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39B1 -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39B1
KR950003539B1 KR1019910024300A KR910024300A KR950003539B1 KR 950003539 B1 KR950003539 B1 KR 950003539B1 KR 1019910024300 A KR1019910024300 A KR 1019910024300A KR 910024300 A KR910024300 A KR 910024300A KR 950003539 B1 KR950003539 B1 KR 95000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flange
horizont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735A (ko
Inventor
가쯔오 오오모리
쯔네오 세도
히도시 이다구라
미끼오 고우노
마사루 나가오
다쯔야 모리시다
마사유끼 다니가와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도사끼 시노부
히다찌 조센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428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93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903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93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86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327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도사끼 시노부, 히다찌 조센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요시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21D3/05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arranged on axes rectangular to the path of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배치한 설명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Ⅰ-Ⅰ선의 일부단면을 나타낸 정면도.
제 3 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략 배치한 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Ⅱ-Ⅱ선의 일부단면의 한쪽을 나타낸 정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Ⅲ-Ⅲ선을 나타낸 측면도.
제 6 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도의 Ⅰ-Ⅰ선의 일부단면을 나타낸 정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Z부의 상세한 정면도.
제 8 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도의 Ⅰ-Ⅰ선의 일부단면을 나타낸 정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의 정면도.
제10도는 제 9 도의 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교정로울러의 단면도.
제12도는 교정후에 잔류하는 H형강의 형상불량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H형강 1a : 웨브
1b : 플랜지 2a-2g : 수평로울러
3a-3g : 수직로울러 4 : 플랜지 압하(screw-down)로울러
10 : 틀 11 : 초크
12 : 구동축 13 : 스페이서
14 : 너트 15 : 수평로울러용 압하장치
16 : 톱니바퀴부 전동기 17 : 압하나사
18 : 지지부재 19 :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블록
20 : 유압실린더 21 : 유압실린더의 로드헤드
22 : 구멍 23 : 라이너
24 : 브래킷 25 : 축부
26 : 부시 27 : 축
28 : 끼워맞춤부 29 : 키
30 : 아암 31 : 실린더
32 : 붙이기부 33 : 실린더의 로드헤드
34 : 볼트 35 : 블록
36 : 수직로울러용 압하장치 37 : 모우터
38 : 가이드 39 : 실린더
40 : 핀 41 : 베어링
42 : 속빈 축 43 : 초크
44 : 실린더 45 : 잭
46 : 지지 베이스 47 : 접근이동장치
48 : 가이드 레일 49 : 틀
50 : 틀재 51 : 로울지지틀
52 : 피치조정장치 53 : 가이드로울러
54 : 고정지주 55 : 나사축
56 : 암나사부재 57 : 워엄구동축
58 : 수평연동축 59 : 모우터
60 : 피치조정용 모우터 61 : 로울피치조정축
본 발명은 H형강이 휘거나 구부러지는 것 또는 직각도를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로울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H형강은 동일 수직면내에 축심을 갖는 상하 한쌍의 수평로울과 좌우 한쌍의 수직로울을 갖춘 유니버설 압연기를 사용하여 열간압연에 의해 제조된다.
열간압연된 H형강은 그후 냉각되지만 그 냉각과정에서 휘거나 구부러지고 직각도가 불량해지기 때문에 통상의 로울러 교정장치를 사용하여 교정을 한다.
이 로울러 교정장치는 H형강의 진행경로에 따라 상하 교대로 순차 배치된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수평로울러(2)에 의해 H형강(1)의 웨브(1a)를 누르고, 그 웨브(1a)를 통하여 플랜지(1b)에 구부리는 변형을 가하는 것이며, H형강(1)의 진행에 따라 구부리는 변형이 되풀이하여 부여되는 것으로 교정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때, 수평로울러(2)는 가능한한 웨브(1a)의 플랜지(1b)와의 접속부 근방을 압입하여 웨브가 휘어지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그러나, 교정시에 발생하는 압입 하중이 과도하게 크면 웨브가 휘어지고, 이 때문에 수평로울러쪽의 플랜지가 안쪽으로 기울어지며, 수평로울러(2)의 측면과 접속하여 플랜지에 소성변형이 생겨 교정후에 제12(a)도와 같은 직각도 불량이 존재한다.
