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16B1 -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16B1
KR950009916B1 KR1019920006950A KR920006950A KR950009916B1 KR 950009916 B1 KR950009916 B1 KR 950009916B1 KR 1019920006950 A KR1019920006950 A KR 1019920006950A KR 920006950 A KR920006950 A KR 920006950A KR 950009916 B1 KR950009916 B1 KR 95000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wire
forming tool
axi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인 아이켄스 폴
프란시스 퍼셀만 데이빗
데일 스트롱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16Pointing; with or without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58Crimping mandrels
    • H01R43/0585Crimping mandrels for crimping apparatus with more than two radially actuated mandr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전기 단자 핀을 부분 절결하여 핀의 단면을 도시하는 전기 단자 핀 팁의 확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전기 단자 핀 팁의 단부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핀을 부분 절결하여 핀의 단면을 도시하는 전기 단자 핀의 단부상에 있는 전기 단자 핀 팁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전기 단자 핀 팁의 단부도.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전기 핀 팁을 양단부에 갖는 전기 단자 핀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지 핀을 부분 절결하여 핀의 단면을 도시하는 전기 단자 핀의 단부상에 있는 전기 단자 핀 팁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전기 단자 핀 팁의 단부도.
제8도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전기 핀 팁을 양단부에 갖는 전기 단자 핀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자 핀을 절결하여 핀의 단면을 도시하는 전기 단자 핀의 단부상에 있는 전기 단자 핀 팁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전기 단자 핀의 단부도.
제11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전기 핀 팁을 양단부에 갖는 전기 단자 핀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전기 단지 핀 팁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왓(multi-swat) 장치의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15a도는 제1방식으로 조립되어 수납 위치에 위치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의 정면도.
제15b도는 제1방식으로 조립되어 제1성형 위치에 위치한 제13도의 멀티 스왓장치의 정면도.
제15c도는 제1방식으로 조립되어 제2성형 위치에 위치한 제14도의 멀티 스왓 장치의 정면도.
제16a도 내지 제16g도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한쌍의 전기 단자 핀 팁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제17a도는 제2방식으로 조립되어 수납 위치에 위치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의 정면도.
제17b도는 제2방식으로 조립되어 제1성형 위치에 위치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의 정면도.
제17c도는 제2방식으로 조립되어 제2성형 위치에 위치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의 정면도.
제18a도는 예비도금된 와이어 상에 단부 대 단부로 연결된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한쌍의 핀 팁을 성형하는 성형 공구의 작업 종료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18b도는 예비도금된 와이어 상에 단부 대 단부로 연결된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한쌍의 핀 팁을 성형하는 성형 공구의 작업 종료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18c도는 예비도금된 와이어에 나비넥타이형 추종부를 성형하는 성형 공구의 작업 종료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18d도는 예비도금된 와이어에 성형(星形) 보유부를 성형하는 성형 공구의 작업종료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202,302 : 핀 팁 104,204,304 : 핀
108,208,308 : 코어 110,210,310 : 전도성 층
112,212,312 : 만곡 측면 116,216,316 : 평단부
152 : 펀치 조립체 162 : 다이 돌기
400 : 멀티 스왓 장치 404,406,408,410 : 성형 공구
414,416,418,420 : 링크 422 : 지지부
436,438 : 슬롯 452 : 작동 단부
454 : 링 돌기 500 : 와이어
본 발명은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상세하게는 전기 도선, 인쇄회로 기판의 도금된 관총 구멍 및/또는 커넥터 접속부를 상호 접속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전기 단지 핀 상에 핀 팁과 추종부 및 보유부와 같은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도선, 인쇄 회로 기판의 관통 구멍 및/또는 커넥터 접속부를 상호 접속시키는데 전기 핀을 사용하는 것은 커넥터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핀은 자체의 종축에 대해 수직한 장방형 또는 원형 단면을 취한다.
핀은 구리, 황동, 인동, 베릴륨동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주석, 니켈, 팔라듐, 금, 은 또는 적합한 합금 등과 같은 전도성 층으로 핀을 도금 또는 피복하는 것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핀은 핀 코어 상에 코어의 재료와 같은 정도로 산화되지는 않는 층을 도포하기 위해서 도금된다. 전기 접속부에서 산화가 적게 일어나면 전기적 성능이 우수해진다. 핀은 핀의 제조 원가를 낮추고 그리고/또는 핀전체를 도금 재료로 만들었을때 보다 강성을 더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금 재료와는 다른 코어 재료로 만들어진다.
핀을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정합 접속부에 용이하게 배열하고 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핀 팁이 편평한 테이퍼 측면을 갖도록 제조하는 것도 이 분야에서는 공지 되어 있다. 예로서, 제1도는 핀(4)의 단면(6)을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결한 종래 기술의 전기 단자 핀(4)의 전기 단자 핀 팁(2)을 확대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핀(4)은 전기 전도성 도금층(10)이 도포된 전기 전도성 내측 코어(8)를 포함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종래 기술의 전기 핀 팁(2)의 단부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핀 팁(2)은 핀(4)의 종방향 단부쪽으로 갈수록 핀(4)의 종축 쪽으로 테이퍼지거나 또는 경사지는 한 쌍의 대향하는 편평하게 만곡된 도금 측면(12)을 갖는다. 핀 팁(2)은 핀(4)의 종방향 단부쪽으로 갈수록 핀(4)의 종축 쪽으로 테이퍼지거나 또는 경사지는 한쌍의 대향하는 편평하게 경사진 비도금 측면(14)을 또한 갖는다. 대향하는 편평하게 경사진 비도금 측면(14)은 경사진 비도금 만곡형 또는 원통형 표면(16)에 의해 종단부가 연결된다. 팁(2)이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암형 접속부안에 삽입되면,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암형 접속부가 비도금 테이퍼 측면(14)에 대해서 활주할 수 있서 코어 재료의 일부가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암형 접속부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정합 암형 접속부 안에 핀(4)이 여러번 끼우고 뺄때 비도금 측면(14) 외부의 코어 재료의 일부가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정합 암형 접속부 상에서 벗겨질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렇게 벗겨진 코어 재료는 결국 끌리거나 핀 도금층(10)과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암형 접속부와의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는 코어(8) 및 도금층(10)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서는 핀(4)과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암형 접속부 사이의 연결부의 산화율을 핀 도금층(10)과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암형 접속부 사이의 연결부에 비해 증가시킨다.
도금판 재료를 트림 측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트리밍에 의해서 다른 형태의 핀 팁이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는 한단계 또는 그 이상의 공정 단계를 더 수행하여 트림측면을 도금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핀의 모든 외부 측면 및 표면들을 도금할 수는 있지만,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상승된다.
