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383B1 - 디지틀음성신호기록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틀음성신호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383B1
KR950009383B1 KR1019910010556A KR910010556A KR950009383B1 KR 950009383 B1 KR950009383 B1 KR 950009383B1 KR 1019910010556 A KR1019910010556 A KR 1019910010556A KR 910010556 A KR910010556 A KR 910010556A KR 950009383 B1 KR950009383 B1 KR 95000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recording
signal
track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490A (ko
Inventor
치요꼬 마쯔미
스즈무 야마구찌
아끼타 이케다니
타쯔로 쥬우리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734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32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1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369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5/926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04N5/926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with insertion of the PCM audio signals in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f the PCM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제1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테이프 위의 기록패턴의 설명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 위의 기록패턴의 설명도.
제3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 위의 기록패턴의 설명도.
제4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 위의 기록트랙의 설명도.
제5도는 마찬가지로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트랙내의 동기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6도 및 제7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리브방법을 도시한 음성데이터의 블록배치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리브방법을 도시한 음성데이터의 블록배치도.
제10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회로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자기기록테이프 12, 22 : 신호트랙
13, 23 : 영상버스트
14a, 14b, 14c, 14d, 14e, 14f, 24a, 24b, 24c, 24d, 24e : 제1채널음성버스트
15a, 15b, 15c, 15d, 15e, 15f, 25a, 25b, 25c, 25d, 25e : 제2채널음성버스트
26a, 26b, 26c, 26d, 26e : 제3채널음성버스트
27a, 27b, 27c, 27d, 27e : 제4채널음성버스트
31 : 기록트랙 32 : 프리앰블
33, 41 : 영상신호부 34, 42 : 편집갭
35 : 음성신호부 36, 49 : 포스트앰블
43 : 동기신호(SYNC) 44 : ID코드
45 : 음성신호데이터부 46 : 보조데이터부
47 : 아우터패리티 48 : 이너패리티
50 : 음성신호처리기 51, 52 : 메모리
53, 54, 56 : 스위치 55 : 음성외부착오정정처리기
57 : 내부착오정정처리기 58 : 채널처리기
59 : 실린더 60 : 자기헤드
본 발명은 영상 및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디지탈신호기록방법, 특히 디지탈용성신호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애널로그기록 VTR(이하, AVTR이라 표기함)에 비해서, 영상 및 음성신호를 디지탈상태로 기록하는 디지탈기록 VTR(이하, DVTR이라 표기함)은 재생화질 및 재생음질에 관해서 우수하다. DI방식은 실용화되어 있는 수가 적은 DVTR의 일례이다. DI방식의 레이프포맷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의 양쪽에 리니어트랙으로서 오디오테퍼런스를 기록하는 애널로그큐오디오트랙, 트래킹제어신호를 기록하는 제어트랙, 타임코드와 사용자정보를 기록하는 타임코드트랙이 있다. 이들 리니어트랙은 편집작업의 효율화를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리니어트랙의 사이에 헬리컬트랙으로서 신호트랙이 있다. 각 신호트랙은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2개의 영상버스트와, 이들 영상버스트 사이에 삽입된 4개의 음성버스트와, 상기 영상버스트 및 음성버스트 사이의 5개이 갭과, 상기 영상버스트를 사이에 개재시킨 2개의 앰블을 조합해서 구성된다. 이들 4개의 음성버스트에는 각 음성채널의 짝수/홀수성분이 기록된다. 결국, 4채널의 음성데이터는 다음에 표시하는 4트랙 단위의 순서를 반복해서 기록된다.
트랙 1 : 채널 1-짝수, 채널 4-홀수, 채널 3-짝수, 채널 2-홀수,
트랙 2 : 채널 2-짝수, 채널 1-홀수, 채널 4-짝수, 채널 3-홀수,
트랙 3 : 채널 3-짝수, 채널 2-홀수, 채널 1-짝수, 채널 4-홀수,
트랙 4 : 채널 4-짝수, 채널 3-홀수, 채널 2-짝수, 채널 1-홀수,
DI방식은 방송용이므로, 영상품질 및 음성품질이 충분히 높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영상신호의 휘도성분 및 색차성분의 샘플링주파수는 각각 13. 5㎒ 및 6.75㎒인 반면, 음성신호의 샘플링주파수는 영상신호의 샘플링주파수에 위상동기된 48㎑ 뿐이다.
