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007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007B1
KR950002007B1 KR1019910005179A KR910005179A KR950002007B1 KR 950002007 B1 KR950002007 B1 KR 950002007B1 KR 1019910005179 A KR1019910005179 A KR 1019910005179A KR 910005179 A KR910005179 A KR 910005179A KR 950002007 B1 KR950002007 B1 KR 95000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ank
rotating
rotating tank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016A (ko
Inventor
가쓰헤이 가베야
요시오 이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4Supply, recirculation or draining of wash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세탁기
제1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
제1도는 회전조 및 물받이조 저부의 주요부 종단면도.
제2도는 전체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위치검출센서 주변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중에서 Ⅳ-Ⅳ선에 따른 종단면도.
제5도는 구동기구의 종단면도.
제6도는 브레이크 드럼 부분을 횡단면하여 로크장치를 나타낸 하면도.
제7도는 수위검출을 실시하기 위한 전극판등을 원리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전기적 구성도.
제9도는 플로우챠트.
제10도는 회전조의 회전위치를 나타내는 상면도.
제11a, b도는 모터로의 통전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
제12도는 제1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13도는 회전조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
제14도는 회전조의 부분 횡단면도.
제15도와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제15도는 배수구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16도는 배수구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17도와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 제15도와 제16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19도와 제20도는 종래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것.
제19도는 회전조 저부의 종단면도.
제20도는 개폐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물받이조 17 : 회전조
18 : 소구멍 23, 91, 103, 108 : 배수구
24 : 밸브기구 25, 92, 104, 111 : 밸브
29, 102, 112 : 구동부 32, 105, 113 : 누름봉
42 : 위치검출센서 370 : 잠금장치
77 : 제어장치 395 : 인상부재
110 : 레버부재
본 발명은 탈수겸 세탁용 회전조내의 배수구조를 개량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탈수겸용 세탁기에 있어서 외조에 해당하는 물받이조내에 탈수겸 세탁용의 회전조를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회전조의 벽둘레에 거의 전역에 걸쳐 탈수구로서 다수의 소구멍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런구성에서는 세탁시에 전술한 소구멍을 통해서 물받이조내에까지 물이 차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면 물받이조의 안쪽면과 회전조의 바깥면에 비누찌꺼기등이 달라붙어 물받이조와 회전조 사이가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근년에 와서 농축세제가 사용되는 일이 많고, 이 농축세제는 엉겨버리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누찌꺼기가 더욱 달라붙게 되기 쉬워 커다란 문제가 된다.
그리하여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로서 회전조의 상단부에만 탈수구를 형성시킨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탁시에는 회전조내에만 물을 저장하고, 탈수시에는 회전조의 탈수구로부터 유출된 물론 물받이조내에 받아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받이조와 회전조 사이에 세탁액을 저장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절수효과와 아울러 물받이조의 안쪽면과 회전조의 바깥면에 비누찌꺼기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에서는 회전조내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물을 상단부의 탈수구로부터 원심탈수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배수를 시작할때에 꽤많은 물이 회전조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날려져 버려 물받이조와 부딪혀 「쏴아」하는 큰소음이 발생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조내의 물을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모래나 먼지등의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회전조의 내저부에 쌓이는 일이 있으며, 이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곤란하였다.
또는, 이러한 만수상태에서 회전조를 고속회전시키는 데에는 큰구동원을 필요로 하며, 세탁용량의 증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발하는데에 중요한 문제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로서 실공소 54-15913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구성을 제19도 및 제20도에 나타내었다.
이 제19도 및 제20도에 있어서 물받이조(1)내에 회전조(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조(2)의 상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소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조(2)의 저부에는 4개의 배수공(3)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배수공(3)은 밸브(4)에 의해 개폐된다.
회전조(2)의 외저부에는 고리모양의 개폐판(5)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판(5)의 윗면에는 밸브(4)에 대응하는 4개의 볼록부(5a)가 설치되어 있고, 개폐판(5)이 윗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볼록부(5a)가 밸브(4)를 밀어올려 이 밸브(4)가 개방된다.
한편, 물받이조(1)의 저부에는 조작체(6)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체(6)가 윗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개폐판(5)을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회전조(2)내의 물을 배출시킬 경우, 조작체(6)를 윗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판(5)을 밀어올려 밸브(4)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회전조(2)내의 물은 그 저부의 배수공(3)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다량의 물이 날려져 물받이조(1)에 부딪치는 일이 없게 되어 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조(2)내의 물을 배수공(3)에서 배출시키에 모래나 먼지등의 이물질로 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이 이물질이 회전조(2)의 내저부에 쌓이는 일이 없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회전조(2)의 정지되는 위치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회전조(2)와 함께 회전하는 개폐판(5)의 정지위치도 불규칙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개폐판(5)을 고리모양으로 형성시키고 밸브(4)를 다수(4개) 설치함으로써, 개폐판(5)의 정지위치가 불규칙하더라도 1개의 조작체(6)에 의해 개폐판(5)의 일부를 밀어 올려서 적어도 1개의 밸브(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체(6)가 개폐판(5)을 밀어 올리는 위치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개방되는 밸브(4)의 숫자 및 밸브(4)의 개방량등이 불규칙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성능이 변동되어 즉, 배수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거나, 혹은 밸브의 숫자가 많을수록 밀봉관도 많아지고 그 밖에도 대형화되는 등의 설계 제조적인 면에서도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받이조와 회전조 사이가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조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성능을 안정화할 수 있는등 실용적인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하여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세탁기는 물받이조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물받이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탈수구를 상단부에만 갖는 탈수겸 세탁용 회전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 회전조의 저부에 설치된 배수구와 이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밸브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전술한 회전조를 일정위치로 정지시키는 일정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전술한 물받이조에 설치되어 전술한 회전조가 일정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전술한 밸브기구를 개폐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세탁기는 일정위치 검출수단으로서 회전조가 일정위치로 회전위치했을 때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이 위치검출센서의 위치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전술한 회전조를 일정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의 세탁기는 회전조가 일정위치에서 정지한 상태로 이 회전조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이 잠금장치에 의해 전술한 회전조를 고정한 상태로 이 회전조의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청구항 4의 세탁기는 밸브기구에 회전조의 내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구동부에 전술한 밸브를 밀어올려서 전술한 배수구를 개방시키는 상하 이동가능한 누름봉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의 세탁기는 밸브기구에 회전조의 내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와, 이 밸브에 전술한 회전조의 상단부까지 연장 설치된 인상부재등이 구비됨과 동시에 구동부가 전술한 인상부재를 들어올려 전술한 배수구를 개방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청구항 6의 세탁기는 밸브기구의 밸브가 외조의 저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윗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회전조의 배수구를 닫고, 아랫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전술한 배수구를 개방하도록 한것에 특징이 있다.
