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070B1 - 천공된 중공실린더를 구비하는 과립화장치 - Google Patents

천공된 중공실린더를 구비하는 과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070B1
KR950010070B1 KR1019880700009A KR880700009A KR950010070B1 KR 950010070 B1 KR950010070 B1 KR 950010070B1 KR 1019880700009 A KR1019880700009 A KR 1019880700009A KR 880700009 A KR880700009 A KR 880700009A KR 950010070 B1 KR950010070 B1 KR 95001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hollow
contact pressure
hollow roll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177A (ko
Inventor
프뢰쉬케 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산트레이드 리미티드
레나르트 퇴귀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004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100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산트레이드 리미티드, 레나르트 퇴귀스트 filed Critical 산트레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8070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0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0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 B30B11/201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for extru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20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 B30B11/201Roller-and-ring machines, i.e. with roller disposed within a ring and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for extruding material
    • B30B11/207Feed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23Hay wafering or pelletiz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Glanulat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공된 중공실린더를 구비하는 과립화장치
제1도는 과립화공정의 개략도.
제2도는 과립화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과립화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따른 과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립화장치는 예를들면 설탕백하를 과립으로 가공처리하거나 또는 사료의 생산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AS 12 87 045). 이러한 경우에 회전중공로울이 구비되고, 두개의 접촉압력로울은 거의 수평면에 위치하는 내벽의 정반대의 부분에서 중공로울과 결합하여 처리될 원료를 압착하게 되며, 이 원료는 중공로울의 축방향으로, 피동중공로울 및 접촉압력로울들 사이의 지역으로 중공로울내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도입된다. 접촉압력로울들과 중공로울의 내부방향의 원주 사이에는 틈새가 구비되어 있다. 이 틈새에 작용하는 보다 높은 압력은 가닥(strand)으로 과립화되는 원료를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착하여 밀어 내보낼 만큼 충분하다. 중공로울의 외부 원주를 향하여 칼날이 구비되어, 과립화된 가닥은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다.
이러한 형태의 과립화장치는 과립화되는 모든 원료에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비교적 저점도성인 원료는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없다. 그러한 원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중공로울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저절로 흘러 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또다른 단점은 압출되는 원료가 계측될 수 없거나 또는 단지 스크레이퍼 칼날에 의해 개략적으로 계측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적하하기 쉬운 원료에 대하여 천공(穿孔)된 회전중공로울들을 가지는 다른 장치들이 제공되었는데(DE P 29 41 802). 여기에서 처리되는 원료는 어떤 정해진 압력에 의해 정지 오리피스열을 통하여 압출되며 천공된 중공실린더의 오리피스를 단속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 하부의 냉각 콘베이어 위에 작은 방울형상으로 집적된다. 이들 이른바 작은 방울 현상은 실제적인 실시에서 매우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나 고점성 원조의 압출시에는 단점들을 가진다. 또한 이들 장치에서는 과립화되는 원료에 관계없이 정해진 용적을 가지는 방울을 생성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또다른 형태의 장치도 또한 알려져 있는데(DE-AS 12 37 540), 여기에는 원주상에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치형돌기를 구비한 정지중공로울이 제공되며, 상기 로울의 정측면 쪽은 열려 있고 과립화되는 원료가 용적 원료의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고 있는 용기 내부로 돌출하고 있다. 정치치형중공로울 내부에 복식아암이 상기 중공로울의 축주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복식아암은 양쪽 끝부분에 중공로울의 치형에 대응하는 접촉압력로울의 치형을 가지는 치형접촉압력로울들을 구비하고 있다. 