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975B1 -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975B1
KR950003975B1 KR1019910023368A KR910023368A KR950003975B1 KR 950003975 B1 KR950003975 B1 KR 950003975B1 KR 1019910023368 A KR1019910023368 A KR 1019910023368A KR 910023368 A KR910023368 A KR 910023368A KR 950003975 B1 KR950003975 B1 KR 95000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lm
parts
mat
dra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296A (ko
Inventor
김광태
김익성
전광중
Original Assignee
제일합섬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합섬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제일합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975B1/ko
Publication of KR93001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3/00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투명성 및 백색도가 우수한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우레탄수지, 실리카 및 산화티탄의 무기입자 아미노쿠아마린계 화합물 및 청색염료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도용 매트필름은 제도용 종이보다 기계적 강도, 칫수 안정성, 내후성, 필기성이 우수하여 항공, 조선, 자동차, 건설, 전자등 산업분야의 설계제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도용 매트필름의 일반적인 형태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필름표면에 얇게 코팅시킨 프라이머(primer)층, 실리카(SiO2), 카오린(Al2O3SiO22H2O), 알루미나(Al2O3), 산화티탄(TiO2), 황산바륨(Ba2SO4)등 무기입자를 함유한 매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으로는 일본특공소 45-10834호 및 특개소 50-8347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필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모래를 고속으로 필름표면에 투사시키는 샌드블라스트법(Sand blast)과 미국특허 제34974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매로 필름표면을 부식시키는 에칭법(Etching)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샌드블라스트법은 연필에 대한 필기성은 우수하나 제도잉크에 대한 필기성이 부족하여 투사기 마모 및 불균일한 매트면이 생성되고, 에칭법은 필름표면의 조면화가 약하며 불균일하기 때문에 연필 및 제도잉크의 필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카, 카오린, 알루미나, 산화티탄등의 무기입자를 함유한 바인더를 필름에 도포하는 케미컬 코팅법(chemical coating)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영국특허 제l047697호, 제13353958호, 미국특허 제3627563호등에서는 비닐리덴클로라이드공중합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례이토,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수성 수지에 무기입자를 혼입시켜 지지필름과 때트층간의 접착력 및 연필 필기성, 소거성이 우수한 제도용 매트필름이 제조되었고, 일본특공소 45-20394호, 특공소 47-18296호, 특공소50-1152호, 특개소54-97684흐, 특개소57-159649호, 특개소60-6460호, 특개소61-40197호에서는 셀룰로오즈, 피로리돈, PVA, 젤라단, 카제인, 알부민등의 친수성 수지를 매트층에 혼입시키거나, 소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에 친수성 수지가 함유된 매트층 위에 오버코팅시키므로써 제도잉크에 대한 필기성을 향상시켰으나, 제도잉크에 대한 선명도 및 투명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매트필름에서 나타난 상술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필 및 잉크에 대한 필기성이 우수한 동시에 선명도 및 투명도를 높혀 복사시 제2원도의 화상이 선명한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의 양면 또는 일면에 무기입자 및 백도 향상제를 함유한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형성된 연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므로서, 지지필름과 매트층간의 접착력, 연필 및 제도잉크에 대한 필기성 및 매트층의 내용제성이 우수한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체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즈트리아세테이트등이 있는데 이중에서도 칫수안정성, 내열성 등의 기계적 강도, 열적 성질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80중량% 이상 함유한 중합체를 이축연신시킨 것이며, 두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20∼200㎛정도가 적당하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75% 이상의 것이 좋으며, 매트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코로나 처리 또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코팅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좋다.
매트층으로 사용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제조된 것이다. 여기서, 폴리올 수지로는 1분자중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고분자 물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양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아크릴 수지등이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독일 바이엘사의 데스모펜 800,1300,1100,650,670,690, 다께다 화학의 다께락 UA-702, 대일본 화학 공업사(Dic)의 에피크론 730, 히다찌 화학의 히타로이드 3008,3080,3088등이 있다. 이들중에서 특히 아크릴계수지가 적당한데, 아크릴계 폴리올 수지는 접착력, 표면경도, 내용제성 등이 우수해야 하므로 유리전이(Tg) 온도가 40∼75℃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50∼70℃인 아크릴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리전이 온도가 40℃ 미만인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사용하면 도막 경도가 낮고 건조성이 나쁘게 되며,유리전이 온도가 75℃를 초과하는 아크릴 플리올 수지를 사용하면 내충격성이 약하여 균열이 생기기 쉽고 필름이 접힐 때 백화현상이 일어나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분자쇄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지방족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프리폴리머가있다. 다이소시아네이트, 메틸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Bmette)유도체, 헥사메틸렌디이소이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어닥트체가 있으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트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 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어닥트체, 트리렌디이소시아네 이트의 삼량체, 트리 렌디 이소시 아네 이트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결합체등이 있다.
