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132B1 -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그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 Google Patents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그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132B1
KR940011132B1 KR1019890019130A KR890019130A KR940011132B1 KR 940011132 B1 KR940011132 B1 KR 940011132B1 KR 1019890019130 A KR1019890019130 A KR 1019890019130A KR 890019130 A KR890019130 A KR 890019130A KR 940011132 B1 KR940011132 B1 KR 94001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test
wat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561A (ko
Inventor
히로유끼 이구찌
가오루 가사하라
신이찌 마쓰노
노리마사 요꼬야마
다께오 모떼기
Original Assignee
호도가야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후루까와 도요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도가야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후루까와 도요히꼬 filed Critical 호도가야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the groups —CO—N< and, both being directly attached by their carbon atoms to the same carbon skeleton, e.g. H2N—NH—CO—C6H4—COOCH3; Thio-analogu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그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특정의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그 벤즈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에 관한 것이다.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 식물 호르몬 또는 그와 유사한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기베렐린 또는 옥신에 대하여 길항 작용을 나타내거나 식물체 내의 식물 호르몬에 의한 생합성을 저해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후자의 약품은 경엽 처리제와 토양 처리제로 나뉘어질 수 있다.
경엽 처리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형적인 예로서 말레산 히드라지드(MH), 2-클로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CCC) 및 (N-디메틸아미노) 숙신아미드산(SADH)을 들 수 있다. MH는 담배의 액아(axillary bud)를 억제하거나 양파의 보관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 CCC는 밀의 도복(lodging)을 경감시키거나, 원예 분야에서 유용한 왜화제로서 사용된다. SADH는 과수나 녹화수(green tree)용 왜화, 성장억제 또는 꽃봉오리 유도 등의 분야에 사용된다.
토양 처리제는 비교적 근년에 개발된 많은 약품을 포함한다. 그들 중의 다수가 트리아졸계 약품과 같이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는 매우 강한 활성을 갖는다. 전형적인 예로서, 벼의 도복을 경감시키거나, 잔디의 성장을 억제시키거나 원예 분야에서 꽃봉오리를 왜화 또는 유도하기 의해(2RS, 3RS)-1-(4-클로로페닐)-4, 4-디메틸-2-(1H-1, 2, 4-트리아졸-1-일)펜탄-3-올(파클로부드라졸)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식물 성장 조절제의 효과는 식물의 종이나 성장 단계, 기후 또는 토양조건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러 분야에서 각종의 약품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물호르몬에 길항 활성을 가지며, 그러한 활성을 나타내는 경엽 처리제에 속한다.
종래의 경엽 처리제는 일반적으로 활성이 약하여 많은 투여량을 필요로 한다. 더우기, 식물에 따라서는 감수성의 시기가 제한되어 있고, 처리 적절한 시긴의 폭이 좁다. 그들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농도로 사용할 경우, 고농도로 인하여 식물이 시드는 등의 식물 특성이 나타나기 쉽고, 감수성의 변화로 인한 식물종의 응용 범위가 좁은 경향이 있다. 예를들어, MH는 강한 부작용이 있어 백화나 잎이 시드는 등이 식물독성을 유발시키는 경향이 있다. CCC는 도복 경감제로서 유용하나 밀에 대한 처리의 적정시키가 좁고, 벼나 보리에 대하여는 활성이 약하다.
포트(pot)에서 재배하는 원예식물의 경우에는 SADH와 같은 약품이 경엽 처리제 및 토양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SADH 등의 약한 활성이 보강될 수 있다. 그러나, 땅에서 재배하는 녹화수의 경우에는 활성의 약함이 거의 보강될 수 없다.
한편, 토양 처리제는 토양의 성장이나 강우량의 영향에 민감하다. 만일 토양 처리제가 효과적이지 못하거나 과량으로 사용되었을 겨우, 그것이 토양에 남은 다음 작물이나 다음해의 경작에 역효과를 주거나, 영년 작물인 경우, 재배 식물의 성장을 수년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은 페녹시아세트산(프로피온산) 벤즈아미드 유도체(일보국 특허 공개 제 216803/1988호 및 29348/1989호)에 의해 상당히 해결되었다. 그러나, 이들 약품도 취급 능률이나 고도의 활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여전히 불충분하다. 예를들어, 이들 약품이 벼의 도복 경감제로 사용될 경우, 투요량의 변화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산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감수성의 관점에서, 밀과 보리는 벼에 비하여 감수성이 조악하고, 한지형 잔디도 마찬가지이다. 가지과 식물의 감수성도 조악하다. 이들은 담배의 액이 억제 효과도 조악하다. 또한 원예 분야에서 이들은 왜화 효과와 꽃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의 벤즈아미드 유도체의 식물 활성에 대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특정의 벤즈 아미드 유도체가 여러가지 식물에 대한 식물 성장 조절 작용, 즉 줄기 단축 작용, 분얼(tillering) 촉진 장용, 신아(fresh bud) 발생 억제 작용, 꽃봉오리 발생 촉진 작용 또는 열매(또는 꽃)의 적과(thinning) 작용, 경우에 따라서는 액아 형성 촉진 작용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활성을 나타내며, 종래 식물 성장 조절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A)의 벤즈아미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은 히드록실, C1~C6알콕시, 알켄일알콕시, 알콕시알록시, 아미노, C1~C4모노알킬아미노, 모노알켄일아미노, 다알킬아미노 또는 O-cat(cat는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양이온임)이다.]
