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758B1 - 스크롤 압축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758B1
KR940007758B1 KR1019900011807A KR900011807A KR940007758B1 KR 940007758 B1 KR940007758 B1 KR 940007758B1 KR 1019900011807 A KR1019900011807 A KR 1019900011807A KR 900011807 A KR900011807 A KR 900011807A KR 940007758 B1 KR940007758 B1 KR 94000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hermetic
oil
oil supply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936A (ko
Inventor
다까히로 다무라
가즈오 사꾸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0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8/00Rotary expansible chamber devices
    • Y10S418/01Non-working fluid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밀폐 스크롤압축기 장치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에 나타낸 밀폐형 스크롤압축기 장치의 밀폐형 압축기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III부의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용량가변형 밀폐형압축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 내측이 배출압력으로 유지되는 밀폐형 압축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냉각 및 윤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밀폐형 스크롤압축기 장치에 있어서, 가스를 압축하는 스크롤압축기 구부와 스크롤 압축기구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가 밀폐용기내에 수용되고, 윤활유가 밀폐용기의 하부에 저장되며 스크롤압축기부의 크랭크축에 형성된 급유통로를 거쳐 스크롤압축기부와 베어링에 공급된다. 한편, 압축기는 밀폐용기내로 배출되고 스크롤압축기부와 모터사이에 놓인 위치에 형성된 배출구를 거쳐 필요한 부분에 공급되고, 모터는 그 밀폐용기를 통과하는 배출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가 스크롤압축기구부와 모터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스크롤압축기구부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수직형 압축기장치에서는 모터의 하부 공간을 통과하지 않고 수평형 압축기장치에서 모터의 스크롤 압축기구부와 반대쪽 공간을 통과하지 않고 밀폐용기의 외측으로 유출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이들 부분이 충분히 냉각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스크롤 압축기구부를 운전하여 배출가스의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배출구를 모터에 대하여 스크롤 압축기구의 반대측에 설치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배출가스에 포함된 윤활유가 분리되지 않고 배출구를 거쳐 배출되어 밀폐용기의 윤활유가 감소되는 결과가 생긴다. 후자의 방법에 이하면, 수직형 압축기의 경우에는 윤활유가 배출가스와 함께 밀폐용기 외측으로 배출되어 버려 윤활유의 부족을 가져온다. 수평형 압축기의 경우에는, 밀폐용기의 하부에 저장된 윤활유가 밀폐용기의 압력차로 인해 배출구쪽을 향하여 유출되므로, 급유통로상의 윤활유가 부족하게 되는 결과로 윤활이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악조건은 고속운전시 더 현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선행기술의 스크롤 압축기장치는 비교적 저속에서 운전되며 냉각효과가 만족스럽게 성취될 수는 없지만, 배출구는 상기 언급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 장치의 모든 부분을 충분히 윤활하는 데에는, 밀폐용기에 저장된 윤활유량이 큰 것이 좋다. 그러나 밀폐용기의 하부에 저장된 윤활유량이 클 경우, 모터의 로터는 윤활유를 교반하여 버리므로 모터의 동력손실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윤활유는 모터의 하단부까지만 저장이 허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대량의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밀폐용기의 크기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윤활유가 밀폐용기내에 저장되는 형태의 압축기장치에 있어서는, 압축기장치의 정지시, 밀폐용기내의 압력은 다소 낮아지고, 배출가스는 밀폐용기내에 저장된 윤활유에 용해되어버린다. 그 결과, 압축기장치가 재기동되는 경우에, 용해된 배출가스는 기포를 발생한다. 기포가 발생하게 되면, 발포된 윤활유가 베어링에 공급되기 때문에, 베어링에 윤활유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녹아붙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수평형 압축기장치의 경우에는, 모터의 스테이터가 밀폐용기의 하부에 저장된 윤활유에 부분적으로 잠기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전선 피복이 윤활유중의 철가루등에 의해 손상되어 스테이터가 손실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용량가변형 스크롤 압축기장치는 공통흡입관 및 공통배출관에 병렬 접속된 다수개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각 압축기의 밀폐용기내에 저장된 윤활유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각 밀폐용기의 하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다수개의 기름균일관을 구비하고 있다. 용량가변형 스크롤 압축기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압축기중에서 몇대를 운전정지시켜 전체용량을 제어한다. 이 용량가변형 스크롤 압축기장치는 상기 언급한 단점이외에도 다음 문제점을 가진다.
