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597Y1 - 폐타이어를 이용한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0597Y1 KR950000597Y1 KR92010837U KR920010837U KR950000597Y1 KR 950000597 Y1 KR950000597 Y1 KR 950000597Y1 KR 92010837 U KR92010837 U KR 92010837U KR 920010837 U KR920010837 U KR 920010837U KR 950000597 Y1 KR950000597 Y1 KR 9500005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cle
- waste tire
- filler
- waste
- bea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단면도.
제4도는 상기 물품의 표면쪽에 특정문도를 넣은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제5도는 상기 물품의 한 설치방법을 보인 단면도.
제6도는 상기 물품의 다른 설치방법을 보인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로서 상기 물품을 입간판설치용 받침대로 사용한 예를 보인 단면도.
제8도는 상기 물품을 보행로에 깔아 설치사용하는 예를 보인 발췌 평면도.
제9도는 상기 물품을 징검돌로 설치사용하는 예를 보인 발췌 평면도.
제10도(a)는 폐타이어 비드부분의 절반을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10도(b)는 10도(a)의 비드부분을 X-X선 방향으로 본 정면도.
제10도(c)는 10도(a)의 비드부분을 Y-Y선 방향으로 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드부분 2 : 내측공간부
3 : 충전재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타이어의 비드 부분을 유리하게 재활용하여 만든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육상운송수단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는 그 사용대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자동차는 한결같이 그 바퀴에 타이어를 끼워 사용토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차량으로부터 나오는 폐타이어도 미처 처리가 곤란할 정도로 크게 증가하고 있어 그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 및 재활용방안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바이다.
이러한 폐타이어 전체를 단순히 소각처리토록 하는 것은 엄청난 비용과 설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공해문제를 크게 유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그동안 이러한 폐타이어의 많은 부분들을 소각처리하는 대식 효과있게 재활용하는 방안들이 많이 연구되어 왔는데, 예컨대 폐타이어의 트레드부분 안쪽의 고무부위를 취출하여 이를 발판용 매트나 기타 여러가지 재생고무제품들로 가공사용토록 하는 것도 그러한 재활용방안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폐타이어의 트레드부분에 인접한 폭넓은 고무부위를 취출사용하고 나면 제10도에서 보는 바와같은 비드부분(B)이 남게 되는데, 이 비드부분(B)은 폐타이어의 내측공간부(2)를 둘러싼 일정폭의 부분을 말하며, 그 안쪽에는 제10도(b), (c)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보강용 강선(A)이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폐타이어의 비두부분은 처리가 번잡난해한 강선들이 매설되어 있어 그 활용도가 적기 때문에 그동안 이를 활용한 물품으로서는 둥글게 취출된 비브부분들을 여러 방향으로조합하여 만든 정글짐(JUNGLEGYM)이나 인용어초와 같은 수요가 적은 몇가지 물품들로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현재 많은 수효의 폐타이어 비드부분들이 적합하게 처리되거나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새롭고 효과적인 처리 내지 재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술한 폐타이어의 비드부분을 경제적이고도 실용적으로 활용하여 만든 새롭고 유용한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폐타이어의 효과적인 재활용에 일조를 하고자 함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들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을 그 중앙 종단면도로써 나타낸 것인데, 여기에서 부호 1은 강선(8)이 매설되어 있는 폐타이어의 비드부분을 나타내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한 폐타이어에서 이러한 비드부분(1)은 두개씩이 나온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폐타이어로부터 링상의 리드부분(1)을 취출하고 이 비드부분(1)의 내측공간부(2)에 적정의 충전재(3)를 도시된 양태로 채워 넣은 후 이를 비드부분(1)과 일체로 경화고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도의 물품은 예컨대 충전재(3)로부터 잘 떨어질 수 있는 또는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조치된 판재를 밑에 깔고 그 위에 비드부분(1)을 도시된 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놓아 배치시킨 후 이 비드부분(1)의 내측공간부(2)에 충전재(3)를 도시된 바와 같이 채워 넣고 자연 강화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재(3)의 양호한 예로서는 탄력성이 있는 고무칩이나 우레탄칩과 같은 것을 액상 우레탄 수지에 혼합하여서 된 것을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이된 재료를 상기 충전재(3)로 사용할 경우는 해당 물품을 예컨대 도시된 방향으로 노면에 깔아 설치한 후 그 충전재(3)로 채워진 부분을 발로 밟을 때 풍부한 탄력과 그로 인한 좋은 느낌을 제공받게 되는, 그 러한 물품을 제작해 낼 수 있게 된다.
다른 가능한 예에서는 폐기플라스틱, 폐기전선피복물, 폐타이어 부스러기 등과 같은 것을 칩으로 한 것을 상기 충전재(3)의 주된 재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같은 것도 상기 충전재(3)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제2도는 상기 물품의 다른 가능한 변형 실시예를 보여 주는데, 이 물품은 다른 것은 앞서 든 실시예와 동일하나 그 충전재(3)의 표면쪽이 바깥쪽으로 둥글게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다르며, 이 경우는 동 물품의 배수성이 좋아진다.