청구항 7의 세탁기는 밸브기구에 회전조의 외저부에 축으로 지지된 레버부재와, 이 레버부재의 일단측에 전술한 회전조의 외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밸브등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구동부가 윗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전술한 레버부재의 타단측을 눌러올려 밸브를 아랫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술한 배수구를 개방하는 상하 이동가능한 누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청구항 1의 세탁기에 의하면 회전조는 탈수구를 상단부에만 갖기 때문에 세탁시에는 회전조내에만 물이 저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절수효과는 물론 물받이조와 회전조 사이에 세탁액이 쌓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외조의 안쪽면과 회전조의 바깥면에 비누찌꺼기등이 달라 붙지 않게 된다.
또한, 배수시에는 구동부에 의해 밸브기구를 개방 구동시켜 배수구를 개방하고, 회전조내의 물을 그 저부의 배수구를 통해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배수기에 다량의 물이 상단부의 탈수구를 통해서 날려져 버려 외조에 부딪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큰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조내의 물이 저부의 배수구에서 배출될 때 모래나 먼지등의 이물질도 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회전조의 내저부에 쌓이는 일이 없게 된다.
그밖에도 일정위치 검출수단과 제어부에 의해 회전조를 일정위치에 정지시킨 상태로 구동부로 의해 밸브기구를 개폐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기구의 개폐동작이 확실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배수시킬 경우 배수구의 개방량이 항상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배수성능이 안정화된다.
또는 종래의 구성과 같이 다수의 밸브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밀봉 구조로 된 밸브기구가 설계 제조적으로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청구항 2의 세탁기에는 위치검출센서를 구비하고, 회전조가 일정위치에 회전위치 되었을 때에 위치검출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위치검출신호에 의하여 회전조를 일정위치에서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세탁기에서는 회전조가 일정위치에서 정지한 상태로 회전조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잠금장치에 의해 회조를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조의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밸브기구의 작동시에 회전조가 움직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밸브기구가 파손되는 일이 없어진다.
그리고, 청구항 4의 세탁기에서는 밸브기구에 회전조의 내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함과 동시에 구동부에 전술한 밸브를 밀어올려 배수구를 개방하는 상하 이동가능한 누름부재를 구비한 구성이기 때문에 회전조내에 물을 저장할 때 수압이 밸브를 닫도록 작용하여 회전조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5의 세탁기에서는 회전조의 내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에 회전조의 상단부까지 인상 부재를 연장 설치하고, 이 인상부재를 구동부에 의해 들어올려 배수구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부를 외조의 상부부위에 배치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물받이조의 저부에 구동부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누출되는 우려가 없게 된다.
청구항 6의 세탁기에서는 밸브기구의 밸브를 물받이조의 저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밸브를 윗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회전조의 배수구를 닫고, 아랫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배수구를 개방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회전조에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밸브등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가 생겨 회전조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밸브기구에 회전조의 물받이조 저부에 축으로 지지된 레버부재와, 이 레버부재의 일단측에 전술한 회전조의 외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밸브등을 구비하고 있어, 레버부재의 회전각도 및 그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밸브의 이동행정이나 배수구의 개방량 설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대해서 제1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2도에 있어서 외부상자(11)내에는 외조인 물받이조(12)가 일부만 도시된 탄성지지기구(13)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물받이조(12)의 바깥하부에는 모터(14)를 주로한 구동기구(15)와 나란히 배수호스(16)등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물받이조(12)의 내부에는 탈수겸 세탁용의 회전조(1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조(17)에는 탈수구로서 예를 들어 수평 일렬상태의 복수의 소구멍(18)이 상단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회전조(17)는 전술한 구동기구(15)로부터 물받이조(12)내로 돌출된 탈수축(19)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조(17)의 안쪽 하부에는 교반체(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교반체(20)는 전술한 탈수축(19)으로부터 회전조(17)내로 돌출된 세탁축(21)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탁시에 이 교반체(20)를 세탁축(21)에 의해 회전시켜 세탁을 하게 한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17)의 저부에는 둘레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지지통부(22)가 뚫어져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통부(22)의 주위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관통구멍에 의해 배수구(23)가 구성되어 있다.
이 배수구(23)를 개폐하는 밸브기구(24)는 판모양의 밸브(25), 압축코일 스프링(26) 및 스프링받이(27)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25)에는 외주부에 패킹(28)이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도면중의 밑면에 지지봉부(25a)가 아랫방향으로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봉부(25a)가 전술한 회전조(17)의 지지통부(22)에 끼워져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밸브(25)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지지봉부(25a)의 하단부에는 스프링받이(27)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받이(27)와 회전조(17)의 저부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26)이 끼워져 장치되어 있다.
이 압축코일 스프링(26)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밸브(25)가 배수구(23)를 닫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물받이조(12)의 저부에는 전술한 밸브기구(24)를 개폐구동하는 구동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부(29)에 있어서 물받이조(12)의 저부에는 전술한 회전조(17)의 배수구(23)에 대응하여 관통구(30)가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조(12)의 외저부중에 전술한 관통부(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부착판(3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부착판(31)의 중앙부에 관통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31a)내에는 누름부재인 누름봉(32)이 끼워져 연결되어 있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봉(32)의 상단부에는 판부재(32a)가 부착되어 있고, 이 판부재(32a)를 덮도록 벨로우즈(33)가 일체형성되어 있으며, 이 벨로우즈(33)는 전술한 관통구(30)를 닫도록 둘레 가장자리부가 물받이조(12)의 외저부에 부착판(31)에 의해 수밀히 부착되어 있다.
누름봉(32)의 하단부에는 스프링받이(34)가 부착되어 있고, 이스프링 받이(34)와 부착판(31)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35)이 끼우져 장치되어 있다.
이 압축코일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누름봉(32)이 아랫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제1도에 나타낸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름봉(32)의 아랫방향에는 기어붙이 모터(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붙이 모터(36)는 감속수단으로서의 기어를 내장하고 있다.
