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048B1 -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연속적 제조방법, 제품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연속적 제조방법, 제품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048B1
KR940010048B1 KR1019890016526A KR890016526A KR940010048B1 KR 940010048 B1 KR940010048 B1 KR 940010048B1 KR 1019890016526 A KR1019890016526 A KR 1019890016526A KR 890016526 A KR890016526 A KR 890016526A KR 940010048 B1 KR940010048 B1 KR 94001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olymerization
absorbent composite
monomer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890A (ko
Inventor
미야께 고지
하라다 노부유기
시모무라 다다오
기무라 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닙본 쇼쿠바이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지마 미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닙본 쇼쿠바이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지마 미쯔루 filed Critical 닙본 쇼쿠바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8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synthetic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연속적 제조방법, 제품 및 제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연속적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설명도.
제 2 도는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설명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연속적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무한벨트 2A, 2B : 구동물
3A, 3B : 스팀히터 4 : 단량체 수용액
6 : 열풍건조기 12 : 스프레이 노즐
15 : 적외선 램프 20 : 간격 조정기
본 발명은 흡수성 중합체 기재(基材)에 확고하게 고정된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량의 수분을 흡수한 후에도 흡수성 중합체가 기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수능력이 우수하고, 흡수성 중합체 중에 남아있는 단량체가 매우 적어 안정성이 우수한 흡수성 복합체를 간편하고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 연속적으로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 이들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제품 및 상기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흡수성 중합체를 기재에 고정시켜 흡수성 복합체를 얻는 방법으로서,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하여 얻은 수용성 단량체를 기재에 도포한 후 중합시키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본국 특개소 60-149609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243606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0-151381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62-243612호 공보). 상기 수용성 단량체의 중합반응은, 공기중의 산소 등에 의해 방해를 받기 때문에, 질소가 스스로 완전히 치환된 오븐등과 같이 중합불활성인 분위기하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방법에 의하면, 기재에 시행된 단량체를 중합시킬 때 특정 조건으로 설정된 중합 구역에 기재를 장시간 보호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중합장치 자체가 크고, 에너지 손실이 많아, 흡수성 복합체를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불리하다. 또한 이와 같이 얻은 흡수성 복합체의 흡수능력도 불충분하며, 잔류 단량체의 양도 많다.
본 발명은 흡수성 복합체를 공업적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중합체가 기재에 확고하게 고정되어, 중합체의 팽윤(澎潤) 후에도 기재로부터 중합체가 탈락하는 일이 없이 우수한 흡수능력을 발휘하는 동시에, 흡수성 중합체 중에 남아있는 단량체가 매우 적은 흡수성 복합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흡수성 복합체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연속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종이 기저귀와 같은 위생재료에 적합한 흡수성 복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속적 제조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될 수 있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radical) 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수용액을 기재에 적용시킨후, 상기 수용액이 시행된 기재를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는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를 이동시키면서 ①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되어 얻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수용액을 기재에 적용시키는 구역, ②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 기재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단량체를 중합하는 중합구역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흡수성 복합체의 연속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의 이동로를 다라 배치된 하기의 수단 ① 및 ②를 구비하여 기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중합에 이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될 수 있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수용액을 기재에 시행하여, 그 기재를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하여 상기 기재에 흡수성 중합체를 고정하는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① 이동하는 기재에,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될 수 있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수용액을 부착시키는 수단. ②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 및 그 중합불활성인 면 사이에 상기 기재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의 틈을 설정하는수단을 갖고, 상기 수용액이 부착되어 있는 기재가 상기 틈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여 흡수성 중합체를 기재에 고정하는 중합수단.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흡수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특히 제한없이, 얻어지는 흡수성 복합체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 예로서 스폰지, 합성수지 폼(foam)등의 스폰지상 다공질 기재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섬유, 면이나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등으로 부터 만들어진 종이, 실, 부직포, 직포 등이 섬유기재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속적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길이가 긴(長尺) 기재로서는, 후술하는 중합구역 및 건조구역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없이,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의 용도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재료(예를 들면 위에서 나열한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 제조방법에서도 길이가 긴 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짧은 길이(短尺)등 여러 종류의 길이의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나 트레이 등의 기재 이동용 테이블에 기재를 올려 이동시킬 경우 연속적 제조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재이동용 테이블의 기재에 접하는 면이 중합불활성인 면일 때에는 중합할 때에 편리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그것이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없으며, 그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루산, 시트라콘산, 등의 불포화 탄산과 그것들의 리튬, 나트륨, 칼륨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과 또는 유기치환암모늄염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 술폰산, (메타)아트릴로일프로판-2-술폰산, 3-(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 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부탄 술폰산, (메타)아트릴로일부탄-2-술폰산, 4-(메타)아크릴로일부탄 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드에탄 술폰산, 3-(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판 술폰산, 4-(메타)아크릴아미드부탄 술폰산, 비닐술폰산, (메타)알릴술폰산 등의 불포화술폰산과 그것들의 알칼리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유기치환 암모늄염 등의 술폰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트릴레이트와 그것의 4급화물(4級化物)등의 수용성 불포화 단량체 ; 하이드록시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모노 (메타)아트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부틸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부틸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녹시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벤질옥시폴리에틸렌 글리콜모노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 중 바람직한 것은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 2-(메타)아크릴로일에탄 술폰산 및 그 염,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탈프로판 술폰산 및 그 염, 그리고 (메타)아크릴아미드로부터 되는 군(群)에서 선택한 적어도 1종의 단량체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는 (메타)아크릴산 및/또는 그 염이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주성분인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단량체의 반응성과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의 흡수특성을 고려하면,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염이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전체에 대해 50∼100몰(mol)%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액 중의 단량체 농도는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에 있어서 건조의 시간을 고려하면, 20중량%부터 포화농도까지가 바람직하며, 30∼70중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 과산화수소,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 ;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이염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 이소부틸아미딘) 이염산염 등의 아조 화합물등의 종래 공지의 것을 열거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아황산염, L-아스코빈산, 염화 제2철의 환원제를 조합하여 레독스 개시제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성 에틸렌성 단량체에 가한 가교제(crosslinking agent)를 기재에 적용될 수용액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예로는 1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 및/또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중의 카르복실기나 술폰산기 등의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b)이 열거되며,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화합물(a)의 예로는 에닐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 (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 (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 (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 (메타)아트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 (메타)아크릴레이트, N,N'-메틸렌비스 (메타)아크릴아미드, 이소시아눌산 트리알릴, 트리메틸롤프로판 디알릴에테르 등이 있다.
