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663B1 -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663B1
KR940007663B1 KR1019910024261A KR910024261A KR940007663B1 KR 940007663 B1 KR940007663 B1 KR 940007663B1 KR 1019910024261 A KR1019910024261 A KR 1019910024261A KR 910024261 A KR910024261 A KR 910024261A KR 940007663 B1 KR940007663 B1 KR 94000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gate
silicon nitride
oxide film
silico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선
백종태
남기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1002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63B1/ko

Links

Landscapes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방법에 의한 일반적인 엘디디(lightly doped drain : LDD) 엔-모스 트랜지스터(n-MOS transistor, n-MOSFET) 구조.
제 2 도는 게이트에 대한 소오스와 드레인의 중첩성을 높여 소오스와 드레인의 저항을 낮춘 엘디디 엔-모스 트랜지스터 구조.
제 3 도는 게이트에 대한 소오스와 드레인의 중첩성을 높여 소오스와 드레인의 저항을 낮추되 측면벽 산화막을 가지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구조.
제 4 도는 게이트에 대한 소오스와 드레인의 중첩성을 높이기 위하여 웨이퍼의 수직선상에 대하여 θ의 각으로 경사지게 이온주입 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제 5 도는 게이트에 대한 소오스와 드레인의 중첩성을 높인 엘디디 엔-모스 트랜지스터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제조공정.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8, 14, 21 : 규소기판
2, 3, 6, 9, 10, 15, 16, 19, 22, 23, 27, 30, 32, 34, 37, 38, 41 : 규소산화막
4, 11, 17, 24, 23 : 가결정규소 5, 12, 18, 39 : 엘디디
7, 13, 20, 40 : n+확산층 26, 28, 31, 35 : 규소질화막
29 : 인 36 : 비소
본 발명은 모스(MOS : Metal Oxide Semicnductor)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오스와 드레인이 게이트와 완전한 중첩된 구조를 갖는 LDD(Lightly Doped Drain)형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드레인은 이온-주입(ion-implantaiton)한 후 고온 열처리(thermal annealing)하여 형성된다.
모스소자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게이트 길이도 짧아지는데, 이럴 경우 소오스와 드레인 사이의 펀치드루(punchthrough)전압이 낮아지며 핫 캐리어(hot carrier)효과에 의하여 모스소자의 수명이 짧아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제 1 도와 같은 엘디디(LDD) 모스 트랜지스터구조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제 1 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규소기판(1)의 일부에 필드산화막(field oxide : 2)을 형성한 뒤 활성영역(active area)에 게이트산화막(3)과 다결정규소게이트(4)를 형성한다.
이 다음 인(phosphorus)을 1×1013내지 3×1013-2의 도오스(dose)와 10 내지 50KeV의 에너지로 이온-주입한 뒤 저압화학적기상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 LPCVD)방법으로 100 내지 300㎜의 두께의 규소산화막을 기판의 전면에 형성한 뒤 반응성이온식각(reactive ioetch : RIE)방법으로 상기 게이트(4)의 측면에 측벽산화막(6)을 남긴다.
이 다음 비소(arsenic)를 1×1015내지 6×1015-2의 도오스에서 25 내지 80KeV의 에너지로 이온-주입한 다음 열-확산(themal diffusion)이나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annealing)하여 엘디디(5)와 소오스/드레인(7)을 얻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제 1 도의 방법은 엘디디(5)와 소오스/드레인(7)의 확산프로파일(profile)의 게이트와 충분히 충첩되지 않아 소오스와 드레인의 저항이 커짐으로서 전류구동능력이 떨어지고 소자의 신뢰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들을 보완하려면 제 2 도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엘디디와 소오스/드레인의 확산프로파일(12,13,18,20)이 게이트(11,17)와 충분히 중첩되도록 소자를 제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웨이퍼의 수직선상에 대하여 θ(30~60˚)각 만큼 기울여 인이나 바소를 이온-주입하는 것이다.