전형적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것과 같은 복수개의 핀은 도금된 정합 세트의 관통 구멍 또는 암형 단자 안에 동시에 삽입된다. 이에 필요한 삽입력은 삽입시킬 핀의 수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한다. 핀 팁 상의 평측면을 테이퍼지게 하면 필요한 삽입력이 감소된다. 그러나,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암형 단자에 의해 핀 상에 인가된 측방 보유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종방향 삽입력을 더 감소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필요성을 만족시키고 종래 기술의 결점들을 극복하면서 전기 단자 핀 상에 핀 팁과 같은 형상부를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핀 팁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인데, 이 장치는 공구 안내부, 제1성형 공구, 제2성형 공구, 링,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공구 안내부는 제1표면, 제2표면 및 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제1표면은 축을 중심으로 원통형이다. 제2표면은 상기 원통형 표면의 한 단부에 연결된다. 제2표면은 이 제2표면에는 제1슬롯이 형성되며 이 제1슬롯은 축을 관통한다. 상기 통로는 축을 따라서 공구 안내부를 통하여 연장된다. 제1성형 공구는 제1돌기 및 와이어에 접촉해서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1작동 단부의 모양과 일치되게 성형시키는 제1작동 단부를 구비한다. 제1성형 공구는 축에 면하는 제1작동 단부와 제1슬롯에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2성형 공구는 제2돌기 및 와이어에 접촉해서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2작동 단부의 모양과 일치되게 성형시키는 제2작동 단부를 구비한다. 제2성형 공구는 제2작동 단부를 축에 대면한 상태로 제1슬롯에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링은 최소한 2개의 돌기 및 공구 안내부의 원통형 표면에 접촉하는 내부 원통형 표면을 구비한다. 링은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축의 둘레에서 진동 가능하다. 제1링크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구비한다. 제1단부는 제1공구의 돌기에 회동되도록 연결되며 제2단부는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1돌기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제2링크는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한다. 제1단부는 제2공구의 돌기에 회동되도록 연결되며 제2단부는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2돌기에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와이어가 통로에 위치되어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제1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는 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 내에서 축을 향해 활주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된다.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제1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는 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 내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작동 단부가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제1거리로 압착하도록 제1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와 제2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 사이의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와, 작동 단부가 와이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제2거리로 압착하도록 제3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와 제4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 사이의 와이어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와, 작동 단부가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제3거리로 압착하도록 제1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와 제2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 사이의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와, 작동 단부가 와이어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제4거리로 압착하도록 제3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와 제4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 사이의 와이어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방법에 의하여 금속 와이어의 측면에 형상부가 성형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전체 도면에 걸쳐 유사한 부분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냈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핀 팁(102)의 제1실시예를 확대 사시도로 도시했다. 핀 팁(102)은 핀(104)의 단면(106)을 도시하기 위한 절결부를 갖는 전기 단자 핀(104)의 한 단부(103)에 위치한다. 전기 단지 핀(104)은 핀을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암형 단자 또는 도금된 관통 구멍 안에 우선 삽입하고 이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전기 단자 핀 팁(102)의 단부도이다.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전기 단자 핀 탭(102,102')을 양단부에 갖는 전기 단자 핀(104)의 측면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전기 단지 핀(104)은 전기 전도성 코어(108) 및 전도성 층(110)을 포함한다. 전도성 층(110)은 핀(104)의 단부 근처에 또는 바로 인접한 코어(108)의 주연부에 도금되어 있다. 핀(104), 코어(108) 및 도금판 또는 층(110)은 대칭 종축(107)에 대해서 대칭을 이룬다.
핀 팁(102)은 코어(108)의 도금되지 않은 평단부(116) 및 전도성 층(110)으로 도금된 적어도 하나의 만곡 측면(112)을 포함한다. 도금되지 않은 평단부(116)는 대칭축(107)에 대해 수직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금되지 않은 평단부(116)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118)를 갖는다. 제3도 내지 제5도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금되지 않은 평단부(116)는 4개의 모서리(118)을 갖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각 모서리(118) 에 대응하는 만곡 측면(112)이 각각 하나씩 있기 때문에, 만곡 측면은 모두 4개이다. 만곡 측면(112) 각각은 평단부 모서리(118) 중 대응하는 하나로부터 종축(107)으로부터 멀리 핀 팁(102) 근처의 또는 바로 인접한 핀(104)의 주연부(105)를 향해 연장된다. 만곡 측면(112)들은 서로 같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층(110)은 적어도 핀 주연부(105)로부터 비도금 평단부(116)까지의 측면(112)을 따라 중간 지점까지 각 만곡 측면(112)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만곡 측면(112) 각각은 대응 원통형 볼록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곡 측면(112)은 대응 원통에 접하는 각도로 핀 주연부(105)를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104)은 제1팁(102)의 말단부에 있는 핀(104)의 또 다른 단부 상에 제2핀 팁(102')을 포함한다. 제2팁(102')은 제1팁(102)의 거울상을 취한다. 즉, 제2팁(102')은 제1팀(102')은 후술되는 어떠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핀(204)의 원형 단면(206)을 도시하기 위해 절결한 전기 단자 핀(204)의 단부(203) 상에 있는 전기 단자 핀 팁(202)의 제2실시예를 확대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전기 단자 핀 팁(202)의 단부도이다. 제8도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전기 단자 핀 팁(202,202')을 양단부에 갖는 전기 단자 핀(204)의 측면도이다.
제2전기 단자 핀 팁(202)은 제1전기 단지 핀 팁(102)과 유사하며, 하나의 원형 모서리(218)가 있는 원형인 도금되지 않은 평단부(216)를 갖는 것만이 다르다. 또한, 상기 팁은 단지 하나의 만곡 측면(212)만을 갖는다. 측면(212)은 볼록하며 절단된 구형 또는 타원체를 취한다. 제2전기 단자 핀 팁의 단부(203)는 대체로 원형인 핀 팁(202) 근처에 바로 인접한 핀 주연부(205)를 갖는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핀(304)의 단면(306)을 도시하기 위해 절결한 전기 단자 핀(304)의 단부(303)상에 있는 전기 단자 핀 팁(302)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전기 단자 핀 팁(302)의 단부도이다. 제11도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핀 팁(302,302')을 양단부에 갖는 전기 단자 핀(304)의 측면도이다.