중공로울은 공급 용기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주의 일부분에 구멍이나 있으며 구멍은 각각 치형돌기의 치형기초부 및 반경방향의 내부로 가장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치형돌기의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 과립화되는 원료는 작은 소세지 형상으로 배출된다. 회전접촉 압력로울들이 고속으로 회전하고 복수개로 존재할 수 있는 배열에 따른 단점은 소세지 형상으로 배출되는 원료를 계측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원료를 작은 방울형상으로 과립화하고 이러한 방울의 용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공지의 설계는 알약 형상으로 과립을 생산하고 각각의 알약의 용적을 계측 결정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예를들면 계약 산업의 경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고점도성 원료를 처리할때 매우 적절하고 처리되는 원료의 과립의 크기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과립화장치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화장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그 구체적인 구성상 특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정해진 용적이 서로 대응하여 맞물리는 치형돌기들의 사이에 형성되고 치형의 측면에 의해 밀폐되어 상기 용적이 구멍열을 통하여 강력하게 압출되는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원료 또는 크기에 따라 치형돌기의 링을 대체하여 장치를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치형돌기에는 인볼류우트(involute)치형 단면이 제공되어, 이러한 방법으로 치형돌기들 사이에 둘러싸이는 용적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수직평면내에 있는 로울측들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또한 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장점으로, 과립화되는 원료는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원료공급장치에 의해 중공로울 내부로 도입된다. 예를들면 배출보어 또는 배출슬롯을 가지는 관형상의 장치에 의해 정해진 방식으로 중공로울 및 접촉압력로울 사이의 회전방향으로 점점 좁혀지는 틈새에 의해 형성되는 구역으로 도입된다. 이런 배치에 의해 비교적 저점도성 원료를 정해진 방식으로 방울의 형성이 발생하는 구역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공로울의 다른 위치에서 원료가 존재하거나 제어되지 않는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은 방지될 수 있다. 원료공급장치에 의해 도입되는 원료의 양은 압출되는 용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 신규한 장치의 또다른 장점으로는 로울들의 축이 수직평면내에 배열되는 경우, 서로 맞물려 있는 치열이 상기 수직평면내의 치열 사이에서 최소한도의 용적을 둘러싸며, 그에 따라 압출이 이 순간에 일어나는 것이다. 치형돌기들 사이에 둘러싸인 용적은 수직평면 쪽으로 향할수록 감소하는 반면에, 두 로울의 그 이상의 회전진행시에는 증가한다. 이러한 사실에 따라 수직평면의 뒤쪽의 어떤 구역에서는 외부의 중공로울에서의 구멍열에 흡입작용이 일어난다. 이것은 강력하게 압출되는 원료를 제외하고는, 요구되지 않는 위치에서 나머지 원료가 배출구멍을 통하여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또다른 장점을 제공한다. 가열후드는 구멍내에 남아 있는 모든 원료를 재가열하여 틈새 내부로 다시 흐르게 하기 위해 외부의 중공로울과 또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원료공급장치는 적하하고 회수되는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적하편을 장착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그러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다른 장점들은 특허청구의 범위 종속항 및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며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제1도는 전 원주상에 걸쳐서 구멍(6)이 구비된 중공로울(1)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로울은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축(1a) 주위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중공로울(1) 내부에는 접촉압력로울(2)이 축(2a)을 가지고 중공실린더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접촉압력로울(2)의 상기 축(2a)은 중공로울(1)의 축(1a)을 가지는 공통 수직면(8)에 위치하고 있다. 제3도에서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로울(1)내의 구멍(6)들은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구멍열로 설계되어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중공로울(1)의 내부원주에 통합되어 있는 두개의 치형돌기(4)들 사이의 치형바닥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압력로울(2)의 외부원주에는 유사한 방식으로 중공로울(1)의 치형돌기(4)에 대응하는 배열을 갖는 치형돌기(5)가 형성되어 있어 중공로울(1)의 내벽(3)에 걸쳐서 접촉압력로울(2)이 원주상을 따라 회전하는 동안에 치형돌기(4)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축(1a,2a)은 접촉압력로울(2)의 직경 및 중공로울(1)의 내경의 함수로서의 편심거리(e)를 갖도록 설계되어, 치형돌기(4,5)들이 중공로울(1)의 원주상의 가장 낮은 부분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중공로울(1)의 아래에는 콘베이어 벨트가,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 콘베이어), 중공로울(1)의 회전방향(20)과는 접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 속도는 중공로울(1)의 회전속도와 상호 관계가 있다.
