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089B1 -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 Google Patents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089B1
KR940007089B1 KR1019890020318A KR890020318A KR940007089B1 KR 940007089 B1 KR940007089 B1 KR 940007089B1 KR 1019890020318 A KR1019890020318 A KR 1019890020318A KR 890020318 A KR890020318 A KR 890020318A KR 940007089 B1 KR940007089 B1 KR 94000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
frame
horizontal member
auxiliary
perso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621A (ko
Inventor
플라워즈 마이클
Original Assignee
플라워즈 마이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워즈 마이클 filed Critical 플라워즈 마이클
Publication of KR90001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assembled from readily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06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only three wheels
    • B62D61/08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only three wheels with single front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6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quadricycle, e.g. by coupling together two bicycles side by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8Motor vehicles with short wheelbas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3륜 퍼스널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좌석유니트 및 조향핸들을 제거하고 제1도의 전면 및 후면프레임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3(a)도는 제1도의 전면프레임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3(b)도는 제1도의 후면프레임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조립된 제3(a)도와 제3(b)도의 전면 및 후면프레임부가 조립되고 전면프레임부와 잠금관계에서 선회되도록 적소에 놓여 있는 후면프레임부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헤드튜우브지주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3(a)도의 전면프레임부의 화살표 V방향에서 본단면도(端面圖).
제6(a)도는 보조프레임부를 도시한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제6(b)도는 제3(b)도와 유사한 후면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구동륜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6(a)도의 보조프레임부와 제6(b)도의 후면프레임부의 초기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조립상태에 있는 제6(a)도와 제6(b)도의 보조 및 후면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퍼스널차량 11 : 알루미늄 프레임
12 : 전면프레임부 13 : 후면프레임부
14 : 전륜 15 : 핸들바아
16 : 헤드튜우브 17 : 헤드튜우브지주
18 : 제어유닛 19 : 조향할 수 있는 조인트
20 : 구동륜 21 : 밀폐된직접구동축
23 : 축전지 22 : 전기모우터
24 : 시이트유닛 25 : 소켓
26 : U형프레임루우프 27 : 전면부
28 29 : 발산하는제로부재 30 : 가로부재
31 32 : 단부(ends) 33 : 피벗컵(pivot cups)
34 : 플로어팬 35 : 웨브(Web)
36 : 플랜지 37 : 노치(notches)
38 : 원통형돌기 39 : 잠금핀
40 : 당김루우프 41 : 전면가로부재
42 : 후면가로부재 43 : 중앙지지부재
44 : 피벗핀 45 : 평판스프링
46 : 브래킷 47 : 화살표
48 : 구멍 50 : 보조프레임부
51, 52 : 세로부재 53 : 단부
54 : U형 피벗컷 55 : 가로부재
56 : 노치 57 : 돌기
58 : 축비임 59 : 만곡된 아암
60 : 헤드튜우브 61 : 휘일
62 : 아암 63 : 타이로드
64 : L형 손잡이 65 : 프레임부재
66 : 발판
본 발명은 약간의 신체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하여 만들어지고 분리할 수 있는 동력유닛과 제어수단을가진 자주식 퍼스널차량(self-propelled personal vehicles)에 관한 것으로, 터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이 차량의 기동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어유닛에 대신하여 동력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보조유닛(Auxiliary unit)에 관한 것이다.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보행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더 넓은 이동범위와 더 큰 이동의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은 퍼스널 이동차량(small personal mobility vehicles)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차량의 한 형태는 전기축전지에 의하여 구동되는 1쌍의 후륜과, 조향할 수 있는 하나의 전륜 그리고 전후륜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놓인 시트유닛을 가진다. 이들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플랫폼의 어떤 형상위에 탑재된다. 이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의 혼자힘으로 이 차량을 멀리 운반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싣거나 층계를 오르기에는 이러한 퍼스널차량이 너무 무겁고 너무 부피가 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파스널이동차량을 유개트럭(van) 등에 싣기 위하여 시중드는 사람이나 구동리프트플랫폼과 같은 추가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3개의 휘일 즉 두개의 구동륜과 한개의 조향가능한 전륜을 가진 퍼스널 차량이 일반적으로 장애자에 의해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이들 차량이 소형화된 2륜의 골프마차와 같은 외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장애자가 이와 같은 3륜차량을 사용할때 휘일체어의 사용에 따른 어느정도의 사회적 불명예가 해소되게 된다.
그러나, 이들 3륜차량은 대부분 실외에서 사용하게 되어 있고 그들은 착석한 이용자의 발이 전륜의 후방으로 또는 전륜옆에 높이기에 충분한 길이의 휘일베이스(Wheel base)를 가지고 있다.
