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512B1 -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512B1
KR940008512B1 KR1019900020079A KR900020079A KR940008512B1 KR 940008512 B1 KR940008512 B1 KR 940008512B1 KR 1019900020079 A KR1019900020079 A KR 1019900020079A KR 900020079 A KR900020079 A KR 900020079A KR 940008512 B1 KR940008512 B1 KR 94000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vel
deck
rotating frame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769A (ko
Inventor
시게노리 후지사와
히로유끼 데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꾸라다
사꾸라다 마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꾸라다, 사꾸라다 마사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꾸라다
Publication of KR91001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 있어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일부 확대도이며, 자동차 출입시의 가동 데크 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대 2 : 왕복대
3 : 축 4 : 회전프레임
5 : 회전 프레임 5a,5b : 들보
6 : 안내 바퀴 7,12,24 : 모터
8,28 : 체인 9 : 차륜
10 : 오목부 11 : 레일
13 : 승강용 데크 13a : 난간
14 : 지지 아암 15,15a : 롤러
16 : 축받이체 17 : 실린더
17a : 로드 18 : 힌지대
18a : 지지부 19 : 축받이 부재
20 : 가동 데크 21 : 핀
22 : 축 23,24a : 스프로켓
25,25a : 리미트 스위치 26,26a : 작동부
29,29a : 아암 30,30a : 축이음부
31,31a : 연결부 P : 팰리트
S : 개구부 W : 지면
본 발명은 입체 주차장에서 승강기에 연락시켜서 승강하는 복수짝의 케이지를 사용하고, 이 케이지에 의해서 자동차를 격납 혹은 퇴출시킬때, 케이지의 하부 지면에 설치한 오목부내로부터 오목부에 배치한 상기 케이지 사이를 연결하는 레일상의 회전대를 케이지의 직하, 또는 선회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자동차의 출입을 행하는 회전대에 있어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 주차장에서의 리프트식 격납에선 자동차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대를 사용하는데, 이 회전대는 일반으로 원반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적재해 오르는 면과 원반과의 간극을 적게하거나 자동차 승강자의 보행을 편리하게 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대에 원반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가지로 편리하고 효과가 있는데 복수짝의 케이지를 썼을 경우, 부지면적 등의 관계로 케이지 간극을 좁게하면 직사각형상의 회전대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 회전대를 선회시킬때, 회전대가 인접하는 테이블과 접촉하여 선회되지 않는다, 따라서 격납 퇴출시에는 회선대를 케이지의 직하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선회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직사각형상의 회전대를 사용하려면 선회하기 위한 지면의 고정면과 테이블 사이는 테이블 회전축과 테이블의 구석부를 연설하는 반경 L와, 테이블 손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지나는 중심선의 회전축으로부터의 반경 즉 L-1 만큼의 간격 S가 최소한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 간격(S)가 있으므로 자동차 출입에 불편이 있다. 또, 상기한 부지면적의 관계로 회전대의 폭을 좁게해서 자동차를 탑재할 만큼의 폭이 된다. 따라서, 자동차 승강자는 통로로 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회전대 가장자리부를 돌아가면서 걷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상기한 문제에 대채할 수 있게 자동차 출입시에 출입구를 기계적으로 개폐하는 가동 데크를 설치해서 자동차 출입을 편리하게 함과 더불어 회전대의 좌우에 테이블로부터 출몰하는 보행자용의 데크를 배치하고, 승강자의 승강시의 위험을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 W에 설치한 오목부(10)내의 회전대(1)은 자동차를 오르게할 수 있는 위치까지 레일(11)상을 이동해서 정지시키며, 이때 회전재(1)의 가장자리와 오목부(10)의 탄채로 오르는 축의 지면 W의 고정축과의 사이에는 개구부 S가 있다.
따라서, 이 개구부(S)를 닫아야 한다. 그 때문에 모터(24)를 구동하는 이 구동으로 축받이 부재(19),(19)에 축받이된 축(22)에 회전이 전하여 축(22)와 일체의 아암(29),(29a)는 연결부(31),(31a)를 거쳐서 지지부(18a),(18a)에 핀(21)을 거쳐서 축받이된 가동 데크(20)을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요동시킨다. 한편, 축(22)에 부착한 작동부(26)은 리미트 스위치(25)를 작동하며, 이것으로 모터(2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정지 위치는 가동 데크(20)이 개구부 S를 폐쇄위치가 되게 미리 작동부(26)의 위치를 설정한다.
또, 회전대가 정지되면, 회전대(S5)상에 측부로 부터 각각 수납된 승강자용 데크(13)은 실린더(17)이 작동해서 승강용 데크(13)을 가로들보(5b)를 낀 지지 아암(l4)에 설치한 1쌍의 롤러(15),(15a)에 의해 안내됨과 더불어 지지되어서 회전 프레임(5)상으로부터 좌우로 압축되며, 데크로 되어 보행할 수 있는 통로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탄채로 오르는 측은 가동 데크(20)의 개폐로 개구부 S는 폐쇄될 수 있으며, 자동차는 가동 데크(20)에 의해서 탄채로 오를 수 있고, 또 탄채로 오른 자동차의 승강자는 압출된 승강자용 데크(13)을 지나서 안전하게 회전대에서 떠나 지면에 내려설 수 있다.
