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784B1 -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784B1
KR950000784B1 KR1019870011590A KR870011590A KR950000784B1 KR 950000784 B1 KR950000784 B1 KR 950000784B1 KR 1019870011590 A KR1019870011590 A KR 1019870011590A KR 870011590 A KR870011590 A KR 870011590A KR 950000784 B1 KR950000784 B1 KR 95000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mounting mechanism
mounting bracket
engine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967A (ko
Inventor
세이찌 시마자끼
소이찌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구보 도모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9074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359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3020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3594Y2/ja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우시구보 도모아끼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1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inserts or auxiliary extension or exterior elements, e.g. for rig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6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rigid sleeves or pin, e.g.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정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의 개략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의 일부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의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압축기의 진동 레벨과 자동차 엔진의 회전속도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선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의 부착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의 부착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를 도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
제 9 도는 흡수장치를 도시하는, 제 8 도의 선 A-A의 단면도.
제 10(a)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장치의 단면도.
제 10(b) 도는 제 10(a) 도의 선 B-B의 단면도.
제 10(c) 도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장치를 도시하기 위해 제 10(a) 도의 선 B-B를 절취한 단면도.
제 11(a)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장치의 단면도.
제 11(b) 도는 제 11(a) 도의 선 C-C의 단면도.
제 12(a)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장치의 단면도.
제 12(b) 도는 제 12(a) 도의 선 D-D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12, 13, 14, 15, 16 : 흡수장치
21 : 압축기 40, 41, 42 : 커플링판
121, 131, 141, 151, 161 : 내측링 스페이서
122, 132, 142, 152, 162 : 외측링 스페이서
123, 133, 143, 153, 163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압축기의 장착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 브래킷에 의해 자동차 엔진에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를 연결하기 위한 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적당한 장착 브래킷을 통해 자동차 엔진에 장착되는 것이 상례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장착 장치는 압축기의 하우징으로 부터 분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최소한 하나의 브래킷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브래킷은 엔진에 고정되며, 그 브래킷에는 압축기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그리하여, 압축기는 브래킷을 통해 장착되게 된다.
제 1 도에는 종래의 장착기구의 주요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있어 브래킷(10)은 엔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1)과,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02)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02)의 외단부에는 구멍(101a)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기(20)에는 또한 압축기 하우징의 양단부로 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20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201)각각에는 구멍(201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01)중의 하나와 플랜지부(102)는 워셔 요소(32)를 가지는 볼트(30)과 너트(31)의 나사체결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기(20)은 브래킷을 통해 엔진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고강도 재료로 형성되는 압축기(20)과 장착 브래킷(10)들은 볼트-너트 기구에 의해 직접 연결되고, 이때문에 압축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진동, 특히 축방향으로의 진동이 엔진에 직접 전달되어, 큰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음은 자동차의 내부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제57-61252호에서는 압축기를 고무부재를 통해 볼트에 의해 장착브래킷에 연결시켜 압축기의 진동을 흡수케하고 있다. 그러나, 엔진과 압축기간을 연결시키는 벨트는 이들 사이의 회전전달을 위해 약간 인장된 상태로 되어야 하나, 상기 고무부재 때문에 인장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로 부터 발생되어 자동차 엔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켜, 자동차 내부에서의 소음 발생을 방지시켜줄 수 있는 자동차 공기 조화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구동샤프트를 자동차 엔진의 구동샤프트와 평행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해주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구동샤프트를 자동차 엔진의 구동샤프트와 평행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해주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큰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착기구는 엔진에 고정되는 장착 브래킷과, 압축기 하우징으로 부터 돌출한 플랜지부와, 압축기의 구동샤프트를 엔진의 구동 샤프트와 평행하게 유지시키면서 장착 브래킷과 압축기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작용하는 볼트-너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의 장착 브래킷과 플랜지부에는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들중의 어느 하나에도 흡수된 유체가 존재하지는 못하도록 되어 있다. 압축기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장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장착 브래킷과 압축기 사이에는 커플링 부재들이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게 그러나 반경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라 흡수장치는 압축기나 장착 브래킷중의 하나의 플랜지를 관통해 형성된 구멍내에 고정 배치되는 제 1 스페이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페이서 부재내에는 제 2 스페이서 부재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제 1 스페이서 부재와 제 2 스페이서 부재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고정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에는 지지부재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지지부재는 제 1 스페이서 부재의 내면과 제 2 스페이서 부재의 외면과 접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2,3 도 및 4 도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 엔진(1)의 구동샤프트의 단부에는 폴리(2)가 장착되어 있고, 압축기(21)의 구동샤프트의 단부에는 폴리(3)이 장착되어, 이 폴리(2),(3)의 외주면상에 배치되어 그들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구동벨트(4)에 의해 엔진(1)의 회전력이 압축기(21)에 전달되게 되어 있다. 압축기(21)은 장착 브래킷(11)을 통해 자동차 엔진(1)에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장착 브래킷(11)은 엔진에 고정된 베이스부(111)과, 그 베이스부(111)의 양단부로 부터 엔진(1)에 대해 수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플랜지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112)에는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113)의 각각에는 흡수장치(12)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장치(12)는 내측링 스페이서(121), 외측링 스페이서(122), 그리고 진동차단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 원통형 탄성부재(123)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링 스페이서(121)의 길이는 외측링 스페이서(122)의 길이보다 길게되어 있다. 탄성부재(123)는 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내측링 스페이서(121)의 외면에 부착되며, 외측링 스페이서(122) 또한 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탄성부재(123)의 외면상에 부착된다.
