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591B1 - 경화포장기 - Google Patents

경화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591B1
KR950010591B1 KR1019910013268A KR910013268A KR950010591B1 KR 950010591 B1 KR950010591 B1 KR 950010591B1 KR 1019910013268 A KR1019910013268 A KR 1019910013268A KR 910013268 A KR910013268 A KR 910013268A KR 950010591 B1 KR950010591 B1 KR 95001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integrated
pair
packag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243A (ko
Inventor
겐끼찌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filed Critical 로오렐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6Devices for stacking or otherwise arranging coins on a support, e.g. apertured plate for use in counting coins
    • G07D9/065Devices for wrapping co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6Rolling articles with wrappers along a supporting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화포장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인 경화포장기의 평면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제2도는 집적드럼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한쌍의 집적드럼과 포장지 안내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4도는 한쌍의 집적드럼과 이를 위한 회전장치의 평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5도는 경화통로와 집적드럼의 측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6도는 안내판과 이를 위한 개폐장치의 평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7도는 제6도의 X-X선을 따라서 본 개략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Y-Y선을 따라 본 개략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Z-Z선을 따라 본 개략단면도.
제10도는 경화를 지지하기 위한 경화지지대를 승·하강 및 전·후진시키는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11도는 집적된 경화를 감은 포장지를 체결토록 하기 위해 체결 클로오(claw)를 승·하강 및 전·후진시키는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집적드럼 2 : 집적드럼축
3, 3 : 포장롤러 4, 69, 77, 88, 89, 93, 98, 104 : 축
5 : 개구 6 : 스파이럴 경화가이드
10 : 구동모터 14 : 전자석 브레이크
21 : 이송밸트 22 : 경화통로
24 : 판형부재 26 : 가압부재
29 : 안내판 30 : 지지판
31, 37 : 안내 롤러 34 : 안내판
35 : 종동롤러 36 : 지지블록
38 : 선회아암 39, 67, 76, 94, 103 : 태핏
40, 71, 78, 95, 105 : 캠 43 : 회전감지판
44 : 모터 46, 111 : 센서
47 : 저속모터 48 : 고속모터
61 : 경화지지대 62 : 포스트아암
65 : 링크 66, 74 : 롤러
68 : 캠케이스 70 : 캠축
72, 73 : 연결부재 75 : 링크
80, 81 : 클로오(claw) 82 : 상부유지부재
83 : 하부유지부재 84 : 상부아암
85 : 조정판 86, 87 : 하부아암
90, 91 : 롤러 92 : 상부링크
96 : 하부링크 97 : 연결링크
99, 100 : 연결부재 101 : 롤러
102 : 링크 106 : 모터
110 : 슬릿 120 : 포장지
121a, 121b, 121c : 노즐 122 : 커터
150 : 아암(부재)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경화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될 경화를 집적토록 하는 한쌍의 집적드럼과, 소정의 수만큼 집적된 경화를 포장지로 포장하는 복수의 포장롤러를 갖는 경화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국 특허번호 제4, 729, 211호에서는, 경화가 하나씩 이송되는 경화통로의 말단부에 경화통로의 폭과 동일한 간격으로 간격지게 위치되고, 그의 외주에는 경화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 스파이럴 경화 가이드가 형성되며, 하나의 스파이럴은 다른것의 반대방향으로 놓이며 두개의 스파이럴은 서로에게 면으로써 신장토록하는 한쌍의 집적드럼을 갖춘 경화집적장치를 포함하는 경화포장기가 나와있다. 여기서 경화집적장치는, 하나의 경화가 경화통로에서 이송되어 올때마다 한쌍의 집적드럼이 대향방향으로 소정의 양만큼 회전되도록 되어 있어서, 경화를 스파이럴 경화 가이드로 집적하여 소정의 경화수가 집적된 후에 롤형상으로 집적된 경화를 개폐가능한 셔터에 위치하도록 하며, 경화포장장치는, 셔터가 개방될 때 낙하하는 집적된 경화를 지지토록 하는 경화집적장치의 셔터아래에 위치시킨 이동가능한 지지부재와, 3개의 이동가능한 포장롤러와, 그리고 하나는 포장롤러위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포장롤러 아래에 위치되는 한쌍의 체결클로오를 가지고, 경화직접장치에 의해 집적된 경화가 지지부재로 이송된 후에는, 집적된 경화는 지지부재의 이동에 의해 3개의 포장롤러 가운데에 위치되며, 포장지는 롤형상으로 집적된 경화위주에 감겨지고, 소정의 수의 경화는 체결클로오에 의해 포장지의 상·하부의 오그려 줌으로써 포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4, 219, 985호에는, 이런종류의 경화포장기를 위하여 포장지의 선단모서리를 집적된 경화의 외주를 따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판을 포함하는 포장지 안내장치가 나와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화포장지는, 포장될 경화의 종류가 바뀔때에는, 그의 직경이 변하므로 포장지의 선단 모서리가 집적경화의 외주를 따라 안내토록하는 복수의 안내판 위치를 변경시켜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포장지 안내장치에는, 포장될 경화의 종류에 따라 포장지 안내판의 위치를 조정토록하는 조정기구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조정기구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링크를 소정의 캠형상을 갖는 캠으로 선회시켜 안내판의 위치를 조정토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없게 된다. 