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74B1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74B1
KR950007474B1 KR1019910010135A KR910010135A KR950007474B1 KR 950007474 B1 KR950007474 B1 KR 950007474B1 KR 1019910010135 A KR1019910010135 A KR 1019910010135A KR 910010135 A KR910010135 A KR 910010135A KR 950007474 B1 KR950007474 B1 KR 95000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
wall
equation
scrol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653A (ko
Inventor
다쯔시 모리
히사오 고바야시
유지 이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또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0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
제1도 내지 제4도는 고정 스크롤과 가동 스크롤과의 접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외벽 곡선 및 내벽 곡선의 작성을 설명하기 위한 곡선도.
제8도 및 제9도는 양 스크롤의 내외벽 곡선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 스크롤 2 : 가동 스크롤
E1 +, E2 +: 외벽 곡선 E1 -, E2 -: 내벽 곡선
D+: 곡선 C1: 기초원
θ : 신장 개방각 r : 공전 반경
l3: 법선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 공기 조절 장치에 사용되는 스크롤형 압축기(scrolltype compressor)에 설치된 스크롤의 벽면 형상(geometrical shape of a spiral body)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스크롤형 압축기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크롤 벽의 박형화가 있지만, 스크롤이 변동하는 압축 반력을 받고 있고, 피로 파손되기 쉬운 과혹한 상황하에 있으며, 특히, 시단부(start area)가 가장 큰 압력하에 놓여지기 때문에 강도적으로 가장 약한 부분이 되므로, 시단부의 벽 두께를 얇게 할 수는 없다.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가동 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의 어느것도 외벽 및 내벽의 곡선은 인벌류트 곡선(involute curve)이고, 양 스크롤의 벽 두께는 시단부에서 종단부(end area)에 걸쳐 일정하다. 그 때문에 벽 두께는 시단부에서 종단부에 걸쳐 시단부의 두께에 맞추지 않으면 안되고, 스크롤 벽의 박형화가 불가능하였다.
일본 특개소 60-98186호 공보에서는 가동 스크롤의 벽두께가 종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얇아져 가고 이에 따라서 고정 스크롤의 벽두께로 종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껍게 해가는 것처럼 한 스크롤형 압축기가 기재되어 있다. 외벽 곡선 및 내벽 곡선은 모두 인벌류트 곡선인데 외벽 곡선의 기초원은 내벽 곡선의 기초원에 비해 작은 직경이다. 이와 같이 지름이 다른 기초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가동 스크롤 벽의 두께가 종단부측으로 갈 수록 얇아진다. 가동 스크롤 벽두께의 감소와 고정 스크롤의 벽 두께의 증대와는 서로 보상(compensation)되는 관계이고 이러한 보상에 의해 가동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과의 미끄럼 접합을 충족시키면서 공전 가능하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에 의하면 가동 스크롤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시단부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역으로 고정 스크롤의 중량이 증가하여 압축기 전체의 경량화는 불가능하다. 또, 외벽 및 내벽의 곡선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인벌류트 곡선이고, 그 때문에 압축기의 소형화에 이어지는 스크롤의 축소 및 경량화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압축기 전체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형상의 스크롤을 갖춘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인벌류트 곡선상의 신장 개방각(伸開角)위치에서 신장 개방선의 방향으로 신장 개방각의 증대에 따라 감소된 위치의 곡선을 가동 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의 외벽 곡선으로 하고, 외벽 곡선상의 신장 개방 위치를 그 법선 방향 또는 이것에 근사한 방향으로 가동 스크롤의 공전 반경치(公轉半經分)만큼 이동함과 함께, 이동된 신장 개방각 위치의 곡선을 인벌류트 곡선의 기초원의 중심점의 점대칭 위치로 옮긴 점대칭 곡선을 양 스크롤의 내벽 곡선으로 했다.