제3도는 상기 물품의 또 다른 가능한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이는 비드부분(1)의 내측공간부(2)의 아래쪽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경질의 재료로된 충전재(4)를 배치하고 그 위쪽에는 우레탄과 같은 탄성이 풍부한 재료로 된 충전재(3)를 배치하여서 된 것이며, 이 경우는 경질의 충전재(4)가 하방에 배치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해당 물품이 전체적으로 더욱 견실하게 되면서 표면쪽 충전재(3)를 밟을 때 이 표면쪽 충전재(3)의 탄성이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어 밟을 때 더욱 기분좋은 느낌을 주는 그러한 물품이 제공된다.
제4도는 상기 제1도~3도에서 예시된 물품들의 충전재(3)의 표면쪽에, 예컨대 회사마크나 로고 또는 인가만화영화의 주인공얼굴 등에 해당하는 어떤 특정한 문도(11)를 넣은 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이 경우는 해당 물품을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길에 깔아 사용하면 적합한 노면깔개 물품으로서의 효과의 더불어 광고효과와 같은 부수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제1도~4도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들은 적합한 도색을 통해 그 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제1도~4도의 물품들은 이들 물품을 예컨대 제8도의 예와 같이 공원이나 골프장들의 보행로에 부설하여 이를 보도블럭과 같이 딛고 다니도록 하는 방법으로 설치사용할 수 있고, 또 제9도의 예와 같이 사람의 보폭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를 징검돌과 같이 사용토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물품들을 제8도나 9도의 예와 같이 설치사용할 때 이들을 지면에 설치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제5도에서와 같이 각 물품에 있어서 비드부분(1)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위의 수개소를 지면에 대하여 긴 고정못(6)으로 박아 고정시키거나, 혹은 제6도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배치된 두 물품들의 인접한 비드부분 부위들을 지면에 대하여형의 고정금구(7)로 동시에 박아 고정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을 쓸 수 있다.
제7도는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물품의 최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여기에 도시된 본 고안의 물품은 그 충전재(3)의 중심부에 지주(10)의 하부를 매립고정하고 이 지주(10)의 상부에는 적정의 광고간판(9)을 부설토록 함으로써, 이를 입간판 설치용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경우는 상기 충전재(3)를 콘크리트와 같은 중량체의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폐타이어의 비드부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만들 수 있는 물품이기 때문에 재료가 풍부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제작이 가능하며, 그와 유사한 물품으로서 전체가 석재나 콘크리트로 된 종래의 물품에 비해 경량이어서 취급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폐타이어를 이용한 물품이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큰 문제거리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폐타이어의 효과적인 처리 내지 재활용에 일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 충전재(3)의 구성재료로서 폐기전선의 피복물이나 폐타이어 부스러기등을 사용토록 하면 폐자원의 재활용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 폐타이어로부터 취출한 링상의 비드부분(1)과, 이 비드부분(1)의 내측공간부(2)이 충전시켜 상기 비드부분(1)과 일체로 경화고착시킨 충전재(3)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10837U KR950000597Y1 (ko) | 1992-06-17 | 1992-06-17 | 폐타이어를 이용한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10837U KR950000597Y1 (ko) | 1992-06-17 | 1992-06-17 | 폐타이어를 이용한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1137U KR940001137U (ko) | 1994-01-03 |
KR950000597Y1 true KR950000597Y1 (ko) | 1995-02-04 |
Family
ID=1933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10837U KR950000597Y1 (ko) | 1992-06-17 | 1992-06-17 | 폐타이어를 이용한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0597Y1 (ko) |
-
1992
- 1992-06-17 KR KR92010837U patent/KR9500005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1137U (ko) | 1994-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31448B2 (en) | Portable rumble strip | |
US5499888A (en) | Bidirectional roadway for wheeled vehicles | |
US2225496A (en) | Marking device for road surfaces | |
KR950000597Y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옥외용 입간판 받침대 | |
NL8602322A (nl) | Werkwijze voor het aanbrengen van een onderbouwconstructie voor een kunstgrasveld en kunstgrasveld met een dergelijke onderbouwconstructie. | |
JP2010095904A (ja) | 横断歩道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横断歩道 | |
FR2393108A1 (fr) | Structure routiere prefabriqu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 |
JP3713527B2 (ja) | 車両の走行速度抑制用舗装体 | |
KR100489665B1 (ko) |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 |
KR20150125534A (ko) | 탄성ㆍ축광 특성을 갖는 탄성 포장재 시공 방법 | |
EP1348811A2 (en) | Traffic sign and road paving devices | |
KR100300090B1 (ko) |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 |
JP3074607U (ja) | 道路用非スリップコンクリート製品 | |
KR100433654B1 (ko) | 도로의 미끄럼방지구간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 |
JP2004169354A (ja) | 歩車道敷設ブロック | |
JP3008392U (ja) | 模様表示板付きグレーチング | |
JPH072645Y2 (ja) | 工事現場用歩行者通行シート | |
CN214695753U (zh) | 一种道路管井及其周围维修和升降井时用的保护盖 | |
JPH082218Y2 (ja) | グレーチング溝蓋 | |
JPH0841810A (ja) | 路面用マット | |
KR200232865Y1 (ko) | 도로의 미끄럼방지구간의 구조물 | |
CN2519813Y (zh) | 橡胶铺地砖 | |
CN2213461Y (zh) | 一种冰雪路面防滑鞋 | |
KR200230212Y1 (ko) |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 |
JP3079870U (ja) | 道路用非スリップコンクリート製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