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320B1 -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320B1
KR940011320B1 KR1019930001895A KR930001895A KR940011320B1 KR 940011320 B1 KR940011320 B1 KR 940011320B1 KR 1019930001895 A KR1019930001895 A KR 1019930001895A KR 930001895 A KR930001895 A KR 930001895A KR 940011320 B1 KR940011320 B1 KR 94001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needle body
cord
hole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884A (ko
Inventor
도시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크로바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다 도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바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다 도미지 filed Critical 크로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00Hand tools or implements
    • D04B3/02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및 그 제조방법
제1a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도면.
제1b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도면.
제2도는 바늘 본체 및 코드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는 확대 부분 단면도.
제2a도는 코드의 가요성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도.
제3a도 내지 제3f도는 바늘 본체와 코드 사이의 연결을 만드는 연속적인 단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물 바늘 2 : 편물 바늘 본체
3 : 가요성 코드 4 : 금속 연결기
본 발명은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코드의 한쪽 말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물 바늘 본체로 구성된 형태의 편물 바늘 및 이러한 편물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두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하나의 형태는 가요성 코드의 다른 말단이 스티치 멈추개에 연결되어 있는 가요성 코드의 한쪽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단일 바늘 본체만으로 구성된 비-원형 편물 바늘이다. 다른 형태는 중간 가요성 코드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는 한쌍의 바늘 본체로 구성된 원형 편물 바늘이다.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의 어느 한 형태는 코드가 바늘 본체에 의해 새로운 스티치가 형성될 수 있는 동안 형성된 스티치를 보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커다란 크기의 편물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의 바늘 본체가 나일론과 같은 비교적 연성수지로 만들어진 가요성 코드의 연결에서 강도의 이유 때문에 금속 또는 강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그러나, 대나무 또는 나무가 더 우수한 감촉, 적절한 중량(편물 공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음.), 더 높은 등급 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때문에 바늘 본체용 재료로 점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늘 본체용 대나무 또는 나무의 사용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첫번째, 대나무(또는 나무)는 역학적 강도가 부족한 결과 코드 연결용 바늘 본체의 얇은 벽 말단이 코드의 반복 구부림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부수어진다.
두번째, 비교적 연성 수지로 만들어진 가요성 코드에 대나무(또는 나무)바늘 본체를 강하게 점착 연결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편물 공정시 바늘 본체 가까이에 반복적으로 코드가 구부러지는 결과 경화된 점착제를 변형시킨다. 극단적인 경우에, 코드는 오랜 사용후 바늘 본체에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문제점의 시각에서, 오카다가 발명한 미합중국 특허 제4,646,543호는 대나무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바늘 본체, 바늘 본체의 연결 말단에 고정된 수지 연결기 및 연결기의 한쪽 말단에 고정된 가요성 코드로 구성된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에 관해 기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늘 본체의 연결만단은 축 장착구멍을 가지는 반면에 연결기는 확장 플랜지 부분 및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점착 고정용 바늘 본체의 장착구멍으로 나오는 샤프트 부분을 갖는다. 연결기는 또한 고정구멍을 가지는 반면에 코드에 접합되고 점착하여 연결기의 고정구멍에 결합된 말단 샤프트 부분을 갖는다. 명백히, 수지 연결기는 대나무 바늘 본체의 연결 말단을 역학적으로 보강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미합중국 특허에 기술된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은 또한 다음의 면에서 개량되어진다.
첫번째, 설령 수지 코드와 대나무 바늘 본체 사이의 직접적인 점착 연결보다 더 우수하다 할지라도 수지코드와 수지 연결기 사이의 점착 연결이 또한 편물 공정시 코드의 반복적인 구부림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장기간 사용한 후, 코드는 결국 연결기에서 떨어질 수 있다.
두번째, 설령 비교적 단단하다 할지라도 연결기의 수지 성질을 연결기 그 자체가 코드의 구부림하에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결과 연결기와 바늘 본체 사이의 점착 연결에 손상을 입힌다고 하는 가능성을 무효로 만들 수 없다. 그 결과, 연결기가 장기간 사용후 바늘 본체에서 떨어질 수 있다.
세번째로, 수지 연결기는 바늘 본체의 얇은 벽이 있는 연결 말단용으로 충분한 보강을 제공할 수 없다.