기어붙이 모터(36)의 출력축에는 캠(37)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캠(37)의 캠면(37a)에 누름봉(32)의 하단부가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조(17)의 밸런스링(38) 윗면부에는 제3도와 제4도와 같이 마그네트(39)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물받이조(12)의 상단면에 부착된 조커버(40)의 아랫면부에는 리드스위치(41)가 나사에 의해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들 마그네트(39) 및 리드(lead)스위치(41)에 의해 위치검출센서(42)가 구성된다.
이 위치검출센서(42)는 회전조(17)의 회전위치를 일정위치 즉, 전술한 배수구(23) 및 밸브기구(24)와 구동부(29)등이 대향하고 있는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일정위치에서 리드스위치(41)에 마그네트(39)가 대향해서 근접함으로써 리드스위치(41)가 "on"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조(17)내에는 저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장된 커버부재(43)(44)가 예를 들어 대칭위치(제2도중 좌우)로 장착되어 있다. 이들 커버부재(43)(44)와 회전조(17) 각각의 사이에는 홈모양으로 연장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구동기구(15)에 대해서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기구(15)는 모터(14)의 회전력을 세탁시에는 교반체(20)에 감속시켜 전달하고, 탈수시에는 회전조(17) 및 교반체(20)로 전달하여 양쪽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5도와 같이 감속장치(45), 클러치 기구(46) 및 브레이크장치(47) 등을 내장하고 있다.
구동기구(15)의 케이스(48)는 상부케이스(48a)와 하부케이스(48b)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물받이조(12)의 외저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탈수축(19)은 상부중공축(49)과 하부중공축(50) 등을 기어케이스(51)에 의해 연결 일체화하여 구성하고 있다.
기어케이스(51)는 감속장치(45)의 케이싱으로서 기어케이스 본체(51a)와 이것의 하면개구부를 닫는 덮개(51b)등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기어케이스 본체(51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51c)가 전술한 상부중공축(49)에 연결되고, 덮개(51b)의 하부에는 전술한 하부중공축(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탈수축(19)중에서 상부중공축(49)은 상부케이스(48a)에 축베어링(52)이 끼워져서 지지되고, 하부중공축(50)은 하부케이스(48b)에 축베어링(53)이 끼워져서 지지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기어케이스(51)내에는 감속을 위해서 유성기어기구(54)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세탁축(21)은 전술한 유성기어기구(54)의 출력축이다.
또, 유성기어기구(54)의 입력축인 구동축(55)은 모터(14)로부터의 회전력을 벨트 전달기구(56) 및 연결축(57)을 통해서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기구(46)는 클러치 스프링(58), 그 하부에 클러치슬리브(59) 및 클러치 레버(60)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클러치레버(60)는 브레이크 레버(61)와 같이 후술하는 전자석(62)(제8도 참조)등에 의해 이동제어된다. 그러면 전술한 브레이크장치(47)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기어케이스 본체(51a)의 바깥둘레에는 브레이크드럼(63)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드럼(63)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밴드(64)는 이 브레이크드럼(63)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그 일단부가 하부케이스(48b)에 고정된 피봇축(6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부케이스(48b)의 피봇축(6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브레이크레버(61)에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밴드(64)의 브레이크드럼(63)과 접촉하는 면에는 브레이크슈(64a)가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레버(61)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장코일 스프링등에 의해 항상 브레이크밴드(64)가 브레이크드럼(63)에 조여 붙여지도록 회전 운동력이 가해진다. 또한, 브레이크레버(61)는 전자석(62)이 통전되었을때에 브레이크밴드(64)가 풀어지기 쉬운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브레이크드럼(63)의 상부 테두리부에는 절단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부(63a)에 맞춰지는 잠금레버(66)는 피봇축(67)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케이스(48)에 설치되어 있다. 잠금레버(66)는 압축코일 스프링(68)에 의해 항상 절단부(63a)에 걸어 맞춰지도록 회전 운동력이 가해진다.
또한, 잠금레버(66)는 전자석(69)에 의해 절단부(63a)와의 걸어 맞춰짐이 해제되도록 회전 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들 잠금부재(66), 전자석(69), 압축코일 스프링(68) 및 절단부(63a) 등으로 잠금장치(70)가 구성된다.
잠금레버(66)의 부근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71)(제6도 참조)는 전사석(69)이 통전 구동되었을 때 즉, 잠금레버(66)가 절단부(63a)로부터 걸어맞춤이 풀린상태로 되었을때에 걸어맞춤 풀림검출 신호로서 "on"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회전조(17)의 내면부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전극편(73a,)(73b)(73c)이 높이를 「저」「중」「고」로 다르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조(17)의 상단부, 이 경우 특히 밸런스링(38)의 윗면부에는 전술한 전극편(73a)(73b)(73c)과 동수의 제1전극판(74a)(74b)(74c)이 회전조(17)의 회전방향으로 균등하게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제1전극판(74a)(74b)(74c)과 전극편(73a)(73b)(73c)등이 각각 리드선(75a)(75b)(75c)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회전조(17)의 밸런스링(37) 윗면부와 대향하는 비회전부재, 이 경우 전술한 조커버(40)의 밑면부에는 제1전극판(74a)(74b)(74c)과 동수의 제2전극판(76a)(76b)(76c)이 제1전극판(74a)(74b)(74c)과 각각 쌍을 이루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회전조(17)의 회전방향으로 균등하게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조(17)가 전술한 일정위치로 회전 위치했을 때, 제1전극판(74a)(74b)(74c)과 제2전극판(76a)(76b)(76c)이 각각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된 제2전극판(76a)(76b)(76c)은 제어장치(77)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술한 구동기구(15)에는 예를 들어 10[kHz]의 정현파형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기(7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제8도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장치(77)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77)는 세탁운전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이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전술한 모터(14), 기어붙이 코너(36), 전자석(62)(69)과 아울러 회전조(17)내에 급수하도록 설치된 급수밸브(79)등의 부하를 구동회로(80)∼(84)등을 통해서 통, 단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77)는 전술한 위치검출센서(42)의 리드스위치(41)로부터 회전조(17)의 회전위치에 대한 위치검출신호 및 마이크로스위치(71)로부터의 스위치신호를 받는 동시에, 전술한 제2전극판(76a)(76b)(76c)으로 브타의 수위검출신호를 아날로그스위치(85a)(85b)(85c)로 구성되는 신호접수 전환회로, 필터(86), 앰프(87), 컴퍼레이터(88)의 순서를 통하여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또, (89)(90)은 직류전원 전압를 분압하는 저항이다.