회전대(1)상에 승차한 대로 오르고, 또 승강자가 승강자용 데크(13)을 지나 회전대(1)에서 떠나면 상기 실린더(17)의 동작을 역으로 해서 승강자용 데크(13)을 회전 프레임(5)상에 수납하는 한편, 모터(24)를 역전해서 폐쇄한 가동 데크(20)을 연결부(31),(31a)를 거쳐서 밀어올리고, 축(22)에 설치한 작동부(26a)는 대응해서 배치한 리미트 스위치(25a)를 작동함으로서 모터(4)는 정지되며, 회전대(1)은 오목부(10)의 내벽사이에 회동 가능한 개구(S)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대(1)은 이동 및 선회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승강용 데크(13)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회전 프레임(5)상에 좌우양측에서 수납하여 또 사용시에는 밖으로 내밀어서 보행할 수 있게 하여 위험을 방지하고, 또 가동 데크(20)은 모터(24)의 동작으로 간단하게 개구(S)를 개폐하며, 자동차의 출입은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하는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 있어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의 제1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부호 1은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회전대이며, 왕복대(2)와 이 왕복대(2)상에서 중앙부를 축(3)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축이음된 회전 프레임(4)와, 세로, 가로의 들보(5a),(5b)호 틀상으로 구성한 회전 프레임(5)을 이루며, 회전 프레임(4)와 회전 프레임(5)는 일체로 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프레임(4)에는 왕복대(2)상을 전동해서 안내되는 복수의 안내륜(6),(6)을 축받이를 거쳐서 설치하고 있다.
또 회전 프레임(4)는 왕복대(2)에 부착한 모터(7)과 체인(8)을 거쳐서 연락시키고, 모터(7)의 구동으로 체인(8)을 거쳐서 회동시킨다. 왕복대(2)에는 축받이된 차륜(9)를 두고, 그 차륜(9)은 지면 W에 설치한 오목부(10)내의 손길이 방향으로 부설한 1쌍의 레일(11),(11)상에 탑재되어서 왕복대(2)에 부착한 모터(12)의 회전을 왕복대(2)로 차륜에 전달하고, 이 차축의 회전으로 레일(11),(11)을 따라서 왕복대(2)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회전대(1)은 팰리트 P를 실었을때 지면 W와 거의 동일면이 되게 하고, 또, 회전대(1)은 자동차를 격납 또는 반출할때, 복수짝으로 배치한 승강 케이지의 바로 밑까지 이동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회전대(1)의 회전 프레임(5)의 전후의 가로들보(5b),(5b)는 회전 프레임(5)상에서 좌우로 출몰하는 승강용 데크(13)로부터의 지지 아암(14)의 앞끝에 설치한 각각 1쌍의 롤러(15),(15a)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승강자용 데크(13)은 난간(13a)를 설치함과 더불어 중앙부분에는 중앙부의 들보(5b)에 축받이(16)으로 지지된 실린더(17)로부터의 로드(17a)를 연결하고, 실린더(17)의 작용으로 승강자용 데크(13)을 회전 프레임(5)상에 회전 프레임(5)로부터 좌우로 출몰하는 동작을 부여한다.
회전 프레임(5)상에는 승강자용 데크(13)이 출몰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토록 해서 팰리트 P가 실린다.