제3전기 단자 핀(304)은 전기 단자 핀의 단부(303)에 연결된 제1핀 팁(302)이 연결된 구조이다. 제1핀 팁(302)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제1핀 팁(102)과 유사하지만 제1핀 팁(302)가 사각단면이 아닌 원형 단면의 단부(303)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핀 단부(303)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핀 단부(203)와 유사하지만, 핀 단부(303)에 핀 팁(302)이 결합된 것이 다르다. 전기 단자 핀 팁(302)은 대개 장방형인 도금되지 않은 평단부(316)를 갖는다. 전기 단자 핀 팁(302)은 4개의 볼록 측면(312)을 갖는다. 전기 단자 핀 부분(303)은 대개 원형인 핀 팁(302) 근처에 또는 바로 인접한 핀 주연부(305)를 갖는다. 도금된 4개의 볼록 측면(312)은 원호형 모서리(320)의 원형 핀 주연부(305)와 교차된다. 원호형 모서리(320)의 각 단부는 인접한 원호형 모서리(320)의 한 단부와 교차된다.
본 발명의 전기 단자 핀(104,204,304)은 전기 단자에 사용되는 활동, 인동, 베릴륨동 등과 같은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기 단자 핀(104,204,304)은 주석, 니켈, 팔라듐, 금, 은 또는 적합한 합금과 같은 어떠한 전도성 층(110,210,310)으로도 도금 또는 피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단자 핀(104,204,304)은 도금된 와이어로 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와이어는 자체의 주연부에 한쌍의 핀 팁(102,202,302)를 형성하도록 스웨이징 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평단부(116,216,316)에서 서로 연결된다. 하나의 핀에 인접한 다른 편에 대해서 서로 반대 방향인 측방향 힘을 작용시키거나 비틀어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전기 단자 핀 팁(102,202,302) 각각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팁(2)에서 보다 많은 기계적 장점을 갖느나. 이는 측면(112,212,312)의 경사가 평단부(116,216,316)로부터 주연부(105,205,305)와 교차하는 측면(112,212,312)의 단부 또는 원호(32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팁(102,202,302)가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정합 암형 단자에 거의 전체적으로 삽입되면, 측면(112,212,312)의 경사로 인해 종래 기술의 핀(4)가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정합 암형 단자에서 동일 간격으로 삽입될때 보다 더 감소된 종방향 대향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제1핀 팁(102), 제2핀 팁(202) 또는 제3핀 팁(302)을 갖는 핀을 그 팁 부분부터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정합 암형 단자 안에 삽입시키는데 필요한 종방향 삽입력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핀(4)을 팁부터 삽입시키는데 필요한 종방향 삽입력 보다 작다. 또한, 도금된 관통 구멍 또는 정합 암형 단자로부터 제1핀(104), 제2핀(204) 또는 제3핀(304)에 가해지는 측방 보유력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핀(4)에 작용된 측방 보유력과 거의 같거나 동일하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핀(4)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1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층(10)이 도포된 코어(8)를 포함하는 예비도금된 와이어(150)는 펀치 조립체(152)오 다이 조립체(154) 사이의 성형 위치에 공급된다. 펀치 조립체(152)는 트림 펀치(158)에 의해 이격된 한쌍의 대향 스웨이지(swage) 펀치(156)를 포함한다. 스웨이지 펀치(156)는 와이어(150)의 (상부등의) 한쪽 표면에 압착하기 위한 경사 표면을 갖춘 펀치 돌기(160)를 갖는다. 다이 조립체(154)는 또한 와이어(150)의 (저부와 같은) 다른 한쪽 표면에 대해서 압착하기 위한 경사 표면을 갖춘 한쌍의 다이 돌기(162)를 갖는다. 인발, 스웨이징 또는 주조시에, 와이어(150)는 펀치 조립체(152)와 다이 조립체(154) 사이에서 압착 또는 압축된다. 펀치 돌기(160) 및 다이 돌기(162)는 한쌍의 핀 팁(2)의 도금된 측면(12)을 형성하는 와이어(150)의 상부와 저부 표면을 접족시킨다. 그 다음에, 동일한 펀치 행정시에 트림 펀치(158)가 스웨이지 펀치(156)에 대해서 하방으로 트림 측면(14) 및 트림 만곡 단부 표면(16)을 형성하는 다이 조립체(154)의 다이 돌기(162,162) 사이의 공간(164) 안으로 활주하여 핀 팁(2) 쌍이 형성된다. 이 방법에서, 형성된 각 쌍의 팁(2)에 대해서 팁(2)이 형성되는 재료들 사이에 위치한 와이어(150)의 세그먼트(166)는 폐기물로 버려지거나 또는 코어(8) 및 도금층(10) 재료를 회수하여 분리하여 재활용 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렇게 와이어 세그먼트를 폐기물로써 버리지 않고 원료를 회수하기 위해서 재처리 및 재순환 시킬 필요도 없는 방법으로 핀 팁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기물로 버려지는 와이어 세그먼트가 없고 원료를 회수하기 위해 재처리 및 재순환시킬 필요가 없는 방법으로, 상술한 핀(104,204,304)와 같은 전기 단자 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긴 도금된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형성하는 멀티 스왓 장치(40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4도는 제13도 멀티 스왓 장치(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멀티 스왓 장치(400)는 제3도 내지 제5도, 제6도 내지 제8도 또는 제9도 내지 제11도에 각각 도시된 한쌍의 핀 팁(102,202,302)과 같은 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해 긴 금속 와이어 상에 인발, 주조 또는 스웨이징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멀티 스왓 장치(400)는 공구 안내부(402), 제1성형 공구(404), 제2성형 공구(406), 제3성형 공구(408), 제4성형 공구(410), 링, 제1링크(414), 제2링크(416), 제3링크(418) 및 제4링크(420)를 포함한다. 멀티 스왓 장치(400)는 또한 지지부(422), 정지 조립체(424) 및 덮개 보호부(426)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공구 안내부(402)는 제1표면(428), 제2표면(430) 및 통로(432)를 갖는다. 제1표면(428)은 축(434)에 대해서 원통형이다. 제2표면(430)은 원통형 표면(428)의 한 단부이다. 제2표면(430)에는 축(434)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직선 슬롯(436) 및 제2직선 슬롯(438)을 갖는다. 통로(432)는 축(434)을 따라 공구 안내부(402)를 통해 연장된다. 공구 안내부(402)는 지지부(422)를 통해 정합 원형 구멍(442)에의 삽입을 위한 원통형 허브(440)를 갖는다. 허브(440) 및 지지부(422)는 지지부(422)에 대한 허브(44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키이(446)를 수납하기 위한 정합 키이 슬롯(444)를 갖는다.
이와 달리, 지지부(422)는 공구안내부(402)에 일체로 또는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22)는 지지부(422)를 테이블과 같은 또 다른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T 플랜지(448)를 가질 수도 있다.
