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235B1 -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235B1
KR940006235B1 KR1019900012855A KR900012855A KR940006235B1 KR 940006235 B1 KR940006235 B1 KR 940006235B1 KR 1019900012855 A KR1019900012855 A KR 1019900012855A KR 900012855 A KR900012855 A KR 900012855A KR 940006235 B1 KR940006235 B1 KR 94000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andle
hydraulic
power cylind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417A (ko
Inventor
쯔까사 오까모또
슈지 오오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또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0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30Safety devices, e.g. alternate emergency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means to ensure steering upon failure of the primary steering means
    • B62D5/32Safety devices, e.g. alternate emergency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means to ensure steering upon failure of the primary steering means for telemo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 개략도.
제 2 도는 절환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3 도는 핸들의 회전 취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전달축의 서포트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6 도는 래크, 피니온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VII-V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8 도는 뒤차축 비임에 대하여 파워 실린더, 절환 밸브, 래크, 피니온 기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평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일부 절단 정면도.
제10도는 핸들축에 스토퍼를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절환 밸브에 대하여 배관을 고정 배관으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2도는 종래의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
4 : 파워 실린더 5 : 조타륜
6, 7 : 유압 라인 9 : 연결 라인
10 : 절환 밸브 11 : 밸브 보디
18 : 밸브 스플 25, 26 : 기어
27 : 전달축 33 : 래크, 피니온 기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포크 리프트(지게차)와 같은 산업 차량에 사용되는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핸들의 회전각과 타이어 꺽임각의 벗어남을 보정하는 유효한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12도는 종래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예시한 것이고, 이 장치는 핸들(51)에 의하여 조작되는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52)와, 조타륜(55)을 조타시키기 위한 양 로드형의 파워 실린더(54)와, 그들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52)와 파워 실린더(54)를 연통하기 위한 2개의 유압 라인(56, 5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핸들(51)이 조작되면,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52)가 유압 펌프(53)에서 보내지는 압유중, 핸들 회전각에 비례하는 량의 압유를 파워 실린더(54)에 공급하여 조타륜(55)을 조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의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핸들(51)과 조타륜(55)이 기계적인 연결을 가지지 않는 관계로, 상기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52)의 내부 누설로 인하여, 조타를 반복하는 중에 핸들 회전각과 실런더 스토포크(조타륜의 꺽임각)의 상대 위치 관계에 벗어남이 생기고, 특히 포크 리프트와 같이 핸들(51)에 노브(51a)를 갖춘 것은 차량의 직진시에 있어서 핸들 중립 위치가 고장나 운전자에 위화감을 부여하거나 조작성을 나쁘게 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문에, 종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핸들 회전각 센서(61)와, 실린더 스토로크 센서(62)를 설치하고, 핸들(51)이 파워 실린더(54)에 대하여 지체 상태인지 아닌지를 항상 제어기(63)에 의하여 감시하고, 지체가 기준치를 초과했을 때는 제어기(63)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64)를 열어 파워 실린더(54)의 고압측에서 저압측(탱크 회로)으로 압유를 흐르게 하여 파워 실린더(54)의 동작을 지체시킴으로서 상기 벗어남을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기(63)를 이용한 전기적 보정 방식의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서는 에를들면 특개소61-270646호 공보 또는 실개소64-16485호 공보를 들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술의 전기적 보정 방식에서는 각 센서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신호를 얻는데는 충분하게 방진, 방수 대책(특히 실린더 스토로크 센서는 뒤차축의 타이어 부근에 위치하는 관계로서 먼지를 정면으로 피하기 쉽다)을 필요로 하는 것이고, 그때문에 가격이 높다. 