[작용]
종래 스크롤의 외벽 곡선이 되는 외측 인벌류트 곡선상의 신장 개방각 위치를 그 법선 방향 또는 이것에 근사한 방향으로 가동 스크롤의 공전 반경치 만큼 이동함과 함께 이동신장 개방각 위치의 곡선을 외측 인벌류트 곡선의 기초원의 중심점의 점대칭으로 위치한 곡선이 내벽의 인벌류트 곡선이 된다.
본 발명의 외벽 곡선은 신장 개방각의 증대에 따라 외측 인벌류트 곡선에서 내측으로 서서히 멀어져간다. 이것에 의해 양 스크롤의 지름이 인벌류트 곡선 채용의 스크롤 보다도 작아진다. 본 발명의 내벽 곡선도 신장 개방각의 증대에 따라 내측 인벌류트 곡선에서 내측으로 서서히 멀어져 가는데, 내벽 곡선과 내측 인벌류트 곡선과의 떨어진 정도는 외벽 곡선과 외측 인벌류트 곡선과의 떨어진 정도 보다도 작고, 이것에 의해 스크롤의 벽두께가 신장 개방각의 증대에 따라 얇아져 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고정 스크롤(1) 및 가동 스크롤(2)의 접합 상태를 나타내고, 각 도면은 도면번호 순서로 가동 스크롤(2)의 공전각 90° 간격의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 스크롤(2)의 공전(orbital motion)에 의해 복수개의 밀폐 공간 S1, S2, S3, S4가 서서히 축소되어 가고 가스 압축이 행해진다. 제2도에서는 공간 S1, S2가 배출구(3)에 연통되어 있고,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S1, S2내의 압축 가스의 배출이 행해진후에는 다음의 밀폐 공간 S3, S4가 연통되고, 이 연통공간내의 압축 가스의 배출이 행해진다.
고정 스크롤(1)의 외벽 곡선 E1 +및 내벽 곡선 E1 -동 스크롤의 외벽 곡선 E2 +및 내벽 곡선 E2 -는 종래의 인벌류트 곡선과는 다른 곡선이 채용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양 스크롤(1,2)의 벽 두께는 모두 종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얇아진다.
제5도의 실선 곡선은 고정 스크롤(1)의 외벽 곡선 E1 +를 나타내고 쇄선 곡선 D+는 x-y 좌표의 원점 O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A의 기초원 C1에서 생성되는 인벌류트 곡선이다. 인벌류트 곡선 D+의 시단부는 x축 상의 점 P1에 설정되어 있다. R은 가동 스크롤(2)의 공전 반경 r을 반경으로 하는 원이다.
인벌류트 곡선 D+는 식(1)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1]
x2+y2=A2+A2θ2…………………………………………………………… (1)
θ는 신장 개방각이고, 제5도의 점 P2는 기초원 C1상의 신장 개방각 θ의 위치를 나타낸다. 식(1)에 있어서 Aθ는 점 P2를 지나는 접선 L1과 인벌류트 곡선 D+와의 교점 P3와, 점 P2와의 거리로 나타내는 신장 개방선의 길이이다. 인벌류트 곡선 D+의 신장 개방선의 길이 L0(θ)는 식(1')로 나타내진다.
[수학식1']
L0(θ)=Aθ…………………………………………………………………… (1')
외벽 곡선 E1 +은 식(2)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2]
x2+y2=A2+(Aθ-Bθn)2…………………………………………………… (2)
B는 양의 정수, n은 2이상의 차수를 나타낸다. 식(2)에 있어서 (Aθ-Bθn)은 접선 l1과 외벽 곡선 E1과의 교점 P4와, 점 P2와의 거리를 나타낸다. 즉, Bθn은 점 P3와 점 P4와의 거리를 나타내고 외벽 곡선 E1 +는 신장개방선에서 Bθn을 감소시켜 얻을수 있는 곡선이다. 외벽 곡선 E1 -는 신장 개방각 θ의 증대에 따라 인벌류트 곡선 D+에서 내측으로 서서히 멀어져간다.