상기 화합물(b)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그릴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탈올아민, 트리에틴올아민, 플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비닐 알콜, 펜타에리트리톨, 소로비트, 소르비탄, 글루코오스, 만니트, 만니탄, 자당등의 다가 알콜 ;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디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폴리에폭시 화합물 ; 에틸렌 디아민, 폴리에틸렌아민 등의 폴리아민 화합물 등이 있다. 상기 화합물(a) 및 (b)로서는 어느 것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가 있다.
가교제로서, 다가 알콜을 사용할 경우에는 중합 후에 주변온도(연속적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건조구역의 주변온도)를 150∼250℃의 범위로 보호유지하고, 폴리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50∼250℃의 범위로 보호유지하여서, 흡수성 복합체를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사용은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의 흡수배율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는 기재에 적용한 수용액 중에 함유시켜서 놓아둘뿐 아니라, 중합 후의 기재(예를 들면, 건조구역을 통과하는 기재)에 산포(散布)하여서 사용하고, 중합에 의해 생성된 흡수성 중합체를 2차 가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사용비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단량체 100부에 대해 개시제 0.01∼5부(중량비)가 바람직하다. 개시제의 사용량이 0.01부보다 적으면 단량체의 중합이 완결되지 않는 염려가 있으며, 또 5부보다 많을 경우에는 중합생성된 흡수성 중합체의 흡수능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또한 가교제를 사용할 경우, 가교제의 사용비율은 특별히 제한받지는 않으나 단량체 100부에 대해 가교제 0.005∼5부(중량비)가 바람직하다. 가교제가 이것보다 많거나 적어도 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흡수성 중합체의 흡수능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상기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함유한 수용액(이하, 단량체 수용액이라 약칭한다.)을 기재에 적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스프레이를 가지고서 분무를 하거나, 내뿜거나, 솔로칠하거나, 롤러코팅(roller coating),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등의 공지의 인쇄 또는 섬유인쇄날인방법을 이용하여서 도포하거나, 또는 기재에 당해 수용액을 함침시킨후 필요에 따라 소정량을 짜내는 방법등이 있다. 이러한 적용을 하는 구역에는 수용액을 적용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기재에 대한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은 특별히 제한받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기재 1중량부에 대해 단량체 수용액 0.1∼100중량부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의 범위이다. 또한,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형태는, 기재의 전면에 균일로 하여도 좋고, 혹은 호(stripe)상, 격자상, 물방울 형태등의 각종 모양과 같이 불균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단량체 수용액을 기재에 적용할 때 부착효율과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의 흡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점제(thickener)와 기타 첨가제를 단량체 수용액에 함유시켜서 둘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또는 그 염)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펄프섬유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량체 수용액이 적용된 기재를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중합반응을 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합에 의해 또는 그 후 필요에 따라 중합후의 기재를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흡수성 복합체를 얻는다. 연속적 제조방법의 경우, 구체적으로 기재를 부착하는 중합불활성인 면을 갖는 기기를 구비한 중합구역에 단량체 수용액을 부착시켜서 기재를 유도하고,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 사이를 통과시켜서 중합에 의해 흡수성 복합체를 얻거나, 혹은 중합한 후 계속해서 기체중에 기재를 보호유지 하면서 기재를 가열하는 기기를 구비한 건조구역에 기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을 열거할 수 있다.
중합불활성인 면으로서는 상기 수용성 단량체의 중합을 지해하는 산소등을 투과시키지 않는 면이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유리섬유 등의 도자기류, 강등의 금속,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한 벨트, 롤, 필름, 시이트, 판등의 면을 열거할 수 있다. 이들의 면은 중합중에 생성된 흡수성 중합체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불소수지가공이나 경면(mirror-smooth surface)상에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 상호간의 간격(clearance)은 예를 들어 사용되는 기재의 정상 상태에서의 두께, 즉 무압(無壓) 상태에서 측정한 두께에 상당하도록 설정된다.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을 각각 지지하는 사이에 조정기(예, 스크류)를 설치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한쪽의 면을 다른 쪽의 면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시켜 적당한 간격으로 조정한다. 이러한 경우, 두께가 다른 기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편리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판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소망하는 두께(예를 들면 기재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spacer)를 양쪽의 면 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중합을 지체없이 고중합율로 진행시켜 흡수능력이 우수한 흡수성 복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중합중에 기재를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기재를 온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기히터, 스팀등으로 소정의 온도에 설정된 서로 마주보는 벨트 등의 면에서 기재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접촉가열하여 중합하는 방법이나, 서로 마주보는 벨트등의 면에서 서로 끼워맞춘 기재를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비접촉 가열하여 중합하는 방법, 기재를 2매의 가열프레스판의 사이에 끼워서 중합하는 방법등을 채택할 수 있다.
중합 개시할 때의 기재의 온도는 중합개시제의 종류와 양, 단량체의 종류나 농도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라디칼 중합개시제의 분해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접촉가열의 경우, 기재를 부착하는 면의 온도를 50∼150℃에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120℃에 유지하면 더 바람직하다.