이어서 전술한 구성의 작용을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며하기로 한다.
우선, 회전조(17)내로 급수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급수시에는 처음에 회전조(17)를 일정위치로 회전위치시켜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하, 이 제어에 대해서 제9도의 플로어챠트를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브레이크장치(47)의 전자석(62)를 통전하게 함으로써 회전조(17)를 비제동상태로 함과 동시에, 전자석(69)을 통전하게 함으로써 잠금레버(66)를 브레이크드럼(63)의 절단부(63a)에 대해서 걸어맞춤이 풀린 상태로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우선 모터(14)를 제어장치(77)에 의해 전력 컷트방식으로 통전시켜 회전조(17)를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1a도와 같이 예를 들어 교류 전원파형이 1파형 "on"(사선영역이 "on"을 나타냄), 4파형 "off"의 반복으로 통전시킴으로써 회전조(17)를 약 30rpm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는 전술한 회전속도로 3회전(위치검출센서(42)의 리드스위치(41)로부터 위치검출신호가 3회 출력되기까지 회전) 회전시켜서 회전조(17)가 1회전하는데에 필요한 시간을 계측한다.
구체적으로는 3회전째 즉, 2회째의 위치검출신호가 출력된 후 3회째의 위치검출신호가 출력되기까지의 시간, 카운터(x)를 증가한다(스텝 S1-5).
그후, 회전조(17)를 같은 회전속도로 7 내지 8회전시켜서 모터(14)를 단전시키거나 또는 전자석(62)을 단전시키거나 하여 브레이크장치(47)에 의해 회전조(17)를 제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카운터(Y)에 카운터(X)의 카운터 수치 7 내지 8을 대입하여 전술한 카운터(Y)를 감소시켜 「0」가 되었을 때에 브레이크장치(47)에 의해 회전조(17)을 제동한다(스텝 S6-10).
이에 따라 회전조(17)에서는 제10도와 같이 마그네트(39)가 리드스위치(41)의 전방 10-300mm 정도의 범위내에 위치하여 정지한다. 그후, 회전조(17)를 더욱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1b도와 같이 예를 들어 교류 전원파형이 1파형 "on"(사선영역 "on"을 나타냄), 6파형 "off"의 반복을 하여 통전함으로써, 회전조(17)를 약 1rpm으로 회전시킨다(스텝 S11).
이 회전속도는 브레이크장치(47)에 의해 회전조(17)를 제동했을 때 회전조(17)가 즉시 정지되는 회전속도이다. 그리하여, 이 저속회전 속도에 의해 회전조(17)가 일정위치에 이르면 리드스위치(41)로부터 위치검출신호가 출력되고, 이 위치검출신호에 따라 모터(14)를 제동하여 정지시킨다(스텝 S12, 13).
그 결과, 마그네스(39)가 리드스위치(41)와 대향한 상태, 즉 제1전극판(74a)(74b)(74c)과 제2전극판(76a)(76b)(76c)이 각각 대향된 상태로, 그와 동시에 밸브기구(24)와 구동부(29)도 대향된 상태로 회전조(17)가 정지된다.
계속하여 예를 들어 약 3초 경과후에 전자석(69)을 단전시킴으로써 잠금레버(66)를 브레이크드럼(63)의 절단부(63a)에 걸어맞추어 회전조(17)를 고정시킨다(스텝 S14, 15).
이어서 이 상태에서 급수밸브(79)가 통전되어 개방되고, 회전조(17)내로 급수가 개시된다. 이때 배수구(23)는 밸브기구(24)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물은 회전조(17)내에만 저장된다.
그리하여 급수시간의 경과와 함께 회전조(17)내의 수위가 상승되고, 그 수위가 최하단의 전극편(73a) 부분에 도달하여 그 수면이 전극편(73a)에 닿게되면, 이 전극편(73a)과 발진기(78)가 구동기구(15) 및 회전조(17) 내에 저장된 물을 통해서 도통된다.
그 결과, 발진기(78)로부터 출력신호가 전극편(73a)으로 전해진 후, 다시 그 전극편(73a)가 전기접속된 제1전극판(74a)으로 전해져서 이 제1전극판(74a)에 대향하여 정전 결합된 제2전극판(76a)으로 다시 전해진다.
여기서 회전조(17)내의 수위가 전술한 전극편(73a)이 위치해 있는 「저」위치에서 정지해 있고, 신호접수 전환회로의 아날로그 스위치(85a)가 유효하게 되어 있으면, 전술한 제2전극판(76a)으로 전해진 신호는 이어서 아날로그 스위치(85a)로부터 필터(86)를 통해 소음이 제거된 후, 앰프(87)에 의해 증폭되어 저항(89)(90)에서 분압된 전압값 이상이 되어 컴퍼레이터(88)를 거쳐 제어장치(77)에 수위검출신호로서 입력된다.
이에따라 급수에 의한 회전조(17)내의 저장수위가 「저」위치의 전극편(73a)부분에 도달한 것이 검지된다.
이에 대해서 급수에 의한 회전조(17)내의 저장수위를 전술한 전극편(73a)이 위치한 「저」위치를 대신하여 전극편(73b)이 위치한 「중」위치에 정지해 있고, 신호접수 전환회로의 아날로그 스위치(85b)가 유효하게 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장치(77)에는 회전조(17)내의 저장수위가 전극편(73b)부부에 도달하여 그 수면이 전극편(73b)에 닿자마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극판(74b), 제2전극판(76b), 아날로그 스위치(85b)등을 거쳐 수위검출신호가 입력되어 회전조(17)내의 저장수위가 「중」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지된다.
또한, 급수에 의한 회전조(17)내의 저장수위가 전술한 전극편(73b)이 위치해 있는 「중」의 위치를 대신해 「고」위치에 정지해 있고, 신호접수 전환회로의 아날로그 스위치(85c)가 유효하게 있다고 한다면, 제어장치(77)에는 회전조(17)내의 저장수위가 전극편(73c)부분에 도달하고, 그 수면이 전극편(73c)에 닿자마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극판(74c), 제2전극판(76c), 아날로그 스위치(85c)등을 거쳐 수위검출신호가 입력되어 회전조(17)내의 저장수위가 「고」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출된다.