제어기의 마이크로 프로센서 등은, 비, 진동 등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따르는 가격을 필요로 하고, 게다가 2개의 신호 처리를 위한 것만으로 이용되는 제어기는 그것 자체가 가격이 높게 된다. 즉 종래의 전기적 보정 방식은 가격이 높게 되는 점에 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술한 전기적인 위치 이탈 보정을 기계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즉, 핸들에 의하여 조작되는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와, 조타륜을 조타시키는 양 로드형 파워 실린더와, 상기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와 파워 실린더를 연결하는 2개의 유압 라인을 갖추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타륜을 유압 조타하는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상기 파워 실린더의 양 유실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에 라인 개폐용의 절환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2개의 유압 라인을 접속하는 형태에서 설치되던지 또는 유압 라인과는 관계없이 파워 실린더의 양 유실을 직접 접속하는 형태로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환 밸브는 그 밸브 보디와 밸브 스플 둘중 한쪽이 파워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상기 핸들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계적인 동력 전달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핸들계와 실린더계의 기계적 변위가 밸브 보디와 밸브 스플에 전달되어 절환 밸브가 개폐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용]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핸들이 회전 조작되고, 파워 실린더가 동작되면, 그들의 동작은 절환 밸브의 밸브 보디와 밸브 스플에 대하여 동방향의 동작으로서 각각 전달된다. 즉, 절환 밸브의 밸브 보디와 밸브 스플을 핸들축(기계적 동력 수단측)과 실린더측으로 나누어서 연결하고 있으므로, 핸들 회전각과 파워 실린더의 로드의 위치의 벗어남은 밸브 보디와 밸브 스플이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로서 나타난다. 이때 절환 밸브는 핸들 회전각과 실린더 스토르크의 벗어남이 설정치이내이면, 밸브 보디와 밸브 스플과의 상대 위치는 적기 때문에, 절환 밸브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로 되고 벗어남의 보정은 되지 않는다. 더우기, 상기 벗어남이 핸들 지체 상태에서 발생하고, 그 벗어나는 량이 설정치를 초과하여 있을 때는 밸브 보디와 밸브 스플의 상태 위치가 변하고 절환 밸브의 유로가 개방되어 파워 실린더의 고압측과 저압측을 단락한다. 따라서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에서 토출되는 유압의 일부가 고압측에서 저압측으로 흐르고, 파워 실린더의 작동을 지체시켜 상기 벗어남을 보정한다. 즉 본 발명은 핸들 회전각과 실린더 스토로크를 기계적 변위로서 취출하고, 그 기계적 변위치를 이용하여 위치 벗어남 보정용의 절환 밸브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위치 벗어남을 보정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9 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제 1 도에서, 도면부호 1은 노브(1a)를 구비한 핸들, 2는 핸들(1)에 의하여 조작되어 유압 펌프(3)에서 보내지는 유압중, 핸들 회전각에 비례하는 유량을 토출하는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이하, 실시예에서는 간단히 밸브 유니트라 약칭한다), 4는 조타륜(5)을 조타하기 위한 양 로드형의 파워 실린더이고, 그리고 밸브 유니트(2)와 파워 실린더(4)는 2개의 유압 라인(6, 7)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8은 오일 탱크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이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핸들 회전각과 실린더 스토로크의 위치 벗어남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유압 라인(6, 7)이 연결 라인(9)에 의하여 접속되고, 이 연결 라인(9)에는 위치 벗어남 보정용으로서의 절환 밸브(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절환 밸브(10)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밸브 보디(11)는 상기 유압 라인(6, 7)에 접속되는 2개의 유압 포트(12, 13)와, 그들 양 유압 포트(12, 14)를 상호 연통하기 위한 2개의 통로(14, 15)를 구비하고 각 통로(14, 15)에는 흐름의 저지 방향을 다르게 하는 체크 밸브(16, 17)가 조립되어 있다. 밸브 보디(11)의 스플공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 밸브 스플(18)은 항상 리턴 스프링(19)에 의하여 도시의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이 위치에서는 밸브 격간(20, 21)이 폐쇄되고, 양 유압 포트(12, 13)의 연통을 끊고 있다.
