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30B1 - 자기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30B1
KR940006730B1 KR1019910000792A KR910000792A KR940006730B1 KR 940006730 B1 KR940006730 B1 KR 940006730B1 KR 1019910000792 A KR1019910000792 A KR 1019910000792A KR 910000792 A KR910000792 A KR 910000792A KR 940006730 B1 KR940006730 B1 KR 94000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ignal
digital data
area
magnetic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873A (ko
Inventor
아쯔시 요시오까
이와오 아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1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37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with temporary storage before final recording, e.g. in a frame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sound signal being pulse code modulated and recorded in time division multiplex with the modulated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의 기록예의 1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기록계에서의 회전드럼, 그것에 장착된 자기헤드, 가이드롤러 및 자기테이프를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자기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패턴, 즉 기록트랙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49 : 스위치 108 : 메모리
159 : D/A 변환기 3,161,162 : 논리회로
147 : 문자삽입회로 134 : 캡스턴 서보회로.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장치, 예를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같은 장치에서 연속하는 움직임 화상과 1화면마다의 정지화면의 양쪽을 녹화가능하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8밀리 비디오라 불리우는 VTR에서는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트랙에 2헤드 헬리컬 주사에 의한 통상의 움직임 화상 아날로그 기록 영역이외에 그 트랙 연장상에(통칭) 오버랩 기록영역을 갖는다. 이것은 회전 헤드드럼에 자기테이프를 220°정도 감는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통상은 음성 PCM 신호가 기록된다.
이것에 대하여 같은 오버랩 기록영역에 1화면(1프레임 또는 1필드)의 정지화면을 디지탈 기록하고자 하는 제안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62-33367호에 기술되어 있다.
기능적으로는 카메라 일체형 VTR에 통상의 움직임 화상 아날로그 기록기능 이외에 디지탈 전자 스틸 카메라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다.
통상의 움직임 화상기록을 실행한 것을 재생시 스틸동작을 걸어서 정지화상으로한 경우에 비해 디지탈 녹화이므로 기록재생과정에서의 화질의 저하는 거의 없다. 또,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서의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2라인의 신호를 동시에 리드하면, 수직해상도의 저하 및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한 희미함의 발생이라는 문제도 없다. 이때문에 정지화상으로서의 화질은 충분한 것이 얻어진다. 비디오 프린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는 스틸 카메라와 카메라 일체형 VTR(캠코더)의 양쪽을 갖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움직임 화상촬영중에 사용자의 누름버튼 조작등에 의해 자기테이프상에서는 랜덤으로 1커트분의 정지화상 데이타가 기록되게 된다.
재생시에는 정지화상이 어디에 들어가 있는가는 알고 있지 않으므로, 텔레비전 세트상 또는 프린터 용지에 출력하고자 해도 장소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요한다. 또, 사용자가 1대의 텔레비전 세트를 사용해서 움직임 화상만 또는 정지화상만 또는 그 양쪽을 보고자 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 되는가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된 것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시 사용의 편리가 향상되고, 사용자로서 조작상의 불편함이 없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회전드럼, 이 회전드럼에 장착된 자기헤드, 이 자기헤드를 회전드럼주위에 180도를 넘는 각도로 감도록 주행시키는 기구,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에 따르는 기록트랙중의 제1영역에 움직임 화상신호와 이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회로, 상기 기록트랙중의 제2영역에 1프레임 또는 1필드에 대응하는 1커트 정지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는 회로, 움직임 화상신호를 재생하는 회로,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회로, 정지화상신호를 재생하는 회로,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가 정지화상 1커트분 재생된 것을 검출하는 회로, 화상을 모니터하는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며 자기테이프의 재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 및 논리회로로 이루어지고,상기 논리회로는 검출회로의 출력에 따라 재생신호 출력을 움직임 화상에서 정지화상으로 전환하는 명령과정지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개시위치 근방까지 자기테이프를 되돌려 감아서 자기테이프를 정지시키는 명령을 생성하며, 또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재생신호 출력을 정지화상에서 움직임 화상으로 전환하는 명령과 자기테이프를 재차 움직임 화상신호 재생을 위한 통상의 주행속도에서 주행시키는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로 재생시의 동작에 관한 것이지만, 우선 전제로 되는 기록시의 동작을 제2로 내지 제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메라 일체형 VTR의 기록측의 회로 블럭도이다.여기서 VTR부는 8밀리 비디오 규격에 의한 것을 전제로 한다.