또, 웨브의 강성에 비하여 압입 하중이 큰 경우에는 제12(b)도와 같은 웨브와 플랜지의 접속부의 변형이나 웨브가 구부러지기 때문에 충분한 교정효과 얻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H형강의 교정에 관한 문제점의 대책으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6-30027호, 동56-119624호, 동57-137028호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 56-30027호는 로울러 교정장치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한쌍의 수평로울러와 한쌍의 수직로울러를 설치한 것이고, 동56-119624호는 상하 교대로 배치한 수평로울러중 적어도 3개의 간격마다 좌우에 세운 로울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동57-137028호는 각 교정로울러 측면에 테이퍼를 두어 플랜지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동56-30027호, 동56-119624호 모두 수평로울러의 위치에 H형강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결국 교정시의 압입 하중에 의해서 플랜지가 기울어져 제12(a)도,제12(b)도와 같은 형상불량이 발생한다.
또, 교정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또는 교정중의 교정로울러 사이에서 수직로울러에 의해서 플랜지 외면을 지지해도 플랜지가 기울어지는 것을 완전하게 수정할 수 없다.
또, 동57-137028호에는 수평로울러의 측면에 있는 테이퍼에 의해서 교정시의 압입 하중 때문에 H형강의 플랜지가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 되돌리려고 하는 것으로, 제12(a)도와 같은 형상불량이 존재하며, 또 플랜지 내면에 흠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어느 것도 H형강의 형상불량 교정을 위해서는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는 말할 수 없었다.
특히, 최근에 건축용 소재로서의 압연 H형강의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플랜지 두께와 웨브 두께의 비가 크고, 소위 두께가 얇은 H형강이 개발되어 종래의 교정장치로는 상기의 문제점 때문에 더욱더 휜것을 교정하기 어렵게 되고 있다.
한편, 플랜지 직각도 불량에 관하여는 종래에는 직결(on-line)에서 교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직결의 플레스 교정이나 가열교정을 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들 작업은 모두 작업자의 직감에 의해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성, 생산성, 품질면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양지식(center type) 로울축에는 교정품종이 변경될 때에 로울축을 로울초크 베어링에서 떼어내고, 슬리이브등을 사이에 장치한 수평로울러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그 교환작업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고 단가를 높이는 원인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압연 H형강이 휘는 것을 교정함에 있어 웨브와 플랜지와의 접속부의 변형 또는 플랜지가 기울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플랜지의 직각도가 불량한 H형강에 대하여는 직각도 교정도 할 수 있고 교정로울의 교환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H형강의 진행경로에 따라 그 H형강의 웨브를 누르는 수평로울러를 상하교대로 배치한 H형강의 휨 교정용 로울러 교정기에 있어서, 수평로울러의 외주면이 H형강의 웨브 표면과 접하는 범위내에서 H형강의 양쪽 플랜지 외면을 누르기 위해 수직로울러를 수평로울러마다 배치한 것이다.
또, 수직로울러와 같은 축에 설치된 H형강의 플랜지 폭 변동에 따라 일정한 하중으로 플랜지부를 누르는 한쌍의 플랜지 압하(screw-down)로울러를 수평로울러마다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있어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그 외의 본 발명의 구성은 그 변형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도 및 제 2 도와 같이 H형강(1)의 진행경로에 따라 H형강(1)의 웨브를 누르는 수평로울러(2)를 상하교대로 순차 배치하고, 수평로울러(2)의 외주면이 H형강(1)의 웨브 표면과 접하는 범위내에서 H형강의 양쪽 플랜지 외면을 누르기 위하여 한쌍의 수직로울러(3)를 수평로울러(2a-2g)마다 설치되어 있다.