그 결과, 바늘 본체와 코드 사이의 연결이 부가적으로 강화된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바늘 본체, 연결기 및 가요성 코드로 구성된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이 만들어지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늘 본체는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하고 환상 말단에서 끝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이 만들어져 있고 말단면으로부터 펼쳐져 있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말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기는 바늘 본체의 말단면과 접합된 바늘 본체의 테이퍼상 표면과 실질적으로 바늘 본체로부터 떨어져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을 가진 확대 플랜지 부분을 가지고 또한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 접합되고 점착하여 결합된 샤프트 부분을 가지며 연결기는 또한 샤프트 부분과 떨어져 위치해 있는 개구를 가진 접착구멍이 있으며, 가요성 코드는 연결기의 테이퍼상 표면과 연속적으로 연결기로부터 떨어져 점차 직경이 감소하고 또한 금속으로 만들어진 연결기의 접착구멍에 접착된 말단 샤프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착구멍은 연결기의 플랜지 부분의 플라스틱 변형에 의해 코드의 말단 샤프트 부분과 맞물리기 위하여 개구에서 직경이 감소한다.
바람직스럽기로는, 연결기의 샤프트 부분은 바늘 본체와 연결기 사이의 연결을 강화시키기 위해 환상 그로우브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기는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는 놋쇠나 알루미늄과 같은 임의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반면에 바늘 본체는 대나무나 나무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따르면, 환상 말단 면으로부터 뻗어 있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말단, 확대플랜지 부분 및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샤프트 부분을 가지고 또한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개구가 있는 접착구멍을 가진 연결기 및 야안 가이드가 말단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확대 야안 가이드 부분 및 야안 가이드 부분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말단 샤프트 부분을 가진 가요성 코드로 구성되어 있는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 일정한 양의 점착제를 섞는 단계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 연결기의 샤프트 부분을 삽입하는 단계, 연결기의 플랜지 부분과 함께 바늘 본체의 연결 말단을 역학적으로 작동시키는 결과 바늘 본체의 연결 말단과, 연결기의 플랜지 부분이 각기 서로 다른 것과 연속적이고 연결기 접착구멍의 개구를 향해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단계, 및 금속으로 만들어진 연결기가 연결기의 접착구멍으로 코드의 말단 샤프트 부분을 삽입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연결기의 플랜지 부분을 유연성 있게 변형시킴에 의해 코드의 말단 샤프트 부분과 맞물리기 위하여 개구에서 연결기의 접착구멍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야안 가이드 부분을 따르는 위치에서 코드를 평평하게 함에 의해 수월하게 굽힐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명백히, 연결기의 접착구멍의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서 연결기의 샤프트 부분을 삽입하고 점착제로 고정시키기 전이나 후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두개의 상이한 형태의 본 발명이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나타낸다.
제1a도에 표시된 코드가 달린 바늘(1)은 가요성 코드(3)의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바늘 본체(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늘은 "원형 편물 바늘"이라고 불린다. 각각의 바늘 본체(2)는 대나무나 나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요성 코드(3)는 나일론과 같은 비교적 소프트한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b도에 표시된 다른 코드가 달린 바늘(1')은 가요성 코드(3')의 하나의 말단에 연결된 단일 바늘 본체(2')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3')의 다른 말단은 바늘 본체(2')에 의해 미리 형성된 스티치를 보유하기 위한 멈추개 "ST"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각각의 바늘 본체(2)(또는(2'))와 코드(3)(또는 (3')) 사이의 연결 구조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제1a도에 표시된 원형 편물 바늘(1)의 부분만을 나타낸 제2도 내지 제3f도를 참조한다. 그러나, 제1b도에 표시된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1')이 또한 유사한 연결 구조를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늘 본체(2)는 점차 테이퍼상이 되고 환형 말단면(2C)에 끝나는 외부 주면(2b)을 가진 연결 말단(2a)을 갖는다. 바늘 본체(2)의 연결 말단(2a)는 또한 테이퍼상 표면(2b) 아래에 말단면(2C)으로부터 펼쳐져 있는 축 연결구멍(2d)이 구비되어 있다.
바늘 본체(2)와 코드(3) 사이의 연결이 확대 플랜지 부분(4a) 및 샤프트 부분(4b)을 가진 금속 연결기(4)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결기(4)는 설령 동 또는 알루미늄이 수월한 작업성 때문에 바람직스럽다 할지라도 유연성 있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임의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금속 연결기(4)의 플랜지 부분(4a)은 바늘 본체(2)의 테이퍼상 외부 표면(2b)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바늘 본체(2)로부터 점차 떨어져 테이퍼된 외부 주면(4C)을 갖는다. 플랜지 부분(4a)은 또한 바늘 본체(2)의 말단면(2C)과 접합해 있는 환형 접촉면(4d)을 가진다.