본 발명의 벤즈아미드 유도체는 페녹시아세트산(프로피온산) 벤즈아미드 유도체에 관해 기재된(일본국 특허 공개 제 216803호 및 29348/1989호) 식물 성장 조절제의 기초 활성을 실질적으로 해치지 않고, 벼에 대한 투여량의 변화에 따른 활성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밀, 보리, 한지형 잔디 및 가지과 식물의 감수성을 향상시켜, 이들 식물에 대한 상기 화합물의 효과는 우수하다. 원예 분야에서 이들의 활성 또한 우수하므로, 저농도에서의 산포가 비로소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벤즈아미드 유도체는 처리시간을 적절하게 선택하므로써 왜화, 꽃봉오리 유도 및 열매의 적과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식물의 경엽에 그것이 충분히 산포될 수 있도록 주의 해야 한다. 투여량은 처리할 식물의 종류, 화합물의 종류 또는 산포 시기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유도 성분의 양으로서 0.1~100g/a(그램/아아르), 바람직하게는 1~50g/a 범위의 양으로 산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습윤성 분말, 유화성 농축액, 분제 또는 미세 과립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제의 형태로 사용된다.
도복 경감제로서, 유효 성분은 출수(heading) 20일 전에서 출수시까지의 동안에 0.5~4g/a 범위의 투여량으로 산포된다. 잔디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배기 직전에 유효 성분을 5~20g/a 범위의 투여량으로 산포한다.
광엽 목초 식물을 왜화하거나 과성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성장기 직전에서 성장의 시작 단계에 이르는 동안 1~10g/a 범위의 투여량으로 유효 성분을 산포한다. 녹화목을 왜화하거나 도장(spindly growth)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을 가지치기 직전에서 가지친 후 새로운 싹이 수 센티미터 자랄때까지의 동안에 3~30g/a 범위의 투여량으로 산포한다.
꽃봉오리를 유도하거나 꽃봉오리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꽃보오리 형성 이전에 0.2-2g/a 범위의 유효 성분을 산포한다. 열매를 적과시키기 위해서는 만개 이전 한달동안 같은 양을 산포한다.
근채류의 꽃대 발생을 억제하거나 근채의 당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꽃대의 발생 직전에 유효 성분을 5~20g/a 범위의 양으로 산포하거나 스포트(spot) 처리를 적용한다.
근채류의 저장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확 1~2주 전에 5~40g/a 범위의 양으로 유효 성분을 산포한다.
사탕수수의 당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출수 1주 내지 2개월 전에 10~30g/a 범위의 양으로 유효 성분을 산포한다.
비농경지의 대형 잡초의 조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30~100cm 높이로 성장했을때, 또는 벤후 30cm를 넘는 키로 성장했을때 12.5~100g/a 범위의 양으로 성분을 산포한다.
잘린 꽃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약품으로서는 꽃봉오리 부분을 5~50ppm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담근 후 보관하거나 사용한다. 그렇지 않으면 꽃봉오리 시기부터 묽은 용액을 계속적으로 흡수시킨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을 표 1 에 나타낸다. 각 화합물을 화합물 번호로 나타낸다.
[표 1a]
Figure kpo00002
[표 1b]
Figure kpo00003
[표 1c]
Figure kpo00004
[표 1d]
Figure kpo00005
[표 1e]
Figure kpo00006
[표 1f]
Figure kpo00007
본 발명의 벤즈아미드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 중에서,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또는 N, N'-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같은 탈수 축합제를 이용하여 각종 알코올, 알콕시 알코올, 알켄일 알코올, 모노알킬아민, 디알킬아민 또는 알켄일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좋은 수율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8
[식중, R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식 Ⅰ의 화합물은 벤젠 또는 툴루엔 같은 유기 용매 중에서 진한 황산의 존재하에 각종 알코올, 알콕시 알코올 또는 알켄일 알코올과 반응하여 상응하는 벤즈아미드 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R1이 수소인 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즉, 식 Ⅱ의 화합물을 N, N-디메틸포름아미드나 디메틸술폭사이드 같은 극성 용매에서 시안화나트륨이나 시안화칼륨 같은 무기 시안화물 화합물과 반응시켜 식 Ⅲ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식 Ⅲ의 화합물을 95%황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식 Ⅲ'의 산아미드 유도체를 수득한 다음, 이를 아세트산에서 황산 촉매의 존재하에 아질산 나트륨과 반응시켜 R1이 수소인 식 Ⅰ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R1이 메틸인 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식에서 표시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10
즉, 식 Ⅳ의 화합물을 95% 황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산아미드 유도체를 수득한 다음, 이를 아세트산에서 황산 촉매의 존재하에 아질산 나트륨과 반응시켜 식 Ⅴ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다음, 식 Ⅴ의 화합물을 예를 들면 티오닐 클로라이드로써 식 Ⅵ의 산클로라이드 유도체를 변환시킨 다음, 아세톤 같은 유기 용매에서 탄산수소나트륨 같은 적절한 산 수용체의 존재하에서 2,3-디클로로아닐린과 반응시킴으로써 식 Ⅶ의 혼합물을 수득한다. 식 Ⅶ의 화합물을 예를들면 수산화나트륨으로 가수분해하여 R1이 메틸인 식 Ⅰ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이제,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제조예를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예에 의해 결코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실시예 1]
[표 1의 화합물 9의 제조]
200ml의 N, N-디메틸포름아미드에 30.2g의 2', 3'-디클로로-4-클로로메틸-벤즈아닐라이드를 분산시키고, 거기에 5.8g의 시안화나트륨을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한다. 여액을 500ml의 물에 붓고 15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다. 추출액을 200ml의 물로 2회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다음,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정제하여 식 Ⅲ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기 화합물을 200ml의 95% 황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온에서 7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500ml의 빙수에 붓고, 수득되는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세트아미드 23.5g을 수득한다. 수율은 76.7%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226~229℃이다.