즉, 수평로울러(2)에서 웨브(1a)를 압입함과 동시에 수직로울러(3)를 H형강의 양쪽 플랜지(1b)의 외면에 접촉하여 누르고 수평로울러(2)가 웨브(1a)를 압입함에 따라 플랜지(1b)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수직로울러(3)의 플랜지 누름위치가 수평로울러(2)의 웨브 누름위치에서 어긋나는 경우에는 플랜지의 강성에 따라 그 플랜지의 구속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위해서는 수직로울러(3)의 축심은 수평로울러(2)의 외주면이 H형강의 웨브(1a) 표면에 접하고 있는 범위내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수평로울러(2)의 외주면이 H형강의 웨브 표면에 접하고 있는 범위로는 양자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50%로 하고, 기하학적으로 구할 수 있지만 수직로울러의 축심을 수평로울러의 축심과 동일 수직면내에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에서는 수직로울러(3)에 의해서 수평로울러(2)의 외주면이 H형강의 웨브 표면을 접하고 있는 범위의 H형강 양플랜지 외면을 누르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직로울러의 축심을 수평로울러의 축심방향과 직각인 수직면내에서 H형강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일 수 있다.
예를들면, 수직로울러(3)의 축심을 수직면에 대하여 θ°경사진 경우, 수직로울러(3)의 플랜지 누르는 힘 FH에 따라서 플랜지 외면에 수평로울러(2)의 웨브 누름방향의 힘 FW이 작용한다.
이 힘 FW은 수직로울러(3)의 플랜지 누르는 힘 FH, 플랜지 외면과 수직로울러 표면사이의 마찰계수 μ에 의해서 결정되며 아래식으로 구해진다.
FW=μ×FH
여기에서, 마찰계수 μ는 플랜지 외면과 수직로울러 표면 사이의 미끄럼계수 ε(=tanθ)에 의존하는 값이다.
따라서, 웨브를 누르는 힘을 같게 할 때에 FW를 작게 함으로써 웨브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지고 웨브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직로울러(3)의 축심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전기한 플랜지의 구속력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또, 교정전에 플랜지 직각도가 불량한 재료에 대해서는 수직로울러(3)를 플랜지폭에 따라 경사지게 함으로써 직각도를 교정할 수 있다.
경사방향은 수평로울러(2)가 없는 쪽의 플랜지를 압입하는 방향으로 한다.
즉, 수평로울러(2)가 있는 쪽으로 플랜지(1b)를 압입한 경우에는 웨브(1a)의 변형을 조장하여 플랜지 직각도 불량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웨브 압입에 대하여 전기한 효과도 없기 때문에 힘 교정효과도 충분하지 않게 된다.
수직로울러(3)의 경사각 H형강의 사이즈에 따라 정한 값으로 미리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수직로울러(3)를 경사시키는 것은 전 수직로울러중에서 적어도 한쌍 이상으로 하고, 좌우 동시에 경사시켜도 좋고 한쪽씩 해도 좋다.
또한, 웨브와 플랜지의 접속부의 변형 및 플랜지의 경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8 도와 같이 수평로울러(2)로 웨브(1a)를 압입하고, 동시에 플랜지 끝부분(1c)을 플랜지 압하로울러(4)로 일정한 하중으로 압입함에 따라, 수평로울러(2)에 작용하는 하중이 경감된다.
웨브(1a)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아짐에 따라 전술한 웨브(1a )와 플랜지(1b)와의 접속부의 변형 및 플랜지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도-제10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서, 2a-2g는 H형강의 웨브(1a)를 누르는 수평로울러로 H형강(1)의 진행경로에 따라 상하 교대로 순차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3a-3g는 H형강(1)의 양쪽 플랜지(1b)의 외면을 누르는 수직로울러이며, 예를들면 그 축심이 수평로울러의 축심과 동일한 수직면내에서, 또한 수직상태로 각 수평로울러마다 배설되어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Ⅰ-Ⅰ선에 따라 일부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수평로울러(2)가 웨브의 위쪽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지만, 수평로울러가 웨브의 아래쪽에 있는 경우는 대체로 본도를 거꾸로 한 상태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도에서 (10)은 로울러 교정장치의 틀을 나타내며, 수평로울러(2)는 초크(11)에 의해서 한쪽만 지지되고 구동축(12)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15)는 수평로울러용 압하장치로 톱니바퀴부 전동기(16)에 의해서 구동되고 압하나사(17)를 초크(11)에 접속하여 수평로울러(2)의 웨브 압입량을 조정할 수 있었다.
