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18B1 - 자기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18B1
KR920003718B1 KR1019890000945A KR890000945A KR920003718B1 KR 920003718 B1 KR920003718 B1 KR 920003718B1 KR 1019890000945 A KR1019890000945 A KR 1019890000945A KR 890000945 A KR890000945 A KR 890000945A KR 920003718 B1 KR920003718 B1 KR 920003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recording
circuit
reference num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496A (ko
Inventor
게이이찌 고마쓰
신지 기자끼
시게유끼 이또오
히꾸루 마스이
요시즈미 와따따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따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따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3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chrominance signal, e.g. by means of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재생 장치
제 1 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전 실린더상의 헤드의 배열도.
제 3 도는 헤드에 구비된 축상의 단차 관계도.
제 4 도는 헤드의 주사 궤적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
제 9 도 및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사용된 ADC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DAC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13 도 및 제 14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15 도는 타이밍 관계를 나타내는 챠트도.
제 16 도 및 제 17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18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패턴도.
제 19 도는 타이밍 관계를 나타내는 챠트도.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타 실시예의 타이밍 관계를 나타내는도.
제 22 도는 제 20 도 및 제 21 도에 도시한 타이밍 관계로 동작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제 23 도 및 제 24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패턴도.
제 25 도 및 제 26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패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 테이프 2 : 테이프 주행방향
3 : 자기헤드 4 : 필드메모리
6, 7 : 감쇄기 8 : 가산기
32 : 기록처리기 34 : 재생 처리기
36 : 동기 분리기 37 : 카메라
401, 402 : 기록재생헤드 403, 404 : 재생전용헤드
405 : 소거전용헤드 400 : 회전실린더
본 발명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관계하는것으로, 특히 카메라 일체형 VTR에 적용될때, 위화감을 주지 않으면서 접속촬영 또는 스플라이싱(splicing)을 하는데 적합한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 일체형의 접속촬영에서는 일본국 특개소 62-78978호 공보에 기재한 것과 같이, 소정의 단기간동안 기록상태로 카메라를 계속 유지시키고, 영상신호를 점차 흑색레벨로 축소시킨후, 카메라를 정지시켰다. 그러므로, 접속부에서 위화감을 주는 신호의 일시 강하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종래 기술은 매끈한 접속화면을 제공하는데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고, 접속부에서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입헤드에 선행하도록 배치된 판독헤드와, 판독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및 판독한 구신호와 카메라로 부터의 신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로 구성되고, 구신호와 신신호를 가산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함과 동시에 이들 신호레벨을 변화시킨다.
접속촬영시에 이미 기록된 구신호는 선행한 판독헤드에 의하여 판독되고, 판독한 구신호는 일단 메모리에 기억되고, 소정의 지연시간후에, 영상신호 입력단자로 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와 동기된 메모리로 부터 출력된다. 메모리로 부터의 출력신호와 입력단자로 부터의 영상신호는 가산되어 기록매체상에 기입헤드에 의하여 써넣어지며, 이와 동시에 그들 신호레벨은 변환된다.
그럼으로써, 구신호와 신신호의 합신호의 영상은 접속부에서 형성되어, 접속의 최초에는 신신호의 레벨은 작으며 구신호의 레벨은 대부분의 가산된 신호레벨로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신호의 레벨은 서서히 상승하고, 동시에 구신호의 레벨은 하강하며, 접속부의 최후에는 대부분의 가산된 신호 레벨은 신신호에 의하여 점유된다. 따라서 이런 신호가 재생될때, 점차 신신호에 의해 대체된 구신호와 이른바 크로스페이드(cross fade)를 실행할 수 있으며, 위화감을 주지않고 접속촬영을 할 수 있다.
제 1 도에서, 참고번호(1)는 기록매체로서 자기 테이프를 지칭하고, 참고번호(2)는 테이프 주행방향, 참고번호(3)는 자기헤드(3a)는 선행 판독헤드를 지칭하고, 3b는 기입헤드를 지칭한다), 참고번호 (4)는 영상신호의 1필드양을 기억하기 위한 필드메모리, 참고번호(5)는 영상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 참고번호(6)는 입력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 1 감쇄기(a first variable gain reducer), 참고번호(7)는 메모리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 2 감쇄기, 참고번호(8)는 가산기를 지칭한다.
정상 기록 모우드에서, 자기헤드(3a)는 동작하지 않고, 자기헤드(3b)는 제 1 도의 (a) 내지 (m)으로 표시된 트랙이 기입된다. 트랙 (a), (b), (c), …로 기록이 서서히 진행하고, 트랙(m)에 있을 때, 정지버튼을 눌러 접속이 실행되도록 한다. 정상적으로 정지버튼을 누르면, 몇몇 트랙의 그 점으로부터 되감기어 트랙 (d)에서 정지한다. 이것은 첫째로 구신호와 신신호의 사이에 신호의 강하기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다음 서어보의 안정기간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신신호가 구신호에 접속될때, 신신호는 트랙(d)에서 시작하여 자기헤드(3d)에 의하여 기입된다. 이 때에 필드 메모리(4)에는 기입헤드(3a)에 의하여 앞서 재생된 트랙(f)의 구신호가 기억되고 있다. 이 구신호는 입력단자로 부터 입력된 신신호와 동기하여 메모리(4)로부터 출력된다. 구신호와 신신호는 모두 감쇄기(6, 7)에서 각각 신호레벨이 변화하여, 가산기(8)에서 함께 가산되고, 그 다음 기입헤드(3b)에 공급된다. 즉, 접속으로 신신호를 기록할때, 접속기간동안 구신호와 신신호의 합신호는 기입헤드(3b)에 의하여 기입된다.
기입헤드(3b)가 트랙(e)를 기록할때, 상기 설명한 동작을 반복되고, 즉 트랙(g)의 구신호의 합신호와 입력단자로 부터의 신신호는 트랙(e)를 따라 기록된 신호로 된다. 상기와 유사한 동작은 트랙(f)와 그 다음 트랙에서 실행되고, 따라서 구신호와 신신호의 합신호는 접속기간동안 기록되어진다.