[실시예 2]
[표 1의 화합물 1의 제조]
100ml의 아세트산에 10.7g의 4-(2, 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세트아미드를 분산시키고, 17.5ml의 황산을 가한다. 다음, 17.5ml의 물에 3.2g의 아질산나트륨을 용해시켜 제조한 용액을 반응 온도가 20℃±5℃의 수준이 되도록 적가한다.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400ml의 빙수에 붓는다. 수득되는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목적하는 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 아세트산 9.8g을 수득한다. 수율은 91.3%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184~185.5℃이다.
[실시예 3]
[표 1의 화합물 8의 제조]
1.5g의 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 아세트산, 0.55g의 2-n-부톡시에탄올, 0.5ml의 진한 황산 및 30ml의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부분 냉각기에 의해 물을 제거하면서 7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이 완결된 후, 추출을 위해 5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와 100ml의 물을 가한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벤젠-헥산으로 부터 재결정하여 목적하는 2-n-부톡시에틸 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세테이트 1.82g을 수득한다. 수율은 92.7%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81.5~83℃이다.
[실시예 4]
[표 1의 화합물 번호 11의 제조]
1.5g의 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 아세트산을 30m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다. 빙수로 용액을 냉각시키면서, 거기에 0.75g의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가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한다. 다음, 0.27g의 n-프로필아민을 거기에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회복시키고 5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200ml의 물에 붓는다. 수득되는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벤젠-헥산으로 부터 재결정하여 원하는 N-n-프로필-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세트아미드 1.5g을 수득한다. 수율은 88.8%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177~178℃이다.
[실시예 5]
[표 1의 화합물 20의 제조]
1.5g의 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 아세트산을 30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0.2g의 수산화나트륨을 메탄올을 거기에 가한다.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한다. 불용성물질을 여과에의해 제거하고, 여액으로부터 증류 제거하여 목적하는 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아세트산의 나트륨염 1.49g을 수득한다. 수율은 93.0%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230℃ 이상이다.
[실시예 6]
[표 1의 화합물 23의 제조]
a) 식 Ⅴ 화합물의 제조
8.12g의 에틸 2-(4-시아노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50ml의 95% 황산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온에서 7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용액을 300ml의 빙수에 붓고, 3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물로 연달아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다음,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상응하는 산아미드 유도체를 수득한다. 상기 유도체를 100ml의 아세트산에 분산시키고, 거기에 6ml의 황산을 가한다. 다음, 20ml의 물에 7.46g의 아질산나트륨을 용해시켜 수득한 용액을 반응 온도가 20℃±5℃의 수준이 되도록 적가한다. 적가가 완결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 반응 용액을 400ml의 빙수에 붓고, 수득되는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물로 완전히 세척하고 건조시켜 식 Ⅴ의 목적 화합물 6.8g을 수득한다. 수율은 76.6%이다.
b) 에탈 2-[4-(2, 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제조
식 Ⅴ의 화합물 6.66g, 티오닐 클로라이드 5.35g 및 디옥산 30ml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 용매와 과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증류 제거하여 산클로라이드 유도체인 식 Ⅵ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기 화합물에 20ml의 아세톤과 5.04g의 탄산수소나트륨을 가한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00ml의 아세톤에 용해시킨 4.38g의 2, 3-디클로로아닐린 용액을 실온에서 20분동안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 추출을 위해 100의 물과 20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가한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다음,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톨루엔-헥산으로 부터 재결정하여, 목적하는 에틸 2-[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9.3g을 수득한다. 수율은 85%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59~59.5℃이다.
[실시예 7]
[표 1 의 화합물 22의 제조]
3.66g의 에틸 2-[4-(2, 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50ml의 메탄올 및 10ml의 2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다음, 반응 용액을 100ml의 빙수에 붓고, 진한 염산으로 pH를 1로 조절한다. 수득되는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완전히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목적하는 2-[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온산 3,14g을 수득한다. 수율은 93%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141~142℃이다.