온도가 50℃이하인 경우에는 중합을 신속히 고중합율까지 진행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150℃보다는 높은 온도의 경우에는 악화되거나 중합이 급격히 진행하여 중합의 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일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중합이 개시되면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재를 고정하는 면의 온도를 조절하여 중합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중합을 고중합율까지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면의 주위를 질소 등의 중합불활성 기체분위기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을 행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접촉가열 중합의 경우 1∼10분간이 바람직하고, 비접촉 가열중합의 경우 10∼60초간이 바람직하다. 연속적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상기 정도의 시간으로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중합의 제어가 기재를 서로 끼워맞춘 면을 통해 직접 행해지고, 또 기재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끼워맞추어 있기 때문에 물의 증발에 의한 단량체 농도의 변동이나, 중합을 저해하는 산소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흡수능력이 우수하고, 단량체의 잔류량이 매우 적은 흡수성 복합체를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량체 수용액에 적용된 기재를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당해 기재에 부착시킨 단량체를 중합하면 중합에 의해 생성된 흡수성 중합체의 함수 겔(water-containinggal)이 기재에 확고하게 고정된 흡수성 복합체를 얻게 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단량체 수용액의 단량체 농도에 의해 흡수성 복합체에 점착성이 발생할 수 있어서 취급성이 열등해 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중합 후에 필요에 따라 흡수성 복합체를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방법으로는 임의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열풍, 마이크로파, 적외선, 자외선 등의 수단을 열거할 수 있다. 연속적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중합구역을 통과한 기재는 건조가 필요한 경우, 연속적으로 건조구역을 통과시켜 기재의 건조를 행하여 목적하는 흡수성 복합체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의 건조구역은 기체중에 기재를 유지하면서 기재를 가열하는 기기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기체로서는 예로서 공기,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 수증기-공기 혼합물, 수증기-불활성기체 혼합물, 수증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기체분위기 중에 기재를 보존유지하는 장치로서는 예로서 회전 자유자재의 지지롤(support roll)과 지지 벨트 등이 있으며, 또 가열기기로서는 예로서 열풍을 발생하는 펜이 부착된 히터 또는 마이크로파, 적외선, 자외선의 발생기기 등을 들 수 있다.
건조구역에서의 기재의 가여온도는 건조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되며, 흡수성 중합체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250℃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흡수성 복합체의 흡수능력의 곤점에서는 80℃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구역에서의 기재의 체류시간은 임의이나,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로부터 점착성이 소실하는 정도까지 기재를 건조구역에 체류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점착성이 소실하기 전의 흡수성 복합체에 다른 기재를 압착 및 건조시키는 것에 의하여 흡수성 복합체와 다른 기재를 붙여 합치는 것도 된다.
연속적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기재의 이동속도가 중합구역 또는 건조구역에서의 중합 또는 건조에 요하는 시간과 이들 구역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며 특별히 제한받지는 않는다. 공업적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기재의 이동속도는 0.1∼100m/min가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구역에서, 얻어지는 흡수성 복합체의 흡수능력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가금속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카르복실기나 술폰산기 등의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기재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이 기재에 확고하게 고정된 흡수성 복합체를 간편한 장치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흡수성 중합체가 기재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이 기재에 확고하게 고정된 흡수성 복합체를 간편한 장치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적 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흡수성 복합체를 연속적으로 쉽고,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중합불활성인 면의 같은 간격을 용이하게 설정하고, 상기 연속적 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흡수성 복합체는 흡수능력이 우수하고, 더욱이 중합체 중의 잔류단량체가 매우 적으므로 인체나 환경에 악영항을 주지 않고, 위생재료, 식료품, 토목, 건재, 전력, 농업등의 흡수성과 보수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광범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적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연속적 제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설명도이고, 제 2 도는 그것의 일부분을 확대한 개략 설명도이며, 제 3 도는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개략설명도이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중합구역은, 기재(10)를 서로 끼워맞춘 무한벨트(1A)(1B)로 구성되어 있며, 무한벨트(1A)(1B)의 기재(10)에 접하는 면의 주위에 기재(10)를 가열하기 위한 스팀히터(3A)(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에 도시한 장치에서 건조구역은 열풍건조기(6)로 구성되어 기재(10)가 지지롤(9)에 의해 열풍이 순환하는 공기중에서 보존유지되어 있다.
한편, 제 3 도에 도시한 장치에서 중합구역은 드럼롤(13), 그것의 원주면의 일부를 덮는 무한벨트(14)로 구성되어 있고 기재(10)는 드럼롤(13)의 원주면과 무한벨트(14)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한 장치에 건조구역은 적외선 램프(15)로부터 적외선을 조사하여 기재(10)를 가열하는 가열실로 되어 있다.
길이가 긴 기재(10)는 송출롤(7)로부터 송출되어 중합구역과 건조구역을 통과하여 권취롤(8)에 연속적을 감기며, 권취롤(8)은 기재(10)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제 1 도의 장치에서 기재(10)는 먼저 단량체 수용액(4)에 침지된 후 여분의 단량체 수용액은 압착롤(5)에 의해 압착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단량체 수용액에 적용된 기재(10)는 무한벨트(1A)(1B)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단량체의 중합이 행해진다. 무한벨트(1A)(1B)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간격(C)은 예를 들어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20)에 의해 설정된다. 간격조정기(20)는 벨트구동롤(2A)(2B)의 지지부재(21A)(21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1A)는 두 벨트구동롤(2A)의 각각의 양단에, 지지부재(21B)는 두 벨트구동롤(2B)의 각각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간격조정기(20)는 지지부재(21A)(21B)에 대하여 서로 반대로 감겨진 나사로 되어서 나사(screw)로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간격조정기(20)를 일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21A)(21B)는 서로 가까워져서 간격(C)이 좁아지고, 반대방향(예를 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21A)(21b)는 서로 멀어져 간격(C)이 넓어진다. 간격(C)는 이와같은 방법으로, 예를 들면 기재(10)의 두께에 상당하도록 크게 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무한벨트(1A)(1B)는 각각의 벨트 구동롤(2A)(2B)에 의해 기재(10)의 이동방향으로 구동되고, 무한벨트(1A)(1B)의 주위속도는 권취롤(8)의 주위속도에 동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한벨트(1A)(1B)의 기재(10)와 접하는 면의 근방에는 중합반응촉진을 위한 스팀히터(3A)(3B)가 설치되어 기재(10)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합구역을 통과한 기재는 열풍건조기(6)로 들어가 열풍이 순환하고 있는 건조기(6)내에 있어서 기재는 지지롤(9)에 의해 공기중에 보존유지되면서 건조된다. 건조구역에서 기재로부터 점착성이 소실되는 정도까지 건조가 행해지면 기재는 건조기(6)로부터 나와 권취롤(8)에 감기어 흡수성 복합체(11)의 제품이 된다.