그에 따라, 경화포장기를 소형화시킬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지의 선단 모서리를 안내하는 포장지 안내장치를 매우 소형으로 간단히 구성시켜 장치를 극히 소형화시킬 수 있는 경화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대향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쌍의 집적드럼과, 경화를 그들의 상면으로 지지하고 경화를 집적토록하기 위해 한쌍의 집적드럼위에 형성시킨 스파이럴 경화지지 안내수단과, 그리고 이와 같이 집적된 경화를 포장하기 위한 복수의 포장롤러를 갖춘 경화포장기에 있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경화포장기는 각각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송풍개구가 상기 포장롤러들사이 부분과 면하고 압축공기를 포장지의 선단모서리쪽으로 송풍토록하는 복수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을 더 포함토록 하는 경화포장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한쌍의 집적드럼을 공동(空洞)으로 형성시키고, 포장롤러는 한쌍의 포장롤러(3, 3)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롤러의 각각은 그의 일부가 집적드럼의 외부에 형성되는 개구(5, 5)에서 돌출하도록 하여 각각의 집적드럼(1, 1)에 배치되며, 경화가 포장될때에는 경화가 포장롤러와 경화 이송방향에 대해 한쌍의포장롤러의 상부측에 위치시킨 경화유지수단에 의해 고정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여기에 제1, 제2 및 제3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을 설치하되, 제1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송풍개구는 한쌍의 포장롤러 사이부분에 면하고, 제2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송풍개구는 경화유지수단과 하나의 포장롤러 사이부분에 면하며, 그리고 제3의 압축공기의 송풍수단의 송풍개구는 경화유지수단과 다른 포장 롤러 사이부분과 면하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는, 포장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수단과, 커터수단의 수직위치를 조정토록 하는 커터위치 조정수단을 더 설치하여, 상기 커터위치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커터수단의 수직위치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수직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는, 복수의 포장롤러의 회전을 위해 저속모터 수단과 고속모터수단을 더 설치하여, 복수의 포장롤러는 포장지가 사실상 1번 집적경화의 외주를 감을때까지 저속모터 수단에 의해 회전된후, 상기 고속모터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상기한 복수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을, 복수의 포장롤러가 상기한 저속모터수단에 의해 회전될때만 압축공기가 포장지의 선단모서리쪽으로 송풍되도록 구성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는, 한쌍의 집적드럼위에 아랫쪽으로 편향되는 안내롤러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한 한쌍의 집적드럼 아래부분으로부터, 전·후진 가능한 경화지지수단을 설치하여, 그 경화지지수단은 경화집적이 시작된후 경화포장이 완료될때까지는 최고로 상승된 위치에 놓이며, 경화포장에 앞서 경화집적이 완료된후에는 집적경화를 수용하고 경화의 포장중에 집적경화를 지지토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그외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한쌍의 집적드럼(1, 1)은 공동으로 형성시키고, 축(2, 2)에 선회가능하게 설치한다. 한쌍의 집적드럼(1, 1)에서 포장롤러(3, 3)는 집적드럼(1, 1)에 선회가능하게 고정시킨 축(4, 4)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하되 집적드럼(1, 1)의 축(2, 2)과 평행하게 하여 각각의 포장롤러 일부가 집적드럼(1, 1)의 외주에 형성시킨 개구(5)에서 돌출하도록 한다.
스파이럴 경화가이드(6, 6)는 경화를 그들의 상면으로 지지토록 하기 위해 집적드럼(1, 1)의 외주와 일체로 형성된다. 집적드럼(1, 1)의 스파이럴 경화가이드(6, 6)는 서로에게 면으로써 대향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형성시킨다. 또 개구(5)는 경화가이드(6, 6)가 형성되지 않는 외주부분에 형성된다.
기어(7)는 포장롤러(3, 3)의 각 축(4)의 하부에 고정되며, 이 기어(7)는 집적드럼(1)의 축(2)에 고정되는 기어(8)와 결합한다. 또한, 기어(9)는 집적드럼(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집적드럼(1)과 일체로 축(2)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제4도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드럼 구동모터(10)의 구동력은 기존의 방식과 같이 복수의 기어들을 거쳐 집적드럼(1, 1)에 일체로 고정시킨 기어(9)에 전해진다. 그리하여 집적드럼(1, 1)을 축(2) 주위에 각각 회전시킨다. 특히, 집적드럼 구동모터(10)의 구동력은 그 축(10a)에 고정된 기어(11)에서 기어(12)를 거쳐 기어(9)로 또는 기어(12) 및 그와 결합된 기어(13)를 거쳐 기어(9)로 전달되어 한쌍의 집적드럼(1, 1)를 회전시킨다. 집적드럼(1, 1)이 회전될때, 포장롤러(3, 3)의 축(4)이 집적드럼(1, 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해, 각각의 포장롤러(3, 3)는 집적드럼(1, 1)의 회전에 따라 축(2) 주위를 선회한다.
그와 동시에, 포장롤러(3, 3)의 축에 고정된 기어(7)과 축(2)에 고정된 기어(8)와 각각 결합하기 때문에 포장롤러(3, 3)은 축(4)과 함께 회전한다. 제3도에서, 좌측에 놓인 집적드럼(1)은 축(2) 주위를 시계반대향향으로 회전토록 구성되고 우측에 놓인 집적드럼(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토록 구성되어, 좌측에 놓인 포장롤러(3)는 축(4)과 함께 축(2)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에 놓인 포장롤러(3)는 축(2)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도는 경화(C)의 집적이 완료되고,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주의를 한번이상 감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롤러(3, 3)는 집적드럼(1, 1)내에 각각 설치되어 집적드럼(1, 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집적롤러(1, 1)이 회전할때, 포장롤러(3, 3)는 그의 소정의 위치에서 벗어나므로, 집적된 경화가 원하는 방식으로 포장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집적드럼(1, 1)을 체결토록 하기 위한 전자석 브레이크(14)에 고정되고 기어(13)와 결합되는 기어(15)를 설치한다. 전자석 브레이크(14)는 경화(C)의 집적이 완료되고 포장롤러(3, 3)와 집적된 경화(C) 사이에 약간의 틈이 있는 상태에서 집적된 경화(C)의 외주로 포장지(120)가 이송될 때 커지고, 기어(13)와 기어(12)의 회전을 정지시켜 한쌍의 집적드럼(1, 1)을 체결한다. 또한 전자석 브레이크(14)는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C) 주위를 사실상 1번 감을때 꺼져서 집적드럼(1, 1)의 체결을 해제하고, 집적드럼(1, 1)은, 집적된 경화(C)가 포장롤러(3, 3)와 후술하는 종동롤러(35) 가운데에 포장지(120)를 거쳐 고정될때까지 더욱 회전하여 경화포장을 시작하려는 단계에서 전자석 브레이크는 재차 커져서 한쌍의 집적드럼(1, 1)을 다시 체결한다.
각 축(2)의 하단부에는, 기어(16)가 고정되고 집적드럼(1)을 지지토록 하기 위해 프레임형의 아암부재(150)의 하단부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기어(17)가 연결된다.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의 간극은,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에 이송되는 경화를 위한 경화통로(도시생략)의 폭과 동일한, 즉 집적되어 포장될 경화의 직경과 동일하게 되도록한 기존이, 장치에 의해 조정가능하다.