시판품으로는 독일 바이엘사의 데스모더 N75,HL,L,T,M,R, 미국 유니로얄의 바이렌 T,DDM, 일본폴리우레판 공업사의 미리오네이트 MT,MR,고로네이트 L,HL,2030,다께다 화학의 다께네이트 Dl02,D202,D110N,D140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지방족계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자외선에 의한 변색이 없으므로 특히 적합하다. 또 폴리올 수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비율은 각 성분의 종류, 지지필름의 종류에 따라 다소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NCO/OH 당량비로써 0.8∼2.0 특히,1.0∼1.6이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량이 과다하면 매트층의 전조성이 나쁘고, 접착성이 떨어지며 도막에 균열이 생기기 쉽고, 내충격성이 약하게 되고 생산기술상 어려운 점이 많으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량이 적으면 가교가 불충분하게 되어 매트층의 내용제성 및 접착성이 나쁘게 된다.
매트층에 사용된 매트제로서는 실리카, 카오린, 산화티단, 황산바륨 알루미나등의 무기입자분말등이 있으며, 경도가 우수하고 연필 및 제도잉크 필기성이 양호한 실리카와 백색도 조절이 용이한 산화티탄이 좋다.
실리카와 산화티탄의 비율은 SiO/TiO비로써 10/0.1∼10/2가 좋다. 만약,10/0.1를 초과하면 백색도가 낮게 되고, 10/2 미만이면 매트층의 투명성이 낮으며 딱딱하여 유연성이 떨어진다. 실리카는 평균입자경이 0.1∼10㎛인 것이 좋으며 일반 시판품으로서는 일본 후지네이비슨의 사이로이드 63,79,160,810,65,244,308,800,978,404,66,72,74,데구사의 OK 412, HK 400, TS l00, 타츠모리의 후지렉스 E-2, ZA-30,FF,X,Y-60, 크리스탈라이트 VX-S2, VX-FR, VX-S,5X, AA등이 있다.
매트층에 사용된 백도 향상제로서는 공명 이중결합을 갖는 유기화합물과 염료로 되어 있으며 백색도 및투명도를 높이면서 용해성이 우수한 아미노쿠아마린계 화합물과 청색 염료가 좋다.
매트층에 있어서,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매트제인 무기입자와의 비율은 매트제/폴리을 수지의 중량비로써 1/0 5∼1/20이 좋다. 만약 이 비율이 1/20 미만이면 때트층 표면의 조도가 낮아 연필에 의한 필기성 밋 소거성이 나쁘게 되고,1/0.5를 초과하면 지지필름에 대한 매트층의 접착력 및 도막강도가 저하된다.
매트층에 사용하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도막물성을 향상시킬 수있는데 이 경우 비닐공중합체의 첨가량은 매트층의 전체량중 30% 이하가 적당하다.
매트층의 매트제인 무기입자와 아미노쿠아마린계 화합물 및 청색염료로된 백도 향상제와의 비율은 매트제/백도 향상제의 중량비로써 100/0.05∼100/5이 좋다. 만약, 이 비율이 100/5 미만이면 백색도 및 투명성이 떨어지면,100/0.05를 초과하면 백색도는 향상되나 투명성이 저하된다. 또한, 아미노쿠아마린게 화합물과 청색염료의 비율은 아미노쿠아마린계 와합물/청색염료의 중량비로 100/0.5∼100/50이 좋다.
본 발명의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킨 후 매트제 및 백도 향상체를 첨가하여 초음파, 고속교반기, 볼밀, 샌드밀, 롤밀 등의 분산 수단으로써 분산시켜 코팅액을 제조한다. 이 코팅액을 플라스틱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메이어바 코터, 그라비아를 코터, 리버스롤 코터, 에어나이프등으로 도포두께 3∼10㎛되게 코팅하여 100∼180℃서 ∼2분간 건조후 40∼70℃에서 2일 이상 숙성시켜 완전히 경화시킨다.