우선 카메라부에 대하여 기술한다. 여기서는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이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의 생성, 컬러 인코딩등의 처리를 디지탈 처리로 실행하는 것을 예로하고 있지만 이것을 1예로서, 아날로그 처리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렌즈경통(103)을 통과한 광은 고체촬상소자(104)상에 광학상을 결상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수광면의 수직방향에는 주사선수(NTSC에서는 525개)에 대응한수, 수평방향에는 1라인당의 화소수에 대응한수의 포트다이오드가 나란히 하고 있다. 그 출력은 A/D 변환기(105)에 입력되어 디지탈 영상 신호로 된다. 여기서는 1예로서 표본화주파수 4fsc(fsc는 색 부반송파 주파수로
Figure kpo00001
) 양자화 비트수 8비트의 신호로 한다. A/D 변환기(105)의 출력은 인코더 회로(106)에 부여되어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의 생성, 2색차 부반송파 변조등의 처리가 디지탈처리로 실행된다. 그후 D/A 변환기(107), 프레임(또는필드) 메모리(108)에 부여된다.
D/A 변환기(107)의 출력은 NTSC 등의 규격에 따른 아날로그 영상신호로서, VTR의 휘도신호 기록회로(116), 색도신호 기록회로(115)에 부여된다. 또, 스위치(110)을 거쳐서 뷰파인더(112)에도 부여되어 촬상중의 움직임 화상을 나타낸다. 또한, 스위치(110)은 VTR부가 정지 또는 기록상태에 있을때에는 도시한 방향 (
Figure kpo00002
측)으로, 재생상태에 있을때에는 반대방향(PB측)으로 접속된다. 후자의 경우 입력단자(111)에서의 VTR부의 재생영상 신호를 뷰파인더(112)에 부여한다.
프레임(또는 필드) 메모리(108)에는 장치의 외부에 부착된 1쇼트의 스위치(109)에 의해 발생되는 논리회로도 접속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정지화상을 녹화(상기 오버랩 기록)하는 순간을 지정하는 것이다. 스위치(109)을 누른후, 최초의 1프레임(또는 필드)의 데이타가 메모리(108)에 정지화상 정보로서 기억된다. 리드시는 1예로서 후술하는 음성신호의 표본화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 2fH로 리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정지화상 데이타를 입력하는 경우 ]필드만의 촬상이면 문제없지만, 1프레임 촬상하는 경우는 비월주사에 따르는 움직이는 물체의 희미함이 문제로 된다. 그 경우는 고체촬상소자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2라인중에 있는 포트다이오드의 신호를 동일 수평주사기간내에 동시에 리드하는 것에 의해 1프레임분의 신호를 1필드 기간내에 추출하여 나중에 비월한 2필드분의 신호로서 재구성하는 방법을 취하면 좋다.
또한, 앞서의 스위치(109)의 출력을 뷰파인더(112)에도 부여하여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순간을 문자 또는 램프로 표시하면 편리하다.
마이크로폰(101)에서 집음된 음성신호는 마이크로폰 앰프(102)에서 증폭되어 VTR의 잡음제거회로(113)에 부여된다.
다음에 VTR부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선 잡음제거회로(113)에 가해진 음성신호는 비선형의 교역강조특성이 부여된후 음성신호 기록회로(114)와 A/D 변환기(117)에 부여된다. 전자에서는 1.5MHz 부근에 반송주파수를 갖는 음성 FM 변조신호로 된후 가산기(125A)의 한쪽끝에 가해진다. 후자에서는 예를들면 표본화주파수 2fH(fH는 수평동기주파수로
Figure kpo00003
) 양자화 비트수 8비트(실제는 10비트로 양자화한후 8비트로 압축한다)의 디지탈 음성신호로 되어 스위치(118)의 한쪽끝에 가해진다.
앞서의 D/A 변환기(107)의 출력 아날로그 영상신호중 휘도신호성분은 휘도신호 기록회로(116)에서, 예를들면 5MHz 부근에 반송주파수를 갖는 휘도 FM 변조신호로 되고, 그 색도신호 성분은 색도신호 기록회로(115)에서 부반송파 주파수를 47.25fH부근으로 저역변환되어 각각 가산기(125A)의 한쪽끝에 가해진다.
파일럿 신호 발생회로(124)에서는 휘도신호 기록회로(116)에서 분리된 동기신호와 후술하는 회전 헤드드럼의 회전위상을 나타내는 택펄스를 기본으로 1필드마다 6.5fH, 7.5fH, 10.5fH, 9.5fH의 순으로 순환적으로 주파수가 전환되는 파일럿 신호가 발생되어 가산기(125A)의 나머지 한쪽끝에 가해진다. 이것은 재생시의 트래킹 제어용의 신호이다.
가산기(125A)에서 주파수 다중된 이상의 4신호는 스위치(126)의 한쪽끝에 가해진다.
다음에 스위치(118)은 장치의 외부에서 전환가능한 쌍안정 스위치(119)의 위치에 따라서 전환된다. 스위치(119)는 사용자가 상기 오버랩 기록부에 음성 PCM 신호를 기록하는가, 정지화상을 디지탈 기록하는가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후자만을 오버랩 기록하는 것을 전재로한 장치에서는 A/D 변환기(117), 스위치(118),(119)를 제거하여 메모리(108)의 출력을 데이타부가 회로(120)에 직결한다.
