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990B1 -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90B1
KR950008990B1 KR1019900702159A KR900702159A KR950008990B1 KR 950008990 B1 KR950008990 B1 KR 950008990B1 KR 1019900702159 A KR1019900702159 A KR 1019900702159A KR 900702159 A KR900702159 A KR 900702159A KR 950008990 B1 KR950008990 B1 KR 95000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panel
extending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158A (ko
Inventor
에이.타운센드 죤
Original Assignee
에이.타운센드 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타운센드 죤 filed Critical 에이.타운센드 죤
Publication of KR91070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수축된 개방상태에 있는 도어패널을 갖춘 본 발명의 섀시 프레임을 실시하는 자동차의 사시도.
제2도는 상승 밀폐 상태에 있는 프레임의 도어패널을 갖추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섀시 프레임의 단체 형상의 사시도.
제3도는 수축된 개방상태에 있는 도어패널을 갖춘 프레임을 도시하며 그곳의 파단부를 구비한, 제2도와 유사한 횡단 사시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취한 횡단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을 취한 횡단 정면도.
제7a도는 제3도의 7-7선을 취한 횡단 정면도.
제7a도는 제7a도의 7A-7A선을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차의 중심선을 따른 횡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구조체를 통해 강화재를 얻는 방법을 도시하는 자동차 바닥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제10도는 통상적인 도어 문턱을 이용한 종래 기술 구조에서 강화재를 얻는 방법을 도시하는 자동차 바닥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제11도는 프레임 바닥부의 구조를 도시하는데 파단부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섀시 프레임의 사시 저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구조체에서 실시된 도어패널 및 창유리를 강하할 수 있는 구동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패널이 밀폐위치에 있을때 프레임 일부로 되는 밀폐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 개구부를 갖춘 자동차 섀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배리어부가 도어 개구부의 양측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도어 패널(door panels)이 배리어부 사이에 맞물린 밀폐위치와 프레임 바닥밑의 수축위치 사이의 프레임 경계내에서 이동하여 프레임에 인장, 압축 및 비틀림 강성을 부여하는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의 폭보다 매우 작은 폭의 개구부 사이에 바닥부가 제공된 자동차용 섀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바닥부의 중간부는 프레임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장된 연직 횡단면으로 구성되고 프레임의 에지부는 회전되게 장착된 도어의 통로를 바닥부 밑에 수용하기 위해 좁은 연직 횡단면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는, 차량용 바닥밑의 적하상태 및 도어 개구부의 밀폐 상태 사이의 아치형 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도어 패널을 갖춘 자동차 섀시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의 도어 패널은 통상적인 구조이고 상당한 비틀림 또는 압축 강성을 섀시에 부여하기 위해 자동차 섀시의 프레임 부재와 합체 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상기 도어 패널은 매우 플렉시블하며 비틀림 부하를 지탱할 수 없는 분할 또는 아코디언(accordion)형 구조로 되어 있다. 결국, 도어패널은 밀폐목적으로만 제공되어 그 자체의 지지 및 확실한 밀폐만을 위해서 자동차 본체와 결합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패널이 밀폐위치에 있을 때 압축 상태로 패널을 지지하는 래치구조와, 측부 충격에 대해 패널을 강화하는 종방향 빔을 구비하는 종래의 회전 도어패널을 갖춘 자동차가 공지되어 있다. 비록 그러한 도어패널이 자동차 섀시에 어느 정도의 보강을 제공할지라도, 상기 패널은 도어 개구부에 의해 제공된 섀시내 빈 공간을 제거하므로써 섀시의 비틀림 강성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하지 못한다.
종래기술의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은 도어 개구부 밑에 비교적 두꺼운 문턱(sill)을 구비한다. 상기 문턱은 주프레임 부재로 대용되고 자동차가 허용할 수 있는 미적 설계의 최대 영역까지 섀시 프레임의 측부로 이격된다. 예를들어, 상구 부조를 구비하지 않는 접는 포장이 달린 자동차(convertible-type vehicle)에서 상기 문턱은 섀시 프레임의 비틀림 강성의 실질적인 부분으로 작용하는 심부(very deep) 프레임 구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섀시프레임은 자동차의 폭에 비해 작은 폭의 바닥부를 구비한다. 직립 배리어부는 프레임의 양쪽에 도어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바닥부에 고정되고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는 좁은 연직 횡단부의 종방향 연장 에지부 및 프레임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장된 연직 횡단부의 종방향 연장 중심부를 구비한다. 응력부재는 프레임에 부가의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어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배리어부와 결합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응력부재는 바닥부 밑에 적하된 수축위치 및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상승위치 사이의 커브 통로로 이동가능한 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저항 도어 패널로 제공된다.