압축기(121)의 하우징 양단부로 부터는 다수의 플랜지(2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해 있으며, 이 플랜지(211)의 각각에는 구멍(212)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브래킷(11)과 압축기(21) 사이에는 양단에 각각 구멍(401),(402)들을 가지는 커플링판(40)이 연결되어 있다. 즉, 각 커플링 판(40)은 볼트(50)의 나사체결에 의해 장착브래킷(11)의 일단면상에 고정되게 된다. 커플링판(40)의 타단부는 볼트(30)과 너트(31)의 나사 체결에 의해 압축기(21)의 플랜지(211)의 외단면상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커플링판(40)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고강도 재료로 제작되며, 압축기(21)의 축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만일 압축기(21)를 장착 브래킷(11)에 조립시키면, 내측링 스페이서(121)의 일단면은 압축기(21)의 플랜지(211)의 측면에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고정지점이 쉽게 결정되게 된다. 또한, 내측링 스페이서(121)의 타단면은 워셔(32)를 통해 너트(31)에 부착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일 엔진(1)이 시동되어 구동력이 엔진(1)로 부터 벨트(4)를 통해 압축기(21)에 전달되게 되면, 압축기(21)가 구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축기(21)의 작동중에 비록 기계적인 진동이 압축기(21)내에서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발생된다 하더라도, 자동차 내부에 소음을 발생시키게 하는 이 기계적인 축방향 진동은 흡수장치(12)의 탄성부재(123)에 의해 완화되게 된다. 따라서, 차내부에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되게 되며, 이에따라 자동차의 안락감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압축기(21)과 장착 브래킷(11)들이 고강도 재료로된 커플링판(40)에 의해 고정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1)과 압축기(21)은 엔진(1)의 기계적인 반경방향 진동의 상태에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엔진(1)과 압축기(21)사이에서의 공진 발생이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지되게 되며, 탄성부재(123)의 내구성이 증가되게 된다. 또한, 벨트(4)가 풀리(2),(3)에 연결될때, 탄성부재(123)의 변형 및 벨트(4)의 인장력 상실의 발생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압축기(21)는 커플링판(40)을 통해 어스되게 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플링판은 평평한 판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커플링판(41)은 두쌍의 구멍(411),(412)를 가지고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그의 하단부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판(41)의 구멍(411)은 커플링판(41)의 일단을 볼트(50)에 의해 장착 브래킷(11)의 일단면에 고정시킬때 장착 브래킷(11)의 플랜지(112)에 형성된 구멍(113)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112)의 구멍(113)에 대한 커플링판(41)의 구멍(412)의 위치는 쉽게 결정되게 된다. 만일 커플링판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켜야 한다면, 판(42)의 중앙부에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 8 도 및 제 9 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 기구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있어 흡수장치(13)은 내측링 스페이서(131), 외측링 스페이서(132), 그리고 탄성부재(133)으로 덮혀진 링판(134)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33)은 진동차단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진다. 내측링 스페이서(131), 외측링 스페이서(132), 그리고 링판(134)들은 금속과 같은 고강도 재료로 만들어진다. 링판(134)에 덮힌 탄성부재(133)은 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내측링 스페이서의 외면에 부착되게 되며, 외측링 스페이서(132)도 탄성부재(133)의 외면에 부착되게 된다. 링판(134)는 그의 외면이 외측링 스페이서(132)의 내면과 접촉하고 또한 내면은 내측링 스페이서(131)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장치(13)은 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압축기(21)의 플랜지(211)에 형성된 구멍(212)에 고정배치된다. 압축기(21)을 장착 브래킷(11)에 고정시키도록 흡수장치(13)과 장착브래킷(11)의 플랜지(112)에 형성된 구멍(113)을 통해 볼트(30)이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링(134)가 상이한 실시예의 커플링판(40)과 동일한 기능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커플링판(40)은 필요치 않다.