데이타 부가회로(120)에서는 데이타의 어드레스 정보 ID코드(음성인가 정지화상인가의 판별코드등), 재생시의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코드가 부가된후, 일단 버퍼 메모리(121)에 기억된다. 리드할때 오버랩부에 기록할 수 있는 간헐신호로 되도록 시간축 압축된다. 그후 병직렬 변환회로(122)에서 8비트의 병렬 데이타가 직렬 데이타로 되어 재생시의 에러 검출을 위한 CRC 부호를 붙인후 PCM 변조회로(123)에서 바이페이즈 마크라 불리우는 전송로부호로 된다. 또, 가산기(125B)에서 파일럿 신호를 가산한후 스위치(126)의 나머지 한쪽끝에 가해진다.
스위치(126)의 출력은 기록증폭기(127)을 거쳐서 기록헤드(135)(실제는 2개)에 의해 자기테이프(136)에 기록된다.
기록헤드(135)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어 있다. 이것은 드럼모터(129)로 회전하지만 그 회전위상을 나타내는 택펄스 발생기(130)의 출력과 상기한 동기신호(수직만)을 드럼서보회로(131)에서 위상비교한 결과로 회전제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택펄스 발생기 발생기(130)의 출력을 스위치펄스 발생기(128)에서 파형정형한 것으로 앞서의 스위치(126)을 전환 구동하면 자기테이프(136)의 주트랙에 상기 가산기(125A)의 출력을, 그 연장상의 오버랩 기록트랙에 상기 가산기(125B)의 출력을 기록할 수가 있다.
또한, 자기테이프(136)은 캡스턴 모터(132)의 회전에 따라 주행한다. 이것은 캡스턴 모터(132)의 회전위상을 나타내는 주파수 발생기(133)의 출력펄스를 기본으로 캡스턴 서보회로(134)에서 제어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VTR 규격에 의해 정해진 정속주행을 한다.
또한, 이상의 예에서는 오버랩기록하는 신호의 부호화방법을 현행의 음성 8비트 PCM 규격에 따르도록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필요조건이 아니다. 차후 더욱 비트수가 높은 것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어 그것에 따라도 좋다. 여하간에 데이타부가 회로(120) 다음의 회로가 공용되도록 한것이 편리하다. 그와 같이하면 제2도에서 메모리(108), 스위치(109)로 되는 부분과 A/D 변환기(117)로 되는 부분을 본체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하고, 스위치(118),(119)를 없애고 상기 분리한 부분의 어느것인가를 용도에 따라서 장착하는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본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3도는 회전 헤드드럼(138)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화살표(138d)는 회전 헤드드럼(138)의 회전방향, 화살표(136d)는 자기테이프(136)의 주행방향을 나타낸다. 기록헤드(135)는 상술한 바와 같이(135A),(135B)의 2개로 되고, 서로 180° 떨어져서 부착되어 있다. 자기테이프(136)은 회전 헤드드럼(138)에 210°(실제는 마진을 넣어서 220∼230°) 감기도록 가이드롤러(137A),(137B)가 위치결정한다. 이때문에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패턴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즉, 약 180°의 감기기간에 연속한 동화상(및 음성 FM신호와 파일럿 신호)의 나머지 약 30°의 오버랩 기록부에 1커트의 디지탈 정지화상(및 파일럿 신호)이 기록된다. 상기 180°의 기간은 1트랙 1필드씩 도면중 A1,A2,B1,B2,…의 순으로 기록된다. 한편, 오버랩 기간은 만일 1프레임분의 정지화상을 기록한다고 하면 상당한 트랙수를 요한다. 현행 8비트 PCM 규격으로는 8400비트/트랙의 데이타량이다. 1프레임은 4fsc,8비트 양자화에서 3.8Mb(복합 양자화의 경우)로 되므로 약450트랙, 즉 7.5초 정도의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A1,A2필드의 내용을 1프레임으로서 기록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는 다수의 트랙에 걸쳐 연속해서 기록된다. 만약 제2도의 프레임 메모리(108)에 1프레임분 기억한후 즉시 기록을 개시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B2필드의 연장상부터 기록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된 목표인 재생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재생시는 움직임 화상과 정지화상을 어떻게 출력하는가에 의해서 장치의 구성과 동작이 다르다.
제1의 예는 움직임 화상과 정지화상이 별개의 출력단자를 갖는 예이다. 사용자가 텔레비전 세트로 움직임 화상을 보고 있는 동안에 정지화상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프린터에서 정지화상이 프린터 출력되는 등의 사용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제5도는 그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블럭도이다.
제2도의 기록측의 것과 동일이라도 좋은 구성요소에는 동일번호를 부가하였다.