상기 섀시 프레임은 모노코크(monocoque) 또는 입체 뼈대(space frame)형 구조로 적용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것은 강철 프레싱, 강철관, 알루미늄 또는 열 가소성 플라스틱(예를 들어, 케블라(Kevlar))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것은 부하 베어링 구조의 일부로 형성된 외측 몸체 패널을 구비한 균일한 구조체 일수도 있고, 또는 부착된 무부하 베어링 몸체 패널을 갖춘 단체 또는 입체 뼈대 구조체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몸체 패널은 프레임의 패널과 유사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폴리머와 같은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응력에 대해 보다 효과적이며, 유사한 재료와 구조 형태의 종래 설계보다 총중량이 가벼운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밀폐위치에 있을때 완전히 응력을 받는 프레임 부재로 작용하며 현창(scuttle) 및 후방 트렁크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측면 도어패널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지를 위해 자동차 루프(roof) 구조체에 의지할 필요가 없고, 그결과 세단형 자동차, 쿠프(coupe) 자동차, 또는 접는 포장이 달린 자동차의 현저한 변화없이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쿠프 및 세단형 자동차에서 루프의 설계는, 루프 구조가 프레임의 응력부재로 의지될때 존재하는 구조적인 죔부에 의해 풀리어져서 완전 분해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다 큰 상부 텀블홈(tublehome)(측면 유리가 지붕의 중심쪽으로 안쪽으로 만곡된 양)과 보다 큰 하부 텀블홈(바닥의 중심선쪽으로의 자동차의 하부 측면곡률반경)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양호한 하부 텀블홈에 관련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차 내부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좁은 바닥을 갖는 자동차 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옆창유리가 도어패널의 깊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며 도어패널의 길이는 패널이 외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구속부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섀시와 도어패널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패널이 밀폐위치에 있을때 도어패널은 장착지지되어 구조적 관점에서 도어 개구부를 제거하는 섀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기술]
제1도에 도시된 자동차는 전체가 문자 "A"로 표시되어 있고, 적합한 현수(suspension) 구조체(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바퀴 "W"상에 지지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조된 프레임 "F"를 구비한다. 자동차는 프레임상에 지지된 몸체 "B"를 구비한다. 시이트 "S"는 프레임의 바닥부상에 지지된다. 도어 개구부(10)는 몸체 "B"의 측면을 통해 형성되고, 프레임의 일부로 형성된 직립 전방 및 후방 배리어부(12, 14) 각각에 의해 경계되어 있다.
도어패널(16)은, 자동차의 바닥밑에 있는 수축 적하 위치와 개구부(10)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밀폐된 상승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배리어부 사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1도에서 점선화살표는 자동차의 측면상의 도어패널의 이동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 상기 개구부(10)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점선은 도어패널이 완전 상승된 밀폐 위치에 있을때 도어패널의 상승 에지를 도시한다.