제1성형 공구(404) 및 제2성형 공구(406)는 서로 축(434)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슬롯(436)에 회동 또는 활주가능하게 위치한다. 제3성형 공구(408) 및 제4형 공구(410)는 서로 축(434)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슬롯(438)에 회동 또는 활주 가능하게 위치한다. 제1, 제2, 제3 및 제4성형 공구(404,406,408,410) 각각은 공구 안내부(402)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돌기 또는 핀(450)을 갖는다. 제1, 제2, 제3 및 제4성형 공구(404,406,408,410)는 또한 와이어에 접촉되어 접촉된 와이어를 작동 단부(452)의 형상에 일치되게 한다. 제16a 내지 제16d도에 도시된 작동 단부(452)는 자체의 비도금 평단부(116)에서 단부 대 단부의 관계로 연결된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한쌍의 핀 팁(102)을 성형하는 주형의 형상을 취한다.
링(412)은 공구 안내부 원통형 표면(428)에 접촉되는 내측 원통형 표면(456) 및 복수개의 돌기 또는 핀(454)을 갖는다. 링(412)은 원통형 안내부 표면(428) 상에서의 활주에 의해 공구 안내부(402)에 대해서 축(434) 주위로 진동할 수 있다.
연장, 핀 또는 레버 조립체(458)는 링(412) 상에 위치하거나 링(412)에 연결되거나 또는 링(412)과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458)는 링(412)의 외부 원통형 표면(46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공구 안내부(402)에 대해서 링(412)을 진동시키기 위해 연장부(458)에 힘이 가해질 수도 있다.
정지 조립체(424)는 나사(462)에 의해 지지부(422)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포함하기도 한다. 브래킷은 링 연장부(458)의 말단 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레그(464)를 갖는다. 레그(464)는 이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하는 내측 표면 또는 정지부를 갖거나 정지부들 사이의 공간으로의 링 연장부(458)를 갖는다. 나사형성 축 또는 나사(466)는 조정가능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는 정지부를 마련하도록 레그(464)를 통해서 관통연장된다. 너트(468)는 나사형성 축 또는 나사(466)를 레그(464)에 대해서 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5a도에서, 제1링크(414)는 제1단부(470) 및 제2단부(472)를 갖는다. 제1단부(470)는 제1공구 돌기(450)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1단부(470)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1공구 돌기(450)는 제1단부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제2단부(472)는 4개가 1세트로 된 링 돌기(454) 중 제1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2단부(472)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1세트의 링 돌기(454)중 제1돌기가 상기 제2단부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제2링크(416)는 제1단부(474) 및 제2단부(476)를 갖는다. 제1단부(474)는 제2공구 돌기(450)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1단부(474)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2공구 돌기(450)는 제1단부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제2단부(476)는 제1세트의 링 돌기(454) 중 제2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2단부(476)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1세트의 링 돌기(454) 중 제2돌기는 제2단부 구멍을 통해서 연장된다.
제3링크(418)는 제1단부(478) 및 제2단부(480)를 갖는다. 제1단부(478)는 제3공구 돌기(450)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1단부(478)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3공구 돌기(450)는 제1단부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제2단부(480)는 제1세트의 링 돌기(454)중 제3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2단부(480)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1세트의 링 돌기(454)중 제3돌기는 제2단부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제4링크(420)는 제1단부(482)와 제2단부(484)를 갖는다. 제1단부(482)는 제4공구 돌기(450)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1단부(482)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4공구 돌기(450)는 제1단부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제2단부(484)는 제1세트의 링 돌기(454) 중 제4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2단부(484)는 자체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며, 제1세트의 링 돌기(454) 중 제4돌기는 제2단부 구멍을 통해서 연장된다.
덮개 보호부(426)는 링크(414,416,418,42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나사(486)는 덮개 보호부(426)를 지지부(422)에 그리고 링(412)과 성형 공구(404,406,408,410) 및 덮개 보호부(426)와 지지부(422) 사이에 삽입된 링크(414,416,418,420)를 갖춘 공구안내부(402)에 연결할 수 있다. 스페이서(488)는 덮개 보호부(426)와 지지부(422) 또는 공구 안내부(402) 사이에 위치한 나사(486)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멀티 스왓 장치(400)의 작동에 대해서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에 제1방법 또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제5a도는 상술한 제1방법 또는 형상으로 조립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수납 위치에서, 성형 공구(404,406,408,410)는 축(434)에 가장 가까운 위치와 축(434)에서 가장 먼 위치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수납 위치에서, 예비도금된 와이어는 슬롯(436,438)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통로(43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5b도는 제1방법으로 조립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400)이 제1성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5b도에 도시된 것처럼, 링(412)는 수납 위치로 부터 공구 안내부(402)에 대해서 (제15b도에서 시계 방향인) 제1방향으로 진동 또는 회전한다. 이는 링크(414,416)에 의해 가해지는 제1 및 제2 성형 공구(404,406)가 와이어의 말단 측면의 제1세트에 접촉하도록 축(434) 쪽으로 제1슬롯(436) 상에서 활주하게 한다. 이는 또한, 링크(418,420)에 의해 가해지는 제3 및 제4성형공구(408,410)가 제2슬롯(438)에서 축(434)으로부터 멀리 활주하게 한다.
제15c도는 제1방법으로 조립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400)가 제2성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5b도에 도시된 것처럼, 링(412)이 제1성형 위치 또는 (제1방향가 반대인) 제2방향에서 수납 위치로 부터 공구 안내부(402)에 대해서 진동 또는 회전하면, 제3 및 제4 성형 공구(408,410)는 링크(418,420)에 의해서 가해져 와이어의 말단 측면의 제2쌍에 접촉하도록 축(434) 쪽으로 제2슬롯(438)에서 활주하게 된다. 동시에, 제1 및 제2 성형 공구(404,406)는 링크(414,416)에 의해 가해져 제1슬롯(436)에서 축(434)으로부터 멀리 활주하게 된다.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에 도시된 것처럼, 링크(414,416,418,420)의 종축은 멀티 스왓 장치(400)가 제1형상을 취할때 수납 위치, 제1성형 위치 및 제2성형 위치에 평행하거나 또는 거의 평행하다.
제16a도 내지 제16g도는 형상부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한쌍의 전기 핀 팁(102)의 긴 금속 와이어(500)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공정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16a도는 제1성형 공구(404)의 작동 단부(452)와 제2성형 공구(406)의 작동 단부(452) 사이에서 와이어(150)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여 작동 단부(452)가 제1쌍의 말단 측면으로 제1거리만큼 압착되게 하는 제1단계를 도시한다.
제16b도는 제3성형 공구(408)의 작동 단부(452)와 제4성형 공구(400)의 작동 단부(452) 사이에서 와이어(500)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여 작동 단부(452)가 제2쌍의 말단 측면으로 제2거리만큼 압착되게 하는 제2단계를 도시한다.