더우기, 접속부에서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가산과 동시에 신신호와 구신호를 페이드인, 페이드아웃(fade in, fade out)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제 1 도의 경우에, 감쇄기(6, 7)는 이것을 실현한다. 즉, 감쇄기(6, 7)는 접속기간의 시점에서는 신신호가 약하고, 구신호는 강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신호는 점차 약하게 되고 신신호는 강하게 되며, 끝에서는 신신호가 대부분의 신호레벨을 점유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감쇄기(6, 7)는 예를들면 이미터 가공통으로 접속된 한쌍의 트랜지스터와 그 이미터에 공통으로 전류원으로서 접속된 제 3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이런 구성에서 입력신호는 제 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출력신호는 2개의 트랜지스터중의 하나의 콜렉터로 부터 취해지며, 한편 이득(gain)을 제어하기 위한 D.C. 전압은 2개의 트랜지스터중의 다른 하나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시간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D.C. 전압은 그 일단에 고정된 전압으로 공급되는 시정수회로의 부분으로 부터 얻어진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구신호는 점차 신신호에 의하여 대체되고, 그럼으로써 이른바 크로스페이드(cross-fade)가 실행되며, 위화감을 주지않고 접속촬영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린더의 구조에 대해서 제 2 도 내지 제 4 도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실린더(400)의 헤드 배열도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실린더(400)상에는 각각 180°간격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통상의 기록/재생헤드(401, 402)가 배치되고, 그 사이에 또는 그들의 하나로 부터 90°간격으로 재생헤드(403, 404)가 배치된다. 소거전용헤드(이하 소거헤드라 약)(405)는 기록/재생헤드(401)와 재생헤드(404)의 사이에 그들의 하나로 부터 45°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헤드에 제공되는 단차관계는 예를들면 그들을 8mm 비디오에 사용할 때, 재생헤드(403, 404)는 최저 레벨에있는 기록/재생헤드(401, 402)의 상방으로 45㎛ 상승하고, 한편 소거헤드(405)는 그 상방으로 5㎛ 상승한다. 헤드의 트랙폭 TW1, TW2, TW3는 VTR을 단지 표준기록모우드에서 사용할 때에는, 양호하게는 TW1
Figure kpo00001
20㎛이고, TW2
Figure kpo00002
20㎛이고, 소거헤드(405)가 트랙폭 TW3=40㎛로 주어지며, VTR을 장기간 기록모우드로 사용할때에는, TW1=15㎛, TW2=17㎛이다.
제 4 도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면중의 실선은 표준기록모우드의 주사궤적이고, 파선은 장시간 기록모우드의 주사궤적을 표시한다.
재생헤드(404)에 의한 판독신호는 메모리를 통하여 기록헤드(401)에 인가된다. 다음, 기록헤드(402)는 재생헤드(403)로 부터 신호를 수납하고, 이 동작을 반복한다. 소거헤드(405)는 재생해드(404)와 기록헤드(401)의 사이에 주사한다. 표준기록모우드에서, 소거헤드(405)는 도면의 실선을 따라 한번에 2개의 필드를 소거한다. 또 장시간 기록모우드시는 도면의 파선을 따라 실제로 한번에 4개의 필드를 소거한다.
여기서, 기록헤드(401)와 재생헤드(404)에는 동일한 방위각(azimuthangle)이 제공되고, 기록헤드(402)와 재생헤드(403)의 사이에는 다른 동일한 방위각 이 제공된다. 따라서 재생헤드(404)로부터 기록헤드(401)에 입력된 신호는 동일한 방위각의 테이프 패턴으로 전송되고, 그러므로 동기신호의 어떠한 미끄러짐도 일어나지 않고, 판독 및 기입동작이 용이하게 실행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제 5 도에서 참고번호(11, 14)는 자기헤드를 지칭하고, 참고번호(15, 16, 18, 19)는 프리앰프(preamplifier)를, 참고번호(20)는 기록앰프(record amplifier)를, 참고번호(21)는 기록시에 온으로 되는 스위치를, 참고번호(22, 24)는 재생시에 온으로 되는 스위치를, 참고번호(25, 34)는 자기헤드로 부터의 재생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조하는 재생처리기를 참고번호(26)는 영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필드메모리를, 참고번호(27, 30)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하강시키기 위한 감쇄기를, 참고번호(28)는 접속기간중에 크로스페이드를 실행하기 위한 스위치를, 참고번호(29)는 영상신호입력단자를, 참고번호(31)는 구신호와 신신호의 가산기를, 참고번호(32)는 영상신호를 기록신호로 인코우딩하기 위한 기록처리기를, 참고번호(33)는 영상신호출력단자를, 참고번호(35)는 헤드스위치를 지칭한다.
제 5 도에서, 접속기간중에 크로스페이드를 실행하기 위하여, 재생헤드(11, 13), 프리앰프(15, 18), 재생처리기(25), 필드메모리(26), 감쇄기(27, 30), 크로스페이드 온/오프스위치(28), 및 가산기(31)가 제공된다.
통상의 기록시에, 스위치(21 내지 24 및 28)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감쇄기(30)는 감쇄기로서 동작하지 않고, "쓰로우"(through)로 된다. 따라서, 입력단자(29)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는 기록처리기(32) 및 기록앰프(17 또는 20)에 의하여 직접 처리되고, 기록헤드(12 또는 14)에 의하여 기록된다.
접속촬영기간에, 스위치(28)는 도면에 표시한 것의 대향위치를 취하고, 감쇄기(30)는 동작하고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득을 변화시킨다. 제 1 도에 설명한 것처럼, 선행헤드(11 또는 13)에 의하여 재생된 신호는 영상신호로 복조되고, 임시로 필드메모리(36)에 기억된다. 접속촬영을 하기 위한 신신호는 입력단자(29)로 부터 입력되고, 감쇄기(30)에 의하여 처리되며 가산기(31)에 입력된다. 한편, 필드메모리(26)는 신신호와 동기하여 구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구신호는 감쇄기(27)와 스위치(28)를 통하여 가산기(31)에 입력된다. 구신호와 신신호는 가산기(31)에서 가산되고, 합신호는 기록처리기(32)와 기록앰프(17 또는 20)에 의하여 처리되며, 자기헤드(12 또는 14)에 의하여 기입된다. 감쇄기(27, 30)의 이득 감소량은 접속촬영기간중에 반대되는 특성을 갖도록 작동된다. 즉 감소된 양은 점차로 변화하여 최초에는 감쇄기(27)는 "쓰로우"로 되고, 감쇄기(30)는 최대양의 감소를 실행하며, 최후에는 감쇄기(27)는 최대양의 감소를 실행하고, 감쇄기(30)는 "쓰로우"로 된다.
제 6 도는 카메라 일체형 VTR에 적용되는 제 5 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6 도에서, 참고번호(36)는 동기 분리기를 지칭하고, 참고번호(37)는 카메라를 지칭한다. 다른 부분은 제 5 도의 것과 상응한다.
