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34B1 - 전자연료 분사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연료 분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34B1
KR950001334B1 KR1019870012730A KR870012730A KR950001334B1 KR 950001334 B1 KR950001334 B1 KR 950001334B1 KR 1019870012730 A KR1019870012730 A KR 1019870012730A KR 870012730 A KR870012730 A KR 870012730A KR 950001334 B1 KR950001334 B1 KR 95000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core
layer
valve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453A (ko
Inventor
마사히로 소라마
도꾸오 고스게
도오루 이시가와
히사노부 가나마루
미즈호 요유야마
야스오 가미쓰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모리 미찌쓰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72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58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602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38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24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9537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히다찌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모리 미찌쓰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06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02M51/0682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the body being hollow and its interior communicating with the fue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8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specially for low-pressure fuel-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02M61/145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the injection nozzle opening into the air intake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50Arrangements of springs for valves used in fuel injectors or fuel injection pumps
    • F02M2200/505Adjusting spring tension by sliding spring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90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2M2200/9038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39/00Fluid sprinkling, spraying, and diffusing
    • Y10S239/90Electromagnetically actuated fuel injector having ball and seat typ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자연료 분사밸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의한 전자식 연료 분사 밸브의 단면도.
제2도는 요오크·코어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제3도는 가동부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제5도는 상기 분사밸브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 (1)∼(3)은 상기 분사밸브의 내마모 표면처리 수단을 실시한 구체적 태양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상기 내마모 표면처리 수단의 재질적 경도특성을 나타낸 경도 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사밸브 2 : 코어
3 : 요오크 4 : 플런저
5 : 로드 6 : 보올밸브
7 : 밸브가이드 8 : 시이트면
9 : 스프링 10 : 스프링 조절기
11,19 : O링 13 : 보빈
15 : 코일 16 : 코일조립체
17 : 구멍 18 : 단자
25 : 소켓 30 : 플런저수용부
32 : 밸브가이드수용부 33 : 필터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전자식(電磁式)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식 연료 분사 밸브는 일본국 특공소 56-11071호 공보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단에 밸브체가 타단에 자성재제의 전기자(armature)가 설치된 가동자(可動子)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자를 분사밸브의 축심에 따라 곧바르게 진퇴시키기 위하여 가동자의 밸브체와 전기자를 연결하는 플런저에는 밸브체쪽과 전기자쪽에 각각 하나씩 합계2개소 가이드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기술은 두개의 가이드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2점지지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밸브체를 밸브의 축심에 정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가이드부간의 거리를 밸브의 전체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종래보다 길게 할 수 있게 하여 밸브체를 밸브의 축심에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자식 연료 분사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전기자쪽의 가이드부를 전기자 코어와 코어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비자성재제의 섭동부재에 의하여 전기자를 코어에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달성된다. 또 상기 목적은 전기자 코어와 코어를 동축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비자성재로 형성하여 이 지지부재를 가이드로서 이용하므로서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식 연료 분사 밸브는 가동자의 단부의 전기자 자신을 코어로 안내하게 되므로 밸브전체의 길이를 종래와 같은 길이로 했을 경우 밸브체쪽에 형성된 한쪽의 가이드부와의 사이의 치수가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가동자의 축심이 밸브의 축심에 대하여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에서 가동자를 축방향으로 진퇴시킬 수가 있으므로 밸브체의 밸브시이트의 한쪽닿음이나 분사량의 특성의 재현성이 상실된다는 종래의 문제를 배재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 제2도, 제3도에 따라 설명한다. 자기회로는 유저(有底)통형상의 요오크(3), 요오크(3)의 개구단을 폐쇄하는 마개(栓)체부(2a)와 요오크(3)의 중심으로 뻗는 주상(柱狀)부(2b)로 이루어진 코어(2) 및 코어(2)에 공극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플런저(4)로 이루어진다. 코어(2)의 주상부(26)의 중심에는 플런저(4)와 로드(5)와의 보울밸브(6)로 이루어지는 가동부(4A)를 밸브가이드(7)에 형성된 연료도출구(導出口)의 시이트면(8)에 압압하는 탄성부재로서의 스프링(9)을 삽입지지하기 위한 구멍이 뚫어져 있다. 스프링(9)의 상단은 세트하중을 조정하기 위하여 코어의 중심에 삽통된 스프링 조절기(10)의 하단에 당접하고 있다. 코어와 조절기(10)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외부로 연료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자 사이에 O링(1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코어(2)와 요오크(3) 사이에는 코어와 요오크(3)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연료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O링(12)에 개재장착되어 있다. 자기회로를 여자하는 코일(15)은 보빈(13)에 감겨져 있고, 그 외측을 플라스틱재로 몰드되어 있다.