자기테이프(136)에서 재생헤드(135)(제2도의 기록헤드(135)와 동일물로서 좋다)에서 리드된 신호는 재생증폭기(139)에서 증폭된후 스위치(140)에 부여된다. 이때 재생헤드(135)를 탑재한 회전 헤드드럼(도시하지 않음)은 드럼모터(129)에 의해 회전하지만, 그 회전위상을 나타내는 택펄스 발생기(130)의 출력이 드럼 서보회로(131)에 부여되고, 드럼 서보회로(131)은 드럼 모터(129)를 정속(30rps) 회전시킨다. 택펄스 발생기(130)의 출력을 스위치 펄스 발생기(128)에서 파형정형한 것으로 상기 스위치(140)을 전환구동하고, 도면중 a측의 단자에 상기한 약 180°의 감기기간의 연속한 움직임 화상(및 음성 FM 신호와 파일럿 신호)을, b측의 단자에 나머지 약 30°오버랩 기록부의 신호(음성 PCM 신호던가 1커트의 디지탈 정지화상과 파일럿신호)를 얻는다. 단자 a의 신호는 음성 FM 재생(복조)회로(141), 색도신호 재생회로(143), 휘도신호 재생회로(144), 파일럿 신호 재생회로(146)에 부여된다.
파일럿 신호 재생회로(146)에서는 현재의 트랙과 인접트랙의 파일럿 신호의 비트성분을 기본으로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재생헤드(135)가 트랙을 추적하도록 캡스턴 서보회로(134)에 오차신호를 되돌린다.
음성 FM 재생회로(141)에서는 반송주파수 약 1.5MHz 부근의 음성 FM 신호를 추출해서 FM 복조하며,또 잡음제거회로(142)(제2도의 (113)과는 역특성)에서 비선형의 고역감쇠특성을 부여해서 S/N을 개선하여 원래의 음성신호로 되어서 스위치(149)의 한쪽끝에 부여된다.
색도신호 재생회로(143)에서는 47.25fH부근의 부반송파를 갖는 색도신호를 위상 변동성분을 제거하면서 원래의 대역
Figure kpo00004
으로 되돌려 가산기(145)의 한쪽끝에 가한다. 휘도신호 재생회로(144)에서는 휘도 FM변조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가산기(145)의 나머지 한쪽끝에 가한다.
가산기(145)에서 가산된 휘도 및 색도신호는 후술하는 동작의 문자삽입회로(147)을 거쳐서 출력단자(151)로 출력되어 외부의 텔레비전에 움직임 화상을 나타낸다. 동시에 상기 제2도의 입력단자(111)에도 부여되어 뷰파인더(112)에서도 모니터 할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140)의 b측단자의 신호는 재생등화기(152)에서 테이프 헤드계에 의한 주파수 특성이 보상되어 데이타 스트로브회로(153)에서 재생 데이타의 리샘플링이 실행된후 PCM 복조기(154)에서 기저대역의 디지탈 신호로 되돌려진다. 이어서 에러 검출회로(155)에서 기록시에 부가한 CRC 부호를 기본으로 테이프계의 드롭아우트등에 기인하는 데이타 에러가 검출된후 직병렬 변환기(156)에서 병렬(예를들면,8비트)의 데이타로 되돌려져, 일단 버퍼 메모리(165)에 라이트 된다.
리드할때에는, 예를들면 주파수 2fH의 클럭으로 리드되며, 또 에러 정정회로(157)에서 에러검출회로(155)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데이타 에러가 수정된다. 또, 기록시에 부가한 ID에서 재생신호가 음성신호인가 정지화상인가를 판별하며, 또 어드레스에서 정지화상의 경우의 프레임(또는 필드)의 개시점, 종료점의 정보를 얻는다.
에러 정정회로(157)의 출력은 D/A 변환기(158), 프레임(또는 필드) 메모리(108)에 부여된다. D/A 변환기(158)은 PCM 기록된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되돌리기 위한 것으로서, 그 출력은 상기 스위치(149)의 나머지 한쪽끝에 가해진다. 이 스위치(149)는 상기 lD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 구동되고 있으며, ID가 음성신호인 것을 나타낼때는 이 PCM 기록된 음성신호를 출력단자(150)에 우선 출력단자(FM 기록보다 음질이 좋기때문에). 또, ID가 정지화상인 것을 나타낼때는 FM 기록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108)에는 1커트의 정지화상 데이타가 기억되고, 이것이 D/A 변환기(159)를 거쳐서 아날로그 신호로 되어 출력단자(160)으로 출력되어서 외부의 프린터에 공급된다. 물론, D/A 변환기(159)를 제거하여 프린터와 디지탈 인터페이스해도 좋다.
출력단자(163)은 프린터로의 프린트 명령신호의 출력단자이다. 자기테이프상의 임의의 위치에 1커트 단위로 불연속으로 기록된 정지화상정보가 메모리(108)에 1커트분 기억되었을때 앞서의 어드레스(및 ID)를 기본으로 제1의 논리회로(161)에서 프린트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물론, 1커트분 기억하기전에 주사선 몇개분인가가 기억된 단계에서 프린트를 개시해도 좋다.