제 6 도의 특징은 영상신호를 카메라로 부터의 신호로 하고, 필드 메모리를 생략하는 것이다.
통상의 기록시에 재생처리기(25), 감쇄기(27) 및 동기분리기(36)는 작동하지 않고, 카메라로 부터의 영상신호는 감쇄기(30)에 의하여 "쓰로우"로 실행되고 자기헤드(12)에 의하여 기록된다.
접속촬영기간중에, 선행헤드(11)로 부터의 재생된 신호는 재생처리기(25)에 의하여 영상신호를 복조되고, 그것을 감쇄기(27)에 입력시킨다. 또한 재생된 구영상 신호는 동기분리기에 입력되고, 그로부터 동기 신호는 카메라(37)에 입력된다. 카메라가 구신호의 동기 신호에 따라 이렇게 작동되기 때문에, 카메라로 부터의 신신호는 구신호로 부터 동기 시킬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제 5 도에 설명된 크로스페이드를 실행한다.
이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한 장면(화상)을 촬영한 후에 일시적으로 기록동작을 멈추고(이하 REC 정지상태라 함), 그 후에 다른 장면(화상)이 계속하여 기록된 후에, REC 정지상태의 바로 앞의 한 필드의 장면을 기억하고, 이 기억된 화면은 접속촬영이 시작될때에 점차 페이드아웃되며, 동시에 신화면이 점차 페이드인하고, 전장면은 후장면에 중복(가산)되도록 중복 접속촬영을 실행한다.
제 7 도에 대해서 언급할때, 참고번호(300)는 휘도신호(Y), 색차 신호(R-Y 신호, B-Y 신호), 3.58MHz 크로마 부반송파(chroma subcarrier)(fsc)),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복합동기신호(C.sync)를 출력하는 카메라를 지칭하고, 참고번호(301, 313, 314)는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용 키이드(keyed) 클램프회로를 지칭한다. 참고번호(302)는 백색 피이크 클립회로를, 참고번호(303, 318)는 블랭킹 기간중의 신호를 게이트하기 위한 블랙킹 회로를, 참고번호(304)는 흑색 피이크 클립회로를, 참고번호(305,319)는 접속촬영시에 휘도 신호와 크로마 신호를 페이드인 하기 위한 페이드인회로를, 참고번호(315, 316, 324, 325)는 색차 신호를 3.58MHz의 크로마 신호로 균형복조 하기 위한 다중회로(multiplier)를, 참고번호(317, 307, 308, 321, 310, 326)는 신호 가산기를, 참고번호(306, 329)는 휘도 신호용 키이드 클램프 회로를, 참고번호(320, 328)는 크로마 신호용 키이드 클램프 회로를, 참고번호(327, 330)는 접속촬영시에 메모리로 부터 재생된 휘도 신호와 크로마 신호를 페이드아웃트하기 위한 페이드아웃트 회로를, 참고번호(323)는 90°위상 시프트 회로를, 참고번호(331)는 A/D 컨버터(ADC)를, 참고번호(332)는 ADC(331)로 부터 얻어진 디지탈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필드메모리를, 참고번호(333)는 D/A 컨버터(DAC)를, 참고번호(334)는 ADC(331), 필드메모리(332), 및 DAC(333)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참고번호(309)는 FM변조기, 강화회로등으로 구성된 VTR용 휘도신호처리기를, 참고번호(322)는 주파수 변환기 등으로 구성된 VTR용 크로마 신호 기록처리기를, 참고번호(311)는 회전자기헤드를 그리고 참고번호(312)는 자기 테이프 지칭한다.
이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300)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Y)는 키이드 클램프 회로(301)의 블랭킹 기간을 이용하여 고정된 전위에 클램프되고, 그 다음 그 백색 레벨은 백색 피이크 클립회로(302)에 제한된다. 백색 피이크 클립회로(302)의 출력신호는 블랭킹 기간동안(고정된 전위 레벨로 치환되고) 블랭킹회로(303)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그 흑색 레벨은 흑색 피이크 클립회로(304)에 제한된다. 흑색 피이크 클립회로(304)의 출력신호는 접속 촬영시에 페이드인을 실행하기 위하여 페이드인 회로에 입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 필드 화면을 기억하기 위하여 ADC(331), 필드 메모리(332), DAC(333) 및 콘트롤러(334)로 구성된 메모리 회로에 입력된다.
접속촬영으로서 페이드인 회로(305)는 REC 정지상태로 부터 기록상태까지의 전이가 일어나고, 점차 거의 3초에 걸쳐 흑색 피이크 클립회로(304)의 출력 신호의 페이드인을 실행할때 작동한다. ADC(331), 필드메모리(332), DAC(333) 및 콘트롤러(334)로 구성된 메모리 회로는 REC 정지 상태 직전에 1필드 화면을 기억하고, 페이드아웃트 기간에 걸쳐 접속촬영의 개시에 따라 페이드아웃트회로(330)에 기억된 화상을 출력한다. 접속촬영의 개시에 따라서 페이드아웃트회로(330)는 페이드인 회로(305)와 동기하여 메모리 회로의 출력신호의 페이드아웃트를 실행한다.
페이드인 회로의 출력신호와 페이드아웃트 회로(330)의 출력신호는 각각 키이드 클램프 회로(306, 329)를 통과하고, 가산기(307)에서 가산된다. 가산기(307)에서 가산됨으로써 얻어지는 휘도 신호는 가산기(308)에서 복합동기신호(C.sync)(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로 주어지고, 그 후에 VTR 휘도 신호 기록처리기(309)에서 강화처리 또는 FM 변조와 같이 VTR에 기록되기 위한 신호처리가 행하여진다.