이들로 이루어진 코일 조립체(16)의 단자(18)는 코어(2)의 칼라 (collar)부에 설치된 구멍(17)에 삽입되고, 단자(18)의 코어(2)의 사이에는 O링(19)이 개재장착되어 있다. 분사밸브(1)의 외측의 몰드수지(이하 요오크몰드라함)(19a)가 형성시에 분사밸브(1) 내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칼라(20)가 구멍(17)의 입구에 씌워져 있다. 코일 조립체(16)의 외주에는 연료중의 기포를 유입측으로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한 링형상의 철(凸)부(21)가 몰드수지(14)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료 및 연료증기의 통로로서 코어(2)와의 간극(22), 상부통로(23), 하부통로(24)가 설치되어 있다. 요오크(3)의 외주에는 링형상홈(27)이 형성되어 있어 분사밸브(1)와 케이싱체로서의 소켓(25)과의 간극으로부터 연료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O링(26)이 거기에 지지되어 있다. 요오크(3)의 주위에는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통로(28) 및 분사밸브중에 고인 기포를 포함하는 여분의 연료를 유출시키는 유출통로(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요오크(3)의 유저부(有底部)에는 가동부(4A)를 수용하는 플런저수용부(30)가 설치되어 있고, 다시 플런저수용부(30)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여기에 스토퍼(31) 및 밸브가이드(7)를 수용하는 밸브가이드수용부(32)가 요오크 선단까지 관통설치되어 있다. 또, 요오크(3) 외주에는 연료유입통로(28)로부터 연료중 및 배관중의 먼지나 미물이 밸브시이트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링형상필터(33)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15)에 제어유니트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34)는 단자(18)에 접합되어 있다.
이들 단자는 몰드수지에 의하여 전자밸브 조립체의 상단에 몰드되어 몰드콘넥터(35)를 형성한다. 가동부 자성재제 플런저(4)와 일단이 플런저(4)에 접합된 로드(5)와 로드(15)의 타단에 접합된 보울밸브(6)와 플런저(4)의 상단 개구부에 고정된 비자성재로 이루어진 가이드링(36)은 코어(2)의 선단에 설치된 중공(中空)부의 내벽(37)에서, 또 보울밸브(6)는 밸브가이드(7)의 가이드부(38)에는 각각 안내되고 있다. 밸브가이드(7)에는 보울밸브(6)를 안내하는 통형상의 가이드면(38)에 계속하여 보울밸브(6)를 시이트하는 시이트면(8)이 형성되어 있고, 시이트면(8)의 중앙에는 연료도출구가 천설되어 있다. 밸브가이드(7)에는 다시 시이트면(8)과는 반대방향으로 뻗는 통형상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이곳에는 여료를 미립화하는 스웰(SWELL)오리피스(39)를 수용한다. 소켓(25)과 밸브가이드(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연료를 시일하는 O링(41)이 개장(介奬)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밸브가이드(7)의 외주의 링형상홈으로서 O링 수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전자석부의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코일조립체(16)의 단자(18)부에 O링(19)을 부착시킨 후, 코어(2)의 칼라부의 구멍(17)에 단자(18)를 삽입하고, 다음에 단자(18)의 위로부터 칼라(20)를 삽입한다.
그 다음 코어의 마개체부 외주의 홈에 O링(12)을 부착시켜 요오크내에 감입한다. 이 상태에서 메탈플로우지그에 세트하고, 요오크(3)내주상단연의 코어 당접면(43)을 축방향으로 압압하여 코어(2)의 마개체부의 외주에 설치한 홈(44)에 요오크(3)의 재료를 소성(塑性) 유동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유입시켜 그 긴박력(緊迫力)으로 고정하는 소위 메탈플로우를 행한다.(제2도)
가동부는 그 보울밸브(6)를 밸브가이드(7)의 가이드면(38)에서 가이드함과 동시에 코어(2)의 선단 내벽면(37)에서 비자성링(36)을 안내하여 결국2개소에서 안내하여 축방향으로 진퇴하기 위하여 요오크(3)의 밸브가이드(7) 수용부(32) 내경과 코어(2)의 내벽면(37)의 동축도(同軸度)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제2도에 나타낸 받침지그(45)에서 밸브가이드(7)의 수용부(32)의 내경 및 코어(2)의 내벽면(37)을 정밀도 좋게 지지한 상태에서 메탈플로우를 행한다. 그 다음 단자(18)에 단자(34)를 코오킹 혹은 납땜, 용접등으로 고정하고, 그 다음 수지에 의하여 몰딩을 행한다. 다음에 밸브가이드 조립체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밸브가이드는 가동부와 밸브가이드로 이루어진다. 가동부는 보울밸브(6)와 담금질 경화한 스테인레스재제의 로드(5)를 저항용접 혹은 레이저용접등에 의하여 용접 접합한다. 이어서 로드(5)의 타안과 플런저(4)와 로드(5)의 외주에 설치한 홈(46)에 메탈플로우에 의하여 플런저(4)의 내벽을 유동압착하므로서 고정한다.