이 경우 경사진 이온-주입을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이온-주입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이온-주입을 하지 않고 소오스/드레인의 확산프로파일이 게이트와 충분히 중첩된 구조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류구동력이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은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p+규소기판상에 LOCOS방법으로 필드산화막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23)과 n+다결정규소를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열산화방법 혹은 LPCVD방법으로 제 1 규소산화막을 소정 두께로 형성하고 LPCVD방법으로 제 1 규소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포토리소그라피방법으로 게이트영역을 정의한 후 이 게이트영역 이외의 상기 제 1 규소질화막과 상기 제 1 규소산화막을 RIE방법으로 순차로 식각하여 1차로 게이트패턴을 형성하고 인(P)을 이온주입하는 단계와, 산소가스와 수소가스가 혼합된 습식분위기에서 열산화방법으로 제 2 규소산화막을 형성하고 이어 LPCVD방법으로 제 2 규소질화막을 소정두께로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규소질화막과 상기 제 2 규소질화막과 상기 다결정규소 및 상기 게이트산화막을 RIE방법으로 순차로 식각하여 게이트영역을 정의한후 2차로 게이트패턴을 형성하고 비소(As)를 이온주입하는 단계와, 산소가스와 수소가스가 혼합된 습식분위기에서 열산화시켜 제 3 규소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식각용액으로 게이트패턴 상부의 규소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및, 식각용액으로 잔여 규소산화막을 제거하여 다결정 실리콘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제 5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5 도의 a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활성영역과 게이트다결정규소를 형성시킨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P-형 규소기판(21)위에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방법으로 필드산화막(22)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23)과 n+다결정규소(24)를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 다음, 제 5 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열산화 또는 LPCVD방법으로 200 내지 400Å의 규소산화막(25)을 형성한다.
산화막(25)은 차후 인산용액으로 규소질화막(26)을 식각할 때 다결정규소(2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다음 LPCVD방법으로 200 내지 300㎚의 규소질화막(26)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5 도의 c에 나타낸 바와같이, 감광막작업을 수행하여 게이트 이외의 영역을 노출시킨 다음 RIE방법에 의하여 상기의 규소질화막(26)과 규소산화막(25)을 식각하여 게이트영역위의 규소질화막(28)과 규소산화막(27)을 남긴 다음 감광막을 제거한 후 인(P)을 이온-주입하되 에너지는 80 내지 100KeV, 도오스는 2×1014내지 5×1014-2으로 하여 기판표면의 인(29) 농도가 2×1017내지 6×1017-3이 되도록 한다.
상기 공정이 완료되면 제 5 도의 d에 나타낸 바와같이, 900 내지 950℃의 온도에서 산소 가스와 수소가스가 혼합된 습식분위기에서 10분 내지 20분간 열산화하여 200 내지 400Å의 규소산화막(30)을 형성한다.
이때 이온-주입된 인(29)은 규소기판(21)의 내부로 다소 확산하게 된다.
상기 산화막(30)은 차후 인산용액으로 규소질화막(28)을 식각할 때 다결정규소(2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다음 LPCVD방법으로 200 내지 300nm의 규소질화막(31)을 형성한다.
이 다음 제 5 도의 e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의 규소질화막(31), 규소산화막(30), 다결정규소(24)와 게이트산화막(23)을 RIE방법에 의하여 차례로 식각시켜 게이트영역을 정의한 다음 비소(36)을 이온-주입하되 에너지는 30 내지 50KeV, 도오스 1×1015내지 6×1015cm-2으로 한다.
이어서 제 5 도의 f에 나타낸 바와같이, 900 내지 950℃의 온도에서 산소가스와 수소가스가 혼합된 습식분위기에서 10분 내지 20분간 열산화하여 200 내지 400Å의 규소 산화막(37,38)을 형성한다.
이 규소산화막(37)은 차후 인산용액으로 규소질화막(35)을 식각할 때 다결정 규소게이트(3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의 인(29)과 비소(36)는 규소기판내부로 확산하여 엘디디(39)와 소오스/드레인(40)을 형성하게 된다.
이 다음 제 5 도의 g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산용액으로 규소질화막(35)을 식각한다.
이 과정에서 다결정규소게이트(33)는 규소산화막(27,34,37,38)에 의하여 보호된다.
이 다음 제45도의 h에 나타낸 바와같이, 불산(HF)용액으로 상기의 규소산화막(21,34,37,38)을 식각하여 다결정규소(33)을 노출시킨다.
이 과정을 생략하여 이후의 공정을 수행하여도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공정이 끝나고 나서 CVD산화막의 증착, 콘택트(contact)의 형성 및 금속배선 공정등을 수행하면 n-채널 모스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상기의 발명에 의하여 얻은 모스 트랜지스터 구조에서 엘디디(39)와 소오스/드레인(40)의 확산 프로파일이 게이트(33)와 충분히 중첩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엘디디 모스 트랜지스터는 전류 구동능력이 떨어지고 소자의 신뢰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엘디디 모스 트랜지스터는 경사진 이온 주입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6)