또한, 그 어느쪽 경우라도 필요한 수위를 검지하였으면 급수밸브(79)를 단전시켜 닫히도록 하고, 그 대신에 모터(14)를 통전 기동시킴으로써 교반체(20)를 회전하게 하여 세탁운전을 개시한다.
이어서 회전조(17)내의 물을 배출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세탁운전등이 중료된 후에는 전술한 잠금장치(70)에 의해 회전조(17)가 일정위치에서 정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제1도와 같이 회전조(17)의 배수구(23) 및 밸브기구(24)와 구동부(29)등이 대향하여 있게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구동부(29)의 기어붙임 모터(36)를 통전시킴으로써 캠(37)을 제1도의 제2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까지 회전시켜 누름봉(32)을 윗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누름봉(32)이 밸브(25)의 지지봉부(25a)의 하단부와 맞닿아 이것을 밀어올림으로써 배수구(23)가 개방된다.
그 결과 회전조(17)내의 물은 전술한 배수구(23)를 통하여 물받이조(12)내로 배출되고, 물받이조(12)내에서 배수호스(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탈수운전을 실시할 경우에는 기어붙임 모터(36)를 단전시키거나 역전 통전시킴으로써, 캠(37)을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까지 역전시켜 누름봉(32)을 아랫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밸브(25)가 압축코일 스프링(26)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수구(23)를 닫는다. 이와함께 전자석(62)을 통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장치(47)에 의해 회전조(17)를 비제동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전자석(69)을 통전시킴으로써 잠금레버(66)를 브레이크드럼(63)의 절단부(63a)와 걸어맞춤이 풀린 상태로 되게한다. 이 상태로 모터(14)와 통전시켜 회전조(17)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이에따라 회전조(17)내에 세탁물에 포함된 물이 원심탈수되고, 이 물이 회전조(17)의 상단부에 있는 탈수구인 소구멍(18)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헹굼운전을 실시하기 위해서 회전조(17)내에 급수를 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조(17)를 일정위치로 회전위치시켜 정지시키는 제어를 한 후 급수를 실시한다.
그리고, 세탁 혹은 헹굼시에는 제2도와 같이 교반체(20)의 회전에 의해 이 교반체(20) 뒷날개(20a)의 펌프작용을 받은 물이 커버부재(43)에 형성된 통수공(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커버부재(43)와 회전조(17) 사이의 공간으로 흡인되어 뒷날개(20a) 부분을 향해 유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뒷날개(20a)의 펌프작용을 받은 물이 커버부재(44)와 회전조(17)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커버부재(44)의 상단부에 장착된 린트필터(44a)를 향해서 유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조(17)는 탈수구로서 소구멍(18)을 상단부에만 갖고 있기 때문에 세탁시에는 회전조(17)내에만 물이 저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받이조(12)와 회전조(17) 사이에 세탁액이 쌓이는 일이 없어져 물받이조(12) 내면과 회전조(17) 외면에 비누찌꺼기등이 달라붙기 어렵게 되고, 설령 달라붙게 되더라도 그것이 회전조(17)내로 역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세탁물이 오염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시에는 구동부(29)의 누름봉(32)을 윗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밸브기구(24)의 밸브(25)를 개방구동시켜 배수구(23)를 개방하고, 회전조(17)내의 물을 그 저부의 배수구(23)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배수시에 다량의 물이 날려져 물받이조(12)와 부딪치는 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큰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조(17)내의 물이 저부의 배수구(23)에서 배출될 때, 모래나 먼지등의 이물질도 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이 이물질이 회전조(17)의 내저부에 쌓이는 일이 없게 된다.
그밖에도 회전조(17)를 일정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로 구동부(29)의 누름봉(32)을 윗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기구(24)의 밸브(25)를 개폐구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기구(24)의 개폐동작이 확실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의 경우, 배수구(23)의 개방량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종래의 구성(제19도 및 제20도)과는 달리 배수성능이 안정화되어 있고, 배수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하는 것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치검출센서(42)를 설치하고, 회전조(17)가 일정위치에 회전위치했을때에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위치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조(17)를 일정위치에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회전조(17)를 저속회전시킬 경우 회전조(17)가 일정위치의 전방 10∼300mm 정도의 범위내에 위치하기까지 비교적 빠른 저속도로 회전시켜 일단 정지시킨 후, 회전조(17)를 매우 느린속도로 회전시켜 회전조(17)가 일정위치에 정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회전조(17)를 매우 느린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회전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회전조(17)를 일정위치로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전체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조(17)가 일정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회전조(17)를 일정위치로 고정하는 잠금장치(70)를 설치하여, 이 잠금장치(70)에 의해 회전조(17)를 고정한 상태로 밸브기구(24)를 개폐구동시켜 회전조(17)의 배수구(23)를 개폐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밸브기구(24)의 작동시에 회전조(17)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밸브기구(24)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조(17)내로 급수를 한 후, 잠금장치(70)에 의해 회전조(17)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 및 헹굼시에 회전조(17)가 같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전조(17)의 내측에 배수구(23)를 개폐하는 밸브(25)를 설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회전조(17)내에 물을 저장할 때, 수압이 밸브(25)를 닫도록 작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조(17)의 탈수구(소구멍 18)가 상단부에만 있기 때문에 물받이조(12)까지 물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물을 절약할 수가 있다.
그 이외에 회전조(17)의 내면에 전극편(73a)(73b)(73c)을 높이가 다르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각 위치에 따라 보수의 수위가 검출되어, 세탁물의 양에 따른 각각의 최적의 수위로 세탁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수위검출시에 회전조(17)를 일정위치로 정지시켜서 제1전극판(74a)(74b)(74c)과 제2전극판(76a)(76b)(76c)의 각각 대향하는 수위검출을 실시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들 전극판(74a)∼(74c),(76a)∼(76c)을 각각 부분적으로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고리모양같이 크게 설치할 필요도 없어 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혹은 전극판을 고리모양으로 설치했을 때에는 소위 점프배선의 필요가 생겨 배선처리가 복잡해지지만, 그러한 필요도 없이 보다 더 합리적이고 쉬운 구조를 실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위를 3단계로 검출하도록 하였지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의 단계에서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 회전조(17)의 탈수구로는 그 회전조의 벽을 뚫어 설치되는 소구멍(18)에 의해서가 아니라, 조상단과 밸런스링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탈수구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물받이조(12)와 바깥상자(11)와는 별개로 하였지만, 그 대신에 물받이조와 바깥상자를 겸용하여도 좋고, 이 경우 예를 들어 바깥상자내를 상하로 칸막이하여 그 상부에 물받이조로서 안쪽방향으로 회전조를 설치하고, 하부에 모터등의 구동기구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극편(73a)(73b)(73c)에 의해 회전조(17)내의 수위를 검출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회전조의 윗방향에 초음파 발진기 및 수면에서 반사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기를 설치하여 회전조내의 수면의 높이를 초음파로 검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급수시에 있어서 회전조를 일정위치에 정지시키는 제어가 불필요하게 되지만, 배수시에 있어서는 밸브기구를 개폐구동하기 전에 회전조를 일정위치에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하면 좋다.