또, 가이드링(36)과 플런저(4)의 결합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4)의 보올밸브측의 면(47)을 지그로 받치고 메탈플로우용지그(48)를 사용하여, 플런저(4)의 선단내주연의 가이드링 당접부(49)를 축방향으로 압압하여 가이드링에 반경방향의 긴박력을 가하므로서 메탈플로우를 행할 수가 있다.
그 다음, 보울밸브(6)의 측면(50)을 4개소 이동축선에 따라 연삭(硏削)하여 통형상의 가이드면(38)과의 사이에 연료공급통로를 형성한다. 가동부의 스트로크(행정)는 로드(5)의 목부의 받침면(51)과 스토퍼(31)간의 공극의 치수로 결정된다. 가동부와 밸브가이드(7)를 조합한 상태에서 고정하고 밸브가이드단면(52)은 혹은 로드(5)의 목부의 받침면(51)을 연마하여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밸브가이드 조리체를 스토퍼(31)와 함께 전자석 조립체의 요오크(3)의 밸브가이드 수용부(32)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양자의 고정은 밸브가이드(7)외주에 설치한 홈(53)에 요오크(3)의 선단내주벽을 메탈플로우에 대한 소성유동에 의하여 유입시켜 고정한다.
이 때 스토퍼(31)는 가동부가 흡인되었을때 플런저(4)의 선단과 코어(2)의 선단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에어갭을 갖는 두께로 설정한다. 다음에 전자석 조립체의 코어(2)의 중심에 설치한 구멍에 밸브가이드(7)와의 반대방향으로부터 선단에 스프링(9)을 지지하고 되주에 O링(11)을 부착한 조절기(10)를 삽입하는 한편, 요오크(3)의 외주에 필터(33) 및 O링(26)을 설치하고, 소켓(25)과 동일한 형상의 지그에 일단 수납하고, 여기서 분사량의 시험을 하게 된다. 분사량의 시험은 먼저 가동부를 풀스트로크(Full stroke)시킨 상태에서 측정하고 그때의 분사량의 규정의 분사량이 되도록 스웰오리피스(39)를 선택하고, 밸브가이드(7)의 스웰오리피스 수용부(40)에 메탈플로우에 의하여 고정한다. 그다음, 일정주기 일정 개방밸브 시간의 분사량을 규정의 분사량이 되도록 가동부의 응답성을 스프링(9)의 하중을 변화시켜 결정하고, 그 다음에 코어(2)의 상부돌출부(55)의 외주를 몰드수지의 구멍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압압하고, 조절기의 홈부(56)에 코어의 내벽을 파고들어가게 하므로서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분사밸브의 동작을 설명한다.
분사밸브(1)는 전자코일(15)에 가해지는 전기적인 ON-OFF신호에 의하여 가동부를 조작시켜 밸브시이트의 개폐를 행하고, 이에 의하여 연료의 분사를 행한다. 전기신호는 코일(15)에 펄스로 가해진다. 코일(15)에 전류가 흐르면 코어(2), 요오크(3), 플런저(4)로 자기회로가 구성되고, 플런저(4)가 코어(2)측으로 흡인된다. 플런저(4)와 보울밸브(6)를 연결하는 로드(5)는 내부에 관통구멍(5a)을 가지며 비자성링내와 보올밸브의 주위의 연료통로를 연통시키고 있다. 플런저(4)가 이동하면, 이것과 일체로 되어 있는 보올밸브(6)도 이동하여 밸브가이드(7)의 시이트면(8)으로부터 떨어져 연료도출구를 개방한다. 연료는 도시하지 않는 연료펌프 또는 연압(燃押)조절기에 의하여 가압조정되고, 연료통로(57)로부터 소켓(25)에 유입하고, 필터(33)를 거쳐 유입톨로(28)로부터 전자밸브 조립체의 내부로 유입하고, 코일조립체(16)의 하부통로(24), 플런저(4)의 외측, 스토퍼(31)와 로드(15)의 간극, 보올베아링(6)의 외측부(50)를 통하여 시이트부에 공급되고, 밸브개방시에 스웰오리피스(39)의 선회구멍(58)을 통하여 흡기관내로 분사된다.
