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475B1 -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475B1
KR950000475B1 KR1019930010677A KR930010677A KR950000475B1 KR 950000475 B1 KR950000475 B1 KR 950000475B1 KR 1019930010677 A KR1019930010677 A KR 1019930010677A KR 930010677 A KR930010677 A KR 930010677A KR 950000475 B1 KR950000475 B1 KR 95000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polyester
denier
shr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952A (ko
Inventor
안병훈
이태호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3001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475B1/ko
Publication of KR95000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방수성을 가지면서 촉감이 부드럽고 중량이 가벼우며 발수성이 우수한 포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고밀도 방수발수성포지의 제법을 살펴보면, 합성섬유필라멘트사를 고밀도로 제직한 다음 발수가공처리를 하여서 발수성을 갖게 하거나, 발수성을 높히기 위하여 약 0.5데니어이하의 세섬도를 갖는 합성섬유필라멘트사를 고밀도로 제직하거나 또는 이러한 세섬도사를 열수축율이 높은 원사와 혼섬하여 제직한 다음 후가공공정에서 열처리하여 고밀도화를 시키고 발수가공처리를 하여서 구성섬유간의 공극을 최소화시켜 발수성과 방수성을 높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원사의 초극세화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섬유형성가능한 서로 다른 두 성분의 폴리머로 인접되게 배열시킨 복합단면상의 섬유로 제직한 다음 후가공처리로서 이들 두가지 섬유를 여러가닥으로 분할시켜서 초극세포지를 형성시키는 방법등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발수성이나 방수성에 한계가 있다. 제직공정에 있어서 고밀도화 제직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세섬도사를 적용했거나, 또는 일반적인 세섬도사와 열수축이 가능한 원사의 조합에 의해 제조된 포지의 경우는 직물조직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또한 구성섬유간의 공극에는 한계가 따르게 되어 방수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공기함유량도 낮게 되어 발수성도 떨어지게 된다.
둘째, 일반적인 세섬도사를 사용한 원단은 태섬도사를 사용한 원단에 비해서는 다소 부드러운 촉감을 얻을 수는 있어도 세섬도에 한계가 따르고, 또한 상기의 분할형초극세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한 경우는 표면의 촉감은 부드럽지만 초극세사 고유의 후들거리는 촉감 때문에 적당한 반발탄성을 갖지 못하여 원단의 태가 나쁘다.
셋째, 종래의 원단들은 그 제법 특성상 대부분의 경우 원단중량이 높고 두꺼워서 일반적인 스포츠의류에 적합토록하는 경량화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원단의 표면촉감은 부드러우면서도 원단의 전체적인 반발탄성은 향상될 뿐만이 아니라 발수성과 방수성을 향상시킨 원단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첫째는 원단표면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초극세사를 사용하는 바, 통상의 합성섬유제조방사방법으로는 극세화에 한계가 따르므로 성분이 각기 다른 섬유형성 가능한 두가지의 폴리머를 복합방사한 극세화 가능한 복합섬유를 사용하며, 사용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마이드계로서 방사상의 단면이 가능하도록 상용성을 감안하여 적어도 두가지의 폴리머를 복합적으로 방사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된 원사의 비수수축율은 8∼12%이며, 섬도는 후처리에 의해 0.2데니어에서 0.1데니어로 분리가능한 초극세사로서 원단표면의 부드러운 축감을 발현하게 되고 또한 각각의 섬유공극을 최소화하여 방수성도 높혀준다.
이때 사용되는 초극세사의 섬도 및 비수수축율이 상기 조건을 벗어날 경우는 고밀도직물을 얻을 수 없다.
둘째는 방수성과 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의 초극세사만을 사용하여서는 구성원사간의 공극을 최소화하는데는 그 한계가 따르므로 적극적인 초고밀도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의 초극세사와 더불어 고수축사를 사용하게 되는 바, 고수축사는 통상의 방법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중합공정시 적극적인 고수축화가 가능하도록 디메틸이소프랄레이트등의 화합물을 공중합시켜 제조하며 비등수수축율(100℃열수×15분처리)이 최종 가공이후에 18%에서 32%를 만족하는 고수축사이다.