그리고, 밸브 스플(18)가 밸브 보디(11)에 대하여 도시좌우의 축방향에 상대 이동했을 때는 밸브 격간(20) 또는 (21)을 열어 양 유압 포트(12, 13)를 통로(14, 15)를 거쳐 연통한다. 이 경우에서, 체크 밸브(16, 17)는 양 유압 포트(12, 13) 사이에 있어서 흐름의 방향을 규제한다. 즉, 절환 밸브(10)내의 기름의 흐름은 실선의 화살표로서 나타내는 유압 포트(12)→우측 밸브 격간(20)→통로(14)→유압 포트(13)와 파선의 화살표로서 나타내는 유압 포트(13)→통로(15)→밸브 격간(21)→유압 포트(12)의 2통로의 흐름으로 규제되어 있다.
상술과 같은 구성의 절환 밸브(10)는 밸브 보디(11)가 상기 파워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 4a(또는 피스톤 로드(4a)와 조타륜(5)을 연결하는 타이 로드(22)나 너클(23)에서도 가능)와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또 밸브 스플(18)이 핸들(1)과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동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거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 핸들(1)과 밸브 스플(18)을 연결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의 개략도 및 제 3 도와 제 4 도의 단면도에 나타나듯이, 밸브 유니트(2)를 구동하는 핸들(1)의 핸들축(24)에서 한쌍의 기어(25, 26)를 거쳐 핸들 회전이 전달축(27)에 취출된다. 전달축(27)은 일단이 종동측 기어(26)축에 유니버셜 조인트(28)를 거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절환 밸브(10)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도중에 유니버셜 조인트(29)를 포함하는 동시에, 축서포트(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달축(27)는 2개의 유니버셜 조인트(29)를 갖추고, 그들 유니버셜 조인트(29)의 한쪽 요크측에 스플 라인축(31)이 장치되고, 스플 라인축(31)이 상기 축서포트(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통부재(32)에 스플라인식으로 끼워져 있다.
전달축(27)의 회전은 래크, 피니온 기구(33)를 거쳐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절환 밸브(10)에 전달된다. 즉, 제 6 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달축(27)의 선단에는 피니온(34)이 유니버셜 조인트(36)를 거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피니온(34)과 치합하는 래크(35)의 일단이 절환 밸브(10)의 밸브 스플(18)의 일단과 타이 로드(37)를 거쳐 연결되고 있다. 또한, 피니온(34)은 기어 케이스(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래크(35)는 기어 케이스(38)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며, 고무 부츠(39)에 의하여 은폐되어 있다.
통상의 경우, 상기 핸들계는 밸브 유니트(2)의 내부 지체 등에 원인하여 파워 실린더(4)가 스토로크 엔드에 도달하여도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것을 고려하여, 상기 래크(35)의 양 단부에는 도망갈 홈(35a)이 형성되고, 핸들계가 파워 실린더(4)의 스토로크 엔드를 초과하여 회전시켰을 때는 피니온(34)이 래치(35)에서 벗어나 핸들계에 과대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일단 벗어난 피니온(33)과 래크(35)의 재차 치합은 핸들(1)의 역전시에 파워 실린더(4)에 의하여 절환 밸브(10)를 거쳐 래크(35)가 움직여지는 것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의 래크(35)에서 피니온(34)을 떼어내기 위한 도망갈 홈(35a)를 설치하는 방식은 말하자면 밸브 유니트(2)의 내부 지체에 원인하는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들축(24)에 그 스토로크 엔드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하여 밸브 유니트(2)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은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핸들축(24)에서 나사(24a)를 설치하고, 이 나사(24a)에 나사 결합한 스토퍼로서 너트(43)를 핀(44)에 의하여 축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회전 정지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 8 도 및 제 9 도는 상기 파워 실린더(4), 절환 밸브(10) 및 래크, 피니온 기구(33)를 뒤차축 비임(40)에 조립한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포크 리프트의 뒤차축 비임(40)은 통상의 경우, 소정 간격으로서 대치하는 상하 2매의 플레이트(41)를 전후 2매의 플레이트(42)에 의하여 결합한 거의 직사각형의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뒤차축 비임(40)의 박스형 공간내의 중앙부에는 파워 실린더(4)가 수평으로 배치 고정되고, 상부에는 래크, 피니온 기구(33)가 파워 실린더(4)와 평행으로 배치 고정되고, 좌우 어느쪽이든 한측에는 절환 밸브(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환 밸브(10)는 밸브 보디(11)가 파워 실린더(4)의 로드(4a)와 브리킷(11a)을 거쳐 연결되고, 밸브 스플(19)이 래크, 피니온 기구(33)의 래크(35)와 타이 로드(37)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는 절환 밸브(10)로의 배관(9)을 호스에 의하여 파워 실린더(4)에서 취출하여 이른바 가소성 배관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워 실린더(4)의 로드(4a)에 유로로서의 구멍을 뚫어서 파이프에 의한 고정 배관(9)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한 것이고, 이하 그 작용을 설명한다.