제 3 도의 장치에서는 단량체 수용액을 기재에 적용하기 위해 스프레이 노즐(12)로 단량체 수용액을 기재(10)에 산포하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기재(10)는 먼저 가열된 드럼롤(13)의 원주면의 일부분과 무한벨트(14)의 면사이에 접촉된 상태에서 중합구역을 통과하므로써 단량체의 중합이 행해진다. 그 다음 기재(10)는 적외선 램프(15)의 근방을 통과하여 램프(15)로부터 조사된 적외에 의해 가열건조되어 흡수성 복합체(11)가 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실시예에 기재한 흡수성 복합체의 흡수성능(흡수배율), 흡수성 복합체중에 있어서, 흡수성 중합체의 잔존단량체량, 흡수성 중합체의 탈락율은 하기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① 흡수배율
세밀하게 자른 흡수성 복합체 약 0.5g을 부직포체의 티백(tea bag)식 봉지(40mm×150mm)에 넣어, 0.9중량% 염화나트륨 수용액중에 30분간 침지하였다. 그 후 티백식 봉지를 꺼내 5분간 물을 제거한 후, 티백식 봉지의 중량을 측정하여 다음의 식으로 흡수배율을 산출하였다.
흡수배율(g/g)=
Figure kpo00001
② 잔존단량체량
흡수성 복합체중에 함유된 흡수성 중합체량이 0.5g인 흡수성 복합체를 세밀하게 자른 후 1리터의 순수한 물에서 교반하면서 분산시켰다. 2시간 후에 분산액을 와트만(wattman) 여과지로 여과시켜 여과액 중의 잔존단량체량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그 측정값에 의하여 흡수성 중합체중의 잔존단량체량을 구하였다.
③ 흡수성 중합체의 탈락율
5×5cm의 시료를 과잉의 0.9중량% 식염수 중에 1시간동안 침지한 후 팽윤된 시료를 꺼내 남은 식염수를 100메쉬(mesh)의 금망(wire net)으로 여가시켰다.
금망상의 중합체를 120℃에서 1시간 열풍건조하여 그것의 중량을 측정하고, 탈락한 중합체의 양을 구하여 아래의 식으로 중합체의 탈락율을 구하였다. 한편, 시료를 미리 120℃에서 1시간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의 중량을 구하였다.
탈락율(%)=
Figure kpo00002
[실시예 1]
75몰%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중하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40중량%) 100중량부에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이염산염 0.2중량부와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0.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존(溶存)하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basic weight) 3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에 스크린 인쇄하고,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250g/㎡로 하였다.
이렇게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포를 그것의 정상상태에서의 두께와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개입시켜 60℃로 가열된 2매의 경면처리의 스틸제 프레스판에 5분간 서로 끼워 맞춰진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후의 부직포를 프레스판 사이로부터 빼내어, 120℃에서 열풍건조기로 5분간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1)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45g/㎡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에 스크린 인쇄하고,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250g/㎡로 하였다.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표를 60℃로 가열된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 가공되어진 유리 섬유제 무한 벨트의 면 사이에 5분간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하였다. 이때 벨트면의 간격은 조정기를 이용하여서, 상기 부직포의 정상상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두께가 설정되어졌다.
중합후의 부직포를 벨트면 사이로부터 빼내어 120℃에서 열풍건조기로 5분간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2)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2)의 성능편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3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에 스프레이 노즐로 분무하였으며,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은 300g/㎡이었다.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포를 상대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된 유리섬유제 무한 벨트면에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분위기온도 25℃에서 2,450MHz의 마이크로파를 출력 400W로 30초간 부직포에 조사하여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였다. 이 때 벨트면의 간격은 조정기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중합후의 부직포를 벨트면 사이로부터 빼내어 120℃에서 열풍건조기로 5분간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3)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3)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75몰% 수산화칼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60중량%) 100중량부에 과황산칼륨 0.2중량부와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0.005중량부를 용해시킨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30g/㎡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에 스크린 인쇄하였으며,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은 400g/㎡으로 하였다.
이렇게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포를 그 정상 상태의 두께와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개입하여, 2매의 80℃에서 가열된 스틸제 프레스판 사이에 5분간 서로 끼워맞춰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후 부직포를 프레스판으로부터 빼내어 120℃의 열풍건조기 중에서 5분간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4)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4)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45g/㎡의 친수성 펄프매트에 부착량이 400g/㎡로 될 수 있도록 물방울 모양에 그라비야(gravure) 인쇄를 하였다.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을 실시한 펄프매트를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된 유리섬유제 무한벨트의 면에서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분위기온도 25℃에서 2.450MHz의 마이크로파를 출력 400W로 30초간 펄프매트에 조사시켜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였다. 이 때, 벨트면의 간격은 조정기를 이용하여 펄프매트의 정상상태에 있어서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중합후의 펄프매트를 벨트면의 사이로부터 빼내어 120℃에서 열풍건조기로 5분간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5)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5)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아크릴산 20몰%, 아크릴산칼륨 60몰% 및 2-메타트릴로일에탄술폰산칼륨 20몰%로 구성되는 50중량% 단량체 수용액 100중량부에 과황산칼륨 0.5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0.003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3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를 침지한 후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였으며,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150g/㎡로 하였다.