제2도에 있어서, 메탈플로우지그(42)는 요오크(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나, 코어(2)에 대해서는 홈(44)내를 향하여 요오크(3)의 내벽이 소성유동할때의 반경방향으로 향하여 힘만이 작용한다. 따라서, 지그(45)에서 코어(2) 선단의 내벽(37)과 요오크(3)의 선단의 밸브가이드수용부(32)벽내와의 동축도(同軸度)만 관리하면 코어(2)와 밸브가이드(7), 및 가동부(4A)의 동축도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제4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요오크 상단의 외주부를 반경방향으로 수개소 혹은 그 전주(全周)를 가압하고, 가압력의 작용 축선상에 위치하는 코어(2)의 외주면에 설치한 융기부에 요오크(3)의 내벽을 파고들어가게 하여 압착고정한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코어(2)에 작용하는 힘을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힘만으로만 할 수가 있으므로, 코어(2)의 다른 부재에 대한 동축도를 손상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실시예와 같이 코어(2)와 요오크(3)와의 고정부로부터 밸브가이드 반대측에 위치하는 코어(2)의 외주에 링형상홈(27)을 설치하여 그곳에 O링(26)을 부착한 상태에서 소켓(25)에 분사밸브(1)를 수용한다면,이 O링(26)은 소켓(25)의 내주면과 코어(2)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의 연료의 누설과 코어(2)와 요오크(3)와의 접합부로부터의 연료의 누설등의 양자를 동시에 시일할 수가 있다.
본 실시에에 의하면 내측고정자의 마개 형상부와 가동자와의 동축도 및 가동자의 이동축선에 대한 주상(柱狀)부의 직각도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가동자의 움직임이 정확하고, 연료분사량의 제어정밀도가 양호한 전자식 연료분사밸브를 얻을 수가 있었다.
또, 내외 고정자부재의 고정부를 내측 고정자부재와,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설치한 밀폐수단 보다도 연료도출구측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내외 고정자부재간의 연료누설방지를 위한 밀폐 수단을 내측 고정자부재와 케이스체와의 사이의 밀폐수단으로 공용할 수 있어 밀폐수단을 감소시킬 수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분사밸브의 가동부는 가이드부를 보올밸브의 외주 및 플런저 내경에 고정한 가이드링 외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부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전체길이를 짧게 해도 가이드 길이가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가이드링은 비자성재이기 때문에 섭동을 방해하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가동부의 흡인이 빨라지고, 응답성이 향상하고, 분사량이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대가 도모되고, 또 재현성이 향상하고, 내구성도 향상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보올밸브의 구심성(求心性)이 높기 때문에 각각의 가이드부의 크리어렌스는 종래에 비하여 라프(rough)하게 할 수 있어 단품(單品)의 가공정밀도를 종래만큼 엄격하게 하지 않아도 조립시에 고정밀도로 위치결정을 할 수 있고 메탈플로우를 채용하고 있기 대문에 가공에 있어서의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동자는 보올밸브를 밸브가이드의 중심 안내구멍에서 안내되고 보올밸브와는 반대측에 로드를 거쳐 설치한 플런저와 코어의 사이에 설치한 비자성재에서 안내하기 때문에 다이나믹 레인지를 넓히기 위하여 가동부를 작게 해도 가이드 길이를 확보할 수가 있아. 분사밸브의 축심(軸芯)에 대한 가동부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경량화에 의하여 가동부의 흡인이 빨라지고, 응답성이 향상하고 나아가서는 분사량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확대될 수 있다. 또 쓰러짐이 방지되면 가동부의 이동이 안정되어 분사량의 특성의 재현성이 향상하고, 쓰러짐에 의한 편하(偏荷)량이 없어지게 되므로 가이드부의 이상마모도 없어져 내구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부간의 거리를 밸브의 전체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도 충분히 길게 취할 수 있으므로 가동자의 축방향의 이동을 밸브의 축심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고, 그결과 가동자가 경사진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야기되는 분사연료층의 재현성이 상실되는 문제, 밸브체의 밸브시이트에 대한 한쪽닿은 현상이 배제될 수 있어 안정된 연료분사 기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자의 선단에 고정한 비자성재제의 가이드링을 거쳐 코어의 내주통부에 의하여 가동자를 안내하도록 구성했으나, 가이드링을 코어의 외주에 의하여 안내하도록 해도 좋다.