이같은 구조는 울퉁불퉁한 지형의 실외에서 운전할때 조차도 적당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반면, 길다란 차륜베이스가 집의 루움 사이의 이동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차량을 실내에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차량사용자가 화장실이나 침실과 같은 특수루움에 들어가기 위하여 제한된 구역내에서 민첩한 회전을 해야되는 복도를 가지는 집에서는 실내사용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3륜차의 전체길이와 한정된 기동성이 실제로 사용할때 사용자의 이동성을 실질적으로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차량을 자동차나 유개트럭 또는 어떤 다른 방법의 운반수단으로 퍼스널 이동차량의 조작지역에까지 쉽게 운반하기 위하여 그러한 차량들이 여러개의 부품으로 분리되도록 그들을 만드는 것이 제안되었다. 더나아가, 약간의 신체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으나 퍼스널차량의 부품을 조립하거나 분리하기에는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등에 의하여 그러한 차량이 분리되거나 조립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퍼스널차량의 분해된 부품들은 약간의 신체장애를 가진 환자는 고사하고 정상인이 예를 들면 자동차의 트렁크속에 그들을 적재하기 위하여 쉽게 처리하기에는 너무 무겁고 부피가 크다. 퍼스널차량의 부품 사이에 있는 연결부와 래치시스템이 안전하고 강하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할 목적으로, 이들 시스템은 처리하는데 오히려 더 복잡하고 더 까다롭게 되었다. 이들 시스템들을 단순화하기 위한시도가 여러번 이루어졌으나, 신뢰성이 없는 결과가 나왔다.
더나아가, 이런 차량의 조립 및 분리가 다른 장소로 차량의 운반을 쉽게 하는 동안,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조립된 차량은 콤팩트화가 부족하고 이방에서 저방으로의 이동과 같은 실내사용에 필요한 기동성은 떨어진다.
여러개의 부품으로 분리되고 연속해서 재차 조립될 수 있는 퍼스널 이동차량은 미합중국 특허 제4,757,863호, 제4,452,327호, 제4,570,739호, 제3,912,032호및 제4,750,57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종래 기술의 모든 차량은 상대적으로 연결 및 잠금구조가 복잡하고, 어떤 차량도 제한되지 않은 실내사용을 위하여 퍼스널 이동차량의 구동부품에 임시로 부착될 수 있는 보조휘일을 개시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실내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더 소형으로 그리고 더 기동성있는 차량으로 쉽게 개조할 수 있는 새롭고 개량된 퍼스널 이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이다.
쉽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는 2개의 프레임부를 가지는 퍼스널 이동차량을 위한 새롭고 개량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최소한의 물리적 힘으로 또 어떤 특별한 공구없이 프레임부가 쉽게 분해되고 조립되게 할 수 있는 여러개의 프레임부 사이에서의 새롭고 개량된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차량의 안정성에 어떤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휘일베이스를 많이 줄여서 차량의 기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 조향가능한 휘일과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는 구동부품을 가지는 퍼스널 이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퍼스널 이동차량은 그것의 전반부에 탑재된 조향가능한 전륜에 조작가능하게 연결된 조향컬럼을 가지는 전면프레임부를 포함한다. 후면프레임부는 휘일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모우터를 가지고 더나아가 모우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축전지와 시이트유닛을 포함한다. 연결된 전면 및 후면프레임부의 길이가 전면프레임부의 길이와 같게 될 정도로 전면프레임부의 후부내에 후면프레임부를 분리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전면프레임부의 후부와, 후면프레입부 위에 제공된다. 전면프레임부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조향가능한 휘일을 가지는 보조프레임부가 휘일베이스의 길이를 줄여서 한정된 구역내에서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후면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전면 및 후면프레임부 사이에서의 분리가능한 연결은 후면프레임부의 후단부에 가로로 뻗어있는 피벗핀을 세로로 수용하기 위하여 전면프레임부의 후단부위에 있는 한쌍의 피벗컵으로 이루어진다. 그다음 후면프레임부는 전면프레임부의 평면속으로 선회되어 적소에서 분리가능하게 잠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성들은 첨부도면과 함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실시예와 변형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퍼스널차량은 일반적으로 (10)으로 나타낸다. 이 차량은 제3(a)도와 제3(b)도에서 각각 더 상세하게 예시한 전면프레임부(12)와 후면프레임부(13)로 구성된 경량의 알루미늄 프레임(11)을 구비한다. 전면프레임부(12)는 헤드튜우브지주(17) 위에 탑재된 헤드튜우브(16) 속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탑재되는 핸들바아(15)에 의하여 조향할 수 있는 전륜(14)을 포함한다. 핸들바아(15)의 상단부는 전압계/연로게이지, 온-오프, 키이스위치 및 다이얼속도조절손잡이(dial-a-speed adjustment knob)를 포함하는 제어유닛(18)을 가진다. 핸들바아(15)는 또한 제어유닛(18)이 바람직한 높이까지 조정될 수 있게 하는 조정할 수 있는 조인트(19)를 가진다. 제3(b)도에서 더 상세하게 도시한 후면프레임부(13)는 축전지(23)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우터(22)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밀폐된 직접 구동축(21)의 단부에 탑재된 구동륜(20)을 포함한다. 선회가능한 시이트유닛(24)은 후면프레임부(13)로부터 직립하는 소켓(25) 속에 탑재된다. 또한, 후면프레임부는 도시하지 않은 내장된 축전지 충전기(bulit-inbattery charg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스널차량(1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부(12)와 후면프레임부(13)로 이루어지는 두개의 주요부품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다음 이들 프레임부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도록 핸들바아가 전면프레임부에서 분리되고 시이트유닛과 축전지는 후면프레임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차량의 분비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프레임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면프레임부(12)는 전면부(27)를 형성하는 프레임루우프와 1쌍의 약간 발산하는 제로부재(28) 및 (29)를 가지는 프레임루우프의 페쇄단부를 가진 U형 프레임루우프(26)를 포함한다. 가로부재(30)는 전면프레임부의 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것의 단부의 안쪽으로 세로부재(28)과 (29)를 연결한다.