제2도는 자동차 몸체 "B"로부터 분리된 프레임 "F"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배리어부(12, 14)는 프레임 횡축으로 연장되어 참조번호 18인 프레임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에는 배리어부(12, 14)의 외측 에지가 볼록하게 바닥부(18)에 대해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 배리어부(12)는 푸트웰부(foot well; 20)를 포함한다. 종방향 프레임 부재(22) 상기 푸트웰부(20)이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22)는 현수 장착용으로 제공되고, 전방 엔진 자동차에서 엔진의 장착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프레임 부재(24)는 배리어부(14)에 고정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24) 및 이것의 말단부에 고정된 횡단부재(26)는 현수 장착용으로 제공되고, 만약 자동차가 중심 또는 후방엔진에 의해 동력을 받는다면 엔진의 장착용으로 제공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중추 역할을 하는 바닥부(18)는 수평판형 구조의 상부패널(28)과; 상부 패널(28)과 함께 프레임의 종방향 중심선(29)의 양쪽에 배치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된 삼각형 구조의 박스부를 상부패널(28)과 함께 한정하는 하부패널(30)과; 상기 패널(28, 30)의 측면 에지사이에 고정되어 바닥의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종방향 연장 측부 채널(32)과; 상부 패널(18) 배리어부(12, 14)에 고정된 터널부(34)를 구비한다. 하부팬(36)은 바닥부(18)와 이격된 상태로 바닥부(18) 밑으로 연장되어 도어패널(16)이 수축된 위치에 있을때 도어패널(16)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부를 제공한다. 상부 하부팬(36)은 배리어부에 고정되어 바닥부(18)의 전체 영역 밑에서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요소들(12 내지 36)이 일체로 결합되어 모노코크 구조를 제공한다. 이것은 매우 견고한 내비틀림(torsion-resistant) 구조를 제공한다. 상승 밀폐위치에 있는 도어패널(16)은 이러한 구조의 일부로 된다.
도어패널(16)은 비틀림, 압축, 인장 및 측부 충격을 포함하는 모든 방향의 부하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 프레임 부재가 되도록 제조되어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skin)부는 구조적 패널로부터 제거되고 패널에는 감량 구멍(lightening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감량 구멍은 프레임의 푸트웰부(20)에도 형성되어있다. 기타 도면에는 상기와 같은 감량 구멍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4도는 도어패널(18)상의 외판부(38)를 도시하고 있다.
각 도어패널은, 패널내에 수용되는 창유리(44) 수납용 포켓(42)을 한정하도록 서로 이격된 내층 및 외층(38, 4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내층 및 외층(38, 40)은 전후방 에지부(46, 48) 및 하부 에지부(50)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고, 내층 및 외층과 함께 모든 에지부는 일체로 된 도어패널(16)을 형성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패널(16)은 자동차 "A"의 몸체 "B"의 외측 형상에 상보적인 아치형 구조로 되어 있다. 텅(tongues)(52, 54)이 배리어부(12, 14)에 각각 형성된 아치형 홈부(56, 58)내로 미끄럼 수용되기 위해 전 후방 에지부(46, 48)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상기 텅이 홈부내에 수용될때, 텅은 제2도에 도시된 밀폐연장 위치와 제3도에 도시된 수축 개방위치 사이에서의 미끄럼 이동을 위해 도어패널(16)을 지지하고 있다. 절두 피라미드형상의 돌출부(60, 62)가 배리어부(12, 14)내 홈부(56, 58)의 상부 단부에 각기 형성된 소켓(64, 66)내로 수용되기 위해, 텅(52, 54)상에 형성되어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어채널(68)은, 도어 패널이 상승 밀폐위치에 있을때 측부 채널(32)내에 결합되기 위해 각 도어패널의 하부 에지부(50)에 고정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측부 채널(32)내의 리세스는 절두 피라미드 형상이고 도어채널(68)이 플랜지는 상기 리세스와 상보적인 절두형 피라미드 형상이다. 도어채널(68)의 단부는 도어패널이 상승 밀폐위치에 있을때, 배리어부(12, 14)상의 정합 경사면(72)과 결합하기 위해 위치 설정된 경사면(70)내 패널의 측부에지를 짧게 종결시킨다(제7b도 참조). 선택적으로 연장가능한 테이퍼핀(74)은 텅(52, 54)을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되기 위해 도어패널에 의해 이동되어 배리어부(12, 14)에 형성되어 그 안의 홈(56, 58)과 연통하는 테이퍼진 소켓(76, 제5도참조)과 결합한다. 상기 핀(74)은 스프링 복귀 솔레노이드와 같은 적합한 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이 수축된 상태에 있을때, 상기 핀은 도어패널의 자유이동을 허용한다. 상기 도어 패널이 밀폐위치로 완전히 상승될때, 소켓(76)내로 핀을 연장시키므로써 패널을 수축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도어패널(16) 및 배리어부(12, 14)상의 여러 요소의 상보적 결합은, 도어 패널이 상승된 밀폐 위치에 있을때 패널을 프레임 부재로 작용하게 하는 압축, 인장 및 비틀림 전달 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의 경우에, 도어패널은 도어 개구를 프레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구조적 일체성을 위해 자동차의 지붕에 의지하지 않는 견고한 단일 프페임 구조를 제공한다.
