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867B1 -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 Google Patents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867B1
KR950003867B1 KR1019920022693A KR920022693A KR950003867B1 KR 950003867 B1 KR950003867 B1 KR 950003867B1 KR 1019920022693 A KR1019920022693 A KR 1019920022693A KR 920022693 A KR920022693 A KR 920022693A KR 950003867 B1 KR950003867 B1 KR 95000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ircuit
enclosure
switchgear
circuit breake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034A (ko
Inventor
마사루 미야가와
노부오 마사끼
가즈히또 호리끼리
데쓰오 요시따
마사끼 이꾸따
다까후미 다까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또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또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1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1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resin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7Integrated apparatus for measur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Patch Board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제1도는 함체를 가상선으로 보인 본 발명의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스위치기어의 일부수직단면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에 보인 부분의 변형예의 일부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보인 부분의 또다른 변형예의 일부수직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제1도와 유사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스위치기어를 나타내는 제1도와 유사한 사시도.
제7(a)도는 종래의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의 개략 정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우측에서 본 개략측면도.
본 발명은 다단 진공회로차단기를 수용하고, 또한 절연가스가 봉입 내장된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metalenclosed type switch gear)에 관한 것이다.
진공회로차단기의 수직단들을 구비한 공지형의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는 연강판으로 차폐된 상자형상의 함체를 갖는다. 이 함체의 내부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수직다단의 인출기들이 구비되어 있다. 각 인출기들은 함체의 정면을 향해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고, 또한 제위치에 삽입될 수 있는 인출형의 고압진공회로차단기를 지지하고 있다. 각각의 진공회로차단기는 그의 뒤에 배치된 단절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진공회로차단기의 측면상에는 권선형 변류기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진공회로차단기는 그내에 진공밸브(vacuum valve)를 갖고 있으며, 또한 진공밸브내의 가동접점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기구를 그의 정면을 향해 구비하고 있다. 진공밸브와 작동기구간에는 절연벽이 개재되어 있다. 절연벽과 진공밸브간과 절연벽과 작동기구간에는 제작기 공기절연벽이 개재되어 있다.
종래의 그러한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진공회로차단기와 그에 상응하는 권선형 변류기가 그들간에 비교적 큰 공간간격을 두고 설치돼야 한다. 이는 장기간의 조작 서비스동안 그들의 외부표면상에 접착 또는 침착되는 먼지와 때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진공회로차단기내의 진공밸브와 그에 상응하는 작동기구간에는 절연벽과 공기절연층들이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이들 부품들간의 설치공간의 앞·뒤방향으로 크다. 결과적으로, 각 진공회로차단기는 앞·뒤방향으로 크기가 커진다.
그러한 이유때문에, 지금까지 공지된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는 함체의 외형이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있어 설치 바닥 면적이 커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서로 이격돼 있는 주요 회로장치와 작동기구간에 먼지와 검댕이 퇴적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먼지와 검댕이 제거는 노력이 많이 늘고, 관리작업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노동력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설치점유공간 증가없이 진공회로차단기의 수용 가능수를 증가시킨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진공회로차단기들이 함체내의 수직배열단들내에 수용돼 있고, 상기 진공회로차단기들에 접속되는 수직버스 바(bus bar)들이 상기 함체 내부의 후부에 설치돼 있는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격벽이 상기 함체내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를 설비실과 버스 바실(chambar)로 기밀방식으로 격리하고 있고; 상기 설비실의 일측상에 상기 진공회로차단기들이 설치돼 있고, 상기 버스바실내에 수직 버스 바들이 설치돼 있고; 상기 버스 바실내에 상기 각 진공회로차단기 후면에 접속된 가동측과 상기 수직버스 바들 각각에 접속된 고정측을 각각 갖는 단절기들이 설치돼 있고; 상기 진공회로차단기와 단절기를 개폐동작시키기 위해서, 상기 설비실내에 각 진공회로차단기에 밀접하게 설치된 작동기구가 설치돼 있고, 상기 버스 바실내에 절연가스가 봉입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의 제공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의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더욱 많은 수의 진공회로차단기들을 상기 함체내에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이 양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위하여 스위치기어들에 관한 종래기술의 일반적 특징, 수반되는 문제점, 한계를 제7(a)도와 제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수직 다단들내에 진공회로차단기들이 수용돼 있는 종래의 가스절연형 스위치기어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제7(a)도와 제7(b)도를 참조해 보면, 상기 스위치는 연강판에 의해 형성된 박스형 함체(41)내에 하우징(housing)돼 있다. 그의 정면에는 상기 함체(41)가 개폐용 도어 핸들(door handle)(46a)을 갖는 도어(4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함체(41)의 후면은 스크류들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 후벽판(도시안함)에 의해서 밀폐돼 있다.