방송용 VTR에서는 영상/음성의 품질열화가 없는 완전환 독립편집이 불가결하다. 또, 방송용 VTR이라고 해도 100%의 기계정밀도는 보상되지 않는다. 결국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예를 들면 음성버스트를 편집시에 개서할 경우, 본래의 음성버스트와 완전히 동일한 위치에 새로운 신호를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만약 인접트랙과의 사이에 가드(guard)나 갭이 없으면, 개서되는 버스트에 인접하는 버스트는 개서에 의해 교란된다. 이는 재생시의 착오(오차)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된다. 방송용 VTR에서는 이와 같은 기록신호의 품질열화의 요인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상의 이유에서, DI방식에서는 갭이나 가드를 충분히 크게 취하여, 편집에 의해서 기록데이터의 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들 목적을 위하여, DI방식에서는 테이프폭은 19㎜, 테이프길이는 최대 1600m(기록시간 94분)이고, 카세트사이즈로 시판의 1/2inch 테이프(기록시간 최대 480분)의 경우보다도 훨씬 크다. 그러나, 방송용의 경우, 이와 같은 카세트의 큰 크기나 기록시간의 단축보다는, 편집성능쪽을 중시하고 있다. 환언하면, 편집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기록시간을 희생하더라도 가드나 갭이라고 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여분의 영역을 굳이 형성하고 있다.
한편, 가정용의 DVTR을 실현하는데 있어서는, 현행의 가정용 AVTR과 동등이상의 기록시간, 보다 작은 카세트사이즈 및 보다 고품질의 재생화질/재생음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용 DVTR에 관한 종래의 DI방식의 과제는, 1)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여분의 영역이 너무 많고, 기록시간이 짧아지는 것, 2)편집용의 리니어트랙이 너무 많아, 테이프폭의 저감이 불가능한 것 등이 있다. 이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면서, 편집을 행하여도 허용할 수 있는 재생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정용 DVTR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가드없이 1채널당 복수트랙을 사용하여 음성신호를 기록해서 최적의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개의 채널의 음성신호를 영상신호와 동기를 취해서 기록할 때에,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I는 정수)기간에 대응하는 각 채널의 음성신호를 각각 연속하는 트랙에 가드없이 기록한다고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결국, 음성신호의 제1채널은 연속하는 복수의 트랙군 A에 기록하고, 음성신호의 제2채널은 트랙군 A에 연속하는 복수의 트랙군 B에 기록하며, 음성신호의 제N채널까지 마찬가지로 기록한다. 이 결과, 트랙사이의 가드를 없애더라도, 편집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음성신호의 비율을 저감할 수 있으며, 착오정정에 의해 허용할 수 있는 범위내의 재생음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더해서, 트랙을 영상신호부와 음성신호부로 분할하고, 각 트랙의 음성신호부를 K개(K는 정수)의 동기블록으로 분할하여, 그중 L개(L은 정수, <K)를 음성신호데이터, (K-L)개를 착오정정감사기호에 할당하는 동시에, 음성신호를 할당한 L개의 각 등기블록에는 보조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가진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보조데이터영역을 각 동기블록내에 있어서 동일위치에 동일용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보조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정보나 타임코드 등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DI방식에서는 리니어트랙에 기록되어 있던 이들 정보를 헬리컬트랙내에 수납할 수 있으며, 이들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니어트랙을 삭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테이프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상신호의 I개(I는 정수)의 필드기간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M/N개(M은 정수, N은 정수, I<N<M)의 각 트랙내의 각각 L개의 동기블록으로 이루어진 영역에 인터리브할 때, 영상신호 형식에 따른 최적의 인터리브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영상신호와 비동기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때에,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에 샘플링된 음성신호를 이 사이에 샘플링된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과 함께 기록한다고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분 발명에 의하면, 가드를 없앤 결과 기록시간을 연장할 수 있을 뿐아니라, N개의 채널이 각 음성신호를 독립해서 개서할 때에 기록계의 기록기구의 정밀도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착오를 저감하는 동시에, 다른 음성신호를 파괴하는 일이 적어지고, 파괴된 경우에도 최적의 보간능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정용 DVTR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던 종래의 DI방식의 과제를 해결하고, 가정용 DVTR에 불가결한 장시간기록과 충분한 편집기능을 실현하였다.