이렇게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포를 그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개입하여, 2매의 80℃로 가열된 스틸제 프레스판에 5분간 서로 끼워맞춰서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후 부직포를 프레스판 사이로부터 빼내 주파수 2,450MHz, 출력600W이 마이크로파를 30초간 부직포에 조사하여 건조시켜 흡수성 복합체(6)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6)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메타크릴산 15몰%, 메타크릴산나트륨 45몰%, 2-아크릴로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나트륨 20몰% 및 아크릴아미드 20몰%로 구성되는 40중량% 단량체 수용액 100중량부에 과황산암모늄 0.2중량부 및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40g/㎡의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섬유제 부직포에 스크린 인쇄하였으며,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은 200g/㎡로 하였다.
이와 같이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포를 80℃로 가열된 한쌍의 경면처리한 무한스틸벨트면 사이에 5분간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였다. 이때에, 벨트면의 간격은 조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같은 간격으로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중합후의 부직포를 벨트면의 사이에서 빼내어 120℃에서 열풍건조기로 5분간 건조하고, 흡수성 복합체(7)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7)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포를 2매의 스틸제 프레스판 사이에 서로 끼워서 맞춘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는 대신에, 당해 부직포를 질소분위기하에서 60℃로 가열된 스틸제 판상에 위치시켜 20분간 중합을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1)를 얻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1)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4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시행한 부직포를 2매의 스틸제 프레스판 사이에 서로 끼워서 맞춘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는 대신에, 부직포를 질소분위기하에서 80℃로 가열된 스틸제 판상에 위치시켜 20분간 중합을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2)를 얻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2)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6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적용한 부직포를 2매의 스틸제 프레스판 사이에 서로 끼워서 맞춘 단량체의 중합을 행하는 대신에, 당해 부직포를 질소분위기하에서 60℃로 가열된 스틸제 판상에 위치시켜 20분간 중합을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3)를 얻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3)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3
본 발명의 연속적 제조방법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8]
75몰%가 수산화칼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60중량%) 100중량부에 과황산칼륨 0.2중량부와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0.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40030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이 실시된 무한스틸벨트의 상대되는 면에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킨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벨트면에서 서로 끼워맞춘 체류시간은 3분간이며, 그 사이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80℃에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중합을 행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8)를 얻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8)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기재에 적용하는 기기인 단량체 수용액의 침지조 대신에 그라비야 인쇄기를 설치하고, 중합구역의 무한스틸벨트 및 스팀히터 대신에 유리섬유제 무한벨트와 주파수 2, 450MHz의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출력 400W의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우선 실시예 8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45g/m2의 친수성 펄프매트에 부착량이 400g/m2가 되도록 물방울 모양으로 그라비야 인쇄를 하였다.
계속해서,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펄프매트를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된 유리섬유제 무한벨트 사이에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를 이용하여 펄프매트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간격이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서로 끼워맞춰진 펄프매트에 주파수 2,450MHz,출력 400W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연속적으로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중의 분위기온도는 25℃이었고, 벨트면 사이에 서로 끼워 맞춰져 있는 체류시간은 30초간이었다. 펄프매트의 이동속도은 매분당 1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펄프매트를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9)를 얻었다. 건조기 내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9)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75몰%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40중량%) 100중량부에 2,2'-아조비스(N,N'-디메틸렌 이소부틸아미딘)이염산염 0.2중량부와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0.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3 도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평량 30g/m2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에 부착량이 250g/m2이 되도록 단량체 수용액을 스프레이 노즐로 분무하였다.
계속해서,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3 도에 나타낸 열드럼롤과 이 드럼롤의 반원주면을 덮는 불소수지가공된 유리섬유제 무한벨트면 사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킨다. 드럼롤의 주면과 벨트면의 그의 간격이 상기 부직포의 정상상태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될 수 있도록 간격조정기에 의하여 설정되어, 상기 부직포를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체류시간은 3분간이며, 그 사이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드럼롤의 온도를 60℃로 유지시키면서 연속적 중합을 행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0.3m이었다.
그 후 계속하여 중합후의 부직포를 제 3 도에 나타낸 적외선 램프밑에 도입시켜, 적외선을 조사하여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10)를 얻었다. 적외선 램프의 출력은 400W, 조사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0)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서,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대신에 평량 45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서 흡수성 복합체(11)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1)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8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폴리에틸렌제 부직포에의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300g/m2조정한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하여 흡수성 복합체(12)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2)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아크릴산 20몰%, 아크릴산칼륨 60몰%와 2-메타클릴로일에탄술폰산칼륨 20몰%로 구성되는 50중량% 단량체 수용액 100중량부에 과황산칼륨 0.5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0.003중량부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난 장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150g/m2가 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이 실시된 무한 스틸베트면에 서로 끼원맞추어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었다. 벨트면 사이에 서로 끼워 들어가 있느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으며, 그 사이에 질소분위기항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80℃로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중합을 행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제 1 도의 열풍건조기 대신에 주파수 2,450MHz의 마이크로파를 발생하는 출력 600W의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구비한 건조실로 중합후의 기재를 도입하여 연속적으로 건조시켜 흡수성 복합체(13)를 얻었다. 건조실에서의 체류시간은 30초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3)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메타크릴산 5몰%, 메타크릴산나트륨 45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나트륨 20몰%와 아크릴아미드 20몰%로 구성되는 40중량% 단량체 수용액 100중량부에 과황산암모늄 0.2중량부와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3 도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평량 40g/m2의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복합섬유제 부직포에 부착량이 200g/m2로 되도록 단량체 수용액을 스프레이 노즐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3 도에 나타낸 드럼롤과 드럼롤의 반원주면을 덮는 불소수지가공된 유리섬유제 무한벨트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드럼롤의 주면(周面)과 벨트면은 그 간격이 상기 부직포의 정상 상태의 두께와 동일 두께로 될 수 있도록 간격조정기로 설정, 부직포를 그 사이에 서로 끼워 붙여져 있는 체류시간은 3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드럼롤의 온도를 8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행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0.3m였다.