카메라(300)로 부터 출력되는 색차신호(R-Y, B-Y)는 각각 키이드 클램프 회로(313) 및 키이드 클램프회로(314)에 고정된 전위로 클램프된다. 키이드 클램프 회로(313)의 출력신호는 한편으로는 다중기(315)에 입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ADC(331), 필드메모리(332), DAC(333) 및 콘트롤러(334)에 입력된다. 키이드 클램프 회로(314)의 출력신호는 한편으로는 다중기(316)에 입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메모리 회로에 입력된다. 색차신호(R-Y, B-Y)와 90°의 위상차를 갖는 크로마 신호 부반송파(fsc)(NTSC 시스템에서는 거의 3.58MHz의 신호)는 각각 다중기(315, 316)에서 다중화되고, 이 다중화된 신호는 가산기(317)에서 가산됨으로써, 균형 변조 크로마 신호를 얻는다. 크로마 신호는 블랭킹 회로(318)에서 블랭킹 기간동안(고정전위레벨로 치환)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그 후에 그것은 페이드인 회로(319)에 입력된다. 접속촬영의 개시에 따라 페이드인 회로(319)는 휘도 신호계를 위하여 페이드인 회로(305)와 페이드아웃트 회로(330)와 동기하여 블랭킹 회로(318)의 출력신호의 페이드인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REC 정지상태의 작전에 메모리 회로는 1필드 화면을 기억하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1필드 기간동안 그 안에 색차신호(R-Y, B-Y)가 기억된다. 접속촬영의 개시에 따라서, 색차 신호는 메모리 회로로 부터 출력되고, 이들 신호는 다중기(324, 325)와 가산기(326)에 의하여 처리되고, 균형 변조된 크로마 신호로 변환된다.
메모리 회로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 신호는 접속촬영의 개시에 따라 페이드아웃트 회로(327)의 페이드아웃트 처리를 행하게 된다.
페이드인 회로(319)의 출력신호와 페이드아웃트 회로(327)의 출력신호는 각각 키이드 클램프 회로(320, 328)를 통과하고, 가산기(321)에서 함께 가산되고, 그 합신호는 VTR 크로마 신호 기록처리기(322)내의 저역주파수변환 등 VTR내에 기록되도록 신호처리를 행한다.
VTR 휘도신호 기록처리기(309)에서 FM 변조된 휘도신호와 VTR 크로마 신호 기록처리기(322)에서 저역주파수변환된 크로마 신호는 가산기(310)에서 함께 가산되고, 그 후에 자기 테이프(312)상의 회전헤드(311)에 의하여 기록된다.
ADC(311), 필드메모리(332), DAC(333) 및 콘트롤러(334)로 구성된 메모리 회로는 카메라(300)로 부터 공급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 및 REC 정지상태(그 신호는 입력단자(335)로부터 입력됨)를 온/오프하기 위한 REC 정지 온/오프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 9 도에 ADC(331)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R-Y신호는 입력단자(360)로부터 입력되고, B-Y신호는 입력단자(361)로부터 입력된다. 입력된 R-Y신호 및 B-Y신호는 스위치(365)에 의하여 fsc 주파수(NTSC 시스템에서 약 3.58MHz)에서 다중화되고, ADC(367)에서 6비트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되며, 그 다음 출력단자(369)로 부터 출력된다.
휘도신호는 입력단자(362)로부터 입력되고, ADC(368)에서 8비트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되고, 그후 출력단자(370)로 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2-fsc 클럭은 입력단자(363)로 부터 입력되고, 3fsc 클럭은 입력단자(364)로 부터 입력되며, 그 단자들은 각각 ADC(367, 368 )를 구동시킨다.
제 11 도에 DAC(333)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입력단자(386)로 부터 입력된 색차신호의 디지탈 데이타는 DAC(390)와 스위치(391)에 의하여 2개의 R-Y 및 B-Y신호로 D/A 변환되며, LPF(394, 396)에서 불필요한 대역성분을 제거하고, 그 다음 출력단자(399, 396)로 부터 출력된다. 입력단자(388)로부터 입력된 휘도신호의 디지탈 데이터는 DAC(397)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LPF(398)에서 불필요한 대역성분을 제거하며, 출력단자(501)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2-fsc 클럭은 입력단자(387)로부터 입력되고, 3-fsc 클럭은 입력단자(389)로부터 입력되고, 그 단자들은 각각 ADC(390, 397)와 스위치(391)를 구동시킨다.
이상 제 7 도의 상기 시스템에서는 REC 정지상태가 확립되기 바로 직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1필드 화면을 가짐으로써, 크로스페이드 화상이 촬영되고, 그 후 접속촬영이 개시될때 기억된 화상이 페이드아웃트되면서 페이트인된 산화면에 가산된다.
제 8 도에 본 발명의 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8 도의 실시예에서, 제 7 도와 상이한 것은 기억된 크로마 신호의 페이드아웃트와 신크로마 신호의 페이드인 반송 신호 대역(3.58MHz)에서 실행되지 않고, 색차 신호 대역(베이스 대역)에서 실행되며, 메모리회로는 기록시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잡음 감쇄기로서 재생시도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대역의 페이드인 및 페이드아웃트는 이하 설명될 것이다. 카메라(300)로부터 출력된 색차신호(B-Y, R-Y)는 키이드 클램프 회로(313, 314)에서 고정된 전위에 클램프되고, 그 다음 한편으로는 페이드인 회로(336, 337)에, 다른 한편으로는 ADC(349), 필드메모리(350), DAC(351) 및 제어 및 연산회로(352)로 구성된 메모리 회로에 입력된다. 접속촬영이 개시될 때, 페이드인 회로(336)는 2개의 R-Y 및 B-Y신호로 페이드인을 수행한다. 접속촬영이 개시될때, REC 정지상태의 직전에 1필드 화면을 기억하는 메모리 회로는 페이드아웃트 회로(342, 343)에 2개의 R-Y, 및 B-Y 신호를 출력한다. 접속촬영의 개시에 따라 페이드아웃트 회로(342, 343)는 2개의 신호 R-Y, 및 B-Y신호를 페이드아웃트한다.
이들 페이드인 회로(336, 337) 및 페이드아웃트 회로(342, 343)의 출력 신호는 각각 가산기(338, 339)에서 가산되고, 키이드 클램프(keyed clamp) 회로(340, 341)를 통과하였고, 다중기(315, 316) 및 가산기(317)에 의하여 균형 변조된 크로마 신호로 변조된다.
ADC(349), 필드메모리(350), DAC(351)와 제어 및 연산회로(352)로 구성된 메모리 회로는 이하 설명될 것이다.
메모리 회로는 기록시에 1필드 화상의 단순한 메모리 회로로서 동작하나, 그것은 재생시에 1필드 화상의 기억기능을 사용하는 잡음 감쇄기로서 동작한다. 그것은 제어 및 연산회로(352)에서 계산된 1필드 메모리에 데이터를 가짐으로써 잡음 감쇄기로서 제공된다.