바늘 본체(2)의 축 연결구멍(2d)으로 접합시키기 위한 플랜지 부분(4a)로부터 연결기(4)의 샤프트 부분(4b)이 돌출한다. 샤프트 부분(4b)을 연결구멍(2d)에 미리 넣어진 점착제(5)에 의하여 축의 연결구멍(2d)에 접착한다. 샤프트 부분(4d)이 삽입될적에, 점착제(5)는 샤프트 부분(4b)를 연결구멍(2b) 사이와 바늘 본체(2)의 말단면(2C)과 연결기(4d)의 접촉면(4d) 사이의 미세한 클리어런스를 이루기 위해서 삽입 압력하에서 가해진다.
그 결과, 바늘 본체(2)와 연결기(4) 사이의 점착 연결은 전체 점착 영역이 이와 같이 증가함에 의해 매우 강해지게 된다.
점착제(5)는 어떠한 종류도 가능하다. 그러나, 시아노 아크릴레이트 점착제와 같은 순간적으로 경화가능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제3도 참조), 연결기(4)의 샤프트 부분(4b)은 다수의 환상 그로우브(4e)가 외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스럽다.
상기의 경우에, 그로우브에서 경화된 접착제(5)의 부분은 연결구멍(2d)으로부터 샤프트 부분(4b)의 예기치 않은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접합 톱니멈춤쇠로서 작용한다.
금속 연결기(4)는 또한 유연성 있게 플랜지 부분(4a)을 변형시킴에 의해 개방된 마우스에서 직경이 감소하거나 죄어지는 축 접착구멍(4f)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연성 있는 변형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고 후에 상세히 기술된 것이다.
코드(3)는 확대 야안 가이드 부분(3a) 및 말단 샤프트 부분(3b)을 포함한다. 야안 가이드 부분(3a)은 연결기(4)의 테이퍼된 표면과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연결기(4)로부터 점진적으로 떨어져 테이퍼된 외부 주면(3C)을 갖는다. 말단 샤프트 부분(3b)은 연결기(4)의 접착구멍(4f)으로 접합시키기 위해 야안 가이드 부분(3a)으로부터 돌출한다. 접착구멍(4f)의 직경이 감소된 마우스는 코드(3)이 편물 조작시 구부릴적에 접착구멍내 굳게 고정시키기 위해 말단 샤프트 부분(3b)에 맞물린다.
야안 가이드 부분(3a)을 따른 위치에서, 코드(3)는 코드를 열로 납작하게 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요성 부분(3d)을 갖는다. 명백히, 가요성 부분(3d)의 두께는 폭이 증가되는 동안(제2a도 참조) 감소된다(제2도 참조). 가요성 부분(3d)은 코드(3)와 금속 연결기(4) 사이의 연결에 대한 응력 적용을 줄인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 코드(3)와 금속 연결기(4) 사이의 연결이 개방된 마우스에서 접착구멍(4f)의 직경 감소용 연결기의 확대 플랜지 부분을 유연성 있게(영구적으로) 단순히 변형시킴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접착구멍(4)에 점착제를 넣을 필요는 없지만 얻어진 연결은 점착 연결보다 더욱 확실하다. 코드(3)와 연결기(4) 사이의 연결이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진다면, 경화된 점착제는 코드(3)가 변형될 때마다 응력이 가해지며 장기간 사용후 코드가 우연히 제거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달리, 바늘 본체(2)와 연결기(4) 사이의 연결이 바늘 본체(2)의 축 연결구멍(2d)에 넣어진 점착제(5)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설령 코드(3)가 반복적으로 편물 공정시 변형된다 할지라도, 금속 연결기(5)의 충분한 경도에 기인한 응력이 거의 주입되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5)만으로도 바늘 본체(2)와 연결기(5)사이의 연결에 충분하다.
또한, 금속 연결기(5)는 바늘 본체(2)의 얇은 벽으로 연결 말단(2a)에 대한 충분한 보강을 제공한다.
더욱이, 바늘 본체(2), 코드(3) 및 연결기(4)의 각각의 테이퍼된 표면(2b,3c,4c)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것과 연속적이다. 그 결과, 형성된 스티치는 바늘 본체(2)와 코드(3) 사이에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결과 편물 조작을 수월하게 한다.
