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147B1 -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147B1
KR950009147B1 KR1019880701718A KR880701718A KR950009147B1 KR 950009147 B1 KR950009147 B1 KR 950009147B1 KR 1019880701718 A KR1019880701718 A KR 1019880701718A KR 880701718 A KR880701718 A KR 880701718A KR 950009147 B1 KR950009147 B1 KR 95000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ress
set value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410A (ko
Inventor
가즈오 구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마쯔 세이사꾸쇼
다나까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마쯔 세이사꾸쇼, 다나까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마쯔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70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74Single drive plural driven
    • Y10T74/19107Non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84Meshing assi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93Longitudinally slidable
    • Y10T74/19349Single bevel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Control Of Pr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의 구성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동 실시예 구성에 있어서 CPU의 동작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4도는 동 실시예의 다른 동작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5도는 제4도의 동작을 하기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6도는 및 제7도는 각각 제4도의 플로우챠트의 일부를 다른 단계로 치환한 플로우챠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트랜스퍼 프레스(transfer press)기계에 있어서, 프레스 본체측의 구동력을 피이더(feeder)장치측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설치된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동력전달장치의 연결제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트랜스퍼 프레스에는 각 가공스테이션(work station)으로 공작물을 이송하는 트랜스퍼 피이더가(transfer feeder)가 구비되어 있고, 이 트랜스퍼 피이더는 통상 프레스본체와 트랜스퍼 피이더의 사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프레스본체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얻으며, 이 구동력으로 프레스본체측의 슬라이드(slide)의 작동과 동기하여 트랜스 퍼바(transfer bar)를 2차원, 3차원 이동함으로써 공작물을 이송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에는 프레스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얻어 프레스본체와 트랜스퍼 피이더를 동기운전시키는 기구외에 트랜스퍼 피이더만을 단독 운전할 수 있도록 한 독립구동용 모터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한 프레스기계에서는 금형을 교환할 때 동력전달장치는 일단 연결을 풀고 금형교환종료 후에 다시 연결한다. 또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트랜스퍼 피이더에 걸린 과부하에 의한 기계적인 손상을 피하기 위해서 과부하가 발생한 때에 동력전달장치의 연결이 자동적으로 풀리게 하고 있으므로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한 때에는 동력전달장치의 재결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재결합시 피이더측 축각도(shaft angle)와 프레스의 크랭크각(crank angle)간의 위치결정이 어긋나면 트랜스퍼 피이더와 프레스본체를 동기시킬 수 없기 때문에 종래의 장치에서는 작업자가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연결조작을 행할 수 밖에 없었다.
(1) 피이더 독립구동용 모터의 정/역회전스위치의 조작으로 표시기를 보면서 프레스본체측 축의 각도에 대해서 피이더측 축의 각도를 조정한다.
(2) 상기 각도가 서로 일치한 시점에서 연결스위치를 넣고 동력전달장치를 재결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동력전달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축의 각도조정 등과 관련하여 번거로운 조작을 해야만 한다. 