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467B1 -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467B1
KR950005467B1 KR1019910024087A KR910024087A KR950005467B1 KR 950005467 B1 KR950005467 B1 KR 950005467B1 KR 1019910024087 A KR1019910024087 A KR 1019910024087A KR 910024087 A KR910024087 A KR 910024087A KR 950005467 B1 KR950005467 B1 KR 95000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icon
forming
space
insulating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984A (ko
Inventor
김익년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467B1/ko
Publication of KR93001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제1도∼제6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
제7도는 노드 콘택의 평면도.
제8도는 제6도의 VI-VI 단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기판 2 : 워드라인
3 : 비트라인 4 : 제1산화막
5 : 질화막 6 : 제1폴리실리콘층
7 : 제2산화막 8 : 제2폴리실리콘층
9 :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 10 : 절연막스페이스
11 :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 12 : 폴리실리콘기둥
본 발명은 반도체 디램(DRAM)소자의 스택 캐패시터(stack capacitor)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64M(mege)디램 이상의 고집적 소자에 적당하도록한 디램 소자의 다수 수직저장전극을 가진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좁은 면적에서 디램셀의 캐패시터 용량을 증가시켜서 고집적도를 달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캐패시터 용량 증가의 한가지 방법으로 다수의 수직 노드(node)를 가진 스택 캐패시터를 들 수 있는데, 이 다수수직적층저장전극을 만들기 위해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고 저장전극간의 격리를 위하여 최소선폭 이상으로 좁혀서 캐패시터 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간편한 공정으로 다수 수직저장전극을 형성하고 최소선폭 이상으로 캐패시터 면적을 확장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워드라인(word line)과 비트라인(bit line)을 형성시킨 후에, 그 상면에 제1절연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제1절연막을 선택식각하여 노드용 콘택홀(contact hall)을 형성시키고, 그 상면에 제1폴리실리콘(polysilicon)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제1폴리실리콘층의 상면에 제2절연막을 형성시키고, 콘택홀영역을 선택식각하고, 그 상면에 제2폴리실리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제2폴리실리콘층을 에치백하여 제2절연막의 양측면에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space)를 형성시키고, 제2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의 양측면에 절연막스페이스를 형성시키고, 그 상면에 제3폴리실리콘층을 형성시키고, 에치백하여 절연막스페이스의 외측면에는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를 형성시키고, 절연막스페이스의 내측의 제1폴리실리콘층상에는 폴리실리콘기둥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절연막스페이스를 제거하고, 제1폴리실리콘층과,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 폴리실리콘기둥의 표면에 유전체막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플레이트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제6도까지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이고, 제7도는 노드 콘택의 평면도이고, 제8도는 제6도의 VI-V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상(1)에 워드라인(2)과 비트라인(3)을 형성시킨 후에, 제1절연막으로 제1산화막(SiO2)(4)과 질화막(Si3N4)(5)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킨다.
그 후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전극용 콘택(STORAGE NODE CONTACT)형성부위를 사진식각하여 노드용 콘택홀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는 콘택홀을 채우면서 제1폴리실리콘층(6)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제1폴리실리콘층(6)의 전면에 제2절연막으로 화학기상증착법으로 두꺼운 제2산화막(7)을 형성시키고, 그 상면에 제1수직저장전극을 만들기위한 마스킹작업을 최소선폭으로 노드콘택홀이 형성된 부위의 바로위에 실시한 후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산화막(7)을 선택식각시키고, 그 상면에 제1수직저장전극용인 제2폴리실리콘층(8)을 형성시킨다. 이때, 제1수직저장전극을 만들기 위한 마스크의 오픈사이즈(open size)는 각 셀의 저장전극을 격리하기 위한 최소사이즈가 되게한다. 이 사이즈는 각 디바이스의 최소 픽쳐사이즈 이하의 값을 갖는다.
그 후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폴리실리콘층을 에치백하여 제2산화막(7)의 양측면에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9)를 형성시키고, 제2산화막을 제거하여, 제1폴리실리콘층(6) 콘택홀 부위의 상면에는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9)만 낳도록 한다.
그리고,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만 남은 제1폴리실리콘층상에 제3절연막을 형성시키고 에치백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의 양측면에 절연막스페이스(10)를 형성시킨다.