제 10(a) 도 및 10(b)도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수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흡수장치(14)는 내측링 스페이서(141), 외측링 스페이서(142), 그리고 탄성부재(143)로 덮힌 링판(144)로 구성되어 있다. 링판(144)에는 이것의 내,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부(144a)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판(144)는 내측링 스페이서(141)의 외면 및 외측링 스페이서(142)의 내면과부분적으로만 신접촉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요부(144a)가 링(144)의 내,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장치(14)는 축방향으로 쉽게 굽혀질 수 있게된다. 제 10(c)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판(145)에는, 내,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많은 소형 요부(145a)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1(a) 도 및 1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판은 탄성부재(153)으로 덮혀진 다수의 섬유성 비트(bit)(154)들로 교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섬유성 비트(154)는 일례로 금속, 탄소, 그리고 경질플라스틱과 같은 고강도 재료로 제조되며, 내측링 스페이서(151)과 외측링 스페이서(152)사이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된다. 섬유성 비트(154)의 외단은 외측링 스페이서(152)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며, 또한 내단은 내측링 스페이서(151)의 외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모든 섬유성 부재(154)들은 서로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따라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흡수장치(15)는 축방향으로 보다 쉽게 구부려질 수 있게된다.
제 12(a) 도 및 1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판은 탄성부재(163)으로 덮혀진 다수의 구형부재(164)로 교체시킬 수도 있는데, 이에 있어서 각 구형부재(164)는 내측링 스페이서(161)의 둘레를 따라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된다. 각 구형부재(164)의 직경은 내측링 스페이서(161)의 외면과 외측링 스페이서(162)의 내면 사이의 반경방향 틈새와 동일하게 되어 있고, 이에따라 구형부재(64)는 반경방향으로의 힘을 흡수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구형부재(164)의 외면은 상기 표면들과 점접촉을 하게 된다. 구형부재 대신에, 타원형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긴쪽에서 타원형 부재의 단부 표면은 내측링 스페이서의 외면 및 외측링 스페이서의 내면과 각각 접촉하게 되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자동차 엔진(1)에 부착되는 장착 브래킷(11)과,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211)과, 상기 압축기(21)의 구동샤프트를 엔진(1)의 구동샤프트에 평행하게 유지시키면서 압축기(21)의 상기 플랜지부(211)과 장착 브래킷(11)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한쌍의 볼트-너트(30,31)을 구비하여 엔진(1)에 압축기(21)을 장착시키는 장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11)과 상기 플랜지부(211)에 볼트(30)이 삽입되는 구멍(113,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장착 브래킷(11) 또는 플랜지부(211)에 형성된 상기 구멍(113,212)중 하나에 축방향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장치(12)가 설치되어 있고, 압축기(21)과 장착 브래킷(11)사이에는 커플링 부재(4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장치(12)는 내,외측링 스페이서(121,122)와, 그 링 스페이서 사이의 틈새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23)은 진동차단 고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40)은 고강도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40)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40)은 1쌍 이상의 금속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7. 자동차 엔진(1)에 부착되는 장착 브래킷(11)과,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압축기(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211)과, 상기 압축기(21)의 구동샤프트를엔진(1)의 구동샤프트에 평행하게 배치시키면서 압축기(21)의 상기 플랜지부(211)과 장착 브래킷(11)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한쌍의 볼트-너트(30,31)을 구비하여 엔진(1)에 압축기를 장착시키는 장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래킷(11)과 상기 플랜지부(211)에 볼트(30)이 삽입되는 구멍(113,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장착 브래킷(11)과 상기 압축기(21)의 플랜지부(211)에 형성된 상기 구멍(113,212)중 하나에 축방향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장치(1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장치(13)에는 압축기(21)의 반경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요소(134,144,145,154,164)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진동차단고무로 만들어진 탄성부재(133,143,153,16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134,144,145,154,164)는 고강도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144,145)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144,145)들은 그의 내,외주의 최소한 하나상에서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요부(144a,145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방사된 형태로 배치된 섬유성 비트(154)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들은 균일한 간격을 방사된 형태로 배치된 3개 이상의 구명 또는 타원형 부재(1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KR1019870011590A 1986-10-17 1987-10-17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KR950000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074 1986-10-17
JP15907486U JPH0313596Y2 (ko) 1986-10-17 1986-10-17
JP61-159,074 1986-10-17
JP19302086U JPH0313594Y2 (ko) 1986-12-17 1986-12-17
JP193020 1986-12-17
JP61-193,020 1986-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67A KR880004967A (ko) 1988-06-27
KR950000784B1 true KR950000784B1 (ko) 1995-02-02

Family

ID=2648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590A KR950000784B1 (ko) 1986-10-17 1987-10-17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4834336A (ko)
EP (1) EP0264833B1 (ko)
KR (1) KR950000784B1 (ko)
AU (2) AU594515B2 (ko)
DE (1) DE37687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69528D1 (de) * 1987-09-14 1992-04-30 Sanden Corp Befestigung eines kraftfahrzeugkompressors fuer eine klimaanlage.