전압축기를 운전할 경우, 전압축기의 밀폐용기의 내압은 각 압축기 및 배관등의 제조상 불균일 때문에 실제상 서로 균일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각 압축기의 윤활유량이 불균일하고 이로써 압축기간에 윤활유가 불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그 결과, 윤활유가 부족한 압축기는 충분히 윤활되지 않아, 베어링의 늘어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몇대의 압축기를 운전정지시키는 용량제어 모드에서 압축기장치를 운전할 경우 운전 정지된 압축기의 밀폐용기내의 내압은 운전중인 압축기의 것보다 낮으므로 윤활유는 운전중인 압축기에서 운전정지된 압축기내로 유동하고, 이로써 윤활유가 불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중의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배출가스의 일부가 운전정지된 압축기내로 유동하여 운전정지된 압축기의 윤활유에 용해되어 윤활유를 희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운전정지된 압축기를 재기동시킬 경우 용해된 배출가스가 기포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으로 운전할 수 있고, 밀폐용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모터의 동력손실 없이 충분한 윤활유량을 확보할 수 있고, 기포의 발생이 없으며, 압축기의 모든 부분이 신뢰성 있게 윤활되고 확실히 모터를 냉각할 수 있는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으로 운전할 수 있고, 밀폐용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모터의 동력손실 없이 충분한 윤활유량을 확보할 수 있고, 압축기간의 윤활유의 불균일한 분포 및 기포의 발생이 없으며, 압축기의 모든 부분이 신뢰성 있는 용량가변형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장치는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별개로 마련되어 압축된 압축 매체 및 윤활유를 수용하는 기름저장용기와,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배출구와 상기 기름저장용기중 압축매체를 수용하는 부분을 연통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급유구와 상기 기름저장용기중 윤활유를 수용하는 부분을 연통시키는 급유관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압축매체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밀폐용기와, 상기 압축매체를 압축하는 상기 밀폐형 용기에 수용되어, 고정스크롤, 선회스크롤, 및 상기 선회스크롤을 선회 구동하는 구동축을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구부와, 상기 밀폐형 용기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축을 선회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을 관통하며, 상기 선회 스크롤과의 섭동부에 면한 제 1 의 개구를 상기 급유구와 연통시키는 제 1 의 급유통로와, 상기 선회스크롤의 단부판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단면에 면한 제 2 의 개구를 상기 제 1 의 개구와 연통시키는 제 2 의 급유통로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면한 제 3 의 개구를 상기 제 2 의 개구부와 연통시키는 제 3 의 급유통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모터에 관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부의 반대측 부분에서 상기 밀폐형 용기상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용량 가변형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 장치는 공통 흡입관과 공통배출관에 병렬 접속된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별개로 마련되어 압축된 압축매체와 윤활유를 수용하는 기름저장용기와,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각 배출관과 상기 기름저장용기중 압축매체가 수용되는 부분에 접속된 공통배출관을 연통시키며,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내로 압유매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배출관과,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각 급유구와 상기 기름저장용기중 윤활유가 수용되는 다른 부분에 접속된 공통급유관을 연통시키며, 각각 폐쇄 가능한 스톱밸브를 가지는 복수의 급유관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 각각은, 상기 압축매체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밀폐형 용기와, 상기 밀폐형 용기에 수용되어 상기 압축매체를 압축하여 고정스크롤, 선회스크롤 및 상기 선회스크롤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축을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구부와, 상기 밀폐형 용기를 수용되어 상기 구동축을 선회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을 관통하며, 상기 선회 스크롤과의 섭동부에 면한 제 1 의 개구를 상기 급유구와 연통시키는 제 1 의 급유통로와, 상기 선회스크롤의 단부판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단면에 면한 제 2 의 개구를 상기 제 1 의 개구와 연통시키는 제 2 의 급유통로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면한 제 3 의 개구를 상기 제 2 의 개구부와 연통시키는 제 3 의 급유통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밀폐용기의 상기 모터에 관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구부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하면, 윤활유가 저장된 기름저장소가 밀폐스크롤 압축기와는 별도로 제공되므로 압축기장치가 고속으로 운전될 때에도 윤활유가 감소될 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압축기장치의 모든 부분을 확실히 윤활할 수가 있다. 또한, 기포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게다가 밀폐용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충분한 윤활유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용기가 모터에 대하여 스크롤 압축기구부의 반대쪽 위치에서 배출구에 제공되므로 스크롤 압축기구부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는 모터 전체에 미치게 되어 모터를 확실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윤활유는 다수개의 스크롤 압축기와는 별개인 공통 기름저장소에 저장되어 있고, 이 저장소로부터 윤활의 목적으로 각 압축기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전압축기가 운전되는 때에도, 압축기장치가 용량제어 모드에서 운전될 때에도, 압축기 사이에 윤활유가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정지된 압축기를 재기동할 경우 기포의 발생이 없다. 더욱이, 용량제어운전시, 운전정지된 스크롤 압축기는 운전되고 있는 스크롤 압축기로부터 회로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운전정지된 스크롤 압축기로 윤활유가 공급되지 않고, 정지된 압축기의 재기동을 저해하는 경우가 없다.