상기 함체(41)의 내부에는 3개의 수직단내의 3개의 인출부(42a)가 설치돼 있다. 각 인출부(42a)는 인출과 밀어넣기가 자유로운 유형의 고전압 진공회로차단기(42)를 지지하고 있다. 각 진공회로차단기(42)의 후단부의 상측에 설치된 가동주회로단자(도시안함)가 상기 인출부(42a)의 상부의 고정주회로단자의 선단에 대한 단절스위치(49A)에 결합돼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각 진공회로차단기(42)의 후단부의 하측에 설치된 가동 주회로단자(도시안함)가 상기 인출부(42a)의 하측부의 고정 주회로단자의 선단에 대한 단절스위치(49B)에 결합돼 있다.
상기 단절 스위치(4B)는 상기 단절스위치(49A)와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함체(41)의 천장의 하면에는 동일한 이격간격으로 3개의 절연체들(45)이 고정되어,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다. 이들 절연체들(45)에는 상기 천장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밴드형 동판의 횡 버스 바(43)들이 각각 고정돼 있다. 상기 함체(41)의 후부에는 장착판(도시안함)에 각각 고정된 절연체들(도시안함)을 거쳐서 3개의 수직 버스 바(44)들이 설치돼 있다. 상기 수직 버스 바들(44)의 상단부들이 상기 횡버스 바들(43)에 각각 접속돼 있다.
상기 단절 스위치들(49A)에 결합된 고정 주회로단자들의 후단부들은 상기 수직 버스 바들(44)에 각각 결합돼 있다.
또한, 제7(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인출부(42a)의 우측면에는 권선형 변류기(51)가 설치돼 있다. 각 권선형 변류기(51)이 하부단자는 도체(52)를 거쳐서 각 인출부(42a)의 하측의 고정 주회로단자의 하단부에 접속돼 있다. 각 권선형 변류기(51)의 상단부는 제7(a)도에서 보았을 때 상기함체(41)의 설치 플로어(floor)의 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뻗은 케이블(50)의 상단부에 부착된 단자에 접속돼 있다. 각 케이블(50)은 상기 함체(41)의 우측에 설치된 케이블 지지체(47)에 의해 고정돼 있다. 각 케이블(50)이 통과되는 영(0)위상 변류기들이 상기 함체(41)의 저부에 설치돼 있다.
또한, 제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포함한 진공밸브(54)가 각 진공회로차단기(42)내에 설치돼 있다. 그의 정면에는 상기 진공밸브(54)내의 가동접점을 작동시키는 작동기구(55)가 설치돼 있다. 상기 진공밸브(54)와 작동기구(55)간에는 그 양측에 공기층이 구비된 절연벽(56)이 설치돼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스위치기어에서는 상기 설치된 진공회로차단기들(42)과 권선형 변류기들(51)과 같은 요소들간의 상호간격은 장기간 사용중 표면들상에 부착 또는 퇴적되기 쉬운 먼지와 분진을 고려해서 넓게 설정돼야 한다. 또한, 각 진공밸브(54)와 그의 대응하는 작동기구(55)는 그 사이에 절연벽(56)과 공기층들을 갖고 있다. 이런 이유로 상기 상호 간격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공회로차단기(42)자체의 전후 방향 치수가 커진다.