제5도의 개략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집적드럼(1, 1)의 외주에 형성시킨 스파이럴 경화가이드(6, 6)는 종래장치의 것과 반대방향에서 경화를 지지하도록 형성시킨다. 즉, 그 선단부를 경화 이송방향에 대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다. 제5도에서, 경화(C)는, 경화통로(22)의 상면과 풀리(18), 풀리(19), 그 풀리(20)에 설치한 이송벨트(21) 사이에 유지되듯 수송되어서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로 이송된다. 이송밸트(21)는 풀리(18)를 고정 및 지지하는 축(18a)에 의해 구동되며, 풀리(19)와 풀리(20)는 축(19a)과 축(20a)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19a)과 축(20a)은 경화포장기의 본체에 고정시킨 축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판형부재(24)에 고정되며, 판형부재(24)는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제5도의 축(23)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이송밸트(21)는 풀리(20)에 의해 경화통로(22)의 상면을 누른다. 판형부재(24)의 거의 중앙부에, 가압부재(26)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5)이 고정되며, 가압롤러(27)는 축(25)에서부터 가압부재(26)의 대향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재(26)는 제5도에서, 스프링(28)에 의해 축(25)주위에 시계반대방향으로 편향되며, 그에따라 이송밸트(21)는 가압롤러(27)에 의해 경화통로(22)의 상면을 항상 누르게 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화통로(22)에는, 포장될 경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경화를 수납하기 위해, 작은 경화 수집개구를 형성시켜 그를 통해 경화가 떨어질 수 있게 한다. 안내판(29)은 판형부재의 선단모서리부에 고정시키고, 안내판(29)의 하면은 곡부로 형성시켜, 경화통로(22)에서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로 이송되는 경화(C)의 자세는, 경화의 선단부가 점차 낮혀질 수 있도록 조절된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30)은 축(20a)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그의 한단부에는 안내롤러(31)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그의 타단에는 스프링(32)을 고정시켜, 지지판(30)이 축(20a)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경화통로(22)에서 이송되어온 경화(C)가 안내롤러(31)에 의해 즉시 하측으로 이송되어, 하나의 경화(C)가 후속의 경화(C)와 충돌하는 것과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쨈(jamming) 현상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포장될 경화(C)의 종류에 따라 안내롤러(3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스크류(33)를 설치한다.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에는 경화(C)가 전방에서부터 집적되도록 하기 위해 경화의 이송방향에 대해 집적드럼(1, 1 )의 축(2)에 하측방향으로 놓이는 한쌍의 안내판(34, 34)과, 그리고 경화(C)가 후방에서부터 집적되도록 하기 위해 경화 이송방향에 대해 포장롤러(3, 3)의 상측방향으로 놓이는 종동롤러(35)를 설치한다. 종동롤러(35)는 지지블록(36)에 의해 지지시켜, 그 축이 수직으로 신장토록하며, 지지블록(36)의 상부에는, 경화(C)가 경화통로(22)로부터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로 유연하게 이송되도록 하기위해 안내 롤러(3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판(34, 34)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경화(C)를 집적할때, 그들이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의 부분을 면하는 집적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고, 한편 경화(C)를 포장할때에는, 포장지(120)를 포장롤러(3, 3) 사이로 이송시키기 위해 그들의 집적위치로부터 간격져 후퇴하는 그들의 후퇴위치에 이들 안내판이 유지된다. 제6도에서는 안내판(34, 34)을 이동시키는 장치의 개략평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7도는 이를 X-X방향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도, 제2도, 제6도 그리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아암(38)은 집적드럼(1, 1)의 각각의 축(2)의 상·하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하며, 각각의 안내판(34, 34)은 선회아암(38, 38)의 하나의 측면에 고정된다. 태핏(cam follower)(39, 39)은 선회아암(38, 38)에서 각각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제1도 및 제6도에서, 좌측에 위치한 선회아암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편향되고, 제1도 및 제6도에 우측에 놓인 선회아암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반대 방향으로 편향되며, 그에 의해 각각의 태핏(39, 39)이 캠(40, 40)과 접촉하며 캠의 각각은 집적드럼(1)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형 아암부재(15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반달형상의 캠 로브(cam lobe)를 갖는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드럼(1)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형 아암부재(15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축(41)에 선회가능하게 고정시킨 기어(42)와 동축으로 일체로 각각의 캠(40, 40)을 설치하고, 그리고 회전감지판(43)은 캠(40)과 기어(42)사이부분에 고정시킨다. 기어(42)는 집적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형아암(150)의 하단부에 고정시킨 모터(44)의 모터축(44a)에 고정되는 기어(45)와 결합한다. 경화(C)가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에 집적되고 경화포장작동이 시작될때, 각각의 캠(40, 40)은 모터(44)에 의해 회전하여, 각각의 선회아암(38, 38)이 열린다. 그로인해 안내판(34, 34)이 상호 떨어지게 이동하여 그들의 후퇴위치로 후퇴한다. 그러면, 캠(40, 40)이 반바퀴 선회하여 경화(C)가 포장되는 상태로 놓인다. 경화(C)의 포장동작이 완료된후에, 캠(40, 40)은 반바퀴 더 회전하여, 안내판(34, 34)이 그들의 집적위치로 되돌아온다. 회전감지판(43)의 외주부에는 센서(46)에 의해 감지 가능한 돌출부(43a)를 형성시켜, 센서가 돌출부(43a)를 다시 감지할때 캠(40, 40)이 한번 회전한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제8도는 제1도의 Y-Y선으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개략도이고, 제9도는 제1도의 Z-Z선에서 본 개략도이다.
제1도, 제8도 그리고 제9도에서, 포장롤러는 저속모타(47)와 고속모터(48)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에에서는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회전하여, 한쌍의 포장롤러(3, 3)와 집적된 경화(C) 사이에 약간의 틈이 있게 되고, 그리고 한쌍의 집적드럼(1, 1)이 전자석 브레이크(14)에 의해 체결되고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C)의 주위를 사실상 1번 감게 된후 까지는 한쌍의 포장롤러(3, 3)가 저속모터(47)에 의해 구동된다. 그후,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체결이 해제되어, 한쌍의 집적롤러(1, 1)이 더욱 회전하며, 집적된 경화(C)가 포장지(120)를 거쳐 한쌍의 포장롤러(3, 3)와 종동롤러(35) 사이에 유지된다. 그때, 한쌍의 포장롤러(3, 3)는 고속모터(48)에 의해 회전되어 집적된 경화(C)가 포장된다.