제 1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의 밀폐형 압축기장치를 아래에 설명한다.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장치(100)는 수직형 스크롤 압축기(50)와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50)와 별개로 마련된 기름저장소(60)로 구성되어 있다.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50)는 그 흡입구(15)와 기름저장소(17)을 상부에 구비한 밀폐형용기(11)을 가지고 있고, 밀폐용기(11)내에는 스크롤 압축기구부(12)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13)와 스크롤 압축기구부(12)를 수용하고 있다. 하부공간(14)는 모터(13)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스크롤 압축기구부(12)는 고정스크롤(18), 고정스크롤(18)과 결합되는 가동스크롤(55), 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29) 및 가동스크롤(55)의 자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기구(140)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스크롤(18)은 밀폐용기에 고정된 프레임(54)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단부판(19) 및 단부판(19)상의 나선형 랩(20)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22)는 랩(20)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흡입구(15)와 연통되어 있다. 배출구(21)는 단부판(19)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21)를 거쳐 스크롤 압축기구부(12)에 의해 압축된 가스가 밀폐용기(11)내로 배출된다.
또한, 가동스크롤(55)는 단부판(38)에 제공된 나선형 랩(3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랩(36)은 고정스크롤(18)의 랩(20)과 결합되어 있다. 베어링(32)은 단부판(38)의 뒤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축(29)의 크랭크핀(34)은 베어링(32)내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축(29)은 프레임(54)에 제공된 베어링(30 및 31)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 크랭크핀(34)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29)은 스크롤 압축기구부(12)의 하부에 배치된 모터(13)의 로터와 접속되어 모터(13)에 의해 회전된다.
밀폐용기(11)에 고정된 프레임(54)에는 가동스크롤(55)을 그 사이에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스크롤(18)과 함께 상호 작용하는 받침대(35)와, 가동스크롤(55)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기 위한 배압챔버(33)가 형성되어 있다. 배압챔버(33)는 가동스크롤(55)의 단부판(38)에 형성된 균압구멍(37)을 거쳐 압축행정중의 압축공간(56)과 연통되어 있다. 그러므로 배압챔버(33)는 흡입압과 배출압 사이의 중간압력으로 유지되어 가동스크롤(55)을 적당한 압력에서 고정스크롤(18)에 대하여 압축하도록 한다.
가동스크롤(55)의 자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회전방지기구(140)가 가동스크롤(55)과 프레임(54)의 후방면 사이에 제공된다. 고정스크롤(18)의 단부판(19)과 프레임(54)을 관통하여 가스통로(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크롤 압축기구부(12)의 배출구(21)를 통하여 배출된 압축가스는 가스통로(39)를 거쳐 밀폐용기(11)의 하부에 배치된 모터(13) 및 하부공간(14)으로 유입한다. 밀폐용기(11)의 모터(13)에 관하여 스크롤 압축기구부(12)와 반대측 위치에는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16)는 하부공간(14)과 연통하고 있다.
