제2무선회선에서 사용하는 타임슬롯을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이동모국장치는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과의 사이에서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을 적용시킨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송수신수단과, 이동자국과의 사이에서 시분할 다원접속방식을 적용시킨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송수신수단과 접속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국과 이동자국과의 사이를 접속할 경우에 상기 접속제어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1무선회선에서 사용되는 타임슬롯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무선회선에서 사용하는 타임슬롯을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정된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면 이동국의 수용능력을 향상시켜 가입자의 증가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고 또한 핸드세트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자유로운 위치에서 자유로운 자세로 통화할 수 있는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및 이동모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9)

  1.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과, 상기 고정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자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자국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국이;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제1접속제어수단과, 상기 제1무선회선의 타임슬롯과 소정관계의 타임슬롯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제2접속제어수단과,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자국간의 무선통신호를 설정하기위해 상기 제1무선회선과 상기 제2무선회선을 접속해주는 제3접속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동모국과 복수의 이동자국들간의 접속들을 동시에 설정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무선회선의 타임슬롯들과 상이한 소정의 관게를 갖는 타임슬롯들을 각각 갖는 복수의 비어있는 무선회선들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주파수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거쳐서 상기 이동모국과 이동자국들간의 접속을 설정해주며, 또한 제3접속제어수단은 접속을 요청하는 상기 고정국과 상기 복수의 이동자국들간의 무선통신호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무선회선과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접속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3. 상기 제2접속제어수단은 적어도 2이동모국들간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요구에 응답하여 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상기 적어도 2이동자국들간의 접속을 설정해주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회선들의 타임슬롯 길이가 상기 제1무선회선들의 타임슬롯 길이보다 긴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
  5.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과, 상기 고정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자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자국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회선 접속방법에 있어서,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단계와, 상기 제1무선회선의 타임슬롯과 소정관계의 타임슬롯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단계와,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자국간의 무선통신로를 설정하기위해 상기 제1과 상기 제2무선회선을 접속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6.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모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이동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수단과, 상기 이동자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자국과 통신하기위한 제2통신수단과, 비어있는 무선으로서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제1접속제어수단과, 상기 제1무선회선의 타임슬롯과 소정관계의 타임슬롯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2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제2접속제어수단과,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자국간의 무선통신로를 설정하기위해 상기 제1무선회선과, 상기 제2무선회선을 접속해주는 제3접속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제어수단은 상기 제1무선회선의 전송타임슬롯으로 임시 전이된 비어있는 전송타임슬롯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을 탐색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통신수단에 의해 할당된 것이 특징이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회선의 전송 전력레벨이 상기 제1무선회선의 전송 전력레벨 보다 낮은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무선회선을 위해 할당된 통신수단의 전송 전력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
  11.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과, 상기 고정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자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자국과, 유선회선을 거쳐 상기 이동모국에 접속되는 고정된 통신국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국이;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제1접속제어수단과, 상기 제1무선회선의 타임슬롯과 소정관계의 타임슬롯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고, 또한 상기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제1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모국간에 무선접속을 설정해주는 제1접속제어수단과, 상기 무선회선, 상기 제2무선회선 및 상기 고정된 통신국중 적어도 2을 서로 접속해주는 제3접속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국은 상기 고정된 통신국과 고정국 간의 접속을 설정하기위해 상기 고정된 통신국에 의한 요청에 응답하여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고, 상기 고정된 통신국의 상기 유선회선들과 상기 제1무선회선간의 접속을 설정해주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국은 상기 고정된 통신국과 이동자국간의 접속을 설정하기위해 상기 고정된 통신국 또는 이동자국에 의한 요청에 응답하여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고, 상기 고정된 통신국의 상기 유선회선들과 상기 제2무선회선간의 접속을 설정해주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국은 상기 고정국과 이동자국이 상기 제1 및 제2무선회선들에 의해 접속되는 동안 브랜치접속을 설정하기위해 상기 고정된 통신국에 의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된 통신국의 상기 유선희선과 상기 제1 및 제2무선회선들을 접속하는 통신로간의 접속을 설정해주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
  15.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과, 상기 고정국에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자국에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이동자국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국이; 소정의 특성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는 수단과,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무선회선의 특성과 소정관계로 특성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는 수단과,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자국간의 무선통신로를 설정하기위해 상기 제1 및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무선회선들을 접속해주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
  16. 통신망에 대해서 유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 고정국과, 상기 고정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자국에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자국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회선 접속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특성을 갖는 비어있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무선회선의 특성과 소정의 관계로 특성을 갖는 무선회선으로서 상기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국과 상기 이동자국간의 무선통신로를 설정하기위해 상기 제1 및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는 동안 발견된 무선회선들을 접속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회선 접속방법.
