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141B1 -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141B1
KR950008141B1 KR1019870003994A KR870003994A KR950008141B1 KR 950008141 B1 KR950008141 B1 KR 950008141B1 KR 1019870003994 A KR1019870003994 A KR 1019870003994A KR 870003994 A KR870003994 A KR 870003994A KR 950008141 B1 KR950008141 B1 KR 95000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tire
bead ring
reinforcement
reta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830A (ko
Inventor
로랑 다니엘
끌로드 메이에 쟝
Original Assignee
꽁빠뉘 제네랄 데 에따블리세망 미쉐린 미쉐린 에 씨이
미쉘 빌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꽁빠뉘 제네랄 데 에따블리세망 미쉐린 미쉐린 에 씨이, 미쉘 빌망 filed Critical 꽁빠뉘 제네랄 데 에따블리세망 미쉐린 미쉐린 에 씨이
Publication of KR87000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30/1635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by feeding a continuous band and moving it back and forth (zig-zag) to form an ann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34Building tyres by jointly covering two bead-rings, locat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distance apart, with fabric or cor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0Annular 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1664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subgroups of B29D30/00
    • B29D2030/1678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subgroups of B29D30/00 the layers being applied being substantially continuous, i.e. not being cut before the application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Ropes Or Cabl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aper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다른 단계에서 다른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특정 동작을 도시한 도면.
제4도 내지 제8도는 비드 링(bead ring)상의 카아커스 보강재(carcass reinfo rcement)의 정착(anchoring)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상기 장치의 특정부분의 동작의 구동을 도시한 도면.
제10도 및 제11도는 상기 장치의 동작 사이클의 시작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제12a도 및 제12b도는 상기 장치의 동작 사이클의 종료를 도시한 도면.
제13도 및 제14도는 상기 장치의 특정 부분이 서로에 대해 수직한 것을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조중에 보강재의 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
제16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 2 : 지지 아암
3 : 유지부재 4 : 코드
5 : 회전 아암 7 : 코어
21 : 피봇점 22 : 구동점
26 : 샤프트 45 : 비드 링
50 : 회전축 52 : 오리피스
54 : 유지소자 56 : 구동 샤프트
60 : 홈 90 : 롤러
93 : 모터 400 : 루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타이어 보강재 (rein forcement)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특히 현시점에선 많은 경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비드 링(bead ring)을 갖는 두개의 비드 각각에 정착(anchore)된 카아커스 플라이 (carcass ply)로 공지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에 의해 보강된다. 이들 플라이는 방사 방향 카아커스의 경우 타이어의 회전축을 통과해서 평면내에 거의 포함되는 복수의 인접한 코드(cord)를 구비한다.
˝코드˝라는 표현은 단일 코드와 복수의 단일 코드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cable) 또는 이와 동등한 조립체(조합)등 가장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동시에 감기지 않은 코드의 다수의 스풀 (spool)로부터 코드가 그 최대 길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어 고무에 끼워지는 플라이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들 플라이는 다음에 소정 각도, 예를들면 직각 방향을 따라 적합한 길이의 일부로 절단된 다음에, 타이어 제조시 사용되는 중간 제품 또는 반완성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코드를 겹쳐놓거나 또는 겹쳐놓지 않고도 코드에 대해 평행한 플라이편의 엣지를 일체로 되게 한다. 이러한 반완성제품의 제조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3,573,135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고가의 설비가 필요하며 제조될 타이어의 치수에 따라 요구되는 플라이의 폭의 함수로서 다른 대량의 플라이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타이어 보강재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들 방법중 하나에 따르면, 보강재 코드 또는 코드들은 타이어 내면을 구성하는 코어 주위에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852,855호, 제1,328.006호 및 1,321,402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주위에 코드를 배치시키는 작업의 기계화(mechanization)는 상기 코드가 이러한 코어의 외측 공간내에서 축방향, 방사 방향 및 축방향과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
다른 방법에 따르면, 보강재 코드는 그 최종적인 원형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코드가 권취되는 동안 전달되어 편평하게 배치되는 2개의 비드 링 주위에 권취된다. 이러한 내용은 예를들어, 특허 W83/02749, 미합중국 특허 제2,139,840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1,349,390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방법은 특히 보강재가 편평하게 구성되는 경우 타이어내에서 그 최종적인 형상과는 매우 다르게 보강재를 제조한다는 사실에 관한 많은 결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 보강재가 원형 비드 링 주위에 구성되는 경우, 공기식(pneumatic) 장치에 의해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2개의 비드 링 사이에 배치된 코드의 중심부분을 방사 방향으로 상승시켜서 성형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인해 기하학적 형상의 측면에서 볼때 정밀도가 낮다.
따라서 단일 코드(single cord)로부터 타이어 보강재를 제조하는 이들 공지된 기술들은 복잡하고 비생산적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까지와 같은 플라이 형태의 반완성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방법외 결점을 가지지 않은 단일 코드를 사용하여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재를 제조하기위해 코드를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코드(continuous cord)로부터 형성된 타이어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연속 코드를 보강재의 일면에서 다른 면까지 코드 경로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두개의 원내에 배치된 유지부재에 후크시키고,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된 상기 코드가 하나의 유지 부재로부터 다른 유지 부재까지 복수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를 구성하는 단계와, 유지 부재의 적절한 동작에 의해, 상기 방식으로 배치된 코드를 타이어의 내면의 형상을 구성하는 강성 코어 및 그 주변에서 접는 단계 및 코드를 정착하여 유지부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실린더 축에 대해 거의 평행하고 각 단부에서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보강재 코드의 길이를 형성하는 실린더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전체 보강재는 모든 유지부재에 후크된(걸린) 단일 연속 코드로 형성되며, 다음에 코드 유지 부재는 이렇게 제조된 보강재가 타이어의 내면을 구성하는 강성 코어(rigid core)를 둘러싸는 즉, 이러한 보강재가 다른 타이어(future tire)중에 그 소정 위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코드˝란 표현은 일반적으로 보강재 재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고, ˝코드외 길이 부재˝는 특히 강성 코어의 양측면에 있는 2개의 유지 부재 사이에 배치된 일정량의 코드를 나타낸다.
코드 정착(anchoring)은 보강재의 기능을 층분히 고려한 어떤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보강재가 타이어 카아커스 보강재(tire carcass reinforcement)인 경우, 상기 정착은 타이어의 팽창 압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카아커스가 필요하다. 예를들면 비드 링이 사용될 것이다.
상기 방법으로 인해, 유지 부재에 코드를 후크시키므로써 보강재의 구성은 상기 길이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을 갖는 실린더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유지 부재 사이의 모든 코드 길이가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순한 형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법에서, 유지 부재에 의해 형성된 원은 약간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코드 길이는 원추형 절두체(conical frustum)로 구성된다.