[실시예 8]
[표 1 의 화합물 25의 제조]
3.38g의 2-[4-(2, 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온산을 30m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다. 그 용액을 빙수로 냉각시키면서 2.43g의 N, N`-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거기에 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다. 다음, 0,74g의 이소부틸 알코올을 거기에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회복시키고 5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300ml의 물에 붓고, 수득되는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톨루엔-헥산으로 부터 재결정하여 목적하는 이소부틸 2-[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3.15g을 수득한다. 수율은 80%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70~72℃이다.
[실시예 9]
[표 1 의 화합물 31의 제조]
3.38g의 2-[4-(2, 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온산을 30m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빙수로 냉각하면서, 2.43g의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거기에 가하고, 혼합물을 30분동안 교반한다. 다음, 거기에 0.59g의 이소프로필아민을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회복시키고 5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용액을 200ml의 물에 붓고, 수득되는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집된 다음,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톨루엔으로 부터 재결정하면 목적하는 N-이소프로필-2-[4-(2,3-디클로로페닐카르바모일)페닐]프로피온아미드 3.30g이 수득된다. 수율은 87%이고, 상기 화합물의 융점은 203~204℃이다.
아제, 제제예를 기술한다. 이들 예에서 "부"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중량부"를 의미한다.
[제제예 1]
[습윤성 분말의 제조(화합물 1)]
40부의 화합물 1에 49부의 카올린 클레이와 3부의 화이트 카본을 가하고, 혼합물을 혼합하여 혼련기로 분쇄한다. 다음, 분말상 계면활성제, 즉 라피졸(Rapizol) BB-75(상품명,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75%, 닛뽕 유시 가부시끼가이샤제) 2분 및 소르폴(Sorpol) 5039(상품명,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에테르설페이트 50%, 도호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 6부를 거기에 혼합하여 40중량%의 화합물 1 을 함유하는 습윤성 분말을 수득한다.
[제제예 2]
[습윤성 분말의 제조(화합물 22)]
제제예 1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30중량%의 화합물 22를 함유하는 하기 조성의 습윤성 분말을 제조한다.
화합물 22 30부
카올린 클레이 60부
화이트 카본 2부
라피졸 BB-75 2부
소르폴 5039 6부
[제제예 3]
[유화성 농축액의 제조(화합물 6)]
10부의 화합물 6을 크실렌 47부와 시클로헥산온 33%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10부의 소르폴 800A(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알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 에테르 및 특수 음이온의 혼합물)를 거기에 가하고 교반하에 용해시켜 10중량%의 화합물 6 을 함유하는 유화성 농축액을 수득한다.
[제제예 4]
[유화성 농축액의 제조(화합물 26)]
제제예 3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25중량%의 화합물 26을 함유하는 하기 조성의 유화성 농축액을 제조한다.
화합물 26 25부
톨루엔 35부
시클로헥산온 30부
소르폴 800A 10부
[제제예 5]
[분제의 제조(화합물 10)]
제제예 1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40중량%의 화합물 10을 함유하는 습윤성 분말 5부를 0.3부의 라피졸 BB-75 및 94.7부의 클레이와 완전히 혼합하여 2중량%의 화합물 10을 함유하는 분제를 수득한다.
[제제예 6]
[분제의 제조(화합물 28)]
제제예 5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1중량%의 화합물 28을 함유하는 하기 조성의 분제를 제조한다.
20중량%의 화합물 28을 함유하는 습윤성 분말 5부
라피졸 BB-75 0.3부
클레이 94.7부
[제제예 7]
[미세 과립체의 제조(화합물 2)]
50분의 화합물 2에 3부의 화이트 카본과 47부의 카올린 클레이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분쇄한다. 94부의 미립 제올라이트(48~150메쉬)에 상기 분쇄된 혼합물 4부를 스피드 혼련기에서 교반하에 가한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물에 희석한 2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에테르를 거기에 붓는다. 분말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혼합물을 소량의 물로써 제조하고, 혼합물을 회수하여 기류하에 건조시키면 2중량%의 화합물 2 를 함유하는 미세과립체가 수득된다.
[제제예 8]
[미세과립체 F의 제조(화합물 34)]
제제예 7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2중량의 화합물 34를 함유하는 하기 조성의 미세과립제 F를 제조한다.
화합물 34 2부
화이트 카본 1부
미립 제올라이트(65~250 메쉬) 46부
미립 탄산칼슘(65~250 메쉬) 50부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1부
[제제예 9]
[액제의 제조(화합물 21)]
10부의 화합물 21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10중량%의 화합물 21을 함유하는 액제를 수득한다.
[제제예 10]
[액제의 제조(화합물 22)]
제제예 9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기 조성의 액제를 제조한다.
화합물 22의 칼륨염 10부
증류수 90부
[제제예 11]
[유동제의 제조(화합물 14)]
40부의 화합물 14에 50.3부의 물, 계면활성제로서 5부의 소프폴 3742(상품명,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레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도호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 및 기포 억제제로서 0.5부의 소르폴 7512(실리콘계 기포억제제)를 가하고, 혼합물을 샌드 그라인더로 분쇄한다. 혼합물을 꺼내어, 4부의 에틸렌글리콜 및 0.2부의 방겔-B(Vangel-B, 상품명, Mg, Al 및 Si를 함유하는 무기 중점제, 산뇨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중점제 및 안정화제로서 가하고, 혼합물을 완전히 교반하여 40중량%의 화합물 14를 함유하는 유동제를 수득한다.