제8도의 단면도는 두 도어패널(16)이, 도어패널의 바닥에지부에 피봇 고정된 피스톤 로드(80)를 구비한다. 하부팬(36)에 피봇 고정된 2중 작동 유압 실린더(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78)에 작동될 수 있는 상태를 상기 도면은 또한 도어패널(16) 및 창유리(44)가 이동하는 호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 패널에 대한 호는 문자 "a"로 표시되고 창 유리에 대한 호는 문자 "b"로 표시되어 있다. 도어패널에 대한 회전축 중심은 "c"로 표시되고 창유리에 대한 회전축 중심은 "d"로 표시되어 있다.
제8도로부터 상기 창유리(44)가 자동차 몸체구조의 루프(84)에 대해 밀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창유리는 도어가 밀폐상태에 있을때 현행 자동차에서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방식으로 상승 및 하강된다. 창유리가 도어 개구부를 막지않도록, 도어 패널이 수축될때 창유리는 하강되어야 한다. 도어패널을 수축시키는 실린더(78)의 작동시에 창유리를 하강시키는 동력 작동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의 수축이 달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비교하면, 제8도에 도시된 상기의 바닥부(18)는 제10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바닥부(86)보다 훨씬 좁다. 이것은 종래기술의 바닥부가 축방향으로 배치된 도어 문턱(88)을 포함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좁은 바닥부는 회전 가능한 도어패널을 수용하고 자동차 몸체로부터의 출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삼각형 바닥부에 의해 제공된 종방향 보강재가 통상의 도어 문턱을 제거할 수 있게 하므로 가능하다.
제11도는 삼각형 박스부에 의해 제공된 바닥부(12)의 강화재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또한 배리어부내 형성된 홈부가 도어패널이 수축된 위치에 놓일때 삼각형 박스부 밑으로 도어패널을 안내하기 위해 삼각형 박스부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제12도는 도어패널(16)용 대안적 작동기 및 도어 패널 속에 합체되는 창유리용 협동 작동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기어 래크(90)가 도어패널(16)에 고정되어 있고 아치형 기어 래크(92)는 창유리(44)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94, 96)이 기어래크와 맞물려 각각 전기모터(98, 10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모터는 병렬 도선(104, 106)에 의해 모터에 접속된 접지 배터리로 구동된다. 도선 내 스위치(108, 110)는 도어모터(98) 또는 창유리 모터(100)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리드(104, 106)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112)는 도어패널이 하강될 때마다 창유리(44)를 하강시키기 위해 모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다이오드는 스위치(110)만 닫혀있을때 리드(106)로부터 리드(104)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한다.