또 이 각도조정은 그 조작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기계의 작동을 충분히 숙지한 숙련자 외에는 확실한 연결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위치조정을 정확히 하고 동력전달장치를 자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프레스본체측의 구동원에 접속된 프레스측 출력축과 피이더장치에 접속된 동력전달축을 연결하고, 이들 프레스측 출력축 및 동력전달축을 거쳐 프레스측의 동력을 피이더장치로 전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동력전달축에 대하여 상기 동력전달기구와는 별도의 경로로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피이더장치를 프레스본체와 독립하여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동력전달기구에 의한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단속수단과, 상기 프레스측 출력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과,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연결하는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1 및 제2의 검출수단의 검출값을 채택하고 이들 검출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 전달축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차이값이 상기 범위내에 들어간 시점에서 상기 단속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을 프레스측 출력축에 연결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력전달장치를 연결할 때에 조작자는 예를 들면 소정의 스위치를 넣는 등의 조작으로써 제어수단에 연결명령을 입력한다. 이 입력에 의해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의 검출수단으로 검출한 프레스측 출력축의 회전위치 및 동력전달축의 회전위치를 취한다. 이때 제어수단은 이들 검출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설정범위내로 들어가도록 피이더의 독립구동용 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차이값이 상기 범위내에 들어간 시점에서 동력전달장치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동력전달장치의 모든 연결조작이 모두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의 설정값에 관하여 제1설정값<제2설정값<제3설정값의 대소관계를 가진 3개의 설정값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연결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검출수단의 검출값을 취하고 이들 검출값의 차이가 상기 제3설정값의 범위외로 될 때까지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그 후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2설정값의 범위내로 될 때까지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차이가 상기 제2설정값의 범위내로 된 시점에서 상기 모터를 정지하고, 이때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설정값의 범위내로 된 경우 상기 단속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을 프레스측 출력축에 연결하므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위치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전달장치의 프레스측 축 및 피이더측 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값에 따라 피이더 독립구동용 모터를 구동하여 위치조정조작을 수행하고, 위치조정종료 후 동력전달장치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련의 연결작업을 전자동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의 번거로움이 해소됨과 아울러 기계조작이 서투른 조작자라도 연결조작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금형교환작업 등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동력전달장치(1)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프레스본체측의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출력축(2)의 선단에는 베벨(bevel)기어(3)가 장착되고, 이 베벨기어(3)는 동력전달축(4)에 장착된 베벨기어(5)에 맞물려 있다.
동력전달축(4)의 하단부측에는 스퍼어(spur)기어(6)가 결합되고 이 스퍼어기어(6)는 기어(7)를 거쳐 독립 구동용 모터(8)의 회전축(9)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9)에는 클러치(10)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전달축(4)의 상단부에는 이 축(4) 자체를 상하로 작동시켜 기어(3), (5)를 맞물리거나 해제하기 위한 유압기구(11)가 설치되고 이 유압기구(11)는 변환밸브(12)의 변환동작으로 작동한다. 변환밸브(12)는 스푸울(spool) 양단부에 설치한 솔레노이드(12a), (12b)의 작용으로 스푸울 위치를 변환하는 것이고, 동력전달장치(1)를 프레스본체의 구동원과 연결할 때에는 솔레노이드(12b)를 동작시키고, 동력전달장치(1)를 프레스 본체의 구동원으로부터 해제할 때에는 솔레노이드(12a)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프레스본체의 출력축(2)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은 베벨기어(3), (5)를 거쳐 동력전달축(4)으로 전달되고, 또 이 동력전달축(4)에 접속된 트랜스퍼 피이더(도시하지 않음)로 전달되며 그 결과 트랜스퍼 피이더가 프레스본체와 동기 작동된다.
프레스본체측으로부터 동력을 받지 않고 트랜스퍼 피이더를 독립적으로 작동할 때에는 변환밸브(12)를 해제측으로 변환하여 동력전달장치(1)를 프레스본체로부터 접속을 해제한 후 독립구동용 모터(8)를 구동한다.
그런데 이러한 제1도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는 프레스본체측의 출력축(2)에 싱크로(synchro) S1을 설치함과 동시에 동력전달축(4)에 싱크로 S2를 설치하고, 싱크로 S1에 의해 출력축(2)의 회전각도(P)를 검출하고, 싱크로 S2에 의해 동력전달축(4)의 회전각도(F)를 검출한다. 싱크로 S1, S2의 검출출력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변환기(20), (21)를 거쳐 CPU(30)로 들어간다.
CPU(30)에는 연결스위치(31)가 접속되어 있고, 이 스위치(31)는 동력전달장치(1)이 연결된 때 조작자에 의해 접속된다. CPU(30)는 이 연결스위치(31)가 접속될 때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연결제어를 수행한다.