그 후 계속하여, 제 3 도의 적외선 램프를 구비한 건조실 대신에 열풍건조기에 중합후의 부직포를 도입하여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14)를 얻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4)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상부의 무한벨트(1A)를 제거한 것 외에는 전부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조작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8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침지한 후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400g/m2가 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불소수지가공된 무한스틸벨트(1B)상에 놓고 이동시켰다. 벨트 위에서의 체류시간은 20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80℃로 유지시켜 연속적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0.15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부직포를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4)를 얻었다. 또,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5분간이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4)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제 3 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드럼롤(13)을 덮는 무한벨트를 제거하고, 적외선 램프 대신에 열풍건조기를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부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조작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40g/m2의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복합섬유제 부직포에 부착량이 200g/m2가 되도록 스프레이 노즐로 분무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드럼롤(13)의 원주면상에 따라 이동시켰다. 부직포가 드럼롤의 주면에 접한 체류시간은 20분간이었으며, 이 기간동안 질소분위기하에서 드럼롤의 온도를 8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0.045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위 부직포를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5)를 얻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5분간이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5)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기재에 적용하는 기기인 단량체 수용액의 침지조 대신에 그라비야 인쇄기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예 8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단량체 수용액을 평량 80g/m2의 레이온(rayon)제 부직포를 부착량이 400g/m2의 되도록 물방울 모양으로 그라비야 인쇄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적용된 부직포를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이 실시된 무한스틸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서로 끼워 맞춰진 체류시간은 2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2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여 흡수성 복합체(15)를 얻었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25m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5)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75몰%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37중량%) 100중량부에 과황산나트륨 0.2중량부와 N,N'-메틸렌 비스아클릴아미드 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수용액 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이러한 단량체에 평량 30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량을 80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이 실시된 유리섬유제 무한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끼워져 있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으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0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위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16)를 얻었다. 또한,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6)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에서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대신에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1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25g/m2로 하고, 유리섬유제 무한벨트의 온도를 120℃로 유지시켜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중합을 실시하여 흡수성 복합체(17)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7)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75몰%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35중량%) 100중량부에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0.4중량부와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평균 옥시에틸렌유니트수 8) 0.2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축시켜 단량체 부착량을 300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 무한스틸벨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서로 끼워 맞추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를 이용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두께와 동일한 간격으로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끼워져 있던 체류시간은 3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2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0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18)를 얻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8)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
60몰% 수산화칼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60중량%) 100중량부에 2,2'-아조비스(2-이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0.6중량부와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0.09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400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을 실시하여 무한스틸벨트의 상대되는 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에 의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끼워져 있는 체류시간은 3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2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위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19)를 얻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19)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0]
아크릴산 20몰%, 아크릴산나트륨60몰%, 아크릴산암모늄 20몰%로 구성되는 40중량%의 단량체 수용액 100중량부에 과황산나트륨 0.2중량부와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1.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250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을 실시한 무한스틸벨트의 상대면에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에 의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끼워져 있는 체류시간은 3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1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0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20)를 얻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20)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1]
60몰% 수산화칼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40중량%) 100중량부에 과황산나트륨 0.2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60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400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을 실시하여 무한스틸벨트의 상대하는 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에 의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끼어져 있는 체류시간은 1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5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50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21)를 얻었다.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21)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2]
85몰%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중화된 부분중화 아크릴산 수용액(단량체 농도 40중량%) 100중량부에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0.05중량부, 과황산나트륨 0.2중량부, 과산화수소 0.2중량부를 용해한 다음 섬유길이 50μm의 친수성 펄프섬유 10중량부를 첨가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 중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3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이 실시된 무한스틸벨트의 상대하는 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에 의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끼워져 있는 체류시간은 3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2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0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기켜 120℃에서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22)를 얻었다. 또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3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22)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아크릴산 20몰%, 아크릴산나트륨 65몰%,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평균 옥시에틸렌 유니트수 10) 15몰 %로 구성되는 단량체 수용액(단량체 농도 50중량%) 100중량부에 과황산나트륨 0.35중량부와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0.05중량부를 용해한 후 질소가스로 단량체 수용액에 용해되어 남아있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제 1 도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단량체 수용액에 평량 30g/m2의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를 침지하여 단량체 수용액이 전면에 함침된 부직포를 압착하여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200g/m2로 하였다.
그 다음 단량체 수용액이 부착된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상대하는 한쌍의 불소수지가공이 실시된 무한스틸벨트의 상대하는 면에서 서로 끼워 맞춰지면서 이동시켰다. 벨트면의 간격(C)은 제 2 도에 나타낸 간격조정기에 의하여 부직포의 정상 상태의 두께와 같은 간격이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졌다.
벨트면 사이에 끼워져 있는 체류시간은 5분간이며, 그 사이 질소분위기하에서 벨트면의 온도를 100℃로 유지시켜 연속적으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0.5m이었다.
그 후 계속해서 중합후의 부직포를 제 1 도에 나타낸 열풍건조기에 도입시켜 대신에 3KW의 고전압수은 등을 구비한 건조실에 도입시켜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속적으로 건조하므로써 흡수성 복합체(23)를 얻었다. 부직포와 수은등과의 간격은 10cm, 체류시간은 15분간이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23)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실시예 16에서의 중합후의 부직포를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외선을 조사시켜 건조하여 흡수성 복합체(24)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24)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5]
실시예 16에서의 단량체 수용액의 부착량을 200g/m2로 하고, 벨트면의 온도를 120℃로 유지하여 중합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과 동일한 방식으로 흡수성 복합체(25)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25)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5에서의 상부벨트(1A)를 제거하고, 벨트면의 온도를 120℃로 유지시켜 부직포에 부착된 단량체의 중합을 질소분위기하에서 실시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6)를 얻었다. 벨트상에서의 체류시간은 5분간이었으며,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10m이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6)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6에서의 상부벨트(1A)를 제거하고, 벨트면의 온도를 100℃로 유지시켜 부직포에 부착된 단량체의 중합을 질소분위기하에서 실시한 다음 120℃의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7)를 얻었다. 벨트상 및 건조기에서의 체류시간은 5분간이었으며,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0.6m이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7)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실시예 21에서의 상부벨트(1A)를 제거하고, 벨트면의 온도르 150℃로 유지시켜 부직포에 부착된 단량체의 중합을 질소분위기하에서 실시하여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8)를 얻었다. 벨트상에서의 체류시간은 2분간이었으며, 부직포의 이동속도는 매분당 25m이었다.