(3)은 수직로울러로 지지부재(18)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19)는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블록이고, 지지부재(18)를 각각 붙박이하며, 유압실린더(20)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틀(10)에 있는 구멍(22)안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킴으로써 수직로울러(3)가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블록(19), 지지부재(18)를 통하여 H형강의 양폭 플랜지 외면에 자유롭게 잇거나 뗄 수 있고 필요한 누르는 힘으로 플랜지의 외면을 누를 수 있다.
또한, (23)은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블록(19)의 4모서리를 안내하는 라이너이고, (24)는 유압실린더(20)의 로드헤드(21)와 접속시키기 위한 브래킷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울러 교정장치를 제 1 도와 같이 배치하여 수평로울러(2a-2g) 및 수직로울러(3a-3g)의 각 위치를 설정한 후, H형강(1)을 화살표 방향으로 보내고 구부러진 것을 교정한다.
제 3 도-제 5 도는 본 발명의 수직로울러(3)를 기울어 움직이는 실시예이고, 제 3 도와 같이 수직로울러(3a-3g)가 H형강(1)의 진행방향에 θ' 경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Ⅱ-Ⅱ선에 의한 일부단면의 한쪽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수직로울러(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8)에 축부(25)가 연장되어 있고, 그 축부(25)는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블록(19)에 있는 축공의 부시(26)가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이 축부(25)의 외단면에는 별도의 축(27)이 볼트(34)(제 5 도 참조)로 장치되어 있다.
또, 축(27)은 그 끼워맞춤부(28)를 축부(25)에 끼워 넣고 키(29)에 의해서 축부(25) 즉, 지지부재(18)로는 회전불가능하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30)은 기울어 움직이게 하는 아암이며, 수직로울러(3)를 최대한 H형강의 플랜지쪽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후술하는 기울어 움직이는 실린더 등이 틀(10)과 간섭되지 않도록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블록(19)에서 떨어져 축(27)에 붙박이 한다.
제 5 도는 제 4 도의 Ⅲ-Ⅲ선도이고, 기울어 움직이게 하는 아암(30)은 그 선단을 기울어 움직이게 하는 실린더(31)의 로드헤드(3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32)는 브래킷(24)의 한쪽을 연장한 기울어 움직이게 하는 실린더(31)의 붙이기부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기울어 움직이게 하는 실린더(31)를 작동시키고 기울어 움직이게 하는 아암(30)을 통하여 축(27), 지지부재(18)를 기울어 움직이게 함으로써 수직로울러(3)를 필요한 각도(θ°), H형강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울어 움직이게 하는 것은 수동으로 미리 설정해 두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압하장치의 구동원에 톱니바퀴부 전동기를 사용하고, 수직로울러의 각 조정용 구동원으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은 다른 구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수평로울러의 압입량의 조정은 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지만 이것에 대해서도 틀자체를 수직로울러와 함께 승강시킬 수도 있다.
제 6 도는 제 1 도의 Ⅰ-Ⅰ선도이고 수직로울러(3)를 웨브 폭방향으로 폭조정이 가능하며, 기울어 움직일 수 있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수직로울러(3)는 블록(35)에 장치된 지지부재(18)에 지지되어 있다.
수직로울러용 압하장치(36)는 모우터(37)에 의해서 구동된다. 수직로울러용 압하장치(36) 및 모우터(37)는 틀(10)에 고정되어 있다.
또, 블록(35)은 틀(10)에 장치된 가이드(38)에 의해서 웨브 폭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제 7 도는 제 6 도의 Z부의 상세한 정면도이다.
(39)는 블록(35)에 장치된 지지부재(18)을 기울이기 위한 실린더이다.
지지부재(18)는 핀(40)에 의해서 블록(35)에 장치되어 있다.
이 장치에 의해서 지지부재(18)에 장치된 수직로울(3)의 각도를 웨브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변동할 수 있다.