제 10 도에서 ADC(349)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록시에 입력단자(371, 372)로 부터 입력된 R-Y, 및 B-Y 신호는 스위치(378)에 위하여 1.5fsc의 주파수에서 다중화되고, 그 다중화된 신호는 스위치(380)를 통하여 ADC(382)에 보내져서, 그 안에서 6비트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되고, 출력단자(384)로부터 출력된다.
입력단자(374)로부터 도입된 휘도신호는 스위치(381)를 통하여 ADC(383)에 보내져서, 그 안에서 8비트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되고, 출력단자(385)로부터 출력된다.
재생시에, 입력단자(373)로부터 도입된 크로마 신호는 스위치(380)를 통하여 ADC(382)에 보내져서, 그 안에서 6비트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된다.
입력단자(373)로부터 도입된 휘도신호 스위치(381)를 통하여 ADC(383)에 보내져서, 그 안에서 8비트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된다.
ADC(382, 383) 및 스위치(378)는 입력단자(376)로부터 도입된 3fsc클럭에 의해 구동되고, 스위치(380, 381)는 입력단자(377)로부터 도입된 REC/PB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 12 도에 DAC(351)의 구체적인 구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록시에, 입력단자(502)로부터 도입된 색차신호의 디지탈 데이터는 DAC(505), 스위치(507, 508) 및 샘플유지회로(S/Hs)(509, 511)에 의해 아날로그 형태의 2개의 신호 R-Y, 및 B-Y신호로 변환되고, 이들 신호는 LPF(510, 512)에서 불필요한 대역성분을 제거하여 출력단자(518, 519)로부터 출력된다.
휘도신호 디지탈 데이터는 입력단자(505)로부터 도입되고, DAC(515)에서 아날로그 휘도신호로 변환되며, LPF(516)에서 불필요한 대역성분을 제거하고, 출력단자(521)로부터 스위치(517)를 통하여 출력된다.
재생시에, 입력단자(502)로부터 도입된 크로마 신호 디지탈 데이터는 DAC(505)에서 아날로그 크로마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신호는 스위치(507)를 통하여 LPF(513)에 보내져서 그 안에서 불필요한 대역성분을 제거하여 출력단자(520)로 부터 출력된다.
휘도신호 디지탈 데이터는 기록시에 동일한 방법으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출력단자(522)로부터 스위치(517)의 PB측을 통하여 출력된다.
DAC(505, 515) 및 스위치(508)는 입력단자(503)로부터 도입된 3fsc클럭에 의해 구동되고, 스위치(507, 517)는 입력단자(504)로부터 도입된 REC/PB 제어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3 도의 실시예의 특징은 접속촬영 기간중에 구신호가 한 필드건너 기록되고(제 13a 도). 그리고 신신호의 접속촬영이 개시될때, 접속기간내에 각 빈 트랙에 선행트랙내의 구신호와 신신호의 합신호의 기록이 행하여지는 것이다.(제 13b 도).
접속기간동안에는, 180°의 간격에서 실린더에 부착된 2개의 통상 기록/재생헤드의 1채널용 헤드(14)가 구신호를 재생하는데 사용되고, 타 채널용 헤드(12)가 신신호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도록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헤드(14)가 테이프(1)에 주사되는 기간중에, 제 13 도에 사선에 의하여 빗금이 쳐 있는 트랙은 헤드(14)에 의해 재생되고, 그 신호는 메모리(26)에 기억된다. 다음 헤드(12)가 테이프(1)에 주사되도록 스위치되는 차기의 기간동안에, 메모리(26)에 기억된 구신호와 입력단자(29)로부터의 신신호는 가산기(31)에서 가산되고, 기록처리된 후에, 그 합신호는 테이프(1)상의 빈 트랙을 따라 기록된다. 다음, 헤드가 스위치되는 차기의 기간동안에, 사선의 빗금이 쳐 있는 트랙은 헤드(14)에 의하여 재생되고, 그 신호는 메모리(26)에 기억되며, 헤드가 스위치되는 차기의 기간동안에, 메모리(26)로부터의 구신호와 신신호는 가산되고, 빈 트랙에 기록된다. 상기 설명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특별한 헤드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기록/재생헤드만을 사용하여 접속기간동안 크로스페이드를 실행하는 것은 가능하다.
감쇄기(27, 30) 및 가산기(31)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제 14 도는 제 13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시스템 블록도이고, 제 15 도는 동일한 것에 대한 타이밍 챠트이다. 제 14 도에서 언급할때, 참고번호(41, 42)는 페이드인/아웃트 스위치를 지칭하고, 기타 부분은 선행도면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REC 정지신호가 제 15 도에서 타이밍 t1에서 온으로 되고, 한편 구신호가 기록될때, 기록전류는 헤드(14)를 통하여 타이밍 t2까지 계속 흐른다. 그러나, 타이밍 t1후에, 페이드아웃트 오프스위치(41)는 개방되어 어떤 기록전류도 헤드(12)를 통하여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기간 t1에서 t2동안에, 헤드(14)만이 동작하고 단일 채널 트랙기록이 이루어진다. 다음, 신신호가 접속기간중에 타이밍 t10에서 기록되기 시작할때, 기록전류는 헤드(12)를 통하여 제 1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이밍 t10에서 개시하는 기록까지 흐르기를 시작한다. 그러나, 페이드인 오프스위치(42)가 타이밍 t20까지 개방되도록 하기 때문에, 어떤 기록전류도 헤드(14)를 통하여 흐르지 않고, 그 사이에 제 15 도에 도시된 것처럼, t10으로부터 t20까지의 접속기간동안에 간헐적인 신호재생이 실행된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제 14 도 및 제 15 도의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신신호가 접속기간동안 기록될때, 구신호와 신신호의 합신호는 1헤드에 의해 기록됨으로써 크로스페이드가 실행된다.
제 16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 16 도의 구성의 특징은 접속기간중의 크로스페이드처리가 기록시에 처리되지 않고, 재생시에 처리되며, 접속기간을 확인하는 판별신호는 선형 트랙상에 기록된다.
제 16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속촬영 기간에서는 구신호(도면에서 사선으로 빗금이 쳐 있음)와 신신호(공란으로 남아 있음)는 교대로 필드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 접속기간이 재생시에서와 같이 재생된다면, 스크린상에 깜박거림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기간중의 판별신호는 제 16 도에 도시된 것(도면에서 사선으로 빗금이 쳐 있는 부분)과 같은 선형트랙을 사용하여 기록된다. 그럼으로써 재생시에 판별신호는 검출되고, 단지 검출된 접속기간동안에만, 필드메모리(26)에 기억된 선행트랙의 영상신호와 전류트랙으로부터의 재생영상신호는 가산되고, 이 가산신호는 출력단자(33)로 부터 출력된다.