또, 상기 구성의 인터리브방법에 의해, 1채널당 복수트랙을 사용해서 기록되는 음성신호에 편집 및 버스트에러에 의해 발생하는 착오에 대하여 최적의 정정보간능력을 가지는 동시에 리니어트랙을 사용하는 일없이 유용한 보조데이터의 기록영역을 구비하고, 또한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당의 음성신호의 샘플수를 가변으로 하여 그 수를 기록함으로써, 영상신호와는 비동기의 음성신호를 고정밀도로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용적 효과는 대단히 크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1개의 영상신호와 제1채널과 제2채널의 2개의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서 기록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의 자기기록테이프 위의 기록패턴의 설명도이다. 제2도의 (11)의 자기기록테이프, (12)는 신호트랙, (13)은 영상버스트, (14a), (14b), (14c), (14d), (14e), (14f)는 제1채널음성버스트, (15a), (15b), (15c), (15d), (15e), (15f)는 제2채널음성버스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기록테이프(11)에 헬리컬트랙으로서 신호트랙(12)이 있다. 1프레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 12개의 영상버스트(13)가 구성되고, 영상신호 1프레임의 기간에 있는 각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각각 6개의 제1채널음성버스트(14) 및 제2채널음성버스트(15)가 구성된다. 그리고, 1개의 영상버스트(13)와 제1채널음성버스트(14)에, 또는 1개의 영상버스트(13)와 제2채널음성버스트(15)에 갭 및 앰블을 조합해서, 각각의 신호트랙(12)으로 한다. 이때, 6개의 제1채널음성버스트(14)는 자기기록테이프(I1) 위에서 인접한 트랙에 병행하도록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에 있어서, 제1채널음성버스트(14a), (14b), (14c), (14d), (14e), (14f)를 구성하는 신호는 제1채널의 음성신호를 그 시간측상의 순서를 표시하는 값을 6으로 나누어서 그 나머지가 각각 0, 4, 2, 5, 1, 3이 되도록 배분해서 얻게 된다. 또한 제2채널음성버스트(15a), (15b), (15c), (15d), (15e), (15f)를 구성하는 신호는 마찬가지고 제2채널의 음성신호를 그 시간측상의 순서를 표시한 값을 6으로 나누어서 그 나머지가 각각 0, 4, 5, 1, 3이 되도록 배분해서 얻게 된다. 이상과 같은 디지탈신호기록 방식을 사용하면, 자기기록테이프(I1) 위에 기록된 신호가 2트랙에 걸쳐서 정정할 수 없을 정도로 잘못되어서 재생되었을 때에도, 그들의 잘못된 음성신호는 시간축상에서는 인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간하여도 보간노이즈를 두드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탈신호기록방식에 있어서, 한편쪽의 채널의 음성신호만을 개서하는 것을 생각한다. 기록헤드가 어긋난 상태에서 기록이 이루어지면, 나머지 채널의 일부는 중첩기록에 의해 트랙의 폭이 깍이기 때문에, 이들 신호를 재생할 수 없는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각 채널의 연속된 트랙에 있어서는 그들중 선두트랙과 최종트랙에 착오가 많이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기록전에 소거가 필요한 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기록헤드가 어긋난 상태에서 기록이 이루어지면, 중첩기록한 부분은 나머지채널로서도 재기록하는 채널로서도 신호를 재생할 수 없는 가능성이 높고, 그 위에 소거헤드가 기록헤드와 반대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소거가 이루어지면, 신호를 재생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아진다. 따라서, 각 채널의 연속된 트랙에 있어서는, 그들중 선주트랙과 최종트랙에 착오가 많이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 있어, 이들 2트랙에 있어서는, 그들중 선두트랙과 최종트랙에 착오가 많이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 있어, 이들 2트랙에는 시간축상에서 인접하지 않도록 음성신호를 배분함으로써, 착오를 보간해도 보간노이즈를 두드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성신호는 제1, 제2의 2채널로 하고 있으나, 어떤 채널이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또 각 채널의 순서는 먼저 제1후에 제2로 하고 있으나 어떤 쪽이어도 좋으며, 그 이상의 채널수에 대해서도 특별히 그 순서를 규정하지 않는다. 또, 1트랙의 선두에 1개의 음성버스트, 그후에 1개의 영상버스트를 두고 있으나, 각각의 버서트의 개수는 몇개이어도 되고, 그들 1트랙내에 있어서의 순서도 규정하지 않는다. 각 버스트의 나머지 값은 0, 4, 2, 5, 1, 3의 순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이외의 순서이어도 된다.