제6도 곡선(D+, E1 +)은 인벌류트 곡선 D+또는 외벽 곡선 E1 +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l2는 신장 개방각 θ에 대응하는 접선 l1과 곡선(D+, E1 +)과의 교점 P3,4에 있어서 곡선(D+, D1 +)의 접선, l3는 점 p3,4에 있어서 곡선 (D+, E1 +)의 법선으로 한다. 곡선 (D, E1)은 점 P3,4를 법선 l3를 방향으로 공전 반경 r과 같은 거리만큼 이동한 점 P5가 모인 것이고, 곡선(D+, E1 +)의 시단부점 P1은 P6으로 이동된다.
법선 l3방향의 거리 r의 x성분을 ax,y성분을 by라 하면, r은 식(3)으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3]
r2=ax2+by2………………………………………………………………… (3)
점 P5의 좌표를 (X, Y)로 한 경우, X와 x, 및 Y와 y와는 식(4)로 연결된다.
[수학식 4]
X-x=ax
Y=y=by……………………………………………………………………… (4)
또, 점 P3,4(x,y)와 점 P5(X,Y)와의 사이에는 식(5)의 관계가 있다.
[수학식 5]
r2=(X-x)2+(Y=y)2………………………………………………………… (5)
식(4), (5)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6)을 얻을수 있다.
[수학식 6]
X2+Y2=x2+y2+r2+2(xax+yby) …………………………………………… (6)
x 및 y는 식(7)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7]
x= A cosθ+Aθ sinθ
y=-Aθ cosθ+A sinθ …………………………………………………… (7)
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선 l3와 y축과의 각도를 β라 하면 ax및 by는 식(8)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8]
ax=rsinβ
by=rcosβ …………………………………………………………………… (8)
식 (6), (7), (8)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9)를 얻을수 있다.
[수학식 9]
X2+Y2=x2+y2+r2+2rA
[sinβ(cosθ+θsinθ)+cosβ(-θcosθ+sinθ)] ………………… (9)
곡선(D+, E1 +)이 인벌류트 곡선 D+의 경우에는 법선 l3는 접선 l1에 일치한다. 이것은 이하와 같이 나타낸다.
기초원 C1상에 있어서 신축 개방각 θ의 위치 P2의 좌표를 (x0, y0)이라 하면, 접선 l1의 기울기 dy0/dx0는 식(10)으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10]
dy0/dx0(y-y0)/(x-x0) …………………………………………………… (10)
x0=Acosθ, y0=Asinθ 및, 식(7)으로부터 식(10)은 식(11)으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11]
dy0/dx0=-1/tanθ …………………………………………………………… (11)
식(1)을 x로 미분하면 다음과 같은 식(12)를 얻을수 있다.
[수학식 12]
x=ydy/dx=A2θdθ/dx …………………………………………………… (12)
또 식 (7)의 x를 θ로 미분하면 다음과 같은 식(13)을 얻을수 있다.
[수학식 13]
dx/dθ=AθCOSθ ………………………………………………………… (13)
식(12), (13)으로부터 접선 l2의 기울기 dy/dx가 다음과 같은 식(14)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14]
dy/dx=(A/cosθ-x)/y …………………………………………………… (14)
식(14)에 식(7)을 대입하면 식(15)를 얻을수 있다.
[수학식 15]
dy/dx=tanθ ………………………………………………………………… (15)
식(15)는 접선 l1과 접선 l2가 직교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곡선(D+, E1 +)이 인벌류트 곡선 D+의 경우에는 식(11)에서 법선 l3및 접선 l1의 기울기가 일치하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cosβ=cosθ, sinβ=-sinθ로 둘 수가 있고, 식(9)는 식(16)이 된다.
[수학식 16]
X2+Y2=x2+y2+r2+2rA[-sinθ(cosθ+θsinθ)+cosθ(-θcosθ+sinθ)] ……………………………………………………………………………………… (16)
식(16)은 식(17)이 된다.