세로부재(28)과 (29)는 각각 단부(31) 및 (32)를 가지고 그 단부위에 사실상 U형이고 세로방향으로 그리고 전면프레임부의 후부를 향하여 열려있는 가로로 뻗는 피벗컵(33)이 고착된다. U형 프레임루우프(26)는 사실상 직사각형 단면의 중공 알루미늄제 관형상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부재(30)와 헤드튜우브지주(17) 사이에 대략 뻗어 있는 전면프레임부의 중심부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루우프의 하면에 부착된 플로어팬(34)에 의해 덮혀진다.
가로부재(30)는 상방으로 열려있고 웨브(35)와 전면프레임부의 후부를 향하는 플랜지(36)를 가진 채널부재로 형성된다. 플랜지(36)에는 곧 설명될 방법으로 후면프레임부 위에 중앙지주부재를 그 속에 각각 수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다수개의 직사각형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가로부재(30)의 웨브(35)의 내면에는 상방으로 뻗은 원통형돌기(38)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당김루우프(40)를 가지는 잠금핀(locking pin)(39)을 수용하기 위하여 플랜지의 중앙부속에 1쌍의 대향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핀(39)은 그 자체가 구멍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스프링으로 가압된 압축가능한 멈춤쇠를 가지는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제3(b)도에 도시한 후면프레임부(13)는 다수개의 중앙지지부재(43)에 의하여 상호연결되는 전면 및 후면가로부재(41)과 (42)를 포함한다. 이들 부재 모두는 사각단면 알루미늄 튜우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쌍의 대향으로 배치된 피벗핀(44)은 후면가로부재(42)의 단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뻗어있다. 이들 피벗핀은 피벗컵(33) 속으로 선회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된 직접 구동축(21) 및 구동륜(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단부가 중앙지지부재(43)의 하면에 고정되는 1쌍의 평판스프링(45)에 의하여 후면가로부재(42)의 후방으로 탑재된다.
분해된 차량은 공구없이 순식간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후면프레임부(13)는 제4도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및 제8도에서 나타낸 위치로 접을 수 있는 백브래킷(46)을 포함하는 그 후부구조물 위에 세워진다. 그 다음 전면프레임부는 가로방향으로 뻗은 피벗핀(44)이 피벗컵(33) 속으로 수용될때까지 화살표(47) 방향으로 세로로 이동된다. 이러한 피벗컵(33) 속으로 가로핀의 위치결정은 전면 및 후면프레임부를 정확한 위치에 일직선 배치시킨다. 그다음 후면프레임은 전면가로부재(41)가 가로부재(30)내에 자리잡게 될때까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선회된다.
이와 같이 안착된 상태에서, 후면프레임부(13)의 중앙지지부재(43)가 웨브(35)내의 노치(37)속에 수용되고 가로부재(30)내의 돌기부(38)들은 후면프레임부의 전면가로부재(41)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곳에 위치가 정해진 해당구멍(48)속에 수용된다.
다음 잠금핀(39)은 전면가로부재(41)와 웨브(35)의 플랜지속의 해당구멍을 통과하여 그들의 적당한 위치에서 안전하게 프레임부를 잠금 고정시킨다. 시이트유닛과 축전지가 후면프레임에 다시 설치되고 정면프레임부 위에는 핸들바아가 놓이게 되어 차량은 작동준비가 완료된다. 전면 및 후면프레임부 사이의 상술한 연결부는 커어브나 다른 높은 언덕을 올라갈때의 충격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게 안정하고 강하게 조립된 프레임을 제공하게 된다. 후면프레임부가 전면프레임부의 후부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후면프레임부는 전면프레임부의 일체적인 일부분이 되어 차량의 완전히 조립된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차량은 가장 험한 지역에서 조차도 무한한 기동성을 제공한다.