얻어진 비교용 흡수성 복합체(8)의 성능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04

Claims (22)

  1.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시켜 얻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기재(基材)에 시행한 후, 상기 수용액에 시행된 기재를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서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상기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하여, 흡수성 복합체를 제조하는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한 후 생성된 흡수성 중합체가 고정되어 있는 기재를 기체중에서 건조시키는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3. 기재를 이동시키면서, ①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시켜 얻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수용액을 기재에 실시를 부여하는 구역과, ②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 기재를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단량체를 중합하는 중합구역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흡수성 복합체의 연속적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구역 후에 기체중에 기재를 보호유지시키면서 기재를 가열하는 건조구역을 통과시키는 흡수성 복합체의 연속적 제조방법.
  5.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시켜 얻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이 시행된 기재를 ① 서로 마주보는 중합블활성인 면에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단량체를 중합하는 중합구역과, ② 기체중에 보호유지시킨 상태에서 가열하는 건조구역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흡수성 복합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흡수성 복합체의 연속적 제조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구역이 회전자유자재의 지지를 및/또는 지지벨트에 의해 기재를 기체중에 보호유지시킨 상태에서 열풍, 마이크로파, 적외선 또는 자외선의 어느 것에 의하여 가열하도록 되어 있는 흡수성 복합체의 연속적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메타)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하는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 50∼150℃의 범위의 온도로 될 수 있도록, 실시하는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이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실시하는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섬유기재인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수용성 가교제도 함유하는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불활성인 면이 탄화불소수지가공 또는 경면(鏡面) 처리된 면인 제조방법.
  14.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흡수성 복합체.
  15. 기재의 이동순서를 따라 배치된 ① 이동하고 있는 기재에 상기 수용액을 시행하는 시행부여 수단과 ②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과, 상기 중합불활성인 면의 같은 사이에 상기 기재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의 틈을 설정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수용액이 부착되어 있는 기재가 상기 간격내를 통과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하고, 흡수성 중합체를 기재에 고정하는 중합수단을 구비하여, 기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중합에 의해 흡수성 중합체로 전환시켜 얻은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수용성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함유한 수용액을 기재에 시행하고, 상기 기재를 서로 마주보는 중합불활성인 면에 서로 끼워맞춘 상태에서 상기 단량체의 중합을 실시하고, 상기 기재에 흡수성 중합체를 고정시키는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가열하는 수단도 가지는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수단 후에, 얻어진 흡수성 복합체를 권취하는 수단도 구비되어 있는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수단 후에, 흡수성 중합체가 고정된 기재를 이동시키는 동안, 기체중에서 시행되고 있는 가열건조수단도 구비한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이 열풍공급원, 마이크로파 인가수단, 적외선 조사수단과 자외선 조사수단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이 이동중의 상기 기재를 기체중에 보호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자유자재의 지지를 및/또는 지지벨트도 구비한 흡수한 복합체의 제조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 후에, 건조된 흡수성 복합체를 권취 수단도 구비한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22. 제 15 항의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된 흡수성 복합체.
KR1019890016526A 1988-11-21 1989-11-15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연속적 제조방법, 제품 및 제조장치 KR940010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31388 1988-11-21
JP63-292313 1988-11-21
JP63-292312 1988-11-21
JP29231288 1988-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890A KR900007890A (ko) 1990-06-02
KR940010048B1 true KR940010048B1 (ko) 1994-10-21

Family

ID=2655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526A KR940010048B1 (ko) 1988-11-21 1989-11-15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연속적 제조방법, 제품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79034A (ko)
EP (1) EP0370646B1 (ko)
KR (1) KR940010048B1 (ko)
CN (1) CN1042921A (ko)
BR (1) BR8905857A (ko)
CA (1) CA2002016A1 (ko)
DE (1) DE6891726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42B1 (ko) * 2008-08-26 2009-04-16 (주)디오텔레콤 분무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외장재용 필름 코팅장치 및 이를이용한 필름 코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9861C (en) * 1990-08-30 1996-09-17 Nobuyuki Harada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JPH0768316B2 (ja) * 1990-09-07 1995-07-2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吸水性樹脂の製造法
EP0509374B1 (en) * 1991-04-18 1998-03-04 Alltrist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curing a coating of a metal substrate
GB9208449D0 (en) 1992-04-16 1992-06-03 Dow Deutschland Inc Crosslinked hydrophilic resins and method of preparation
TW256840B (ko) * 1992-06-10 1995-09-11 Nippon Catalytic Chem Ind
US5749968A (en) * 1993-03-01 1998-05-12 Focal, Inc. Device for priming for improved adherence of gels to substrates
US5800373A (en) * 1995-03-23 1998-09-01 Focal, Inc. Initiator priming for improved adherence of gels to substrates
US5328935A (en) * 1993-03-26 1994-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g a superabsorbent polymer foam
US5338766A (en) * 1993-03-26 1994-08-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 foam
ATE189600T1 (de) * 1993-11-17 2000-02-15 Procter & Gamble Verfahren zur herstellung absorbierender strukturen
CN1140986A (zh) * 1993-11-17 1997-01-22 普罗克特和甘保尔公司 选择性地分布有渗透吸收剂材料离散区域的皱纹毛细底层
TW264430B (ko) 1993-11-18 1995-12-01 Procter & Gamble
US6022610A (en) * 1993-11-18 2000-0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position of osmotic absorbent onto a capillary substrate without deleterious interfiber penetration and absorbent structures produced thereby
DE4420088C3 (de) * 1994-06-09 2001-02-15 Stockhausen Chem Fab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sserabsorbierenden Flächengebildes und dessen Verwendung
AU709527B2 (en) * 1995-03-23 1999-09-0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Redox and photoinitiator systems for priming for improved adherence of gels to substrates
US5900245A (en) * 1996-03-22 1999-05-04 Focal, Inc. Compliant tissue sealants
IL118372A0 (en) * 1995-05-23 1996-09-12 Kobe Steel Ltd Water-blocking composite and its preparation
US5840403A (en) * 1996-06-14 1998-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elevational tissue paper containing selectively disposed chemical papermaking additive
ZA978537B (en) 1996-09-23 1998-05-12 Focal Inc Polymerizable biodegradable polymers including carbonate or dioxanone linkages.
