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39B1 - 아조안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조안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39B1
KR950009539B1 KR1019870004279A KR870004279A KR950009539B1 KR 950009539 B1 KR950009539 B1 KR 950009539B1 KR 1019870004279 A KR1019870004279 A KR 1019870004279A KR 870004279 A KR870004279 A KR 870004279A KR 950009539 B1 KR950009539 B1 KR 95000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mponent
aqueous
coupling component
azo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100A (ko
Inventor
베링거 하르트무트
리베르그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호르스트 란쯔, 클라우스 훕부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호르스트 란쯔, 클라우스 훕부흐 filed Critical 훽스트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8000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6Preparation of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1/00Special methods of performing the coupling reaction
    • C09B41/006Special methods of performing the coupling reaction characterised by process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조안료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아조안료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아조안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조안료는, 바람직하게는 디아조늄 화합물을 방향족 아민, 아세토아세트산 아릴리드, 나프톨, 페놀 또는 피라졸론과 같은 커플링 성분과 아조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수성상의 공급물질들을 혼합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반응은 오래전부터 공지되었으며 유기화학 교과서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 Louis and Mary Fieser, Organische Chemie, Verlag Chemie, Weinheim/Bergstrasse, 1965, pages 890 et seq., 1431, 1766 et seq.].
수성계중에서 난용성인 성분들의 커플링 반응은 특별한 문제들을 야기시킨다.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커플링 성분을 가능한한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분산제, 유화제 또는 용매(예, 알콜)를 가하거나, 강알칼리성 매질중에 가용성이며 산의 첨가로 침전될 수 있는 커플링 성분을 연마 또는 침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커플링 성분의 난용성은 종종 안료중으로의 흡장(occlusion)을 일으키여, 알려진 바와 같이, 순수한 안료 제조의 어려움은 반응계중에서의 안료의 용해도 감소를 증가시킨다.
통상적으로, 산성 pH-범위에서 더 안정한 디아조늄염 용액을 커플링 성분의 용액 또는 현탄액 내로 유입시키며, 소정의 pH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아조 커플링 반응 과정중에 유리되는 산 및 디아조늄염 용액중에 존재하는 과량의 산은 염기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산 디아조늄염 용액을 위한 공급물 유입구에서, pH-값은 교반후에 고정되는 pH-값과는 항상 상이하며, 교반기 종류 및 교반 속도도 또한 부산물의 형성 및, 궁극적으로는 제조되는 안료의 착색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반응 혼합물이 디아조늄 화합물을 과량으로 함유하지 않게 유지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미반응된 커플링 성분의 흡장이 없는 순수한 아조안료가, 특정한 반응 조건하에서, 동량의 수성/산성-디아조늄염 용액가 수성/중성 내지 수성/산성 pH-범위에서 난용성연 커플링 성분의 수성/알칼리성 용액을 신속하게 혼합함으로써 재현가능하게 수득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난용성 커플링 성분은 pH 7에서 0.1중량%미만의 용해도를 갖는 성분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디아조 성분의 수성/산성-용액을 65℃미만의 온도에서, 1분 미만의 시간에 걸쳐 커플링 성분의 수성/알칼리성 용액과 연속적으로 혼합한 다음, 디아조 성분 및 커플링 성분의 매스 스트림(mass stream)의 유동(flow)을 조절함으로써 pH를 2 내지 9의 소정의 pH로 고정시키고, 이렇게 하여 커플링 성분의 일부분이 즉시 반응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아조안료가 수득되고 동시에 커플링 성분의 잔여 부분은 미세한 결정성의 반응성 물질로서 침전 개시되고, 후-반응 단계에서 후자인 결정성의 반응성 물질을 미반응된 디아조 성분과 반응시켜 제조하고자 하는 아조안료를 수득함을 특지응로 하여, 디아조 성분과 동량의 낭용성 커플링 성분을 65℃미만의 온도에서 수성/산성 및 수성/중성 pH-범위에서 아조 커플링 반응시켜 아조안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임의의 특정은 a) 연속적인 혼합조작이 6초 미만의 시간에 걸쳐 수행되고, b) 소정의 pH가 완충물질의 가함으로써 고정되며; c) 60 내지 98%의 커플링 성분이 즉시 반응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아조안료를 생성시키고; d) 후-반응 단계를 포함한 아조 커플링 반응 동안에 온도가 10 내지 55℃로 되며; e) 침전된 반응성 커플링 성분이, 화학적 조성에 따라, 그들의 입자 표면에 고착된 에놀레이트, 페놀레이트 또는 나프톨레이트 그룹을 함유한다는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2 내지 9의 pH는 공급물질이 처리되는 연속 혼합 조작의 증기에 고정된다. 사용되는 디아조성분 및 커플링 성분에 따라서 횔씬 더 좁은 범위로 고정되기도 하며, 이는 제조될 생성물에 대해 특이적으로 선택된다. 그러나, 디아조성분을 더 안정되게 하고 중성 pH 범위에서 커플링 성분의 용해도를 더낮게 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범위내에서 더 높은 pH를 선택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이것이 필수적이거나 조차하다.