다음에,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1개의 영상신호와, 제1채널, 제2채널, 제3채널과, 제4채널의 4개의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서 기록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의 자기기록테이프 위의 기록패턴의 설명도이다. 제3도의 (21)은 자기기록테이프, (22)는 신호트랙, (23)은 영상버스트, (24), 즉 (24a), (24b), (24c), (24d), (24e)는 제1채널음성버스트, (25), 즉 (25a), (25b), (25c), (25d), (25e)는 제2채널음성버스트, (26), 즉 (26a), (26b), (26c), (26d), (26e)는 제3채널음성버스트, (27), 즉 (27a), (27b), (27c), (27d), (27e)는 제4채널음성버스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기록테이프(21)에 헬리컬트랙으로서 신호트랙(22)이 있다. 2프레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 20개의 영상버스트(23)가 구성되고, 영상신호 2프레임의 기간에 있는 각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각각 5개의 제1채널음성버스트(24) 및 제2채널음성버스트(25), 제3채널음성버스트(26) 및 제4채널음성버스트(27)가 구성된다. 그리고, 1개의 영상버스트(23)와 제1채널음성버스트(24), 1개의 영상버스트(23)와 제2채널음성버스트(25), 1개의 영상버스트(23)와 제3채널음성버스트(26) 또는 1개의 영상버스트(23)와 제4채널음성버스트(27)에 갭 및 앰블을 조합해서, 각각의 신호트랙(22)으로 한다. 이때, 5개의 제1채널음성버스트(24)는 자기기록테이프(21) 위에서 인접한 트랙에 병행하도록, 또 제2채널음성버스트(25), 제3채널음성버스트(26), 제4채널음성버스트(27)의 각각에 대해서도 자기기록테이프(21) 위에서 인접한 트랙에 병행하도록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탈신호기록방식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상신호가 2프레임을 단위로 고능률부호화 되어 있다고 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아프터레코딩, 연계촬영과 같은 편집의 최소단위가 2프레임이면, 음성신호도 처리의 최소단위를 2프레임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편집시에 기록기구의 정밀도가 나빠 인접하는 트랙이 파괴되었다고 해도, 2프레임당 2트랙이므로 보간능력에 있어서 우수하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성신호는 제1, 제2, 제3, 제4의 4채널로 하고 있으나 어떤 채널이라도 마찬가지이다. 또 각 채널의 순서는 먼저 제1, 후에 제2로 하고 있으나 어느쪽이라도 좋으며, 그 이상의 채널수에 대해서도 특별히 그 순서를 규정하지 않는다. 또한, 1트랙의 선두에 1개의 음성버스트, 그후에 1개의 영상버스트를 두고 있으나, 각각의 버서트의 개수는 몇개라도 좋고, 그들의 1트랙내에 있어서의 순서도 규정하지 않는다.
또, 제2프레임의 영상신호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트랙수가 많으면, 음성신호의 처리단위를 1필드 또는 1프레임으로 하여, 1채널의 음성신호를 연속해서 기록하는 트랙도 그것에 합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기록트랙의 구성을 제4도에 도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31)은 회전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트랙이고, 1개의 트랙은 프리앰블(32), 영상신호부(33), 편집갭(34), 음성신호부(35) 및 포스트앰블(36)로 구성된다.
1채널의 영상신호와 함께 2채널의 음성신호(N=2 : 양의 정수)를 기록할 때, 영상신호는 테이프주행방향으로 연속된 기록트랙 위에서의 영상신호부(33)를 텔레비젼 방식이 NTSC 등의 525라인-60필드계(이하, "525"라 표기함)에서는 10개(M=10 : 양의 정수>N), PAL·SECAM 등의 625라인-50필드계(이하, "625"라 표기함)에서는 12개(M=12) 모아서 1프레임(I=2 : 양의 정수, 1프레임은 2필드에 의해 구성된다)을 구성하여 기록한다. 또 2채널의 음성신호는 테이프주행방향으로 연속된 음성신호부(35)를 각 채널마다, 525계에서는 5개, 625계에서는 6개 모아서 1음성블록을 구성하여 기록한다.