따라서, 코드 유지 부재를 사웅하는 것에 의해, 단순한 방법으로 강성 코어 주위에 배치된 보강재의 제조를 시작할 수 있고, 강설 코어를 사용하는 것은 제조 균일성과 정밀도의 견지에서 볼때 매우 유리하다. ˝강성 코어˝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279,856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제 타이어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mold)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의 거의 변형되지 않은 코어라고 생각된다.
하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설명은 승용차(passenger car) 타이어용 레이온 카아커스(rayon carcass) 보강재의 제조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단일 헝태의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 또는 단일 형태의 타이어 코드의 제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타이어 벨트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타이어의 비드 링의 직경과는 무관하게 원형 형상으로 카아커스 보강재의 제조를 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지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잇점은 이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분의 개략도가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는 지지 아암(support arm ; 2)의 두개의 링(1)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링(1)과 제조될 타이어는 동축적이다. 지지 아암(2)의 측방향 내부 단부(20)는 축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는 단부(20)가 이동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방사 방향 콤포넨트 (comp onent) 및 하나의 축방향 콤포넨트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부(20)는 코드(4)를 위한 유지 부재인 유지 수단(retention means, 3)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 아암(2)은 피봇점(pivot point ; 21)과 구동(drive)점(22)을 갖는다. 모든 지지 아암(2)의 피봇점 (21)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조될 타이어와 동축인 변하지 않는 직경의 원(210)을 형성한다. 구동점(22)은 피봇점(21)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각각의 링(1) 내에서 모두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이들 두 종류의 동작[피봇점(21)의 축방향 이동과 피봇점(21)에 대한 구동점(22)의 이동]은 코어 주위에서 코드(4)를 접을시에 이들 지지 아암의 단부(20)가 소정동작을 그릴 수 있도록 지지 아암(2)에 대해 소정 동작을 부여할 수 있다. 코어 주위에서의 접음(folding)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20)는 제조될 타이어와 동축이며 가변적인 반경 및 코어상에서 및 주위에서 코드의 접음을 시작할 수 있도록 축방향 위치가 가변적인 원을 형성한다. 또한, 가변적인 축방향 위치는 상이한 길이의 코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2개의 링(1)이 대칭이지만, 이 대칭은 필수적이진 않고, 단지 그 대칭 구조의 타이어를 제조하는데에 매우 편리할 뿐이다. 2개의 링의 동작은 적합하게는 대등하게 대칭적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그 회전축(50)이 링(1)의 축에 대해 거의 직각이며 바람직하게는 코드(4)를 위한 유지부재(3)로 구성된 실린더의 방사 방향 외측에 위치한 회전 아암(rotary arm ; 5)을 포함한다. 축(50)은 축방향으로 유지 부재(3) 사이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되어 있다. 이 회전 아암(5)은 구동 샤프트(56)를 거쳐서 모터(55)에 의해 구동된다. 회전 아암(5)의 일 회전마다 링(1)은 인접하는 2개의 유지 부재(3)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각도로 회전한다. 테이퍼진 점(tapered point ; 51)은 인접하는 2개의 유지 부재(3) 사이로 회전 아암(5)의 단부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아암(5)의 회전 방향은 운동 방향으로 향한 코드 선단(corded point)에 의해 제1도에서 알 수 있다. 회전 아암(5)은 본 실시예에선 주로 상기 운동에 대해 후방에 위치한 코드 (4)의 개구를 위한 오리피스(orifice ; 52)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코드 운반(deli very)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 아암(5)의 단부와 중심 사이에 회전 아암(5)에 대해 코드를 승강시키는 스퍼(spur ; 53)가 구비되어 있다.
제1도의 우측에 있는 링(1)에 있어서, 코드(4)는 코드가 이미 후크된 유지 부재 (3)와 인접하는 자유 유지 부재 사이에 위치한 공간내로는 통과하지 않고, 제1유지 부재(3)와 그 다음 유지 부재 사이의 공간내로는 통과해야만 하는 회전 아암(5)위에 위치한 유지 부재(3)에 후크되어 있다. 유지 부재(3)에 대해 이제까지 상술한 순서는 2개의 링(1)의 회전 방향, 즉 제1도의 하부에서 상부까지로 한정된 회전 아암(5)에서 나타나야 하는 순서에 상당한다. 제1도의 좌측에 있는 링(1)에 있어서, 코드(4)는 코드가 이미 후크된 유지부재(3)와 인접하는 자유 유지 부재 사이에 위치한 공간을 통과해야만 하는 회전 아암(5) 아래에 위치한 유지 부재(3)에 후크된다.
회전 아암(5)의 중심에는 코드(4)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54)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50)은 유지 부재(3)에 의해 한정된 실린더의 방사 방향 외측에 있기 때문에, 제1도의 우측에 있는 유지 부재(3)상의 코드의 후크(hooking)는 오리피스(52)의 동작이 코드(4)의 최대 길이, 즉 코드(4)의 길이 부재(40)의 공급을 야기시키는 지점을 지나서 오리피스(52)의 궤적의 일위치에서 수행된다. 이 지점은 코드(4)가 후크된 최종 유지 부재(3)와 코드가 구동 샤프트(56)로부터 나오는 위치(57)에 의해 한정된 직선상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굴곡 로드로 구성된 상기 지지 소자(54)는 코드를 더이상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되면 곧바로 코드(4)를 해제할 수 있도륵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지지 소자(54)는 소정 길이 보상 수단에 의해 코드(4)가 항상 팽팽한 상태로 있는 것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항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회전 아암(5)에는 그 중심에 오리피스(52)와 회전축(50) 사이의 거리를 하나의 링(1)의 유지 부재(3) 사이의 거리로 적응시킬 수 있는 오목부(recess ; 58)가 있고, 이 거리는 배열될 코드(4)의 길이 부재(40)의 길이에 따라 조절된다.
회전 아암(5)에 대해 지지 아암(2)을 적절한 위치에 있게 하기 의해서, 지지 아암(2)에 맞물리는 나선형 홈(helicoidal groove ; 60)을 갖는 샤프트(6)와 회전 아암 (5)의 궤적 바로 부근에 있는 샤프트가 각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아암(2)의 단부(20)의 위치 설정은 회전 아암(5)의 통과중에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물론, 이들 샤프트(6)의 회전은 노치식 벨트 변속기(61)에 의해 회전 아암(5)의 회전과 동기화된다.