[제제예 12]
[유동제의 제조(화합물 32)]
제제예 1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40중량%의 화합물 32를 함유하는 하기 조성의 유동제를 제조한다.
화합물 32 40 부
물 50.3부
소르폴 3742 5 부
소르폴 7512 0.5부
에틸렌 글리콜 4.0부
방겔-B 0.2부
[시험예 1]
[각종 식물에 대한 경엽처리 시험(식물 성장 조절제)]
벼(오리자 사티바)(Or), 밀(트리티쿰 아에스티붐)(Tr), 텅굴 있는 강낭콩(파세올루스 불가리스 L.)(Ph),상치(Le) 및 토마토(To)를 60㎠의 다공성 포트에서 별도로 기르고, 식물의 크기에 따라서 적과시킨다. 성장 정도를 3.5 엽기 수준으로 조절하고, 각 시험 화합물의 희석 용액을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10ℓ/a의 양으로 식물의 경엽에 산포한다. 30일 후, 성장 억제를 평가한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평가는 하기 기준에 준하여 수행한다.
[성장 역제 효과]
0 : 무처리와 동일, 1 : 무처리에 비하여 약 20% 성장 억제, 2 : 무처리에 비하여 약 40% 성장 억제, 3 : 무처리에 비하여 약 60% 성장 억제, 4 : 무처리에 비하여 약 80% 성장억제, 5 : 처리후 성장에 진전이 없음.
[활성]
G : 잎의 녹색이 진해짐, T : 분열, M : 기형의 잎, B : 잎이 시듬.
[표 2a] 각종 식물에 대한 경엽 처리 시험의 결과
Figure kpo00011
[표 2b]
Figure kpo00012
[시험예 2]
[벼에 대한 도복 경감시험(출수전 처리)]
통상의 방법으로 이식기에 의해 모(고시히까리)를 이식한 논을 20㎠의 단위구획으로 나눈다. 습윤성 분말, 유화성 농축액 및 유동제를 5ℓ/a에 해당하는 양으로 물에 희석하여 수동식 분무기로 각 단위 구획에 균일하게 분무한다. 분제, 미세 과립제(48∼150메쉬) 및 미세 과립제 F(65∼250메쉬)를 단위 구획에 소형 분말 산포기로 균일하게 산포한다.
처리는 벼의 출수 20일전 및 7일전에 두번행한다. 수확시에 각 단위 구획에서 15개의 식물에 대하여 가장 긴 줄기를 갖는 줄기 길이와 이삭(panicle) 길이를 측정하고, 평균치를 계산한다. 수율은 각 단위 구획에서 3.3㎠의 두 지역으로 부터 거둬들인 현미의 중량 평균치로 나타낸다. 도복 정도는 하기 기준에 준하는 평가된다.
0 : 도복 없음
1 : 20% 도복 또는 기울어짐
1 : 40% 도복 또는 기울어짐
3 : 60% 도복 또는 기울어짐
4 : 80% 도복 또는 기울어짐
5 : 완전히 도복됨.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수치는 무처리 구획에 대비한 백분율을 나타내었으며, 소숫점 이하의 수치는 반올림하였다. 표 3에서 괄호안의 수치는 실제로 측정한 값이다.
[표 3a] 벼에 대한 도복 경감 시험의 결과
Figure kpo00013
[표 3b]
Figure kpo00014
[시험예 3]
[밀에 대한 도복 경감 시험(출수전 처리)]
11월 초에 줄지어 파종한 밀밭(노린 61호)을 20㎠의 단위 구획으로 구분한다. 정해진 농도로 희석한 각 화합물을 단위 구획에 5ℓ/a 에 해당하는 양으로 출수 20일전, 즉 4월 초순경, 및 출수 10일전 즉 4월 하순경에 수동식 분무기로 전표면에 균일하게 분무한다.
6월 하순경 수확때 평균적으로 성장한 15개의 식물의 가장 긴 줄기에 대하여 줄기 길이와 이삭 길이를 측정하고 평균치를 계산한다. 나타낸 낟알 중량을 각 단위 구획의 3.3㎡의 두 지역에서 수확한 낟알 중량의 평균값이다. 도복 정보는 시험예 2에서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한다. 결과를 하기 식 표 4에 나타낸다.
수치는 무처리 구획에 대하여 비교한 백분율 값을 나타내고, 괄호 속의 값은 실제 측정된 값이다.
[표 4a] 밀에 대한 도복 경감 시험의 결과
Figure kpo00015
[표 4b]
Figure kpo00016
[시험예 4]
[잔디에 대한 경엽 처리 시험]
벤트 그라스(Be), 블루 그라스(B1), 톨 페스큐(페스투카아룬디나세아 (Festuca Arundiacea)(Fe) 및 조이시(조이시아 마트렐라)(Z0) 각각의 조성지를 2.25㎡의 단위 구획으로 나눈다. 25㎜초장으로 베어낸지 5일후, 각 화합물의 희석용액 5.0㎖를 수동식 분무기로 각 구획에 균일하게 산포한다. 산포 3주후, 시험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한다.