또 가이드링은 반드시 통형상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원주상에 3점의 섭접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가이드링을 전기자측에 한하지 않고 코어측에 고정하여 가이드링으로 전기자를 안내해도 좋다. 또 가이드링은 전기자 자신의 외주에 형성된 비자성재제의 섭동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층은 링의 압입뿐만 아니라, 코오팅이더라도 좋다. 이때 비자성재제의 섭동층은 코어측의 전기자 섭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어의 내주면, 외주면의 어느 한쪽에서 전기자를 섭접안내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세부를 제5도 내지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상기 분사밸브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 (1)∼(3)은 상기 분사밸브의 자기회로 구성부품, 플런저의 표면처리의 구체적 태양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제6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한 다층도금의 경도(硬度)곡선도이다. 분사밸브의 개방시의 시이트면(8)과 보울밸브(6)의 간극량은 밸브조립체의 스트로크량과 같다. 이 스트로크량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2)의 주상부(2a), 하단면(2d)과 플런저(4)의 상단면(4a)과 갭(G)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분사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조립체는 상기한 갭(G)의 범위내에서 스트로크동작을 행하는 것이므로 밸브 개방시에는 코어(2) 하단면(2d)과플런저(4)의 상단면(4a)이 충돌하여 밸브조립체를 스트로크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충돌이 생기면 코어(2)와 플런저(4)의 단면(2d,4a)가 경시변화(마모)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은 경시변화가 생기면 스트로크량이 변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분사량의 경시변화가 발생하여 내연기관의 운전성등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코어(2)의 하단면(2d) 및 내주(2b) 또는 플런저(4)의 상단면(4a) 및 통형상체(36)의 외주(36a)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다음과 같은 다층도급처리를 실시하여 내마모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제3도 (1)∼(3)은 다층도금처리의 구체적 태양을 나타낸 각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 (1)는 예를 들면 코어(2)보다도 플런저(4)의 쪽이 재질적으로 경도가 있고 코어(2)의 쪽이 충돌시에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코어(2) 단면(2d) 및 이 단면 가까이의 코어(2)의 내주(2b)에 걸쳐 그 표면에 다층도금층의 외층이 되는 크롬층(116)과 내층이 되어야할 닉켈층(117)을 설치한 것이다. 이 다층도금의 경도곡선을 제7도에 나타낸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도의 크기는 크롬층(116), 닉켈층(117), 코어(2)의 순이 된다. 그리고 닉켈층(117)과 크롬층(116)에 의하여 양층에 경도차를 갖게 하므로서 외층측의 크롬층(116)이 내마모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크롬층(116)에 충돌에 의한 충격부하가 가해졌을 경우에 내부의 닉켈층(117)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그 충격력을 악화시켜 크롬층(116)의 내구성을 크롬층 1층 도금의 경우에 비교하여 향상시켜 크롬층(116)에는 균열박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분사밸브의 에어갭(G)은 이들 도금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제6도 (2)는 동도(1)의 경우와는 반대로 플런저(4)보다도 코어(2)쪽이 재질적으로 경도가 있고, 서로 충돌했을때에 플런저(4)에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플런저(4)의 상단면(4a)및 이 상단면 가까이의 통형상체(36)의 외주(36a)에 제6도 (1)와 동일한 다층도금층(크롬층116, 닉켈층 117)을 형성한 것이다.
또, 제6도 (3)는 플런저(4) 및 코어(2)의 양쪽이 동일한 경도의 재질로 형성되어 양쪽의 충돌면에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코어(2) 및 플런저(4)의 양쪽에 제3도 (1), (2)와 같은 다층도금층(116,117)을 형성하여 내마모성 향상 및 크로층(116)의 충격완화를 도모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내마모성을 위한 표면 경화층을 크롬층(116)으로 충격완화층(연질층)을 닉켈층(117)으로 구성했으나, 그외에도 표면경화층을 산화크롬층으로 충격완화층을 크롬층으로 구성해도 양자간에 경도차가 생겨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내마모처리를 실시해야할 충돌면에 닉켈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형성과 정시에 닉켈층의 표면층에만 닉켈기(基)내에 경질입자(예를 들면, 산화크롬, 2산화규소, 알루미나 등)을 분산시키는 표면처리를 실시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표면경화층에 닉켈기내에 경질입자를 분산시킨 것으로 구성되어 충격완화층이 닉켈층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자 및 코어가 서로 충돌하는 면에 설치한 표면경화층이 충돌면의 경시적인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표면경화층의 충돌시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이 충격완화층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완화되어 표면경화층에 균열,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표면경화층 및 충돌완화층은 가동자 및 코어의 재질에 따라 가동자 혹은 코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적절히 선택하여 설치하면 좋다. 예를들면 가동자가 코어 보다도 재질적으로 경도가 있어 코어측에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우에는 코어측에 표면경화층 및 충격완화층을 형성하고, 또 이와는 반대의 경우에는 가동자측에 표면경화층, 충격완화층을 형성하고, 또 양자에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우에는 코어 및 가동자 양쪽에 표면경화층, 충격완화층을 형성하고, 또 양자에 마모가 생기기 쉬운 경우에는 코어 및 가동자 양쪽에 표면경화층 및 충격완화층을 형성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다음과 같다.