이런 이유로 각종 문제들이 발생한다. 상기 함체의 설치를 위한 플로어공간이 커질 뿐만 아니라 특히 악조건에서의 설치의 경우, 상기 주회로설비의 절연체의 표면들상의 먼지와 검댕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류측의 회로차단기들을 자주 단락시켜 로드(load)를 단절시킬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관리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로드의 조업율도 또한 저하된다. 그러므로 특히 지가가 매우 높은 도시지역의 수신 변전소에 설치하는 경우, 넓은 설치면적을 요구하는 상기의 스위치기어는 부적합해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호실시예들에 관한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한 것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스위치기어가 박스형 함체(1)를 갖고 있다. 이 함체는 그 정면측에 설비 박스(6)와 그 후면측이 버스 바박스(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박스들중에서 상기 설비박스(6)는 그의 정면도어(도시안함)을 갖고 있다.
상기 버스 바 박스(7)의 정면에는 격리판(5)이 설치돼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격리판(5)은 동등한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4개의 환상 개구부(5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개구부(5a)의 정면에는 상기 개구부(5a)의 변부 림(rim)의 정면상둘레에 끼워진 O-링(도시안함)에 의하여 기밀식으로 후술하는 진공회로차단기(2)가 설치돼 있다. 따라서 4개의 진공회로차단기(2)가 4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돼 있다. 각 진공회로차단기(2)의 하측에는 스루(through)형 변류기(11)가 브라켓(11b)에 의하여 격리판(5)상에 설치돼 있다.
각 진공회로차단기(2)는 진공밸브(16)를 갖고 있다. 상기 진공밸브(16)의 상부에는 하방으로 향한 고정접점(16c)을 갖는 상부단자(16a)의 선단부가 접속돼 있다. 상기 진공밸브(16)는 수직 중공 원통공을 갖는 접속전극(12)이 형성된 성단부의 정면측으로 뻗은 하부접점(16b)을 갖고 있다. 상기 접속전극(12)의 외주부는 절연 덮개로 덮혀서 케이블 접속자(15)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하부단자(16b)의 후부의 하측에는 절연작동봉(13)이 설치돼 있다. 상기 작동봉(13)은 그의 상단부가 가동접점(16d)에 결합돼 있다. 이 절연 작동봉(13)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작동기구에 결합된 커플러(coupler)(13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진공밸브(16), 상부단자(16a), 하부단자(16b) 및 접속전극(12)으로 된 각 그룹은 에폭시수지의 절연층(17)으로 일체로 주형성형돼 있다. 상기 절연층(17)의 외측면에 접지층(18)이 예를들어 도전도료도포, 동도금 또는 알미늄 용착등의 방법에 의해 설치돼 있다. 상기 접속전극(12)의 상부의 개구부에는 후술하는 기능을 하는 블라인드 플러그(blind plug)(19)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돼 있다. 상기 접속전극(12)의 하단부에는 접속관(도시안함)에 의하여 케이블(10)의 상단부가 접속돼 있다. 상기 케이블(10)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블(10)의 외장에 부착된 피팅(fitting)(도시안함)에 의해서 상기 접속전극(12)의 하부의 절연층(17)에 고정돼 있다. 상기 케이블(10)의 하단부는 상기 함체(1)에 대한 설치 플로어내에 형성된 케이블 피트(pit)(도시안함)내에 설치된 영 위상 변류기(11)를 통과한다. 상기 진공밸브(16)에서 단절 스위치(14)의 블레이트(blade)(14a)의 기부 또는 내측 단부는 상측단자(16a)의 후부에 선회가능하게 접속돼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단들내의 4개의 진공회로차단기(2)에 대한 케이블들(10)의 접속부들은 수평방향으로 교호로 설치돼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본 특개소 60-160309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T형상 부싱들(8)은 상기 함체(1)의 천장판위에 설치돼 있다. 상기 부시들(8)의 하부들은 상기 천장판을 하방으로 통과하고 있다.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T형 부싱들(8)이 상기 함체(1)의 천장의 정면좌측으로부터 후방우측으로의 대각선상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위치들에 설치돼 있다. 상기 T형 부싱들(8)의 하단부들에는 상기 함체(1)의 후방부에 수직 설치된 3개의 도체들(4)의 상단부들이 각각 접속돼 있다. 상기 함체(1)의 후면에 고정된 복수의 절연체(도시안함)에 의해서 각각 지지 및 위치 고정돼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접점들(14b)이 각 도체(4)의 정면에 고정되어 각 블레이트(14a)의 후부의 위치들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돼 있다. 상기 접점(14b)과 블레이트(14a)기 단절기(14)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설명과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격리판(5)은 수직열로된 4개의 개구부(5a)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각 개구부(5a)의 우측에는 다른 환상 개구부(제1도에 도시안함)가 상기 격리판(5)내에 형성돼 있다.