어떤 조건하에서, 퍼스널차량의 사용자는 동력으로 구동되는 차량에 의해 제공된 기동성을 가지고 싶어하나, 거실 또는 호텔객실과 같은 실내에서 그러한 차량을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런조건하에서, 사용자는 두개의 조향가능한 전륜과 하나의 손잡이(tiller)를 가지는 더 짧은 보조프레임부를 후면프레임부에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이 차량을 더 콤팩트하고 더 짧은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보조프레임부는 차량의 휘일베이스를 충분히 감소시키고 일반적으로 (50)으로 나타내며 제6(a)도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보조프레임부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면프레임부 대신에 후면프레임부에 연결되도록 만들어진다. 보조프레임부(50)는 상술한 피벗컵(33)과 같은 U형 피벗컵(54)에 탑재되는 단부(53)을 가지는 1쌍의 제로로 뻗어 있는 세로부재(51)와 (52)를 포함한다. 보조프레임부의 앞부분은 전면프레임부의 가로부재(30)와 동일한 가로부재(55)이 의해 형성된다. 가로부재(55)는 상방으로 열려있고 하나의 플랜지부재에 다수개의 노치(56)가 형성됨과 동시에 채널부재의 웨브(Web)로부터 위로 뻗은 원통형돌기(57)가 다수개 형성된 채널부재로 이루어진다.
가로부재(55) 위에 그리고 앞방향으로 위치한 것은, 1쌍의 만곡된 아암(curved arm)(59)에 의하여 가로부재(55)에 부착된 축비임(58)이다.
축비임(58)의 탄부위에는, 캐스터휘일(castor wheels)과 유사하게 만들어진 휘일(61)이 선회 가능하게지지되는 헤드튜우브(60)가 있다. 아암(62)은 각 캐스터의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고 이들 아암은 타이로드(63)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휘일(61)의 조향은 휘일(61)에 연결된 축과 회전할 수 없게 결합된 헤드튜우브(60)중의 하나속으로 그 바닥단부가 삽입되는 L형 손잡이(64)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헤드튜우브(60)중의 어느 하나속에서 손잡이를 선회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휘일을 선회시키고 타이로드와 아암의 연결 때문에 다른 휘일이 따라서 선회하여 조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방으로 뻗은 프레임부재(65)가 설치되고 그 하단부에 발판(66)이 부착된다. 따라서, 착석한 사용자의 반이 차량의 기동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조향가능한 전륜의 전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퍼스널차량의 사용자가 제한되거나 한정된 공간내에서 기동성을 갖고자 할 때, 그는 보조프레임부(50)을 구동하는 후면프레임부(13)에 부착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진다. 후면프레임부에 보조프레임부의 부착은 전면 및 후면프레임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내용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후면프레임부(13)는 그 후부에서 세워지고 보조프레임부(50)는 후면프레임부의 피벗핀(44)이 피벗컵(54)내에서 선회적으로 수용될때까지 세로로 이동된다. 그다음, 후면프레임부는 전면가로부재(41)가 보조프레임부의 채널형 가로부재(55)내에 수용될때까지 피벗컵속에서 선회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중앙지지부재(43)은 가로부재(55)의 노치(56)속에 수용되고 전면가로부재(41)의 하부면(lower side)에 형성된 구멍(48)이 돌기(57) 위에 위치하게 되어 후면프레임부재에 보조프레임부재가 안전하고 강하게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보조프레임부재가 실내에서 또는 단지 제한된 이동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가로부재(55)에 후면프레임부재를 잠그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잠금핀(39)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이와 같은 잠금핀을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휘일베이스가 35% 짧아진 것으로 간주될때 4륜차량의 기동성이 증가한다고 하는 것은 명백하다. 제7도에 도시한4륜차량의 휘일베이스가 단지 18.75인치인 반면, 제1도에 도시한3륜차량의 휘일베이스는 29인치이다. 약 3분의 1가량 휘일베이스가 축소되었으므로 제한된 구역에서 쉽게 기동할 수 있는 콤팩트동력구동 차량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4륜차량이 실내 사용용으로 만들어졌으나, 이 차량은 안전하게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부위에 두개의 조향가능한 휘일의 사용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타이트(tight)한 회전을 이루는 동안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보조프레임부에 수직축 주위를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는 캐스터휘일을 부착하고 후면 또는 동력프레임 부위에서 구동하는 두개의 구동휘일의 각각에 개개의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방법에 의하여 기동성을 한층더 높일 수 있다.