프린터에서는 1매의 컬러화상을 프린트하는데 분단위의 시간을 요한다. 프린트가 끝나기전에 다음의 정지화상이 나타나서 메모리(108)이 리라이트 되어서는 정상적인 프린트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입력단자(164)로부터는 프린터측에서의 프린트 종료신호가 입력되어 메모리(108)과 제2의 논리회로(162)에 부여된다. 이것이 프린트 종료를 나타내지 않는 동안은 메모리(108)로의 데이타 라이트는 금지된다. 또, 이것만으로는 몇커트인가의 정지화상을 프린트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나오기 때문에 제2의 논리회로(162)에서는 프린트 명령이 나와 있고 프린트 종료로 되어 있지 않는 동안에 다음의 정지화상 데이타가 나타난 경우는 캡스턴 서보회로(134)와 상기 문자삽입회로(147)에 명령을 보낸다. 전자는 이 명령에 따라 자기테이프(136)을 다음의 정지화상 데이타의 개시점 바로앞까지 되돌려감고, 현재의 프린트가 종료하기 까지는 주행정지시킨다. 후자는 이 명령에 따라 ROM(148)에 기억되어 있던 정보를 움직임 화상에 문자 다중하고, 프린트가 종료하기까지 테이프 주행정지하는 뜻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하여 기이한 인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동작은 메모리(108)의 프린터의 메모리를 겸하는 경우의 동작이다. 프린터측에도 메모리가 있는 경우는 프린트 종료명령이 나오지 않는 동안 다시 또 1커트후의 정지화상 데이타가 재생되었을때에 같은 동작을 실행하면 좋다.
이상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움직임 화상을 보고 있는 동안에 필요한 정지화상의 프린트를 모두 얻어지게 된다.
또한, 출력단자(160)에 모니터 텔레비전 세트를 접속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며, 또 이 정지화상을 출력단자(151)로의 신호에 중첩출력(Picture In Picture등) 하거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를 마련해서 전환출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제2의 예는 움직임 화상과 정지화상을 1개의 출력단자에서 얻고, 동시에 텔레비전 세트의 스크린상에서 움직임 화상과 정지화상을 모니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움직임 화상을 비추어 두면서 정지화상의 데이타가 있었던 때에만 정지화상을 비추고, 그사이 자기테이프를 정지화상 데이타가 시작되는 위치부근으로 되돌려감아서 정지시켜 사용자의 명령이 있는 즉시 재차 자기테이프를 주행시켜서 움직임 화상으로 되돌아 간다는것, 움직임 화상을 항상 연속해서 비추어 두고, 그 일부를 잘라내서 정지화상을 차례차례 끼우는(소위Picture in Picture)것, 또는 역으로 정지화상의 일부를 잘라내서 움직임 화상을 끼우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중 제일 앞의 것의 실시예를 제1도의 회로블럭도로 설명한다. 많은 구성요소는 제5도와 같지만, 1쇼트형태의 스위치(1), 스위치(2), 제3의 논리회로(3)이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2)는 통상 도시한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고, 움직임 화상을 텔레비전으로의 출력단자(151)로 송출하고 있지만, 1프레임(또는 1필드)분의 정지화상 정보가 메모리(108)에 기억되었을때는 제3의 논리회로(3)의 명령으로 역방향의 접속으로 되어 오버랩 기록된 정지화상을 송출한다. 그때 역시 제3의 논리회로(3)의 명령으로 캡스턴 서보회로(134)는 자기테이프(136)을 정지화상 데이타가 시작되는 위치 부근으로 되돌리고나서 정지시킨다. 다음에 사용자가 스위치(1)을 누르면 역시 제3의 논리회로(3)의 명령에 의해 스위치(2)는 도시한 방향으로의 접속으로 되돌아가고, 캡스턴 서보회로(134)는 테이프 보내기를 재개하여 통상의 움직임 화상재생으로 되돌아간다.
물론, 정지화상을 비춘후, 일정시간후에 자동적으로 테이프 보내기를 재개하여 움직임 화상재생으로 되돌아가도 좋다. 또, 제1의 예와 마찬가지로 정지화상이 1커트분 메모리(108)에 기억되기 전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사용해서 차례차례 출력하여 정지화상을 비추어도 좋다.
제1도와 같이 구성하면, 움직임 화상, 정지화상 모두 1대의 텔레비전 세트로 모니터할 수 있다. 또, 정지화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1커트당 10초 가까이 기록재생의 시간을 요하지만, 상기 정지화상을 비출때, 되돌려 감기 정지동작에 의해 정지화상에서 움직임 화상으로 되돌아갈때, 시간의 도약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제1도의 예는 제5도와 달리 프린터용의 출력단자를 특별히 마련하는 일은 하지 않고 있다. 당연히 이것을 마련해도 좋고, 제6도의 회로 블럭도로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
제6도에서 제5도와 다른 것은, 첫째 정지화상의 프린터로의 출력단자(5)가 디지탈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고, 인터페이스에서의 아날로그, 디지탈간의 신호교환의 반복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는 점이다. 둘째 제1도와 마찬가지로 스위치(2)를 마련해서 모니터 텔레비전에 움직임 화상과 정지화상의 양쪽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점이다. 셋째 AND 회로(4)를 마련하여 정지화상 프린트가 종료하며, 또한 사용자가 움직임 화상재생으로 되돌아 가도록 지시한후 통상의 움직임 화상재생으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있는 점이다.