상기 환상개구부들 각각의 정면측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작동기구(3)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돼 있다. 이 작동기구(3)의 하부와 상부에는 대응 회로차단기(2)를 작동시키는 기구(도시안함)와 대응단절기(14)를 작동시키는 기구(도시안함)가 각각 수용돼 있다. 상기 회로차단기 작동기구의 외측의 링크(도시안함)는 상기 커플러(13a)에 결합돼 있다. 상기 단절기 작동기구의 출력측은 상기 단절기의 작동기구와 상기 진공회로차단기의 후방측의 격리판(5)의 배면상에 수평으로 설치된 링크기구(도시안함)의 우측(제1도에)에 결합돼 있다.
상기 링크기구의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14a)의 기부단부와, 제2도에 도시된 상측단자(16a)의 후단부에서 결합축에 결합돼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위치기어의 조립을 완료하면 버스 바 박스(7)의 내부를 예를들어 6불소화 황(SF6) 가스등의 절연가스로 채우고, 봉입한다.
다음, 상기 함체(1)부근에 설치된 동력수신을 위한 스위치기어 천장위의 T형 부싱들(도시안함)이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함체(1)의 상면상에 설치된 T형 부싱들(8)에 각각 접속돼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들(10)을 통하여 상기단절기들(14)과 진공회로차단기들(2)로부터 상기 로드(도시안함)로 전력이 공급된다.
로드출력시험과 루틴 검사를 위하여 내전압 시험과 절연저항 측정을 행한다.
이때, 각 케이블 접속자(15)의 상단부의 블라인드(blind)플러그(19)가 분리되고 접속용 케이블이 접속된다.
상기 진공회로차단기들(2)은 그의 외주부들이 절연층(17)으로 커버돼 있으므로, 수직방향의 이웃한 회로차단기들을 서로 밀접하게 설치하여 설치공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17)상의 접지층(18)은 설치공간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왜냐하면 상기 접지층(18)이 없으면 절연층(17)의 표면상에 전위가 발생되고, 이러한 전위는 절연층(17)과 접합요소간에 에어캡(air gap)을 형성해야하므로 공간의 증대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지층(18)은 작업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회로차단기(2)와 작동기구(3)가 서로 근접됨으로써 그들의 설치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좁은 플로어 영역의 함체내에 수용설치된 진공회로차단기들의 총수를 상기 함체(1)의 외형 크기를 증대시킴없이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비박스(6A)를 상기 버스 바 박스(7)의 후부에 상기 설비박스(6)에 대해 대칭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도체(4)를 공통버스 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 투 페이스(two face)관리형이 얻어지며 이것은 상기 버스 바 박스(7)의 공통 사용때문에 설치플로어 영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스위치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 스위치기어에서는 각 진공회로차단기(22)의 접속전극(12A)은 T형상의 케이블 접속기(25)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접속 전극(12A)의 상단부에는 분리가능 플러그(29)가 부착돼 있고, 이것은 상기 주회로 장치의 내전압시험치와 절연저항의 측정시에 접속기로서 사용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스위치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종단면도이다.
이 스위치기어에는 각 진공밸브(16)의 하부단자(16e)가 상기 절연층(17)으로부터 정면측으로 약간 돌출돼 있다.
상기 스위치기어내의 진공회로차단기(32)는 하부단자(16e)의 돌출부 둘레에 형성된 원추형 형상면압을 균등히 하기 위해 T형 부싱(35)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절연층(32A)를 갖고 있다. 전령층(32A)을 원추형 형상으로 한 이유는 절연파괴되지 않도록 T형 부싱(35)과 균등한 면압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이다. 따라서 T형 부싱(35)의 일측이 상기 진공회로차단기(32)의 정면측으로부터 상기 절연층(32A)에 결합된다. 이 경우, 시험을 위해서 블라인드 플러그(39)를 분리하고 케이블을 접속하는 작업을 상기 정면으로부터 행한다. 그러므로 시험용 케이블을 최상층단의 진공회로차단기에 접속시키는 매우 곤란한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가 제1도의 것과 다른 특징은 진공회로차단기(2)와 이와 결합된 작동기구(3)의 횡방향 위치순서가 상단으로부터 제2와 제3단에서 역전된 점이다.