폴리올 수지및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용매로서는 메틸에틸케톤,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콜아세테이트 모노에틸에테르, 부틸아세테이트, 톨루엔, 아세톤, 크실렌, 모노클로로 벤젠, 셀로솔브 시클로헥사논등의 수산기가 없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도용 매트필름은 종래의 매트필름에서 나타나는 연필 및 잉크제도의필기성, 소거성, 선명도 및 투명도를 향상시켜 제2원도 복사시 선명한 화상을 갖는 우수한 특성을 갖게 되었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븐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연필경도 시험은 JIS K5401에 의거하여 요시미쭈사의 연필경도 시험기로 평가하였으며, 지지필름과 매트층간의 접착력은 ASTM 3359에 의거하여 1mm 간격의 크로스커터로 매트층을 절단하여 셀로판 테이프로 접착후 90°로 박리시 매트층의 박리상태를 5단계로 평가하였다.
(5 : 박리되는 절취면이 없음 1 : 절취전면이 박리됨)
연필 필기성 및 소거성은 2H 연필로 필기한 후 고무지우개로 소거시 양호하게 필기 및 소거가 된 것을5, 필기 및 소거가 뷸량한 것을 1로 하여 5단계로 분류하였으며, 제도잉크에 대한 필기성 및 소거성은 휴렛트 페카드사의 CAD로 제도한 후 고무지우개로 소거시 양호하게 필기 및 소거가 된 것을 5, 필기 및 소거가 불량한 것을 1로 하여 5단계로 분류평가하였다 내용제성은 메틸에틸케톤을 적신면으로 매트층 표면을 마찰시켜 지지필름표면이 나타날 때까지 문지른 횟수로써 평가하였다.
투명도 시험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일본 전색사의 색차계로 측정하였으며, 백도시험은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각적인 평가를 하였다.
(○ : 우수, ▲ : 보통, × : 불량)
(실시예 1)
아크릴 폴리올수지(히다찌가세이 제품"히타로이드 3008") 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본 폴리우레탄 제품"고로네이트 HL") 33중량부 실리카(후지 데이비슨사 제품"싸이로이드 72") 21중량부, 산화티탄 1중량부,4-메틸-7-디에틸아미노쿠아마린0.03중량부, 염료(바스프사제품"파라닐블루")0.002중량부를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의 비율이 3/8로 조절된 혼합용매에 전체 고형분이 25%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한 매트액을 두께가 75㎛의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양면에 1㎕/m되도록 그라바이롤 코터로도포하여 1분간 가열건조후 70℃에서 1일간 숙성시켜 제도용 매트필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아크릴 폴리올 수지(히다찌가세이 제품"히타로이드 3008") 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본 폴리우레탄 제품"코로네이트 HL") 35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미국 UCC 제품"VAGH") ]0중량부, 실리카(후지 데이 비슨사 제품"싸이로이드 74") 25중량부, 산화티탄 1중량부,4-메틸-7-디에 틸아미노쿠아마린 0.04중량부, 염료(바스프사 제품"파라닐 블루") 0.003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의 비율이 3/8로조절된 혼합용매에 전체 고형분이 25%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한 매트액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도용 매트필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아크릴 폴리올 수지(히다찌가세이 제품"히타로이드 3008") 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본 폴리우레탄 제품"코로네이트 HL") 36중량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미국 LJCC사 제품"VAGH") 10중량부,실리카(후지 데이비슨사 제품"싸이로이드 72") 26중량부, 산화티탄 2중량부,6-아미노쿠아마린 0.07중량부및 염료(바스프사 제품"자폰 블루") 0.001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의 비율이 3/8로 조절된 혼합용매에 전체 고형분이 25%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된 매트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아크릴 폴리올 수지(히다찌가세이 제품"히타로이드 3008") 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본 폴리우레탄 제품"코로네이트 HL") 38중량부 니트로셀룰로오즈(아사히 가세이 제품"H-1/↗) 15중량부, 실리카(후지네이비슨사제품"싸이로이드72")29중량부, 산화티탄2중량부,3-페닐-7-아미노쿠아마린0.1중량부및 염료(바스프사 제품"자폰 블루") 0.005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의 비율이 3/8로 조절된 혼합용매에 전체 고형분이 25%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된 매트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설치하여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 폴리올 수지(히다찌가세이 제품"히타로이드 3008") 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본 폴리우레탄 제품"코로네이트 HL") 33중량부, 실리카(후지 네이비슨사 제품"싸이로이드 72") 26중량부, 산화티단 2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의 비율이 3/8로 조절된 혼합용매에 전체 고형분이 25%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된 매트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설치하여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아크릴 폴리올 수지(히다찌가세이 제품"히타로이드 3008") 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본 폴리우레단 제품"코로네이트 HL") 36중량부, 실리카(후지 네이비슨사 제품"싸이로이드 150") 26중량부, 및 산학티탄 1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의 비율이 3/8로 조절된 혼합용매에 전체 고형분이 25%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된 매트액을 사용한 것 이의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설치하여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 폴리올 수지(히다찌가세이 제품"히타로이드 3008") 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