제 8 도는 수평로울러(2)와 같은 축에 설치되고 H형강(1)의 플랜지 폭변동에 따라 일정한 하중으로 플랜지 단부를 압입하는 1쌍의 플랜지 압하로울러(4) 및 수직로울러(3)를 갖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웨브를 압입하기 위한 수평로울러(2)는 구동축(12)에 장치되고 스페이서(13) 및 너트(14)를 웨브 폭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플랜지 압하로울러(4)는 베어링(41)을 통하여 속빈축(42)에 장치되어 있고, 속빈축(42)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속빈축(42)는 초크(43)에 지지되고 초크(43)는 실린더(44)에 의해서 일정하중으로 압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직로울러(3)는 플랜지(1b)의 외면에 접촉하고, 그 중심축은 수평로울러(2)의 중심축과 동일한 평면내에 있어 웨브와 직각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플랜지 압하하중의 설정은 소재사이즈, 강종류등에 따라 결정되고, 예를들면 플랜지 폭 200mm의 H형강에 대하여 플랜지 압하하중과 플랜지 두께의 관계를 계산하며, 플랜지 끝부분의 압하를 가함으로써 웨브에 작용하는 하중을 약 2/3로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제 9 도 및 제10도에 기초하여 수평로울러(2). 수직로울러(3), 플랜지 압하로울러(4)의 교환 및 위치 조정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형강(1)의 경로라인(P)위의 설치스페이스내에는 4모서리를 높이 조정잭(45)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지지베이스(46)가 배설되고, 이 지지베이스(46)위에는 접근이동장치(47)에 의해서 폭방향의 가이드레일(48)을 통하여 접근과 떨어짐이 자유로운 좌우틀(49A), (49B)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좌우틀(49A), (49B)에는 재 8도와 같이 H형강(1)의 웨브(1a)와 웨브(1b) 내면에 윗방향에서 눌러 잇게 하는 위수평로울러(2), 플랜지(1b)의 선단면에 윗방향에서 눌러 잇게 하는 위플랜지 압하로울러(4), 플랜지(1b)의 외면에 옆쪽에서 눌러 잇게 하는 위수직로울러(3)를 구비한 위로울지지틀(51A)이 배치되고, 또 H형강(1)의 웨브(1a)의 웨브(1a)와 플랜지(1b) 내면에 아래쪽에서 눌러 잇게 하게 아래수평로울러(2), 플랜지(1b)의 선단면에 아래쪽에서 눌러 잇게 하는 아래플랜지 압하로울러(4), 플랜지(1b)의 외면에 옆쪽에서 눌러 잇게 하는 아래수직로울러(3)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아래로울지지틀(51B)이 배치되어 있다.
좌우틀(49A),(49B)은 경로라인(P)의 전후에 세워 설치한 전후틀재(50a), (50b), 전후틀재(50a), (50b)의 상부사이에 경로라인(P)에 따른 건너지른 위틀재(50c)와 전후틀재(50a), (50b)의 하단부 사이에 경로라인(P)에 따라 연결된 아래틀재(50d)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위틀재(50c)에 4대의 위로울지지틀(51A)이 경로라인(P)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고, 아래틀재(50d)에는 5대의 아래로울지지를 (51B)이 배치되고 중앙의 아래로울지지틀(51B')을 제외하고 경로라인(P)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피치조정장치(52)에 의해서 위로울지지틀(51A) 및 아래로울지지틀(51B)을 패스라인(P)방향으로 이동하여 교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전후틀재(50a), (50b)와 전틀재(50a)의 앞부분 및 전후틀재(50a), (50b)의 뒷부분에 H형강(1)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53)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접근이동장치(47)는 전후틀재(50a), (50b)의 바깥쪽에 각각 세워 설치된 고정지주(54)의 상부 및 하부에 좌우방향에 따라 패스라인(P)쪽으로 늘어진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상하나사축(55A), (55B)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 배설되고, 이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상하나사축(55A), (55B)은 전후틀재(50a), (50b)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암나사부재(56A), (56B)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지주(54)에 