잎의 색변화는 하기 기준으로 평가한다.
[잎의 색]
시듬 경미함 B-1
약간 B-2
상당함 B-3
짙어짐 경미함 G-1
약간 G-2
상당함 G-3
고밀도화 약간 높음 D-1
상당히 높음 D-2
매우 높음 D-3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표 5]
잔디에 대한 경엽 처리의 결과
Figure kpo00017
[시험예 5]
[각종 녹화목의 왜화 시험]
거의 같은 정도로 성장한 200㎠ 포트에서 기른 각종 녹화목의 묘목을 선택한다. 신아의 신장기, 즉 봄에 각 화합물의 희석 용액을 수동식 분무기로 묘목에 대하여 10ℓ/a 에 해당하는 양으로 분무한다. 2주후, 잎이 시드는 등의 식물 독성 반응을 평가하고, 3개월후 성장 조절 및 기타 반응을 평가한다. 성장 조절 효과는 시험예 1에서와 같은 기준에 준하여 평가한다.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분무시 시험 식물의 높이에 관하여는 아잘리아(로도덴드론 인디쿰)(Rh)및 회양목(북수스 미크로필라)(Bu)는 25∼30㎝의 높이를 갖고, 중국 산사나무(포티니아 글라브라)(Ph) 및 주니페루스 키넨시스(Ju)는 35∼40㎝의 높이를 갖는다.
[식물 독성]
잎의 시듬 : 경미함 B-1
약간 B-2
상당함 B-3
백화 또는 황화 : 경미함 C-1
약간 C-2
상당함 C-3
[기타 반응 ]
색이 짙어짐 : 경미함 G-1
약간 G-2
상당함 G-3
[표 6]
각종 녹화목에 대한 왜화 시험
Figure kpo00018
[시험예 6]
[담배에 대한 액아(sucker) 억제 시험]
5월에 심은 담배(니코티아나 타바쿰)(황색)를 개화후 핀치하고, 액아를 손으로 적심(pick) 한다. 다음, 각 화합물의 정해진 농도의 용액 10㎖를 식물 줄기의 정상에 분무한다. 식물당 액아의 수, 식물당 액아의 건조 중량 및 액아 억제율을 분무후 2주 및 4주 경과시에 조사하고, 분무후 4주 경과시에 식물 독성을 평가한다.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액아 억제율(%)은 하기 등식에 따라 계산한다. 식물 독성은 시험예 5에서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한다. 각 처리 구획은 5포기의 식물을 포함하며, 시험 결과는 평균치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19
[표 7]
담배에 대한 액아 억제 시험의 결과
Figure kpo00020
[시험예 7]
[사과에 대한 적과(thinning) 시험]
각 구획당 12년생 사과나무(후지)의 가지 몇개를 선택한다. 소정의 농도를 갖는 각 화합물의 용액을 전체가지가 젖기에 충분한 양, 즉 20ℓ/a에 해당하는 양으로 분무기를 사용하여 전체 가지에 분무한다. 2개월 후 중심과와 측과에 대한 결실율의 평균치 및 시험과실의 횡경치를 계산하고, 무처리 부위에 대한 결실율로 측정한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수치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나타낸다. 표 8에서 괄호안의 값은 실제로 측정한 값이다.
[표 8]
사과에 대한 적과 시험의 결과
Figure kpo00021
[시험예 8]
[포도의 새 가지에 대한 신장 억제 시험]
포도(델라웨어) 어린 나무의 밭을 각 구획에 세구루가 포합되도록 나눈다. 두번째 신장기, 즉 8월 중순에 각 화합물의 희석 용희액을 10ℓ/a에 해당하는 양으로 어린 나무 전체에 분무한다. 분무 1개월 후, 시험예 5에서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한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표 9]
포도의 신아에 대한 신장 억제 시험 결과
Figure kpo00022
[시험예 9]
[양파에 대한 발아 억제 시험]
가을에 이식한 양파(쇼난 고꾸와세)의 밭을 5㎡의 구획으로 나누고, 수확 10일전에 소정 농도를 갖는 각 화합물의 희석 용액을 5ℓ/a에 해당하는 양으로 수동식 분무기를 사용하여 구획에 균일하게 분무한다. 수확후, 양파를 잎을 절단하지 않은채 온실에서 태양 빛에 1주일 동안 건조시킨 다음, 슬레이트 지붕이 있는 통풍 잘되는 저장고에서 가을까지 저장한다.
매 1개월 마다 부패율 및 발아율을 계산한다. 구획당 50개의 양파를 저장한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
양파의 발아 억제 시험 결과
Figure kpo00023
[시험예 10]
[무우의 꽃대 발생 억제]
4월 초순에 파종된 조기 파종 무우(라파누스 사티부스)(병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완전히 두꺼워진 것)의 노출된 밭을 5m2의 구획으로 나눈다. 꽃대가 발생하기 직전에 각 화합물의 희석 용액을 5ℓ/a에 해당하는 양으로 지상의 경엽부 전체에 분무한다. 2주후, 꽃대 발생율과 꽃대 길이를 평가하고, 1개월 후 뿌리의 중량을 평가한다. 구획당 20포기에 대하여 평가를 행하고 꽃대 길이와 뿌리 무게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수치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나타낸 것이고, 괄호안의 값은 실제로 측정한 값이다.