한편,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실시예와 다른것에만 다른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2도에 있어서 회전조(17)의 저부에는 배수구(23)를 대신하여 또다른 배수구(9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구(91)를 회전조(17) 내측에서 개폐시키는 밸브(92)는 회전조(17)의 내주에 장착된 커버부재(43)의 하부뒷면의 아랫방향을 향해서 뚫어져 설치된 지지부(93)에 압축코일 스프링(94)을 개재시켜서 장착되어 있다.
밸브(92)에는 압축코일 스프링(94)에 의해 항상 배수구(91)를 닫고 있도록 힘이 가해진다.
전술한 밸브(92)의 좌단부에는 인상부재(95)가 회전조(17)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인상부재(95)는 제12도 내지 제14도와 같이 커버부재(43)와 회전조(17)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밸런스링(38)에 설치된 오목부(96)내를 통해서 이 밸런스링(38)의 윗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인상부재(95)의 상단부에는 직각으로 구부러진 걸어맞춤부(95a)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인상부재(95), 밸브(92), 압축코일 스프링(94) 및 지지부(93)등으로 밸브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커버(40)의 윗면에는 지지볼록부(97)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볼록부(97)에 레버(98)가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레버(98)의 조단부에는 그 하단부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걸어맞춤부(99a)를 갖고 있는 인상봉(99)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인상봉(99)는 조커버(40)를 관통하여 회전조(17)의 윗부분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회전조(17)가 일정위치에 정지해 있는 상태로, 인상봉(99)의 걸어맞춤부(99a)와 인상부재(95)의 걸어맞춤부(95a)등이 제12도와 같이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커버(40)의 외주부에 설치된 수용부(100)내에는 전자석(10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자석(101)에 의해 레버(98)가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전자석(101), 레버(98) 및 인상봉(99)등으로 구동부(102)가 구성된다.
이 경우 구동부(102)는 물받이조(12)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런데, 전술한 구동부(102)의 전자석(101)이 통전되면 레버(98)가 좌회전하여 인상봉(99)이 윗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인상봉(99)의 걸어맞춤부(99a)가 인상부재(95)의 걸어맞춤부(95a)와 걸어맞춰져서 인상부재(95)가 인상된다.
이에 따라 밸브(92)가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구수(91)가 개방된다.
또한, 전자석(101)이 단전되어 있을 때에는 레버(98)가 제12도에 나타낸 상태까지 되돌아가 인상봉(99)이 아랫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되면, 이 인상봉(99)의 걸어맞춤부(99a)와 인상부재(95)의 걸어맞춤부(95a)가 풀린 상태가 되어 밸브(92)가 배수구(91)를 닫게 된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구동부(102)를 물받이조(12)의 상부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는 달리 물받이조(12)의 저부에 구동부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벨로우즈(33)등의 방수구조가 불필요하게 되어 물받이조(12)에서 물이 새는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제1실시예와 다른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5도에 있어서 회전조(17)의 저부에는 배수구(23)를 대신하여 배수구(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구(103)를 회전조(17)의 외저부측에서 개폐시키는 밸브(104)는 구동부(29)의 누름봉(105)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누름봉(105)의 상단부에는 배수구(103)와 거의 같은 크기의 판부재(106)가 부착되어 있고, 이 판부재(106) 및 누름봉(105)의 상단부를 덮도록 벨로우즈(10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벨로우즈(107)은 물받이조(12)의 관통구(30)를 닫도록 둘레 가장자리부가 물받이조(12)의 외저부에 부착판(3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밸브(104)는 물받이조(12)의 저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5도와 같이 윗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회전조(17)의 배수구(103)를 닫고, 제16도와 같이 아랫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전술한 배수구(103)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지만 특히, 회전조(17)에는 배수구(103)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밸드등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회전조(17)의 구조를 간단화, 경량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수시에 있어서는 회전조(17)를 고속회전시키기 때문에 회전조(17)의 경량화는 바람직하다.
제17도 및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실시예에서와 다른 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7도에 있어서 회전조(17)의 저부에는 배수구(23)를 대신하여 또다른 배수구(108)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조(17)의 바깥저부 배수구(108)의 근방에는 지지볼록부(109)가 아랫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이 지지볼록부(109)에 레버부재(110)가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레버부재(110)의 일단측인 우측단부에는 전술한 배수구(108)를 회전조(17)의 외저부측에서 개폐시키는 밸브(111)가 부착되어 있다.
또, 레버부재(110)의 타단축에는 평판상태를 이룬 누름부(110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부재(110)에는 밸브(11)가 배수구(108)를 닫도록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진다.
이 경우 레버부재(110), 밸브(11) 및 지지볼록부(109)등으로 밸브기구가 구성된다.