구동륜이 차동기어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후륜의 정지는 극도의 타이트한 회전, 즉 정지된 휘일둘레를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캐스터는 종속장치 역할을 하고 하나의 정지된 휘일 주위의 회전에 응답하게 된다.
추가의 변형예로서, 파우어유닛위의 시이트는 구동륜이 차량의 전륜역할을 하도록 역전될 수 있다. 그때보조프레임부는 후면프레임으로서 작용하고 1개 또는 두개의 캐스터 또는 조향가능한 휘일을 구비한다. 캐스터를 사용하면, 구동륜이 조향을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정지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부위에 조향가능한 휘일을 사용하면, 조향하기 의하여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시이트의 바로앞에 있는 파우어유닛위에 수축가능한 하나의 휘일 또는 휘일들을 설치하여 3륜차량의 기동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 휘일은 워엄 또는 래칫 드라이브(ratchet drive)에 의하여 수축 또는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3륜차량을 4륜차량으로 개조하는 일없이 기동성을 얻기 위하여, 수축가능한 휘일은전륜(14)이 약 1인치정도 지상에서 상승되는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휘일베이스가 보조프레임부의 사용과 같은 정도로 사실상 효과적으로 축소된다.
수축가능한 휘일은 보조프레임부를 위하여 상기에 기술한 위치에 있는 손잡이에 의하여 조향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축가능한 휘일 또는 휘일들은 캐스터가 될 수 있고 조향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두개의 구동륜중 어느 하나의 선별적인 고정에 의하여 달설된다. 수직조정 각능한 로드형부재의 단부에 수축가능한 휘일 또는 휘일들을 탑재하고 이러한 부재는 휘일을 위로 수축시키거나 또는 휘일을 하방으로 연장시키는 것중 어느 하나를 하기 위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35% 정도로 휘일베이스를 줄이는 방법으로 기동성을 크게향상시킬 수 있는 개량된 퍼스널차량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차량은 그것의 두개의 프레임부 사이에서 단순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연결부를 가지고 후면프레임부와 함께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보조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동시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3륜 퍼스널 이동차량은 제7도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 콤팩트하고 기동성있는 4륜 퍼스널차량으로 개조될 수 있다. 두개의 프레임부 사이에서의 개량된 분리가능한 연결로 인하여 차량은 어떤 공구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쉽게 차량이 개조될 수있고 또한 차량 부품들이 상대적으로 가볍고 쉽게 취급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도움없이 사용자가 그러한 연결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4륜차량은 착석한 사용자가 측면 또는 옆쪽에 접근에 제한된 3륜차량의 탑승자와 비교할때, 워크스테이션(work station), 책상, 테이블, 싱크대, 화장실등의 구조물에 정면 접근이 가능하게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이다.
3륜차량에서, 사용자는 구조물이 차량의 옆으로 눌어선 또는 차량을 따라 나란히 놓여 있는 위치에서 또차량의 한면이 구조물을 대면하는 위치에서 차량을 정지시키고, 시이트를 풀고, 플로어팬으로부터 그의 다리를 빼내어, 시이트를 90°선회시켜야 하는데 이때에 사용자가 그의 발을 지지하지 않은채 차량의 한쪽에 그의 다리를 매단체 구조물을 향하도록 차량의 전면을 가로질러 그의 돔체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4륜차량의 점유자는 그의 좌석을 선회시키고 상기와 같은 행동을 할 필요가 없이 구조물에 쉽게 정면으로 접근할 수 있다.