[수학식 17]
X2+Y2=x2+y2+r2-2rAθ ………………………………………………… (17)
식(1), (17)에서 식(18)을 얻을수 있다.
[수학식 18]
X2+Y2=A2+A2θ2r2-2rAθ ……………………………………………… (18)
r=Aα라 하면, 식(18)은 식(19)가 된다.
[수학식 19]
X2+Y2=A2+A2(θ-α)2…………………………………………………… (19)
즉, 곡선(D+, E1 +)가 인벌류트 곡선 D+의 경우에는 곡선(D, E1)은 인벌류트 곡선 D가 되고 원점 O1을 중심으로 인벌류트 곡선 D+를 각도 α만큼 우회전 이동한 것이 된다. 종래의 인벌류트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내벽(제7도에 곡선 D-로 도시)은 기초원 C1의 원점을 중심으로 인벌류트 곡선 D를 점대칭 이동해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인벌류트 곡선 D+는 원점 D1을 중심으로 인벌류트 곡선 D를 각도(π-α)만큼 좌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얻을수 있다.
더우기, 법선 l3및 접선 l1의 기울기가 일치하기 때문에 인벌류트 곡선 d+의 외벽의 시단부점 P1(A,O)는 y축과 평행해서 인벌류트 곡선 D상의 점 P6(A, -r)로 이동하고 이점 P6(A, -r)은 원점 대칭이동에 의해 점 P7(-A, r)로 이동된다.
식(2)에 나타내어진 외벽 곡선 E1 +에 대응하는 내벽곡선 E1 -는 인벌류트 곡선의 외벽 D+에서 인벌류트 곡선의 내벽 D-를 만드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만들어진다. 즉, 외벽 곡선 E1 +를 법선 l3방향으로 공전 반경 r만큼 이동에서 곡선 E1을 만들고, 이 곡선 E1을 원점 대칭 이동시켜 내벽 곡선 E1 -가 만들어진다. 제7도의 점 P8은 곡선 E1상의 점 P5(X,Y)를 원점 대칭이동시킨 위치를 나타낸다
곡선 E1은 식(20)으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20]
(X-ax)2+(Y-by)2=A2+(Aθ-Bθn)2…………………………………… (20)
곡선 E1을 원점 대칭이동시킨 내벽 곡선 E1 -은 (21)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21]
(X-ax)2+(Y-by)2=A2+(Aθ-Bθn)2…………………………………… (21)
가동 스크롤(2)의 외벽 곡선 E2 +및 내벽 곡선 E2 -는 고정 스크롤(1)의 외벽 곡선 E1 +및 내벽 곡선 E1 +와 같은 곡선이다. 제8도는 고정 스크롤(1)의 외벽 곡선 E1 +와 가동 스크롤(2)의 내벽 곡선 E2 -와의 접합 상태, 및 고정 스크롤(1)의 내벽 곡선 E1 -와 가동 스크롤(2)의 외벽 곡선 E2 +와의 접합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 스크롤(2)의 내외벽 곡선 E2 -, E2 +는 고정 스크롤(1)의 내외벽 곡선 E1 -, E1 +를 원점대칭 이동시킨 후에 기초원 C1의 중심이 공전 궤적원 R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켜 얻을수 있다. 제8도의 원 C2는 외벽 곡선 E2 +의 기초원이다.