저속모터(47)의 구동력은, 한편으로는 모터축(47a)에 고정된 기어(49)에서 기어(50), 축(51), 한방향 클러치(52), 기어(53), 기어(54), 기어(55), 기어(17), 기어(16), 기어(8), 그리고 기어(7)를 거쳐 제1도의 좌측에 위치한 집적드럼내에서 설치된 포장롤러(3)로 전달되고, 다른 한편은, 기어(49)에서 기어(50), 축(51), 한방향 클러치(52), 기어(53), 기어(54), 기어(55), 기어(56), 기어(57), 기어(17), 기어(16), 기어(8), 그리고 기어(7)를 거쳐 제1도 우측에 놓인 집적드럼내에 위치한 포장롤러(3)에 전달된다. 고속모터(48)의 구동력은 한편으로는, 모터축(48a)에 고정된 풀리(58)에서 전동밸트(59), 풀리(60), 풀리(60)와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54), 기어(55), 기어(17), 기어(16), 기어(8), 그리고 기어(7)를 거쳐 제1도에서 좌측에 위치한 집적드럼내에 놓이는 포장롤러(3)에 전달되며, 다른한편은, 모터축(48a)에 고정된 풀리(58)에서 전동밸트(59), 풀리(60), 기어(54), 기어(55), 기어(56), 기어(57), 기어(17), 기어(16), 기어(8), 그리고 기어(7)를 거쳐 제1도의 우측에 위치한 집적드럼내에 설치한 포장롤러(3)에 전달된다. 따라서 저속모터(47)가 구동될때, 비록 고속모타(48)는 이와함께 회전하지만, 고속모터(48)의 토오크가 작기 때문에, 고속모터(48)의 회전은 저속모터(47)의 구동력의 전동에 대해 어떤 부하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고속모터(48)가 구동될때, 비록 기어(53)가 이와함게 회전하지만, 고속모터(48)의 구동력은 한방향 클러치(52)에 의해 저속모터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속모터(47)측에의 부하는 고속모터(48)의 구동력의 전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0도는 경화를 지지토록하는 경화지지대를 승·하강 전·후진하는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도 및 제10도에서, 경화지지대(61)는 소정의 수의 경화(C)가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에 집적된 후에 그의 포장위치에서, 집적된 경화(C)를 수용 및 지지토록 구성되며, 그리고 포스트아암(62)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축(63)과 축(64)은 포스트아암(62)의 타단부를 통한다. 포스트아암(62)의 하단부는 링크(65)의 하단부에 설치한 롤러(66)에 의해 지지된다. 태핏(67)은 링크(65)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링크(65)는 축(69)에 의해 롤러(66)와 태핏(67) 사이에 지지되어, 캠케이스(68)의 측면에 고정시킨 축(69) 주위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된다. 태핏(67)은 캠축(70)에 고정시킨 캠축(71)과 접촉한다. 따라서 캠(71)의 회전에 의해, 링크(65)는 축(69) 주위를 선회가능하며 포스트아암(62)과 경화지지대(61)는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축(63)은 경화포장기의 본체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연결부재(72)는 그의 상단부의 근처에서 축(6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의 하단부 부근에는 연결부재(73)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도에서, 연결부재(72)는 생략했다. 각각의 연결부재(72, 73)의 각각의 한단부 부근에는 축(64)을 축(63)과 평행하게 고정시키고 연결부재(73)의 타단에는 롤러(74)를 설치한다. 링크(75)의 한단부는 롤러(74)와 접촉되며 태핏(76)은 링크(75)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링크(75)는 롤러(74)와 접하는 단부와, 캠케이스(68)의 바닥면에 고정된 축(77) 주위를 선회가능하게 하는 태핏(76)이 있는 한단부 사이에서 축(77)에 의해 지지된다. 태핏(76)은 캠축(70)에 고정된 캠(78)과 접한다. 따라서, 캠(78)의 회전에 따라 링크(75)는 축(77) 주위를 선회가능하며, 포스트아암(62)은 연결부재(73)를 통해 축(63) 주위를 선회가능함으로써, 경화지지대(61)는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사이부분에서 전후진 가능하다. 또한, 링크(75)는 제1도에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축(77)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편향되고, 연결부재(73) 역시 제1도에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63)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편향되고, 그 스프링력은 링크(75)를 편향시키는 스프링력보다 작으며, 롤러(74)는 링크(75)의 한단부에 대해 항상 접촉하며, 태핏(76)은 항상 캠(78)에 대해 접촉된다. 이 실시예에서 경화지지대(61)는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에 위치하여, 경화(C)를 집적 및 포장할 때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는 그 포장위치에 위치하며, 경화(C)의 포장이 완료된 후 그리고 소정의 경화(C)를 집적하기 위한 다음의 집적동작이 시작될때까지 낮추어져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사이의 위치에서 멀어지는 그의 후퇴위치에 놓이게 된다.
제11도는 집적된 경화주위를 감는 포장지를 오므리도록 하는 체결클로오를 승·하강 및 전·후진시키는 장치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제1도 및 제11도에서,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각각 상부유지부재(82)와 하부유지부재(83)에 고정되며,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집적된 경화(C) 주위를 감은 포장지(120)의 상·하단부를 오므리도록 되어 있다. 상부유지부재(82)는 상부아암(84)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위치조정가능한 고정위치 조정판(85)에 고정시킨다. 조정판(85)은, 포장될 경화(C)의 종류에 따라 수직위치 조정이 완료된후에 윙너트(85, wing nut)에 의해 상부아암(84)에 고정된다.
하부유지부재는 하부아암(87)의 하단부에 직접 고정시킨다. 축(88)과 축(89) 각각은 상부아암(84)과 하부아암(87)의 타단부를 관통한다. 상부아암(84)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편향되며, 하부아암(87)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편향된다.
또한, 상부아암(84)은 롤러(9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아암(87)은 롤러(91)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롤러(90)는 상부링크(92)의 한단부에 설치하며, 상부링크(92)의 타단부는 캠케이스(68)의 측면에 고정되는 축(93)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태핏(94)은 롤러(90)와 축(93)사이에 상부링크(92)의 측면에 설치되어 캠축(70)에 고정시킨 캠(95)에 대해 접촉한다. 롤러(91)는 하부 링크(96)의 한단부에 설치하며, 하부링크(96)의 타단부는 연결링크(97)를 거쳐 상부링크(92)를 연결된다. 하부링크(96)는, 롤러(91)가 설치되는 부분과 연결링크(97)가 축(98)에 측면에 고정된 축(98) 주위에 선회가능하다. 따라서, 캠(95)의 회전에 따라,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상호 접근 또는 분리이동할 수 있다.