차량의 이와 같은 조립의 편리성은 본 차량이 자동차 또는 다른 형태의 모우터 차량속에서 쉽게 목적지까지 수송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빠른 시간내에 3륜 또는 4륜차량으로 쉽게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이나 조건에 알맞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내에서의 그러한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후부(28, 29, 30)를 가지고 상기 후부의 전방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향가능한 전륜(14)을 가지는 전면프레임부(12)와, 구동륜(20)과 상기 구동륜(20)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 동력원(21, 22)을 가지는 후면프레임부(13)와, 상기 전면프레임부(12)의 상기 후부위에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부의 상기 후부내에 상기 후면프레임부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후면프레임부(13) 위에 있는 수단(33, 34)과, 조향가능한 휘일(61)을 가지고 상기 전면프레임부의 길이보다 더 적은 길이를 가지는 보조프레임부(50)와,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부가 분리된 후 상기 보조프레임부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부중의 하나가 상기 후면프레임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프레임부를 상기 후면프레임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프레임부위에 있는 수단(54, 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부는 후부(55, 51, 52)를 가지고, 상기 전면프레임부(12)와 상기 보조프레임부(50)의 각각은 후방으로 뻗어 있고 후단부를 가지는 한쌍의 간격이 떨어진 세로프레임부재(28, 29, 51, 52)와 상기 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각쌍의 프레임부재의 후단부의 안쪽에 있는 제1가로부재(30, 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부와 상기 보조프레임부의 각각 위에 있는 상기 분리가능한 수단(33, 54)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연결수단은 상기 전면프레임부와 상기 보조프레임부중의 하나의 후부위에 상기 후면프레임부를 선회시키기 의한 수단(44)과 상기 전면프레임부 또는 상기 보조프레임부의 후부내에 상기 후면프레임부를 잠그기 위한 수단(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부(50)는 후단부를 가지고 상기 분리가능한 연결수단(54)은 상기후단부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연결수단(33, 54, 44)은 상기 프레임부재(28, 29, 51, 52)의 상기 후단부와 상기 후면프레임부(13) 사이의 피벗연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부(12) 또는 상기 보조프레임부(50)중의 하나의 상기 후부와 연결된 관계로 상기 후면프레임부(13)를 위치결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가로부재(30, 55) 위에 있는 수단(37, 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부(12)와 상기 보조프레임부(50)중의 하나와 연결된 관계로 위치가 정해진 후면프레임부(13)를 잠그기 위한 수단(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래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28, 29, 51, 52)의 상기 후단부의 각가 위에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부(12)와 보조프레임부(50)의 각각 후방으로 열려 있는 U형 피벗컵(33, 54)과,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부(13)의 후부에 있고 상기 피벗컵(33, 54)내에 선회적으로 수용되는 한쌍의 가로 피벗핀(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부(13)는 그 후부에 제2가로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핀(44)은 상기 제2가로부재(42)의 단부에서 밖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11. 제7항에 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부(13)는 그것의 전방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3가로부재(41)와,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부(13)와 상기 전면프레임부(12) 또는 상기 보조프레임부(50)중의 하나가 연결된 관계에 있을때 상기 제3가로부재(41)를 상기 제1가로부재(30, 55)에 잠그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12. 제11항에 있어시, 상기 제1가로부재(30, 55)는 상기 후면프레임부(13)의 상기 제3가로부재(41)를 수용하기 위하여 위쪽으로 열리있는 채널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부(13)는 그 후부에 제2가로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핀(44)은 상기 제2가로부재(42)의 단부에서 밖으로 뻗어 있고, 상기 후면프레임부(13)는 상기 제2 및 제3가로부재(41, 42) 사이에서 세로로 뻗어 있는 다수개의 중앙지지부재(43)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프레임부(13)와 상기 전면프레임부(12) 또는 보조프레임부(50)중의 하나가 연결된 관계에 있을때 다수개의 상기 중앙지지부재(43)에 대응하고 상기 중앙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상기 채널형 제1가로부재(30)의 플랜지(36)내에 다수개의 노치(37)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형 제1가로부재(30)의 웨브(35)내에 다수개의 직립돌기(38)가 있고, 상기 후면프레임부의 상기 전방의 제3가로부재(41)는 상기 전면프레임부(12) 또는 상기 보조프레임부(50)중의 하나에 대하여 상기 후면프레임부(13)를 위치결정시킬 목적으로 상기 돌기(38)와 바르게 끼워 맞추기 위하여 그속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구멍(48)을 가진 하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부(12)와 상기 보조프레임부(50)중의 하나의 상기 제1가로부재(30, 55) 위에 상기 후면프레임부(13)를 적소에 잠그기 위한 수단(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부(12)는 전방부를 가지고 상기 조향가능한 휘일(14)은 상기 전반부위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KR1019890020318A 1989-01-13 1989-12-30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KR940007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96,806 US4909525A (en) 1989-01-13 1989-01-13 Convertible personal vehicle having a take-apart frame
US296,806 1989-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621A KR900011621A (ko) 1990-08-01