접촉압력로울(2)과 중공로울(1) 사이의 중간위치에는 원료공급장치(9)가 삽입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로울(1)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원료공급장치(9)는 하나 또는 몇몇의 배출보어 또는 배출슬롯(10)을 구비하고 있으며, 과립화되는 원료는 회전방향(20)으로 점점 좁혀지는 접촉압력로울(2)과 중공로울(1) 사이의 틈새(11)내부로 공급된다. 치형돌기(4,5) 사이로 공급되는 유동성 원료는 처음에는 중공로울(1)의 치형돌기(4)에 의해 적재되고 그 뒤에 치형돌기(4,5) 상호간의 맞물림에 의해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오로지 수직평면(6)내의 지역에서 압출된다. 이때 치형돌기(4,5) 사이의 공간 용적이 최소가 된다. 이 용적은 치형돌기(4,5)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구멍을 통하여 강력하게 압출되는 원료의 용적 또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신규한 장치는 맞물림 배출공정에 의해 특징지워질 수 있다. 이 신규한 설계에 의해 고속상태에서도 체적을 측정할 수 있는 압출이 가능하다. 이 신규한 장치에 의해 과립화되는 생산물은 특히 제약산업에 적절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다른 장점으로 수직평면(8)내의 지역에서 강력하게 압출되는 원료가 회전방향(20)에 있어서 수직평면(8) 배후에 형성되어 있고 회전방향에서 확대되는 틈새(31)에 의해,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구멍을 통하여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틈새(31)구역에서는 어떤 정해진 감소압력이 확립되어 있어서 구멍내에 남아있는 원료는 대부분 중공로울내부로 회수된다. 그 뒤 이 원료는 상부 구역에서 중공로울(11)의 계속되는 회전 동안에 재가열되고 그뒤, 원료공급장치(9)의 표면 또는 묘영법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평판형상의 적하팬(32)에 부딪치게 되어 틈새(11)로 되돌아온다. 적하팬 및 원료공급장치(9)는 단지 수직평면(8) 지역에서 냉각 콘베이어(7) 아래로 낙하하고 그위에서 고체방울로 고체화하는 부피에 해당하는 원료의 양만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공로울(1)의 원주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과립화되는 원료의 바람직하지 못한 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신규한 과립화장치의 실시예의 실시가능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외부중공로울(1)은 내벽의 전체 측길이에 걸쳐서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치형돌기(4)를 구비하고 있으며 두개의 인접한 돌기(4) 사이의 바닥에는 구멍(6)들의 구멍열(6a)이 위치하고 있다. 중공로울(1) 내부에 수납되며 중공로울(1)의 축길이에 걸쳐서 합치되는 접촉압력로울(2)은 외부 원주상에 바닥에서 중공로울(1)의 치형돌기에 맞물리는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치형돌기(5)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로울(1)의 두개의 단부는 파지링(17)내에 설치되며, 제1도에서 일점쇄선(17')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링은 적어도 서로 맞물려 있는 치형돌기(4,5) 사이의 정측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반경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접촉지역에서 과립화되는 원료는 치형돌기(4,5)의 사이 및 파지링(17)사이의 정측면상에 둘러 싸인다.
그때 원료는 중공로울(1)로부터 강력하게 압출된다. 파지링(17)은 중공로울(1)의 단부를 완전히 덮지않는 링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료공급장치(9)를 관형상으로 단부(1b)의 열려 있는 부분을 통하여 중공로울 내부로 진입시키고 내부에 노즐의 형상으로 확장될 수 있거나 또는 처음부터 그러한 단면을 가진 관에는 배출슬롯(1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예에서 상기 슬롯은 비교적 큰 슬릿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공로울(1)의 내부에 위치하는 원료공급장치(9)의 부분은 제1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10)을 가지고 점점 좁혀지는 틈새(11)의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료공급장치(9)는 상부 지역에서 중공로울로부터 내부로 위치차이에 의해 적하하는 원료를 수용하기 위해 적하팬에 부합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틈새(11)로 원료의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 원료 공급장치(9)는 적하팬(32)을 장착할 수 있으며 또는 처음부터 그러한 팬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열후드(12 ; heating hood)는 제2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로울의 상부구역에 구비되어 있고 측방향으로 뻗어있는 유동통로(33)를 통하여 증기 또는 다른 가열매개물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명백하게, 전기가열도 또한 가능하다.
이 가열후드(12)는 중공로울(1) 원주의 약 절반을 덮고 있다. 가열후드(12)는 스탠드(16)의 냉각 콘베이어(7)와 연관되는 양쪽의 축방향 지지기둥(35) 위에 호울더(34)에 의해 고착된다. 그것은 중공로울(1)의 회전방향에서 바라보았을때 후방 끝부분에 예컨대 배풀돌기(5)형상의 안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외면에 계속해서 점착되는 원료는 중공로울(1)내부로 역학적인 배압을 받는다.