(1)유저통 형상으로 형성된 자성재제의 요오크, 그 요오크의 내부에 지지된 링형상의 전자코일, 상기 요오크의 개구단측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마개체부와 상기 링형상 코일의 중심부에 삽통되는 주상부로 이루어진 자성 재제의 코일 상기 요오크의 유저부에 설치된 연료 도출수단, 상기 요오크와 코어와 함께 협동하여 상기 전자코일의 폐자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기자와 함께 상기 연료도출수단의 연료도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가 설치된 가동자, 상기 가동자의 밸브체가 상기 연료오출수단의 연료도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동자를 항상 가세하는 탄성수단등으로 전자밸브 조립체가 형성되고, 이 전자밸브체가 밀폐수단을 사이에 끼고 케이싱체에 수납되고, 이 케이싱체와 전자밸브 조립체의 상기 외측 고정자와의 사이의 공간이 연료의 흐름에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코어의 마개체부 외주와 상기 케이싱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밀폐수단을 개재시킴과 동시에 그 밀폐수단보다도 상기 연료도출구측의 위치에 상기 요오크와 상기 코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설치하고, 또 상기 전기자와 코어의 어느 한쪽에 전기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비자성재제의 섭동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2)상기 코어와 요오크와의 고정부에서 코어의 외주에 설치한 융기부에 상기 요오크의 내벽이 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3)유저통 형상으로 형성된 자성재제의 요오크, 그 요오크의 내부에 지지된 링형상의 전자코일, 상기 요오크의 개구단측을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마개형상부와 상기 링형상 코일의 중심부에 삽통되는 주상부로 이루어진 자성재제의 코어, 상기 요오크의 유저부에 설치된 연료도출수단, 상기 요오크와 코어와 함께 협동하여 상기 전자코일의 폐자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기자와 함께 상기 연료도출수단의 연료도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가 설치된 가동자, 상기 가동자의 밸브체가 상기 연료도출수단의 연료도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동자를 향상 가세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연료도출구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 통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요오크의 내주면과 상기 코어의 마개체부의 외주부와의 접합면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형성한 융기부에 상기, 요오크의 내벽을 압착시켜 양자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코어와 전기자의 어느 한쪽에 전기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비자성재제의 섭동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Claims (8)

  1. 선단에 밸브체를 타단에 자성재성의 전기자를 구비한 가동자, 상기 전기자에 그 선단에 대향하는 자성재제의 통형상 코어, 이 통형상 코어의 주위의 사이에 전자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코일을 구비하고, 또 상기 가동자의 밸브체측과 전기자측에 이 가동자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상기 가동자의 상기 전기자측의 가이드부가 전기자와 상기 코어와의 사이에 형성된 비자성재로 이루어진 섭동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재성의 섭동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전기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형상코어의 내주면과 섭접하는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3. 선단에 밸브체를 타단에 자성재제의 건기자를 구비한 가동부재, 상기 전기자에 그 선단이 대향하는 자성재제의 통형상 코어, 이 통형상 코어의 주위에 배치되고, 통전시에 상기 통형상 코어와 전기자와의 사이에 전자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코일을 구비하고, 또 상기 가동자의 밸브체측과 전기자측에 이 가동자의 축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전기자와의 사이에 있어서 양자를 동축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측의 가이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전기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형상 코어의 내주에 섭동가능하게 삽입된 비자성재제의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 및 코어가 서로 충돌하는 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충돌면에 내마모성을 가지는 표면경화층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표면경화층과 상기 충돌면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자와 상기 코어의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완화층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분사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경화층은 크롬층으로 이루어져있고, 상기 충격완화층은 닉켈층으로 이루어진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경화층은 산화 크롬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완화층은 크롬층으로 이루어진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경화층은 닉켈기에 경화입자를 분산시킨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완화층은 닉켈층으로 이루어진 전자식 연료분사밸브.