물론 앞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후에 자동적으로 움직임 화상재생으로 되돌아가도록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지화상에서 움직임 화상으로 되돌아갈때의 시간의 도약을 일으키는 일은 없으며, 또 프린트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제3도의 예는 사용자가 움직임 화상이나 정지화상중 어느 한쪽만을 선택해서 보도록 하는 경우이다. 이것을 제7도의 회로블럭도로 설명한다.
제7도에서 제5도와 다른 것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쌍안정 스위치(6)을 갖는 점이며, 이것으로 모니터 텔레비전 세트로의 출력단자(151)로 보내는 영상출력을 움직임 화상으로 하는가 정지화상으로 하는가를 스위치(2)로 전환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6)의 출력은 제2의 논리회로(162)에도 접속되어 있어 캡스턴 서보회로(134)의 동작을 전환하고 있다.
사용자가 움직임 화상을 재생하도록 스위치(6)을 조작한 경우는 통상의 재생동작을 실행할 뿐이다. 정지화상을 재생하도록 선택한 경우는 먼저 캡스턴 서보회로(134)는 탐색모드로 되어서 자기테이프(136)을 고속주행시켜 최초의 정지화상 데이타가 기록된 위치를 찾는다. 이것을 재생 어드레스에 의해 검지한후, 즉시 약간 테이프를 되돌려 감고, 정지화상 데이타가 기록된 최초의 부분에서 통상의 재생동작을 실행한다.
1커트분의 데이타를 리드한후 재차 탐색모드로 되어 다음의 정지화상 데이타가 기록된 위치를 찾는다. 이것을 검지한후 즉시 약간 테이프를 되돌린다. 이때 입력단자(164)로부터의 프린터의 프린트종료 명령이 나와있지 않으면, 나올때까지 테이프를 그 위치에 정지시킨다.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프린터에도 메모리를 갖는 경우는 다시 또 1커트 다음의 정지화상 데이타의 기록위치에 도달했을때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이어서통상의 재생동작을 실행하여 1커트분의 데이타를 리드한다.
제7도의 예는 정지화상의 프린트를 민첩하게 갖추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물론 제6도의 스위치(1)과 AND 회로(4)에 해망하는 것을 또 마련하여 프린트 종료후, 다음의 1커트로 이행하기까지의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출력단자(151)에서 모니터 텔레비전 세트로 보내지는 정지화상출력은 탐색동작중에는 앞의 화상을 계속출력해도 좋고, 통상 재생동작중에는 앞의 화상을 차례로 리라이트하면서 출력해도 좋다.
제5도,제6도,제7도의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프린터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없어도 좋은것은 당연하다. 프린터가 접속되지 않을때는 프린트 종료를 나타내는 논리신호가 항상 "종료"를 나타내도록 해두면 좋다.
프린터와의 사이의 입출력단자(160),(163),(164)가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프린트 동작이 모두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기술하였지만 프린트 하고자 하는 것만 선택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8밀리 비디오등의 VTR로 오버랩 기록부의 임의의 장소에 1커트의 정지화상을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재생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움직임 화면만을 보는가, 정지화면만을 보는가(또는 프린트하는가)를 선택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정지화상의 기록장소를 고속으로 탐색하며, 또 프린트후 탐색동작에서 재개시 하므로 프린트 출력을 민첩하게, 또 실수없이 얻을 수가 있다.
정지화상 데이타가 있었던때에만 움직임 화상 대신에 비추는 경우는 정지화상을 비추는 시간을 임의로 선택하며, 또한 움직임 화상으로 되돌아갈때의 기이한감(화면도약)을 주지 않는다.
또, 움직임 화상출력과는 별도로 프린터용 정지화상출력을 갖는 경우에도 프린트중의 자연정지에 따르는 기인한감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효율있게 프린트 출력을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회전드럼(138), 상기 회전드럼에 장착된 자기헤드(135), 자기테이프(136)을 회전드럼 주위에 180도를 넘는 각도로 감기도록 주행시키는 기구(132,137A,137B),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에 따르는 기록트랙중의 제1의 움직임 화상신호 및 상기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수단(107,116,115,102,113,114,125A), 상기 기록트랙중의 제2의 영역에 1프레임 또는 1필드에 대응하는 1커트의 정지화상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는 수단(108,118,120,121,122,123,125B), 상기 움직임화상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44,143,145), 상기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41,142), 상기 정지화상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52,153,154,155,156,157,108,159), 상기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가 정지화상 1커트분 재생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157), 화상을 모니터하는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며, 자기테이프의 재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1) 및 논리회로(3)을 포함하고,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 재생신호출력을 움직임 화상에서 정지화상으로 전환하는 명령 및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개시 위치 근방까지 자기테이프를 되돌려 감아서 자기테이프를 정지시키는 명령을 생성하며, 또 상기 스위치가 조작되었을때에는 재생신호출력을 정지화상에서 움직임 화상으로 전환하는 명령 및 자기테이프를 재차 움직임 화상신호 재생을 위한 통상의 주행속도에서 주행시키는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자기기록재생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동일한 기록포맷에서,음성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하는 수단(117,118)과 상기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의 기록에서 음성신호가 재생되었을때에는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에서 재생된 음성신호에 우선해서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의 기록에서 재생된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49)로 이루어지는 자기기록재생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되어야할 상기 1커트의 정지화상 디지탈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108)과 음성신호를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되어야 할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17)이 선택적으로 장착가능한 자기기록재생장치.