기름저장소(60)는 기름저장용기(61)를 가지고 있고, 기름저장용기(61)의 상부에는 가스공급구(64)가 형성되어 있다. 기름저장용기(61)내부에는 윤활유를 압착가스에서 분리시키는 기름분리기(65)와, 윤활유가 압축가스와 함께 기름저장용기(61)의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름트랩(66)이 설치되어 있다. 기름분리기(65)와 배출구(16)는 배출관(40)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또한 윤활유가 저장되어 있는 기름저장용기(61)중 하측부분(62)은 급유관(41)에 의하여 급유구(17)와 연통된다.
제 1 개구(23)는 가동스크롤(55)와의 섭동부에 면하는 부분에서 고정스크롤(18)의 단부판(19)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개구(23)와 급유부(17)는 고정스크롤(18)의 단부판(19)를 통하여 연장하는 제 1 급유통로(24)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제 2 개구(25)는 크랭크핀(34)에 면하는 부분에서 가동스크롤(55)의 단부판(38)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개구(23)와 제 2 개구(25)를 연통되게 하는 제 2 급유통로(26)가 단부판(38)에 형성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스크롤(55)를 회전시킬 때 제 2 급유통로(26)의 중심(26a)은 크랭크핀(34)의 크랭크반경 즉 가동스크롤(55)의 회전반경과 같은 반경의 원으로 가동된다. 제 1 개구(23)의 크기는 제 1 개구(23)가 회전운동중에 일정하게 제 2 급유통로(26)와 연통되게 하는 크기로 결정된다. 말하자면 제 1 개구(23)의 반경은 회전반경으로부터 제 2 급유통로(26)의 반경을 빼서 얻은 차이보다 크게 된다. 제 3 개구(28)는 베어링(30)에 먼하는 부분에서 구동축(29)에 형성되고, 제 3 개구(28)가 제 2 개구(25)와 연통되게 하는 제 3 급유통로(27)는 또한 구동축(29)의 거의 중심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작동을 설명한다. 모터(13)에 의해 구동축(29)을 회전시킬 경우, 크링크핀(34)의 회전운동 및 회전방지기구(140)의 작용에 의하여 가동스크롤(55)은 자전하지 않고 회전운동을 행한다. 그 결과 고정스크롤(18) 및 가동스크롤(55)의 랩(36, 20)과 단부판(38, 19)에 의해 한정된 압축 공간은 고정스크롤(18)의 중심쪽으로 이동되면서 그 체적은 감소되어, 흡입구(22)에서 흡입된 가스는 압축된 다음 배출구(21)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압축가스는 고정스크롤(18)의 단부판(29)과 프레임(54)을 통해 연장한 가스통로(39)를 통하여 밀폐용기(11)의 하부로 유동하고, 모터(13)의 전체를 냉각시킨 후에, 배출구(16)을 통하여 기름저장소(60)로 보내진다.
스크롤 압축기(50)로부터 보내진 배출가스는 기름분리기(65)에 의해 윤활유가 분리된 다음, 기름저장용기(61)의 상부(63)에 배출압으로 저장된다. 그후 가스는 가스공급구(64)를 거쳐 필요한 부분에 공급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기름저장용기(61)의 하부(62)에 저장된다. 배출압으로 저장된 윤활유는 급유관(41)을 거쳐 급유구(17)로 보내지고, 이로부터 윤활유는 제 1 급유통로(24), 제 1 의 개구(23) 및 제 2 급유통로(26)을 경유하여 제 2 개구(25)로 보내진다. 다음에 윤활유는 제 3 급유통로(27)를 거쳐 제 3 개구(28)로 보내진다. 베어링(32 및 30)의 배압실측은 배출압 보다 낮은 중간 압력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 압력차로 인하여 윤활유는 각 베어링(30 및 32)으로 유동되어, 이 베어링들을 윤활한다. 베어링(31)은 이들 베어링(30 및 32)을 윤활하는데 사용된 윤활유에 의해 윤활된다.
각 베어링들을 윤활한 윤활유는 밀폐용기(11)의 하부공간(14)으로 하부쪽으로 유동하고, 배출가스와 함께 기름저장소(60)에 복귀한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있어서, 윤활유를 저장하는 기름저장소가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별개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압축기 장치가 고속으로 운전할 때에도 윤활유가 감소될 가능성은 없다. 그러므로 압축기의 모든 부분을 확실히 윤활할 수 있다. 게다가, 기포의 발생도 없다. 또한, 밀폐용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충분한 양의 윤활유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배출구가 밀폐용기의 모터에 대하여 스크롤 압축기구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압축기구부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는 모터 전체에 확실히 도달하여, 모터를 확실히 냉각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 4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의 용량 가변형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량 가변형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200)는 흡입관(49a, 49b) 및 배기관(40a, 40b)에 의하여 공통흡입관(48) 및 공통배출관(42)에 각각 병렬로 접속된 2개의 스크롤 압축기(51, 52)와 이들 압축기(51 및 52)와 별도로 제공된 기름저장소(60)로 구성된다. 스크롤 압축기(51, 52) 및 기름저장소(60)의 구조 및 작용은 상기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 설명한다.