제16c도는 제1성형 공구(404)의 작동 단부(452)와 제2성형 공구(406)의 작동 단부(452) 사이에서 와이어(500)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여 작동 단부(452)가 제1쌍의 말단 측면으로 제3거리만큼 압착되게 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제16d도는 제3성형 공구(408)의 작동 단부(452)와 제4성형 공구(410)의 작동 단부(452) 사이에서 와이어(500)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여 작동 단부(452)가 금속 와이어(500)의 측면에 형상부를 형성하는 제2쌍의 말단 측면으로 제4거리만큼 압착되게 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거리는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및 제4거리도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및 제4거리가 제1 및 제2거리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인 단계는 성형 공구(404,406,408,410)가 와이어(500)의 측면 안에 압착되는 거리가 한쌍의 모든 와이어 측면이 압인될 때마다 증가하게 되는 형태로 와이어(500) 상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6d도에 도시된 압인 단계가 완료된 후에,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이 제1성형 공구(404)의 작동 단부(452)와 제2성형 공구(406)의 작동 단부(452) 사이에서 인발되는 경우에 또다른 동시압인 단계가 수행될 수 있어서 작동 단부(452)가 제4거리 보다 큰 제5거리로 제1쌍의 말단 측면에 압착되게 된다. 그 다음에 와이어(500)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은 제3성형 공구(408)의 작동 단부(452)와 제4성형 공구(410)의 작동 단부(452) 사이에서 이에 의해 압인될 수 있어서 작동 단부(452)가 제5거리로 제2쌍의 말단 측면에 압착되게 한다.
이와 달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인 단계가 상이한 작동 단부 거리로 스템프들 사이의 와이어(500)에 수행될 수 있어서, 성형 공구(404,06,408,410)가 와이어(500)의 측면에 압착되는 거리는 한 쌍 또는 모든 측면이 압인될 때마다 바로 앞의 압인 단계와 동일한 상태가 되게 한다. 예를 들어, 제3 및 제4압인 단계는 형상부를 더욱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 1회 또는 그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모든 와이어 측면이 가장 큰 거리로 와이어 측면에 압착하는 성형 공구(404,406,408,410)로 한번 압안한 후에, 와이어 측면이 가장 큰 거리로 와이어 측면에 압착하는 성형 공구(404,406,408,410)로 1회 또는 그 이상 추가로 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거리로 성형 공구(404,406,408,410)에 의해 반복해서 압인하게 되면 성형될 와이어 형상부의 표면이 더 매끄러워진다.
제16e도 및 제16f도는 2개의 핀 팁(102)의 도금되지 않는 평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핀 팁(102)을 절단하도록 핀 팁(102)과 인접한 다른 핀 팁(102)의 대칭 축에 대해 거의 수직한 힘을 작용시키는 선택적인 단계를 도시한다. 제16g도는 연결된 핀 팁(102)을 분리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특히, 제16g도는 핀 팁(102)의 도급되지 않은 평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인접한 핀 팁(102) 중 하나를 절단하도록 핀 팁(102)중 하나를 핀 팁(102)의 다른 하나에 대해서 대칭인 축에 대해서 비트는 단계를 도시한다.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400)가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에 도시된 제1방법으로 조립되면, 제1압인 단계 후에 제2압인 단계가 수행되며, 제3압인 단계 후에 제4압인 단계가 수행된다.
그러나, 멀티 스왓 장치(400)는 제1압인 단계와 동시에 제2압인 단계가 수행되고 제3압인 단계와 동시에 제4압인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2방법 또는 형상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제17a도, 제17b도 및 제17c도는 제2방법 또는 형상 및 이에 따른 작동으로 조립된 멀티 스왓 장치(400)를 도시한다. 특히, 링(412)은 4개의 돌기(454)로 된 제2세트를 갖는다. 제2세트의 돌기(454)중 제1 및 제4돌기는 제1세트의 링 돌기(454)중 제1돌기와 제1세트의 링 돌기(454) 중 제4돌기 사이에서 링(412) 상에 위치한다. 제2세트의 돌기(454) 중 제1돌기는(제2세트의 돌기(454) 중 제4돌기보다) 제1세트의 돌기(454) 중 제1돌기에 더 가깝고, 제2세트의 돌기(454)중 제4돌기는 (제2세트이 돌기(454) 중 제1돌기 보다) 제1세트의 돌기(454) 중 제4돌기에 더 가깝다. 제2세트의 돌기(454) 중 제2돌기와 제3돌기는 제1세트의 링 돌기(454) 중 제2돌기와 제1세트의 링 돌기(454)중 제3돌기 사이에서 링(412) 상에 위치한다. 제2세트의 돌기(454) 중 제2돌기는 제2세트의 돌기(454) 중 제3돌기 보다 제1세트의 돌기(454)의 제2돌기에 더 가깝고, 제2세트의 돌기(454) 중 제3돌기는 제2세트의 돌기(454)의 제2돌기보다 제1세트의 돌기(454) 중 제3돌기에 더 가깝다. 제2형상에서, 제1링크(414)의 제2단부(472)는 제2세트의 링돌기(454)중 제1돌기에 연결되기 보다는 제2세트의 링돌기(454) 중 제1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링크(416)의 제2단부(476)는 제1세트의 링돌기(454)중 제2돌기에 연결되기 보다는 제2세트의 링 돌기(464)중 제2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제17a도는 제2방법으로 조립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400)가 수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형상과 마찬가지로 제2형상의 수납 위치에서 성형 공구(404,406,408,410)는 축(434)에 가장 가까운 위치와 축(434)에서 가장 먼 위치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상기 수납 위치에서, 도금된 와이어는 슬롯(436,438)외부로 연장되도록 통로(43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7b도는 제2방법으로 조립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400)가 제1성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7b도에 도시된 링(412)은 수납 위치로부터 공구 안내부(402)에 대해서 제1방향으로 진동 또는 회전된다. 이렇게 되면 제1, 제2, 제3 및 제4성형 공구(404,406,408,410)가 링크(414,416,418,420)에 의해 미끄러져서 제1 및 제2슬롯(436,438)에서 축(434)으로부터 멀리 활주하게 한다.
제17c도는 제2방법으로 조립된 제13도의 멀티 스왓 장치(400)가 제2성형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7b도에 도시된 것처럼 링(412)이 제1성형 위치 또는 수납 위치로 부터 공급 안내부(402)에 대해서(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진동 또는 회전하면, 제1, 제2, 제3 및 제4성형 공구(404,406,408,410)가 링크(414,416,418,420)에 의해 가해져서 제1 및 제2슬롯(436,438)에서 축(434)을 향해(멀티 스왓 장치(400)가 위치한 경우에)와이어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활주하게 된다.