KR940007089B1 true KR940007089B1 (ko) 1994-08-05

Family

ID=2314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318A KR940007089B1 (ko) 1989-01-13 1989-12-30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909525A (ko)
JP (1) JPH02195957A (ko)
KR (1) KR940007089B1 (ko)
AU (1) AU611022B2 (ko)
BR (1) BR9000137A (ko)
CA (1) CA1301664C (ko)
CH (1) CH682302A5 (ko)
DE (1) DE3918001C2 (ko)
ES (1) ES2015672A6 (ko)
FR (1) FR2642721B1 (ko)
GB (1) GB2226996B (ko)
IT (1) IT1238051B (ko)
NL (1) NL193529C (ko)
PT (1) PT90754B (ko)
SE (1) SE50951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4372A (en) * 1989-11-20 1991-12-24 Fortress Scientific Limited Knock down motorized three-wheeled vehicle
US5318144A (en) * 1990-05-03 1994-06-07 Assembled Systems, Inc. Personal mobility vehicle
US5240086A (en) * 1992-05-08 1993-08-31 Electric Mobility Corp. Removable drive train from frame of a personal vehicle
JP2948982B2 (ja) * 1992-05-15 1999-09-13 株式会社クボタ 小型電動車
US5695021A (en) * 1993-11-12 1997-12-09 Pride Health Care, Inc. Electrically-powered scooter for personal transport
US6561294B1 (en) * 1995-02-03 2003-05-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Balancing vehicle with passive pivotable support
US6186252B1 (en) 1996-07-03 2001-02-13 Pride Mobility Products, Corporation Foldable midwheel drive power chair
US6129165A (en) 1996-07-03 2000-10-10 Pride Mobility Products, Corporation Curb-climbing power wheelchair
US6170592B1 (en) * 1999-06-09 2001-01-09 Donald P. H. Wu Detachable framework for an electric cart
EP1145945B1 (de) * 2000-04-13 2004-10-20 Josef Fischer Dreiradkraftwagen
US6530445B1 (en) * 2000-05-12 2003-03-11 Electric Mobility Corporation Variable wheelbase personal mobility vehicle
US6530446B1 (en) * 2001-10-15 2003-03-11 Samuel Lin Separable frame for an electric scooter
AU2002363218A1 (en) 2001-10-26 2003-05-12 Electric Mobility Corporation Foldable personal mobility vehicle
US7125080B1 (en) 2002-10-23 2006-10-24 Electric Mobility Corporation Foldable armrest for chair
ATE322419T1 (de) * 2003-01-21 2006-04-15 Kwang Yang Motor Co Halterahmen für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 radfahrzeuge
US6896084B2 (en) * 2003-05-23 2005-05-24 Chiu Hsiang Lo Wheeled vehicle having a detachable rear frame
US7243746B1 (en) 2003-06-09 2007-07-17 Abraham Vasant Recreational electric vehicle
US7967095B2 (en) 2003-10-08 2011-06-28 Pride Mobility Products Corporation Collapsible vehicle
GB2407075B (en) * 2003-10-13 2007-06-06 Sunrise Medical Ltd Personal mobility vehicle having releasably connected frame parts
US7044249B2 (en) * 2003-12-30 2006-05-16 Ju-Yu Fan Connecting structure of front and rear frame parts of a cart for people to ride on
EP1773646A2 (en) * 2004-01-09 2007-04-18 Electric Mobility Corporation Vehicle with improved turning
US20060260852A1 (en) * 2004-11-02 2006-11-23 Pihsiang Machinery Co., Ltd. Quick-release mechanism for an electric cart
US20060249322A1 (en) * 2005-05-09 2006-11-09 Maki Sole S Handiwheeler
DE102005025563A1 (de) * 2005-06-01 2006-12-07 Giant Mfg. Co., Ltd., Tachia Motorgetriebenes Fahrzeug mit einem Fahrzeugrahmen und einer Antriebsvorrichtung, die lösbar miteinander verbunden sind
US20070045021A1 (en) * 2005-08-29 2007-03-01 Greig Mark E Steering for a maneuverable motorized personally operated vehicle
US20070045022A1 (en) * 2005-08-29 2007-03-01 Greig Mark E Traction control in a maneuverable motorized personally operated vehicle
US20070045014A1 (en) * 2005-08-29 2007-03-01 Greig Mark E Maneuverable motorized personally operated vehicle
US20070063502A1 (en) * 2005-08-29 2007-03-22 Greig Mark E Steering ratio mechanism for a maneuverable motorized personally operated vehicle
US7401675B2 (en) * 2005-10-18 2008-07-22 Chienti Enteprise Co., Ltd. Detachable vehicle body that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rapidly
US8113305B1 (en) * 2008-05-22 2012-02-14 Flowers Ip Llc Powered patient transport vehicle
DE102009023919A1 (de) 2009-06-04 2010-12-16 Hts Hochtechnologie Systeme Gmbh Elektrisch betriebenes Personenfahrzeug
US8167074B1 (en) * 2010-03-17 2012-05-01 Joseph Tsiyoni Three-wheel, driver's stand-up, portable, leverless vehicle, with foot brake lever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f
CN102743262B (zh) * 2012-07-17 2015-03-25 詹伟(上海)机电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老年代步车