공통배출관(42)은 배출가스가 저장되는 기름저장소(60)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구(16)는 배출관(40a 및 40b)에 의하여 공통배출관(42)에 연통되어 있다. 배출관(40a 및 40b)에는 배출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각각 첵밸브(44a 및 4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름저장소(60)의 윤활유를 저장하는 하부(62)에는 공통급유관(45)이 접속되어 있다. 급유구(17)는 급유관(41a 및 441b)에 의하여 공통급유관(45)과 연통하고 있다. 급유관(41a 및 41b)에는 각 급유관을 폐쇄하는 스톱밸브(47a 및 47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작동을 설명한다.
전 압축기(51 및 52)를 작동시킬 경우, 압축기(51 및 52)의 모터를 냉각하는 배출가스는 배출관(40a, 40b) 및 공통배출관(42)을 거쳐 기름저장소(60)로 보내지고, 기름분리기(65)에 의하여 윤활유로부터 분리되어, 기름저장용기(61)의 상부(63)에서 배출압으로 저장된다. 압축기(51)로부터 배출압은 첵밸브(44b)에 의하여 압축기(52)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한편 압축기(52)로부터의 배출압은 첵밸브(44a)에 의하여 압축기(51)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름저장용기(61)의 하부(62)에 저장된 윤활유는 공통급유관(45) 및 각 급유관(41a 및 41b)을 거쳐 각 압축기(51 및 52)의 급유구(17)에 보내져, 상기 실시예와 같은 식으로 각 베어링을 윤활시킨다. 그 결과, 윤활유는 배출가스와 함께 기름저장소(60)로 복귀된다.
압축기들중 예를 들어 압축기(52)를 운전정시키는 용량제어모드에서 압축기장치를 운전할 경우, 압축기(52)의 급유관(41b)에 배치된 스톱밸브(47b)는 폐쇄된다. 압축기(51)로부터의 배기가스는 첵밸브(44b)에 의하여 압축기(52)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공통배출관(42)을 거쳐 기름저장소(60)로 보내진 다음, 기름분리기(65)에 의하여 윤활유가 분리되어, 기름저장용기(61)의 상부(63)에서 배출압으로 저장된다. 기름저장용기(61)의 하부(62)에 저장된 윤활유는 공통급유관(45)을 거쳐 급유관(41b)으로 보내지지만, 스톱밸브(47)가 폐쇄되기 때문에 압축기(52)내로 유입될 수가 없다.