특히 필드메모리(26)는 하나씩 건너 재생된 신호를 기억하고, 이 신호는 현재 재생된 트랙(여기서 신신호라 함)으로 부터의 재생신호와 동기하여 메모리(여기서 구신호라 함)로 부터 출력되는데 적합하고, 이 구신호와 신신호는 가산되어 영상신호로서 출력되며, 따라서 접속기간동안 크로스페이드를 가능케 한다.
제 17 도는 제 16 도의 실시예의 시스템 블럭도이다.
제 17 도에서, 참고번호(43)는 선형트랙으로 부터의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헤드를 지칭하고, 참고번호(44)는 그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를 지칭하며, 참고번호(45)는 선형트랙(47)으로 부터의 신호가 접속기간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회로를 지칭하고, 참고번호(46)는 접속기간동안만 온으로 유지되는 스위치를 지칭하며, 다른 부분은 선행도면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 17 도의 특징은 스위치(46)가 접속기간동안만 온으로 유지되고, 그럼으로써 필드메모리(26)로부터의 구신호와 신신호는 가산된다.
판별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은 상기 설명된 것과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그것은 영상신호와 함께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 또는 타임베이스 다중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8 도 및 제 19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 18 도 및 제 19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징은 구신호와 신신호가 접속기간 동안 교대로 필드에 기록되지 않지만, 접속기간의 최초에 신신호용 1기록필드가 구신호용 수개의 필드 사이에 제공되고, 다음 신, 구신호 기록 필드 사이의 비율이 점차 역전되고, 결국 1구신호 기록필드가 수개의 신신호 기록필드 사이에 제공되도록 기록된다는 것이다. 특히 제 19 도에서 페이드아웃트가 t1에서 개시할때, 기록전류가 간혈적으로 흐르기 시작하고, 타이밍 t2까지 서서히 간헐기간을 연장시키고, 페이드인이 t10에서 개시될때, 기록전류의 간헐기간은 상기와 역으로 타이밍 t20까지 서서히 단축된다.
제 20 도, 제 21 도 및 제 22 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페이드 아웃트/인의 시에 신호레벨이 특정레벨에 달할때 페이드 아웃트/인이 실행되고, 따라서 접속 촬영 화상에 의해 시각상 검출되는 위화감은 제거된다.
제 20 도에서, 사선에 의해 빗금친 부분은 구신호를 나타내고, 공란은 후에 거기에 접속되어진 신신호를 나타낸다. 접속기간은 t1과 t2사이에 있고, 구신호로 부터 신신호로의 변경이 그 기간 동안에 일어난다.
제 21 도에 도시된 것처럼, t1에서의 접속기간의 개시에 따라, 장면(1)은 그 신호레벨이 서서히 감소된 채 기록되게 되고, 테이프가 t3까지 진행할 때, 그것이 t4에서 대기상태로 될 때까지 테이프는 자동적으로 되감긴다. 타장면(2)를 기록하려 할때에, VTR과 카메라는 t4에서 동작이 개시되나, 기록상태는 서어보가 안정상태에 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지나고, 장면(2)의 신호레벨이 소정의 레벨에 달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기록상태는 장면(2)의 신호레벨이 페이드아웃트가 실행되는 레벨과 동일한 레벨에 달할 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행함으로써, 재생시의 신호레벨은 제 21 도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지고, 예를들면 변경점에서의 신호레벨은 최대 진폭의 거의 절반이다. 따라서 변경점에서의 신호강하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접속촬영은 화상에 돌발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2 도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타이밍 t1후에 카메라(37)로 부터 신호레벨은 서서히 타이밍 t3까지 페이더(48)에 의해 저하된다. 반면에 타이밍 t4로부터 카메라 (37)로부터의 신호레벨은 타이밍 t2까지 페이더(fader)(48)에 의해 서서히 상승한다.
제 23 도는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접속시에 화면이 모자이크로 분할되며, 1장면은 모자이크내의 변경을 통하여 다른 장면으로 변경된다. 제 24 도는 제 23 도에 도시된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접속기간중에 얻어진 테이프 패턴도이다. 이 도에서 공란부는 구장면의 기록부이고, 빗금친 부분은 신장면에 대한 접속부이다. 도면에서 헤드는 연속트랙에 아래로 부터 위로 주사하기 때문에, 모자이크로 분할된 화면이 서서히 신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이 모자이크 스크린상에 나타난다. 이하 회로의 동작을 제 23 도에 따라서 설명할 것이다. 이 도면에서, 참고번호(101)는 예를들면 성분신호 Y, R-Y 및 B-Y를 출력하는 영상 카메라를 지칭한다. 참고번호(102)는 성분신호를 NTSC(또는 PAL)시스템의 합성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인코우더를, 참고번호(103)는 합성영상신호로 부터의 휘도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BPF를, 참고번호(104)는 FM 변조기와 같은 휘도신호처리기를, 참고번호(105)는 HPF를, 참고번호(106)는 영상신호로 부터의 크로마 신호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BPF를, 참고번호(107)는 수신된 크로마 신호의 저역 주파수 변환기를, 참고번호(109)는 FM변조된 휘도신호와 저역변환된 크로마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를, 참고번호(110)는 기록 증폭기를, 참고번호(111)는 기록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회로를, 참고번호(112)는 자기헤드를, 참고번호(113)는 자기 테이프를 지칭하고, 이들은 기록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소자들이다. 참고번호(114)는 자기헤드를 지칭하고, 참고번호(115)는 재생용 프리앰프를, 참고번호(116)는 재생신호로 부터의 저역변환된 크로마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LPF를, 참고번호(117)는 저역변환된 크로마 신호를 부반송파 대역으로 복조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를, 참고번호(118)는 BPF를, 참고번호(119)는 FM변조된 휘도신호를 재생신호로 부터 분리하기 위한 BPF를, 참고번호(120)는 FM 복조기와 같은 휘도신호처리기를, 참고번호(121)는 샘플유지회로를, 참고번호(122)는 LPF를, 참고번호(123)는 동기분리기를, 참고번호(124)는 스위치를, 참고번호(125)는 수신된 제어신호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참고 번호(126)는 스위치(124)로 부터 공급된 동기신호와 입력단자(127)로 부터 도입된 접속촬영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자이크 화면상에 신장면 기록부에 상응하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회로(111)와 검출기 (125)를 제어하기 위한 패턴신호발생기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기록전류를 제어하는 게이트 회로(111)에 의해 제 2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자이크로 임의로 분할한 트랙을 기록할 수 있고, 재생시에 모자이크로 분할된 화면이 신화면으로 순차 절환됨으로써 접속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재생휘도신호처리기(120)의 차기 단계에 제공된 샘플유지회로(121)는 모자이크 화면의 절환시에 샘플유지를 위해 제공되고, 또한 구화면 재생신호와 신화면 재생신호가 접속될때의 잡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접속촬영을 실행함으로써, 종래의 구화면으로 부터 신화면으로 일시적으로 절환되는 것과는 매우 상이하게, 모자이크를 분할된 화면이 순차적으로 구화면의 모자이크로 부터 신화면의 모자이크로 절환되는 가시적 효과를 제공한다.