[결론]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처음에 기술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6)

  1. (가) 자동차의 최대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프레임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자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중방향 연장 요소를 구성된 중심부를 가지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프레임의 말단 에지부를 한정하고, 상기 말단 에지부는 상기 중심부의 종방향 연장 요소의 깊이보다 깊지 않은 깊이를 갖는 바닥부(18)와; (나)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상기 바닥부(18)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부(18)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며, 그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대한 도어 개구부(10)를 한정하면서 상기 바닥부(18)에 대해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측부를 갖는 직립 배리어부(12, 14)와; (다) 상기 배리어부(12, 14)의 상기 각 곡선 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이며 각각의 도어 개구부(10)에 수용되기 적합한 도어(16)와; (라) 상기 개구부(10)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상승 위치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부(18)의 밑에 적하되는 수축위치 사이에서 상기 바닥부(18)의 말단 에지부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도어(16)를 상기 배리어부의 곡선 측부에 장착시키는 수단과; (마) 상기 상승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상기 도어(16)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 상기 도어(16)는, 각각, 도어(16)가 상기 상승 위치에 있을때 상기 프레임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배리어부와 결합을 확실히 하는 응력 스트러트(strut)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부(12, 14)는 상기 바닥부(18)에 고정되고 상기바닥부(18)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6)를 장착하는 수단은 상기 곡선측부에 형성된 채널(56, 58) 및 상기 채널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도어상에 형성된 텅(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종방향 중심선(29)를 구비하고 바닥부(18)는 거의 삼각형 단면의 두종방향연장 상자 구조체(30)를 구비하는데, 상기 구조체(30)는 각기 프레임의 종방향 중심선(29)의 양쪽에 배열되어 평평한 상부면과 수렴하는 하부면을 구비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각 도어는, 수축위치로 이동될 때에, 도어가 배치된 프레임의 종방향 중심선(29)쪽으로 삼각형 구조체(32) 밑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삼각형 구조체 밑으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 하부팬(36)을 추가로 포함하며, 각 도어(16)는 수축 위치로 이동될 때에 도어가 배치된 프레임 종방향 중심선(29)쪽으로 측면까지 하부팬(36)과 삼각형 구조체(32) 사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7. (가) 프레임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일부분의 말단 측부 에지를 한정하는 바닥부(18)와; (나)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상기 바닥부(18)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부(18)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사이에 프레임 양쪽의 도어 개구부(10)를 한정하고 상기 바닥부(18)에 대해 측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측부를 구비한 직립 배리어부(12, 14)와; (다) 상기 배리어부(12, 14)의 곡선측부의 형상에 상보적이며 상기 도어 개구부에 수용되기 적합한 강성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저항을 갖는 도어패널(16)과; (라) 상기 개구부(10)로부터 제거되어 프레임 바닥부(18) 밑에 적하되는 수축위치와 상기 개구부(10)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상승위치 사이에서 상기 말단 측부 에지의 외측으로 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패널(16)을 상기 배리어부(12, 13) 곡선 측부에 장착시키는 수단과; (마) 상기 도어패널(16)을 상기 상승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바) 상기 도어패널(16)이 상승 위치에 있을때 상기 도어 패널(16)이 프레임과 일체적 구조로 되어 프레임에 강성을 부여하는 상보적 결합을 위해 상기 도어패널(16) 및 상기 배리어부(12, 14)상에 상호 결합되는 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12, 14)는 상기 바닥부(18)의 폭에 걸쳐 바닥부(18)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16) 장착 수단은 곡선 측부내에 형성된 채널(56, 58) 및 상기 채널(56, 58)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는 도어패널(16)상에 형성된 텅(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전달 수단은 도어패널(16)이 상승 위치에 있을때 도어패널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가)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도어 개구부쪽으로 개방된 배리어부의 곡선 측부상의 핀소켓(76)과; (나) 상기 도어 패널(16)이 상승 위치에 있을때 그중의 하나가 상기 핀소켓(76)중의 하나의 정렬하도록 프레임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와 같이 정렬될때 상기 핀소켓내에 수용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상기 도어 패널(16)상의 연장가능한 핀(74)과; (다) 상기 핀(74)을 상기 소켓(76)속으로 선택적으로 연장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핀(74)과 핀 소켓(76)은, 상기 핀 소켓(76)내로의 상기 핀(74)의 연장시 부드럽게 결합되기 위해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13. 