베어링 링(36)은 또한 폐쇄링(37)내에 위치하는 보울베어링(37)에 대하여 상기 기둥(35)위에 장착된다. 보울 베어링(36)는 호울더(34)에 의해 기둥(35)에 부착된다. 최종적으로, 호울더(38)에 의해 베어링 링(35) 각각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둥(35)위에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 링(39)은 중공실린더 형상으로 접촉압력로울(2)의 양쪽에 고착되는 축스터브(15)의 회전지지를 위해 보올 베어링(40)을 구비하고 있다. 오른쪽의 축스터브(15)는 상세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동장치(13)용 구동피니언(14)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동장치는 예컨대 또다른 피니언에 의해 방향(20)으로 그것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피니언(14)을 구동시킨다. 치형돌기(5)와 중공로울(1)의 치형돌기(4)가 맞물림으로써, 중공로울(1)은 또한 접촉압력로울(2)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중공로울을 구동시키고 접촉압력로울(2)을 탑재하는 것도 또한 당연히 가능하다. 이 신규한 장치에 의해 낙하방울(41)은 정해진 용적으로 냉각 콘베이어(7)위에 놓여지며,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반구 렌즈형상의 고체로 입자화된다.
접촉압력로울(2)이 공동(4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쪽의 축스터브(15)에는 축보어(15a)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것을 통하여 유체가열 매개물은 화살표 방향(45)으로 공동(44)내부로 도입되고 그곳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접촉압력로울(2)은 이러한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고, 이것은 압출되는 원료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가열장치, 예컨대 전기가열선 또는 유사한 장치를 공동(44)내에 또는 접촉로울(2)의 벽에 구비하는 것은 당연히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동매개물에 의해 별개의 순환루프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가열방법이 매우 간단하다. 중공로울(1) 및 접촉압력로울(2) 또는 단순히 치형돌기, 링들은 예컨대 탄성중합체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뒤, 그것들은 분사압출에 의해 간단히 생산될 수 있다.

Claims (15)

  1. 천공된 중공로울, 및 상기 중공로울 내부에 편심되어 위치하여 중공로울의 내벽과 접촉하는 접촉압력로울을 가지며, 중공로울 및 접촉압력로울은 공통수직 평면에 놓인 나란한 제1 및 제2수평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중공로울의 내벽 및 접촉압력로울의 외벽에는 중공로울내의 이웃한 치형돌기 사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원료가 압출될 수 있도록, 각각 서로 대응하여 돌출되고 맞물리는 치형돌기가 구비되며, 중공로울은 상기 제1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전체 원주에 걸쳐 상기 구멍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공로울의 최저구역에서 치형돌기가 서로 맞물려 로울들의 공통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틈새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촉압력로울이 중공로울의 최저구역에 위치하고, 틈새 구역에서 원료의 낮은 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접촉압력로울의 최저구역에 위치한 하위부분을 가열하기 위하여 접촉압력로울에 의해 수행되는 제1가열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구멍에서 원료가 낮은 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로울을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장치가 구비되고, 원료를 틈새 구역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중공로울과 접촉압력로울 간의 틈새 구역에 배치된 배출개구장치를 가진 원료공급장치가 구비되며, 접촉압력로울은 두개의 치형돌기 사이에 위치한 구멍이 최저구역에 도달했을때 중공로울의 치형돌기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구멍이 최저구역을 통과한 후에는 구멍을 통하여 원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멍에 흡입작용이 발생하며, 콘베이어 벨트가 중공로울의 아래 축을 횡단하며 이동하여 구멍을 통해 압출되는 원료가 방울 형상으로 콘베이어 벨트위로 떨어져 고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콘베이어 벨트는 냉각콘베이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치형돌기(4,5)는 볼록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중공로울(1) 및 접촉압력로울(2)의 축(1a,2a)은 수직평면(8)에서 서로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료공급장치(9)는 중공로울(1)의 하나의 정측면내의 열려있는 고리모양 틈새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공급관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급관의 배출구멍은 상기 접촉압력로울의 최상부 바로 아래의 높이에서 상기 중공로울과 상기 접촉압력로울 사이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배출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중공로울의 일부를 덮고 있으며 중공로울의 외면에 접착되는 원료를 중공로울로 되돌리는 수단을 수행하는 가열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접촉압력로울을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중공로울을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지지스탠드를 포함하며, 접촉압력로울은 스탠드에서 접촉압력로울을 지지하는 축을 양단에 구비한 중공실린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의 하나는 구동피니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지지스탠드 및 스탠드 위에 장착된 회전가능한 호울더를 구비하며, 중공로울은 호울더에 고정된 실린더를 포함하고, 접촉압력로울은 스탠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압력로울의 중공내부를 통하여 가열매개물을 안내하는 도관을 이루는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어가 양축에 구비되며, 상기 도관은 상기 가열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로울의 외부에 위치하여 중공로울의 상부에 이웃하는 추가적인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틈새 구역은 배출구멍부터 수직평면까지 방해를 받지 않아 원료가 단지 상기 접촉압력로울의 치형돌기에 의해서만 상기 구멍으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장치.
