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7024A - 전류 주입층과 거울층을 분리시킨 수직 공진형 표면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류 주입층과 거울층을 분리시킨 수직 공진형 표면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7024A
KR940017024A KR1019920025000A KR920025000A KR940017024A KR 940017024 A KR940017024 A KR 940017024A KR 1019920025000 A KR1019920025000 A KR 1019920025000A KR 920025000 A KR920025000 A KR 920025000A KR 940017024 A KR940017024 A KR 940017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hotoresist
type
mirror layer
dbr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734B1 (ko
Inventor
유병수
박효훈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20025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734B1/ko
Publication of KR94001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2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the resonator having a periodic structure, e.g. in distributed feedback [DFB] lasers
    • H01S5/125Distributed Bragg reflector [DBR] la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상에 n형 하부 DBR 거울층, n형 스페이서, 활성층, p형 스페이서, p형 접촉층 및 상부 DBR 거울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과, 소정 패턴의 포토레지스트를 상부 DBR 거울층상에 형성한 다음 포토레제스트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이외의 노출된 부분을 순차적으로 p형 접촉층의 표면까지 식각하는 공정과,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이온주입으로 포토레지스트의 하부 이외의 영역에만 이온이 주입되게 하는 공정과, p형 접촉층의 표면과 포토지제스트가 형성된 상부 DBR 거울층의 측면에 p형 전극을 형성하고 아울러 기판의 배면에 n형 전극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류 주입층과 거울층을 분리시킨 수직 공진형 표면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류 주입을 위한 층과 DBR 거울층을 분리시킨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전류 주입을 위한 층과 DBR 거울층을 분리한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 공정을 보인 도면.

Claims (3)

  1. 반도체 기판(2)상에 n형 하부 DBR 거울층(3), n형 스페이서(4), 활성층(5), p형 스페이스(6), p형 접촉층(10) 및 상부 DBR 거울층(12)을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과, 소정 패턴의 포토레지스트(11)를 상기 상부 DBR 거울층(12)상에 형성한 다음 상기 포토레지스트(11)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이외의 노출된 부분을 순차적으로 상기 p형 접촉층(10)의 표면까지 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11)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이온주입으로 상기 포토레지스트(11)의 하부 이외의 영역에만 이온이 주입되게 하는 공정과, 상기 p형 접촉층(10)의 표면과 상기 포토레지스트(11)가 형성된 상부 DBR 거울층(12)의 측면에 p형 전극(9)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기판(2)의 배면에 n형 전극(1)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2)은 GaAs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공지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DBR 거울층(12)은 불순물을 도핑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5000A 1992-12-22 1992-12-22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960014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000A KR960014734B1 (ko) 1992-12-22 1992-12-22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000A KR960014734B1 (ko) 1992-12-22 1992-12-22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024A true KR940017024A (ko) 1994-07-25
KR960014734B1 KR960014734B1 (ko) 1996-10-19

Family

ID=1934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000A KR960014734B1 (ko) 1992-12-22 1992-12-22 수직 공진형 표면 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925B1 (ko) * 2019-05-15 2020-10-30 주식회사 옵토웰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734B1 (ko) 199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4958A (en) Front-surface emitting diode laser
KR0178492B1 (ko) 기울어진 공진기로 편광특성이 제어된 표면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JP2000514244A (ja) 垂直空洞面発光レーザのための電流封じ込め
KR970060534A (ko) 전력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77166A (ko) 반도체 기판에 삼중웰을 형성하는 방법
KR19980044117A (ko) 수소화된 수직공진형 표면방출 레이저 제조방법
KR940017024A (ko) 전류 주입층과 거울층을 분리시킨 수직 공진형 표면방출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WO2003058772A2 (en) Current confinement, capacitance reduction and isolation of vcsels using deep elemental traps
US5003358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in an insulating substrate
KR910006705B1 (ko)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950008860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960001186B1 (ko) 광전집적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66041B1 (ko) 반도체레이저다이오드및그제조방법
JPH04504187A (ja) 半導体発光装置
KR0145118B1 (ko) 다링톤 접속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920013795A (ko)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40003063A (ko) 광전집적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187933B1 (ko) 고내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960002646B1 (ko) 화합물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30732B1 (ko) 화합물 반도체 제조방법
KR940017023A (ko) 메사패턴이 있는 기판을 이용한 표면방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
KR920013822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920013796A (ko) 화합물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60019880A (ko) 저문턱 잔류 표면방출 레이저의 제조방법
KR930015218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