핸들(1)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밸브 유니트(2)를 구동시켜 유압 라인(6)측에 핸들 회전각에 비례하는 량의 유압을 토출하면, 파워 실린더(4)의 도시 좌측의 유실에 압유가 공급되어 로드(4a)가 도시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따라서 절환 밸브(10)의 밸브 보디(11)도 도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핸들(1)의 회전은 한쌍의 기어(25, 26)에서 전달축(27)을 지나 래크, 피니온 기구(33)로 전달시키고, 이 래크, 피니온 기구(33)의 래크(35)를 거쳐 직선 운동으로 하여 절환 밸브(10)의 밸브 스플(18)에 도시 우측으로의 이동력으로서 전달된다. 즉 핸들(1)의 기계적 변위가 절환 밸브(10)의 밸브 스플(18)에 전달되고, 파워 실린더(4)의 기계적 변위가 절환 밸브(10)의 밸브 보디(11)에 전달된다.
이때, 핸들(1)의 회전각과 파워 실린더(4)의 실린더 스토로크에 위치 벗어남이 없으며, 절환 밸브(10)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 채이고, 따라서 위치 벗어남 보정 작용은 행하여지지 않지만, 위치 벗어남이 핸들 지체측에 발생했을때, 즉 핸들(1)이 파워 실린더(4)에 대하여 지체되어 있을 때는 위치 벗어남의 보정 작용이 행하여진다. 즉 핸들계가 지체되어 있는 경우는 제 2 도에서 밸브 스플(18)이 밸브 보디(11)에 대하여 인출되고(도시 좌측으로 상대 이동), 도시 우측의 밸브 격간(20)이 개방해서 고압측의 유압 포트(12)와 저압측의 유압 포트(13)가 연통한다. 그때문에 밸브 유니트(2)에서 토출되는 압유중, 일부의 압유가 유압 라인(6)에서 절환 밸브(10)내를 실선의 화살표로서 나타내는 경로에서 저압측의 유압 라인(7)으로 흐른다. 따라서, 파워 실린더(4)의 작동이 지체되고, 이것에 핸들(1)의 회전이 추구하게 된다. 이와같이 밸브 유니트(2)에서의 압유의 토출량에 오차가 생기어도, 파워 실린더(4)의 실린더 스토로크는 핸들 회전각에 비례한 것으로 된다.