즉, 동력전달장치(1)가 금형교환 또는 피이더 과부하시의 자동해제로 인해 일단 이탈된 후에는 출력축(2) 및 동력전달축(4)은 각기 어떤 회전각 P 및 F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단계 100) 연결스위치(31)가 조작자에 의해 접속된 경우 CPU(30)는 우선 싱크로 S1, S2의 검출값 P, F를 취하여 이들 검출값의 차이를 구한다. 그리고 상기 차이값의 절대값 │P-F│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각도범위 A를 벗어나 있을 때에는(단계 110) CPU(30)는 상기 차이값이 음인지 양인지 판정하고(단계 120), P-F≥0일 때에는 전자석스위치(40)에 정회전 지령을 출력하여 독립구동용 모터(8)를 정회전시키며(단계 130), 또 P-F<0일 때에는 전자석스위치(40)에 역회전 지령을 출력하여 모터(8)를 역회전시킨다(단계 140). 다시 말해서 P-F≥0일 때에는 출력축(2)은 동력전달축(4)보다 위상이 앞서 있으므로 독립구동용 모터(8)가 정회전하므로써 동력전달축(4)의 위상을 앞서게 하고, P-F<0일 때에는 출력축(2)의 위상이 지연되므로 독립구동용 모터(8)가 역회전하므로써 동력전달축(4)의 위상을 지연시켜 이것에 의해 양축의 회전각 위상을 일치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각 축의 위상차이값 P-F가 상기 소정의 각도범위 A내에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CPU(30)는 즉시 변화밸브(12)의 솔레노이드(12b)를 접속하고 동력전달장치(1)를 프레스본체에 연결한다(단계 1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스위치(31)를 접속하면 독립구동용 모터(8)가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피이더각도 F가 프레스축의 크랭크각도 P에 일치하도록 자동제어되고, 이들의 각도차이 P-F가 어떤 소정의 범위 A에 맞춰진 시점에서 동력전달장치(1)가 자동연결되도록 하여 극히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정확도가 매우 뛰어난 연결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피이더의 독립구동용 모터(8)의 속도변환이 없고 모터(8)의 속도가 빠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연결스위치(31)가 접속된 경우 CPU(30)는 우선 내장된 카운터 계수값 N을 0(제로)으로 초기화한다(단계 200). 이 카운터는 연결처리의 시행빈도를 계수한다. 다음에 CPU(30)는 싱크로 S1, S2의 검출값 P, F를 취하고, 이들 검출값의 차이값의 절대값 │P-F│를 구하여 이 차이값이 상술한 각도범위 A(제5도 참조)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210).│P-F│>A인 경우 CPU(30)는 다음에 이 값 │P-F│가 소정의 여유각 C(제5도 참조)의 범위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220). 이 단계에서 │P-F│≤C인 경우 CPU(30)는 P-F의 음 또는 양을 판별하고(단계 230), P-F<0일 때는 전자석스위치(40)에 정회전 지령을 출력하여 독립구동용 모터(8)를 정회전시키고(단계 240), P-F≥0일 때는 전자석스위치(40)에 역회전 지령을 출력하여 독립구동용 모터(8)를 역회전시켜(단계 250)이 정, 역회전 동작으로 프레스각이 여유각 C를 초과할 때까지 피이더각 F을 프레스각 P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단계 220에서 P-F>0인 것으로 판정되면 CPU(30)는 재차 P-F의 음 또는 양을 판정하고(단계 260), P-F≥0일 때는 전자석스위치(40)에 정회전 지령을 출력하여 독립구동용 모터(8)를 정회전시키고(단계 270), P-F<0일 때는 전자석스위치(40)에 역회전 지령을 출력하여 독립구동용 모터(8)를 역회전시켜(단계 280) 이것에 의해 피이더가 P를 소정의 타원주행각 B(제5도 참조)까지 접근시킨다.
그리고 CPU(30)는 단계 290에서│P-F│≤B를 검출한 시점에서 즉시 전자석스위치(40)에 정지지령을 출력하여 독립구동용 모터(8)를 정지한다(단계 300), 이 경우 모터(8)의 속도가 고속이기 때문에 모터(8)는 실제로는 관성에 의해 어느 정도 타원주행한 후 정지한다.
CPU(30)는 모터(8)가 정지한 후 다음에 계수값 N의 값을 조사하고(단계 310), N<5인 경우는 이 계수 값 N에 +에 더하고(단계 320),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 후(단계 330) │P-F│가 설정범위 A내에 들어가는지를 조사한다(단계 210).
이 단계 210의 판정에서 │P-F│가 설정범위 A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는 피이더가 P를 여유각 C까지 재차 분리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를 반복한다. 이 반복회수는 5회까지로 제한하고 5회까지의 시험에서 │P-F│≤A로 되지 않는 경우는 에러를 표시하고(단계 340), 타원주행각 B, 여유각 C값을 수정할 것을 조작자에게 촉구한다.