상기 기술된 연결구조나 이러한 연결구조를 가진 편물 바늘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
첫번째, 제3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늘 본체(2) 및 금속 연결기(4)가 분리되어 제조된다. 바늘 본체(2)는 축 연결구멍(2d)을 가지지만 연결구멍(2d) 둘레의 바늘 본체(2)의 외부 주면은 처음에 테이퍼되지 않는다. 연결기(4)는 환상 그로우브(4e)가 형성되어 있는 확대 플랜지 부분(4a) 및 샤프트 부분(4b)을 가지지만 플랜지 부분(4a)의 외부 주면은 처음에 테이퍼되지 않는다.
그후, 일정량의 점착제(5)가 바늘 본체(2)의 연결구멍(2d)내에 넣어지고 연결기(4)의 샤프트 부분(4b)이 연결기(4)의 환상 접촉면(4d)가 제3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늘 본체(2)의 환상 말단면(2c)와 접합될 때까지 연결구멍(2d)내 삽입된다.
그 결과, 점착제(5)가 연결기(4)의 삽입압력하에서 연결구멍(2d)의 전체 표면과 환상 말단면(2c)에 걸쳐 퍼져 있는 결과, 연결기(4)가 점착제(5)의 경화하에 바늘 본체(2)에 굳게 부착된다.
그후, 제3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늘 본체(2)와 연결기(4)가 기계 작업(예컨대, 절단 및/또는 그라인딩)에 함께 주입되는 결과, 각기 서로 다른 것과 연속적으로 테이퍼된 표면(2b,4c)을 가질 것이다.
그후, 제3d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접착구멍(4f)이 연결기(4)에 형성되는 반면에 테이퍼된 야안 가이드(3c) 및 말단 샤프트 부분(3b)을 가진 코드(3)가 분리되어 준비된다. 명백히, 접착구멍(4f)은 바늘 본체(2)에 연결기(4)를 고정시키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그후, 코드(3)의 말단 샤프트 부분(3b)이 제3e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4)의 구멍(4f)내 삽입된다.
최종적으로, 제3f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4)의 접착구멍(4f)이 유연성 있게 플랜지 부분(4a)을 변형시킴에 의해 그에 개방된 마우스에서 직경이 감소되고 가요성 부분(3d)이 열을 적용시킴에 의해 야안 가이드 부분(3a) 가까이에 있는 코드(3)내 형성된다.
상기 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바늘 본체(2) 및 연결기(4)가 각각의 테이퍼된 표면(2b,4c)(제3c도를 참조하라)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함께 작용된다.
그 결과, 상기 테이퍼된 표면이 설정 바늘 본체(2)의 연결구멍(2d) 및 연결기(4)의 샤프트 부분(4b)가 정확히 동축이 아니라 할지라도 연속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기술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형태의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하고 환상 말단면에서 종결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이 있고 또한 말단면으로부터 펼쳐져 있는 연결구멍이 있는 연결 말단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바늘 본체, 바늘 본체의 말단면과 접합되어 있고 바늘 본체의 테이퍼상 표면과 연속하여 바늘 본체로부터 떨어져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확대 플랜지, 또한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 점착제로 결합되어 접착되는 샤프트 부분,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개방된 마우스가 있는 연결구멍을 가진 연결기, 및 연결기의 테이퍼상 표면과 일반적으로 연속하여 연결기로부터 떨어져서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확대 야안 가이드 부분 및 연결기의 접촉구멍에 접합된 말단 샤프트 부분을 가지는 가요성 코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기는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접촉구멍이 연결기 플랜지 부분의 유연성 있는 변형에 의해 코드의 말단 샤프트 부분과 맞물리기 위해 개방된 마우스에서 직경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기의 샤프트 부분이 환상 그로우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기용 금속이 동 및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4. 제1항에 있어서, 바늘 본체가 대나무 및 나무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5. 제1항에 있어서, 코드가 또한 야안 가이드 부분을 따르는 위치에서 가요성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6. 환상 말단면으로부터 펼쳐져 있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말단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바늘 본체, 확대 플랜지 부분 및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 부분을 가지고 또한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해 있는 개방된 마우스를 가진 접착구멍을 가진 연결기 및 말단 샤프트 부분으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이 형성되어 있는 확대 야안 가이드 부분 및 야안 가이드 부분으로부터 말단 샤프트 부분을 가진 가요성 코드로 구성된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 일정량의 점착제를 넣는 단계, 연결기의 샤프트 부분을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 삽입시키는 단계, 바늘 본체의 연결 말단과 연결기의 플랜지 부분이 서로 다른 것과 실질적이고 연속적으로 연결기 접착구멍의 개방된 마우스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상 외부 주면을 가지도록 만들어지기 위해서 연결기의 플랜지 부분과 함께 바늘 본체의 연결 말단을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및, 연결기의 접착구멍으로 코드의 말단 샤프트 부분을 