제 25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참고번호(130)는 자기 테이프를, 참고번호(131)는 기록헤드를, 및 참고번호(132)는 기록헤드가 1필드 전에 기록한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헤드를 지칭한다. 참고번호(133)는 재생증폭기를, 참고번호(134)는 재생신호로 부터 휘도신호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BPF를, 참고번호(135)는 FM변조기와 같은 재생휘도신호처리신호기를, 참고번호(136)는 LPF를, 참고번호(137)는 재생신호로 부터 크로마 신호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BPF를, 참고번호(138)는 BPF(137)에 의해 분리된 크로마 신호를 부반송파 대역으로 복조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기를, 참고번호(139)는 BPF를, 참고번호(140)는 복조된 휘도신호와 부반송파 크로마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복합영상신호를 형성하는 가산기를, 및 참고번호(141)는 재생신호처리기를 지칭한다. 참고번호(142)는 CCD 촬상 소자와 같은 Y, R-Y 및 B-Y신호를 공급하는 센서를 지칭한다.
또한 참고번호(143)는 센서(142)를 구동하기 위하여 재생영상신호로 부터 분리된 동기신호로 부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구동기(image pickup device driver)를, 참고번호(144)는 영상 카메라를, 참고번호(145)는 영상 카메라(144)로부터 출력된 Y, R-Y 및 B-Y신호를 복합신호로 합성하는 인코우더를, 참고번호(146, 147, 148)는 가산기를, 참고번호(149)는 피이드백 증폭기를, 참고번호(150)는 스위치를, 참고번호(151)는 접속촬영페이더를, 참고번호(152)는 휘도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LPF를, 참고번호(153)는 FM 변조기와 같은 휘도신호처리기를, 참고번호(154)는 HPF를, 참고번호(155)는 크로마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BPF를, 참고번호(156)는 크로마 신호의 저역변환용 주파수 변환기를, 참고번호(157)는 BPF를, 참고번호(158)는 FM 변조된 휘도신호와 저역변환된 크로마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기를, 참고번호(159)는 기록신호처리기를, 참고번호(160)는 기록증폭기를, 참고번호(161)는 재생영상신호로 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분리기를, 참고번호(162)는 부반송파 주파수 발진기를, 참고번호(163)는 크로마 신호의 저역변환에 사용되는 저역 부반송파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전압제어발진기를, 참고번호(164)는 주파수 변환기를, 참고번호(165)는 BPF를, 참고번호(166)는 위상 검출기를, 참고번호(167)는 저역 부반송파 주파수 발진기를, 참고번호(168)는 주파수 변환기를, 참고번호(169)는 BPF를, 및 참고번호(170)는 접속촬영제어신호용 입력단자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후행(後行) 헤드(132)에 의해 판독된 신호는 재생신호처리기(141)에서 복합 영상신호로 복조되고, 접속촬영페이더(151)에 입력된다. 그후, 영상카메라(144)는 재생신호로 부터 분리된 동기신호와 동기하여 동작함으로써, 접속촬영페이더(151)에 입력된 재생영상신호와 영상카메라(144)로 부터의 기록영상신호는 시간축상에서 서로서로 일치한다.
위상 검출기(166), VCO(163), 주파수 변환기(164), BPF(165) 및 fsc 발진기(162)로 구성된 재생 APC회로는 재생신호처리기(141)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내의 버스트 신호(burst signal)와 인코우더(145)에 입력된 부반송파 주파수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을 위상 검출기(166)에서 비교함으로써, 접속촬영페이더(151)에 입력된 구신호(재생신호)와 신신호(기록신호)의 버스트 신호의 위상을 일치시키도록 APC 제어를 실행한다.
스위치(150)는 정상 기록모우드에서의 백색원으로 나타낸 측과 접속되나, 접속촬영모우드에서는 흑색원으로 나타낸 측과 접속된다.
접속촬영페이더(151)는 영상 카메라(144)로 부터의 기록신호가 서서히 접속촬영 기간중에 가산기(147)에서 자기헤드(132)로부터의 재생신호에 가산되고, 따라서 구화면으로 부터 신화면으로 서서히 페이딩하는 접속촬영을 행하는데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산기(148)와 피이드백 증폭기(149)를 통하여 가산기(146)로 제어신호를 피이드백 함으로써 피이드백 제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산기(146)의 출력신호가 흑색원으로 나타낸 측에서 스위치(150)의 입력신호로서 사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헤드(131)와 제 2 헤드(132)는 반대의 정, 부의 방위각으로 제공되고, 전체 4개의 헤드가 제공된다. 8mm비디오의 경우에 예를 들면, 도면에서 문자 d로 나타낸 헤드간의 거리를 2.5H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6 도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고번호(171)는 정통(lens-barrel)을, 참고번호(172)는 자동촛점회로를, 참고번호(173)는 촬상소자를, 참고번호(174)는 신호 처리기를, 참고번호(175)는 영상 신호용 출력단자를, 및 참고번호(176)는 접속 촬영 제어신호용 입력단자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영상 카메라에서, 촬상소자(173)는 광학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신호는 신호처리기(174)에서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VTR부에 출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접속 모우드를 나타내는 제어신호용 입력단자(176)로 제공되고, 그럼으로써 접속모우드에서 자동촛점회로(172)는 제어되어, 구화면의 페이드아웃트 처리가 행하여지는 동안 포커스아웃트를 실행한다. 자동촛점회로(172)는 또한 제어되어, 신화면의 페이드인 처리를 행하면서 포커스인을 실행한다.
상기 언급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접속촬영모드에서 페이드아웃트/인 뿐만 아니라 포커스아웃트/인이 실행되므로, 화상의 훨씬 매끄러운 절환이 이루어진다.

