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930B1 -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930B1
KR100288930B1 KR1019990018048A KR19990018048A KR100288930B1 KR 100288930 B1 KR100288930 B1 KR 100288930B1 KR 1019990018048 A KR1019990018048 A KR 1019990018048A KR 19990018048 A KR19990018048 A KR 19990018048A KR 100288930 B1 KR100288930 B1 KR 10028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iron plate
plate
rod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253A (ko
Inventor
강원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1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93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서 철판외부로 철봉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수 있고,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는, 결합공(11)이 형성된 철판(10); 상기 철판(10)의 결합공(11)에 억지끼워맞춤되는, 원주상에 다수의 산(A1)을 형성한 세레이션부(22)를 구비한 철봉(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레이션부(22)의 이끝원 직경(R2+2A1)이 철판(10) 결합공(11)의 직경(R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철판의 결합공에 철봉의 세레이션부를 억지끼워맞춤으로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철판외부로 철봉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an iron plate and an iron rod}
본 발명은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를 절약할 수 있고 외부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강력한 결합의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냉장고의 힌지 결합부에 적용되는 종래의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의 철판(1)에 원통형의 철봉(2)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철판(1)에 결합공(1a)을 천공한다. 그리고 철봉(2)의 선단부를 가공하여 결합부(2a)를 형성하는데, 상기 결합부(2a)의 길이는 상기 철판(1)의 두께보다 길게 하고, 직경은 상기 철판(1) 결합공(1a)의 직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가공된 철봉(2)의 결합부(2a)를 상기 철판(1)의 결합공(1a)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철판(1)의 결합공(1a) 외부로 돌출된 철봉(2)의 결합부(2a)를 펀칭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a)의 선단을 변형시켜 철판(1)에 압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변형되어 압착된 결합부(2a)의 선단때문에, 철봉(2)이 철판(1)의 결합공(1a)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철판(1)과 철봉(2)의 조립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철봉(2)의 선단부(2a)가 철판(1) 외부로 튀어나와 미관상 안 좋고, 외부구조물과의 간섭이 예상되며, 철판(1)에 결합된 부위가 균일하게 결합되지 않아 결합력이 약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립구조는 철봉(2)의 결합부(2a)가 철판(1)의 두께보다 더 길게 가공되어야 하므로, 철봉(2)의 소재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봉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소재를 절약하고 외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없앨 수 있으며,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조립전 상태도.
도 1b는 종래의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조립후 상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철봉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조립전 상태도.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조립후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판 11 : 결합공
20 : 철봉 22 : 세레이션부
22a,22b : 세레이션부의 경사면 22c : 산
R1 : 결합공의 직경 R2 : 세레이션부의 이뿌리원 직경
A1 : 산의 높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는 , 결합공이 형성된 철판; 상기 철판의 결합공에 억지끼워맞춤되는, 원주상에 다수의 산이 형성된 세레이션부를 구비한 철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레이션부의 이끝원 직경이 철판의 결합공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철판외부로 철봉의 세레이션부를 튀어나오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재를 절약할 수 있고 외부 구조물과의 간섭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철판의 결합공에 철봉의 세레이션부를 억지끼워맞춤을 하기 때문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레이션부의 선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산을 포함한 세레이션부의 직경이 상기 철판의 결합공 직경보다 커도, 철판의 결합공에 철봉의 세레이션부 선단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레이션부의 산과 철봉이 접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철판의 결합공에 철봉의 세레이션부가 완벽하게 삽입되지 않더라도 상기 세레이션부의 산이 철판의 결합공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조립전 상태도이고, 도 2c는 조립후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철판(10)과, 상기 철판(10)의 결합공(11)에 억지끼워맞춤되며, 철판(10)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의 세레이션부(22)를 구비한 철봉(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봉(20) 세레이션부(22)의 원주상에는 산(22c)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레이션부(22)의 이뿌리원 직경(R2)과 상기 산(22c) 하나의 높이(A1) 합은 상기 철판(10)의 결합공(11) 직경(R1)(도 2b 참조)보다 작으나, 상기 철봉(20)의 세레이션부(22) 이뿌리원 직경(R2)과 상기 산(22c) 두개의 높이(2A1)의 합은 상기 철판(10)의 결합공(11) 직경(R1)(도 2b 참조)보다 크도록(아래 수학식1 참조), 상기 산(22c)의 높이(A1)를 정한다.