축(88)은 경화포장기의 본체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축(88)의 부근처에는 연결부재(99)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단부 근처에는, 연결부재(100)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도에서는 연결부재(99)를 생략했다. 연결부재(99, 100)의 각각 한단부에는 축(89)이 축(88)과 평행하게 고정되며, 연결부재(100)의 다른단부에는 롤러(101)를 설치한다. 링크(102)의 한단부는 롤러(101)에 대해 접촉하며, 태핏(103)은 링크(102)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링크(102)는 롤러(101)에 대해 접촉하는 부분과 태핏(103) 사이에 축(104)에 의해 지지되어, 캠케이스(68)의 바닥면에 고정된 축(104) 주위를 선회가능한다. 태핏(103)은 캠축(70)에 고정시킨 캠(015)에 대해 접촉한다. 그리하여 캠(105)의 회전에 따라, 링크(102)가 축(104) 주위를 선회하고, 연결부재(100)가 축(88) 주위를 선회하기 때문에 상부아암(84)과 하부아암(87)은 축(88) 주위를 선회함으로써,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한쌍의 집적드럼(1, 1)위에 또는 아래부분에서부터 전·후진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포장지(120) 가 집적된 경화(C) 주위를 포장하고,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가 포장지(120)의 상·하단부를 조이려고 할때,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위와 아래부분으로 이동하고, 또한 그들의 조임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상호 더 가깝게 이동함으로써. 이들은 포장지(120)의 상·하단부를 조인다. 그 이외의 경우는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상호 이격되어 각각 그들의 후퇴위치에 놓이게 되어서 한쌍의 집적드럼(1, 1)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부터 멀어진다.
캠축(70)은 모터(106)에 의해 구동되는바, 모터(106)의 구동력은 기어(107), 기어(108), 등을 거쳐 캠축(70)으로 전달된다. 집적작동과 포작당동의 하나의 사이클은 캠축(70)의 한번의 회전기간동안 완료된다. 센서(111)는, 캠(71)과 캠(105) 사이에의 캠축(70)에 고정된 회전감지판(109)의 슬릿(110)을 감지하여 캠축(70)이 한번 회전하는 것을 감지한다.
그의 집적위치와 그의 후퇴위치 사이에 경화지지대(61)를 움직이도록 하는 캠(78)과 캠(71), 그리고 그들의 체결위치와 후퇴위치 사이에서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를 움직이기 위한 캠(95)과 캠(105)이 캠축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캠(71, 78, 95, 105)의 캠형태는, 경화(C)의 집적이 시작될때, 경화지지대(61)가 그의 집적위치에 놓이고, 캠축(70)이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어 포장지(120)의 상·하단부가 체결된후, 그들의 체결위치에서 그들의 후퇴위치로 상·하 클로오(80, 81)를 이동시킬때에는, 경화지지대(61)는 그의 집적위치에 유지되며, 그리고 캠축(70)이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어 경화지지대(61)를 그의 집적위치에서 그의 후퇴위치로 이동시킬때는,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그들의 후퇴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제3도는 포장지 안내장치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포장지(120)는 포장롤러(3, 3) 주위에 선회가능하게 설치한 안내판에 의해 안내되어, 그 선단모서리가 집적된 경화(C)의 외주를 접촉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는 포장롤러(3, 3)가 집적드럼(1, 1)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안내판을 포장롤러(3, 3) 주위에 설치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안내판 대신, 압축공기를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에 불어넣고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를 집적된 경화(C)의 외주로 유도하는 3개의 노즐(121a, 121b, 121c)을 갖는 포장지 안내장치를 설치한다. 특히, 제1노즐(121a)은 경화이송방향에 대해 한쌍의 포장롤러(3, 3)상부측에 설치하여, 그 송풍개구가 한쌍의 포장롤러(3, 3) 사이부분에 대면하도록 하고, 제2노즐(121b)과 제3노즐(121c)은 경화이송방향에 대해 종동롤러의 상부측에 설치하여 제2노즐(121b)의 송풍개구가 종동롤러(35)와 포장롤러(3, 3)의 하나 사이부분에 대면하도록 하고, 제3노즐(121c)의 송풍개구는 종동롤러(35)와 다른 포장롤러(3) 사이부분에 마주면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노즐(121a, 121b, 121c)의 수직부는 포장지(120)의 폭방향으로 거의 중앙부에 상응한다. 노즐(121a, 121b, 121c)의 수직부가, 포장지(120)의 폭방향으로 거의 중앙부에 대응토록하는 이유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포장지(120)를 위한 커터(122)의 모서리는 포장지(120)의 폭방향에 대해 그의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V"형상으로 형성시키고, 그로인해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도 그의 중앙부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역시 "V"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노즐(121a, 121b, 121c)의 수직부가 그 폭방향에 대해 포장지(120)의 거의 중앙부에 상응하도록 결정함으로써 노즐(121a, 121b, 121c)의 송풍개구에서의 압축공기는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에 대해 송풍되며,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는 집적된 경화(C)의 외주주위에 원하는 방식으로 안내된다. 또한 집적된 경화(C)의 높이는 경화(C)의 종류에 따르기 때문에, 포장지(120)의 폭과 폭방향으로의 그 중앙위치는 경화(C)의 종류에 따르며, 커터(122)의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커터높이 조정장치(도시생략)를 설치하고, 노즐(121a, 121b, 121c)의 수직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노즐높이 조절장치(도시생략)를 설치한다. 노즐높이 조절장치는, 커터높이 조정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커터(122)의 수직부에 따라서 노즐(121a, 121b, 121c)의 수직부를 조절하도록 구성시킨다.
각각의 노즐(121a, 121b, 121c)은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가 송풍개구의 전방부분에 도달할때, 압축공기를 포장지(120)의 선단부 모서리쪽으로 송풍되도록 조절된다. 특히, 소정의 수의 경화(C)가 집적된후에, 전자석 브레이크(14)는, 포장롤러(3, 3)와 집적된 경화(C) 사이에 작은 틈이 생기는 상태에서 커지며, 그로인해 집적드럼(1, 1)에 체결된다. 그때, 포장롤러(3, 3)는 저속모터(47)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되어, 포장지(120)는 포장지 이송장치(도시생략)에서 포장롤러(3, 3) 사이로 이송된다.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가 제1노즐(121a)의 송풍개구 전방부를 통과할때, 제1노즐(121a)내의 솔레노이드밸브(도시생략)가 열린다. 따라서 노즐(121a) 앞에 가해지는 압축공기는 노즐(121a)의 송풍개구를 통과하여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쪽으로 송풍된다. 그 결과,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는 집적된 경화(C)의 외주를 따라 지적된 경화(C)의 외주와 하나의 포장롤로(3) 사이의 틈으로 안내되어 포장지 이송장치에 의해 제2노즐(121b)의 송풍개구 전방부로 더욱 이송된다.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는 제2노즐(121b)의 송풍개구 전방부를 통과할때, 제2노즐(121b)내의 솔레노이드 밸브(도시생략)가 열리고, 노즐(121b) 앞쪽으로 가해지는 압축공기는 노즐(121b)의 송풍개구를 통과하여,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쪽으로 송풍된다. 그 결과,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는 집적된 경화(C)의 외주를 따라 집적된 경화(C)의 외주와 종동롤러(35) 사이의 틈으로 유도되며 제3노즐(121c)의 송풍개구 전방으로 더욱 이송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압축공기는 제3노즐(121c)의 송풍개구로부터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 쪽으로 송풍되어,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가 집적된 경화(C)와 다른 포장롤러(3) 사이의 틈으로 유도된다.