한편, 물받이조(12)의 외저부에는 레버부재(110)의 누름부(110a)에 대응하여 구동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부(112)는 제1실시예의 구동부(29)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누름봉(113), 벨로우즈(114), 스프링받이(115), 압축코일 스프링(116), 기어붙이 모터(117) 및 캠(118)등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구동부(112)의 기어붙이 모터(117)를 통전시킴으로써, 캠(118)이 제18도와 같이 회전하여 누름봉(113)을 윗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럼으로써, 누름봉(113)이 레버부재(110)의 누름부(110a)를 밀어올려 레버부재(110)가 우회전하게 되고, 밸브(111)가 아랫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수구(108)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회전조(17)의 외측에 배수구(108)를 개폐시키는 밸브(111)를 설치하여 이 밸브(111)가 레버부재(110)를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밸브(111)의 개폐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부재(110)의 회전각도 및 그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밸브(111)의 이동 행정 또는 배수구(108)의 개방량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배수성능이 한층 안정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로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외조와 회전조 사이가 위생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밖에도 배수성능을 안정화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위치검출센서를 구비하여 회전조가 일정위치에 회전 위치했을 때에 위치검출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술한 청구항 1의 세탁기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위치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회전조를 일정위치에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잠금장치에 의해 일정위치에 정지해 있는 회전조를 고정된 상태로 하여 회전조의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1 또는 2의 세탁기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밸브기구의 작동시에 회전조가 움직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밸브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밸브기구에 회전조의 내측에서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 1 또는 2의 세탁기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회전조내에 물을 저장했을 때에 수압이 밸브를 닫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회전조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회전조내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에 회전조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인상부재를 연장 설치한 동시에, 이 인상부재를 들어올리는 구동부를 외조의 상부부위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1 또는 2의 세탁기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외조에서 물이 새는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청구항 6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회전조에는 배수구만을 형성시키고, 이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외조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1 또는 2의 세탁기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더하여 회전조내의 배수구 부근이 개방되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의 배출이 한층 쉬우며, 회전조의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밸브기구에 회전조의 외저부에 축으로 지지된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이 레버부재의 일단측에 회전조의 외측에서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밸브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청구항 1 또는 2의 세탁기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더하여 밸브의 이동 행정 또는 배수구의 개방량설정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7)

  1. 물받이조와, 이 물받이조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탈수구를 상단부에만 갖고 있는 탈수겸 세탁용 회전조와, 이 회전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장치와, 전술한 회전조의 저부에 설치된 배수구와, 이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기구와, 이 밸브기구를 개폐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전술한 회전조의 물받이조에 대해 일정위치를 검출하는 일정위치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의 결과에 의거하여 회전조가 일저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 전술한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등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일정위치 검출수단은 회전조가 일정위치로 회전위치했을 때에 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센서를 갖고 있고, 이 위치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전술한 제어부가 전술한 브레이크장치를 통해서 회전조를 일정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회전조를 일정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갖추고 있고, 이 잠금장치에 의해 전술한 회전조를 고정된 상태로 회전조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밸브기구는 전술한 회전조의 내부에서 배수구를 덮는 개폐가능한 밸브를 갖추고 있고, 전술한 구동부는 이 밸브를 눌러올려 배수구를 개방시키는 상하 이동 가능한 누름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밸브기구는 전술한 회전조의 내부에서 배수구를 덮는 개폐가능한 밸브와, 이 밸브에 회전조의 상당부까지 연장되도록 연장 설치된 인상부재등을 갖추고 있으며, 전술한 구동부는 인상부재를 들어올려 배수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밸브기구는 전술한 외조의 저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윗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회전조의 배수구를 닫고, 아랫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배수구를 개방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술한 밸브기구는 전술한 회전조의 외저부에 축으로 지지된 레버부재와, 이 레버부재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회전조의 외측에서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등을 갖추고 있고, 전술한 구동부에는 전술한 레버부재의 타단부를 눌러올려 밸브를 아랫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수구를 개방하는 상하 이동가능한 누름부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10005179A 1990-03-30 1991-03-28 세탁기 KR950002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5712A JPH03284295A (ja) 1990-03-30 1990-03-30 洗濯機
JP2-085712 1990-03-30
JP02-085712 199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016A KR910017016A (ko) 1991-11-05
KR950002007B1 true KR950002007B1 (ko) 1995-03-08

Family

ID=1386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179A KR950002007B1 (ko) 1990-03-30 1991-03-28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52159A (ko)
JP (1) JPH03284295A (ko)
KR (1) KR950002007B1 (ko)
GB (1) GB224244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810A1 (ko)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42426A (ko) * 2015-08-31 2018-04-25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절수 세탁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기
KR20180042428A (ko) * 2015-08-31 2018-04-25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배수제어기구 및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6441A (en) * 1996-12-31 1998-07-28 Bridgestone Corporation Polymers, elastomeric compounds and products thereof, derived from novel amine compounds containing side-chain organolithium moieties
US6422047B1 (en) * 2000-05-04 2002-07-23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with unbalanc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ATE498346T1 (de) * 2003-02-06 2011-03-15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KR100615569B1 (ko) * 2003-02-06 200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및 그 구동장치
DE202007002626U1 (de) * 2007-02-22 2007-04-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DE102007016074A1 (de) 2007-04-03 2008-10-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7049061A1 (de) * 2007-10-12 2009-04-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CN103282573B (zh) * 2010-12-27 2016-06-08 大宇电子株式会社 自动洗衣机
CN103898708B (zh) * 2012-12-27 2018-02-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电磁式排水系统及洗衣机
JP6345974B2 (ja) * 2014-04-25 2018-06-20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2255385B1 (ko) * 2014-05-30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5624988A (zh) * 2014-11-05 2016-06-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全自动洗衣机
CN105986416B (zh) * 2015-01-30 2019-04-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能定位内桶的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9881438B (zh) 2015-02-04 2021-04-27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的锁止机构及洗衣机
CN104593990B (zh) * 2015-02-04 2017-01-11 熊文 一种内外桶封闭隔离结构的洗衣机
CN105986429B (zh) * 2015-02-04 2019-11-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的排水控制机构及洗衣机
CN105986404B (zh) * 2015-02-10 2024-02-23 宁国聚隆减速器有限公司 一种自动封闭式节水洗衣机
CN105986431B (zh) * 2015-02-13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排水结构
CN105986405B (zh) * 2015-02-13 2023-10-24 宁国聚隆减速器有限公司 一种活塞式节水洗衣机
CN105986430B (zh) * 2015-02-13 2019-08-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排水结构