  1. 소오스 및 드레인이 게이트와 중첩된 구조를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p+규소기판(1)상에 LOCOS방법으로 필드산화막(22)을 형성한후 게이트산화막(23)과 n+(24)를 순차로 형성하는 공정과, 열산화방법 혹은 VPCVD방법으로 제 1 규소산화막(25)을 소정 두께로 형성하고 LPCVD방법으로 제 1 규소질화막(26)을 형성하는 공정과, 포토리소그라피방법으로 게이트영역을 정의한 후 이 게이트영역 이외의 상기 제 1 규소질화막(26)과 상기 제 1 규소산화막(25)을 RIE방법으로 순차로 식각하여 1차로 게이트패턴을 형성하고 인(P)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산소가스와 수소가스가 혼합된 습식분위기에서 열산화방법으로 제 2 규소산화막(30)을 형성하고 이어 LPCVD방법으로 제 2 규소질화막(31)을 소정두께로 증착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규소질화막(31)과 상기 제 2 규소질화막(30)과 상기 다결정규소(24) 및 상기 게이트산화막(23)을 RIE방법으로 순차로 식각하여 게이트영역을 정의한 후 2차로 게이트패턴을 형성하고 비소(As)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산소가스와 수소가스가 혼합된 습식분위기에서 열산화시켜 제 3 규소산화막(37,38)을 형성하는 공정과, 식각용액으로 게이트패턴 상부의 규소질화막(35)을 제거하는 공정 및, 식각용액으로 규소산화막(27,34,37,48)을 제거하여 다결정실리콘(33)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래지스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규소산화막(25,30)의 두께는 200 내지 4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규소질화막(26,31)의 두께는 2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 이온 주입공정은 80 내지 100KeV의 이온주입 가속에너지와 2×1014내지 5×1014-2의 도오스로 수행하여 기판표면의 인의 농도가 2×1017내지 6×1017-3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소질화막(31)의 두께는 2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규소산화막형성공정은 온도 900 내지 950℃에서 10분 내지 20분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9910024261A 1991-12-24 1991-12-24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94000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261A KR940007663B1 (ko) 1991-12-24 1991-12-24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261A KR940007663B1 (ko) 1991-12-24 1991-12-24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663B1 true KR940007663B1 (ko) 1994-08-22

Family

ID=1932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261A KR940007663B1 (ko) 1991-12-24 1991-12-24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66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527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sulated-gate type field effect transistor
JPH05326552A (ja) 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3244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13479A (ja) Misトランジスタ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20168828A1 (en) Method of reducing threshold voltage shifting of a gate
KR950008257B1 (ko) 모스(mo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940007663B1 (ko)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5747378A (en) Method of damage free doping for forming a dram memory cell
KR0170436B1 (ko) 모스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950008260B1 (ko) 엘디디 엔채널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331108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529157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145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4255233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16477A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190045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JP494051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0210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53340B1 (ko)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0140996B1 (ko) 자기정렬된 저도핑된 접합형성방법
JPS62273774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920009894B1 (ko) 고압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384878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1117066A (ja) Mos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70005147B1 (ko) 반도체 장치의 얕은 접합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