[표 11]
무우의 꽃대 발생 억제 시험 결과
Figure kpo00024
[시험예 11]
[국화의 왜화 시험]
8월 상순에 이식한, 크리산테뭄(옐로우 파라곤)의 어린 가지를 이식 2주후에 적심(pick)하고, 야간 조명에 의해 재배한다. 단위 구획은 각각 200cm2의 표면적을 갖는 5개의 포트로 구성된다. 소정의 농도를 갖는 5ml의 각 화합물 용액을 각 포트에 산포한다. 처리 1개월 후와 처리 2개월 후(개화기)에 평가를 수행한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수치는 무처리 구획에 비교한 다섯 그루의 평균값의 비율을 나타내고,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나타낸 것이다. 괄호안의 값은 실제로 측정한 값이다.
[표 12]
국화에 대한 왜화 시험의 결과
Figure kpo00025
[시험예 12]
[사탕수수에 대한 경엽 처리 시험]
익기 시작할 단계까지 성장한 사탕수수밭을 각 구획이 6포기를 포함하도록 단위 구획으로 나누고, 소정의 농도를 갖는 용액을 20ℓ/a에 해당하는 양으로 소형 분무기를 사용하여 경엽에 분무한다. 2개월 후, 시험예 1에서와 같은 기준으로 출수 상태를 평가하고, 압착즙의 당분을 편광 당분 측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표 13]
사탕수수에 대한 경엽 처리 시험 결과
Figure kpo00026
[시험예 13]
[비경작지의 잡초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대형 잡초의 성장 억제를 시험하기 위하여 미스칸루스(미스칸루스 시넨시스)(Mi)와 골든로드(솔리다고 알티시마)(So)의 우점지를 각각 10m2의 단위 구획으로 나눈다. 각 화합물의 희석 용액을 100ℓ/10a에 해당하는 양으로 각 구획의 전 표면에 수동식 분무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산포한다. 미세 과립제는 손으로 산포한다. 산포 1개월 후, 시험예 1에서와 같은 기준에 의해 성장 억제를 평가한다. 산포 3개월 후, 잡초의 초장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표 14]
비경작지의 잡초에 대한 성장 억제 시험 결과
Figure kpo00027
[시험예 14]
[잘린 꽃의 수명 연장 효과 시험]
봉오리 시기 카네이션(디아우루스 카리오플루스)을 각 구획이 세개의 잘린 꽃을 갖도록 단위 구획으로 나누고, 하기의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1) 꽃병에 들어 있는 200ml의 물에 각 화합물을 첨가하여 각 화합물의 희석 용액을 소정의 농도를 갖도록 제조하고, 잘린 꽃을 꽃병에 꽂는다.
(2) 잘린 꽃의 봉오리 부분을 소정의 농도를 갖는 각 화합물의 용액에 수초 동안 담그고, 용액을 가볍게 떨어낸 다음, 잘린 꽃을 그 꽃병에 꽂는다.
시험기간 도중, 꽃병에 살균수를 가한다. 잘린 꽃의 수명 연장 효과는 무처리군의 꽃이 장식용으로 더이상 허용될 수 없는 시간, 즉 시험 시작후 9일 되는 날로부터의 날짜로 표시된다. 시듬과 같은 식물 독성의 평가는 시험 시작 1주일 후에 하기의 기준에 따라 행해진다.
잎의 시듬 : 경미함 L-1
약간 L-2
상당함 L-3
꽃잎의 시듬 : 경미함 P-1
약간 P-2
상당함 P-3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낸다.
[표 15]
잘린 꽃의 수명 연장 효과 시험
Figure kpo00028

Claims (7)

  1. 하기 일반식(A)로 표시되는 벤즈아미드 유도체.
    Figure kpo00029
    [식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은 히드록실, C1∼C6알콕시, 알켄일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아미노, C1∼C4모노알킬아미노, 모노알켄일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또는 O-cat(cat는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양이온임)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표시도는 벤즈아미드 유도체.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또는
    Figure kpo00040
  3. 제 1 항에서 정의된 식(A)의 벤즈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4. 제 1 항에서 정의된 식(A)의 벤즈아미드 유도체의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의 용도.