코드(4)는 서로 대향하고 그 사이에 코드가 도입되는 두개의 로울러(90)에 의해 부과된 속도로 보빈(bobbin ; 41)으로부터 풀린다. 이들 로울러의 속도는 코드(4)의 평균 소비량에 따라 속도가 제어되는 모터(93)에 의해 조절된다. 그후 코드(4)는 회전 아암(5)에 의해 코드의 운반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필요한 길이의 보상과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는 시스템(91)내로 통과한다. 도시된 시스템(91)은 코드(4)가 이들 사이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필요한 것보다 약간 더 떨어져 있는 2개의 평행한 플레이트 (910) 사이를 통과하는 코드(4)에 대해 작용하는 건조공기압[공기가 튜브(92)를 통해 공급됨]에 의해 작동한다. 코드(4)는 모터(93)의 속도를 제어하는 서보 콘트롤(serv ocontrol)에 의해 그 평균적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파선으로 도시된 루프(loop)를 형성한다. 그후 코드(4)는 구동 샤프트(56)의 중심에 설치된 홀(hole)을 통해서 회전축(50)의 중심에 도달한 다음 출구 오리피스(52)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코드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고무층을 타이어의 내면의 형상을 구성하는 강성 코어(7)상에 적용하고 그리고 연속 코드(4)를 보강재의 일면에서 다른 면까지 코드(4) 경로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두개의 원내에 배치된 유지 부재(3)에 후크시키고,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코드(14)가 하나의 유지 기구(3)로부터 다른 유지 부재까지 복수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성 코어(7)를 상기 실린더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 부재(3)의 직절한 동작에 의해 상기와 같이 배치된 코드(4)를 강성 코어(7) 및 그 주변에서 접는 단계와, 코드를 정착하여 유지 부재(3)를 해제하는 단계 및 타이어 제조를 계속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성 코어(7)를 덮고 있는 고무층은 이들이 코어(7)위에 배치될때 코드(4)의 길이 부재(40)를 고정한다. 따라서 이것은 코드(4)의 정착(anchoring)에 참여한다. 코드(4)의 정착은 공지된 바와 같은 비드 링(bead ring)에 의해 또한 실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제조공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강재의 제조를 시작하기 위해서, 회전 아암(5), 구동 샤프트(56), 장력 보상 시스템(91) 및 구동 로울러(90)로 구성된 모든 설치부재에 체결되는 코드(4)는 제1도에서 좌측 링(1)의 지지 아암(2)중 하나에 견고하게 고정된 클램프(23)에 후크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방 단부에서 코드(4)가 돌출하는 회전 아암(5)은 클램프(23)를 지지하는 지지 아암(2)의 높이로 후퇴된다. 그런다음 지지 아암(2)의 링(1)은 클램프(23)가 코드(4)를 포착하도록(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곧바로 유지 부재(3)에 코드(4)를 후크하는 위치에 상당하는 간격을 갖는다.
코드(4)의 자유단부는 회전 아암(5)이 그 상하부에 잔류하는 유지 부재(3) 부근에서 유지되고, 또한 회전아암(5)의 회전은 링(1)상에 있는 유지 부재(3)의 수와 동일수의 회전을 수행하고, 따라서 두개의 링(1)상에 있는 유지 부재(3)의 수와 동일수의 코드(4)의 길이 부재(40)로 형성된 실린더를 제조하는 것에 이해 유지 부재(3) 모두에서 계속하여 코드(4)를 후크하고, 보강재의 점진적인 제조에 필요한 일정양의 코드(4)의 공급을 유발한다. 예를들면, 승용차용 타이어의 레이온 카아커스 보강재(rayon carcass reinforcement)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500 내지 700개의 유지 부재(3)를 갖는 링(1)이 사용된다.
코드(4)가 모든 유지 부재(3)에 후크될 경우, 코드(4)의 길이 부재(40)에 의해 완전한 실린더가 형성되고, 코드(4)는 예를들면 아교 접착제(glue spot)에 의해 클램프 (23)에 연결되는 코드(4)의 길이 부재(40')에 고정된 다음 절단된다.
이때문에, 제12a도에서는 그 상면이 경사 평면이 되도록 실린더형 돌기부로 형성되는 유지 소자(54)에 의해 코드(4)가 유지되는 경우에 회전 아암(5)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후 푸시 부재(pushmember ; 65)가 상기 유지 소자(54)로부터 코드(4)를 해제하기 위하여 코드(4)를 상승시킨다. 장력 보상시스템(91)의 작용하에서 코드(4)는 회전 아암(5)의 출구 오리피스(52)와 코드(4)가 후크되는 최종 유지 부재(3) 사이에 직선 길이 부재(40˝)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길이 부재(40˝)와 클램프(23)와 재결합하는 길이 부재(40')는 이들의 길이 부재(40'와 40˝)에 대해 이동하는 헤드부(65) 위에서 교차한다. 헤드부(65)는 코드(4)의 길이 부재(40'와 40˝)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길이 부재(40'와 40˝)를 접착하기 위해 액화 폴리에틸렌이 공급되도록 경사져 있고, 제12b도에 더욱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제12a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것) 나이프(66)가 설치되어 있으며 클램프(23)와 회전 아암(5)의 출구 오리피스(52)를 각각 재결합하는 길이 부재(40'와 40˝)의 절단을 실행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에는 유지 부재(3)에 의해 형성된 원의 방사 방향 내부에 강성 코어(7)를 삽입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코드(4)의 길이 부재 (40) 위치에 있는 동안, 이 내부 공간은 회전아암(5)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자유롭게 놓여 있어야만 한다. 코어(7)를 삽입하는 상기 수단은 주로 지지 아암(2)의 링(1)중의 하나의 방사 방향 내측에 위치한 자유공간(free space ; 70)으로 형성되고, 이 자유공간(70)은 지지 아암(2)의 적어도 일 위치에 대한 코어(7)의 크기보다 더 커야 하며 또한, 피스톤(제2도에서 화살표(71)로 도시됨)과 같은 코어(7)의 전진 후퇴의 적절한 종래의 시스템은 링(1)내에 또는 사이에 피스톤을 도입하거나 또는 링(1) 사이의 위치에서 피스톤을 제거한다.
코드(4)의 길이 부재(40) 위치에 놓이는 단계(phase)가 완료되면, 타이어의 내부표면을 구성하고 코드(4)의 정착에 참여하는 고무층이 미리 제공된 코어(7)는 코드(4)의 길이 부재(40)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 내부에 도입된다. 그 삽입중에 중간 위치에 있는 코어(7)는 실선으로 도시하고, 링(1)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는 코어(7)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 아암(2)을 도시하는 실선은 코드(4)의 후크중에(제1도 참조) 및 코어(7)의 삽입중에 점유하는 위치에 상당한 반면에, 점선은 접음(folding)중에 동일 지지 아암(2)의 후속 위치를 도시한다. 이들 연속 단계가 동일 도면중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에 의해 실행될 동작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 동일한 제2도에서 회전 아암(5)의 동작을 참조하면 코드(4)의 길이부재(40)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의 제조후에 코어(7)를 도입하는 것에 유용함을 더 명확하게 해준다.