공급물질을 본 발명에 따르는 신속한 혼합 공정으로 처리하면, 난용성 커프링 성분의 일부분은 순수한 커플링 성분의 입자보다 반응성이 더 큰 반응성 물질로서 침전된다. 커플링 성분의 화학적 성질에 따라서, 통상의 미세한 결정성 입자는 그들의 표면에 고착된 페놀레이트, 에놀레이트 또는 나프톨레이트 그룹을 함유하며, 이들은 결정성 입자내의 전자밀도에 대해 작용하여 결정성 입자들이 특히 반응성이 되도록 한다. 지금까지는, 등량의 공급성분들을 함께 혼합한 후에 커플링 성분의 일부분을 반응성 물질의 형태로 침전시킨후에 있어서, 과량의 디아조늄 성분의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공급물질을 본 발명에 의해 특별하게 선택된 pH 및 온도 범위내에서 1분 미만 동안 신속하게 혼합시키면, 디아조늄 성분이 커플링 성분의 침전된 반응성 물질 분획이 후-반응 단계 동안 완전히 커플링되기에 충분하게 긴 시간연 0.01 내지 1시간 동인(이 시간은 제조될 특정한 생성물에 따라 0.01 내지 1시간 사이에서 변화한다)에 거의 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것은 종종, 혼합을 격렬하게 하고 혼합기 내에서의 물질의 체류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혼합기로부터 배출된 생성물의 일부분을 혼합기내로 재순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생성물은 물론 중간 용기를 통하여 재순환시킬 수 있다.
디아조 성분을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공급 물질은 예를들어, 2,5-디클로로아닐린, 2-클로로-4-니토로아닐린, 5-니트로-2 -아미노아니솔 또는 3-니트로-4-아미노톨루엔이다. 유용한 커플링 성분은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 -3-나프토산아닐리드, β-나프톨 및 아세토아세트산-O-아니시다이드 중에서 선택될수 있다.
[실시예 1]
(첨부된 제1도 참조)
하기 구조식(I )의 1-(2',5'-디클로로페닐아조)-2-하이드록시나프탈린-3-카복실산 페닐 아미드의 제조.
Figure kpo00001
하기 구조식(II)의 2,5-디클로로아닐린 82.5g(0.59몰)을 물 600㎖ 및 염산(31중량%) 175㎖중에 현탁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2℃로 냉각시킨 다음 아질산 나트륨 용액(40중량%) 70㎖를 사용하여 디아조화시킨다.
Figure kpo00002
아세트산(60중량%) 35㎖, 셀라이트(CELITE : 등록 상표)(규조토) 5g 및 활상탄 5g을 여과제 및 정화 보조젤호서 가하고, 혼합물을 10℃ 미만의 온도에서 여과한. 아세트산으로 완충시킨 2,5-디클로로페닐 디아조늄 클로라이드의 맑은 용액을 용기(1)내에서 얼음 및 물을 사용하여 1.8리터가 되도록 조정한다.
