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685B1 -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685B1
KR950000685B1 KR1019910011644A KR910011644A KR950000685B1 KR 950000685 B1 KR950000685 B1 KR 950000685B1 KR 1019910011644 A KR1019910011644 A KR 1019910011644A KR 910011644 A KR910011644 A KR 910011644A KR 950000685 B1 KR950000685 B1 KR 95000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angin
saturated fatty
flavonoids
stabilizing
chain aliph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889A (ko
Inventor
박수남
하병조
부용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1001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685B1/ko
Publication of KR93000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본 발명은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갈랑긴(galangin)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피부화장료, 메이컵화장료 및 두발화장료에 함유되어 유해한 활성산소로부터 생체를 보호할 수 있는 플라보노이드 중 특히 갈랑긴을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생약, 화분 등은 옛부터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비타민 C와 함께 취약해진 모세혈관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편 화장품 메이커에서는 유해한 활성산소류로부터 생체세포를 보호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물질로 플라보노이드를 화장품에 이용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천연식물 색소로서 특히 식물의 잎, 개화조직, 화분 등에 많이 존재하고 흔히 글루코시드로 존재하며, 아글리콘 및 메티화된 유도체 등으로도 존재한다. 플라보노이드의 식물에서의 기능에 대하여 현재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는 자외선에 대한 필터작용과 생체에 유해한 활성산소나 각종 라디칼을 소거함에 의한 항산화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동물의 생체세포에 있어서 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갈랑긴은 비교적 강한 소수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해한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성질이 뛰어나다. 한편, 갈랑긴은 생약재인 고량강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고량강은 생강과(Zingiberaceae family)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Alpinia officinarum Hance의 근경(根莖)으로 향미가 있어 방향성이나 맛은 맵다. 한방에서는 산한(散寒), 지통(止痛), 건위(健胃)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성분으로 볼 때, 정유성분이 0.5-1% 함유되어 있고 이들은 1,8-시네올(cineol), 메틸-신나메이트(cinnanmate), 알파 카디넨(α-cadinene), 유게놀(eugenal), 피넨(pinene) 등 이고, 매운 성분으로 갈랑골(galangol), 알피놀(alpinol)이 있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는 갈랑긴(galangin), 캄페라이드(kaempferide), 퀘세틴(querce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 플라보노이드 중 갈랑긴은 그의 소수적 성질로 인해 생체막 속으로 끼어들며 유해한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월등하다.
플라보노이드는 각종 유기라디칼이나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적으로 분해를 일으킨다. 종래 싱글렛옥시전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의 산화생성물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으며[참고 : Matuura et. al., Tetrahedron Lett., 26, 435-443(1970)], 수퍼옥사이드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에 대해서는 그 메카니즘이 비교적 상세히 연구되어 있다[ 참고 : Takahama, Plant Cell Physiol., 26(5), 953-957(1987)].
플라보노이드의 산화적 손상에 있어 히드록시라디칼의 참여가 큰 역할을 하는데, 이것은 또한 금속 존재하에서 과산화수소와 수퍼옥사이드를 형성하며 이때 형성된 수퍼옥사이드 역시 산화적 손상에 역할이 크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의 산화적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라디칼 형성을 막거나 산소를 차단하여 플라보노이드가 라디칼로 변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종래에는 플라보노이드의 산화적 분해를 막기 위하여 원료자체에 또다른 항산화제를 첨가해 주든지 비활성인 질소등의 기체를 충진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막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결국 원료의 가격을 높이며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원료의 관리면에서 여러가지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갈랑긴의 경우 추출 등에 의해 얻은 갈랑긴은 수율향상을 위해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상세히는 메탄올을 용출용매로 하여 세파덱스 LH-20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그대로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또는 피부화장료나 메이컵화장료에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화장품에 사용되는 적절한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에탄올이나 에탄올과 물의 혼합액에 녹여 원료로 만들었을 때 갈랑긴이 일광이나 열등에 의하여 경시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에 점점 소실되는 문제점과 변색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런 문제점들은 결국 원료의 상품으로써의 가치를 상실하게 한다.
한편, 플라보노이드의 산화적 분해반응 메카니즘을 살펴 보면 활성산소 혹은 수퍼옥사이드가 플라보노이드의 α,β-불포화케톤의 β위치를 공격하여 플라보노이드의 과산화물을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 피론(pyrone) 고리의 개환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의 산화적 분해를 억제하려면 첫째, 산소의 접촉을 피해야 하고, 둘째, 산소 혹은 수퍼옥사이드가 α,β-불포화케톤의 β위치를 공격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상관관계를 착안하여 갈랑긴의 반응부위를 산소나 수퍼옥사이드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물질을 화장료에 사용되는 여러 원료들에서 검색한 결과 포화지방산의 글리세라이드, 장쇄 지방족 알코올 또는 저급알콜과 포화지방산의 에스테르 등이 그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아내고 갈랑긴을 액체상태에서 안정화 할 수 있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한 갈랑긴을 얻는 방법을 설명한다.
생약재인 고량강 200g을 아세톤으로 가열 추출하여 여과하고, 이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11g의 건조물을 얻고, 이를 물 100ml와 에틸아세테이트 100ml에 녹인 후 분획하고, 유기층을 진공건조하여 5g의 고형분을 얻는다.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갈랑긴을 얻고, 수율향상을 위해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상세히는 메탄올을 용출용매로 하여 세파덱스 LH-20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갈랑긴을 액체상태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트리카프린산 글리세린 및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의 혼합물(상품명 : Neobee M-S메이커 : PVO international)과 같은 포화지방산 에스테르로 구성된 트리 글리세라이드류, 미리스틸 옥틸도데칸올 및 2-옥틸도데칸올 등의 장쇄 지방족 알코올류,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등의 저급 알코올의 포화지방산 에스테르 등이다. 상기 물질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비율은 0.01-10%중량비가 적당하다.
갈랑긴 일정량을 이들 원료에 녹여 액체 상태로 한 후 일광 및 항온 인쿠베이트에 넣고 경시 후 유효성분의 함량과 변색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얻은 갈랑긴을 트리카프린산 글리세린과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린의 혼합물(상품명 : Neobee M-5)에 중량비 1.0%, 1%의 비율로 녹이고 45℃ 항온조 및 일광(여름철)에 보관하여 5일 간격으로 유효성분의 함량과 변색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용으로 상기 갈링긴을 95% 에탄올에 녹인 것을 각각 항온조 및 일광에 보관한 후 비교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얻은 갈랑긴을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에 중량비 0.1%, 1%의 비율로 녹이고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얻은 갈랑긴을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에 중량비 0.1%, 1%의 비율로 녹이고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얻은 갈랑긴을 미리스틸옥틸도데칸올에 중량비 0.1%, 1%의 비율로 녹이고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고량강에서 얻은 갈링긴을 2-옥틸도데칸올에 중량비 0.1%, 1%로 녹이고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유효성분의 함량은 UV-VIS 흡광도 측정기에서 갈랑긴의 λmax인 361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함량 퍼센트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일광(여름철) 및 항온 (45℃)에 각각 일정시간 경시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표 1,2에는 액체상 갈랑긴의 일광 및 항온에서의 유효성분의 상대함량%를 나타내었다. 각 측정은 3회 실시하였고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한편 변색의 정도는 색차분광계(기기명 : Ultrascan Spectrophotometer, 메이커 : Hunter Associates Laboratory, Inc)를 사용하여 "E*값을 비교 측정하였다. 여기서 "E*=[("L*)2-("a*)2-("b*)2]1 2를 나타낸다. 측정은 3회 실시하였고,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표 3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경우 대조예에 비하여 일광과 항온에서 30일 경과후에는 모두 2배 이상의 유효성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표 3에서 갈랑긴 용액의 경시에 따른 색상변화를 보면 대조예의 경우 경과일수 30일까지 계속해서 증가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경우 농도에 무관하고 경과일수 10일 까지는 약간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색상변화의 정도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경우가 대조예에 비해 2배 이상 안정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표 1] 유효성분의 함량변화(%)(일광)
[표 2] 유효성분의 함량변화(항온 : 45℃)
[표 3] 갈랑긴 용액의 색상변화(일광,E*)