이어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의 양측면에 절연막 스페이스를 형성시킨 제1폴리실리콘층의 상면에 제3폴리실리콘층을 형성시키고 에치백하여, 절연막스페이스의 외측면에는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11)를 형성시키면서, 절연막스페이스의 내측의 제1폴리실리콘층상에는 폴리실리콘기둥(12)을 형성시킨 후에, 절연막스페이스를 제거한다.
그 후에는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 폴리실리콘기둥의 표면에 유전체막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플레이트전극을 형성하여 스택 캐패시터를 형성하고 반도체 메모리소자를 완성하여 간다. 이때, 제1 및 제2수직전극용인 제1 및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를 형성시킨 후에, 상술한 제1 및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의 형성과정을 두번이상 반복하여 다수의 수직 저장전극을 형성시키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택캐패시터 제조방법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저장전극을 노드콘택위에서부터 형성하므로 각 셀의 저장전극사이(길이 L)가 최소선폭이하(길이 ι)까지 좁힐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노드콘택위에서부터 제일 외각에 있는 수직저장전극부터 형성하였으므로 각셀의 저장전극사이(길이 L)가 장비의 최소선폭이하(길이 ι)로는 줄일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절연층이 형성되는 한도까지 좁힐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의 단면구조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9)와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 (11)로 형성시킨 저장전극층이 이중 실린더(cylinder)형태를 가지며,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9)로 형성시킨 내측 실린더의 중앙에는 폴리실리콘기둥(12)이 형성되어 있어 유전체막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서 캐패시터의 용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에서는 캐패시터의 다수수직적층전극 형성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저장전극 면적을 최소 선폭이상으로 넓혀서 형성할 수가 있어 캐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이 향상되고,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1) 반도체 기판상에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을 형성시킨 후에, 그 상면에 제1절연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2) 상기 제1절연막을 선택식각하여 노드용 콘택홀을 형성시키고, 그 상면에 제1폴리실리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3) 상기 제1폴리실리콘층의 상면에 제2절연막을 형성시키고, 콘택홀영역을 선택식각하고, 그 상면에 제2폴리실리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4) 상기 제2폴리실리콘층을 에치백하여 상기 제2절연막의 양측면에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5) 상기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의 양측면에 절연막스페이스를 형성시킨 후에, 전면에 제3폴리실리콘층을 형성시키고, 에치백하여 상기 절연막스페이스의 외측면에는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절연막스페이스의 내측에는 폴리 실리콘기둥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6) 상기 절연막스페이스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제1폴리실리콘층과, 제1폴리실리콘스페이스,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서, 폴리실리콘기둥의 표면에 유전체막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플레이트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를 두번 이상 반복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형성시키는 제2폴리실리콘스페이스와 옆 셀의 제2폴리실리콘 스페이스로 형성시킨 저장전극사이(길이 L)가 최소선폭이하(길이 ι)로 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19910024087A 1991-12-24 1991-12-24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5000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087A KR950005467B1 (ko) 1991-12-24 1991-12-24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087A KR950005467B1 (ko) 1991-12-24 1991-12-24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984A KR930014984A (ko) 1993-07-23
KR950005467B1 true KR950005467B1 (ko) 1995-05-24

Family

ID=1932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087A KR950005467B1 (ko) 1991-12-24 1991-12-24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506B1 (ko) * 2002-06-27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984A (ko) 199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5883A (en) Process for producing a stacked capacitor of a dram cell
US5403767A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torage electrode of DRAM cells
KR960005251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RU2194338C2 (ru)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денсаторами, образованными над и под транзистором ячейки памяти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940006587B1 (ko) 디램셀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5432116A (en)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apacitor
JPH1022476A (ja) 容量素子
JPH042615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187548A (en) Stacked capacitor of a dram cell with fin-shaped electrodes having supporting layers
JPH02312269A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89681B1 (ko) 노드접촉으로부터오프셋된다중원통형축적전극을갖는비트라인상부에캐패시터셀을구비한반도체메모리장치및제조방법
JPH11345944A (ja) Dramセル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68250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30008583B1 (ko) 스택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950005467B1 (ko) 반도체 소자의 스택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5976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S63197368A (ja)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5175452A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65375A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68335B1 (ko) 사진공정을 최소화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893913B2 (ja) 半導体メモリ
KR960013641B1 (ko) 디램셀의 저장전극 제조방법
KR100284132B1 (ko) 메모리 소자의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100233560B1 (ko) 디램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08640B1 (ko) 코어형트랜치캐패시터및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