  4. 회전드럼(138), 상기 회전드럼에 장착된 자기헤드(135), 자기테이프(136)을 회전드럼주위에 180도를 넘는 각도로 감기도록 주행시키는 기구(132,137A,137B),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에 따르는 기록트랙중의 제1의 영역에 움직임 화상신호 및 상기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수단(107,116,115,102,113,114,125A), 상기 기록트랙중의 제2의 영역에 1프레임 또는 1필드에 대응하는 1커트의 정지화상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는 수단(108,118,120,121,122,123,125B), 상기 움직임 화상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44,143,145), 상기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41,142), 상기 정지화상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52,153,154,155,156,165,157,108,159), 상기 정지화상을 프린트하는 외부의 프린터에 재생된 정지화상신호를 공급하는 단자(160), 재생된 움직임 화상신호에 문자정보를 삽입하는 수단(147), 상기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가 정지화상 1커트분 재생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157), 검출결과를 상기 외부의 프린터로 송출하는 단자(163), 상기 외부의 프린터로부터 1커트의 정지화상의 프린트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받는 단자(164) 및 논리회로(162)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외부의 프린터에서 1커트의 정지화상의 프린트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도래하기전에 다음의 정지화상 1커트분의 디지탈 데이타가 재생된 것을 나타내는 검출결과가 부여되었을 때에는 상기 다음의 정지화상의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개시 위치근방까지 자기테이프를 되돌려 감아서 자기테이프를 정지시키는 명령 및 정지화상을 프린트중이므로 자기테이프의 주행이 정지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움직임 화상으로서 출력하도록 상기 문자정보 삽입수단에 지시하는 명령을 생성하며, 또 상기 1커트의 정지화상의 프린트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도래했을때에는 자기테이프를 재차 움직임 화상신호 생을 위한 통상의 주행속도에서 주행시키는 명령 및 상기 문자정보를 움직임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상기 문자정보삽입수단에 지시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자기기록재생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동일한 기록포맷에서, 음성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하는 수단(117,118)과 상기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의 기록에서 음성신호가 재생되었을때에는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1의 영역의기록에서 재생된 음성신호에 우선해서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의 기록에서 재생된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49)로 이루어지는 자기기록재생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되어야할 상기 1커트의 정지화상 디지탈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108)과 음성신호를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되어야할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17)이 선택적으로 장착가능한 자기기록재생장치.
  7. 회전드럼(138), 상기 회전드럼에 장착된 자기헤드(135), 자기테이프(136)을 회전드럼 주위에 180도를 넘는 각도로 감기도록 주행시키는 기구(132,137A,137B),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에 따르는 기록트랙중의 제1의 영역에 움직임 화상신호 및 상기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수단(107,116,115,102,113,114,125A), 상기 기록트랙중의 제2의 영역에 1프레임 또는 1필드에 대응하는 1커트의 정지화상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를 기록하는 수단(108,118,120,121,122,123,125B), 상기 움직임 화상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44,143,145), 상기 움직임 화상에 따르는 상기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41,142), 상기 정지화상신호를 재생하는 수단(152,153,154,155,156,165,157,108,159), 화상을 모니터하는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는 상가 움직임 화상과 정지화상중 어느것을 모니터하는가를 선택하는 스위치(6), 상기 정지화상을 프린트하는 외부의 프린터에 재생된 정지화상신호를 공급하는 단자(160), 상기 정지화상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가 정지화상 1커트분 재생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157), 검출결과를 상기 외부프린터로 송출하는 단자(163), 상기 외부프린터에서 1커트의 정지화상의 프린트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받는 단자(164) 및 논리회로(162)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스위치가 움직임 화상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기테이프를 움직임 화상신호 재생을 위한 통상의 속도에서 주행시키는 명령을 생성하며, 또 상기 스위치가 정지화상을 선택하고 있는 부분까지 자기테이프를 빨리 보내어 이 부분을 검출한후 자기테이프를 되돌려 감고, 상기 정지화상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개시 위치의 바로전부터 상기 통상의 속도에서 상기 정지화상 디지탈 데이타를 재생하는 명령을 생성하고, 이어서 정지화상 1매분의 디지탈 데이타가 재생된 것이 검출된후 다음의 정지화상 디지탈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까지 자기테이프를 빨리보내어 이부분을 검출한후 자기테이프를 되돌려감고, 상기 정지화상 디지탈 데이타의 기록개시위치의 바로전까지 자기테이프를 되돌려감아서 만일 최초의 정지화상의 프린트가 종료하고 있으면 상기 통상의 속도에서 상기 정지화상 디지탈 데이타를 재생하는 명령을 생성하고, 만일 최초의 정지화상의 프린트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프린트가 종료하기까지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자기기록재생장치.