상기 회수까지의 시험에서 │P-F│≤A로 된 경우 CPU(30)는 즉시 변환밸브(12)의 솔레노이드(12b)에 전압을 가하고 동력전달장치(1)를 플레스본체에 연결한다(단계 350).
다시 말해서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스각 P에 피이더각 F를 조정할 때 그 차이값 P-F가 적을 때에는 피이더각 F를 여유각 C까지 분리하고 그후 이들의 각 P, F가 서로 접근하도록 모터(8)를 회전시켜 소정의 타원주행각 B까지 이르는 시점에서 모터(8)를 정지시킨다. 상술한 제어에 의하면 모터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도 프레스각 P를 피이더각 F와 일치시킬 때 정확도가 뛰어나다.
제6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4도의 단계 290를 제6도의 파선내의 단계 281 내지 283으로 치환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는 정회전시 및 역회전시에 모터(8)에 걸린 부하가 서로 다른 경우를 위한 것으로서 설정되어질 타원주행각을 모터의 정, 역회전에 따라 B1, B2로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수차례의 시험중 타원주행각 B 및 여유각 C는 고정값이고, 이들의 값 B 또는 C는 이들 여러회의 시험이 실패한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해 적당하게 변경되어진다. 이 경우 연결시 프레스각이 항상 고정된 위치라면 좋지만 이 프레스각의 위치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각 프레스각도에 따라 이 프레스각도에 피이더각을 접근시키기 위한 독립구동용 모터의 부하도 달라지게 되며 여러회의 연결시험도 실패로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도의 단계 320의 다음에 타원주행각 B를 보정하는 단계 325를 추가하였다. 즉, 타원주행각 B를 다음식에 따라 보정하므로써
B=B-(P-F)
타원주행각 B에 당해 위치결정결과치(P-F)를 피이드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타원주행각 B는 1회의 시험마다 적정한 값으로 수정되기 때문에 실패로 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동력전달축(4) 자체를 상하로 운동함으로써 동력전달장치(1)의 연결, 해제동작을 행한다. 그러나 다른 구성을 고려할 수도 있다. 즉, 출력축(2)과 동력전달축(4) 사이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온,오프되는 클러치를 설치하고, 이 클러치의 온, 오프에 따라 동력전달장치(1)의 연결제어를 수행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프레스의 동력을 트랜스퍼 피이더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갖춘 트랜스퍼 프레스에 유용하다.

Claims (16)

  1. 프레스본체측의 구동원에 접속된 프레스축 출력축(2)과 피이더장치에 접속된 동력전달축을(4) 연결하고, 이들 프레스측 출력축(2) 및 동력전달축(4)을 거쳐 프레스본체의 동력을 피이더장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축(4)에 대하여 상기 동력전달기구와는 별도의 경로로 동력을 전달하고 피이더장치를 프레스본체와 독립하여 구동하는 모터(8)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에 의한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측 출력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제1의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축(4)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제2의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연결하는 지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의 검출장치의 검출값을 취하고 이들 검출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모터(8)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차이값이 상기 범위내에 들어간 시점에서 상기 단속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을 프레스측 출력축(2)에 연결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프레스측 출력축(2)과 동력전달축(4)은 직각이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프레스축 출력축(2)에 설치된 제1의 베벨기어(3)와 동력전달축(4)에 설치된 제2의 베벨기구(5)의 연결에 의해 프레스측 출력축(2)의 회전을 동력전달축(4)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축(4)을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유압기구(11)와, 이 유압기구에 공급하는 기름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자석식 방향변환밸브(12)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의 베벨기어(3), (5)를 결합 및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검출장치는 싱크로(S1, 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1의 검출장치의 검출값으로부터 제2의 검출장치의 검출값을 감산하는 감산장치와, 이 감산장치의 연산값이 정일 때는 상기 모터(8)를 정회전하고 상기 연산값이 양일때는 상기 모터(8)를 역회전하는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6. 