FR2624218B1 (fr) * 1987-12-07 1990-04-13 Peugeot Dispositif de fixation d'une premiere piece telle qu'accessoire a une deuxieme piece telle que support a douille de rattrapage du jeu d'assemblage entre les deux pieces et douille utilisee pour la fixation de ces pieces
JPH0444418Y2 (ko) * 1988-04-28 1992-10-20
JPH0630500Y2 (ja) * 1988-07-29 1994-08-17 サンデン株式会社 車輌用空調装置用圧縮機の振動低減装置
JPH0241744U (ko) * 1988-09-13 1990-03-22
US5007807A (en) * 1989-03-08 1991-04-16 Tecumseh Products Company Hermetic compressor having resilient internal mounting
FR2660383A1 (fr) * 1990-04-02 1991-10-04 Hutchinson Sa Support elastique, notamment pour suspension de vehicule automobile, a rigidites fortement differenciees.
US5295414A (en) * 1991-04-15 1994-03-22 Kubota Corporation Vibration and noise proofing system for a hydrostatic stepless transmission attached to a transmission case
US5335893A (en) * 1992-10-23 1994-08-09 The Boeing Company 360 degree adjustable vibration dampening and thermal isolating bracket
US5306121A (en) * 1993-04-23 1994-04-26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tiered mounting arrangement
US5699677A (en) * 1996-11-07 1997-12-2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mpressor mounted drain pan utilizing polyurethane adhesive
US6431189B1 (en) 1997-06-02 2002-08-13 700303 Alberta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isinfecting hands
DE19733478B4 (de) * 1997-08-02 2006-03-23 Daimlerchrysler Ag Schwingungsdämpfer für eine rohrförmige Gelenkwelle
JP3880158B2 (ja) * 1997-10-21 2007-02-1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
FR2781849B1 (fr) * 1998-07-28 2000-09-29 Hutchinson Dispositif a rattrapage de jeu pour fixation d'une piece
JP2000234586A (ja) * 1998-12-17 2000-08-29 Denso Corp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DE19914655A1 (de) * 1999-03-31 2000-10-12 Luk Fahrzeug Hydraulik CO¶2¶-Kompressor
US6374939B1 (en) * 2000-06-19 2002-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mount assembly
JP2002276554A (ja) * 2001-03-14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車のエンジンに搭載される電動機内蔵の圧縮機
US6705581B2 (en) 2001-05-26 2004-03-16 Pacsci Motion Control, Inc. Pivotable motor mounting apparatus
DE102009055107B4 (de) * 2009-12-21 2017-12-07 Hanon Systems Befestigungsanordnung eines Kältemittelverdichters
JP5273084B2 (ja) * 2010-03-31 2013-08-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482387B2 (ja) * 2010-03-31 2014-05-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EP2390503B1 (en) * 2010-05-26 2013-07-10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oration Compressor for vehicle air-conditioners
JP5556721B2 (ja) * 2011-03-28 2014-07-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US9696061B2 (en) * 2014-10-21 2017-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 pump water heater appliance
CN107225932A (zh) * 2017-06-12 2017-10-0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压缩机安装支架及安装结构
US11092206B2 (en) * 2017-10-02 2021-08-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ally conductive mechanical vibration isolator
CN108826525B (zh) * 2018-07-06 2024-01-30 太仓京和机电有限公司 车用空调外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18457E (en) * 1927-01-10 1932-05-10 Vibeation dampening mounting
US1862483A (en) * 1930-06-23 1932-06-07 Hugh C Lord Automobile engine mounting