만일 비수수축율이 18%미만이면 고밀도직물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32%를 초과하면 고수축사 제조시에 절사가 많이 일어나서 생산성이 나쁘다.
상기 고수축사를 상기의 초극세사와 공기난류방법으로 합사하거나 혹은 약연(弱撚)방법으로 120T/M에서 600T/M으로 합사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고수축사 사용에 의한 치밀한 구조의 고밀도 원단제조가 가능하여 방수성이 향상됨은 물론 초극세사와 고수축사의 혼섬에 의한 이수축구조사가 발현되어 공기함유량이 높아지고 물과의 접촉면적은 최소화가 되므로서 발수성이 극히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동시에 겸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고수축사의 혼섬비율은 초극세사의 중량대비 약 30%에서 60%를 유지하여야 하며 30%미만이 되면 수축응력 및 혼섬공정상의 무리가 따르며 60%를 초과하면 초극세사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이 감소된다.
고수축사의 총섬도는 30데니어에서 75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사의 섬도는 고수축력이 유지된다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셋째로는 방,발수성 원단의 특성에 맞도록 하기 위하여 원단의 무게를 가능한 적게 하고 원단의 두께도 얇게 해야 하며 또한 적절한 반발성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즉 사용원사의 총섬도는 낮게하는 대신에 반발성을 높히기 위해서는 단사의 섬도를 가능한 굵게 해야만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초극세사와 고수축사의 혼합사를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로서는 총섬도가 15데니어이상 30데니어이하이고 각 단사의 섬도는 적어도 10데니어에서 20데니어의 원사를 사용하였으며, 소재로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마이드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만일 상기 조건 미만일때는 반발탄성의 상승효과가 미비하고, 초과시에는 원단이 너무 스티프(Stiff)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원단전체에서의 경사의 중량비율은 전체원단에서 15%이상 40%이하범위가 적합하며, 15% 미만일 경우에는 원단의 반발력향상을 기대하기 힘들고 40% 중량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반발력이 과도하게 되고 경량박지화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으로 제조한 포지의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원단의 촉감은 두가지로 구분하여 평가했으며, 원사의 평가로는 숭고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기교락에 의해서 합사된 원사를 비등수에 15분 처리후 180℃의 건열에서 5분간 열처리하여 자연건조시킨 원사를 JIS 1079,1018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산출했으며, 본 발명에 의한 발수성원단은 숭고성이 2.5㎤/g에서 3.0㎤g을 만족해야 하며, 이보다 작으면 촉감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며 이보다 크면 방수성이 저하되게 된다.
원단상의 평가로서 태의 평가수단인 가와바다시스템(KAWABADA-FB)으로 측정한 벌키성을 평가했으며 초기의 발수도 및 세탁후의 발수도의 평가는 KSK 0590 및 ASTM D 2721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으며 방수도는 KSK 0591방법에 의해 내수압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폴리아마이드와 폴리에스테르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60데니어 36필라멘트의 방사상의 단면을 갖으며 비등수축율이 8.5%인 분할형 복합섬유와, 비등수축율이 18%이고 비등수처리한 것을 다시 180℃에서 15분간 간열처리하여 얻어진 건열수축율이 8%인 고수축성 40데니어 24필라멘트사를 통상의 공기교략방법으로 합사시켜 위사로만 사용하고, 경사로는 2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사를 500T/M정도 연사한 것을 사용하여, 경사 및 위사의 밀도가 150본/인치 및 80본/인치로 평직으로 재직한 다음 일련의 정련공정을 거쳐 95℃에서 2% 가성소다액으로 소정시간 동안 분할처리하여 각각의 단사섬도가 0.19데니어수준인 초극세사를 형성시킨 다음 소정의 염색을 행한 후 공지의 발수가공제인 스캇치가드 FC-232(3M사) 1.5%희석액에 원단을 통과시키고 스퀴즈맹글을 통과시켜 170℃로 열처리를 행하였다.