KR1019870012730A 1986-11-15 1987-11-12 전자연료 분사밸브 KR950001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72383 1986-11-15
JP?86-272383 1986-11-15
JP61272383A JPS63125875A (ja) 1986-11-15 1986-11-15 電磁式燃料噴射弁
JP?87-6022 1987-01-16
JP62006022A JPH07103837B2 (ja) 1987-01-16 1987-01-16 電磁式燃料噴射弁
JP62-6022 1987-01-16
JP?87-24581 1987-02-06
JP62-24581 1987-02-06
JP62024581A JPS63195379A (ja) 1987-02-06 1987-02-06 電磁式燃料噴射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453A KR880006453A (ko) 1988-07-23
KR950001334B1 true KR950001334B1 (ko) 1995-02-17

Family

ID=2727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730A KR950001334B1 (ko) 1986-11-15 1987-11-12 전자연료 분사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12982A (ko)
KR (1) KR950001334B1 (ko)
DE (1) DE3738877C2 (ko)
FR (1) FR2606830B1 (ko)
GB (1) GB2198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758B2 (ja) * 1986-10-29 1996-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磁式燃料噴射弁装置の製造方法
IT1211159B (it) * 1987-06-09 1989-09-29 Weber Srl Valvola per la dosatura e la polverizzazione di carburante per un dispositivo ad iniezione del carburante in un motore acombustione interna
IT1222137B (it) * 1987-07-27 1990-09-05 Weber Srl Elettroiniettore perfezionato per alimentare combustibile a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IT1219396B (it) * 1988-06-23 1990-05-11 Weber Srl Valvola per la dosatura e la polverizzazione di carburante ad azionamento elettromagnetico provvista di fori laterali di ingresso del carburante
IT1219397B (it) * 1988-06-23 1990-05-11 Weber Srl Valvola per la dosatura e la polverizzazione di carburante ad azionamento elettromagnetico provvista di doppia serie di fori laterali di ingresso del carburante
JPH0710471B2 (ja) * 1989-09-25 1995-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数部材からなる精密部品の同心結合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燃料噴射弁のノズル組立方法
DE4101235C1 (ko) * 1991-01-17 1992-06-0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DE4214778C2 (de) * 1992-05-04 1996-11-21 Flaekt Ransburg Bmbh Sprühbeschichtungseinrichtung für flüssige Farbe
DE4306220A1 (de) * 1993-02-27 1994-09-01 Teves Gmbh Alfred Verfahren zum Verschließen von Druckmittel führenden Kanälen in einem Gehäuse
JP3085008B2 (ja) * 1993-03-12 2000-09-04 株式会社デンソー 流体噴射弁
US5312050A (en) * 1993-05-03 1994-05-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US5417373A (en) * 1994-02-10 1995-05-23 Siemens Automotive L.P. Electromagnet for valves
DE4421429A1 (de) * 1994-06-18 1995-12-21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Brennstoffeinspritzventil
US5775599A (en) * 1996-06-12 1998-07-07 Impco Technologies, Inc. Gaseous fuel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75747A (en) * 1997-03-26 1999-03-02 Lamp; Just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50284B1 (en) 1997-03-26 2001-06-26 Justin Lamp Engine with fuel delivery system
US5975437A (en) * 1997-11-03 1999-11-02 Caterpillar, Inc. Fuel injector solenoid utilizing an apertured armature
US6056214A (en) * 1997-11-21 2000-05-02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injector
DE19757169A1 (de) * 1997-12-20 1999-07-01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Aktuators
DE19757170A1 (de) * 1997-12-20 1999-07-01 Telefunken Microelectron Elektromagnetischer Aktuator
JP2001050133A (ja) * 1999-08-06 2001-02-23 Hitachi Ltd 電子燃料噴射弁
US6676044B2 (en) * 2000-04-07 2004-01-13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Modular fuel inj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modular fuel injector
US6508416B1 (en) * 2000-04-28 2003-01-21 Delphi Technologies, Inc. Coated fuel injector valve
US6708906B2 (en) 2000-12-29 2004-03-23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Modular fuel injector having a surface treatment on an impact surface of a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having an integral filter and dynamic adjustment assembly
DE10108719A1 (de) * 2001-02-23 2002-09-05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system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246230A1 (de) * 2002-10-04 2004-04-29 Robert Bosch Gmbh Einspritzvent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4063167A1 (de) * 2004-12-29 2006-07-13 Robert Bosch Gmbh Verschleißfestes Ventil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5054944A1 (de) * 2005-11-17 2007-05-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gerät
US20080152491A1 (en) * 2006-12-26 2008-06-26 Davies Lucy V Coatings for use in fuel system components
JP4948295B2 (ja) * 2007-07-06 2012-06-06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弁
DE102007050817A1 (de) * 2007-10-24 2009-04-30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Ventil
US9051910B2 (en) 2013-01-31 2015-06-09 Caterpillar Inc. Valve assembly for fuel system and method
US9453456B2 (en) * 2014-01-21 2016-09-27 Dresser-Rand Company Electronic pre-chamber injector
US10641221B2 (en) * 2015-10-12 2020-05-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ctromagnetic injection valv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omagnetic injection valve