  5. 하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탈수 축합제를 이용하여 알코올 또는 아민과 반응시키거나, 식(Ⅰ)의 화합물을 진한 황산의 존재하에 알코올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A')로 표시되는 벤즈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41
    [식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은 C1∼C6알콕시, 알켄일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아미노, C1∼C4모노알킬아미노, 모노알켄일아미노, 디알킬아미노 또는 O-cat(cat는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양이온인)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하기 식(III')의 산아미드 유도체를 아질산나트륨과 반응시킴으로써 R1이 수소인 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42
  7. 제 5 항에 있어서, 하기 식(VI)의 산 클로라이드 유도체를 2, 3-티클로로아닐린과 반응시켜 하기 식(VII)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식(VII)의 화합물을 가수분해 함으로써 R1이 메틸인 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43
KR1019890019130A 1988-12-23 1989-12-21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그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KR940011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3568/88 1988-12-23
JP63323568A JPH0742259B2 (ja) 1988-12-23 1988-12-23 ベンズアミド誘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561A KR900009561A (ko) 1990-07-04
KR940011132B1 true KR940011132B1 (ko) 1994-11-23

Family

ID=1815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130A KR940011132B1 (ko) 1988-12-23 1989-12-21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그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043006A (ko)
EP (1) EP0374736B1 (ko)
JP (1) JPH0742259B2 (ko)
KR (1) KR940011132B1 (ko)
CN (1) CN1043701A (ko)
AU (1) AU622962B2 (ko)
BG (1) BG50484A3 (ko)
BR (1) BR8906755A (ko)
CA (1) CA2006519A1 (ko)
DD (1) DD290652A5 (ko)
DE (1) DE68905586T2 (ko)
DK (1) DK659189A (ko)
ES (1) ES2054997T3 (ko)
HU (1) HU207641B (ko)
IN (1) IN169757B (ko)
NZ (1) NZ231734A (ko)
ZA (1) ZA899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7511A (en) * 1988-12-23 1993-07-13 Hodogaya Chemical Co., Ltd. Benzamide derivatives and plant growth regulants containing them
US20090119801A1 (en) * 2007-09-20 2009-05-07 Suntory Flowers Limited Method for preserving cut flowers, cut flower preservation kit, metho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cut flowers, and processed cut flowers
CN106831524B (zh) * 2017-01-04 2019-08-09 哈尔滨三联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手性吡咯烷酮乙酰胺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0042A (en) * 1964-11-30 1967-09-05 Schwartz Herbert Post-emergence herbicidal mixture and method of use
JPS5576851A (en) * 1978-12-05 1980-06-10 Hodogaya Chem Co Ltd Benzamide derivative and herbicide containing the same
US4638014A (en) * 1985-08-26 1987-01-20 Research Corporation Anticonvulsant method and formulations
LU86258A1 (fr) * 1986-01-21 1987-09-03 Rech Dermatologiques C I R D S Composes benzamido aromatique,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medecine humaine ou veterinaire et en cosmetique
JPH06683B2 (ja) * 1987-03-05 1994-01-0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植物生長調節剤
JPH0725725B2 (ja) * 1987-07-23 1995-03-22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ベンズアミド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5586D1 (de) 1993-04-29
BG50484A3 (en) 1992-08-14
IN169757B (ko) 1991-12-21
US5043006A (en) 1991-08-27
DE68905586T2 (de) 1993-10-14
JPH0742259B2 (ja) 1995-05-10
NZ231734A (en) 1992-05-26
EP0374736B1 (en) 1993-03-24
HU896752D0 (en) 1990-03-28
DD290652A5 (de) 1991-06-06
KR900009561A (ko) 1990-07-04
DK659189D0 (da) 1989-12-22
DK659189A (da) 1990-06-24
BR8906755A (pt) 1990-09-18
JPH02169557A (ja) 1990-06-29
CA2006519A1 (en) 1990-06-23
HU207641B (en) 1993-05-28
HUT51858A (en) 1990-06-28
EP0374736A1 (en) 1990-06-27
CN1043701A (zh) 1990-07-11
AU4706589A (en) 1990-06-28
AU622962B2 (en) 1992-04-30
ZA899783B (en) 1990-09-26
ES2054997T3 (es)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788881A3 (ru) Cпocoб peгулиpobahия pocta kульtуphыx pactehий
JP4578506B2 (ja) 植物の成長を調節するためのn−アリールピラゾール又はn−ヘテロアリールピラゾール化合物の使用
RU202947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имидина,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сорнякам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мпозиции
HU182942B (en) Antidote and herb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oxym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antidote
RU2054869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оста зерновых и злаковых культур
CS215077B2 (en) Means for regulation of the plant growth
US4108627A (en) N-(substituted phenyl) derivatives of saccharin
KR940011132B1 (ko) 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그를 함유하는 식물 성장 조절제
US5837653A (en) Encapsulated plant growth regulator formulations
JPS62114902A (ja) 二つの有効成分を含有する植物生長調節用組成物
JPS6254108B2 (ko)
JPS6023349A (ja) ベンゾイルアミノオキシ酢酸誘導体を含有する植物生長調節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A1176070A (en) Influencing plant growth with polycyclic,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SU1743329A3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 роста растений
JPS62249978A (ja) トリアゾール化合物、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植物生長調節組成物
US5227511A (en) Benzamide derivatives and plant growth regulants containing them
JPH0751547B2 (ja) ベンズアミド誘導体
JPS63141903A (ja) 裁培植物の成長をワークロルキノリン―8―カルボン酸を用いて促進する方法
JPS62161701A (ja) 種子処理剤
JPH0314802B2 (ko)
CA1279769C (en) Plant growth promotion
JPS6130643B2 (ko)
JPS63135304A (ja) 植物生長調節剤
JPH0311045A (ja) ベンズアミド誘導体
JPH029805A (ja) 除草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