한편, 스톱밸브(47a)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윤활유는 공통급유관(45) 및 급유관(41a)을 경우하여 압축기(51)이 급유구(17)로 보내져 상기 실시예와 같은 식으로 베어링을 윤활시킨다. 결과적으로, 윤활유는 배출가스와 함께 기름저장소(60)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윤활유는 다수개의 스크롤 압축기와 별개인 공통기름저장소에 저장되어 있고, 여기로부터 윤활을 위해 각 압축기로 공급되기 때문에, 전 스크롤 압축기가 운전되는 때에도 용량제어모드에서 운전되는 때에도, 압축기 사이의 윤활유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정지된 압축기는 재기동시에 기포발생이 없다. 또한, 용량제어 모드에서 압축기 장치를 운전할 경우, 운전정지된 스크롤 압축기는 운전되고 있는 스크롤 압축기로부터 회로적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정지된 스크롤 압축기로 윤활유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스크롤 압축기가 운전정지되어 있는 사이에, 스크롤 압축기구부의 압축 공간이 윤활유로 채워지고 운전정지된 압축기가 액체 압축으로 인하여 재기동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는 스크롤 압축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축이 수직으로 배열된 소위 수직형 스크롤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축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밀폐용기내에 스크롤 압축기구부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축이 수평으로 배열된 소위 수평형 스크롤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축기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Claims (2)

  1. 스크롤 압축기장치에 있어서,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별개로 마련되어 압축된 압축 매체 및 윤활유를 수용하는 기름저장용기와 ;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배출구와 상기 기름저장용기의 압축매체 수용 부분을 연통시키는 배출관과 ;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급유구와 상기 기름저장용기의 윤활유수용 부분을 연통시키는 급유관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는 ; 상기 압축매체를 흡압하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밀폐용기와 ; 상기 압축매체를 압축하는 상기 밀폐용 용기에 수용되어, 고정스크롤, 선회스크롤 및 상기 선회스크롤을 선회 구동하는 구동축을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구부와 ; 상기 밀폐형 용기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축을 선회 구동하는 모터와 ; 상기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을 관통하며, 상기 선회 스크롤과의 섭동부에 면한 제 1 의 개구를 상기 급유구와 연통시키는 제 1 의 급유통로와 ; 상기 선회스크롤의 단부판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단면에 면한 제 2 의 개구를 상기 제 1 의 개구와 연통시키는 제 2 의 급유통로와 ;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면한 제 3 의 개구를 상기 제 2 의 개구부와 연통시키는 제 3 의 급유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모터에 관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부의 반대측 부분에서 상기 밀폐형 용기상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장치.
  2. 용량가변형 스크롤 압축기 장치에 있어서, 공통 흡입관과 공통배출관에 병렬접속된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와 별개로 마련되어 압축된 압축매체와 윤활유를 수용하는 기름저장용기와 ;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각 배출관과 상기 기름저장용기의 압축매체 수용 부분에 접속된 공통배출관을 연통시키며, 상기 밀폐형스크롤 압축기내로 압유매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배출관과 ;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각 급유구와 상기 기름저장용기의 윤활유 수용 부분에 접속된 공통급유관을 연통시키며, 각각 폐쇄 가능한 스톱밸브를 가지는 복수의 급유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 각각은 ; 상기 압축매체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밀폐형 용기와 ; 상기 밀폐형 용기에 수용되어 상기 압축매체를 압축하여 고정스크롤, 선회스크롤 및 상기 선회스크롤을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는 구동축을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구부와 ; 상기 밀폐형 용기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축을 선회 구동하는 모터와 : 상기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을 관통하며, 상기 선회 스크롤과의 섭동부에 면한 제 1 의 개구를 상기 급유구와 연통시키는 제 1 의 급유통로와 ; 상기 선회스크롤의 단부판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단면에 면한 제 2 의 개구를 상기 제 1 의 개구와 연통시키는 제 2 의 급유통로와 ;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면한 제 3 의 개구를 상기 제 2 의 개구부와 연통시키는 제 3 의 급유통로를 포함하며 :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밀폐용기의 상기 모터에 관하여 상기 스크롤 압축기구부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장치.
KR1019900011807A 1989-08-02 1990-08-01 스크롤 압축기 장치 KR940007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9432A JP2656627B2 (ja) 1989-08-02 1989-08-02 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の給油装置
JP1-199432 1989-08-02
JP89-199432 1989-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936A KR910004936A (ko) 1991-03-29
KR940007758B1 true KR940007758B1 (ko) 1994-08-24

Family

ID=1640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807A KR940007758B1 (ko) 1989-08-02 1990-08-01 스크롤 압축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12201A (ko)
JP (1) JP2656627B2 (ko)
KR (1) KR940007758B1 (ko)
ES (1) ES2029586A6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6612B2 (ja) * 1991-07-18 1997-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
US6478550B2 (en) 1998-06-12 2002-11-12 Daikin Industries, Ltd. Multi-stage capacity-controlled scroll compressor