한편, 핸들(1)의 회전이 파워 실린더(4)의 작동보다 먼저 진행하고 있을 때는 밸브 스플(18)이 밸브 보디(11)내에 인입(도시 위치보다도 우측으로 이동한다)함으로, 이때는 좌측의 밸브 격간(21)이 열리지만, 체크 밸브(17)에 의하여 고압측의 유압 포트(12)에서 저압측의 유압 포트(13)로의 흐름을 저지하고, 압유가 피압측으로 유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핸들(1)이 진행측으로 벗어나 있는 경우는 그 보정 작용이 행하여지지 않고, 핸들(1)이 지체 상태인 반대 방향의 회전 조작시에 보정된다. 또한, 그때의 절환 밸브(10)의 작동은 상술의 위치 벗어남 보정 작용시의 역으로 되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에서 압유가 고압측의 유압 포트(13)에서 저압측의 유압 포트(12)로는 유출되는 것에 의하여 위치 벗어남이 보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절환 밸브(10)에 전달되는 기계적 변위가 핸들계와 파워 실린더계에서 다르도록 설정하고 있다. 즉 래크(35)의 이동 속도가 파워 실린더(4)의 이동 속도보다도 약간 지체하도록 핸들 회전 전달계에 있어서 한쌍의 기어(25, 26) 또는 래크, 피니온 기구(33)의 기어비를 설정하고 있다. 이와같이 설정했을때는 핸들(1)이 회전되었을때의 밸브 보디(11)와 밸브 스플(18)의 위치 벗어남에 따른 상대 이동을 래크(345)의 이동 속도와 파워 실린더(4)의 이동 속도를 1 대 1로 설정한 경우보다도 빠르게 행할 수 있다. 즉, 위치 벗어남에 대하는 절환 밸브(10)의 반응 속도를 높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절환 밸브(10)의 통로(14, 15)에서 설치된 체크 밸브(16, 17)는 압유가 고압측에서 저압측으로 유출하고 있는 위치 벗어남 보정 작용에 급격하게 핸들(1)을 반전한 경우에 있어서 압유의 역류를 저지하여 파워 실린더(4)의 정상 작동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압유가 유압 라인(6)에서 유압 포트(12)→밸브 격간(20)→통로(14)→유압 포트(13)를 지나 유압 라인(7)으로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핸들(1)이 반전되었을때, 압류가 유압 포트(13)→통로(14)→밸브 격간(20)→유압 포트(12)를 지나 유압 라인(6)으로 흐르면, 파워 실린더(4)가 작동 불능 상태로 빠질 염려가 있지만, 이때 체크 밸브(16)가 밸브 격간(20)측으로의 흐름을 정지함으로써, 파워 실린더(4)를 정상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계를 밸브 스플(18)에 연결하고, 파워 실린더계를 밸브 보디(11)에 연결했지만, 이것을 역으로 하여도 지정없다. 단, 그때는 핸들계의 이동 속도가 파워 실린더계의 이동 속도보다도 약간 빠르게 되는 밸브 보디(11)의 이동 속도가 밸브 스플(18)의 이동 속도보다도 약간 빠르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 라인(6, 7)을 접속하는 형태에서 연결 라인(9)을 설치하고, 이것에 절환 밸브(10)를 설치하고 있지만, 파워 실린더(4)의 양 유실을 직접 연통하는 형태에서 연결 라인(9)을 설치하고, 이것에 절환 밸브(1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변경하여도 실시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핸들 회전각과 실린더 스토로크를 각각 기계적 변위로서 취출하고, 그 기계적 변위차를 이용하여 위치 벗어남 보정용의 절환 밸브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고, 제어기를 이용하여 전기적 제어에 의하여 위치 벗어남 보정을 행하고 있는 종래 방식에 비하여 가격이 낮은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핸들계의 동력 전달계에 대하여는 절환 밸브를 절환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를 전달할 뿐이므로, 소형의 것으로 제작되며 스페이스적으로 쉽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핸들(1)에 의하여 조작되는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2)와, 조타륜(5)을 조타시키기 위한 양 로드형 파워 실린더(4)와, 상기 파워 스티어링 밸브 유니트(2)와 파워 실린더를 연결하는 2개의 유압 라인(6, 7)을 가지며, 상기 핸들(1)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조타륜(5)을 유압 조타하는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 실린더(4)의 양 유실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9) 개폐용의 절환 밸브(10)를 설치하고, 상기 절환 밸브(10)의 밸브 보디(11)와 밸브 스플(18)들중 어느 한쪽을 상기 파워 실린더(4)의 로드에 연결하고, 다른쪽을 상기 핸들(1)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계적인 동력 전달 수단(25, 25, 27, 33)에 연결하고, 핸들계와 실린더계의 기계적 변위를 밸브 보디(11)와 밸브 스플(18)에 전달하여 절환 밸브(10)를 개폐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9900012855A 1989-08-22 1990-08-21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940006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407 1989-08-22
JP1215407A JPH0379474A (ja) 1989-08-22 1989-08-22 全油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417A KR910004417A (ko) 1991-03-28
KR940006235B1 true KR940006235B1 (ko) 1994-07-13

Family

ID=1667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855A KR940006235B1 (ko) 1989-08-22 1990-08-21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62494A (ko)
EP (1) EP0414213B1 (ko)