제4도에 도시한 트랙구성으로 기록되는 본 실시예에 대해서, 1개의 기록트랙내의 음성신호부 주변의 동기블록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1블록내의 동기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에 있어서, (41)은 영상신호부 (42)는 펀집갭, (43)은 동기신호(SYNC), (44)는 ID코드, (45)는 음성신호데이터부, (46)은 보조데이터부, (47)은 아우터패리티, (48)은 이너패리티, (49)는 포스트앰블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 그 방법을 설명한다. 편집갭(42)과 포스트앰블(49) 사이에 형성된 음성신호부는 9개의 동기블록(K=9 : 양의 정수)으로 구성되어, 주로 6개의 음성신호데이터부(L=6 : 양의 정수<K) (45)와 3개의 아우패리티부(47)로 이루어진다. 각 동기블록에는 재생시의 동기확립을 위한 동기신호(43)(SYNC)와, 블록어드레스 등을 포함하는 ID코드(44)와, 동기블록내의 착오정정을 위한 이너패리티(48)를 가지고 있다. 입력된 디지탈음성신호는 음성신호데이터부(45)에 기록되고, 필요한 보조데이터는 보조데이터부(46)에 기록되며, 양자로부터 아우터 및 이너패리티가 생성부가되어, 기록블록이 구성된다. 이때, 보조데이터부(46)의 배치방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신호데이터부(45)의 뒤쪽에 집중해서 배치한다고 하는 방법, 즉, 음성신호를 할당한 각 동기블록내의 동일위치에 동일용량의 보조데이터영역을 부가한다고 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신호를 할당한 각 동기블록내의 동일위치에 동일용량의 보조데이터 영역을 부가한다고 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보조데이터를 복수의 동기블록에 걸쳐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때문에 동기어긋남의 발생시에 있어서도 재생되는 보조데이터의 결핍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고속탐색 등의 간헐재생시에 있어서 높은 확률로 보조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보조데이터부(46)는 반드시 음성신호데이터부(45)의 뒤쪽에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중간이어도, 또 선두이어도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의 구성이 영상신호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고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제5도에는 각 부를 구성하는 동기블록의 수 및 동기블록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바이트수를 예시하고 있으나,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또, 제1, 제2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주행방향, 헤드진행방향(헤드회전방향), 트랙의 기울기는 일례이고, 각각 임의의 방향이어도 된다.
다음에 제4실시예로서 음성신호데이터부 내에서의 인터리브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6도 및 제7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음성데이터블록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6도는 525계에 대한 것, 제7도는 625계에 대한 것이다. 또한,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는 각각 이하의 표 1 및 표 2에 표시한 값으로 한다.
제6도에 있어서, 가로방향은 영상신호 1프레임분에 상당하는 음성신호의 트랙구성을 표시하고, 트랙번호 0∼4가 스테레오신호의 Lch에 그리고 트랙번호 5∼9가 스테레오신호의 Rch에 해당된다. 세로방향이 동기 블록이고, 대별해서, 동기블록번호 0∼2에 음성신호의 짝수계열데이터가 동기블록번호 3∼5에 음성신호의 홀수계열데이터가, 그리고 동기블록번호 6∼8에 아우터패리티가 각각 기록된다. 각 디지탈음성신호의 데이터는 제6도에 표시되는 값을 초기치로 하고, 이후 30샘플주기에서 시계열샘플링 순으로 기록되어, 동기블록의 형성에 의해 테이프 위에 기록되게 된다.
음성샘플은 트랙번호 1에 기록되고, 해당 샘플의 샘플링순서에 있어서의 인접샘플은 트랙번호 1 및 이 트랙번호 1과 인접한 트랙과는 다른 트랙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제6도에 있어서, 샘플L4는 트랙번호 2에 기록되고, 샘플L4에 인접한 샘플L3 및 L5는 각각 트랙번호 2 또는 트랙번호 2에 인접한 트랙번호 1 및 트랙번호 3에는 기록되지 않는다.(즉, 샘플L3 및 L5L는 각각 트랙번호 4 및 0에 기록된다).