네이트(일본 폴리우레탄 제품"코로네이트 HL") 36중량부, 니트로 셀룰로오즈(아사히 가세이 제품"H-1/2") 16중량부, 실리카(후지 데이비슨사 제품"싸이로이드 244) 28중량부, 밋 산화티탄 0.5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의 비율이 3/8로 조절된 혼합용매에 전체 고형분이 25% 되도록 희석하여 제조한 매트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포·건조·숙성시킨 후 젤라틴 12중량부, 글리옥실 0.5중량부, 물 60중량부, 메탄올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친수성 수지를 도포량이 1g/m되도록 그라비아롤 코더로 도포하고 건조후100℃서 1분간 경화시켜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밋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매트필름에 대한 접착력, 연필 및 제도잉크에 대한 필기성, 소거성, 내용제성, 연필경도, 가시광선 투과도 및 백도에 관한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 1]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제도용 매트필름은 접착력, 연필경도, 연필 및 잉크에 대한 필기성 뿐만 아니라 투명도 및 백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플라스틱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우레탄 수지 밋 무기입자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도용 매트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무기입자 100부에 대하여 아미노쿠아마린계 화합물과 청색염료의 혼합물을 고형분 중량%로 0.05∼5부 첨가하되 아미노쿠아마린계 화합물 100부에 대하여 청색염료를 고형분 중량%로0.5∼50부 첨가한 조성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10023368A 1991-12-18 1991-12-18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KR95000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368A KR950003975B1 (ko) 1991-12-18 1991-12-18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368A KR950003975B1 (ko) 1991-12-18 1991-12-18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296A KR930012296A (ko) 1993-07-20
KR950003975B1 true KR950003975B1 (ko) 1995-04-21

Family

ID=1932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368A KR950003975B1 (ko) 1991-12-18 1991-12-18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7098B2 (en) 2015-03-23 2018-11-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functionality of central processing unit co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68A (ko) * 2002-02-09 2003-08-19 주식회사 오광 폴리스티렌시트 코팅용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7098B2 (en) 2015-03-23 2018-11-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functionality of central processing unit 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296A (ko) 199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26179T2 (de) Laminierte Polyesterfolie
KR100992515B1 (ko)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A2438140C (en) Printable film and coating composition exhibiting stain resistance
DE69927202T2 (de) Polyesterfolie für Bildträger
TWI394809B (zh) An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yester-based film, and an optical film using the same
US6953624B2 (en) Printable film and coating composition exhibiting stain resistance
KR19990037318A (ko)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화상 매체
JP2002338718A (ja) 塗布フィルム
KR950003975B1 (ko)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JP2002127596A (ja) インク受理層用組成物、被記録材、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印刷物
KR920000617B1 (ko) 제도용 매트필름의 제조방법
JP2000336309A (ja) インク受像層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44693B1 (ko)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계 복합필름
KR20000056714A (ko) 접착성 고투명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JPH1177933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0109472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3722400B2 (ja) ポリエステル系写真印画紙用支持体の製造方法
KR100425411B1 (ko) 전자 복사용 매트 필름
JPH1152514A (ja) 写真印画紙用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0121434B1 (ko) PPC(Plain Paper Copy)용 매트 필름의 제조방법
JP2000326621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の受像層形成用組成物及び記録媒体
KR930009843B1 (ko) 제2원도용 디아조 필름의 제조방법
KR930008124B1 (ko) 제 2 원도용 디아조 필름의 제조방법
KR920000615B1 (ko) 제2원도용 디아조필름의 제조방법
JPH08122969A (ja) 写真印画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