제10항에 있어서, 각 도어 패널(16)에 대한 상기 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전달 수단은, (가)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도어 개구부 양쪽의 상기 배리어부(12, 14)에 장착된 하향 개방 소켓(64, 66)과; (나) 상기 소켓(64, 66)의 파라미드면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피라미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패널(16)이 상승 위치로 이동될때 상기 소켓(64, 66)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 패널(16)상에 장착된 상향 돌출부(60, 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14. (가) 바닥부(18)와; (나) 서로 종방향 이격된 관계로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어 그곳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프레임 양측에 대한 도어 개구부(10)를 한정하고 상기 바닥부에 대해 측면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측부를 갖는 직립 배리어부(12, 14)와; (다) 상기 각 도어 개구부(10)를 수용하기 위해 위치 설정되고 상기 배리어부(12, 14)의 각 곡선 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이며 각각의 도어 개구부(10)에 수용되기 적합한 강성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저항을 갖는 도어패널(16)과; (라) 상기 개구부(10)로부터 제거되어 프레임 바닥부 밑에 적하되는 수축위치와 상기 개구부(1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상승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상기 도어 패널(16)를 상기 배리어부(12, 14)의 곡선측부 사이에 장착시키는 수단과; (마) 상기 도어 패널(16)을 상승 위치와 수축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바) 상기 도어패널(16)이 상승 위치에 있을때 프레임에 강성을 부여하도록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도어패널(16) 및 상기 배리어부(12, 14)상의 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 수단은, ①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도어 개구부(10)를 향해 개방된 상기 배리어부(12, 14)의 곡선 측부상에 있는 핀소켓(76)과, ② 상기 도어 패널(16)이 상승위치에 있을때 그중의 하나가 상기 핀소켓(76)중의 하나와 정렬하기 위해 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와 같이 정렬될 때 상기 핀소켓(76)내의 상보적 수용부내로 연장되기에 적합한, 상기 도어패널(16)상의 선택적으로 연장가능한 핀(74)과, ③ 상승위치에서 상기 도어패널(16)을 고정시키기 위해 핀(74)을 핀소켓(76)속으로 선택적으로 연장시키는 수단과, ④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구부(10) 양쪽의 상기 배리어부(12, 14)에 장착된 하향 개방 소켓(64, 66)과, ⑤ 상기 소켓(64, 66)의 피라미드 형상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부분적인 파라미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패널(16)이 상승 위치로 이동될때 상기 소켓(64, 66)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도어패널(16)상에 장착된 상향 돌출부(60, 62)와, ⑥ 상기 도어 개구부(10)의 저부를 가로질러 상기 바닥부(18)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되어, 각 도어 개구부(10)의 저부에서 상기 바닥부(18)에 형성된 바닥 채널(32)과, ⑦ 각기 상기 도어패널(16)의 저부에 걸쳐 상기 도어패널(16)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개방되어, 각 도어패널(16)의 저부상에 형성된 도어 채널(68)을 구비하고, ⑧ 상기 바닥 및 도어 채널(32, 68)은 상기 도어 패널(16)이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닥채널(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인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도어 채널(6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의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홈부 및 플랜지는 상기 도어패널(16)이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압축 및 비틀림 전달 수단은 상기 도어 패널(16)이 상승 위치로 이동될 때 상보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상기 바닥 및 도어 채널(32, 68)상에 형성된 상호 결합되는 경사면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섀시프레임.
KR1019900702159A 1989-01-27 1990-01-25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KR950008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3447 1989-01-27
US07/303,447 US4940282A (en) 1985-10-03 1989-01-27 Chassis frame for a wheeled motor vehicle
US303,447 1989-01-27
PCT/US1990/000455 WO1990008666A1 (en) 1989-01-27 1990-01-25 An improved chassis frame for a wheeled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158A KR910700158A (ko) 1991-03-14
KR950008990B1 true KR950008990B1 (ko) 1995-08-10

Family

ID=2317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159A KR950008990B1 (ko) 1989-01-27 1990-01-25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940282A (ko)
EP (1) EP0455704B1 (ko)
JP (1) JPH0651476B2 (ko)
KR (1) KR950008990B1 (ko)
AT (1) ATE127741T1 (ko)
AU (1) AU630044B2 (ko)
DE (1) DE69022403T2 (ko)
DK (1) DK0455704T3 (ko)
ES (1) ES2077673T3 (ko)
WO (1) WO1990008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8350D0 (en) * 1990-08-21 1990-10-03 Jaguar Cars Vehicle bodies
US5538283A (en) * 1992-07-13 1996-07-23 Joalto Design, Inc. Automobile armrest apparatus for presenting restaint system
