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227Y1 -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227Y1
KR940006227Y1 KR2019900019346U KR900019346U KR940006227Y1 KR 940006227 Y1 KR940006227 Y1 KR 940006227Y1 KR 2019900019346 U KR2019900019346 U KR 2019900019346U KR 900019346 U KR900019346 U KR 900019346U KR 940006227 Y1 KR940006227 Y1 KR 940006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ort
turning
line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226U (ko
Inventor
박희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9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227Y1/ko
Publication of KR920012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2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3Drives or 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제1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
제2도는 종래 유압 시스템의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 조절기 2 : 메인콘트롤 밸브
3 : 선회모터 4 : 리모트 콘트롤 밸브
11 : 좌선회 리모트 콘트롤라인 12 : 우선회 리모트 콘트롤라인
13 : 제1오리피스 14 : 좌선회 파일럿 콘트롤라인
15 : 우선회 파일럿 콘트롤라인 16 : 제2가변 오리피스
17 : 좌선회 압력 센싱라인 18 : 우선회 압력 센싱라인
21 : 탱크
본 고안은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력 조절기를 설치하여 굴삭기의 선회 동작시 유압의 손실을 방지한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첨부된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 밸브(4)를 좌선회 방향으로 조작하면 파일럿 콘트롤 압력이 좌선회 리모트 콘트롤라인(11)을 통하여 메인 콘트롤 밸브(2)의 스풀(spol)을 밀게되어 스풀이 전환되면 펌프(20)의 토출량이 좌선회 메인라인을 통하여 선회모터(3)에 공급되어 져서 선회모터(3)가 회전을 한다.
그러나 굴삭기 상부 선회체의 관성으로 가속 초기에는 압력이 모터 릴리프밸브(6)로 유압되어 귀환라인(10)을 통하여 탱크(21)로 귀환 되어졌다.
따라서 선회시작시에는 전류양이 모터 릴리프밸브(6)를 통과하며 가속시 진행되면서 모터 릴리프밸브(6)로 통과하는 유량이 점차 감소되고 선회모터(3)에 공급되는 유량이 점차 증가 함에 따라 가동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종래의 유압 시스템은 가속초기에는 선회모터를 가동시킬 수 있는 유압의 손실이 100%에 달하고 가속시에 모터 릴리프밸브의 압력 제어 구간이 종료됨에 따라 유압손실이 0%로 감소되는 관계로 선회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유압의 량은 50%정도에 머물렀다.
또한 손실된 모든 유압은 모두 발열되어 각 라인으로 선회 되어져서 부차적으로 대용량의 냉각기를 설치하여 냉각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유실되는 유압에 의해 연료소모가 많았고 발열된 유압장치의 냉각키를 대형화함에 따라 연료 효율 및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1오리피스와 선회 부하 압력에 의하여 오리피스 개구면적이 가변되는 제2가변 오리피스가 내장된 압력조절기를 유압시스템에 설치연결하여 굴삭기가 선회동작시 압력 조절기에 의해 조절된 유압에 선회함으로서 연료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전체 선회 라인으로 통과되어 유압에서 발열되는 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토를 차단함으로서 발열된 유압을 냉각시키고자 하는 냉각기를 소형화함은 물론 유압의 손실은 방지하여 항시 일정함으로 선회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오리피스(13)와 선회 부하 압력에 의하여 오리피스 개구면적이 가변되는 제2가변 오리피스(16)가 내장된 압력조절기(1)를 리모트 콘트롤밸브(4)일측 출력 포트에서 좌선회리모트 콘트롤라인(11)에 A포트로 연결하고, 타측 출력 포트에서 우선회 리모트 콘트롤라인(12)에 B포트를 연결하되, X포트는 좌선회 파일럿 콘트롤라인(14)을 통하여 메인 콘트롤밸브(2)내의 수풀 수압실에 연결하고, Y포트는 우선회 파일럿 콘트롤라인(15)을 통하여 메인 콘트롤밸브(2)수풀 수압실에 연결하여 선회모터(3)에서 발생하는 부하 압력이 TP포트에서 좌선회 압력센싱라인(17)과 우선회 압력센싱라인(18)을 통하여 각각 N포트와 M포트에 입력되도록 하고, 또한 드레인 포트(D)는 압력 조절기(1)에서 탱크(21)로 연결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리모트 콘트롤밸브(4)를 조작하면 좌선회 리모트 콘트롤라인(11)을 통하여 출력압력이 압력조절기(1) A포트로 공급되어지면 제1오리피스(13)를 통하여 X포트로 유출하여 좌선회 파일럿 콘트롤라인(14)으로 통과되어 메인 콘트롤밸브(2)의 수풀 수압실로 유압되어 진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5은 메인 릴리프밸브, 6은 모터 릴리프밸브 7은 리스트 릭션밸브, 8은 좌선회 메인라인, 9은 우선회 메인라인, 10은 귀환라인, 19은 탱크라인 이때 유입되는 압력에 의하여 수풀이 절환되어 유로를 바꾸고 펌프(20)에서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좌선회 메인라인(8)으로 유입되어져서 선회모터(3)로 공급되어 선회모터(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굴삭기 상부 선회체의 관성에 의하여 선회 부하 압력은 모터 릴리프밸브(6)의 세트시킨 압력까지 상승하여 TP포트로부터 좌선회 압력 센싱라인(17)을 통하여 압력조절기(1)의 N포트로 공급된다.