있어서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상하나사축(55A),(55B)의 기단부에는 워엄기어 기구를 통하여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상하나사축(55A), (55B)을 회전구동하는 워엄구동축(57)이 상하 방향으로 배설하고, 좌우의 워업구동축(57)의 하단부는 기어박스를 통하여 수평연동축(58)에 의해서 서로 연동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의 수평연동축(58)에는 각각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모우터(59)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이들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모우터(59)를 동기구동함으로써 수평연동축(58) 및 워엄구동축(57)을 통하여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상하나사축(55A), (55B)을 회전시키며,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는 암나사부재(56A), (56B)의 작용에 의해서 좌우틀(49A), (49B)을 서로 접근하고 떨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피치조정장치(52)는 전틀재(50a)의 전면 및 후틀재(56b)의 후면에 배치된 피치조정용 모우터(60)에 의하여 종축 및 기어박스를 통하여 회전구동하는 위로울피치조정축(61A) 및 아래오울피치조정축(61B), (61C)이 전후틀재(50a), (50b) 사이에 경로라인(P)과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으며, 중앙의 아래로울지지틀(51B')을 제외한 상하로울지지틀(51A), (51B)에는 로울피치조정축(61A)-(61C)에 스크류나사부로 나사식 결합되어 있는 피치조정암나사부재(도새생략)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피치조정용 모우터(60)에 의해서 상하로울피치조정축(61A)-(61C)을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중앙의 아래로울지지틀(51B')을 제외한 상하로울지지틀(51A), (51B)을 상하틀재(50c), (50d)에 따라 경로라인(P)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지지베이스(46)위에 접근이동장치(47)에 의해서 서로 접근과 떨어짐이 자유로운 좌우틀(49A), (49B)을 설치하고, 이들 좌우틀(49A), (49B)에 배치한 로울지지틀(51A), (51B)에 수평로울러(2), 수직로울러(3) 및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장치함에 따라 로울교환작업이 매우 쉽게 될 수 있다.
또, 바깥치수가 일정한 H형강에도 접근이동장치(47)에 의해서 좌우틀(49A), (49B)을 접근하고 떨어지게 하며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매우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에 따라, 종래의 웨브를 압하한 만큼 플랜지에 구부리는 변형을 주어 H형강이 휘는 것을 교정하는 방법에 비해 보다 큰 압하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즉, 수평로울러의 중심축과 동일면내에 중심축을 갖고 플랜지 외면을 구속하는 수직로울러를 배치하고, 교정중에 플랜지의 직각도 교정도 동시에 함에 따라 수직로울러에서의 웨브 압하시의 웨브가 구부러지는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웨브에 의해서 큰 압입력을 걸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수평로울러와 동일축상에 플랜지끝을 압하하는 플랜지 압하로울러를 배설하고, 플랜지가 구부러진 것을 교정시에 발생하는 하중의 일부를 플랜지끝으로 받음으로써 웨브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웨브를 변형시키지 않고 충분한 압하량을 줄 수 있다.
한편, H형강의 경로라인의 양쪽에 지지베이스위에 접근이동장치에 의해서 서로 접근과 떨어짐이 자유로운 좌우틀을 설치하고, 그 좌우틀에 배설한 로울지지틀에 수평로울러, 수직로울러 및 플랜지 압하로울러를 붙이고 땔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울의 교환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좌우로울지지틀을 접근하고 떨어지게 함으로써 압하로울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최근에 수요가 많은 바깥치수가 일정한 H형강에도 매우 쉽게 대응할 수 있다.