US2212142A (en) * 1936-08-05 1940-08-20 Crown Cork & Seal Co Vibration absorbing supporting structure
US2540767A (en) * 1945-06-29 1951-02-06 Paul C Tabbert Rotary pump
US2901195A (en) * 1955-08-03 1959-08-25 Continental Can Co Motor mounting means
DE1400311A1 (ko) * 1960-02-12 1968-10-10
US3057218A (en) * 1960-02-19 1962-10-09 Borg Warner Drive assembly
US3274394A (en) * 1964-07-24 1966-09-20 Roland R Maheu Alternator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US3476309A (en) * 1968-04-19 1969-11-04 Borg Warner Mounting arrangement for rotary compressor
US3494540A (en) * 1969-04-28 1970-02-10 Don P Dixon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US3813776A (en) * 1973-05-15 1974-06-04 Mccullough Corp Vibration isolation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a chain saw
FR2291406A1 (fr) * 1974-11-15 1976-06-11 Messier Hispano Sa Element de palier de guidage sans frottement pour mouvements rectilignes de faible course
JPS6136819Y2 (ko) * 1980-07-23 1986-10-25
JPS5761252A (en) * 1980-09-05 1982-04-13 Toshiba Corp Rotating anode for x-ray tube
JPS5760820U (ko) * 1980-09-12 1982-04-10
JPS5783790A (en) * 1980-11-10 1982-05-25 Sankyo Denki Co Ltd Compressor for cooling vehicles
JPS59164428A (ja) * 1983-03-09 1984-09-17 Tokai Rubber Ind Ltd 流体入りブツシユ
ZA846202B (en) * 1983-08-10 1985-04-24 Ayr Pty Ltd Alternator mounting assembly
US4901787A (en) * 1988-08-04 1990-02-20 Balanced Engines, Inc. Regenerative heat exchanger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94515B2 (en) 1990-03-08
AU616086B2 (en) 1991-10-17
EP0264833B1 (en) 1991-03-20
EP0264833A3 (en) 1989-02-08
EP0264833A2 (en) 1988-04-27
KR880004967A (ko) 1988-06-27
US4988071A (en) 1991-01-29
AU4613889A (en) 1990-03-29
AU7990587A (en) 1988-04-21
US4834336A (en) 1989-05-30
DE3768755D1 (de) 199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784B1 (ko) 자동차 공기조화 시스템의 압축기 장착기구
KR0150190B1 (ko) 차량 공조기용 압축기를 엔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기구
US6312340B1 (en) Hollow drive shaft with integrated vibration absorber
US8544591B2 (en) Bearing device for the vibration-decoupled rotatable support of an intermediate shaft on the engine block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vibration-decoupled rotatable support of an intermediate shaft on the engine block of a motor vehicle
US4421195A (en) Devic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n engine in a motorcycle
JPH10511327A (ja) 騒音または振動を減衰する固定手段を備えたガラスワイパー
JPH0674232A (ja) ベアリング・アイソレーター
EP1453181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blower motor
KR100554363B1 (ko) 토크 서포트
JP2006189095A (ja) 弾性継手及び自動車用ホイールの連結構造
JP2008240884A (ja) 防振支持部材及び自動車用部品ユニット支持装置
US6238094B1 (en) Wiper system
JP2002120735A (ja) 舵取り装置の取付構造
CN218913560U (zh) 衬套结构及车辆
KR20200122775A (ko) 변형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드라이브 액슬
JPH09240307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軸変位吸収型ドライブプレート装置
JPH08133103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支持装置
JPH0313594Y2 (ko)
JP2004517285A (ja) 自動車用の可撓性クラッチフライホイール
KR200267231Y1 (ko) 자동차용 댐퍼풀리
KR0174138B1 (ko) 다이나믹 댐퍼
JPH1053035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H0560147A (ja) フレキシブルカツプリング
JPH0740102Y2 (ja) フレキシブルカップリング
JPH01218915A (ja) 車輛用空調装置の圧縮機取付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