US5378036A (en) * 1992-07-13 1995-01-03 Townsend; John A. Sliding automobile door
US5688019A (en) * 1992-07-13 1997-11-18 Joalto Design Inc. Door and window drive clutch assembly
US5921611A (en) * 1992-07-13 1999-07-13 Joalto Design Inc. Upwardly retracting vehicle door
AU698767B2 (en) * 1992-07-13 1998-11-05 Joalto Design, Inc. A sliding door assembly for a wheeled vehicle
US5583167A (en) * 1993-06-30 1996-12-10 Henkel Corporation Curing agents for aqueous epoxy resins
US5666727A (en) * 1995-02-17 1997-09-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ylindrical tube
TW370048U (en) * 1995-10-06 1999-09-11 Chrysler Corp Motor vehicle body
TW349914B (en) * 1995-10-19 1999-01-11 Chrysler Corp Car body part
US5806620A (en) * 1995-10-27 1998-09-15 Chrysler Corporation Unitary one-piece automobile hood, fascia, and front fender assembly
US5908216A (en) * 1995-12-22 1999-06-01 Joalto Design, Inc. Side intrusion beam with four points of connection
US5806917A (en) * 1995-12-22 1998-09-15 Joalto Design, Inc. Integrated motor vehicle door and chassis
US6196619B1 (en) 1995-12-22 2001-03-06 Joalto Design, Inc. Vehicle closure panel having an intrusion beam as primary structure
US6247744B1 (en) 1998-10-09 2001-06-19 Joalto Design, Inc. Structurally integrating members between vehicle bodies and closures
FR2798327B1 (fr) * 1999-09-10 2001-10-12 France Design Systeme de toit decouvrable et vehicule equipe de ce systeme
US6508035B1 (en) 2000-07-25 2003-01-21 Alcoa Inc. Ultra-lightweight thin sliding door for a vehicle
US20050046235A1 (en) * 2003-09-03 2005-03-03 Robertson James E. Structural reinforcemen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7413242B2 (en) * 2003-09-03 2008-08-19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Structural sea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7246845B2 (en) 2003-09-03 2007-07-24 Asc Incorporated Structural sea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7481486B2 (en) * 2003-09-03 2009-01-27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Structural sea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7413240B2 (en) * 2003-09-03 2008-08-19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Structural system for a convertible automotive vehicle
GB2418893A (en) * 2004-10-07 2006-04-12 Graham Edwin Pepall Automotive body shell structure
DE102005044171A1 (de) * 2005-09-16 2007-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Rolltüre für den Einstieg eines Kraftfahrzeugs
US7591504B1 (en) * 2008-09-05 2009-09-22 Honda Motor Co., Ltd. Passenger door relocation system and method
DE102009000564A1 (de) * 2009-02-03 2010-12-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vorzugsweise in Kompaktbauweise
DE102009056840A1 (de) * 2009-12-03 2011-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Detroit Unterbau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FR2962964B1 (fr) * 2010-07-23 2014-03-21 Renault Sa Chassis avec plancher arriere rehausse et procede d'assemblage.
DE102012025336A1 (de) * 2012-12-21 2014-06-26 Audi Ag Fahrzeugschlos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nter Verwendung einer Kupplungsvorrichtung
US9045025B1 (en) * 2014-04-30 2015-06-02 Spintek Filtration, Inc. Articulated gull wing door
US11364956B2 (en) * 2019-12-11 2022-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tor vehicle floor assembly with recesses for electrical lines and electrical modules
KR20210124589A (ko) * 2020-04-06 2021-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강성 보강기구
US20230191884A1 (en) * 2021-12-17 2023-06-2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61405A (ko) * 1950-05-11
GB242592A (en) * 1924-11-04 1926-06-24 Paul Audineau Improvements in the systems of construction of light carriage-work for closed vehicles
US1940444A (en) * 1930-10-23 1933-12-19 Carl I Burgman Automobile body and top
US2100561A (en) * 1934-04-04 1937-11-30 Steel Wheel Corp Vehicle
US2160099A (en) * 1938-03-29 1939-05-30 Zeligman Rubin Self-cleaning windshield
CH225087A (de) * 1940-06-20 1942-12-31 Frick Walter Karosserie für Strassen-, Luft- und Wasserfahrzeuge, insbesondere Autos.