제17a도, 제17b도 및 제17c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링크(414,416)의 종축은 멀티 스왓 장치(400)가 제2형상을 취할때 수납 위치, 제1성형 위치 및 제2성형 위치에서 제3 및 제4링크(418,420)의 종축에 수직하거나 또는 거의 수직하다.
성형 공구(404,406,408,410)의 작동 단부(452)는 와이어의 측면에 어떠한 형상부도 주조할 수 있는 형상을 취한다. 여기에서 고려할 수 있는 다른 특정 형상부는, 단부 대 단부로 연결된 핀 팁 쌍의 다른 형상, 커넥터 하우징의 구멍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도금된 관통 구멍 사이에 죔쇠 기워 맞춤을 제공하는 힘이 가해져서 변형되는 추종부 또는 압입 끼워 맞춤부, 또는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 또는 인쇄회로 기판의 도금된 관통 구멍 사이에 억지 끼워 맞춤을 제공하는 비교적 변형되지 않는 보유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8a도는 예비 도금된 와이어(512)에 단부대 단부로 연결된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한 쌍의 핀 팁(202)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으로써의 형상을 갖는 성형 공구(404,406,408,410)의 작동 단부(510)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4개의 작동 단부(510) 각각은 90도 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약 100도인 오목한 구형 또는 원통형 접촉 표면 경간을 갖는다. 이는 작동 단부가 와이어(512)의 측면을 교대로 인발할 때 인접 작동 단부(510)의 접촉 표면을 와이어(512) 상에 중첩시킨다. 오목 구형 또는 원통형 접촉 표면의 경간이 90도 보다 크면, 4개의 작동 단부(510)의 교대 쌍이 와이어 측면을 동시에 압착하게 되는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에 도시된 제1형상으로 멀티 스왓 장치(400)가 배열된다.
제18b도는 예비도금된 와이어(512)에서 단부대 단부로 연결된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한쌍의 핀 팁(302)을 성형하는 주형으로서의 형상을 취하는 성형 공구(404,406,408,410)의 작동 단부(520)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핀 팁(302)을 만들기 위해서, 멀티 스왓 장치(400)는 4개의 작동 단부(520)의 교대 쌍이 와이어 측면을 동시에 압착하는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에 도시된 제1형상으로 배열된다.
제18c도는 예비도금된 와이어(500)에서 나비넥타이형 추종부(532)를 성형하는 주형으로써의 형상을 취하는 성형 공구(404,406,408,410)의 작동 단부(530)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나비넥타이형 추종부 또는 압입 끼워맞춤부(532)는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소재하는 이, 아이. 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274,699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나비넥타이형 추종부(532)를 만들기 위해서, 멀티 스왓 장치(400)는 4개의 작동 단부(530) 모두가 와이어 측면을 동시에 압착하는 제17a도, 제17b도 및 제17c도에 도시된 제2형상으로 또는 4개의 작동 단부(530)의 교대쌍이 와이어 측면을 동시에 압착하는 제15a, 제15b도 및 제15c도에 도시된 제1형상으로 배열된다.
제18d도는 예비 도금된 와이어(500)에 별표형 보유부(452)를 성형하는 주형으로써의 형상을 취하는 성형공구(404,406,408,410)의 작동 단부(540)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벌표형 보유부(452)는 이, 아이, 듀우판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로 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단자상의 비교적 변형되지 않는 보유부이다. 별표형 보유부(452)를 만들기 위해, 멀티 스왓 장치(400)는 4개의 작동 단부(540) 모두가 와어이 측면을 동시에 압착하는 제17a도, 제17b도 및 제17c도에 도시된 제2형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상술한 본 발명의 교훈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도 첨부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3)

  1. 긴 금속 와이어(512)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장치(400)에 있어서, 축(434)을 중심으로 원통형인 제1표면(428)과, 상기 원통형 표면(428)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축을 통과하는 제1슬롯(436)이 형성되어 있는 제2표면(430) 및 상기 축을 따라서 공구 안내부를 통하여 연장된 통로(432)를 구비하는 공구 안내부(402)와, 제1돌기(450) 및 와이어에 접촉하는데 제1작동 단부(452)를 구비하며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1작동 단부의 형상에 일치시키고 제1가공 단부가 축에 면하는 상태로 제1슬롯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 제1성형 공구(404)와, 제2돌기(450) 및 와이어에 접촉하는 제2작동 단부(452)를 구비하며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2작동 단부의 형상에 일치시키고, 제2작동 단부가 축에 면하는 상태로 제1슬롯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 제2성형 공구(406)와, 최소한 2개의 돌기(454) 및 공구 안내부의 원통형 표면을 접촉시키기 위한 내부 원통형 표면(456)을 구비하며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축의 둘레에서 진동 가능한 링(412)과, 제1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0) 및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1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2)를 구비하는 제1링크(414)와, 제2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4) 및 상기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2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6)를 구비하는 제2링크(416)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가 통로에 위치되어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에서 축을 향해 활주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되고, 링이 공구안내부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긴 금속 와이어(512)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장치(400)에 있어서, 축(434)을 중심으로 원통형인 제1표면(428)과, 상기 원통형 표면(428)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축을 통과하는 제1슬롯(436)과 제2슬롯(438)이 형성되어 있는 제2표면(430) 및 상기 축을 따라서 공구 안내부를 통하여 연장된 통로(432)를 구비하는 공구 안내부(402)와, 제1돌기(450) 및 와이어에 접촉하는 제1작동 단부(452)를 구비하며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1작동 단부의 형상에 일치시키고 제1작동 단부가 축에 면하는 상태로 제1슬롯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 제1성형 공구(404)와, 제2돌기(450) 및 와이어에 접촉하는 제2작동 단부(452)를 구비하며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2작동 단부의 형상에 일치시키고 제2작동 단부가 축에 면하는 상태로 제2슬롯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 제2성형 공구(406)와, 최소한 2개의 돌기(454) 및 공구 안내부의 원통형 표면을 접촉시키기 위한 내부 원통형 표면(436)을 구비하며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축의 둘레에서 진동 가능한 링(412)과, 제1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0) 및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1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2)를 구비하는 제1링크(414)와, 제2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4) 및 상기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2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6)를 구비하는 제2링크(416)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가 통로에 위치되어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에서 축을 향해 활주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되고, 링이 공구안내부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슬롯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긴 금속 와이어(512)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장치(400)에 있어서, 축(434)을 중심으로 원통형인 제1표면(428)과, 상기 원통형 표면(428)의 한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축을 통과하는 제1슬롯(436)과 제2슬롯(438)이 형성되어 있는 제2표면(430) 및 상기 축을 따라서 공구 안내부를 통하여 연장된 통로(432)를 구비하는 공구 안내부(402)와, 제1돌기(450) 및 와이어에 접촉하는 제1작동 단부(452)를 구비하며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1작동 단부의 형상에 일치시키고 제1작동 단부가 축에 면하는 상태로 제1슬롯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 제1성형 공구(404)와, 제2돌기(450) 및 와이어에 접촉하는 제2작동 단부(452)를 구비하며 이 접촉된 와이어를 제2작동 단부의 형상에 일치시키고 제2작동 단부가 축에 