JP (1) JPH0379474A (ko)
KR (1) KR940006235B1 (ko)
DE (1) DE6901550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6679C2 (de) * 1998-08-13 2000-06-08 Daimler Chrysler Ag Fahrzeuglenkung
DE102004007833A1 (de) * 2004-02-18 2005-09-08 Zf Lenksysteme Gmbh Hydraulische Servolenkung
CN100515847C (zh) * 2007-12-10 2009-07-22 常州科研试制中心有限公司 双向驾驶车辆转向液压系统
CN105539133B (zh) * 2016-02-14 2018-07-27 秦皇岛燕大一华机电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行式液压动力牵引车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6734A (en) * 1957-09-27 1959-07-28 Allis Chalmers Mfg Co Hydraulic steering system for jointed vehicles
JPS5795256A (en) * 1980-12-04 1982-06-14 Kayaba Ind Co Ltd Completely hydraulic power steering
GB2107263B (en) * 1981-07-28 1985-01-16 Honda Motor Co Ltd Vehicular steering system
DE3246137C2 (de) * 1982-12-14 1985-02-14 Danfoss A/S, Nordborg Hydrostatische Lenkeinrichtung
JPS59167371A (ja) * 1983-03-11 1984-09-20 Nippon Seiko Kk 全油圧式動力舵取装置
US4703819A (en) * 1985-02-27 1987-11-03 Nissan Motor Co., Ltd. Full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JPS61261164A (ja) * 1985-05-13 1986-11-19 Nissan Motor Co Ltd 全油圧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S61270646A (ja) * 1985-05-24 1986-11-29 Fuji Photo Film Co Ltd 化学分析装置
US4798256A (en) * 1986-11-08 1989-01-17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Hydrostatic auxiliary steering device
JPS63291772A (ja) * 1987-05-26 1988-11-29 Komatsu Ltd 油圧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S643573A (en) * 1987-06-25 1989-01-09 Nippon Denki Home Electronics Apparatus for inspecting and adjusting substrate mounted with parts
JP2554087B2 (ja) * 1987-07-08 1996-11-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ユニットのフレ−ム支持構造
JPH02155877A (ja) * 1988-12-07 1990-06-14 Yutani Heavy Ind Ltd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角のずれ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4213A2 (en) 1991-02-27
KR910004417A (ko) 1991-03-28
EP0414213B1 (en) 1994-12-28
DE69015508D1 (de) 1995-02-09
DE69015508T2 (de) 1995-05-11
JPH0379474A (ja) 1991-04-04
EP0414213A3 (en) 1993-04-28
US5062494A (en)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702A (en) Four-wheel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JP2802726B2 (ja) 流体式特に液圧式サーボ装置
US4449601A (en) Power-assisted steering gear assembly
CA1134279A (en) Unloader for power steering
KR940006235B1 (ko) 전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4195706A (en) Power steering valve system
JP2006232271A (ja) 減じられた監視手間を有するアクティブな液圧式ステアリング
US6345682B1 (en) Valve arrangement for power-assisted steering systems
JPH02120188A (ja) 自動車用後輪付加かじ取り装置
US5048852A (en) Four-wheel steering apparatus
JPH028942B2 (ko)
US3868888A (en) Vehicle steering gear assembly
US5937966A (en) Power ste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JPH0156018B2 (ko)
US4595071A (en) Hydraulic power-assisted steering gear for vehicles
KR100215321B1 (ko) 서보조향장치
KR960005852B1 (ko) 차량의 후륜 조종장치의 중립조정방법
US6085633A (en) Steering gear device
EP0410942A1 (en) A hydraulic steering system with two pistons and dual calibration, particularly for commercial vehicles
CN112623024B (zh) 转向系统及工程车辆
JPH03178877A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2556154B2 (ja) 全油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0255439A (ja) 油圧式動力舵取装置
WO2002046020A1 (de) Steer by wire kenkung mit hydraulischem feedback aktuator
JP393828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