또, 자동차 출입측 지면 W의 오목부(10)에는 내면벽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어 힌지대(18)을 부착 고정하고, 하부측에는 축받이 부재(19),(19)를 부착하며 상부 힌지대(18)에는 상부를 향해서 일체의 지지부(18a)를 두고, 이 지지부(18a)로 가동 데크(20)의 일단측을 핀(21)로 연결해서 가동 데크(20)을 핀(21)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여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축받이 부재(19),(19)는 축(22)를 축받이하며, 그 축(22)의 일단에는 스프로켓(23)과, 타단에는 상하에 배치한 리미트 스위치(25),(25a)의 작동부(26),(26a)를 부착하며, 또 리미트 스위치(25),(25a)는 후기 모터(24)에 연락시켜서 가동 데크(20)의 개폐 위치에서 모터(24)를 정지시킨다. 상기 축(22)의 스프로켓(23)은 모터(24)로부터의 스프로켓(24a)와 체인(28)을 거쳐서 연락해서 회전을 전하고 있다. 축(22)의 좌우에는 아암(29),(29a)의 일단을 부착 고정하며, 이 아암(29),(29a)의 앞끝은 상기 가동 데크(20)의 보강부를 겸한 축이음부(30),(30a)와 연결부(31),(31a)를 거쳐서 연결시키며 가동 데크(20)을 요동해서 개구부 S의 개폐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승강하는 복수짝의 케이지를 배열하며, 케이지의 하부에는 각 케이지 사이를 연결하여 손길이 방향으로 레일을 부착하는 오목부를 두고, 이 오목부엔 왕복대와 회전 프레임을 갖는 회전 프레임으로 구성한 손길이 형상의 회전대를 오목부 내벽과 회전대 사이에 이동과 선회 가능으로 하는 개구부를 든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 상에는 좌우로 회전 프레임으로 안내되어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실린더로부터의 로드에 연결하여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출몰하는 승강용 데크를 배치하며, 또한 회전대의 자동차가 올라타는 위치에는 상기 오목부 내벽의 상부측에서 힌지에 의해 일단을 축받이한 가동데크를 두며, 또한 내벽의 하부측에는 모터에 연계해서 회전하는 축의 축방이 부재를 배치하며, 상기 축에는 상기 가동 데크를 요동하는 요동 수단과 가동 데크의 개폐 위치를 검출하는 모터에 연계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 있어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이며, 회전대가 이동해서 선회되는 간격의 개구부를 지면의 오목부내에 설치해서 회전대를 배열 장치하고 이 회전대의 자동차가 올라타는 위치에는 일단을 오목부 내벽의 상부측에서 힌지에 의해 축받이한 가동 데크를 두고, 또한 하부측에는 모터에 연결시켜서 회동하는 축의 축받이 부재를 배치하고 축과 상기 가동 데크간에 요동 수단을 두고 가동 데크에 요동 운동을 부여하므로서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행해지며 자동의 올라탐과 퇴출이 용이하게 된다. 즉, 기계적인 동작으로 개구부의 개폐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회전대의 회전 프레임 상에는 회전 프레임으로 안내되어 지지되며 게다가 실린더의 동작으로 회전 프레임 상으로부터 좌우로 돌출하는 승강자용 데크를 설치하는 것으로서의 회전대의 이동시에는 회전 프레임 상에 수납하며, 또 자동차를 올라타게 했을때의 좌우로 밀어내어서 데크로 하는 것으로써 승강자는 위험없이 회전대로부터 떠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승강하는 복수짝의 케이지를 배열하고 케이지의 하부에는 각 케이지 사이를 연결하는 손길이 방향으로 레일을 부설하는 오목부를 두며 이 오목부에는 왕복대와 회전 프레임을 갖는 회전대로 구성한 손길이 형상의 회전대를 오목부 내벽과 회전대 사이에 이동과 선회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둔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상에는 좌우로 회전 프레임으로 안내되어서 지지하는 지지 수단과 실린더로부터의 로드에 연결해서 회전 프레임으로부터 출몰하는 승강용 데크를 배치하고 또한, 회전대에서 자동차를 탄채로 진입하는 위치에는 상기 오목부 내벽의 상부측에서 힌지로 일단을 축받이한 가동 데크를 두며 또한, 내벽의 하부측에는 모터에 연계해서 회전하는 축의 축받이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축에는 상기 가동 데크를 요동하는 요동 수단과 데크의 개폐 위치를 검출하는 모터에 연계시킨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 있어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
KR1019900020079A 1990-02-23 1990-12-07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 KR940008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35 1990-01-30
JP1990017835U JPH0732780Y2 (ja) 1990-02-23 1990-02-23 ターンテーブルにおける自動車入出と乗降者のデッ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69A KR910015769A (ko) 1991-09-30
KR940008512B1 true KR940008512B1 (ko) 1994-09-22

Family

ID=1195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079A KR940008512B1 (ko) 1990-02-23 1990-12-07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2780Y2 (ko)
KR (1) KR9400085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08763U (ko) 1991-11-08
JPH0732780Y2 (ja) 1995-07-31
KR910015769A (ko) 199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292B2 (ja) 立体駐車装置
US4005785A (en) Elevator mechanism for multiple level mechanical car parking structure
KR940008512B1 (ko) 입체 주차장의 회전대에서의 자동차 출입과 승강자의 데크 장치
JP2911179B2 (ja) 立体車庫前の車出入装置
JP3047090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3606342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H0447114B2 (ko)
JPH0419167Y2 (ko)
KR920003098Y1 (ko) 자동차용 주차대
JPH0635075Y2 (ja) 前後併設式立体駐車装置
JPS6319663B2 (ko)
JP4043122B2 (ja) 車体方向転換装置を備えた補助リフト付昇降式駐車装置
JPH09302977A (ja) 昇降式駐車装置
JPS6339330Y2 (ko)
JP3712149B2 (ja) 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JP3319162B2 (ja) 隙間閉塞機構を備えた立体駐車装置
JPS6133797Y2 (ko)
JP3942339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H019890Y2 (ko)
KR980009715A (ko) 기계식 입체주차장의 텐테이블 선회장치
JPH0446031Y2 (ko)
KR920004023B1 (ko) 입체주차 설비의 자동입출고 장치
JPH07279467A (ja) 垂直循環方式駐車装置
JPH0378907B2 (ko)
JPS63189572A (ja) 縦列式駐車装置の可動ステ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