  17. 한 구역을 복수의 고정국에 할당하고 각 고정국이 상기 구역을 확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무선기를 갖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들중 하나와 상기 제1무선기간의 제1무선접속을 설정하기위한 제1접속제어수단과, 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제1무선기와 제2무선기간의 제2무선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제2접속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선택된 무선회선은 상기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선택된 무선회선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 특성을 가지며, 상기 고정국과 상기 제2무선기간의 통신접속이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2무선접속용 타임슬롯들은 상기 제1무선접속용으로 사용된 타임슬롯들에 준하여 결정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기의 사용자에 의해 발호요구가 있을 경우 제1무선접속이 설정되기전에 상기 제1 및 제2무선기간의 발호요구를 전달하기 위한 제3무선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제3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설정수단은 상기 발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무선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회선은 상기 제2무선회선과 동일 주파수인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장치.
  20. 한 구역을 복수의 고정국에 할당하고 각 고정국이 상기 구역을 확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무선기를 갖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기와 고정국간의 통신접속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기의 송신 전력레벨보다 큰 송신 전력레벨을 갖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2무선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제2무선기간의 제1무선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제1무선기와 제2무선기간의 제2무선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무선회선은 상기 제1무선회선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 특성을 가지며, 상기 고정국과 상기 제1무선기간의 통신접속이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2무선접속용 타임슬롯들은 상기 제1무선접속용으로 사용된 타임슬롯들에 준하여 결정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기와 고정국간의 통신접속 설정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접속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제1무선기의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발호동작에 응답하여 제3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제1무선기와 제2무선기간의 제3무선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기와 고정국간의 통신접속 설정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회선은 상기 제2무선회선과 동일 주파수인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기와 고정국간의 통신접속 설정방법.
  23. 한 구역을 복수의 고정국에 할당하고 각 고정국이 상기 구역을 확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무선기를 갖는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기와 고정국간의 통신접속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기의 송신 전력레벨보다 큰 송신 전력레벨을 갖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제2무선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TDMA) 무선회선들중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과 상기 제2무선기간의 제1무선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주파수와 타임슬롯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TDMA) 무선회선들중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제1무선기와 제2무선기간의 제2무선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무선접속용 타임슬롯들은 상기 제1무선접속용으로 할당된 타임슬롯들에 준하여 할당되며, 상기 고정국과 상기 제1무선기간의 통신 접속이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기와 고정국간의 통신접속 설정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접속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제1무선기의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발호동작에 응답하여 제3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제1무선기와 제2무선기간의 제3무선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무선접속의 설정이 제3무선접속을 거쳐서 송신된 발호요구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무선기와 고정국간의 통신접속 설정방법.
  25. 제각기 무선통신구역을 갖는 복수의 고정국과, 상기 무선통신구역들에서 사용되 는 이동모국장치와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모국장치에 있어서, 비어있는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선택하도록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들에 의해 한정된 제1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여, 상기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들중 하나와 상기 이동모국장치간의 제1무선접속을 설정하는 제1설정수단과, 주파수와 타임슬롯들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중 비어있는 것을 선택하도록 탐색하여 상기 선택된 것을 한정하는 주파수와 타임슬롯과 다른 상기 선택된 제1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한정하며 타임슬롯을 상기 선택된 제2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거쳐서 상기 이동모국장치와 이 이동자국장치간의 제2무선접속을 설정하며, 상기 선택된 제2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의 타임슬롯은 상기 선택된 제1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의 상기 타임슬롯들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제2설정수단과, 상기 제1무선접속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들중 하나로부터 또는 그에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수단과, 상기 제1무선접속을 거쳐서 상기 이동자국장치로부터 또는 그에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레벨이 상기 제1통신수단의 송신 전력레벨보다 낮도록 상기 제2통신수단의 송신 전력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수단은 상기 제2통신수단에 의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장치.