Claims (13)

  1. H형강의(1)의 진행경로에 따라 그 H형강(1)의 웨브(1a)를 누르는 수평로울러(2)를, 상하교대로 순차배치한 H형강(1)의 로울러 교정장치에 있어서, 수평로울러(2)의 외주면이 H형강(1)의 웨브 표면과 접하는 범위내에서 H형강(1)의 양쪽 플랜지(1b)의 외면을 누르기 위하여 1쌍의 수직로울러(3)를 수평로울러(2)마다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로울러(3)가 수평로울러(2)의 축심방향과 직각인 수직면내에서 H형강(1)의 진행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쌍의 수직로울러(3)가 웨브(1a) 폭방향으로 촉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쌍의 수직로울러(3)가 웨브 폭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평로울러(2)와 같은 축에 설치되고, H형강(1)의 플랜지(1b) 폭변동에 따라 일정한 하중으로 플랜지 끝부분을 누르는 1쌍의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수평로울러(2)마다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H형강의 경로라인(P) 양쪽에 접근이동장치(47)에 의해서 지지베이스(46)위에 서로 접근과 떨어짐이 자유로운 좌우틀(49A), (49B)설치하고 좌우틀에 배설한 로울지지틀(51A), (51B)에 서로 인접하는 1쌍의 구동축을 동일축심상에 배치하며, 양구동축에 수평로울러(2)와 플랜지압하로울러(4)를 붙이고 땔 수 있고, 또 양 로울러의 근방에 수직로울러(3)를 붙이고 땔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1쌍의 수직로울러(3)가 웨브 폭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수평로울러(2)와 같은 축에 설치되고, H형강(1)의 플랜지(1b) 폭변동에 따라 일정한 하중으로 플랜지 끝부분을 누르는 1쌍의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수평로울러(2)마다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수평로울러(2)와 같은 축에 설치되고, H형강(1)의 플랜지(1b) 폭변동에 따라 일정한 하중으로 플랜지 끝부분을 누르는 1쌍의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수평로울러(2)마다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H형강의 경로라인(P) 양쪽에 접근이동장치(47)에 의해서 지지베이스(46)위에 서로 접근과 떨어짐이 자유로윤 좌우틀(49A), (49B)을 설치하고, 좌우틀에 배설한 로울지지틀(51A), (51B)에 서로 인접하는 1쌍의 구동축을 동일 축심사에 배치하며, 양 구동축에 수평로울러(2)와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붙이고 뗄 수 있고, 또 양 로울러의 근방에 수직로울러(3)를 붙이고 뗄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H형강의 경로라인(P) 양쪽에 접근이동장치(47)에 의해서 지지베이스(46)위에 서로 접근과 떨어짐이 자유로운 좌우틀(49A), (49B)을 설치하고, 좌우틀에 배설한 로울지지틀(51A), (51B)에 서로 인접하는 1쌍의 구동축을 동일 축심상에 배치하며, 양 구동축에 수평로울러(2)와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붙이고 뗄 수 있고, 또 양 로울러의 근방에 수직로울러(3)를 붙이고 뗄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H형강(1)의 진행경로에 따라 그 H형강(1)의 웨브(1a)를 누르는 수평로울러(2)를, 상하교대로 순차 배치한 H형강(1)의 로울러 교정장치에 있어서, 수평로울러(2)의 외주면이 H형강(1)의 웨브 표면과 접하는 범위내에서 H형강(1) 양쪽플랜지(1b) 외면을 누르기 위하여 1쌍의 수직로울러(3)를 수평로울러(2)마다 배치하고, 상기 수평로울러(2)와 같은 축에 설치되고, H형강(1)의 플랜지(1b) 폭변동에 따라 일정한 하중으로 플랜지 끝부분을 누르는 1쌍의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수평로울러(2)마다 배치하고, 상기 1쌍의 수직로울러(3)가 웨브 폭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H형강의 경로라인(P) 양쪽에 접근이동장치(47)에 의해서 지지베이스(46)위에 서로 접근과 떨어짐이 자유로운 좌우틀(49A) (49B)을 설치하고, 좌우틀에 배설한 로울지지틀(51A)(51B)에 서로 인접하는 1쌍의 구동축을 동일 축심상에 배치하며, 양 구동축에 수평로울러(2)와 플랜지 압하로울러(4)를 붙이고 땔 수 있고, 또 양 로울러의 근방에 수직로울러(3)를 붙이고 뗄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1쌍의 수직로울러(3)가 웨브 폭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KR1019910024300A 1991-03-19 1991-12-26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KR950003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54283 1991-03-19
JP5428391A JPH0829349B2 (ja) 1991-03-19 1991-03-19 H形鋼の反りおよび直角度の矯正装置
JP91-90338 1991-04-22
JP3090338A JPH0829350B2 (ja) 1991-04-22 1991-04-22 H形鋼の反り及び直角度の矯正装置
JP91-286936 1991-11-01
JP3286936A JP2543279B2 (ja) 1991-11-01 1991-11-01 H型鋼用ロ―ラ―矯正装置およびそのロ―ルクラ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35A KR920017735A (ko) 1992-10-21
KR950003539B1 true KR950003539B1 (ko) 1995-04-14

Family

ID=2729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300A KR950003539B1 (ko) 1991-03-19 1991-12-26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91780A (ko)
EP (1) EP0504495B1 (ko)
KR (1) KR950003539B1 (ko)
DE (1) DE6911816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845A (en) * 1993-07-01 1997-04-29 Bethlehem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flanged structural products directly from slabs
DE4324416A1 (de) * 1993-07-21 1995-01-26 Schloemann Siemag Ag Richtmaschine für gewalzte Träger, insbesondere Hyper-Beams
US6823707B2 (en) 2002-04-04 2004-11-30 Abl Fabricators, Inc. Mobile flange press and method
WO2010009751A1 (de) * 2008-07-24 2010-01-28 Welser Profil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fils mit mindestens einer verdickten profilkante
CN103286162A (zh) * 2013-07-08 2013-09-11 江苏中海重型机床有限公司 高效率板材校平机
CN111375653A (zh) * 2019-01-01 2020-07-07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工字钢和h型钢组合式通用型矫直辊
CN111986920A (zh) * 2020-09-11 2020-11-24 合肥恒大江海泵业股份有限公司 一种潜水电机绕组线束校调装置
CN112123248A (zh) * 2020-10-16 2020-12-25 凌云西南工业有限公司 夹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861A (en) * 1912-12-30 1913-09-02 Benton A Bass Rail-straightening mill.