두개의 링(1)중에 하나의 내부에서 이러한 삽입을 참조하지 않는 경우, 한개는 코드(4)의 길이 부재(40)의 실린더를 형성하고, 코어(7)는 회전 아암(5)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과대하게 큰 직경상의 위치에 실린더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과대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거나 지지 아암(2)의 접음 동작을 연장할 수 있으며, 이 동작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에서 유지 부재(3)는 2개의 후크(31,32)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제조 단계에서, 제1후크(31)만이 코드(4)의 후킹(hooking)을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회전 아암(5)에 의해 제공된 코드(4)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말단점(310)의 방사 방향 평면의 돌기부는 2개의 링(1)에서 서로 대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후크(32)는 이 단계에서(제3도의 상단부에 중첩된 위치) 각각 2개의 길이 부재(40)가 각각 제2후크(32)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방사 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코어(7)를 향해 지지 아암(2)의 단부 (20)를 접을때에, 상기 목적에 대해 말단점(320)이 수축되어 있는 제2후크(32)는 루프(400)의 형성을 시작하기 위해 코드(4)의 길이 부재(40)중 하나에 후크된다. 상기 접음은 구동점(22)상에서 일정 추진력을 유지하면서 두개의 링(1) 사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피봇점(21)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추진력은 바람직하게는 변동을 제한해야 하는(예를들어 1 대 2의 비율의 변동이 적합하다) 코드(4) 장력의 평형을 맞춘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1)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자마자, 자동적으로 지지 아암(2)의 단부(20)가 방사 방향 내측으로 경사 이동하여 코드(4)내에 장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코어(7) 주위의 지지 아암(2)이 접어지는 동안 유지부재(3)의 궤적(tr ajectory)을 구성하는 것은 코드(4) 자신이다.
제9도를 참조하면, 지지 아암(2)의 단부(20)에 대한 길이 부재(40)의 경사와는 무관하게 코드(4)의 장력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추진력(push)을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제2도 참조). 지지아암(2)의 피봇점(21)은 각 링(1)에 대해서 판(plate ; 215)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들 두개의 판(215)은 바람직하게는 대조적으로 서로 근접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각 링(1)의 구동점(22)은 판(225)에 대해 모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판(225)을 따라 방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판(215,225)상에 장착된 링(1) 자체를 고려하면, 판(215,225)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는 지지 아암(2)의 진동(swinging)을 제어하는 한편, 판(25)의 축방향 위치는 지지 아암(2)의 각 링(1)의 축방향 위치를 결정한다. 일정한 피스톤-실린더 유니트(piston-cylinder un it ; 25)는 록커(rocker ; 27)를 거쳐서 샤프트(26)에 회전응력을 가한다. 이 동작은 코드(4)의 길이 부재(40)의 거의 일정한 장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추진력을 전달하는 록커(27) 및 로드(28)에 의해 반복된다. 상기 추진력은 가변적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길이 부재(40)가 지지 아암(2)의 단부(20)에 의해 형성된 각도가 크면 클수록 상기 추진력은 약해진다. 상기 추진력은 록커(27)의 아암 길이, 록커(27)의 아암이 형성되는 각도 및 록커(27)와 로드(28)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를 적합하게 하므로서 얻어진다.
특히 이러한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드(4)의 정착은 하기 방법으로 실행되는 비드 링(45)의 배치를 포함한다 :
접는중에 각 유지 부재(3)는 코드(4)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상의 유지 부재(3)를 향하여 출발하는 지점에서 코드(4)내에 루프(400)의 형성을 시작하는 단계와, 이렇게 시작된 루프(400)중 적어도 약간을 유지 부재(3)에 대해 방사 방향 외측의 어떤 레벨에서 종료하는 단계와, 이렇게 제작된 루프(400)에 프로파일부재(profiled member)의 복수의 나선(turns)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나선이 비드 링(45)을 구성하도록 상기 나선을 일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로파일 부재의 복수의 나선(turn)은 비드 링(45)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프로파일 부재는 그 볼록부가 방사 방향으로 제조 공정중에 타이어의 회전축을 향하고 있도록 곡선 형태(curved shape)를 가진다. 이같은 방법으로, 연속적인 나선은 서로 매우 용이하게 중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코어(7)의 각 측면상의 비드 링(45)에 코드(4)를 정착시킬때에 사용하는 장치(8)를 포함한다(제4도 내지 제8도 참조). 이 장치(8)의 사용은 그 말단 지점(310,320)이 축방향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후크(31,32)의 형상으로 조절된다.
이 장치(8)는 복수의 조립체(80) 바람직하게는 원주상에 적어도 50개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들 조립체(80)는 서로 단단하게 연결되어 축방향으로(동시에) 이동 가능하다. 이들은 링(1)의 축과 코어(7)의 축, 즉 제조중에 타이어의 회전에 평행한 직선 로드(91)와 진동 핑거(swinging finger ; 82)로 형성된다. 비드 링(45)의 레벨에서 코어(7)의 폭은 최대폭보다 더 좁기 때문에, 신장된 코드(4)의 비드 링(45)에 의한 유지에 상당하는 두 위치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코어(7)에 대한 것으로 비드 링(45)의 최종 위치에 있고 나머지 하나는 코어(7)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유지 부재(3)의 접음은 이들 위치중 어느 하나가 먼저 만날 때 정지한다. 정착 장치(8)는 직선 로드(81)가 코드(4)에 의해 형성된 사변형(quadrilateral)을 폐쇄하는, 즉, 루프(400)중 몇몇의 개방을 방해하도록 코어(7)에 대해 축방향으로 근접되고(제4도 참조) 이는 비드 링(45)의 외경을 결정한다. 이로 인해 비드 링(45)의 삽입용 안내 경로(guide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비드 링은 수회 감김 프로파일 부재로 구성되고 조립체(80)중 하나의 정면에서 루프(400)내로 접선 방향으로 도입되어 이것을 가압하므로써 그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다. 그후 비드 링(45)은 원주상에서 특히 프로파일 부재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의 시작 종결(start and end)의 중첩된 영역내의 몇몇 위치에서 프로파일 부재의 층을 에워싸는 후크에 의해 또는 어떤 적합한 고정 기구에 의해 종결된다. 그후 후크(31,32)는 해제될 수 있다. 이것은 지지 아암(2)이 코어(7)를 향해 축방향으로 눌려서 복귀되는 동안 하방을 향하고 비드 링(45)의 내면에서 축방향으로 저하된 그 단부(820)에 의해 축방향으로 비드 링(45)을 유지하는 핑거(82)로 인해 실행된다. 이 동작(제5도 참조)에 의해 모든 제1후크(31)를 해제할 수 있다. 그후 핑거(82)는 상승하고, 상기 장치 (8)는 코어(7)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이동하여 비드 링(45) 외부에서 축방향으로 단부(820)를 하강시킬 수 있다(제6도 및 제7도). 비드 링(45)은 지지 아암(2)이 축방향으로 멀리 이동하는 동안 코어(7)를 향한 장치(8)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코어(7)에 대해서 눌려지고(제7도 및 제8도 참조), 최종 후크(32)가 해제될 수 있다. 후크(31,32)의 유연성은 동일한 형태의 후크가 모두 동시에 벗겨지지 않아도 벗겨진 후 각 링(1)에 이들 소정 위치를 복귀시킬 필요성이 양립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 비드 링(45)에 정착된 보강재를 지지하는 코어(7)는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타이어의 제조는 또한 카아커스 보강재를 구성하는 다른 보강재를 생산함에 의해 크라운(crown) 보강재(벨트), 측벽(side wall) 및 트레드(tread)의 위치에 의해 계속적으로 제조된다.