제8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진 것처럼 기초원 C2의 중심 O2가 공전 궤도원 R상의 점 P9(o, r)에 있는 경우, 가동 스크롤(2)의 외벽 곡선 E2 +의 시단부점 P10은 고정 스크롤(1)의 내벽 곡선 E1 -의 시단점 P7(-A, r)에 일치하고 가동스크롤(2)의 내벽 곡선 E2 -의 시단부점 P11은 고정 스크롤(1)의 외벽 곡선 E1 +의 시단 부점 P1(A,0)에 일치한다. 기초원 C2의 중심 O2를 점 P9(o, r)에서 공전 궤도원 R상을 각도 θ만큼 제8도의 실선 위치로 좌측으로 회전 이동한 경우, 직선 P2-O1과 직선 O1-O2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이 된다. 또, 실선의 기초원 C2의 신장 개방각 θ의 기초원 C2상에 있어서 위치를 P12라 하면 직선 O2-P12와 직선 O1-O2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이 된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1)의 외벽 곡선 E1 +상에 있어서 신장 개방각 θ의 위치 P4에 대응하는 가동 스크롤(2)의 외벽 곡선 E2 +상의 위치는 점 P13이 되는데 이 점 P13과 제7도 및 제8도의 고정 스크롤(1)의 내벽 곡선 E1 -상의 점 P8은 일치하지 않는다. 이것은 인벌류트 곡선 D+의 경우와는 달라 외벽 곡선 E1 +상의 점 P4에 있어서 법선 l3의 기울기가 접선 l의 기울기에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 P8, P13은 곡선 E1 -, E2 +의 접선 방향으로 약간 떨어질 뿐이고 법선 방향의 이격량은 극히 작다. 따라서, 제8도의 스크롤(1,2)은 점 P4, P13의 극근방에서 접해 있다고 볼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하와 같이 나타내진다.
식(2)의 Bθn의 X축 방향의 양을 △x, y축 방향의 양을 △y, 점 P13의 좌표를 (X,Y)로 하면 식(22)의 관계가 있다,
[수학식 22]
X=x-△x
Y=y-△y …………………………………………………………………… (22)
접선 l4의 기울기는 -1/tanθ이므로 △x, △y는 식(23)으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23]
△x=Bθn·sinθ
△y=-Bθn·cosθ ………………………………………………………… (23)
식(2)의 x,y를 X, Y로 해서 X로 미분하면 식(24)를 얻을수 있다.
[수학식 24]
X+Y dy/dx=(Aθ-Bθn)(A-Bnθn-1)dθ/dX ………………………… (24)
식(24)에 식(22)를 대입시키면 식(25)를 얻을수 있다.
[수학식 25]
(x-Bθnsinθ)+(y+Bθncosθ)dY/dX
=(Aθ-Bθn)(A-Bnθn-1)dθ/dX ……………………………………… (25)
dX/dθ은 식(26)으로 얻을수 있다.
[수학식 26]
dX/dθ=dx/dθ-B(nθn-1sinθ+θncosθ)
=Aθsocθ-B(nθn-1sinθ+θncosθ) ………………………………… (26)
가령, n=2, θ=π인 경우에는 식(25), (26)로부터 식(27)를 얻을수 있다.
[수학식 27]
dY/dX=2B/(A-Bπ) ……………………………………………………… (27)
식(27)은 기초원 C2에 있어서 신장 개방각 θ가 π위치의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가령 A=0.5cm, B=0.001이라하면 dY/dX=0.004가 된다. 한편 식(15)에 의하면 dy/dx=0이 된다. 양자의 상이한 정도는 다른 신장 개방각 위치에서도 거의 같다. 즉, 점 P13에 있어서 접선과 점 P8에 있어서 법선이 이루는 각도를 △θ라 하면, △θ≒0.004가 된다. 따라서, 공전 반경 r을 1cm라 하면 점 P13과 점 P8은 접선 방향으로 0.004×1cm=0.004cm정도 떨어지고, 법선 방향에는 0.004 cm×0.004=0.0000 16cm정도 이격된다. 법선 방향에의 이격 거리 0.000016cm는 스크롤(1,2)의 벽면 형성의 오차 범위내이다. 이것에 의해 계수 B를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가동 스크롤(2)의 공전 변위에 대해 고정 스크롤(10의 내외벽 곡선 E1 -, E1 +와 가동 스크롤(2)의 내왹져 곡선 E2 -, E2 +가 실질적으로 항상 접촉 상태에 있는 것처럼 할수 있다.
식(2)에 나타내진 외벽 곡선 E1 +는 식(28)으로도 나타내진다.