US1255666A (en) * 1916-10-16 1918-02-05 George W Theiss Camber-removing machine.
DE800455C (de) * 1948-10-02 1950-11-09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Vorrichtung zum Richten von verbogenen oder verwundenen Profileisen
DE1205797B (de) * 1961-12-12 1965-11-25 Mannesmann Meer Ag Vorrichtung zum Kaltrichten stabfoermiger Hohl- und Vollkoerper
DE1552929A1 (de) * 1966-06-22 1969-12-18 Masch Und Bohrgeraete Fabrik Rollenrichtmaschine
DE2536032A1 (de) * 1975-08-13 1977-02-24 Kloeckner Werke Ag Rollenrichtmaschine
JPS6284829A (ja) * 1985-10-09 1987-04-18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h形鋼の自動矯正装置
JPS63260602A (ja) * 1987-04-20 1988-10-27 Nippon Steel Corp 形鋼の圧延方法
JPS6427901A (en) * 1987-07-24 1989-01-30 Eidai Co Ltd Manufacture of thrust-board clad decorative board
JPH0317622A (ja) * 1989-06-14 1991-01-25 Seiko Instr Inc 多色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8165D1 (de) 1996-04-25
EP0504495B1 (en) 1996-03-20
US5191780A (en) 1993-03-09
EP0504495A1 (en) 1992-09-23
KR920017735A (ko) 1992-10-21
DE69118165T2 (de) 199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1435A (en) Adjustable width rolls for rolling mill
US5970764A (en) Roll forming apparatus
KR950003539B1 (ko) H형강의 로울러 교정장치
US6282932B1 (en) Axial and transverse roller die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227023B1 (ko) 로울러교정기
KR940002748B1 (ko) 형강의 압연용 안내장치
JP3474552B2 (ja) 上ロール首振方式の溶接形鋼歪矯正装置
JPH09255803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放電電極の間隔調整装置
JPH0199722A (ja) H形鋼の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JP2865817B2 (ja) H形鋼の反り矯正用ローラ矯正機
JP3274803B2 (ja) 条材用ローラ矯正機
JP3419293B2 (ja) 形鋼の連続矯正装置および連続矯正方法
JP2610728B2 (ja) 形鋼の圧延用ガイド
JPH08290217A (ja) 形鋼のローラ矯正方法及び装置
SU1121079A1 (ru) Рабоча клеть формовочного стана
JPH0659497B2 (ja) 粗ユニバ−サル圧延機のガイド
CA2154816C (en) Roll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2658676B2 (ja) H形鋼の圧延方法
JP3440595B2 (ja) テンションレベラ
JPH0641686Y2 (ja) H形鋼の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JP2579809B2 (ja) ロール幅拡縮機構を有する成形機スタンド
JP2626330B2 (ja) H形鋼圧延用エッジャー圧延機
JPH012715A (ja) 粗ユニバ−サル圧延機のガイド
JPH0469011B2 (ko)
KR970000265Y1 (ko) 상, 하 로울러를 갖는 압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