이제 13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특정 부재의 변형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3도 및 제14도(및 제12a도)에 도시된 회전 아암(5)은 출구 오리피스(52)의 회전축(50) 사이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타이어 치수에 따라 적합하게 되는 망원경식(telescopic)이다. 예를들면, 이 길이를 짧게하기 위해 케이블 구동(cable dri ve)이 사용되고 그 길이를 신장하기 위해 로드 및 보울 구동(rod and ball drive)이 사용된다. 따라서 길이는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링(1)에 대해 링(1)의 유지 부재(3) 사이의 축방향 거리의 절반으로서 더우기 이 거리의 변화가 조절될 타이어 치수에 따라 또는 더 정확하게는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에 대해서는 유지 부재(3)에 후크될 코드(4)의 길이 부재(40)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장치의 조정에 상당하는 범위내에서 변화한다.
클램프(23)를 사용하는 장치의 작동을 시작할때, 링(1)은 망원경식 회전 아암 (5a)의 길이를 변화시킴 없이 조절 범위를 초과하여 서로 축방향으로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제13도에 있어서, 후크(32a)의 지점(320a)의 배향이 후크 (31a)의 지점(310a)의 배향과 거의 동일한 반면, 상술한 실시예에서 지점(310, 320)의 배향은 실제로 차이가 있다.
제13도 및 제14도는 서로 직각인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점(310a,320a)의 배향은 축방향으로 상기 장치의 외측 방향 접선과 반대 방향(제14도 참조)으로 제14도의 우측 링(1)에 대해서는 방사 방향으로 내측, 즉 회전 아암(5)의 코드(4)의 길이 부재(40)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의 내부로 침입하는 측이고, 또한 제14도의 좌측 링(1)에 대해서는 방사 방향 외측 즉, 회전 아암(5)이 로드(4)의 길이 부재(40)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로부터 빠져나오는 측이다. 일반적으로, 후크(310,320,310a,320a)의 지점은 후크(31,32,31a,32a)의 저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유지 부재[3 ; 후크(31a,32a)]는 두개의 링(1) 사이에서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이들 유지 부재(3)의 설계와 유지 부재(3)상에 코드(4)의 존재는 코드(4)의 길이 부재(40)가 이들 길이 부재(40)의 실린더를 구성할 경우 ˝8˝자형 또는 ˝S˝자형을 형성하기 위한 결정적인 요인이 있다. 이는 어떤 코드도 방사 방향으로 중첩시킬 수 없음을 뜻한다. 소위 코드를 중첩시킬 수 없는 ˝S˝자형은 제15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코드를 중첩시키는 경우, 이 중첩은 타이어 내에서도 찾을 수 있고, 이것은 타이어의 작동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는 상태를 갖는다. 제15도를 참조하면, 코드(4)가 우측상의 유지 부재(3)에 대해 어떻게 적합하게 존재할 수 있는지와 코드(4)가 모든 유지 부재(3)상에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명백히 알 수 있다. 좌측 링(1)에서 코드(4)는 유지 부재(3)에 대해 존재하는 반면에, 회전 아암(5)은 도면의 평면으로부터 빠져나오고 상기 자유 유지 부재(3)를 통과하여 스퍼(spur)(53a)는 하강 위치에 있다.
좌측 링(1)과 우측 링(1) 양자의 유지 부재(3)상의 코드(4)의 후크를 최적화하기 위해 스퍼(53a)의 작용이 대칭적이지 않은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스퍼(53a)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링(1)의 정면에 상승 코드(4)를 제공하고 캠(531a)에 의해 가압된 로드(530a)의 작용에 의해 상승된다. 축방향으로 대향측면에서, 스퍼(53a)는 정지 상태에 있는 코드(4)를 약간 들어올린다. 스퍼(53a)를 지지하는 회전 아암(5)이 망원경식이고, 로드(530a)도 또한 망원경식이어야만 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유지 부재(3)의 설계는 코드(4)의 후크를 허용하고, 다음에 비드 링(45)의 삽입 후 유지 부재(3)를 벗기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음시에 루프 (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접음은 그 일반적인 원리에서 상술한 바와 비슷하다. 차이점은 주로 유지 부재(3)의 벗기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제16도 내지 제18도 참조) 코어(7)의 양 측면상에서 상기 장치는 링(1)의 축에 대해 평행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축방향으로 및 동시에 방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 ; 85a)를 구비하는 장치(8a)를 포함한다. 이들 블레이드(85a)는 방사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배향된 홈(850a)을 갖는다. 루프(400)를 형성하는 코드(4)에 의해 형성된 사변형을 폐쇄하기 위해 코드(4)의 길이 부재(40) 사이에 삽입된 상기 홈(850a)은 비드 링(45)의 외경을 결정한다. 따라서, 이들 홈(850a)은 비드 링(45)의 삽입을 안내한다. 비드 링이 삽입되고 후크(31 a,32a)가 위치되면, 블레이드(85a)를 사용하여 유지 부재(3)로부터 코드(4)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비드 링(45)은 블레이드(85a)의 홈(850a)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지되고, 두개의 링(1)은 서로 축방향으로 근접한다. 따라서 지지 아암(2)은 축방향에서 코어(7)의 중심 방향으로 전진하고, 코드(4) 블레이드(85a)에 의해 고정된 비드 링(45)에 의해 유지되며, 여기서 그 지점(310a,320a)이 동일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후크(31a,32a)를 해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구동점(22)에 가해진 추진력은 지지 아암(2)이 완전한 진동을 유발시킨다. 동시에 코드(4)의 길이 부재(40)는 스프링(25)의 작용하에서 코어(7)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들 스프링(25)은 U자형이고, 거의 평행하고 유연성이 있는 아암은 각 지지 아암(2)과 일체화되고 이것의 베이스 브랜치(base branch ; 250)는 코드(4)의 길이 부재(40)에 대해 일정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25) 때문에 카아커스 보강재를 구성하는 길이 부재(40)는 유지부재 (3)가 벗겨진 후에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블레이드(85a)는 상승하고, 축방향으로 후퇴한 다음 비드 링(45)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하강한다. 다음에 비드 링(45)은 코어(7)에 대한 최종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5)의 베이스 브랜치(250)가 코어(7)에 대해 코드(4)의 길이 부재(40)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지 아암(2)의 링(1)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에 대해, 스프링(25)은 코어(7)를 향해 링(1)의 축방향 이동이 코어(7)를 따라 이동하며 베이스브랜치(250)를 방사 방향으로 하강시키도록 지지 아암(2)에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방법 및 장치는 측벽내부에 배치된 코드(4)가 방사 방향에 있거나 또는 없고 그리고 트레드내부에 배치된 코드(4)가 축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하지 않든지 간에 보강재를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보강재로서 바람직한 구조를 얻기 위해 접음전 및/또는 접음중에 서로에 대해 링의 각도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장치에 의해 얻어진 타이어는 카아커스 보강재가 비드 링 둘레에 감겨있고 타이어 산업 분야에서 현재 폭넓게 채용되고 있는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턴업(turn up)없이 카아커스 보강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유지 부재(3)의 이격된 거리 및 코어(7) 주변에서 접음을 적합하게 하기 위해 턴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9)

  1. 연속 코드로부터 형성된 타이어 보강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연속 코드를 보강재의 일면에서 다른 면까지 코드 경로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두개의 원내에 배치된 유지 부재에 후크시키고,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코드가 하나의 유지 부재로부터 다른 유지 부재까지 복수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 부재의 적절한 동작에 의해, 상기와 같이 배치된 코드를 타이어의 내면의 형상을 구성하는 강성 코어 및 그 주변에서 접는 단계 및 상기 코드를 정착하여 유지 부재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방법.