CN106032618B (zh) * 2015-03-20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自动定位内桶的控制方法
US10179963B2 (en) 2015-07-27 2019-01-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CN106480647B (zh) * 2015-08-31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内桶的锁止机构及洗衣机
CN106480646B (zh) * 2015-08-31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内桶的锁止机构及洗衣机
CN106544818B (zh) * 2015-09-17 2020-06-30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环保型节水工作方法及其洗衣机
CN111270475B (zh) * 2015-09-17 2023-05-30 宁国聚隆减速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环保型节水工作方法及其洗衣机
CN106544829B (zh) * 2015-09-17 2020-06-30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环保型节水工作方法及其洗衣机
CN106544812B (zh) * 2015-09-17 2020-08-21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环保型节水工作方法及其洗衣机
CN106637839B (zh) * 2015-10-29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的排水结构及洗衣机
CN106702662B (zh) * 2015-11-12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桶间无水洗衣机及控制方法
CN111455633B (zh) * 2015-11-30 2022-08-23 宁国聚隆减速器有限公司 一种环保型节水洗衣机及其工作方法
CN106906617B (zh) * 2015-12-22 2020-06-30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节水洗衣机及其工作方法
CN107287840A (zh) * 2016-04-11 2017-10-24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多功能内筒的水开关封水装置
CN107287842A (zh) * 2016-04-11 2017-10-24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的水开关装置及其洗衣机
CN107287841A (zh) * 2016-04-11 2017-10-24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减速离合器的水开关开启装置
CN107630333B (zh) * 2016-07-18 2021-04-02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无孔内桶洗衣机排水装置及其洗衣机
CN107794693A (zh) * 2016-09-06 2018-03-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内外桶间无水的洗衣机
JP2018068648A (ja) * 2016-10-28 2018-05-10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CN106637795B (zh) * 2016-11-22 2020-02-1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免清洗节水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6757963B (zh) * 2016-11-22 2020-07-14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免清洗节水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2570957B1 (ko) * 2017-01-12 2023-08-28 주식회사 에스 씨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 모터
CN108396518B (zh) 2017-02-06 2021-05-14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625089A (zh) * 2017-03-16 2018-10-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796973B (zh) * 2017-04-28 2022-06-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796965B (zh) * 2017-04-28 2022-07-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796964B (zh) * 2017-04-28 2022-04-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797019B (zh) * 2017-04-28 2022-03-1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排水结构
CN108930122A (zh) * 2017-05-26 2018-12-0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9423846B (zh) * 2017-08-24 2021-12-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排水装置及洗衣机
CN110144696A (zh) * 2018-02-12 2019-08-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0144705A (zh) * 2018-02-12 2019-08-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0144700B (zh) * 2018-02-12 2022-11-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脱水控制方法
CN110820256A (zh) * 2018-08-09 2020-02-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排水密封装置及洗衣机
CN110820257A (zh) * 2018-08-09 2020-02-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排水密封装置及洗衣机
CN111041760B (zh) * 2018-10-12 2023-04-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CN111058248B (zh) * 2018-10-17 2022-04-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设备
CN111139629B (zh) * 2018-10-17 2022-04-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设备
CN111058229B (zh) * 2018-10-17 2022-04-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排水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1139626B (zh) * 2018-10-17 2022-07-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排水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1058245B (zh) * 2018-10-17 2022-07-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1058247B (zh) * 2018-10-17 2022-08-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排水装置及洗衣机
WO2020078365A1 (zh) * 2018-10-17 2020-04-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排水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1058246B (zh) * 2018-10-17 2022-12-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排水装置及洗衣机
CN111155264B (zh) * 2018-10-19 2022-03-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CN111088650B (zh) * 2018-10-23 2022-07-12 佛山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的控制方法
CN111254645B (zh) * 2018-11-15 2022-07-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1188160B (zh) * 2018-11-15 2022-07-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封水装置及洗衣机
CN110565338B (zh) * 2019-09-25 2023-0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排水装置和洗衣机
CN113389014B (zh) * 2020-03-11 2024-06-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4318776A (zh) * 2020-09-30 2022-04-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877984B (zh) * 2021-01-12 2022-04-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以及洗衣机控制方法
WO2022151962A1 (zh) * 2021-01-12 2022-07-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内桶法兰组件及洗衣机
CN113089274B (zh) * 2021-03-23 2022-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涤桶组件、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5216933A (zh) * 2021-04-19 2022-10-2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CN113308853B (zh) * 2021-06-09 2023-08-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排水机构、洗衣机及控制方法
JP2024520869A (ja) * 2021-06-15 2024-05-2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内槽フランジ組立体及び洗濯機
CN113832670B (zh) * 2021-11-02 2023-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CN114351398A (zh) * 2021-12-06 2022-04-1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分桶洗衣机
CN115074955B (zh) * 2022-07-15 2023-05-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装置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1700A (en) * 1939-10-24 1943-10-12 Apex Electrical Mfg Co Combined clothes washer and extractor
JPS57194481A (en) * 1974-07-30 1982-11-30 Tdk Electronics Co Ltd Radio wave leakage preventing device for microwave heater
JPS5415913A (en) * 1977-07-06 1979-02-06 Nippon Youro Kk Method of making reinforced ceramic acoustic materia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426A (ko) * 2015-08-31 2018-04-25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절수 세탁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기
KR20180042428A (ko) * 2015-08-31 2018-04-25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내통의 배수제어기구 및 세탁기
WO2017217810A1 (ko)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7285867B2 (en) * 2016-06-17 2019-1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52159A (en) 1992-10-06
KR910017016A (ko) 1991-11-05
GB9106178D0 (en) 1991-05-08
JPH03284295A (ja) 1991-12-13
GB2242444B (en) 1994-04-20
GB2242444A (en) 1991-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007B1 (ko) 세탁기
JPH03284294A (ja) 洗濯機
KR100545967B1 (ko) 전기 세탁기의 교반 장치
KR20180025633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JPH0461896A (ja) 洗濯機
JPH09201489A (ja) 洗濯機
JPH042398A (ja) 洗濯機
JPH0919238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3284285A (ja) 洗濯機
KR200205100Y1 (ko) 보조바스켓을 갖춘 세탁기
KR20040069135A (ko) 드럼 세탁기의 리프트
KR100295965B1 (ko) 분리세탁이가능한세탁기
KR101082886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 방법
TWI666356B (zh) washing machine
KR101032553B1 (ko) 세탁조가 상하로 왕복하는 전자동세탁기
KR101082882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 방법
KR200165755Y1 (ko) 드럼 세탁기의 사이펀 기능 조정장치
JP3041166B2 (ja) 洗濯機
JP2001120879A (ja) 洗濯機
JPS6229076B2 (ko)
KR200150332Y1 (ko) 세탁기의 세탁물 이탈방지장치
KR100249215B1 (ko) 전자동세탁기용펄세이터
JPH0527171Y2 (ko)
JPH03133490A (ja) 洗濯機
JP2004321636A (ja) 全自動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