KR1019880700009A 1986-05-09 1987-05-06 천공된 중공실린더를 구비하는 과립화장치 KR950010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63615677 DE3615677A1 (de) 1986-05-09 1986-05-09 Granuliervorrichtung mit einer gelochten hohlwalze
DEP3615667.9 1986-05-09
PCT/DE1987/000196 WO1987006880A1 (en) 1986-05-09 1987-05-06 Granulating device with a perforated hollow cyl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177A KR880701177A (ko) 1988-07-26
KR950010070B1 true KR950010070B1 (ko) 1995-09-06

Family

ID=630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009A KR950010070B1 (ko) 1986-05-09 1987-05-06 천공된 중공실린더를 구비하는 과립화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963084A (ko)
EP (1) EP0244849B1 (ko)
JP (1) JPH0687965B2 (ko)
KR (1) KR950010070B1 (ko)
AT (1) ATE56661T1 (ko)
AU (1) AU592187B2 (ko)
CA (1) CA1262516A (ko)
DE (2) DE3615677A1 (ko)
ES (1) ES2017475B3 (ko)
GR (1) GR3001025T3 (ko)
IN (2) IN170822B (ko)
SU (1) SU1671147A3 (ko)
WO (1) WO1987006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4785C1 (en) * 1988-10-12 1989-05-24 Gebr. Kaiser Maschinenfabrik, 4150 Krefeld, De Apparatus for generating granules or pellets from flowable material
ATE92365T1 (de) * 1990-09-20 1993-08-15 Berndorf Band Gmbh Vorrichtung zur portionierten abgabe von fliessfaehigen massen.
DE4032683C3 (de) * 1990-10-15 1996-06-13 Santrade Ltd Vorrichtung zur Bildung von Tropfen
US5286181A (en) * 1991-04-26 1994-02-15 Berndorf Belt Systems, Inc. Extrusion apparatus having a nozzle-headed drum
US5340509A (en) * 1992-06-30 1994-08-23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elletizing ultra high melt flow crystalline polymers and products therefrom
DE4422403C1 (de) * 1994-06-27 1995-06-01 Santrade Ltd Granuliervorrichtung
DE4440875A1 (de) * 1994-11-16 1996-06-05 Santrade Lt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astillen
DE19846935C1 (de) * 1998-10-12 2000-03-02 Kaiser Geb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Granalien oder Pastillen aus fließfähigem Material
US7276120B2 (en) * 2003-05-16 2007-10-02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438847B2 (en) * 2004-03-18 2008-10-21 Velcro Industries B.V. Delivering resin for forming fastener products
US7319838B2 (en) * 2005-03-02 2008-01-15 Fuji Xerox Co., Ltd. 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eeling member
EP2161221A1 (de) 2008-09-03 2010-03-10 Helmbach GmbH & Co.K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ichtmaterial
IT1391567B1 (it) * 2008-09-04 2012-01-11 Caeb Internat S R L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pellets
CN102079147A (zh) * 2010-11-22 2011-06-01 天津泰达环保有限公司 一种高产生物质压制成型装置与方法
CN103752388B (zh) * 2014-01-12 2016-02-10 上海红箭自动化设备有限公司 环保节能型涡流粉碎机
CN103752387B (zh) * 2014-01-12 2016-02-10 上海红箭自动化设备有限公司 环保节能型涡流粉碎机的磨粉结构
RU2580352C2 (ru) * 2014-08-01 2016-04-10 Сергей Сергеевич Титов Прессовая установка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брикетирования измельчённых хвостов твёрдых бытовых и сыпучих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гипоциклоида"
CN104841534A (zh) * 2015-06-15 2015-08-19 南通迅达橡塑制造有限公司 壳粉精细化粉磨装置
DE102015212353B3 (de) * 2015-07-01 2016-07-07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tropfen eines fließfähigen Produkts
CN105664792B (zh) * 2016-01-21 2018-02-27 遵义双河生物燃料科技有限公司 生物颗粒燃料挤压机的制粒室
CN106881175B (zh) * 2017-04-21 2019-01-22 广州智创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生产纳米材料用的研磨装置
CN110614147A (zh) * 2019-10-24 2019-12-27 六安正辉优产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大米加工的偏心磨粉机
CN111151195B (zh) * 2019-12-30 2022-04-12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三向交叉激励式扰动法强迫制粒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4283A (en) * 1930-09-29 1931-05-05 Sizer Albert William Molding machine