하기 구조식(III)의 2-하이드록시-3-나프토산 아닐리드 132.5g(0.50몰)을 제2용기(2)내에서 물 1400㎖중에 현탁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수산화나트륨 용액(25중량%) 154㎖와 혼합한 다음, 맑은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가온하고, 물을 사용하여 1.8리터가 되도록 한 다음 55℃로 가열한다 :
Figure kpo00003
용기(1)로 부터의 약 2℃의 산성 디아조늄염 용액과 용기(2)로 부터의 55℃의 알칼리성 커플링 성분 용액을 30 내지 40℃에서 1시간에 걸쳐서 혼합기(3)내로 함께 유입시킨 다음, 이 혼합기로 부터 배출구를 통해 유출시켜 라인(4)을 통하여, 조작 개시시에 물 250㎖로 충전된 수집 탱크(5)내로 이송시킨다. 동시에, 수집 탱크(5)로 부터 유출되어 재순환 라인(6)을 통해 이용하는 보조 물질을 혼합기(3)내로 유입시키는데, 이때 보조물질은 두가지 공급물질의 용량의 5배의 용량으로 사용된다. pH는 혼합기(3)에서는 4.5로, 수집 탱크(5)에서는 4.2로 고정된다. 혼합기(3)내에서의 체류시간은 1.8초히다. 용해된 커플링 성분의 대부분(80%)은 자발적으로 커플링하여 용액으로 부터 목적하는 아조안료를 생성시키는 반면, 용해된 커플링 성분의 나머지 부분은 미세한 결정성 반응성 물질로서 침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결정성 반응성 물질은 후-반응대로도 사용되는 수집 탱크(5) 중에저 잔류하는 디아조늄염과 30분에 걸쳐 커플링되어 목적하는 아조안료를 생성시키는데, 이 동안에 디아조 성분은 바람직하지 않은 분해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과에 의해 라인(7)을 통해 수집 탬크(5)로부터 분리된 아조안료를 전조시킨 다음(214g=0.49몰),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분석하면 커플링 성분이 검출가능하도록 흡장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첨부된 제1도 참조)
하기 구조식(IV)의 1-(2-클로로-4-니트로페닐아조) -2-나프톨의 제조
Figure kpo00004
2-클로로-4-니토로아닐린 90g(0.522몰)을 물 500㎖ 및 염산(31중량%) 126㎖중에 현탁시키고, 빙냉시키면서 아질산나느륨 용액(40중량%) 69㎖를 사용하여 디아조화시킨다. 이어서, 여과 보조제(셀라이트, 표백토) 5g을 가하고 배치(batch)를 여과하고, 필터 케익을 빙수를 사용하여 후세척하고 용기(1)중에서 맑은 디아조늄염 용액이 1500㎖가 되도록 조정한다.
β-나프톨 75g(0.521몰)을 물 50㎖ 및 수산화나느륨 용액(25중량5) 96㎖ 혼합한 다음, 모두 용해될때까지 전체 혼합물을 교반한다. 이어서, 생성된 생성된 용액을 용기(2)내에서 교반하면서 완충 물질로서의 아세트산 10㎖(60중량96)와 혼합한 다음 빙수를 사용하여 1500㎖가 되도록 조정한다.
용기(1)로부터의 산성 디아조늄염 용액 및 용기(2)로 부터의 알칼리성 커플링 성분 용액을 15 내지 20℃에서 90분에 걸쳐 혼합기(3)내로 함께 유입시킨 다음, 혼합기로부터 배출구를 통하여 유출 시키고 라인(6)을 통하여 조작 개시시에 물 500㎖로 충전된 수집 탱크(5)내로 이송시킨다. 동시에, 수집 탱크(5)로 부터의 보조물질 2001,/h를 재줌한 라인(6)을 통하여 「힘합기(3)로 재순환시킨다.
