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864A -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864A
KR940006864A KR1019930016643A KR930016643A KR940006864A KR 940006864 A KR940006864 A KR 940006864A KR 1019930016643 A KR1019930016643 A KR 1019930016643A KR 930016643 A KR930016643 A KR 930016643A KR 940006864 A KR940006864 A KR 94000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blowers
air supply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49683B1 (ko
Inventor
하루오 히라까와
신이찌로우 이시까와
스미오 오꾸노
모리시게 하또리
마사까즈 마쯔모도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403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410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4000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목적:
차량의 고속화에 따라, 터널내 주행중에 생기는 차내의 압력변동을 억제하여 승객이 받는 귀막힘 감을 방지한다.
구성:
급기용 송풍기(2)와, 배기용 송풍기(3)와, 그 2개의 송풍기의 송풍특성을 변화시키는 인버터(5)와, 통풍저항을 변화시키는 유로저항 가변장치(6,7)와, 터널의 유무를 검지하는 터널검지기(9)와, 차내압력을 검지하는 차내압 검지기(10)와, 상기 터널검지기(9) 및 차내검지기(10)로부터의 검지결과에 따라 상기 급기용 송풍기(2)와, 배기용 송풍기(3)의 운전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제어지령과, 상기 유로저항 가변장치(6,7)의 통풍저항을 변화시키는 제어지령을, 상기 인버터(5) 및 유로저항 가변장치(6,7)에 출력하는 제어기(13)로 구성된다.
선택도: 제1도

Description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차량용 환기장치의 공기경로와 구성부품을 나타낸 도,
제2도는 제1도의 환기장치의 환기용 덕트 경로 및 공조장치의 공조용 덕트 경로를 나타낸, 차량의 측면에서 본 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유로저항 가변수단의 사시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제3도의 유로저항 가변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laims (21)