위사로는 실시예 1의 원사를 사용하고 경사로는 폴리아마이드 15데니어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며, 밀도는 경사 및 위사가 각각 180본/인치 및 83본/인치가 되도록 제직한 다음 후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1]
위사로는 실시예 1의 분할형 초극세사를 단독으로 사용하고 경사로는 실시예 1의 경사용 원사를 사용하여 경사 및 위사의 밀도를 각각 150본/인치 및 103본/인치로 제직한 다음 후가공공정 및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위사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인 100데니어 192필라멘트원사를 사용하고 경사는 실시예 1의 경사용 원사를 사용하여 밀도는 경사 및 위사가 각각 150본/인치 및 80본/인치로 제직한 다음 일련의 정련 및 염색을 행하고 발수가공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3]
위사로는 실시예 1의 위사를 사용하고, 경사로는 폴리에스테르 75데니어 72필라멘트원사를 사용하여 밀도는 경사 및 위사를 각각 95본/인치 및 80본/인치로 제직한 다음 후가공공정 및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의 특성을 비교하면 표 1과 같다.
[표 1]

Claims (2)

  1. 비수수축율이 8%∼12%이고 분할후 섬도가 0.1∼0.2데니어인 분할형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복합섬유와 비수수축율이 18%∼32%인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사를 혼섬한 것을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로는 단사섬도가 10∼20데니어이고 총섬도가 15∼3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사를 사용하며, 원단전체에서 경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5중량%∼40중량%가 되도록 제직한 다음 상기 원단을 분할처리하고 발수가공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수축사의 혼섬비율은 분할형복합섬유의 중량에 대하여 30중량%∼60중량%가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KR1019930010677A 1993-06-12 1993-06-12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KR95000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677A KR950000475B1 (ko) 1993-06-12 1993-06-12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677A KR950000475B1 (ko) 1993-06-12 1993-06-12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952A KR950000952A (ko) 1995-01-03
KR950000475B1 true KR950000475B1 (ko) 1995-01-20

Family

ID=1935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677A KR950000475B1 (ko) 1993-06-12 1993-06-12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129B1 (ko) * 1996-07-15 2004-04-13 주식회사 휴비스 제전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KR100528746B1 (ko) * 1998-06-17 2006-02-01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952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342B1 (ko) 에어백용 특수 직물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00475B1 (ko) 발수성포지의 제조방법
KR100462502B1 (ko) 폴리에스터 극세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KR940004699B1 (ko) 촉감이 유연한 고밀도 직물의 제조방법
JP3270340B2 (ja) 割裂繊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26427B1 (ko)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0260024B1 (ko) 촉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WO2024070727A1 (ja) 織編物
KR860002172B1 (ko) 플리에스테르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및 그 직, 편물의 제조방법
JP4202210B2 (ja) 混繊糸及び織編物及び着古し外観を有する縫製品
KR880001639B1 (ko) 견섬유와 유사한 이성분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950001713B1 (ko) 극세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KR950003194B1 (ko) 극세섬유직물의 제조방법
RU2041987C1 (ru) Ткань
KR100332558B1 (ko) 착용감이 우수한 소모조직물의 제조 방법
JP2744573B2 (ja) 絹紡調布帛
KR19990017167A (ko) 촉감과 방오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나일론 마이크로 직물의 제조방법
KR950003774B1 (ko) 발수성 합성섬유포지의 제조방법
KR100958520B1 (ko) 폴리에스테르 농염 이수축 혼섬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218709B1 (ko) 볼륨성 및 반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
KR930000364B1 (ko) 의견사(擬絹絲) 및 그 제조방법
KR10021121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
JPH07243151A (ja) 弾撥性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16946A (ja) 軽量布帛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