DE570100C (de) * 1932-01-28 1933-02-11 Albert William Sizer Zweiwalzige Formmaschine zum Herstellen von Futterkuegelchen
GB455733A (en) * 1935-10-01 1936-10-27 George Porteu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attle food, poultry food and the like in granular or pellet form
US2063404A (en) * 1936-06-20 1936-12-08 John L Selman Combination feed sizer and cutter
US2295838A (en) * 1937-04-17 1942-09-15 William K Booth Pellet mill
US2234595A (en) * 1938-04-11 1941-03-11 Potato Corp Of Idaho Extruding device
US3234894A (en) * 1962-03-26 1966-02-15 Charles H Dechert Forage crop pelleter
DE1454887A1 (de) * 1963-12-30 1969-02-06 Ludwig Wittrock Vorrichtung zum Radialverduesen von plastischen und pulverfoermigen Massen,insbesondere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US3354844A (en) * 1964-02-21 1967-11-28 Deere & Co Wafering machine die and rotor structure
DE1237540B (de) * 1964-12-15 1967-03-30 Wolfen Filmfab Veb Vorrichtung zum Granulieren feuchter Pasten
GB1169704A (en) * 1965-12-14 1969-11-05 Maurice Wooding Pellet Machine Die
DE2853054C3 (de) * 1978-12-08 1982-09-09 Santrade Ltd., 6002 Luzern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ßfähigen Massen
DE2941802C2 (de) * 1979-10-16 1983-01-27 Santrade Ltd., 6002 Luzern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ßfähigen Massen
EP0012192B1 (de) * 1978-12-08 1983-01-12 Santrade Ltd.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ssfähigen Massen aus einem Behälter
NL8204241A (nl) * 1982-11-02 1984-06-01 Commanditaire Vennootschap Bur Pelleteerinrichting.
JPS60234798A (ja) * 1984-05-07 1985-11-21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固型廃棄物のペレツト化装置
DE3421625C2 (de) * 1984-06-09 1986-09-04 Santrade Ltd., Luzern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ranul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57087A (en) 1987-12-01
JPH0687965B2 (ja) 1994-11-09
DE3615677C2 (ko) 1988-03-24
DE3765001D1 (de) 1990-10-25
IN166203B (ko) 1990-03-31
US4963084A (en) 1990-10-16
CA1262516A (en) 1989-10-31
WO1987006880A1 (en) 1987-11-19
ES2017475B3 (es) 1991-02-16
GR3001025T3 (en) 1991-12-30
ATE56661T1 (de) 1990-10-15
IN170822B (ko) 1992-05-23
SU1671147A3 (ru) 1991-08-15
DE3615677A1 (de) 1987-11-19
AU592187B2 (en) 1990-01-04
EP0244849A1 (de) 1987-11-11
KR880701177A (ko) 1988-07-26
EP0244849B1 (de) 1990-09-19
JPH01500093A (ja) 1989-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070B1 (ko) 천공된 중공실린더를 구비하는 과립화장치
KR970005039B1 (ko) 정제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4890996A (en) Continuous granulating machine
CA2066975C (en) Extrusion apparatus having a nozzle-headed drum
JPH05200279A (ja) 多軸型薄層反応装置
JPH11276877A (ja) 滴下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SU1268099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кструдировани текучих веществ
CA1238160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granular material
US5401938A (en) Rotary drop former with electrical inductive heater
JPS6211601B2 (ko)
US5399080A (en) Pellet press
JPH0741615B2 (ja) 熱可塑材料の細条体を粒状化するための装置
US40492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plasticated material
JPH0811176B2 (ja) 回転円筒型処理装置
JPH05253460A (ja) 流動可能な材料を区分して引き渡す装置
CA1257219A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solidified meltings
CA2457857C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granulates
SU1100116A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экструдер дл переработки полимеров
KR0180510B1 (ko) 성형 롤러, 배출롤러 및 성형 벨트를 사용한 성형기
US3114170A (en) Extrusion device
JP2681543B2 (ja) 滴状物の形成装置
SU411886A1 (ko)
SU417307A1 (ko)
SU410970A1 (ko)
JPH0299133A (ja) 造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