  2. 연속 코드로부터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무층을 타이어의 내면의 형상을 구성하는 강성 코어상에 적용하고, 그리고 연속 코드를 보강재의 일면에서 다른 면까지 코드 경로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두개의 원내에 배치된 유지 부재에 후크시키고,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코드가 하나의 유지 부재로부터 다른 유지 부재까지 복수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성 코어를 상기 실린더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 부재의 적절한 동작에 의해, 상기와 같이 배치된 코드를 강성 코어 및 코어 주변에서 접는 단계와, 코드들 정착하여 유지 부재를 해제하는 단계 및 타이어 제조를 계속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정착에 사용되는 부재는 비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의 정착 공정은 접는중에 각 유지 부재는 코드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상의 유지 부재를 향하여 출발하는 지점에서 코드내에 루프의 형성을 시작하는 단계와, 이렇게 시작된 루프중 적어도 약간을 유지 부재에 대해 방사 방향 외측의 어떤 레벨에서 종료하는 단계와, 이렇게 제작된 루프에 프로파일 부재(pro filed member)의 복수의 나선(turns)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나선이 비드 링을 구성하도록 상기 나선을 일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5. 연속 코드로부터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축방향 내부 단부가 축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코드의 유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아암의 2개의 링과, 회전축이 상기 링의 축에 거의 수직하고 유지 부재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거의 중앙 지점에 위치하며, 회전 아암이 통과할 때마다 상기 코드를 유지 부재에 후크시킬 수 있는 운반 수단을 가지며, 이때 두 개의 링은 회전 아암이 회전할 때마다 인접하는 두개의 유지 부재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각도 만큼 회전하는 회전 아암 및 유지 부재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의 방사 방향 내부에 강성 코어를 삽입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셔, 상기 회전 아암은 코드 유지 부재에 의해 구성된 실린더의 방사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의 통과시 상기 지지 아암의 위치 설정은 지지 아암상에 맞물리는 나선형 홈에 의해 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은 회전 방향에 대해 후방을 향해 회전 아암의 단부에 위치한 코드의 출구 오리피스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은 회전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상기 아암의 단부와 중심부 사이에서 오리피스로부터 나오는 코드를 상승시키는 스퍼(spur)와, 그 중심부에 코드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는 캠에 의해 가압되는 로드의 작용에 의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의 유지 부재는 두개의 후크로 형성되고, 이 후크중 하나는 회전 아암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틀 후크시키고 다른 후크는 코드를 접을시에 루프의 형성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점은 반대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점은 동일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코드를 비드 링에 정착시킬때에 사용되는 두개의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 장치는 축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일 수 있는 복수의 조립체를 구비하며, 각 조립체는 유지 부재의 방사 방향 외측에서 코드의 루프에 비드 링을 삽입하기 위한 타이어의 회전축과 평행한 직선 로드와 코드를 상기 유지 부재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진동 핑거(swinging finger)로 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코드를 비드 링에 정착시킬시에 사용되는 두개의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 장치는 축방향으로 동시에 그리고 방사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각 블레이드는 유지 부재의 방사 방향 외측에서 코드의 루프에 비드 링을 삽입하고 유지 부재로부터 코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강성 코어를 삽입하기 위한 수단은 지지 아암의 링중 하나의 방사 방향 내부에 상기 지지 아암중 적어도 일 위치의 경우에 코어의 치수보다 큰 자유공간과, 유지 부재 사이의 위치를 향해 그리고 그 위치밖으로 코어의 전진 수축용 시스템으로 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17. 제5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연속 코드로부터 헝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의 자유 단부는 회전 아암이 그 후방 및 상부에 잔류하는 유지 부재 부근에 유지되고, 또한 회전 아암은 링상에 있는 코드 유지 부재의 수와 동일수의 회전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모든 유지 부재에 코드를 후크시켜서 보강재를 구성하고, 그런다음 두개의 링상에 있는 유지 부재의 수와 동일수의 코드 길이로 형성된 실린더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를 제1코드 길이와 일체화시켜서 절단하는 단계와, 강성 코어를 이렇게 제조된 보강재의 내부와 중심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 코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면서 강성 코어 주위에서 상기 유지 기구를 접는 단계 및 상기 코드를 비드 링에 정착하여 유지부재를 해제(unhook)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18. 제14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연속 코드로부터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 자유 단부는 회전 아암이 그 후방 및 상부에 잔류하는 유지 부재 부근에 유지되고, 또한 회전 아암은 링상에 있는 코드 유지 부재의 수와 동일수의 회전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모든 유지 부재에 코드를 후크시켜서 보강재를 구성하고, 그런다음 두개의 링상에 있는 유지 부재의 수와 동일수의 코드 길이로 형성된 실린더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를 제1코드 길이와 일체시켜서 절단하는 단계와, 강성 코어를 이렇게 제조된 보강재의 내부와 중심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 코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면서 강성 코어 주위에서 상기 유지 기구를 접고, 또한 이러한 접음은 유지 기구가 방사 방향으로 비드 링의 직경보다 낮은 레벨에 있는 경우 곧 정지되는 단계 및 코드를 비드 링에 정착시킬 때에 사용되는 장치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평행한 각 직선 로드가 유지 부재의 접음시 루프를 형성하는 보강재 코드에 의해 다르게 형성된 사변형을 종결하도록 비드 링을 향해 축방향으로 근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비드 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파일 부재의 복수의 나선을 도입하고, 진동 핑거를 비드 링의 내측 축방향으로 하강시키며, 후크의 지지 아암을 내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진행시켜서 제1후크를 해제할 수 있고, 핑거를 상승시켜서 정착 장치를 축방향으로 후퇴시키고 핑거를 비드 링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하강시키며, 비드 링을 강성 코어에 대해 비드 링의 최종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지지 아암을 축방향으로 후퇴시켜서 최종 후크를 벗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19. 