혼합기(3)에서 pH는 2.6이고 체류시간은 1.5초이다. 용해된 커플링 성분의 대부분(90%)은 혼합기(3)내에서 목적하는 아조안료로 커플링되는 반변, 커플링 성분의 나머지 부분은 미세한 결정성의 반응성 물질로서 침전되는 것으로 화연되었으며, 이 결정성의 반응성 물질은 후-반응대로도 사용되는 수집 탱크(5)중에서, 잔류하는 디아조늄염과 5분에 결쳐 후-커플링하여 목적하는 아조안료를 생성시킨다.
여과에 의해 라인(7)을 통해 수집 탱크(5)로 부터 분리된 아조안료를 전조시킨다. 이생성물은 164g(0.5몰)이며,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다.

Claims (6)

  1. 디아조 성분의 수성/산성-용액을 65℃ 미만의 온도에서, 1분 미만의 시간에 걸쳐 커플링 성분의 수성/알칼리성 용액과 연속적으로 혼합한 다음, 디아조 성분 및 커플링 성분의 매스 스트림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pH를 2 대지 9의 소정의 pH로 고정시키고, 이렇게 하여 커플링 성분의 일부분이 즉시 반응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아조안료가 수득되고, 동시에 커플링 성분외 잔여 부분은 미세한 결정성의 반응성 물질로서 침전 개시되고, 생성된 결정성의 반응성 물질을 미반응된 디아조 성분과 후-반응단계에서, 반응시켜 제조하고자 하는 아조안료를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여, 디아조 성분과 동량의 난용성 커플링 성분을 65℃ 미만의 온도에서 수성/산성 및 수성/중성 pH-범위에서 아조 커플링 반응시켜 아조안료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연속 혼합을 6초 미만의 시간에 걸쳐 수행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pH를 완충물질을 가하여 고정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커플링 성분의 60 내지 98%가 즉시 반응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아조안료를 생성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후-반응 단계를 포함한 아조커플링 반응중의 온도가 10 내지 55℃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침전된 반응성 커플링 성분이, 화학적 조성에 따라, 그들의 입자 표면에 고착된 에놀레이트, 페놀레이트 또는 나프톨레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방법.
KR1019870004279A 1986-05-03 1987-05-01 아조안료의 제조방법 KR950009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615099.1 1986-05-03
DEP36150991.1 1986-05-03
DE3615099 1986-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100A KR880009100A (ko) 1988-09-14
KR950009539B1 true KR950009539B1 (ko) 1995-08-24

Family

ID=630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279A KR950009539B1 (ko) 1986-05-03 1987-05-01 아조안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20206A (ko)
EP (1) EP0244686B1 (ko)
JP (1) JP2518843B2 (ko)
KR (1) KR950009539B1 (ko)
AU (1) AU595601B2 (ko)
DE (1) DE3783646D1 (ko)
DK (1) DK167224B1 (ko)
ES (1) ES2044859T3 (ko)
IN (1) IN1693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9308B (ko) * 1986-05-03 1991-09-28 Hoechst Ag
GB2235694B (en) * 1989-08-10 1992-06-24 Ciba Geigy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sazo pigment mixtures
US5191070A (en) * 1989-08-10 1993-03-02 Ciba-Geigy Corporation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sazo pigment mixtures
EP0826742A4 (en) * 1996-02-26 1999-11-03 Toyo Ink Mfg Co METHOD FOR PRODUCING DISAZOPIGMENT AND THE PIGMENT MADE THEREOF
US7135266B2 (en) 2000-02-09 2006-11-14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Preparation of azo colorants in microreactors and their use in electrophotographic toners and developers, powder coatings, ink jet inks and electronic medias
DE50100960D1 (de) * 2000-02-09 2003-12-18 Clariant Internat Ltd Mutten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zofarbmitteln in mikroreaktoren
DE60115465T2 (de) * 2000-08-29 2006-08-03 Nobex Corp. Immunoregulierende verbindungen, deren derivate und ihre verwendung
DE10049200A1 (de) * 2000-10-05 2002-04-11 Claria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zofarbmitteln