  8.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와 동일한 기록포맷에서, 음성신호를 나타내는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하는 수단(117,118)과 상기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의 기록에서 음성신호가 재생되었을때에는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에서, 재생된 음성신호에 우선해서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의 기록에서 재생된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149)로 이루어지는 자기기록재생장치.
  9.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톡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되어야할 상기 1커트의 정지화상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108)과 음성신호를 상기 기록트랙의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되어야할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17)이 선택적으로 장착가능한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19910000792A 1990-01-24 1991-01-18 자기기록재생장치 KR940006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2548 1990-01-24
JP2-12548 1990-01-24
JP2012548A JP2753361B2 (ja) 1990-01-24 1990-01-24 磁気録画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873A KR910014873A (ko) 1991-08-31
KR940006730B1 true KR940006730B1 (ko) 1994-07-27

Family

ID=1180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792A KR940006730B1 (ko) 1990-01-24 1991-01-18 자기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51154A (ko)
EP (1) EP0439132A1 (ko)
JP (1) JP2753361B2 (ko)
KR (1) KR940006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943A (en) * 1991-08-20 1996-12-31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still image signals and analog still image signals in respective recording areas
JPH03249887A (ja) * 1990-02-27 1991-11-07 Sony Corp 映像信号記録装置
EP0518069B1 (en) * 1991-05-14 1999-08-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producing system
DE4222903C2 (de) * 1992-07-11 2003-04-10 Leifheit Ag Bügeltisch
AU682032B2 (en) * 1993-06-29 1997-09-18 Sony Corporation Audio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JPH0779449A (ja) * 1993-09-06 1995-03-20 Sony Corp Vtr装置
US6205283B1 (en) * 1995-10-17 2001-03-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sponsive to single input for image reproduction and printing
JP4207869B2 (ja) * 2004-08-30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制御方法及び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2274C2 (de) * 1980-11-08 1982-09-09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 Co KG, 8510 Fürth Verfahren und Videoanlage zur wahlweisen Aufzeichnung von aus zwei Halbbildern bestehenden Einzel- und Laufbildern
US4604668A (en) * 1980-11-21 1986-08-05 Lemelson Jerome H Portable television camera and recording unit
JPS58164383A (ja) * 1982-03-25 1983-09-29 Sony Corp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S6233367A (ja) * 1985-08-07 1987-02-13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US4858032A (en) * 1986-06-30 1989-08-15 Fuji Photo Film Co., Ltd. Device for extracting still picture frames from a moving image video signal and recording same o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819059A (en) * 1987-11-13 1989-04-04 Polaroid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ormatting a composite still and moving image defining electronic information signal
JPH0240105A (ja) * 1988-07-30 1990-02-08 Toshiba Corp ビデオ信号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9132A1 (en) 1991-07-31
JPH03218189A (ja) 1991-09-25
US5351154A (en) 1994-09-27
KR910014873A (ko) 1991-08-31
JP2753361B2 (ja)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363A (en) Still image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greater feeder speed when searching
US5589943A (en)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still image signals and analog still image signals in respective recording areas
US4660102A (en) Electronic still camera capable of editing picture recorded on disk
KR940006730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JP2546244B2 (ja) 画像記録装置
US4541021A (en) Electronic still camera
US5202798A (en) Still image signal recording apparatus operable by a manually operable member
KR920003718B1 (ko) 자기 기록·재생 장치
US5130860A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5461485A (en) Video camera with selective compensation for still picture recording in response to shutter operation
KR0119115B1 (ko) 비디오프린팅제어기가 내장된 비디오테이프레코너
JP3367954B2 (ja) プリント制御装置
JP3110789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3554584B2 (ja) 静止画及び動画記録用の一体形ビデオカメラ及び再生装置
JPH03218188A (ja) 磁気録画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磁気録画再生装置
JPS5820084A (ja) 電子式静止画像記録再生装置
EP0523703A2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JP2535948B2 (ja) 画像記録システム
JPH04196782A (ja) 磁気録画再生装置
JPH06197299A (ja) 画像情報記録装置
KR100239251B1 (ko) 비디오신호기록장치
JPH0482389A (ja) 磁気録画再生装置
JPH042287A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H0879699A (ja) 高画素画面の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241283A (ja) 録画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