면하는 상태로 제2슬롯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 제2성형 공구(406)와, 최소한 2개의 돌기(454) 및 공구 안내부의 원통형 표면을 접촉시키기 위한 내부 원통형 표면(456)을 구비하며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축의 둘레에서 진동 가능한 링(412)과, 제1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0) 및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1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2)를 구비하는 제1링크(414)와, 제2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4) 및 상기 한 세트의 링 돌기 중 제2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6)를 구비하는 제2링크(416)를 포함함으로써, 와이어가 통로에 위치되어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공구가 제1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에서 축을 향해 활주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되고 제2성형 공구가 제2링크에 의하여 제2슬롯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되며,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공구가 제1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되며 제2성형 공구가 제2링크에 의하여 제2슬롯에서 축을 향해 활주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긴 금속 와이어(512)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장치(400)에 있어서, 축(434)을 중심으로 원통형인 제1표면(428)과, 상기 원통형 표면(428)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축을 통과하는 제1직선 슬롯(436)과 제2직선 슬롯(438)이 형성되어 있는 제2표면(430) 및 상기 축을 따라서 공구 안내부를 통하여 연장된 통로(432)를 구비하는 공구 안내부(432)와, 서로 축에서 교차하며 제1슬롯에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제1성형 공구(404) 및 제2성형 공구(406)와, 서로 축에서 교차하며 제2슬롯에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제3성형 공구(408) 및 제4성형 공구(410)와, 복수 개의 돌기(454) 및 공구 안내부의 원통형 표면을 접촉시키기 위한 내부 원통형 표면(456)을 구비하며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축의 둘레서 진동 가능한 링(412)과, 제1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0) 및 제1세트의 링 돌기 중 제1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2)를 구비하는 제1링크(414)와, 제2공구 동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4) 및 상기 제1세트의 링 돌기 중 제3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76)를 구비하는 제2링크(416)와, 제3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78) 및 상기 제1세트의 링 돌기 중 제3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80)를 구비하는 제3링크(418)와, 제4공구 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1단부(482) 및 상기 제1세트의 링 돌기 중 제4돌기에 회동식으로 연결된 제2단부(484)를 구비하는 제4링크(420)를 포함하며, 제1, 제2, 제3 및 제4성형 공구의 각각은 돌기(450) 및 와이어에 접촉해서 이 접촉된 와이어를 작동 단부의 형상에 일치시키는 작동 단부(452)를 갖추고 있고, 와이어가 통로에 위치되어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에서 축을 향해 활주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되고 제3성형 공구와 제4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제2슬롯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되고, 링이 공구 안내부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3성형 공구와 제4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제2슬롯에서 축을 향해 활주되도록 압축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되고 제1성형 공구와 제2성형 공구가 링크에 의하여 제1슬롯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 단부(452,520,540)는 단부와 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핀 팁(102)을 성형하기 위한 형틀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핀 팁은, 전기 전도성 층(110)과 대칭축(107)을 갖는 전기 전도성 코어(108)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118)를 가지며 서로 연결된 핀 팁의 비도금 평단부(116)와, 전도성 층으로 전체적으로 도금되고 각각이 평단부 모서리 중 대응 모서리로부터 대칭축에서 멀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 측면(112)을 갖는 것을 특징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작동 단부(530)는 추종부(532) 또는 보유부를 성형하기 위한 형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제2세트의 링 돌기(454)를 포함하며, 제1링크(414)와 제2링크(416)의 제2단부(472,476)는 제1세트의 링 돌기 중 제1돌기 및 제2돌기로부터 분리되고, 제2세트의 링 돌기 중 제1돌기 및 제2돌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와이어(512)가 통로(432)에 위치되어서 슬롯(436,438) 밖으로 연장되고 링(412)이 공구 안내부(402)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공구(404), 제2성형 공구(406), 제3성형 공구(408) 및 제4성형 공구(410)가 링크(414,416,418,420)에 의하여 제1슬롯과 제2슬롯에서 축으로부터 멀리 활주되도록 압착되며, 링이 공구 안내부 대하여 제2방향으로 진동할 때는 제1성형 공구, 제2성형 공구, 제3성형 공구 및 제4성형 공구가 제1슬롯과 제2슬롯에서 측을 향해 활주되도록 압착되어 와이어와 접촉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공구 안내부(402)에 대하여 링을 진동시키기 위한 힘이 연장부에 가해지도록 링(412) 상에 링의 외부 원통형 표면(46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4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공구 안내부(402) 상의 허브(444)에 연결되는 지지부(422)와, 링크(414,416,418,420)에 인접하게 배치된 덮개부(426)와, 링(412)과 성형 공구(404,406,408,410) 및 링크가 덮개부와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덮개부를 지지부에 연결시키는 수단(48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긴 금속 와이어(512)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동 단부가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에 제1거리로 압착하도록 제1성형공구(404)의 작동 단부(452)와 제2성형 공구(406)의 작동 당부(452) 사이의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와, 작동 단부가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제2거리로 압착하도록 제3성형 공구(408)의 작동 단부(452)와 제4성형 공구(410)의 작동 단부(452) 사이의 와이어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와, 작동 단부가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제3거리로 압착하도록 제1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와 제2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 사이의 와이어의 제1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와, 작동 단부가 와이어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제4거리로 압착하도록 제3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와 제4성형 공구의 작동 단부 사이의 와이어의 제2쌍의 말단 측면을 동시에 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거리와 제4거리는 제1거리와 제2거리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인 단계는 제1압인 단계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제4압인 단계는 제3압인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형상부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압인 단계와 제4압인 단계를 적어도 한번 다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제2압인 단계가 제1압인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며, 제4압인 단계가 제3압인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형상부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압인 단계 및 제4압인 단계를 적어도 한번 다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형상부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압인 단계 및 제4압인 단계를 적어도 한번 다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형상부는 단부와 단부가 연결된 한 쌍의 전기 단자 핀 팁(102)이며, 상기 각 핀 팁은 전기 전도성 층(110)과, 대칭축(107)을 갖는 전기 전도성 코어(108)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118)를 