제15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연속 코드로부터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의 자유 단부는 회전 아암이 그 후방 및 상부에 잔류하는 유지 기구 부근에 유지되고 또한 회전 아암은 링상에 있는 코드 유지 부재의 수와 동일수의 회전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모든 유지 부재에 코드를 후크시켜서 보강재를 구성하고, 그런다음 두개의 링상에 있는 유지 부재의 수와 동일수 코드 길이로 형성된 실린더를 제조하는 단계와, 코드를 제 1 코드 길이와 일체화시켜서 절단하는 단계와, 강성 코어를 이렇게 제조된 보강재의 내부와 중심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 코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면서 강성 코어 주위에서 상기 유지 기구를 접고, 또한 이러한 접음은 유지 기구가 방사 방향으로 비드링의 직경보다 낮은 레벨에 있는 경우 곧 정지되는 단계 및 코드를 비드 링에 정착시킬때에 사용되는 장치는 각 홈이 유지 부재의 접음시 루프를 형성하는 보강재 코드에 의해 다르게 형성되는 사변형을 종결하도록 비드 링을 향해 축방향으로 근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비드 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파일부재의 복수의 나선을 도입하고, 후크의 지지 아암을 내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진행시켜서 모든 후크를 해제할 수 있고, 블레이드를 승강시켜서 후퇴시킨 다음 비드 링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하강시키고, 비드 링을 강성 코어에 대해 비드 링의 최종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KR1019870003994A 1986-04-25 1987-04-25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950008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06159 1986-04-25
FR8606159A FR2597784B1 (fr) 1986-04-25 1986-04-25 Procede et appareil de fabrication de renforcements pour pneumatiques
FR8606159 1986-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830A KR870009830A (ko) 1987-11-30
KR950008141B1 true KR950008141B1 (ko) 1995-07-25

Family

ID=933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994A KR950008141B1 (ko) 1986-04-25 1987-04-25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2) US4801344A (ko)
EP (1) EP0243851B1 (ko)
JP (1) JPH0698709B2 (ko)
KR (1) KR950008141B1 (ko)
CN (1) CN1008715B (ko)
AT (1) ATE59333T1 (ko)
AU (2) AU588453B2 (ko)
BR (1) BR8701955A (ko)
CA (1) CA1311671C (ko)
DE (1) DE3767017D1 (ko)
DK (1) DK164734C (ko)
EG (1) EG18202A (ko)
ES (1) ES2019596B3 (ko)
FI (1) FI86524C (ko)
FR (1) FR2597784B1 (ko)
GR (1) GR3001636T3 (ko)
IE (1) IE60067B1 (ko)
IL (1) IL82321A0 (ko)
MA (1) MA20958A1 (ko)
MX (1) MX166538B (ko)
NO (1) NO871725L (ko)
NZ (1) NZ220078A (ko)
OA (1) OA08589A (ko)
PH (1) PH26493A (ko)
PT (1) PT84758B (ko)
TR (1) TR22904A (ko)
YU (1) YU47011B (ko)
ZA (1) ZA8729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7430B1 (fr) * 1988-02-19 1990-06-15 Michelin & Cie Arret de la fabrication d'un renforcement pour pneumatique a partir d'un seul fil
FR2628033B1 (fr) * 1988-03-07 1990-06-29 Michelin & Cie Moyens de retenue de fil pour appareil de fabrication de pneumatiques et ensemble constitue par lesdits moyens de retenue et par des moyens de presentation du fil
FR2635043B1 (fr) * 1988-08-05 1990-09-28 Michelin & Cie Appareil de fabrication d'un renforcement pour pneumatiques, ledit renforcement etant constitue a partir d'un seul fil
FR2656564B1 (fr) * 1989-12-28 1992-04-10 Michelin & Cie Paire de crochets pour un appareil de fabrication d'un renforcement pour pneumatiques, et appareil comportant une telle paire de crochets.
FR2677577A1 (fr) * 1991-06-17 1992-12-18 Sedepro Procede de fabrication d'un pneumatique, et appareils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FR2694519A1 (fr) * 1992-08-07 1994-02-11 Sedepro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pneumatique et machine de fabrication d'un renfort de sommet pour pneumatique.
FR2804367B1 (fr) * 2000-02-01 2002-09-20 Sedepro Appareil a bras oscillant, pour la fabrication d'un renfort de pneumatique a partir d'un seul fil
FR2720326A1 (fr) 1994-05-27 1995-12-01 Sedepro Assemblage et vulcanisation de pneumatique.
US5705007A (en) 1995-12-21 1998-01-06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cord-reinforced elastomeric stripe
DE19834299C1 (de) * 1998-07-30 2000-04-13 Continenta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stärkungslage für einen Radialluftreifen
FR2784054A1 (fr) 1998-10-02 2000-04-07 Michelin Soc Tech Armature de sommet pour pneumatique radial
WO2000020233A1 (fr) * 1998-10-02 2000-04-13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Armature de sommet pour pneumatique radial
US6460585B1 (en) 1998-10-02 2002-10-08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s, S.A. Tire with tread compound contacting belt cords
FR2799411B1 (fr) 1999-10-11 2002-05-24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 endurance amelioree
US6926054B2 (en) * 2001-07-20 2005-08-09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Anchoring of a tire carcass
JP2003127246A (ja) * 2001-10-29 2003-05-08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カーカスコードの貼付け装置
US20040154727A1 (en) * 2003-02-11 2004-08-12 Weissert James Thoma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cass plies for a tire
FR2870264B1 (fr) 2004-05-12 2006-07-14 Michelin Soc Tech Cable metallique pour pneumatique
JP4540452B2 (ja) * 2004-11-19 2010-09-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FR2948321B1 (fr) 2009-07-22 2011-11-18 Michelin Soc Tech Bandage pneumatique avec couche auto-obturante integree.
FR2948320B1 (fr) 2009-07-27 2011-07-29 Michelin Soc Tech Objet pneumatique pourvu d'une couche etanche aux gaz a base d'un elastomere thermoplastique et d'une charge lamellaire.