즉 진공회로차단기(2)와 작동기구(3)를 포함한 쌍들의 위치가 매 1단마다 역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각 회로차단기(2)의 케이블 접속기(15A)로부터 하방으로 향한 케이블들(10)이 변류기(11)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단일 케이블로 결합돼 있다.
각 케이블 접속기(15A)의 각 블라인드 플러그(39)는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정면으로 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회로차단기들(2)이 좌우측에 배치돼 있다.
이런 이유로 상기 로드에 접속된 케이블들(10)은 좌·우측에 비치 또는 배열돼 있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블들(10)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스위치기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T형상 부싱들(8)이 설치돼 있는 버스 바 박스(7)가 상기 설비 박스(6)의 후부의 일측에 설치돼 있다. 상기 T형상 부싱들(8)은 전후방향으로 단일열로 배치돼 있다.
또한 각 진공회로차단기(2)는 함께 쌍을 이루고 있는 작동 기구의 후부에 설치돼 있다. 상기 블라인드 플러그(39)가 진공회로차단기(2)의 수평방향에서 옆을 향하도록 케이블 접속기(15B)가 설치돼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양호 실시예들은 내부 수용된 회로차단기들이 진공회로차단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로차단기들은 진공접촉기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판(5)을 Z형으로 구부려서, 상기 작동기구(3)의 장착면을 톱니모양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의 절연 내력이 3~4배의 절연가스(SF6)를 사용하는 한편 공기의 절연내력의 10~20배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해서 절연하기 때문에 소형화 및 절연내력 향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회로 설비의 접지(땅)와 충전부간의 내전압 특성이 향상되고 또한 상기 주회로설비간의 내전압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주회로 설비의 각 부품간의 설치 간격이 감소된다. 이런 이유로 상기 스위치기어의 함체 구조에 의해서 점유된 플로어 영역이 감소된다.
그 결과,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의 관리가 용이하고 금속함체의 외형의 증대없이 더 많은 수의 진공회로 차단기를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진공회로차단기들이 함체내의 수직배열단들내에 수용돼 있고, 상기 진공회로차단기들에 접속되는 수직버스 바들이 상기 함체 내부의 후부에 설치돼 있는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상기 함체(1)내에 격벽(5)이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내부를 설비실(6)과 버스 바실(7)로 기밀방식으로 격리하고, 상기 진공회로차단기들(2)이 상기 설비실(6)의 일측상에 설치돼 있고, 상기 버스 바실(7)내에 수직 버스 바(4)들이 설치돼 있고, 상기 버스 바실(7)내에는 상기 각 진공회로차단기(2) 후면에 접속된 가동측과 상기 수직버스 바들(4) 각각에 접속된 고정측을 각각 갖는 단절기(14)들이 설치돼 있고, 상기 진공회로차단기(2)와 단절기(14)를 개폐동작시키기 위해서 상기 설비실내(6)에 각 진공회로차단기(2)와 밀접하게 작동기구(3)가 설치돼 있고, 각 단절기(14)의 가동측이 대응 진공회로차단기(2)의 진공밸브(16)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단자(16a)의 후단부에 결합돼 있고, 상기 진공밸브(16)의 하부에 로드에 대한 접속용 하부단자(16b)가 설치돼 있고, 상기 진공밸브(16), 상부단자(16a) 및 하부단자(16b)가 절연수지(17)로 커버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수지(17)의 외표면상에 접지층(18)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진공밸브(16)의 하부 단자(16b)의 선단부상에는 접속전극(12)이 형성되 있고, 또한 상기 접속전극이 상기 절연수지(17)로써 커버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상기 하부단자(16b)의 선단부에 접속된 케이블(10)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단자(16b)의 선단부에는 접속기(15,15A,15B)가 설치되 있고, 상기 접속기에는 시험 및 측정용 접속케이블이 접속돼 있고, 블라이드 플러그(19,29,39)에 의해서 정규적으로 폐쇄되는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이드 플러그(19,29)가 상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플러그(39)가 측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실(7)의 배후에는 제2설비실(6A)이 상기 버스 바실의 일측상에 상기 설비실(6)과 대칭적 배치로 설치돼 있고, 상기 제2설비실(6A)내의 작동기구들과 진공회로차단기들이 상기 버스 바실(7)내의 단절기(14)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8. 제1항에 있어서, 진공회로차단기(2)와 작동기구(3)를 포함한 각 쌍은 매1쌍마다 번갈아서 역전배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9. 제1항에 있어서, 진공회로차단기(2)와 작동기구(3)를 포함한 각 쌍은 상기 설비실(6)내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10. 제1항에 있어서, 진공회로차단기(2)와 작동기구(3)을 포함한 각 쌍은 상기 설비실(6)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KR1019920022693A 1991-11-28 1992-11-28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KR950003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55291A JP2854744B2 (ja) 1991-11-28 1991-11-28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91-314552 1991-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034A KR930011034A (ko) 1993-06-23