GB2514366B (en) * 2013-05-21 2017-04-26 Chan Shu-Chen Frame apparatus for lightweight rollator
US9302723B1 (en) * 2015-02-19 2016-04-05 Resort Vehicles, Inc. Interchangeable power train system for electric powered vehicles
CN105818900B (zh) * 2016-04-29 2018-07-06 无锡港盛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电动车脚踏板的伸缩装置
JP6924680B2 (ja) * 2017-11-28 2021-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椅子
US10864958B2 (en) * 2018-01-16 2020-12-15 Jeffrey Schneider Multi-use, three-wheel, portable, quick assemble, disassemble vehicle method thereof
DE102021004436A1 (de) * 2021-09-01 2023-03-02 Torsten Fette Elektrisches Transportmittel mit einer Vorrichtung zur Lastenaufnah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973C (ko) *
US3610358A (en) * 1969-07-23 1971-10-05 Walter H Korff Cycle car
US3799283A (en) * 1972-07-03 1974-03-26 Marquette Tool And Die Co Go-cart and frame therefor
US3912032A (en) * 1973-11-26 1975-10-14 Benz Vehicle Corp Wheelchair-attachable powered unit
GB1505078A (en) * 1974-07-12 1978-03-22 Braune R Vehicle chassis structures
GB2036670B (en) * 1978-11-28 1982-10-13 Kurs P Invalid carriage
JPS55144190U (ko) * 1979-04-05 1980-10-16
CA1115642A (en) * 1980-11-06 1982-01-05 H. Michael Doman Motorized vehicle
US4503925A (en) * 1983-06-13 1985-03-12 Amigo Sales, Inc. Detachable steerable power unit for occupant-propelled wheelchairs
GB2141392B (en) * 1983-06-17 1986-08-06 Alan Edward Selby Removable fore-carriage for a motor cycle
DE3322586C1 (de) * 1983-06-23 1985-01-31 Tünkers Maschinenbau GmbH, 4030 Ratingen Behindertenrollstuhl
US4570739B1 (en) * 1983-09-29 1994-04-19 Burke Inc Personal mobility vehicle
US4613151A (en) * 1984-02-16 1986-09-23 Kielczewski William J High/low extension-lift power wheelchair
US4641720A (en) * 1985-03-08 1987-02-10 Young Alva L Motorized wheel chair
US4666008A (en) * 1986-03-17 1987-05-19 Amigo Sal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ng steerable powered vehicles for the handicapped to outdoor travel
US4708219A (en) * 1986-05-09 1987-11-24 Cresswell Thomas A Disassemblable sulky for attachment to a steerable front wheel assembly condition
US4757868A (en) * 1986-05-09 1988-07-19 Cresswell Thomas A Disassemblable vehicle for attachment to a powered, steerable front wheel and components for rigidly holding the vehicle in assembled condition
US4750578A (en) * 1987-01-12 1988-06-14 Brandenfels Carl W Dismantlable and collapsible utility cart
JPH0445701Y2 (ko) * 1987-11-24 1992-10-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15672A6 (es) 1990-09-01
GB8910748D0 (en) 1989-06-28
IT1238051B (it) 1993-06-23
SE8901928L (sv) 1990-07-14
GB2226996B (en) 1992-12-23
PT90754B (pt) 1995-12-29
NL193529C (nl) 2000-01-04
GB2226996A (en) 1990-07-18
FR2642721B1 (fr) 1994-02-11
NL193529B (nl) 1999-09-01
BR9000137A (pt) 1990-10-23
PT90754A (pt) 1990-07-31
IT8983429A0 (it) 1989-06-19
NL8902514A (nl) 1990-08-01
SE8901928D0 (sv) 1989-05-30
DE3918001A1 (de) 1990-07-26
DE3918001C2 (de) 1995-11-09
CA1301664C (en) 1992-05-26
JPH0374578B2 (ko) 1991-11-27
SE509510C2 (sv) 1999-02-01
KR900011621A (ko) 1990-08-01
CH682302A5 (ko) 1993-08-31
FR2642721A1 (fr) 1990-08-10
AU611022B2 (en) 1991-05-30
JPH02195957A (ja) 1990-08-02
US4909525A (en) 1990-03-20
AU3459589A (en) 199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089B1 (ko)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US11058593B2 (en) Mobility device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US6338493B1 (en) Walker chair
US7451848B2 (en) Foldable personal mobility vehicle
US6161860A (en) Collapsible and convertible walker for disabled persons
US20050156395A1 (en) Rolling walker with arm rest platforms
US4239248A (en) Collapsible walker
US7021640B2 (en) Wheelchair and wheel mounting assembly therefore
US6412795B1 (en) Assembly of nestable wheelchairs and wheelchair for use in such an assembly
US4770467A (en) Footrest unit for wheelchairs
US3017199A (en) Wheelchair steering arrangement
US20090179399A1 (en) Sitting Orthopedic Mobility Scooter
US7125080B1 (en) Foldable armrest for chair
US5927730A (en) Scooter cart
WO2022224238A1 (en) Scooter convertible to push-cart
JP4147569B2 (ja) 車椅子
US20240092448A1 (en) Scooter convertible to push-cart
US20040036258A1 (en) Wheelchair
JPH0123455Y2 (ko)
CA2265191A1 (en) Collapsible and convertible walker for disabled pers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