포장지(120)가 이와 같이 집적된 경화(C) 주위를 사실상 1번 감을때, 전자석 브레이크(14)가 해제되어 집적드럼(1, 1)의 체결이 이완된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적드럼 구동모터(10)에 의해 좌측에 위치되는 집적드럼(1)은 시계반대방향으로 약간 선회되며 우측에 위치하는 집적드럼(1)은 시계방향으로 약간 선회되어, 집적된 경화(C)가 포장지(120)를 거쳐 포장롤러(3, 3)와 종동롤러(35) 가운데에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저속모터(47)에 의해 지금까지 회전된 포장롤러(3, 3)는 고속모터(48)에 의해 선회된다.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C) 주위를 사실상 2번감을때, 경화(C)의 포장작동은 완료된다. 포장롤러(3, 3)가 고속모터(48)에 의해 회전되는데,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C)의 외주를 사실상 1번 감았기 때문에,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를 더이상 안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저속모터(47)가 고속모터(48)로 변환된 후에 노즐(121a, 121b, 121c)은 압축공기를 송풍하는 것을 멈춘다. 포장롤러(3, 3)는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C)의 주위를 사실상 1번 감을때까지 저속모터(47)에 의해 회전되므로, 노즐(121a, 121b, 121c)에서 불어온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를 집적된 경화(C)의 외주를 따라 확실히 유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화포장기에서, 소정의 수의 경화(C)는 이하의 방법으로 포장된다.
경화포장기 속에 넣어지는 경화들은 회전가능 디스크(도시생략)위로 이송되어 들어가고 경화통로(22)에 하나씩 이송되어 기존의 방법과 같이 이송밸트(21)에 의해 경화통로(22)의 상면을 누르는 상태로 한쌍의 집적드럼(1, 1)쪽으로 이송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화통로(2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의 수를 세기위한 센서와, 경화(C)의 소정의 수를 센서에 의해 카운트하여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 부분으로 이송될때, 후속의 경화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설치한다.
한쌍의 집적드럼(1, 1)은 집적드럼 구동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바, 제3도에서 좌측에 놓인 집적드럼(1)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3도에서 우측에 놓인 집적드럼(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경화통로(22)로부터 나와서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의 부분으로 이송되는 각각의 경화(C) 판형부재(24)의 선단모서리부에 고정된 안내판(29)의 하면으로 형성된 곡부에 의해 방향이 잡혀져서 경화의 선단측이 경화이송방향에 대해 아래쪽으로 낮춰지고, 지지판(30)의 하단부에 선회되도록 장착된 안내롤러(31)에 의해 즉시 하측방향으로 이송되어지며, 그로인해 경화(C)가 집적드럼(1, 1)의 외주에 각각 형성된 스파이럴 경화가이드(6, 6)에 의해 지지되어서, 경화의 선단측이 경화이송방향에 대해 낮추어지고 또한 한쌍의 집적드럼(1, 1)을 따라서 하측방향으로 더 이송된다. 경화(C)의 집적이 시작될때, 안내판(34, 34)은 그의 집적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경화(C)의 선단측이 안내판(34, 34)에 의해 안내되어 경화(C)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한쌍의 집적 드럼(1, 1) 사이로 집적된다.
한쌍의 집적드럼이 회전할때, 포장롤러(3, 3)의 각각이 그의 축(4) 주위를 회전하고 축(2) 주위를 선회한다. 그때 경화(C)는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부분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소정의 수의 경화(C)가 한쌍의 집적드럼 사이로 집적되고, 포장롤러(3, 3)가 포장롤러(3, 3)와 집적경화(C) 사이에 형성되는 작은 간격위치로 이르면,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회전은 정지되고 전자석 브레이크(14)가 작동되어, 한쌍의 집적드럼(1, 1)이 체결되고 경화(C)의 집적이 완료된다. 경화(C)의 집적이 시작될때, 경화지지대(61)는 그의 포장위치에 위치하며 소정수로 집적된 경화들은 경화지지대(61)의 상면으로 이송된다.
안내판(34, 34)은 경화(C)가 집적되는 동안 그 집적위치에 놓이게 되고 경화를 안내하여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로 집적시키며, 경화집적이 완료되어 한쌍의 집적드럼(1, 1)이 체결될때, 모터(44)는 캠(40)을 회전시키서 안내판(34, 34)을 집적위치로부터 후퇴위치까지 후퇴시키는데, 이때 그 집적위치에서의 안내판(34, 34)은 한쌍의 집적드럼(1, 1)과 마주하고 있으며, 그 후퇴위치에서는 집적된 경화(C)와 포장롤러(3, 3) 사이의 부분으로 포장지(120)가 이송가능하게 되도록 한다. 그런후, 포장지(120)는 포장지 이송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이송되고,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가 각각의 노즐(121a, 121b, 121c)의 개구전방에 이르면, 압축공기를 각각의 노즐(121a, 121b, 121c)에서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 쪽으로 가하여,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가 집적경화(C)의 외주를 따라 안내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포장롤러(3, 3)는 원주속도가 포장지 이송장치로부터의 포장지(120)이 이송속도와 동일하도록 저속모터(47)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당한 공기압력은 노즐(121a, 121b, 121c)에서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에 작용하여 포장지(120)가 확실하게 집적된 경화(C)에 유도되어 집적된 경화(C)에 유도되어 집적된 경화(C)를 감게된다.