R2 + A1 < R1 < R2 + 2A1
R1 : 철판의 결합공 직경
R2 : 철봉 세레이션부의 이뿌리원 직경
A1 : 철봉 세레이션부 산의 높이
그리고 상기 세레이션부(22)의 선단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레이션부(22)의 산(22c)이 철봉(20)과 만나는 부분에는 제2경사면(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철봉(20)이 철판(10)에 조립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 2a, 도 2b 및 도2c를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10)의 결합공(11)에 철봉(20)의 세레이션부(22)를 힘을 가해 삽입한다. 이때, 상기 철판(10)의 결합공(11) 직경(R1)은, 산(22c)의 높이(A1)를 포함한 세레이션부(22)의 이끝원 직경(R2+2A1)보다 작기 때문에 억지끼워맞춤을 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레이션부(22)의 선단에는 제1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세레이션부(22)가 상기 결합공(11)에 삽입되는 것을 돕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철봉(20)에 힘을 가해 상기 세레이션부(22)가 결합공(11)에 강제삽입되면, 상기 산(22c)의 일부가 깍여 결합공(11)에 채워짐과 동시에 결합공(11)이 상기 산(22c)에 의해 변형되어 철판(10)에 철봉(20)이 강력하게 조립된다.
또한, 세레이션부(22)와 철봉(20)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제2경사면(22b)은, 조립후 세레이션부(22)의 산(22c)이 철판(10)의 결합공(11)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세레이션부(22)의 이끝원 직경(R2+2A1)이 결합공(11)의 직경(R1)보다 크기 때문에, 세레이션부(22)를 강제로 삽입하더라도 세레이션부(22)가 완전히 결합공(11)으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경사면(22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레이션부(22)의 산(22c)이 철봉(20)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판(10)과 철봉(20)의 조립결합력은 종래와 달리 철판(10)의 결합공(11)에 철봉(20)의 세레이션부(22)를 억지끼어맞춤한 것에서부터 나온다. 따라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구조에 의해 철판과 철봉을 조립할 때 철봉이 철판의 외부로 돌출되게 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철봉의 세레이션부를 철판의 두께보다 길게 하여 삽입한 후 철봉의 선단부를 변형하는 종래방법에 비해, 철봉의 소재를 절약할 수 있고, 조립후 철봉이 철판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구조물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며 결합력도 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판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철봉에 세레이션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세레이션부를 철판의 결합공에 억지끼워맞춤을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철판의 외부로 철봉의 결합부를 돌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철봉소재를 절약할 수 있고 외부 구조물과의 간섭을 없앨 수 있고, 억지끼워맞춤을 하기 때문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결합공이 형성된 철판과;
    상기 철판의 결합공에 억지끼워맞춤되는, 원주상에 다수의 산을 성형한 세레이션부를 구비한 철봉으로 구성되며, 세레이션부의 이끝원 직경이 철판의 결합공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봉의 세레이션부가 상기 철판의 결합공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세레이션부의 선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부의 산이 철판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세레이션부의 산과 철봉이 접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KR1019990018048A 1999-05-19 1999-05-19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KR10028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048A KR100288930B1 (ko) 1999-05-19 1999-05-19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048A KR100288930B1 (ko) 1999-05-19 1999-05-19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253A KR20000074253A (ko) 2000-12-15
KR100288930B1 true KR100288930B1 (ko) 2001-04-16

Family

ID=1958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048A KR100288930B1 (ko) 1999-05-19 1999-05-19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162B1 (ko) * 2019-05-02 2024-05-08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마스터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253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223A (en) Self-clinching fastener for electrical components
US4746305A (en) High frequency coaxial connector
US5213459A (en) Self-drilling connecting unit
JP2613166B2 (ja) Tナット
US471721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eyelets
EP2166237A1 (en) Clinch bolt
JPH05152018A (ja) 基板取付装置
EP0801824A1 (en) Multiple fish hook hold-downs
KR100235366B1 (ko) 연료 압력 센서를 위한 밀봉 유닛
TWI742301B (zh) 具有壓縮套之插入式緊固件、包含此緊固件的組合件以及將插件安裝至板中之方法
KR100288930B1 (ko) 철판과 철봉의 조립구조
US4969845A (en) Electric terminal connector
US4773803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with extension on expansion member
US4673321A (en) Expansion dowel
US5017161A (en) Electric terminal connector
JPH11141517A (ja) ワンウェイファスナ
US20020068479A1 (en) Tangless terminal fixed lock
KR100301418B1 (ko) 보강체결부
JPS6073130A (ja) スポツト型デイスクブレーキ
JP3076161B2 (ja) ゴルフクラブのネックソケット
JPH0142651Y2 (ko)
JP2557727Y2 (ja) インサート成形用端子固定治具
KR200235384Y1 (ko) 차량 점화 배선용 커넥터
JPH11267772A (ja) 板材のかしめ構造
JPH02141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