프레스본체측의 구동원에 접속된 프레스측 출력축(2)과 피이더장치에 접속된 동력전달축(4)을 연결하고, 이들 프레스측 출력축(2) 및 동력전달축(4)을 거쳐 프레스본체의 동력을 피이더장치로 전하는 동력전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축(4)에 대하여 상기 동력전달기구와는 별도의 경로로 동력을 전달하고 피이더장치를 프레스본체와 독립하여 구동하는 모터(8)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에 의한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단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측 출력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제1의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축(4)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제2의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검출장치의 검출값의 차이에 관하여 제1설정값<제2설정값<제3설정값의 관계를 가진 3개의 설정값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연결하는 지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의 검출장치의 검출값을 채택하고 이들 검출값의 차이가 상기 제3설정값의 범위외로 될 때까지 상기 모터(8)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그후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2의 설정값의 범위내로 될 때까지 상기 모터(8)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4)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2의 설정값의 범위내로 된 시점에서 상기 모터(8)를 정지하고 이때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설정값의 범위내로 된 경우 상기 단속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동력전달축(4)을 프레스측 출력축(2)에 연결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이값이 제1설정값의 범위외로 된 경우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3의 설정값의 범위외로 될 때까지 상기 모터(8)를 구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터(8)를 정지하는 단계까지 일련의 처리를 상기 차이값이 제1설정값의 범위내로 될 때까지 여러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반복회수에 관하여 최대회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를 정지한 후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설정값의 범위외로 된 경우 소정의 에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모터를 정지한 후 소정의 설정시간을 경과시킨 후 상기 차이값을 제1설정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2설정값에 관하여 상기 차이값의 음, 양에 대하여 각기 다른 설정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모터정지 후 상기 차이값이 제1설정값의 범위외로 된 경우 모터정지 후 상기 차이값을 상기 제2설정값으로 피이드백하여 상기 제2설정값을 수정하고, 이 수정한 제2설정값을 다음회의 처리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모터정지 후 상기 차이값이 제1설정값의 범위외로 된 경우 모터정지 후의 상기 차이값을 상기 제2설정값으로 피이드백하여 상기 제2설정값을 수정하고, 이 수정한 제2설정값을 다음회의 처리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프레스측 출력축(2)과 동력전달축(4)은 직각이고, 상기 동력 전달기구는 프레스측 출력축(2)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3)와 동력전달축(4)에 설치된 제2베벨기어(5)의 연결에 의해 프레스측출력축(2)의 회전을 동력전달축(4)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축(4)을 축방향으로 왕복이동 구동하는 유압기구와, 이 유압기구에 공급하는 기름의 방향을 변환하는 전자석식 방향변환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축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의 베벨기어(3), (5)를 맞물리거나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검출장치는 싱크로(S1, S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KR1019880701718A 1987-04-28 1988-04-28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KR950009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586/1987 1987-04-28
JP62105586A JPH0732935B2 (ja) 1987-04-28 1987-04-28 プレス機械の動力伝達装置
PCT/JP1988/000433 WO1988008342A1 (en) 1987-04-28 1988-04-28 Power transmission of pr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410A KR890700410A (ko) 1989-04-24
KR950009147B1 true KR950009147B1 (ko) 1995-08-16

Family

ID=1441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718A KR950009147B1 (ko) 1987-04-28 1988-04-28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57019A (ko)
JP (1) JPH0732935B2 (ko)
KR (1) KR950009147B1 (ko)
CN (1) CN1016150B (ko)
DE (1) DE3890320C2 (ko)
WO (1) WO1988008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059A (en) * 1992-04-13 1993-12-14 Schuler Incorporated Method of installing a slide locking mechanism in a press
US5713237A (en) * 1996-10-30 1998-02-03 Clearing Niagara, Inc. Slide lock for stamping press