가지며 서로 연결된 핀 팁의 비도금 평단부(116)와, 전도성 층으로 전체적으로 도금되고 각각이 평단부 모서리 중 대응하는 모서리로부터 대칭축에서 멀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 측면(1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핀 팁을 전단 분리시켜 비도금 평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핀 팁들 중 어느 한 핀 팁에 대하여 다른 핀 팁에 인접한 대칭축에 대하여 수직한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핀 팁을 파단 분리시켜 비도금 평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핀 팁들 중 어느 한 핀 팁에 대하여 대칭축을 중심으로 다른 핀 팁을 비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와이어가 예비 도금 층을 가지며 횡단면이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와이어가 예비 도금 층을 가지며 횡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0항에 있어서, 형상부가 추종부(5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0항에 있어서, 형상부가 보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006950A 1991-04-25 1992-04-24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KR950009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94,513 US5117671A (en) 1991-04-25 1991-04-25 Apparatus for forming features on an elongated metal wire
US694513 1991-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916B1 true KR950009916B1 (ko) 1995-09-01

Family

ID=2478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950A KR950009916B1 (ko) 1991-04-25 1992-04-24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17671A (ko)
EP (1) EP0510979A3 (ko)
JP (1) JPH05146839A (ko)
KR (1) KR950009916B1 (ko)
BR (1) BR9201476A (ko)
CA (1) CA2066809A1 (ko)
MX (1) MX92019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6006A1 (de) * 1993-05-04 1994-11-10 Vasile Ifrim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pitze an einem kontaktstift
CA2134741A1 (en) * 1993-11-01 1995-05-02 William Mcjames Process for manufacturing surgical needles
US5477604A (en) * 1993-11-01 1995-12-26 Smith; Daniel Process for manufacturing taper point surgical needles
US6368012B1 (en) 1999-12-22 2002-04-09 Abb Flexible Automation, Inc. Compliant end effector
US7024767B1 (en) * 2005-03-14 2006-04-11 Giga-Byte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king terminal
JP6681650B2 (ja) * 2016-04-04 2020-04-15 Nittoku株式会社 線材の切断装置及び線材の切断方法
DE102018101159A1 (de) * 2017-12-01 2019-06-06 Rennsteig Werkzeuge Gmbh Pressbacken, sowie Presszange mit zwei Zangenbacken
DE102017128584A1 (de) 2017-12-01 2019-06-06 Rennsteig Werkzeuge Gmbh Presszange
DE102018114579B3 (de) * 2018-06-18 2019-10-10 copperING S.r.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ratfreien Abtrennen eines Drahtes sowie ein entsprechend abgetrenntes Drahtstück und Hairpin
CN110994482B (zh) * 2020-01-03 2020-12-04 新沂市锡沂高新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电缆外绝缘皮环切剥落装置
AT523722B1 (de) * 2020-07-21 2021-11-15 Sw Automatisierung Gmbh Crimpwerkzeug
JP7258380B1 (ja) * 2022-02-15 2023-04-17 株式会社ミスズ工業 長尺線材の加工方法
CN114512872A (zh) * 2022-03-04 2022-05-17 东莞市锐升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排接线剥线打端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619A (en) * 1872-03-12 Improvement in dies for forging harrow-teeth
US1322584A (en) * 1919-11-25 Eerbttle-machine
DE425573C (de) * 1926-02-22 Otto Zimmermann Schmiedemaschine
GB191411929A (en) * 1914-05-14 1914-11-05 Robert Holland Improvements in Grooving Apparatus for Tubes and the like.
US2106274A (en) * 1933-12-22 1938-01-25 Lamson & Sessions Co Apparatus for cutting bar stock
GB681986A (en) * 1948-08-14 1952-11-05 Nat Res Dev Improvements relating to forging machines
DE1924691U (de) * 1965-01-29 1965-09-30 Bernd Ribback Presse od. dgl. zur plastischen verformung.
US3938364A (en) * 1974-08-13 1976-02-17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Wrapping post swaging apparatus
US4274699A (en) * 1978-04-27 1981-06-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ss fit terminal with spring arm contact for edgecard connector
GB2081144B (en) * 1980-08-01 1983-10-12 Sigma Koncern An arrangement for the radial forming of bodies
DE3228581C2 (de) * 1982-07-30 1984-08-16 Otto 8959 Trauchgau Bihler Kleinformatige Kontaktstift-Baugruppe
DE3331721C2 (de) * 1983-09-02 1986-06-05 Peter 6000 Frankfurt Schröck Radialpresse für Werkstücke mit zylindrischer Außenfläche
JPH0332047Y2 (ko) * 1986-01-29 1991-07-08
US4836006A (en) * 1987-12-30 1989-06-06 Brown Maurice H Terminal forming apparatus
JPH02239580A (ja) * 1989-03-14 1990-09-21 Teijin Seiki Co Ltd くびれ部形成機およびくびれ部形成機付き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17671A (en) 1992-06-02
EP0510979A2 (en) 1992-10-28
EP0510979A3 (en) 1993-03-31
MX9201913A (es) 1993-08-01
BR9201476A (pt) 1992-12-01
JPH05146839A (ja) 1993-06-15
CA2066809A1 (en) 199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16B1 (ko) 긴 금속 와이어 상에 형상부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US5195350A (en) Method for forming features on an elongated metal wire
US5944563A (en) Press-in terminal for a connector
US4546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rk contacts
DE102005059676B4 (de) Ultraschallverbindungsverfahren für ein Kabel und Ultraschall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 Kabel
JP6954170B2 (ja) 端子
WO2019159746A1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US5671528A (en) Apparatus for crimping electrical terminals
WO1987006397A1 (en) Reworking and sizing of flat conductor cable
DE112018001787T5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3990864A (en) Method of making electrical contacts
US4025143A (en) Electrical contacts
US4825541A (en) Method of making contact springs
KR970002439B1 (ko) 전기 단자 핀 및 그 제조 방법
US4641910A (en) Electrical contacts
US39569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forming planar material
US3327372A (en) Method for forming a double curvature connector
JPH07282943A (ja) 圧接端子の電線圧接方法及び装置
US4044212A (en) Electric switches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GB2406535A (en) A press for cold forging an electrical contact
EP0510980A2 (en) Automatic variable stroke crank assembly
CN107230849A (zh) 压接触头和压接连接器
EP2860829A1 (de) Elektrisches Kontaktelement, Steckverbinder und Herstellungsverfahren
JP3506879B2 (ja) 成型金型
JPH05135818A (ja) コネクターソケツ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