그리하여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C)를 사실상 1번 감을때, 전자석 브레이크(14)가 작동해제되어 한쌍의 집적드럼(1, 1)의 체결을 해제하고, 한쌍의 집적드럼(1, 1)은 포장롤러(3, 3)와 종동롤러(35)가 포장지(120)를 경유하여 집적된 경화(C)를 유지할때까지 집적드럼 구동모터(10)에 의해 약간 회전된다. 그리고, 전자석(14)은 다시 작동 "온(on)"되어 한쌍의 집적드럼(1, 1)을 재차 체결한다. 그리고 포장롤러(3, 3)의 회전을 위한 모터는 지속모터(47)에서 고속모터(48)로 변환되어 포장지(120)가 집적된 경화(C)를 고속으로 감는다. 모터가 저속모터(47)에서 고속모터(48)로 변환하는 바로 그때에 포장지(120)는 집적된 경화(C)를 사실상 1번 감은 완료상태이기 때문에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를 더이상 안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노즐(121a, 121b, 121c)은 압축공기를 가하는 것을 정지한다. 포장지(120)가 집적경화(C) 주위를 사실상 두번 감았을 때에는, 포장지 이송장치는 포장지(120)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포장지(120)는 포장롤러(3, 3)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해 커터(122)쪽으로 가압되어 절단된다. 포장지(120)의 절단이 이루어진후, 캠축(70)은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고, 한쌍의 집적드럼(1, 1)에서 떨어진 후퇴위치에 지금까지 위치해있던 상부체결 클로오(80)와 하부체결 클로오(81)는 그들의 체결위치로 이동되어 집적경화(C)주위에 감겨진 포장지(120)의 상·하단부를 체결하고 그때 후퇴위치로 후퇴한다.
그때 캠축(70)의 모터(106)에 의해 회전되어, 지금까지 집적경화(C)를 지지하고 있던 경화지지부(61)가 낮추어져셔 그의 후퇴위치로 더욱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체결 클로오(80), 하부체결 클로오(81), 그리고 경화지지대(61)가 그들의 후퇴위치에 이동된 후에는 전자석 브레이크(14)가 작동 "오프(off)"되어 한상의 집적드럼(1, 1)의 체결을 해제하고, 제3도와 좌측에 위치한 집적드럼(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한편 제3도의 우측에 위치한 집적드럼(1)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로, 이에 포장지(120)가 이미 감겨져 있는 집적경화(C)는 더이상 한쌍의 롤러(3, 3)와 종동롤러(35)에 의해 잡혀져 있지 않게 되고 한쌍의 집적드럼(1, 1) 사이 부분에서 떨어져 기존의 방식으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집적드럼(1, 1)은, 경화(C)의 집적동작이 시작하기 전에 우치되는 대기위치에 도달할때까지 회전되어, 경화(C)의 집적과 포장의 한 사이클이 완료되어, 안내판(34, 34)은 한쌍의 집적드럼(1, 1)을 면하는 그들의 집적위치로 되돌아오며, 경화지지대(61)는 경화(C)의 다음 집적동작이 시작하기 앞서 한쌍의 집적드럼(1, 1)을 마주하는 집적위치로 되돌아 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가 노즐(121a, 121b, 121c)로부터 송풍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집적경화(C)의 외주를 따라 안내되므로, 포장할 경화(C)의 종류가 바뀐다. 하여도, 노즐(121a, 121b, 121c)의 수평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한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를 안내하는 수단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포장지 안내장치를 더욱 소형화 시킬 수 있으며, 그의 구조역시 간단히 구성가능하므로써, 경화포장기를 극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포장로러(3, 3)는 집적드럼(1, 1)중의 하나내에 위치되므로, 경화포장기를 종래의 장치보다 더욱 소형화 시킬 수 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로써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발명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변경, 변화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로써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비록 포장롤러(3, 3)의 각각이 집적드럼(1, 1)의 하나내에 위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의 구성을 갖는 경화포장기에 복수의 포장롤러를 한쌍의 집적드럼 아래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비록 캠(71, 78, 95, 105)이 동일 캠축(70)에 고정되었지만, 만약 경화지지대(61), 상부체결 클로오(80), 그리고 하부 체결 클로오(81)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동시에 이동될 경우,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캠축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비록, 포장롤러(3, 3)가 저속모터(47)에 의해 회전될때에만 노즐(121a, 121b, 121c)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지만, 압축 공기를 포장롤러가 회전하는 동안에 분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비록 집적경화는 한쌍의 포장롤러(3, 3)와 종동롤러(35) 사이에 유지되지만, 종동롤러(35) 대신에 포장롤러(3, 3)와 동일한 원주속도로 회전되는 구동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대향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쌍의 집적드럼(1, 1)과, 그들의 상면으로 경화(C)를 지지하고 경화를 집적하기 위해 한쌍의 집적드럼(1, 1)에 형성시킨 스파이럴 경화 가이드(6, 6)와, 그리고 이와 같이 집적된 경화를 포장하기 위한 복수의 포장롤러를 갖는 경화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경화포장기는 각각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송풍개구가 상기한 포장롤러(3, 3) 사이에 면하는 식으로 배치되고 압축공기는 포장지(120)의 선단모서리쪽으로 분사하도록 설치한 복수의 압축공기 송풍수단(노즐(121a, 121b, 121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집적드럼(1, 1)은 공통(空洞)으로 형성시키고, 포장롤러는 한쌍의 포장롤러(3, 3)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포장롤러(3, 3)는 집적롤러(1, 1)에 위치하며, 그의 일부가 집적드럼의 외주에 형성시킨 개구(5, 5)에서 돌출되도록 하여, 경화가 포장될때 경화는 포장롤러(3, 3)와 경화이송방향에 대해 한쌍의 포장롤러의 상류측으로 위치하는 경화 유지수단(종동롤러(35))에 의해 고정유지 가능하며, 상기한 복수의 압축 공기 송풍수단은 제1, 제2 및 제3의 압축공기 송풍수단(121a, 121b, 121c)을 포함하며, 제1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송풍개구는 한쌍의 포장롤러(3, 3) 사이 부분에 대면하고, 제2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송풍개구는 경화유지수단(종동롤러(35))과 하나의 포장롤러(3) 사이 부분에 대면하며, 제3의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송풍개구는 경화유지수단(종동롤러(35))과 다른 포장롤러(3) 사이에 대면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포장지(120)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수단(122)하고, 커터수단의 수직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커터위치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한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수직위치가 상기한 커터위치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커터수단을 수직위치에따라 조정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4. 제2항에 있어서, 포장지(120)를 절단하는 커터수단(122)과 커터수단의 수직위치를 조절하는 커터위치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한 압축공기 송풍수단의 수직위치는 상기한 커터위치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된 커터수단의 수직위치에 따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한쌍의 포장롤러(3, 3)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저속모터 수단(47)과 고속 모터수단(48)을 더 포함하여, 한쌍의 포장롤러는 상기한 저속모터수단(47)에 의해 집적된 경화외주를 포장지(120)가 사실상 1번 감길때까지 회전하고, 그런후 상기한 고속모터수단(48)에 의해 회전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한쌍의 포장롤러(3, 3)를 회전시키기 위한 저속모터수단(47)과 고속모터수단(48)을 더 포함하여, 한쌍의 포장롤러는 상기한 저속모터수단(47)에 의해 포장지(120)가 집적경화의 외주를 사실상 1번 감을때까지 회전되며, 그런후 상기한 고속모터수단(48)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한쌍의 집적드럼(1, 1) 위에 위치되며 하방으로 편향되는 안내롤러(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쌍의 집적드럼(1, 1) 아래로부터 전·후진 가능한 경화지지수단(경화지지대(61))을 더 포함하여, 경화집적이 시작된후 경화포장이 완료될때까지는 최상높이로 상승된 위치에 놓이며, 경화를 포장하기 앞서 경화의 집적이 완료된후에는 집적된 경화를 수용하며 경화의 포장중에 집적된 경화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유지수단은, 경화가 집적될때 경화를 안내하고, 경화가 포장될때에는 상기한 한쌍의 포장롤러(3, 3)와 그 자체사이에 집적경화를 고정유지하도록 하는 종동롤라(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기.