JP2002316298A (ja) * 2001-04-18 2002-10-29 Komatsu Ltd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およびそのスライド駆動方法
CN100377810C (zh) * 2003-06-03 2008-04-02 一重集团大连设计研究院 大梁冲制压力机
EP2075435B1 (en) * 2007-12-28 2017-12-13 Honda Motor Co.,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890796A (zh) * 2010-06-23 2010-11-24 苏州金纬机械制造有限公司 多功能波纹管成型机
CN102514228B (zh) * 2011-11-30 2015-03-25 天通吉成机器技术有限公司 一种粉末成型设备的检测油缸预压平衡及充填调整装置
CN103157714B (zh) * 2012-05-18 2015-04-01 叶如康 一种用以铁件加工的冲床
CN107999652A (zh) * 2017-12-01 2018-05-08 柳州市钜嘉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模具加工用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39884B (it) * 1971-09-25 1973-02-10 Fiat Spa Cambio a sincronizzazione elettroni ca 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JPS5420143Y2 (ko) * 1974-01-11 1979-07-21
US4323221A (en) * 1979-04-02 1982-04-06 Krober Hubert D Power actuated valve
CA1125549A (en) * 1979-11-27 1982-06-15 Kenneth W. Davies Drive system for edger mill
CA1161526A (en) * 1980-03-31 1984-01-31 William J. Vukovich Throttle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shift countershaft transmission
JPS5756528A (en) * 1980-09-18 1982-04-05 Negishi Kogyo Kenkyusho:Kk Automatic preparation of spun yarn and its apparatus
JPS5782429U (ko) * 1980-11-05 1982-05-21
DE3137101A1 (de) * 1981-09-17 1983-03-24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Zweiachsiger elektrischer kompaktantrieb, insbesondere stellantrieb
JPS5858949A (ja) * 1981-09-30 1983-04-07 Zeniya Alum Seisakusho:Kk トランスフアプレスのトランスフア駆動装置
JPS614826U (ja) * 1984-06-14 1986-01-13 福井機械株式会社 プレス駆動式トランスフアフイ−ダへの動力伝達用クラツチの誤動作防止装置
DD225085B5 (de) * 1984-07-02 1994-03-17 Erfurt Umformtechnik Gmbh Antrieb fuer automatisierungseinrichtungen an pressen
JPS626932A (ja) * 1985-07-01 1987-01-13 東レ株式会社 補強繊維織物の製造方法
US4817470A (en) * 1986-06-30 1989-04-04 Zwn Zahnradwerk Neuenstein Gmbh & Co. Gear-shift mechanism for motor-vehicle multi-step transmissions with interruption of t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90320C2 (de) 1997-11-27
US4957019A (en) 1990-09-18
JPH0732935B2 (ja) 1995-04-12
WO1988008342A1 (en) 1988-11-03
CN88102522A (zh) 1988-11-16
JPS63273529A (ja) 1988-11-10
KR890700410A (ko) 1989-04-24
CN1016150B (zh) 199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147B1 (ko) 프레스기계의 동력전달장치
CN102036774A (zh) 用于机加工大型曲轴的机械和方法
GB2263665A (en) Printing machine with safety device for controlling its drive units
US5215014A (en) Positioning system for rotary folding jaw cylinder adjustment elements in a rotary printing machine
JPH04313556A (ja) ロールフィード
USRE40165E1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control
JPH03114747A (ja) 枚葉紙輪転印刷機における枚葉紙寸法に対する多重調整装置
US4492901A (en) Control system for synchronizing combination press line
CN204235546U (zh) 机械臂控制装置
US3991350A (en) Shaft angle adjustment of a synchronized tandem-press production line
JPH10114058A (ja) 同期制御装置
JPH0723259Y2 (ja) 輪転印刷機の駆動装置
CN208057869U (zh) 一种正反转快慢速变速装置
JPH0710813Y2 (ja) プレス機械の動力伝達装置
CN1024772C (zh) 压力机械的动力传送装置控制系统
JPH0255343B2 (ko)
DE102013202317C5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alten einer Plattenzylinderphase einer Druckmaschine
JPH0614903Y2 (ja) プレス機械の動力伝達装置
CN105448558A (zh) 弹簧储能装置
JP3546159B2 (ja) 輪転印刷機におけるモータの同期駆動制御方法及び装置
JPH07144229A (ja) ロール成形機における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連結装置
JP2004025294A (ja) プレス機械のワーク搬送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
CN220248826U (zh) 用于砍刀相位调节的少齿差变位传动结构
JPH0539789Y2 (ko)
JP2932018B2 (ja) 高速プレス機械の材料自動挿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