CN106050501B (zh) * 2016-08-02 2018-09-11 成都威特电喷有限责任公司 高可靠性电控高压燃油喷射装置
CN108757251B (zh) * 2018-03-07 2023-09-22 宁波赛驰动力技术有限公司 喷油器
CN113782773A (zh) * 2021-09-14 2021-12-1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电磁控制阀的燃料电池用的变流量式引射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62420A1 (de) * 1970-12-18 1972-06-22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3865312A (en) * 1972-01-06 1975-02-11 Renault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ball-type injectors
JPS5330898A (en) * 1976-09-03 1978-03-23 Canon Inc Display system
JPS5535135A (en) * 1978-09-01 1980-03-12 Nippon Denso Co Ltd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CA1132417A (en) * 1979-01-29 1982-09-28 Gary L. Casey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US4360161A (en) * 1979-01-29 1982-11-23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US4231525A (en) * 1979-05-10 1980-11-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with selectively hardened armature
IT1122430B (it) * 1979-08-03 1986-04-23 Alfa Romeo Spa Elettroiniettore a transitori rapidi
JPS56107956A (en) * 1980-01-30 1981-08-27 Hitachi Ltd Solenoid fuel injection valve
US4311280A (en) * 1980-07-21 1982-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with adjustable armature spring
US4310123A (en) * 1980-07-21 1982-01-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with adjustable armature spring
FR2492894B1 (fr) * 1980-10-29 1985-06-07 Renault Injecteur a commande electromagnetique a bille
JPS5859318A (ja) * 1981-10-06 1983-04-08 Nissan Moto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の吐出量調整装置
US4483485A (en) * 1981-12-11 1984-11-20 Aisan Kogyo kabuskiki Kaisha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US4423843A (en) * 1982-01-28 1984-01-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with armature stop and adjustable armature spring
IT1152503B (it) * 1982-08-18 1987-01-07 Alfa Romeo Spa Elettroiniettore per un motore a c.i.
JPS59229050A (ja) * 1983-06-09 1984-12-22 Mitsubishi Motors Corp インジエクタ構造
US4578009A (en) * 1984-03-28 1986-03-25 Ncr Corporation Collector and carriage mechanism for use in a sheet dispenser
US4725041A (en) * 1984-04-16 1988-02-16 Colt Industries Inc Fuel injection apparatus and system
IT1184324B (it) * 1984-04-16 1987-10-28 Colt Ind Operating Corp Apparecchio ed impianto di iniezione del combustibile
IT1175561B (it) * 1984-07-12 1987-07-01 Spica Spa Elettroiniettore perfezionato per alimentare combustibile a un motore a c.i.
JPS6142444A (ja) * 1984-08-06 1986-02-28 Mazda Motor Corp 金属部材の結合方法
US4648559A (en) * 1985-11-04 1987-03-10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Electromagnetically actuatable fluid valve
DE3602956A1 (de) * 1986-01-31 1987-08-06 Vdo Schindling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kraftstoffeinspritzventil
JP2515758B2 (ja) * 1986-10-29 1996-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磁式燃料噴射弁装置の製造方法
GB8630686D0 (en) * 1986-12-23 1987-02-04 Lucas Ind Plc Fuel injector
US4887769A (en) * 1987-06-26 1989-12-19 Hitachi, Ltd.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726406D0 (en) 1987-12-16
GB2198589A (en) 1988-06-15
DE3738877A1 (de) 1988-05-26
FR2606830B1 (fr) 1993-04-16
DE3738877C2 (de) 1994-04-07
GB2198589B (en) 1990-09-12
US5012982A (en) 1991-05-07
FR2606830A1 (fr) 1988-05-20
KR880006453A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334B1 (ko) 전자연료 분사밸브
US5192048A (en) Fuel injector bearing cartridge
KR100573503B1 (ko)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장치용의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연료분사밸브
US6119966A (en) Fuel injection valve, pilot control valve therefor, and method for its assembly
US5901941A (en) Electromagnetic metering valve for a fuel injector
US6152387A (en) Adjustable metering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 injector, and relative method of adjustment
US5544815A (en) Fuel injection Nozzle
US4907745A (en) 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for adjusting it
JPH03502225A (ja) 小型燃料噴射弁
GB2337300A (en) Fuel injector armature
US5190223A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with cartridge embodiment
GB2061014A (en)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A1211013A (en) Pressure compensated fuel injector
CA1185849A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having improved response rate
KR20070103077A (ko) 연료 분사 밸브
JP2001082283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EP0438479B1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in cartridge design
US5518185A (en) Electromagnetic valve for fluid injection
JP2757220B2 (ja) 燃料噴射装置
JPH07310621A (ja) 燃料インジェクタの計量バルブ制御用電磁石
US20040026541A1 (en) Fuel injection valve
EP0481608A1 (en) Electronic fuel injector
JPH10153154A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
US6915960B2 (en) Fuel-injection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same
CN108779747B (zh) 燃料喷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