Claims (3)

  1.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1, 제 2 자기 기록헤드와, 제 1, 제 2 판독헤드와, 합성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자기 기록헤드는, 회전실린더 상의 제 1 면을 따라 장착되어 자기기록테이프에 영상신호를 기록하며, 상기 제 1 기록헤드는 제 1 방위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기록헤드는 제 2 방위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2 방위각은 상기 제 1 방위각과 다르고 ; 상기 제 1, 제 2 판독헤드는, 회전실린더 상의 제 2 면을 따라 장착되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판독하며, 상기 제 1 판독헤드는 제 1방위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판독헤드는 제 2 방위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면은, 회전실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오프셋(offset)되어 있고 ; 상기 합성회로는, 1이상의 판독헤드와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어 1이상의 판독헤드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로 부터 판독된 1이상의 제 1 영상신호성분과 영상 신호원으로 부터의 제 2 영상신호를 합성하고, 또한 1이상의 기록헤드와 동적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합성된 영상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할 1이상의 기록헤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1, 제 2 판독헤드와 접속된 재생회로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재생회로는 제 1, 제 2 판독헤드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로 부터 판독된 제 1, 제 2 영상신호성분을 처리하여 출력영상신호를 산출하며, 또한 합성회로와 접속되어 제 1 영상신호성분을 합성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합성회로는 제 1 기록헤드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
  3.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1이상의 제 1, 제 2 기록헤드와, 1이상의 제 1, 제 2 판독헤드와, 재생회로와, 영상신호입력과, 합성회로와, 공급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1이상의 제 1, 제 2 기록헤드는, 자기 테이프 상의 경사진 트랙에 영상신호를 기록하고, 상기 제 1, 제 2 기록헤드는 제 1 면의 회전실린더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면은 회전실린더의 축과 일반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제 1 기록헤드는 제 1 방위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2 기록헤드는 제 2 방위각을 가지고 있고 ; 상기 1 이상의 제 1, 제 2 판독헤드는,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신호의 제 1, 제 2 신호성분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헤드는 제 2 면의 회전실린더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제 1 면으로 부터는 축으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 1 판독헤드는 제 1 방위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2 판독헤드는 제 2 방위각을 가지고 있고 ; 판독헤드에 접속된 상기 재생회로는 (i) 제 1, 제 2 판독헤드에 의해서 자기 테이프로 부터 판독된 제 1, 제 2 영상신호성분을 출력영상신호로 처리하고, 상기 출력영상신호를 영상신호출력에 공급하며, (ii) 제 1 영상신호성분을 제 1 영상신호성분출력에 공급하고 ; 상기 영상신호입력은, 영상 신호원으로 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드리고 ; 상기 합성회로는, 영상신호입력 및 제 1 영상신호성분출력과 접속되어 제 1 영상신호성분 및 입력영상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하고 ; 상기 공급회로는, 합성영상신호를 제 1 기록헤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
KR1019890000945A 1988-01-29 1989-01-28 자기 기록·재생 장치 KR920003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7040 1988-01-29
JP63017040A JPH01194114A (ja) 1988-01-29 1988-01-29 磁気記録再生方式
JP63-17040 198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96A KR890012496A (ko) 1989-08-26
KR920003718B1 true KR920003718B1 (ko) 1992-05-09

Family

ID=1193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945A KR920003718B1 (ko) 1988-01-29 1989-01-28 자기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92891A (ko)
JP (1) JPH01194114A (ko)
KR (1) KR920003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8387A (ja) * 1988-06-20 1989-12-22 Pioneer Electron Corp カメラ一体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318388A (ja) * 1988-06-20 1989-12-22 Pioneer Electron Corp カメラ一体型磁気記録再生装置
EP0423681B1 (en) * 1989-10-16 1997-04-23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cross-fader
JP3166247B2 (ja) * 1991-12-12 2001-05-14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3019912B2 (ja) * 1994-07-22 2000-03-1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編集装置
US5802226A (en) * 1996-03-29 1998-09-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fade effect with a single video source
JPH10322651A (ja) 1997-05-19 1998-12-04 Sony Corp 再生装置、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JP3916029B2 (ja) * 1999-07-30 2007-05-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
US7826174B2 (en) * 2006-03-31 2010-11-02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plasmonic transmission along line of ferromagnetic nano-particles with reproducing method using fade-in memory
JP2011176541A (ja) * 2010-02-24 2011-09-08 Sony Corp 立体映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192704B1 (ko) * 2013-10-22 202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912A (ja) * 1982-08-27 1984-03-03 Nec Corp Pcmオ−デイオエラ−補正回路
JPS6278978A (ja) * 1985-10-02 1987-04-11 Sanyo Electric Co Ltd Vtrの映像記録方法
US4706135A (en) * 1986-01-10 1987-11-10 Tokai Television Broadcasting Company Limited Video recording apparatus with editing and mixing of delayed monitored video signal using equidistant record, read and erase heads
JPH0752487B2 (ja) * 1986-02-21 1995-06-05 ティアツク株式会社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US4858033A (en) * 1987-03-18 1989-08-15 Chippendale Arthur J Apparatus for pacing, queing and equipment control in audiovisual 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96A (ko) 1989-08-26
US4992891A (en) 1991-02-12
JPH01194114A (ja) 198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718B1 (ko) 자기 기록·재생 장치
US5260776A (en) Imag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herein digital color processing means includes a ROM for storing processor programs
US5130860A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EP0405491A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still image signal
CA2032960C (en) Video disk recording apparatus
US5461485A (en) Video camera with selective compensation for still picture recording in response to shutter operation
US5585934A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motion-image and still-image recording
US5732186A (en) Image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special-effects-processing capability
US6173108B1 (en) Image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5159461A (en) Image signal recording apparatus
JPS62277882A (ja) カラ−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S63102081A (ja) ヘツド移動装置
JPS6320073B2 (ko)
JP2535948B2 (ja) 画像記録システム
JP2911135B2 (ja) ビデオプリンタ
JPH0614727B2 (ja) 磁気記録装置
JPS6352376A (ja) 磁気記録装置
JP2759971B2 (ja) 撮像装置
JP2544358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3140472B2 (ja) スチルビデオ装置
JP3241361B2 (ja) Vtr付きビデオカメラ
JPH0795535A (ja) 撮像記録再生装置
JPS60194683A (ja) 映像信号記録装置
JPH05308609A (ja) 映像信号記録装置及び/又は再生装置
JPH02180483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