JP2974009B1 (ja) * 1998-06-12 1999-1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多段階容量制御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0220585A (ja) * 1999-01-28 2000-08-0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4040225B2 (ja) * 1999-02-01 2008-01-30 カルソニックコンプレッサー株式会社 気体圧縮機
KR100361216B1 (ko) * 1999-12-24 2002-11-23 주식회사 해룡실리콘 자기 밀착성이 우수한 부가 반응형 저경도 열전도 실리콘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4104895A (ja) * 2002-09-09 2004-04-02 Hitachi Ltd 圧縮機駆動装置及び冷凍空調装置
JP3629587B2 (ja) 2000-02-14 2005-03-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及び室外機並びに冷凍装置
US6428296B1 (en) 2001-02-05 2002-08-06 Copeland Corporation Horizontal scroll compressor having an oil injection fitting
US7083393B2 (en) * 2002-08-30 2006-08-01 Sullair Corporation Combination sight glass, strainer and orifice
KR100679886B1 (ko) * 2004-10-06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유 기능을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용 선회베인
US7186099B2 (en) * 2005-01-28 2007-03-0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clined scroll machine having a special oil sump
JP2007100513A (ja) * 2005-09-30 2007-04-19 Sanyo Electric Co Ltd 冷媒圧縮機及びその冷媒圧縮機を備えた冷媒サイクル装置
US7566210B2 (en) 2005-10-20 2009-07-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Horizontal scroll compressor
US20070132330A1 (en) * 2005-12-12 2007-06-14 Fei Renyan W Fan assemblies employing LSPM motors and LSPM motors having improved synchronization
US8747088B2 (en) 2007-11-27 2014-06-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Open drive scroll compressor with lubrication system
CN101676564A (zh) * 2008-09-19 2010-03-24 江森自控楼宇设备科技(无锡)有限公司 油平衡装置、压缩机单元及其油平衡方法
US9816506B2 (en) * 2013-07-31 2017-11-14 Trane International Inc. Intermediate oil separator for improved performance in a scroll compressor
KR102310647B1 (ko) 2014-12-12 202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CN105332912A (zh) * 2015-11-20 2016-02-17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涡旋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DE102016204756B4 (de) * 2015-12-23 2024-01-11 OET GmbH Elektrischer Kältemittelantrieb
DE102019108079B4 (de) * 2018-03-30 2023-08-31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Schneckenverdich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6244A (en) * 1940-06-19 1941-06-17 York Ice Machinery Corp Refrigeration
US4358254A (en) * 1978-09-01 1982-11-09 Tecumseh Products Company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S5776201A (en) * 1980-10-31 1982-05-13 Hitachi Ltd Oil feed device for scroll hydraulic machine
JPS58172401A (ja) * 1982-04-02 1983-10-11 Hitachi Ltd スクロ−ル流体機械
JPS58214690A (ja) * 1982-06-09 1983-12-13 Hitachi Ltd 密閉形スクロ−ル圧縮機の給油装置
JPS6187994A (ja) * 1984-10-05 1986-05-06 Hitachi Ltd 横形スクロ−ル流体機械
JPH0617676B2 (ja) * 1985-02-15 1994-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ヘリウム用スクロ−ル圧縮機
JPS63268998A (ja) * 1987-04-28 1988-11-07 Matsushita Refrig Co スクロ−ル型圧縮機
JPH0794831B2 (ja) * 1987-09-18 1995-10-11 松下冷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4795321A (en) * 1987-11-27 1989-01-03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lubricating a scroll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9586A6 (es) 1992-08-16
US5112201A (en) 1992-05-12
JPH0364688A (ja) 1991-03-20
JP2656627B2 (ja) 1997-09-24
KR910004936A (ko) 199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758B1 (ko) 스크롤 압축기 장치
KR880002907Y1 (ko) 스크롤 압축기
JP3851971B2 (ja) Co2用圧縮機
US6494696B2 (en) Scroll compressor
KR20060051788A (ko) 압축기
JPS58160583A (ja) スクロ−ル式流体機械
JPH05149269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813497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359308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02452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9287579A (ja) 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
JPH0437038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43439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배유구조
JPH0658281A (ja) 横型密閉圧縮機
JPH05240170A (ja) 密閉圧縮機の流体ポンプ
KR100308288B1 (ko) 스크롤압축기의역회전방지구조
KR100556944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마찰손실 저감구조
JPH04203381A (ja) ヘリウム用スクロール圧縮機の油注入機構
JPH1037872A (ja) 横型圧縮機
JPH0571486A (ja) 密閉形二段スクロール圧縮機の給油装置
JPH0658282A (ja) 横型圧縮機
JPH01301985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20130092769A (ko) 스크롤 압축기
KR200150832Y1 (ko) 회전압축기
JPWO2019092916A1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