  28. 제각기 무선통신구역을 갖는 복수의 고정국과, 상기 무선통신구역들에서 사용되는 이동모국장치와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모국장치에 있어서, 비어있으며 상기 제1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제2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선택하도록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들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여, 상기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이동모국장치와 이동자국장치간의 제2무선접속을 설정하는 제2설정수단과, 상기 제2무선접속에 상기 제1무선접속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과, 상기 무선접속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으로부터 또는 그에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수단과, 상기 제2무선접속을 거쳐서 상기 이동자국장치로부터 또는 그에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레벨이 상기 제1통신수단의 송신 전력레벨보다 낮도록 상기 제2통신수단의 송신 전력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장치.
  29. 제각기 무선통신구역을 갖는 복수의 고정국과, 상기 무선통신구역들에서 사용되는 이동모국장치와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모국장치에 있어서, 비어있으며 상기 제1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과 소정의 관계를 갖는 제2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을 선택하도록 무선주파수와 타임슬롯들에 의해 한정된 제2복수의 시분할 다원접속 무선회선들을 탐색하여, 상기 선택된 것을 거쳐서 상기 이동모국장치와 이동자국장치간의 제2무선접속을 설정하는 제2설정수단과, 상기 제2무선접속에 상기 제1무선접속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과, 상기 무선접속을 거쳐서 상기 고정국으로부터 또는 그에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수단과, 상기 제2무선접속을 거쳐서 상기 이동자국장치로부터 또는 그에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통신수단에 의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송수신기를 갖는 제2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용 이동모국장치.
KR1019910018260A 1990-10-18 1991-10-17 이동모국장치 및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그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KR95001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7680A JP2994019B2 (ja) 1990-10-18 1990-10-18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親局装置
JP90-277680 1990-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06A KR920009106A (ko) 1992-05-28
KR950011076B1 true KR950011076B1 (ko) 1995-09-27

Family

ID=1758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260A KR950011076B1 (ko) 1990-10-18 1991-10-17 이동모국장치 및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그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76686A (ko)
EP (1) EP0482503B1 (ko)
JP (1) JP2994019B2 (ko)
KR (1) KR950011076B1 (ko)
CA (1) CA2053670C (ko)
DE (1) DE6912020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4378B1 (en) * 1992-03-18 2003-11-25 Broadcom Corp. Transac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portable data terminal and mobile customer service station
US6359872B1 (en) * 1997-10-28 2002-03-19 Intermec Ip Corp. Wireless personal local area network
US6749122B1 (en) * 1990-05-25 2004-06-15 Broadcom Corporation Multi-level hierarchial radio-frequency system communication system
SG47627A1 (en) * 1991-06-03 1998-04-17 British Telecomm Radio system
US5533097A (en) * 1992-02-26 1996-07-02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local and wide area communication units which can store a communication when the wide area communication system is not available
US5548803A (en) * 1992-03-31 1996-08-20 Orion Industries, Inc. Dual-mode booster system
JPH066301A (ja) * 1992-06-23 1994-01-14 Nec Corp 車載電話機
PT723429E (pt) * 1992-09-30 2002-09-30 Vladimir Feingold Sistema de insercao de lentes intra-oculares
JP3079241B2 (ja) * 1992-12-25 2000-08-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US6594471B1 (en) 1993-04-05 2003-07-15 Ambit Corp Radiative focal area antenna transmission coupling arrangement
US7924783B1 (en) 1994-05-06 2011-04-12 Broadcom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s system
US6970434B1 (en) 1995-06-07 2005-11-29 Broadcom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intelligent data, program and processing migration
JP3110217B2 (ja) * 1993-08-26 2000-11-20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通信装置
EP0647074A3 (en) * 1993-09-30 1999-05-06 Alcatel Standard Electrica, S.A. Fixe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491700A (en) * 1993-10-01 1996-02-13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 error correction using an ordered syndrome and error correction lookup table