US8631846B2 (en) 2009-07-31 2014-01-2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neumatic tyre with built-in self-sealing ply
FR2949998B1 (fr) 2009-09-15 2011-10-07 Michelin Soc Tech Bandage pneumatique avec couche auto-obturante integree
FR2953760B1 (fr) 2009-12-14 2013-01-11 Michelin Soc Tech Bandage pneumatique avec couche auto-obturante integree
JP5432877B2 (ja) * 2010-11-10 2014-03-05 日本発條株式会社 テンションバランサ
FR2978447B1 (fr) 2011-07-29 2014-12-19 Michelin Soc Tech Composition d'elastomere pour objet pneumatique, a propriete auto-obturante
FR2989032B1 (fr) 2012-04-05 2015-04-10 Michelin & Cie Pneumatique et ensemble pneumatique-roue a mobilite etendue
FR2999988B1 (fr) 2012-12-20 2016-11-18 Michelin & Cie Ensemble pneumatique-roue a mobilite etendue
FR3002490B1 (fr) 2013-02-25 2015-03-27 Michelin & Cie Pneumatique auto-obturant comportant une armature de flanc supplementaire
WO2019229388A1 (fr) 2018-05-30 2019-12-05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Ensemble pneumatique-roue a mobilite etendue
JP6708230B2 (ja) * 2018-08-07 2020-06-1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1402A (en) * 1919-11-11 Method for making pneumatic tires
US852855A (en) * 1906-08-20 1907-05-07 Thomas Sloper Machinery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pneumatic tires.
US1349390A (en) * 1915-04-17 1920-08-10 James A Swinehart Process of making elastic vehicle-tires
US1328006A (en) * 1916-09-18 1920-01-13 Nelson W Mcleod Method of making pneumatic tires
US1259997A (en) * 1916-11-06 1918-03-19 Walter Kline Tire-cording machine.
US2139840A (en) * 1936-06-06 1938-12-13 Charles W Mckone Process of making pneumatic tires
US3183134A (en) * 1962-04-03 1965-05-11 Fairchild Hiller Corp Tire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US4072550A (en) * 1975-06-16 1978-02-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closed torus tire
US4052237A (en) * 1976-01-05 1977-10-0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losed torus tire
DE2653022C3 (de) * 1976-11-22 1979-09-20 Schroecker, Erika, Zuerich (Schwei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Rohlings für einen Radial-Gürtelreifen
GB1593761A (en) * 1977-01-11 1981-07-22 Dunlop Ltd Pneumatic tyres
US4206009A (en) * 1977-03-23 1980-06-03 Amf Incorporated Micro-computer and programmer for application of tire tread material
MX153272A (es) * 1978-09-08 1986-09-08 Lim Kunststoff Tech Gmbh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llanta neumatica mejorada
US4229246A (en) * 1978-12-18 1980-10-21 The Steelastic Company Building drum assembly
JPS56501356A (ko) * 1979-10-29 1981-09-24
IN157066B (ko) * 1980-10-16 1986-01-04 Bates W & A Ltd
IN157723B (ko) * 1980-10-16 1986-05-24 Bates W & A Ltd
US4685992A (en) * 1981-06-18 1987-08-11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adial tire
JPS5881151A (ja) * 1981-11-09 1983-05-16 Bridgestone Corp ラジアルタイヤのカ−カスバンド製造方法
EP0100335A1 (de) * 1982-02-11 1984-02-15 Janus Gmbh Gürtel- oder radialreifen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US4445962A (en) * 1982-07-01 1984-05-01 The B. F. Goodrich Company Tire building drum
US4584038A (en) * 1984-01-13 1986-04-22 Nrm Corporation Tire building method
DE3477157D1 (en) * 1984-11-23 1989-04-20 Goodyear Tire & Rubber Tire building d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66538B (es) 1993-01-15
TR22904A (tr) 1988-11-08
AU605043B2 (en) 1991-01-03
KR870009830A (ko) 1987-11-30
FI86524C (fi) 1992-09-10
YU130788A (en) 1990-06-30
ZA872928B (en) 1987-11-25
IE60067B1 (en) 1994-06-01
FR2597784B1 (fr) 1990-10-26
NO871725L (no) 1987-10-26
FI871815A (fi) 1987-10-26
PT84758A (fr) 1987-05-01
BR8701955A (pt) 1988-02-02
DK209587D0 (da) 1987-04-24
US4801344A (en) 1989-01-31
EG18202A (en) 1992-09-30
DK209587A (da) 1987-10-26
CN87103551A (zh) 1987-11-25
US4795523A (en) 1989-01-03
DK164734B (da) 1992-08-10
FR2597784A1 (fr) 1987-10-30
MA20958A1 (fr) 1987-12-31
ATE59333T1 (de) 1991-01-15
DE3767017D1 (de) 1991-02-07
JPH0698709B2 (ja) 1994-12-07
PH26493A (en) 1992-07-27
AU3620489A (en) 1989-09-28
AU588453B2 (en) 1989-09-14
FI871815A0 (fi) 1987-04-24
FI86524B (fi) 1992-05-29
ES2019596B3 (es) 1991-07-01
GR3001636T3 (en) 1992-11-23
NZ220078A (en) 1989-06-28
AU7194387A (en) 1987-10-29
IL82321A0 (en) 1987-10-30
CN1008715B (zh) 1990-07-11
JPH01110941A (ja) 1989-04-27
YU47011B (sh) 1994-11-15
IE871051L (en) 1987-10-25
EP0243851B1 (fr) 1990-12-27
OA08589A (fr) 1988-11-30
CA1311671C (fr) 1992-12-22
EP0243851A1 (fr) 1987-11-04
PT84758B (pt) 1989-12-29
DK164734C (da) 1992-12-28
NO871725D0 (no) 198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141B1 (ko) 타이어 보강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3237967B2 (ja) 芯型上で1本のコードからカーカス補強材を形成する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機械
US4952259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tire reinforcement
RU212038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шины и стан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иления верха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шины
KR100678661B1 (ko) 타이어용 카아커스 제작 방법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얻어진 카아커스
US7501033B2 (en) Chipper and apex subassembly as an intermediate article of manufacture
US6746557B2 (en) Bead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6160236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45677A (ko) 차량 바퀴용 타이어의 제조 방법
KR100691653B1 (ko) 차량바퀴용타이어
JP2004243770A (ja) 改良された、タイヤ用のカーカスプライ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29931B2 (ko)
US677353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s on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20130014878A1 (en) Pneumatic tire
US20060225828A1 (en) Bead construction method for a tire
US5185051A (en) Hook for use in an apparatus for making a tire reinforcement
US5861073A (en) Manufacture of carcass reinforcement for a tire using two carcass half-reinforcements
US6941992B2 (en) Tire for a vehicle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ire
US5374324A (en) Apexed bead for a tire
BR0207298B1 (pt) planta automática para produzir pneus, e, processo para produzir pneus.
EP1124699B1 (en) Carcass structure for vehicle-wheel tyres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EP047295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pexed bead ring
JPH11165359A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の製造方法
CN105383079A (zh) 制造双帘布层轮胎和轮胎胎体的方法
JPH11157306A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及びそのリム並びにその車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