또, 1프레임동안 하나의 채널의 음성샘플이 기록되는 트랙군에 있어서, 해당 트랙군의 선두트랙상에 기록된 샘플의 인접샘플은 해당 트랙군의 최종 트랙상에는 기록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6도에 있어서, 샘프L10은 해당 트랙군의 선두트랙인 트랙번호 0에 기록되고, 이 샘플L10에 샘플링순으로 인접하는 샘플L9 및 L11은 해당 트랙군의 최종트랙(트랙번호 4)상에 기록되지 않는다(즉, 샘플L9 및 L11은 각각 트랙번호 2 및 3에 제7도는 제6도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나, 625계용에 트랙수를 12로 하고, 인터리브 계열을 36샘플주기로 확장한 점이 제6도와는 다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1채널당 5트랙 또는 6트랙을 사용해서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편집시에 잘 일어나는 양쪽 트랙의 데이터결핍, 즉 225계에서는 트랙번호 0, 4 또는 5, 9, 625계에서는 트랙번호 0, 5 또는 6, 11의 트랙결핍에 의한 보간길이를 크게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5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도 및 제9도는 제5실시예에서의 음성데이터블록배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8도는 525계에 대한것, 제7도는 625계에 대한 것이다. 또한 제8도 및 제9도에 있어서,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는 각각 표3 및 표4에 표시한 값으로 한다.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동일 트랙내에 포함되는 데이터 내용은 동일하나, 제4실시예와 다른 것은 테이프주행방향으로 스크래치가 잘 발생하는 기록계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홀수계열과 짝수계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그리고 각 트랙마다 데이터배열에 회전을 가하여 착오정정능력향상에의 대처를 도모한 점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테이프주행방향으로 스크래치가 잘 발생하는 기록계에 대해서도 높은 정정보정능력을 가진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표 1]
[표 2]
[표 3]
[표 4]
다음에, 제6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주파수가 영상신호에 동기한 회전헤드를 사용하여, 영상신호와는 동기관계가 없는 디지탈음성신호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영상신호의 I프레임(I는 정수)에 상당하는 시간내에 기록되는 디지탈음성신호의 샘플수를 프레임단위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6실시예에서는 I프레임내에 기록하는 샘플로서, I프레임시간에 가장 가까운정수의 사사오입해서 자르고, I프레임단위로 잘려진 샘플치와 함께, 샘플수를 표시한 값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부호를 기록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와 동기관계가 없는 디지탈음성신호라고 영상신호와 동기화해서 기록이 가능하게 되고, 재생시의 표본화주파수의 순간이상을 억압해서 높은 정밀도로 재생할 수 있게된다. 물로, 샘플수를 표시한 값, 또는 그것에 상단하는 부호의 기록 부분으로서는 제5도의 보조데이터부(46)를 사용해도되고, 또다른 부분을 사용해도 된다.
최후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도에 본 발명의 회로구성의 일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10도는 음성입력이 2채널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음성 2채널인 경우로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제10도에 있어서, 음성신호처리기(50)는 기록시에는 음성입력신호를 디지탈화하고, 또는 디지탈화된 음성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처리의 내용으로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오버샘플링된 음성데이터를 규정의 주파수(예를 들면 48㎑)에서의 샘플치로 변환하는 처리 등이 있다.
메모리(51), (52) 및 스위치(53)는 각각 음성 제1채널, 제2채널의 신호를 기억하여, 동일 시각에 샘플링된 2채널의 음성신호를 시분할다중해서 송출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기록시에는, 음성 제1채널, 제2채널 신호는 각각 48㎑의 주파수로 메모리(51), (52)에 기억된다. 한편, 메모리(51), (52)로부터의 판독은 음성 제1채널, 제2채널의 순으로 54샘플씩 행하여진다. 이 메모리(51), (52)로부터의 판독은 영상신호의 처리주파수로 행하여지고, 통상 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메모리(51), (52) 및 스위치(53)를 사용해서 시분할다중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들을 1개의 메모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일정기간(예를들면 영상신호의 1프레임기간)에 기억된 음성신호는, 기억에 요한 시간의 약1/100의 시간에 판독된다. 따라서, 필요한 음성데이터가 판독된 후, 다음의 음성데이트를 판독할 때까지 음성에 관해서는 음성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블랭크기간이 있다. 스위치(54)는 이 블랭크기간에 극히 소량씩 보조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외부착오정정처리기(55)는 이 블랭크기간에 음성데이터용의 아우패리티를 부가한다. 스위치(56)는 이 블랭크기간에 영상데이터를 삽입한다. 내부착오정정처리기(57)는, 스위치(56)의 출력에 나타나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보조데이터 및 음성신호의 아우터패리티에 대해서, 이너패리티를 부가한다.
또, 채널처리기(58)는 이너패리티를 부가한 데이터에 대해서, 공지기술을 사용하여, SYNC패턴 및 ID코드를 부가한다. 이 결과, 제4도에 도시한 기록트랙내의 동기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이들 데이터를 기록재생계의 특성에 적합한 부호계열로 변환한다. 그리고, 실린더(59)에 탑재된 자기헤드(60)에 의해 이 부호계열로 테이프 위에 기록한다. 이상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4도에 도시한 기록포맷을 실현할 수 있다.