US8048924B2 (en) * 2001-08-29 2011-11-01 Biocon Limited Methods and compositions employing 4-aminophenylacetic acid compounds
DK1773767T3 (en) 2004-07-07 2016-03-21 Biocon Ltd Synthesis of azo bound in immune regulatory relations
GB0416256D0 (en) * 2004-07-20 2004-08-25 Avecia Ltd Manufacturing process
CN101068886A (zh) * 2004-12-03 2007-11-07 佳能株式会社 偶氮颜料分散液的制备方法
CN101054473B (zh) * 2006-04-10 2010-10-20 浙江龙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耦合生产设备及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4954A (en) * 1937-03-22 1939-10-03 Harmon Color Works Inc Azo pigment and method of preparing
GB599608A (en) * 1942-12-22 1948-03-17 Gen Printing Ink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monazo and disazo pigments
DE1085278B (de) * 1958-03-08 1960-07-14 Hoechst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Azopigmenten
GB1143727A (ko) * 1966-09-09 1900-01-01
DE2844634A1 (de) * 1978-10-13 1980-04-24 Hoechst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azopigmenten
US4395264A (en) * 1981-11-06 1983-07-26 Basf Wyandotte Corporation Azo coupling process
GB2129434B (en) * 1982-10-08 1986-04-16 Ciba Geigy Ag Production of azo compounds
IN169308B (ko) * 1986-05-03 1991-09-28 Hoechst 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63260A (ja) 1987-11-16
KR880009100A (ko) 1988-09-14
IN169307B (ko) 1991-09-28
DK223587D0 (da) 1987-05-01
AU595601B2 (en) 1990-04-05
DK167224B1 (da) 1993-09-20
EP0244686A3 (en) 1990-11-14
EP0244686A2 (de) 1987-11-11
DE3783646D1 (de) 1993-03-04
AU7240687A (en) 1987-11-05
EP0244686B1 (de) 1993-01-20
DK223587A (da) 1987-11-04
US4920206A (en) 1990-04-24
JP2518843B2 (ja) 1996-07-31
ES2044859T3 (es) 199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539B1 (ko) 아조안료의 제조방법
US4268437A (en) Continuous diazotization of amines
KR910006715B1 (ko) 아조 화합물의 제조방법
KR960008248B1 (ko) 아조 안료의 제조방법
US5158863A (en) Methods of forming stable dispersions of photographic materials
US4920205A (en) Process for making azo pigments
US320398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henylhydrazine hydrochloride
EP1013640B1 (de) Synthese von Guanidinderivaten ausgehend von O-alkylisoharnstoffsalzen unter Anwendung von Impfkristallen
US4496481A (en) Production of azo compounds
JP3232931B2 (ja) 低アミン含有率のジスアゾ顔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ジスアゾ顔料
US595812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azo pigment and disazo pigment manufactured thereby
JPH07196932A (ja) アゾ染料の製造方法
CA2236101C (en) Processes for producing 4,6-bis(substituted)phenylazoresorcinols
US4874847A (en) Process for the diazotisation of primary aromatic amines which are sparingly soluble in water
JP2943996B2 (ja) ジスアゾ顔料の製造方法
EP0074117A2 (en) Process for producing azo pigments
JPS587456A (ja) 有機顔料の湿式粒状化方法
JP2834516B2 (ja) フエニルオキシジアゾリルアニリンの製造方法
JP2002542167A (ja) 色素適用におけるアセトアセチルアリーリドサスペンジョン
US5191070A (en)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sazo pigment mixtures
GB2235694A (en)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sazo pigment mixtures
JPH0332550B2 (ko)
GB2090852A (en) Dyeing-stable Modification of a Monoazo Dyestuff, its Preparation and its Use for Dyeing Polyesters
JPH064769B2 (ja) モノアゾ顔料の製造方法
JPH03807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