[수학식 28]
L1(θ)=Aθ-Bθn…………………………………………………………… (28)
또, 식(21)에 나타내진 내벽 곡선 E1 -는 식(29)으로도 나타낸다.
[수학식 29]
L2(θ)=A(θ-π)-B(θ-π)n……………………………………………… (29)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롤(1)의 벽의 두께 t를 내외벽 곡선 E1 -, E1 +의 기초원 C2의 접선 l4방향의 간격이라 하면 두께 t는 식(30)으로 나타내진다.
[수학식 30]
t(θ)=L1(θ)-L2(θ-π) …………………………………………………… (30)
n=2라 하면 식(30)은 식(31)이 된다.
[수학식 31]
t(θ)=Aπ-2Bθπ+Bπ2…………………………………………………… (31)
즉, 두께 t는 신장 개방각 θ의 증대에 따라 선형으로 감소해간다. n이 3이상이라도 두께는 신장 개방각 θ의 증대에 따라 감소되어 간다. 따라서, 고압하에 있는 양 스크롤(1,2)의 사단부측의 두께를 크게 해둠과 동시에 그다시 압력을 받지 않는 종단부측을 얇게 할수 있어, 압축기의 경량화를 도모할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스크롤(1)의 종단부가 신장 개방각 θ=11π/2정도로 되어 있는데, 고정 스크롤(1)의 반경을 신장 개방각 θ=11π/2의 경우의 신장 개방선의 길이라 하면 L1(11π/2)=8.337cm정도이고 인벌류트 곡선 D+의 경우는 L0(11π/2)=8.635cm정도이다. 이와 같이, 스크롤의 축소 직경도 달성되어 압축기의 콤팩트 화가 가능하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 곡선 E1 +의 시단부점 P1과 내벽 곡선 E1 -의 시단부점 P7과의 사이는 공전 궤도원 R내에 들어가지 않는 곡선 F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면 외벽 곡선에서 내벽 곡선을 만드는 경우, 외벽 곡선상의 점을 법선 방향에 근사적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가령 법선 방향 대신에 가장 개방선 방향으로한 경우에도 계수 B의 적정 설정에 의해 정밀하게 접하는 내외벽 곡선을 만들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술된 본 발명은 인벌류트 곡선상의 신장 개방각 위치에서 신장 개방선의 방향으로 신장 개방각의 증대에 따라 감소된 위치의 곡선을 양 스크롤의 외벽 곡선으로 하고 이 외벽 곡선상의 신장 개방 각 위치에 있어서 법전 방향, 또는 이것에 근사한 방향으로 가동 스크롤의 공전 반경치 만큼 신장 개방각 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된 신장 개방각 위치의 곡선을 인벌류트 곡선의 기초원 중심점의 점대칭 위치에 옮긴 점대칭 곡선을 양 스크롤의 내벽 곡선으로 했기 때문에 신장 개방각이 증대함에 따라 스크롤의 벽두께가 감소되어 감과 동시에 스크롤 지름도 감소되고, 가동 스크롤의 공전 위치에 관계없이 양 스크롤의 내외벽의 접촉을 유지한다는 압축 작용의 보장하에 압축기의 콤팩트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1. 고정 스크롤과 상기 공정 스크롤에 대향해서 자전이 불가하면서 공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스크롤과의 사이에 가동 스크롤의 공전을 바탕으로 용접 감소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인벌류트 곡선상의 신장 개방각 위치에서 신장 개방선 방향으로 신장 개방각의 증대에 따라 감소된 위치의 곡선을 양 스크롤의 외벽 곡선으로 하고, 상기 외벽 곡선상의 신장 개방각 위치에 있어서의 법선 방향 또는 그 근사 방향으로 가동 스크롤의 공전 반경치 만큼 신장 개방각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 이동 신장 개방각 위치의 곡선을 인벌류트 곡선의 기초원의 중심점의 점대칭 위치에 이동시킨 점대칭 곡선을 양 스크롤의 내벽 곡선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19910010135A 1990-09-13 1991-06-19 스크롤형 압축기 KR950007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536490A JP2892799B2 (ja) 1990-09-13 1990-09-13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45364 1990-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53A KR920006653A (ko) 1992-04-27
KR950007474B1 true KR950007474B1 (ko) 1995-07-11

Family

ID=1713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135A KR950007474B1 (ko) 1990-09-13 1991-06-19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51020A (ko)
JP (1) JP2892799B2 (ko)
KR (1) KR950007474B1 (ko)
DE (1) DE413039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867B1 (ko) * 1991-12-20 1999-01-15 가나이 쯔또무 스크롤형 유체기계, 스크롤부재 및 그 가공방법
JP2910457B2 (ja) * 1992-09-11 1999-06-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流体機械
DE4234055C2 (de) * 1992-10-09 1994-09-08 Danfoss As Spiralkompressor