재생시에는, 상기 기록시와 반대의 처리를 행하고, 먼저, 실린더(59)에 탑재된 자기헤드(60)로부터 판독된 재생부호계열중의 SYNC패턴을 검출함으로써, 동기블록의 선두를 발견하여 동기블록을 재구축한다. 그리고, ID코드 및 SYNC패턴을 제거한 후, 이너패리티를 사용해서 동기블록내의 착오를 정정하고, 또 영상신호를 분리한 후에 아우터패리티를 사용해서 음성신호의 착오정정을 행한다. 이어서, 보조데이터를 분리하여, 시분할다중된 2채널의 음성신호를, 메모리(51), (52)를 사용해서 2개의 독립된 채널의 음성신호로 복원한다.

Claims (19)

  1. I(정수)개의 필드의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M(정수)개의 트랙에 N(정수, I<N<M)개의 채널의 음성샘플로 이루어진 음성신호를 모두 기록하는 디지탈신호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채널의 음성신호를 모두 기록하는 상기 M개의 트랙을 각각 이 연속하는 M/N(정수)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N개의 트랙군으로 분할하고, 상기 N개의 트랙군중의 제i(정수)번째의 트랙군의 트랙에는, 상기 N개의 채널의 음성신호중의 제j(정수)번째 채널의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군내의 각 트랙에 있어서, 샘플링순서가 인접하는 상기 기록되는 음성샘플이 동일트랙 및 인접트랙 위에 존재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랙군의 선두의 트랙상에 배치된 상기 기록되는 음성샘플이 상기 트랙군의 최종의 트랙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각 트랙을 영상신호부와 음성신호부로 분할하고, 상기 음성신호부를 K(정수)개의 동기블록으로 분할하여, 상기 동기블록중의 L(정수, <K)개를 음성신호데이터에 나머지(K-L)개를 착오정정검사부호에 할당하는 것과, 상기 음성신호데이터가 할당된 상기 L개의 동기블록에는 각각 보조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5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I=2, M=10, N=2, K=9, L=6으로 하고, 626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I=2, M=12, N=2, K=9, L=6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I개의 필드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M/N개의 각 트랙내의 각각 L개의 동기블록으로 이루어진 영역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음성샘플을 5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하기 표1에 표시한 값을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0샘플주기에서 반복하고, 6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하기 표 2에 표시한 값을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6샘플주기에서 반복함으로써, 인터리브된 배열로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표 1]
    [표 2]
  7. 제6항에 있어서, 영상신호와 비동기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때에, 끝수를 반올림하거나 버림으로써 그샘플수가 정수치로 되도록, 상기 음성신호를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샘플링된 음성신호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음성신호의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을 보조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개의 필드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M/N개의 각 트랙내의 각각의 L개의 동기블록으로 이루어진 영역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음성샘플을 5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하기 표 3에 표시한 값을 시계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0샘플주기에서 반복하고, 625계의 영상신호에는 하기 표 4에 표시한 값을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6샘플주기에서 반복함으로써, 인터리브된 배열로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표 3]
    [표 4]
  10. 제9항에 있어서, 영상신호와 비동기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때에, 끝수를 반올림하거나 버림으로써 그샘플수가 정수치로 되도록, 상기 음성신호를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샘플링된 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음성신호의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을 보조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음성신호데이타가 할당된 상기 L개의 동기블록에 형성한 보조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은 동일용량이고, 또한 각 동기블록내의 동일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5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I=2, M=10, N=2, K=9, L=6으로 하고, 6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I=2, M=12, N=2, K=9, L=6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I개의 필드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M/N개의 각 트랙내의 각각 L개의 동기블록으로 이루어진 영역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음성샘플을 5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하기 표 1에 표시한 값을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0샘플주기에서 반복하고, 6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하기 표 2에 표시한 값을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6샘플주기에서 반복함으로써, 인터리브된 배열로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표 1]
    [표 2]
  15. 제14항에 있어서, 영상신호와 비동기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때에, 끝수를 반올림하거나 버림으로써 그 샘플수가 정수치로 되도록, 상기 음성신호를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샘플링된 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음성신호의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을 보조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개의 필드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M/N개의 각 트랙내의 각각의 L개의 동기블록으로 이루어진 영역에 있어서, 시계열적으로 연속된 음성샘플을 525계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하기 표 3에 표시한 값을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0샘플주기에서 반복하고, 625계의 영상신호에는 하기 표 4에 표시한 값을 시계열샘플링의 초기치로서 36샘플주기에서 반복함으로써, 인터리브된 배열로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표 3]
    [표 4]
  18. 제17항에 있어서, 영상신호와 비동기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때에, 끝수를 반올림하거나 버림으로써 그샘플수가 정수치로 되도록, 상기 음성신호를 영상신호의 I필드기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샘플링된 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과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I개의 필드기간동안 수행된 음성신호의 샘플수를 표시하는 값을 보조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음성신호기록방법.