N포트에로 공급된 선회 부하 압력은 압력조절기(1)내부의 제2가변 오리피스(13)의 수압실에 전달되어져서 수압실의 세트시킨 압력 이상이 되면 제2가변 오리피스(16)가 가변되어 제1오리피스 및 제2오리피스(13,16)가 개구되어 탱크라인(19)을 통하여 탱크(21)로 공급된다.
이때 개구되는 오리피스의 면적은 수압실에 전달된 선회부하 압력이 커지면 계속 확대된다.
따라서 제1오리피스(13)를 통과한 리모트 콘트롤 밸브(4)의 출력 유압은 제2가변 오리피스(16)를 통하여 탱크(21)로 유입되어 압력조절기(1) X포트의 압력은 감압되어진다.
이렇게 감압된 압력은 메인 콘트롤밸브(2)의 수풀 수압실에 걸리는 압력이 감소하여 수풀이 중립위치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서 선회 부하 압력은 제어된다.
따라서 모터 릴리프밸브(6)는 세트된 압력이하로 감소되어 모터 릴리프밸브(6)가 제어되고 또한 모터 릴리프밸브(6)를 통과하는 유량도 차단된다.
그리고 선회하는 부하 압력은 제2가변 오리피스(16)의 세트된 압력이하로 감소되면 제2가변 오리피스(16)의 개구면적은 완전히 닫혀져 압력의 통과를 차단하여 유압조절기(1) X포트의 출력압력은 리모트 콘트롤밸브(4)의 최초 출력 압력과 동일해 진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최초출력 압력과 동일한 선회 부하 압력을 유지하여 굴삭기의 선회동작을 실시함에 따라 연료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모터 릴리프밸브를 통과하여 발열되는 유압을 차단함으로서 이의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소형화하여 사용함으로서 굴삭기를 소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연료 절약에도 잇점을 주어 경제적 부담도 덜어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제1오리피스(13)와 선회 부하 압력에 의하여 오리피스 개구면적이 가변되는 제2가변 오리피스(16)가 내장된 압력조절기(1)를 리모트 콘트롤밸브(4)일측 출력 포트에서 좌선회 리모트 콘트롤라인(11)에 A포트로 연결하고, 타측 출력 포트에서 우선회 리모트 콘트롤라인(12)에 B포트를 연결하되, X포트는 좌선회 파일럿 콘트롤라인(14)을 통하여 메인 콘트롤밸브(2)내의 수풀 수압실에 연결하고, Y포트는 우선회 파일럿 콘트롤라인(15)을 통하여 메인 콘트롤밸브(2) 수풀 수압실에 연결하여 선회 모터(3)에서 발생하는 부하 압력이 TP포트에서 좌선회 압력센싱라인(17)과 우선회 압력센싱라인(18)을 통하여 각각 N포트와 M포트에 압력되도록 하고, 또한 드레인 포트(D)는 압력조절기(1)에서 탱크(21)로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선회 유압시스템.
KR2019900019346U 1990-12-08 1990-12-08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KR940006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346U KR940006227Y1 (ko) 1990-12-08 1990-12-08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346U KR940006227Y1 (ko) 1990-12-08 1990-12-08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226U KR920012226U (ko) 1992-07-25
KR940006227Y1 true KR940006227Y1 (ko) 1994-09-15

Family

ID=1930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346U KR940006227Y1 (ko) 1990-12-08 1990-12-08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2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017B1 (ko) 2019-05-27 2019-10-07 공선규 인덕션 방식 코일 그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226U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31602A (en) Hydraulic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0166131B1 (ko) 지게차의 유압회로
KR20040110422A (ko) 유압펌프 토출유량 제어회로
KR940006227Y1 (ko) 굴삭기의 선회 유압 시스템
KR101324894B1 (ko) 굴삭기 선회장치
JP2586563B2 (ja) 産業車両の2スピードリフト機構
JPH1037907A (ja) 圧油供給装置
JPH1037905A (ja) アクチュエータ作動回路
JPH0726588A (ja) 建設機械のパイロット操作油圧回路
KR0132027Y1 (ko) 굴삭기 주행모우터의 캐비테이션 방지장치
JPS5940002A (ja) 油圧制御回路
SU1235816A1 (ru) Гидропривод дл стрелы крана
SU1666667A1 (ru) Гидропривод землеройной машины
JPH0925645A (ja) 冷却器を備えた油圧回路装置
KR960002910Y1 (ko) 토건중장비에 있어서 감압밸브를 이용한 펌프 토출유량 제어장치
KR970011610B1 (ko) 중장비의 로드센싱형 유압시스템
JPS6313493B2 (ko)
RU1810615C (ru) Гидро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машины
KR970000741Y1 (ko) 덤프트럭용 유압장치
KR200143074Y1 (ko) 굴삭기의 파일롯트라인유 승온장치
JP2557047Y2 (ja) 圧油供給装置
KR100348129B1 (ko) 안티 드롭 밸브가 일체로 된 방향 전환 밸브
JPH0144851B2 (ko)
JPH1151004A (ja) 油圧制御装置
KR200260600Y1 (ko) 유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