US7885242B2 (en) 1993-12-23 2011-02-08 Broadcom Corp. Enhanced mobility and address resolution in a wireless premises based network
US5539730A (en) * 1994-01-11 1996-07-23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TDMA/FDMA/CDMA hybrid radio access methods
US5481532A (en) * 1994-06-29 1996-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and service
DE4432001A1 (de) * 1994-09-08 1996-03-14 Siemens Ag Schnurloses Telefonsystem
US5606560A (en) * 1994-09-23 1997-02-25 Motorola, Inc.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ortable device
FI107419B (fi) * 1995-01-26 2001-07-31 Nokia Networks Oy Solukkoradiojärjestelmä, toistin ja tukiasema
JP2871503B2 (ja) * 1995-02-01 1999-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
GB9505488D0 (en) * 1995-03-17 1995-05-03 Rover Group Telephone signal booster
US5535215A (en) * 1995-05-01 1996-07-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 channels and message channel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912925A (en) * 1995-05-18 1999-06-15 Aura Communications, Inc. Diversity circuit for magnetic communication system
WO1996037052A1 (en) * 1995-05-18 1996-11-21 Aura Communications, Inc. Short-range magnetic communication system
US5982764A (en) 1995-05-18 1999-11-09 Aura Communications, Inc. Time-multiplexed short-range magnetic communications
US6097707A (en) * 1995-05-19 2000-08-01 Hodzic; Migdat I. Adaptiv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pparatus and process
JP2661591B2 (ja) * 1995-05-26 1997-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伝送方法
US5598459A (en) * 1995-06-29 1997-01-28 Ericsson Inc. Authentication and handover methods and systems for radio personal communications
US5774856A (en) * 1995-10-02 1998-06-30 Motorola, Inc. User-Customized, low bit-rate speech vocoding method and communication unit for use therewith
DE19618532A1 (de) * 1996-05-08 1997-11-20 Siemens Ag Netzungebundene Telekommunikationsanlage
US5857144A (en) * 1996-08-09 1999-01-05 Ericsson, Inc. In-band vehicular repeater for trunked radio system
US6047160A (en) * 1996-08-29 2000-04-04 Ericsson Inc. Transportable base station for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19638814A1 (de) * 1996-09-20 1998-03-2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digitalen Daten
US6169880B1 (en) 1996-10-16 2001-01-02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of load sharing and prioritization of radio repeaters
DE19644562C1 (de) * 1996-10-26 1998-07-0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drahtlosen Austausch von Daten und Telekommunikationseinheit
US6092228A (en) * 1997-01-14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ssage receiving apparatus and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US6236855B1 (en) * 1997-05-01 2001-05-2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rporation Method for voice quality improvement in a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FR2765434A1 (fr) * 1997-06-26 1998-12-31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telephonique comportant une station de base et au moins un dispositif de combine et procede pour etablir des periodes de veille pour un tel dispositif de combine
US6243585B1 (en) * 1998-05-22 2001-06-05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whose facilities are mobile and whose topology is dynamic
JP2000092560A (ja) * 1998-09-11 2000-03-31 Nec Saitama Ltd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phs公衆基地局装置ならびに移動通信方法
JP3679933B2 (ja) * 1998-09-21 2005-08-03 株式会社東芝 通信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速度切換方法
EP1049347A1 (en) * 1999-04-27 2000-11-02 Robert Bosch Gmbh A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a mobile phone, and a corresponding kit
WO2001013659A1 (en) 1999-08-12 2001-02-22 Elad Barkan Add-on base station for cellular network expansion
US6647244B1 (en) * 1999-11-16 2003-11-11 The Whitaker Corporation Wireless vehicular repeater system
US6961363B1 (en) * 1999-12-02 2005-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equency look-ahead and link state history based scheduling in indoor wireless pico-cellular networks
US6792295B1 (en) * 2000-01-12 2004-09-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reless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embedded phone