Claims (5)

  1. 갈랑긴에 포화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장쇄 지방족 알콜 또는 저급 알콜과 포화지방산의 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포화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트리카프릴 글리세린 또는 트리카프린산 글리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장쇄 지방족 알콜이 미리스틸옥틸도데칸올 또는 2-옥틸 도데칸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저급 알콜의 포화지방산 에스테르가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미리스틸이소프로필임을 특징으로 하는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5. 제 1 항에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화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장쇄 지방족 알콜 또는 저급 알콜과 포화지방산의 에스테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갈랑긴의 중량을 기초로하여 0.01 내지 10%로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KR1019910011644A 1991-07-10 1991-07-10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KR95000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644A KR950000685B1 (ko) 1991-07-10 1991-07-10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644A KR950000685B1 (ko) 1991-07-10 1991-07-10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889A KR930001889A (ko) 1993-02-22
KR950000685B1 true KR950000685B1 (ko) 1995-01-27

Family

ID=1931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644A KR950000685B1 (ko) 1991-07-10 1991-07-10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726A (ko) * 2001-07-06 2003-01-15 허문영 양강의 활성 성분의 분리방법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노화 방지제
CN113651789B (zh) * 2021-08-31 2023-06-23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利用高效液相色谱分离高良姜黄酮中高良姜素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889A (ko) 199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3476B1 (fr) Utilisation de la mangiférine ou ses dérivés pour une application cosmétique
US6743449B2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olive leaf extract
Reinoso et al. Optimization of antioxidants–Extraction from Castanea sativa leaves
CA2202297A1 (fr) Procede d'extraction de polyphenols catechiques a partir de potentilles, extrait obtenu et son utilisation
JP3793779B2 (ja) サトウキビポリフェノール含有物の製造方法
KR930010548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KR101244752B1 (ko) 피부 미백, 노화 방지, 항산화 및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R100478136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KR20190051711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증 억제용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950000685B1 (ko) 갈랑긴의 안정화 방법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61551B1 (ko) 느릅나무의추출물을함유하는피부노화방지용화장료조성물
Ebrahim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anthocyanin content in flower of Mirabilis jalab L. collected from Yemen
JPH06305978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美白化粧品および変色防止剤
KR950006064B1 (ko) 감잎플라보노이드의 안정화 방법
KR950008760B1 (ko)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KR100379984B1 (ko)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FR2837384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vanille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et son incorporation dans des preparations cosmetiques et/ou dermatologiques
KR20220049717A (ko) 동백나무 꽃 추출물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동백나무 꽃 추출물
Sandasi et al. Pelargonium graveolens
Gwak et al. Extraction procedures fo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noni fruit (Morinda citrifolia)
JPH1045528A (ja) 抗酸化剤
KR101827531B1 (ko) 제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62383B1 (ko) 베타그루코갈린 화합물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및 그의분리, 정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