KR1019910010556A 1990-06-29 1991-06-25 디지틀음성신호기록방법 KR950009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73430 1990-06-29
JP2173430A JP2543233B2 (ja) 1990-06-29 1990-06-29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式
JP90-211049 1990-08-08
JP2211049A JP2663692B2 (ja) 1990-08-08 1990-08-08 ディジタル音声信号記録方法
JP2-211049 1990-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90A KR920001490A (ko) 1992-01-30
KR950009383B1 true KR950009383B1 (ko) 1995-08-21

Family

ID=2649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556A KR950009383B1 (ko) 1990-06-29 1991-06-25 디지틀음성신호기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11372A (ko)
EP (1) EP0464698B1 (ko)
KR (1) KR950009383B1 (ko)
DE (1) DE691229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919B2 (ja) * 1991-06-07 199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5369641A (en) * 1991-11-12 1994-11-29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s in data on magnetic tape media
JP2963960B2 (ja) * 1992-01-29 1999-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JPH05344101A (ja) * 1992-06-09 1993-12-24 Canon Inc データ再生装置
JPH05347073A (ja) * 1992-06-15 1993-12-27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EP0595411B1 (en) * 1992-10-30 1999-0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rrangement for recording a digital signal in a track on a magnetic record carrier
JPH06195884A (ja) * 1992-10-30 1994-07-15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CN1060905C (zh) * 1993-02-26 2001-01-17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盒式磁带录像机音频信号的记录格式、方法及装置
EP0615382B1 (en) * 1993-03-10 2001-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of digital signal
JP3443938B2 (ja) * 1994-03-31 2003-09-0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GB2323742B (en) * 1994-04-12 1998-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Digital vtr
JP3322998B2 (ja) 1994-04-12 2002-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vtr
US6021010A (en) * 1996-03-21 2000-02-01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signals in which lower order bits are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side bits and separately recorded
JP3470490B2 (ja) * 1996-04-08 2003-11-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信号の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H10154388A (ja) * 1996-09-24 1998-06-09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611A (en) * 1978-08-28 1984-07-10 Fuji Xerox Co., Ltd. Image conversion system
DE2921892A1 (de) * 1979-05-30 1980-12-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peichern digitaler fernsehsignale
JPS56144682A (en) * 1980-04-11 1981-11-11 Sony Corp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for digital video signal and audio signal
JPH07111815B2 (ja) * 1984-07-23 1995-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イジタル信号記録方式
JP2601259B2 (ja) * 1986-02-24 1997-04-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方式及び磁気記録再生方式
JPS63274222A (ja) * 1987-05-01 1988-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リ−ブ方法
JPH0196870A (ja) * 1987-10-08 1989-04-14 Sony Corp ディ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JP2615788B2 (ja) * 1988-03-29 1997-06-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オーデイオ信号再生装置
GB2220521B (en) * 1988-06-07 1993-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and a recorded tape
JP2737182B2 (ja) * 1988-11-29 1998-04-08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データの変速再生方法
DE69023808T2 (de) * 1989-05-12 1996-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Verfahren und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mit einem rotierenden Kop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90A (ko) 1992-01-30
EP0464698B1 (en) 1996-11-06
DE69122990T2 (de) 1997-03-13
DE69122990D1 (de) 1996-12-12
US5311372A (en) 1994-05-10
EP0464698A1 (en) 1992-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383B1 (ko) 디지틀음성신호기록방법
US5012352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time-division multiplexing video and audio signals
KR920005272B1 (ko) 인터리이브방법
US4646171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
JPH07111815B2 (ja) デイジタル信号記録方式
US5491590A (en) Rotary head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KR960002299A (ko) 트릭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방법
JPH02121584A (ja) 映像信号記録装置
KR100216249B1 (ko) 데이터 기록방법
EP0437316B1 (en) 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and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00008454B1 (ko) 영상신호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JPH0475593B2 (ko)
JPH0710099B2 (ja) ビデオ信号記録再生方式
JPH06349204A (ja) データパケットの記憶または再生方法
JP2738257B2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H1023371A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記録装置
JP3371154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495274A (ja) ディジタル音声信号記録方法
JPH04305870A (ja) 記録再生装置
KR100210547B1 (ko) Vtr
JPH0750071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2633556B2 (ja) 回転ヘッド式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における音声データの記録方法
EP0458583A2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KR100240555B1 (ko) Vtr
JPH0668606A (ja) 画像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