DE10007806C2 (de) * 2000-02-21 2002-05-29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Verfahren zum Betrieb eines in einem Fahrzeug eingebauten Funkgeräts und eines tragbaren Funktelefons
US20030096633A1 (en) * 2000-05-13 2003-05-22 Goldberg Steven Jeffrey Human interface detection and switching
WO2002030138A2 (en) * 2000-10-03 2002-04-11 At & T Wireless Services, Inc. Sharing of wireless telephone services for a personal wireless telephone and a vehicular wireless telephone
US7457608B2 (en) 2000-10-03 2008-11-25 At&T Mobility Ii Llc Sharing of wireless telephone services for a personal wireless telephone and a vehicular wireless telephone
US6766175B2 (en) 2000-12-13 2004-07-20 Waxess Technologies, Inc.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US7532901B1 (en) 2001-03-16 2009-05-12 Radeum,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location and orientation in an inductive system
US20020177463A1 (en) * 2001-05-22 2002-11-28 Armando Ruiz Two unit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US7206294B2 (en) * 2001-08-15 2007-04-17 Meshnetworks, Inc. Movable access points and repeaters for minimizing coverage and capacity constra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720458B2 (en) * 2002-05-30 2010-05-1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Rapidly deployable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EP1929738B1 (en) * 2005-09-08 2013-01-16 Nortel Networks Limited Load balancing for an air interface protocol architecture with a plurality of heterogenous physical layer modes
US20070112705A1 (en) * 2005-11-14 2007-05-17 Technology Patents, Llc Balloon/airborne communication system
TWI413409B (zh) * 2008-11-06 2013-10-21 Ind Tech Res Inst 射頻頻道決定與變換方法及其射頻無線收發系統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6779A (en) * 1976-04-05 1977-11-01 Motorola, Inc. Vehicular repeater
US4659878A (en) * 1985-09-11 1987-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free communications between a remote handset and a host subscriber unit in a Cellular Radio Telephone System
JPS6348926A (ja) * 1986-08-19 1988-03-01 Fujitsu Ltd コ−ドレステレホンのマルチチヤネルアクセス方式
WO1989004569A1 (en) * 1987-11-13 1989-05-18 Superior Electronic Developments Pty. Ltd. Communications apparatus
DE3843565A1 (de) * 1988-12-23 1990-06-28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unktelefonsystem in form einer nebenstellenanlage
GB2241850B (en) * 1990-03-08 1994-05-25 Marconi Co Lt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5134615A (en) * 1990-10-05 1992-07-28 Motorola, Inc. Frequency agile tdma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2503A3 (en) 1992-12-30
KR920009106A (ko) 1992-05-28
US5276686A (en) 1994-01-04
CA2053670C (en) 1995-11-07
CA2053670A1 (en) 1992-04-19
DE69120204T2 (de) 1996-11-28
DE69120204D1 (de) 1996-07-18
JPH04154225A (ja) 1992-05-27
JP2994019B2 (ja) 1999-12-27
EP0482503B1 (en) 1996-06-12
EP0482503A2 (en) 199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076B1 (ko) 이동모국장치 및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그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JP3093243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US4955050A (en) System configuration of wireless PBX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JP3034282B2 (ja) 非同期型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KR950000360B1 (ko) 무선통신시스템
JPH1050081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の確立方法
JP33133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固定ユニットおよび移動ユニット
JPH04170825A (ja) 無線通信方式
JP2001028776A (ja) Phs(登録商標)向けの移動局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JP3267944B2 (ja) 無線チャネル割り当てシステム
JPH04306924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2941469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移動局装置
JP3048883B2 (ja) 電話装置
JP322675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3059648B2 (ja) データ通信方式
JPH10107726A (ja) 送信出力切り替え無線中継装通信システム
JP3625413B2 (ja) 中継機
JPH0851663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移動局
JPH0738489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S5934019B2 (ja) 移動無線電話方式
JPH02222226A (ja) チャネル選択指定方法
JPH07240958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JPH08182036A (ja) 無線電話装置
JPH02244832A (ja) 移動通信における無線回線制御方式
JPH07143567A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