US6211296B1 (en) * 1998-11-05 2001-04-03 The B. F. Goodrich Company Hydrogels containing substances
CA2382145A1 (en) 1999-04-14 2000-10-19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Aqueous superabsorbent polymer and methods of use
KR20020021377A (ko) * 1999-05-26 2002-03-20 알베르타 리써치 카운실 인코포레이티드 강화된 네트워크의 폴리머/진흙 복합 재료
US6610781B1 (en) 1999-05-26 2003-08-26 Alberta Research Council Inc. Reinforced networked polymer/clay alloy composite
DE19963833A1 (de) * 1999-12-30 2001-07-19 Sca Hygiene Prod Gmbh Verfahren zur Applikation von Behandlungschemikalien auf ein flächiges Erzeugnis auf Faserbasis über ein umlaufendes Band und damit hergestellte flächige Produkte
US6417425B1 (en) * 2000-02-01 2002-07-09 Basf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preparing an absorbent article
AU2002349359A1 (en) * 2001-12-20 2003-07-09 Basf Aktiengesellschaft Absorbent article
US7135135B2 (en) * 2002-04-11 2006-11-14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Superabsorbent water sensitive multilayer construction
EG23499A (en) * 2002-07-03 2006-01-17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Dip, spray, and flow coating process for forming coated articles
US20060099363A1 (en) * 2004-11-05 2006-05-11 Pepsico, Inc. Catalyzed process for forming coated articles
WO2008086974A1 (en) 2007-01-16 2008-07-24 Basf Se Production of super absorbent polymers on a continuous belt reactor
FR2949687B1 (fr) * 2009-09-04 2011-09-23 Sofradim Production Tissu avec picots revetus d'un materiau hydrosoluble
DE102013003755A1 (de) * 2013-03-06 2014-09-11 Carl Freudenberg Kg Belüftungseinsatz
US20160319414A1 (en) * 2015-04-28 2016-11-03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Poly (Acrylic Acid) Modified Cellulose Fiber Materials
CN115475780B (zh) * 2022-09-26 2023-09-26 广州市文逸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pp复合材料的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143A (en) * 1974-10-21 1978-08-29 W. R. Grace & Co. Process for making a wettable polyolefin battery separator
SU706474A1 (ru) * 1977-03-21 1979-12-30 Кишинев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Тех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ме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4294782A (en) * 1979-04-10 1981-10-13 Jerome Bauer Method for substantially instantaneous liquid molding of an article
DE3149427C2 (de) * 1981-12-14 1986-04-17 Herbert Kannegiesser Gmbh + Co, 4973 Vlotho Vorrichtung zum Versteifen textiler Flächengebilde
CH647136A5 (de) * 1982-05-13 1985-01-15 Kufner Textilwerke Gmbh Verfahren zur verstaerkung von oberstoffen oder einlagen fuer kleidungsstuecke.
JPS60151381A (ja) * 1984-01-17 1985-08-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長尺の吸水性複合材料の連続製造法
JPS60149609A (ja) * 1984-01-17 1985-08-07 Aron Kasei Co Ltd 吸水性複合材料の製造法
JPS61126103A (ja) * 1984-11-21 1986-06-13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重合体の製造法
JPH0621126B2 (ja) * 1986-04-15 1994-03-23 花王株式会社 吸液性複合体の製造方法
JPH0621127B2 (ja) * 1986-04-16 1994-03-23 花王株式会社 吸液性複合体の連続的製造方法
JPS6330505A (ja) * 1986-07-24 1988-02-0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吸水性複合材料の製造法
KR930007272B1 (ko) * 1988-06-28 1993-08-04 닙본 쇼쿠바이 가브시기 가이샤 흡수성 수지 및 그 제법
US4883716A (en) * 1988-08-01 1989-11-28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e of cast fluoropolymer-containing films at high producti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42B1 (ko) * 2008-08-26 2009-04-16 (주)디오텔레콤 분무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외장재용 필름 코팅장치 및 이를이용한 필름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890A (ko) 1990-06-02
EP0370646B1 (en) 1994-08-03
CA2002016A1 (en) 1990-05-21
BR8905857A (pt) 1990-06-12
CN1042921A (zh) 1990-06-13
EP0370646A2 (en) 1990-05-30
EP0370646A3 (en) 1991-10-02
DE68917266T2 (de) 1995-03-30
DE68917266D1 (de) 1994-09-08
US5079034A (en) 199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048B1 (ko) 흡수성 복합체의 제조방법, 연속적 제조방법, 제품 및 제조장치
JP3888644B2 (ja) 水吸収性の平坦な物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950012335B1 (ko) 흡수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950013035B1 (ko) 흡수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940010964B1 (ko) 흡수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JP6542360B2 (ja) ケーブルへの水の侵入および拡散を防ぐためのテキスタイル平面構造体
JP2013510245A (ja) 改善された高吸収体を含むテキスタイル
JPH01121306A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法
JP2000328456A (ja) 吸水性複合体の連続製造方法
JP2954360B2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法
EP1548179B1 (en) Method for producing water-absorbing composite
JP2613934B2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
JPH0753949B2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連続的製造方法
JPH0291129A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
JP2005060555A (ja) グラフト化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681372B2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
JP4043334B2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
JP3782050B2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方法
JP2554136B2 (ja) 吸水性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27181A (ja) 吸水性不織布の製造方法
JPH0529642B2 (ko)
JPH0621127B2 (ja) 吸液性複合体の連続的製造方法
CZ854288A3 (en) Absorption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JPH03243A (ja) 吸水性・保水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121307A (ja) 吸水性複合体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