  1. 차밖의 공기를 차내로 흡입하는 급기용 송풍기와, 차내의 공기를 차밖으로 배출하는 배기용 송풍기를 구비한 철도차량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상기 배기용 송풍기(3,203)는 각각의 송풍압력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상기 배기용 송풍기(3,203)의 송풍압력을 제어하는 송풍기 제어수단(5,5a,5b)과, 차량의 터널에 돌입하는 상태를 검지하는 터널 검지수단(9)과,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에 접속된 각각의 공기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각 공기유로의 유로저항을 변화시키는 유로 저항 가변수단(6,7)과, 상기 터널검지기(9)로부터의 제어입력에 따라,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송풍압력을 상승시키는 제어출력을 상기 송풍기 제어수단(5,5a,5b)에 출력하고, 또한 유로저항을 증대시키는 제어지령을 상기 유로저항 가변수단(6,7)에 출력하는 제어기(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내압력을 검지하는 차내압력 검지수단(1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13)는 상기 차내압검지수단(10)으로부터의 제어입력에 따라 차내압력의 변화에 비례하여 유로저항을 증대시키는 제어출력을 상기 유로저항 가변수단(6,7)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3)는 차내압 검지수단(10)으로부터의 제어입력에 의하여, 차내압력의 정압측으로의 변화에 비례하여 유로저항을 증대시키는 제어출력을 급기측의 유로저항 가변수단(6)에 출력하고, 차내 압력의 부압측으로의 변화에 비례하여 유로저항을 증대시키는 제어출력을 배기측의 유로저항 가변수단(7)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저항 가변수(6,7)은 상기 각 송풍기(2,202, 3,203)에 연결된 덕트내에 설치되고, 그 덕트의 유로면적을 감소시키는 유로 쓰로틀 수단(19,2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쓰로틀 수단(19)은, 상기 각 송풍기(2,202, 3,203)에 연결된 덕트내에 설치되는 쓰로틀판(21a,21b,31a,31b) 및 폐쇄판(22a,22b,32a,32b)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쓰로틀판(21a,21b,31a,32b)은 덕트의 공기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그 쓰로틀판(21a,21b,31a,31b)에는 개구부 (R0,R1,S0,S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판(22a,22b,32a,32b)는 상기 쓰로틀판의 개구부(R0,R1,S0,S1)를 폐쇄하도록 상기 쓰로틀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판(21a,21b,31a,31b)은 큰 개구부(R0,S0)와 작은 개구부(R1,S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폐쇄판(22a,22b,32a,32b)은 상기 쓰로틀판의 대소의 개구부의 한쪽을 폐쇄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판(31a,31b)은 회전축을 가지고 있고, 그 회전축의 주위에 대소의 개구부(R0,R1,S0,S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판(32a,32b)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쓰로틀판(31a,31b)과 폐쇄판(22a,22b,32a,32b)을 조합하여 덕트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복수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저항 가변수단(6,6)은, 상기 각 송풍기에 연결된 덕트내에 설치되고, 그 덕트의 공기흐름의 방향을 바꾸는 편류수단(20,22a,22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류수단은, 덕트내에 설치되는 편류판(20)과 그 편류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폐쇄판(22a,22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저항 가변수단은 덕트내에 공기 흐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또한, 그 덕트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날개(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는 공조장치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고, 그 공조장치의 동작상태를 검출하는 공조상태 검지수단(11)을 구비하고, 상기 급기용 송풍기(2)의 토출측 공기유로와 상기 배기용 송풍기(3)의 흡입측 공기유로를 연결한 바이패스 유로(5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55)에 개방밸브(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기(13)는, 공조상태 검지수단(11)의 검지결과를 제어입력으로 하여, 터널내 주행시에 있어서 공조장치가 냉방운전일때에 개방제어 지령을 상기 개방밸브(8)에 지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는, 공조장치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공조장치의 급전압의 저하를 검지하는 저전압 검지수단(1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기(13)는, 상기 저전압 검지수단(12)의 검지결과를 제어입력으로 하여, 공조장치에의 급전압이 저하했을 때에, 상기 급기용 송풍기(2) 및 배기용 송풍기(3)의 송풍압력을 저하시키는 제어출력을 상기 송풍제어수단(5)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에 차밖의 공기를 도입하는 덕트의 공기유입부를, 차체의 주행풍을 도입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배기용 송풍기(2)로 부터의 공기를 차밖으로 인도하는 덕트의 공기토출부를 차체의 주행풍 도입 가능한 위치에 배치한 철도차량용 환기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 및 배기용 송풍기(3)는 적어도 1개의 전동기(4)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고, 상기 송풍기 제어수단(5)은 상기 제어기(13)으로부터의 제어지령에 의하여 상기 전동기(4)를 제어하는 인버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 및 배기용 송풍기(3)는 각각에 설치된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고, 상기 송풍기 제어수단(5a,5b)은 상기 제어기(13)로부터의 제어지령에 의하여 각각 대응하는 전동기를 제어하는 2개의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7. 차밖의 공기를 차내로 흡입하는 급기용 송풍기와, 차내의 공기를 차밖으로 배출하는 배기용 송풍기를 구비한 철도차량용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터널에 돌입하는 상태를 에견하는 단계와, 차량의 터널내 돌입이전에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송풍압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공기유로의 유로저항을 증대시키는 단계와, 차량의 터널을 통과한 후에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송풍압력을 복귀시키고,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공기유로의 유로저항을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공기유로의 유로저항을 증대시킨후,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송풍압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송풍압력의 복귀가 완료된 후,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 및 배기용 송풍기(3,203)의 공기유로의 유로저항을 복귀시키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차내의 압력변도을 검지하여 표준압력과 비교하여, 차내압력이 표준압력보다도 하강 경향일때에 상기 배기용 송풍기(3,203)의 유로저항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차내의 압력변도을 검지하여 표준압력과 비교하여, 차내압력이 표준압력 보다도 하강 경향일때에 상기 급기용 송풍기(2,202)의 송풍압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16643A 1992-09-09 1993-08-26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49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40377 1992-09-09
JP4240377A JP2894104B2 (ja) 1992-09-09 1992-09-09 車両用換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864A true KR940006864A (ko) 1994-04-25
KR0149683B1 KR0149683B1 (ko) 1998-10-15

Family

ID=1705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643A KR0149683B1 (ko) 1992-09-09 1993-08-26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49683B1 (ko)
TW (1) TW3165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70B1 (ko) * 2006-08-30 2007-10-09 주식회사 로템 허니컴 적용 대각형 에어컨 덕트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268B1 (ko) 2022-12-09 2024-03-25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환기시스템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70B1 (ko) * 2006-08-30 2007-10-09 주식회사 로템 허니컴 적용 대각형 에어컨 덕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9683B1 (ko) 1998-10-15
TW316563U (en) 199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7822A (ja) 車両における再循環空気と新鮮な空気との混合物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CN102917895A (zh) 车辆用空气调节器
WO2019138735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3328985B2 (ja) 空気調和装置
US20160229265A1 (en) Vehicle speed induced ventilation for motor vehicle
KR940006864A (ko) 철도차량용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065690A (ja) 自走車用の環境試験装置
US4566373A (en) Ventilation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or the like
JPH09269281A (ja) 自走車用の環境試験装置
JP3021108B2 (ja) 鉄道車両用換気装置
JP200500153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206166B2 (ja) 鉄道車両用換気装置
JPH0914213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322441B2 (ja) 車両用換気装置
JP509894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16744B1 (ko) 버스의 측면 환기 구조
JPS63315365A (ja) 車両用換気装置
JPS6238169B2 (ko)
JP2002103942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空調方法
JPS6364814A (ja)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287677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786301B2 (ja) 車両用換気装置
JPH05201240A (ja) 自動車の室内換気構造
JPH1019394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22007294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