US5342184A (en) * 1993-05-04 1994-08-30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sound attenuation
US5836752A (en) * 1996-10-18 1998-11-17 Sanden International (U.S.A.), Inc. Scroll-type compressor with spirals of varying pitch
US6171086B1 (en) 1997-11-03 2001-01-09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pressure equalization groove
CA2287444A1 (en) * 1998-04-08 1999-10-21 Keiji Yoshimura Scroll fluid machinery
KR100393566B1 (ko) * 2000-10-25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WO2005038256A1 (ja) * 2003-10-17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CN102852795A (zh) * 2012-10-11 2013-01-02 南京银茂压缩机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用变径型线涡旋盘
KR102481368B1 (ko) 2016-04-26 202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319B2 (ja) * 1981-07-16 1985-08-26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ル型圧縮機
US4490099A (en) * 1980-10-03 1984-12-25 Sanden Corporation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thickened center wrap portions
US4382754A (en) * 1980-11-20 1983-05-10 Ingersoll-Rand Company Scroll-type, positiv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diverse clearances between scroll elements
JPS6098186A (ja) * 1983-11-04 1985-06-01 Sanden Corp スクロ−ル型圧縮機
JPS60252102A (ja) * 1984-05-30 1985-12-12 Hitachi Ltd スクロ−ル流体機械
JPS6463680A (en) * 1987-09-03 1989-03-09 Toshiba Corp Scroll 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30393A1 (de) 1992-03-19
JPH04124483A (ja) 1992-04-24
DE4130393C2 (de) 1993-12-16
KR920006653A (ko) 1992-04-27
JP2892799B2 (ja) 1999-05-17
US5151020A (en) 199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474B1 (ko) 스크롤형 압축기
US4645437A (en) Scroll compressors with annular sealed high pressure thrust producing member
KR970003259B1 (ko) 스크로울 압축기
KR0125462B1 (ko) 스크롤형 유체 기계
US4303379A (en) Scroll-type compressor with reduced housing radius
EP0010402B1 (en) Improvements in scroll-type compressor units
US4558997A (en) Scroll compressor with planar surfaces on the internal end portions of the scroll blades
KR0161996B1 (ko) 스크롤형 압축기
US7244114B2 (en) Scroll compressor
KR20020066968A (ko) 원형 내부 보어를 구비한 슬라이더 블록을 갖는 스크롤압축기
US5174739A (en) Scroll-type compressor with eccentricity adjusting bushing
JPH0861257A (ja) 密閉型電動スクロール圧縮機
CN100366907C (zh) 非对称涡旋压缩机
JP385118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自転防止装置
US5562434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optimized tip seal grooves
US4753583A (en) Scroll type fluid compressor with high strength sealing element
US6527527B2 (en) Scroll compressor
US6443719B1 (en) Easy-manufacture oldham coupling
JP2586093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7301101A (ja)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JPS60182382A (ja) スクロ−ル圧縮機
JP3233125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H0610855A (ja) スクロール型コンプレッサ
JPH0610856A (ja) スクロール流体装置
KR20220077944A (ko)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