  10. 제5항에 있어서, 압축공기는 상기한 저속모터수단(47)에 의해 상기한 한쌍의 포장롤러(3, 3)가 회전될때에만, 상기한 복수의 압축공기 송풍수단(121a, 121b, 121c)에서 송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11. 제6항에 있어서, 압축공기는 상기한 한쌍의 포장롤러(3, 3)가 상기한 저속모터수단(47)에 의해 회전될때에만, 상기한 제1, 제2, 그리고 제3압축공기 송풍수단(121a, 121b, 121c)에서 송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포장장기.
KR1019910013268A 1990-08-09 1991-07-31 경화포장기 KR950010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0897A JPH07110652B2 (ja) 1990-08-09 1990-08-09 硬貨包装機
JP2-210897 1990-08-09
JP??2-210897 1990-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43A KR920004243A (ko) 1992-03-27
KR950010591B1 true KR950010591B1 (ko) 1995-09-20

Family

ID=1659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268A KR950010591B1 (ko) 1990-08-09 1991-07-31 경화포장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5978A (ko)
JP (1) JPH07110652B2 (ko)
KR (1) KR950010591B1 (ko)
DE (1) DE4126180A1 (ko)
GB (1) GB22474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16B1 (ko) * 2013-10-23 2015-06-02 김경숙 슬리팅기를 이용하여 비닐포장지에 개봉안내선 형성 및 상흔홈 깊이 조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034A (en) * 1993-07-21 1995-02-14 Standardwerk Eugen Reis Gmbh Device for stacking coins or similar disk-shaped objects
US5573457A (en) * 1995-03-07 1996-11-12 Cummins-Allison Corp. Coin Wrapping system with touch screen device
JP3419670B2 (ja) * 1996-12-20 2003-06-23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US5940623A (en) 1997-08-01 1999-08-17 Cummins-Allison Corp. Software loading system for a coin wrapper
US6499277B1 (en) 2000-02-22 2002-12-31 Cummins-Allison Corp. Coin wrapper
ITPR20130067A1 (it) * 2013-08-30 2015-03-01 Forpac S R L Fardellatrice e procedimento di confezionamento a freddo di oggetti con film estensibi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3357A (ko) * 1900-01-01
DE1278327B (de) * 1964-11-07 1968-09-19 Restello Ab Vorrichtung zum Stapeln und Einwickeln von Muenzen, Spielmarken od. dgl. in eine Folie
JPS5148110A (ko) * 1974-10-23 1976-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JPS5431382A (en) * 1977-08-11 1979-03-08 Laurel Bank Machine Co Wrapping device for coin wrapping machine
JPS62208314A (ja) * 1986-02-28 1987-09-12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における包装紙供給巻回方法および包装紙供給巻回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16B1 (ko) * 2013-10-23 2015-06-02 김경숙 슬리팅기를 이용하여 비닐포장지에 개봉안내선 형성 및 상흔홈 깊이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43A (ko) 1992-03-27
JPH04102516A (ja) 1992-04-03
DE4126180C2 (ko) 1993-07-08
GB2247446A (en) 1992-03-04
GB2247446B (en) 1994-05-18
US5155978A (en) 1992-10-20
DE4126180A1 (de) 1992-02-13
JPH07110652B2 (ja) 1995-11-29
GB9116794D0 (en) 1991-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207B1 (ko) 경화포장기
US20060108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swatch-bearing sheets
NL8204629A (nl) Inrichting voor het vastlijmen van het buitenste uiteinde van een opgewikkelde rol papier.
KR950010591B1 (ko) 경화포장기
CA2185609C (en) Loading device having multiple tongs for handling lumber and the like
US719822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of rolls from a rewinder and rewinder comprising said device
KR100241656B1 (ko) 경화포장기
JP2622734B2 (ja) 印刷機械の回転駆動されるバケットホイールから印刷物を引き取る方法及び装置
KR950013216B1 (ko) 경화포장기
KR20020029779A (ko) 주화적층장치
IE890370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US5931287A (en) Loading device having multiple tongs for handling lumber and the like
CA2354951C (en) Apparatus for high speed loading of elongated members
CA2068686C (en) Pressing device for winding machines for producing tubular packs of printed products
JPH0314700B2 (ko)
US6851669B2 (en) Drawing-device mechanism for a machine for processing sheet-like printing materials
GB2075906A (en)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sponge cake material
JP3015929U (ja) 針葉植物の供給装置
KR950000661Y1 (ko) 현금자동 인출기의 지폐 방출장치
JP3293864B2 (ja) 硬貨処理機
JPH0211374Y2 (ko)
KR950004808Y1 (ko) 어란수거장치
JP2592601Y2 (ja) 枚葉印刷機の排紙装置における前当装置
JPS5912688Y2 (ja) 硬貨処理機の硬貨厚規制装置
JPH08300619A (ja) 金属化画像をシート要素に転写する機械における金属化ベルトの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