US2651541A (en) * 1948-12-23 1953-09-08 Donald C Surles Vertically movable vehicle door structure
US2622919A (en) * 1949-03-14 1952-12-23 Clifford O Scott Vertically slidable vehicle door
FR1013189A (fr) * 1950-02-23 1952-07-23 Perfectionnements aux portières de véhicules
FR1026247A (fr) * 1950-10-17 1953-04-24 Cie Normande D Etude Pour L Ap Châssis de véhicule perfectionné
CH301628A (de) * 1951-05-12 1954-09-15 Daimler Benz Ag Kraftwagen mit nach der Seite aufklappbarer Haube.
DE895409C (de) * 1951-09-04 1953-11-02 Helmut Petermann Fahrzeugtuer, insbesondere Kraftfahrzeugtuer
US2819114A (en) * 1956-07-17 1958-01-07 Lawrence C Lake Vertically slidable vehicle door
FR73938E (fr) * 1957-06-29 1960-10-31 Carrosseri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GB1085891A (en) * 1964-03-09 1967-10-04 Sholom Gord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tor vehicle bodies
US3887227A (en) * 1968-11-02 1975-06-03 Daimler Benz Ag Installation for the protection of motor vehicle bodies against lateral impacts
US3567209A (en) * 1969-04-16 1971-03-02 Gen Motors Corp Vehicle body
US3645043A (en) * 1970-09-16 1972-02-29 Gen Motors Corp Movement sequencing means
JPS5639698Y2 (ko) * 1975-10-01 1981-09-16
GB1592155A (en) * 1978-01-18 1981-07-01 Dennis R H Motor vehicles
DE8107964U1 (de) * 1980-03-21 1981-09-03 Fiat Auto S.p.A., 10100 Torino Vorrichtung zur selbsttaetigen verriegelung der schiebetuer eines fahrzeugs
JPS604005B2 (ja) * 1980-04-30 1985-02-0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インド
US4801172A (en) * 1985-10-03 1989-01-31 Townsend John A Vehicle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27741T1 (de) 1995-09-15
DE69022403T2 (de) 1996-03-21
DE69022403D1 (de) 1995-10-19
DK0455704T3 (da) 1996-01-15
KR910700158A (ko) 1991-03-14
AU630044B2 (en) 1992-10-15
AU5024590A (en) 1990-08-24
EP0455704A4 (en) 1992-11-04
EP0455704A1 (en) 1991-11-13
EP0455704B1 (en) 1995-09-13
JPH0651476B2 (ja) 1994-07-06
JPH04503041A (ja) 1992-06-04
WO1990008666A1 (en) 1990-08-09
US4940282A (en) 1990-07-10
ES2077673T3 (es) 199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990B1 (ko) 자동차용 섀시 프레임
US3021174A (en) Hardtop convertible automobile structure
EP1207067B1 (en) Vehicle
AU741872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ar pillar of automobiles
EP1449698B1 (en) Vehicle open roof apparatus
US20020105201A1 (en) Integrated extendable load floor assembly for vehicles
US5451091A (en) Lifting roof or sliding-lifting roof for vehicles
EP1060924B1 (de) Fahrzeugdach
US6193302B1 (en) Motor vehicle including a deployable spoiler
US4537440A (en) Vehicle with a convertible top
DK159062B (da) Koeretoej, isaer skinnekoeretoej
US20050073167A1 (en) Motor vehicle with improved rear functionality
DE10028777B4 (de) Fahrzeug mit einem umwandelbaren Heckaufbau
US20040232722A1 (en) Midgate assembly including fixed window and crossbar
DE10039682A1 (de) Cabriolet-Fahrzeug mit einem unterhalb eines Deckelteils ablegbaren Dach
EP1356969A1 (de) Cabriolet-Fahrzeug mit zumindest einen starren rückwärtigen Dachabschluss
US5076635A (en) Rear window for a tractor cab
US6926347B2 (en) Pickup truck with cab-over-engine and goods or passenger transport platform
DE19943539A1 (de) Fahrerkabine für einen Lastkraftwagen
DE202016008772U1 (de) Reisefahrzeug, insbesondere Reisemobil
EP1084886A2 (de) Cabriolet-Fahrzeug
EP0342915A2 (en) Door system
DE4418242A1 (de) Kraftwagen
CN213035710U (zh) 一种推板组件及工程车用软加盖装置
DE102009030364A1 (de) Kraftfahrzeugd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