삽입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기는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방법이 또한 연결기의 플랜지 부분을 유연성 있게 변형시킴에 의해 코드의 말단 샤프트 부분과 접합시키기 위해 개방된 마우스에서 연결기 접착구멍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야안 가이드 부분을 따르는 위치에서 코드를 평평하게 함에 의해 가요성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연결기의 접착구멍이 바늘 본체의 연결구멍에서 연결기의 샤프트 부분을 삽입하여 점착제로 고정시킨 후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30001895A 1992-03-18 1993-02-12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및 그 제조방법 KR940011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2556 1992-03-18
JP4062556A JPH05302248A (ja) 1992-03-18 1992-03-18 可撓性線材を有する編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884A KR930019884A (ko) 1993-10-19
KR940011320B1 true KR940011320B1 (ko) 1994-12-05

Family

ID=1320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895A KR940011320B1 (ko) 1992-03-18 1993-02-12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5302248A (ko)
KR (1) KR940011320B1 (ko)
DE (1) DE4308715A1 (ko)
GB (1) GB22651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3346U1 (de) 2009-03-09 2009-05-07 Gustav Selter Gmbh & Co. Kg Strickwerkzeug
US11530499B2 (en) * 2017-05-11 2022-12-20 Knitting Fever, Inc. Knitting needles
RU176250U1 (ru) * 2017-05-11 2018-01-12 Светлана Васильевна Азарова Круговая вязальная спица
JP7224627B2 (ja) 2019-01-18 2023-02-20 クロバー株式会社 編針本体と線材との連結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輪針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8063A (en) * 1955-07-29 1960-02-17 Morrall Ltd Abel Improvements relating to knitting pins
GB1267201A (ko) * 1968-10-03 1972-03-15
JPS5735588U (ko) * 1980-08-08 1982-02-24
US4553410A (en) * 1982-08-30 1985-11-19 Clover Mfg. Co., Ltd. Knitting needles with a flexible cord
JPS6166623A (ja) * 1984-09-10 1986-04-05 Hitachi Ltd 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
DK163834C (da) * 1985-04-30 1992-09-07 Clover Mfg Co Ltd Strikkepind med en boejelig traad
JPS6245017U (ko) * 1985-09-10 1987-03-18
JPH0237642U (ko) * 1988-09-06 1990-03-13
JPH02216337A (ja) * 1989-02-15 1990-08-2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可動ステップ装置
US5085450A (en) * 1990-12-13 1992-02-04 The Dometic Corporation Step stall prevention for vehicle ste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884A (ko) 1993-10-19
GB2265159A (en) 1993-09-22
DE4308715A1 (ko) 1993-09-23
GB9301162D0 (en) 1993-03-10
JPH05302248A (ja) 199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5768A (en) Dental flosser unit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1265351A (en) Knitting needle with a flexible cord
CA2035317C (en) Needled suture
US4667860A (en) Sewing needle with easy-threading filament loop
US4553410A (en) Knitting needles with a flexible cord
EP0363953A2 (en) Preparation of catheter
JPH0375185B2 (ko)
CA2223048A1 (en) Guide wire with releasable barb anchor
KR940011320B1 (ko) 가요성 코드가 달린 편물 바늘 및 그 제조방법
EP1016515A3 (en) Resin component
CA2409658A1 (en) Cannula assembly for medical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1095432A (ja) 釣 竿
JP3849114B2 (ja) 芯ゴム入り組紐の接続方法
KR100923305B1 (ko) 붙임머리
JP2003093552A (ja) ゴルフクラブ
JP4753959B2 (ja) 穂先竿
CN111469664A (zh) 被缝制工件及其成型方法
JPH10276972A (ja) 内視鏡用チューブの口金接続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45489A1 (fr) File-guid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S6053206B2 (ja) 索導管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288930B1 (ko)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JPH1176408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H05154158A (ja) 医療用縫合針
JPS6112976Y2 (ko)
JPH034579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線材の端止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