KR950003867B1 true KR950003867B1 (ko) 1995-04-20

Family

ID=1805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693A KR950003867B1 (ko) 1991-11-28 1992-11-28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854744B2 (ko)
KR (1) KR950003867B1 (ko)
DE (1) DE4239826C2 (ko)
MY (1) MY1089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0634A1 (de) * 1999-08-26 2001-03-01 Abb Patent Gmbh Elektrische Schaltanlage
JP2007236074A (ja) * 2006-02-28 2007-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ギヤ及びその組立方法
JP4726661B2 (ja) * 2006-03-17 2011-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EP2495833A1 (en) * 2011-03-02 2012-09-05 ABB Technology AG Solid insulated busbar arrangement, especially for medium voltage switchgear
US20140374383A1 (en) * 2013-06-25 2014-12-25 Tetsu Shioiri Tank-type vacuum circuit breaker
DE102013109756B3 (de) * 2013-09-06 2014-10-30 Uwe Blecher Schaltanordnung für eine Schaltanlage
JP6270552B2 (ja) * 2014-03-07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EP3454437A1 (en) * 2017-09-11 2019-03-13 ABB S.p.A. Low voltage electrical switchboard
US10325738B2 (en) * 2017-10-10 2019-06-1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Gas-insulated switchgear with sealed operating mechanisms
DE102018109750B4 (de) * 2018-04-23 2023-11-23 Fritz Driescher KG Spezialfabrik für Elektrizitätswerksbedarf GmbH & Co. Schalt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7299A1 (de) * 1984-02-14 1985-10-10 BBC Aktiengesellschaft Brown, Boveri & Cie., Baden, Aargau Metall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JPH02290111A (ja) * 1989-04-28 199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形配電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39826A1 (en) 1993-06-03
KR930011034A (ko) 1993-06-23
JP2854744B2 (ja) 1999-02-03
MY108964A (en) 1996-11-30
DE4239826C2 (de) 1995-10-12
JPH05151871A (ja) 199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9616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FI96070B (fi) Metallikoteloinen, painekaasulla täytetty, monivaiheinen korkeajännitekytkentälaite
US5578805A (en) Metal-enclosed gas-filled switchgear units
US8481881B2 (en) Electric circuit breaker and switchgear panel with circuit breaker
JP2001352623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950003867B1 (ko) 금속함체형 스위치기어
US5578804A (en) Metal-enclosed gas-insulated switching installation
JP5602977B1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WO1998036480A1 (en) Substation
JP4572145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EP2645378A1 (en) Electric device with insulators
US4774628A (en) Metalclad substation subdivided into tight compartments
US4700270A (en) Metal-encapsulated gas-insulated switching system
KR100205675B1 (ko) 배전반
JPH0834061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382309A (ja) 配電盤
JP3202302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H0746726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2777869B2 (ja) 複合密閉開閉装置
JP200003262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3237225B2 (ja) タンク形ガス遮断器
JPS6237379Y2 (ko)
JPH10191514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2032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113346398A (zh) 用于低电压和中电压应用的电气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