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600Y1 - 유압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00Y1
KR200260600Y1 KR2020010029535U KR20010029535U KR200260600Y1 KR 200260600 Y1 KR200260600 Y1 KR 200260600Y1 KR 2020010029535 U KR2020010029535 U KR 2020010029535U KR 20010029535 U KR20010029535 U KR 20010029535U KR 200260600 Y1 KR200260600 Y1 KR 200260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line
hydraulic line
oi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혁
이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Priority to KR2020010029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00Y1/ko

Links

Landscapes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압공급원의 입출력단에 연결되어 압유를 압송하는 복수의 유압라인과; 각 유압라인들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분지라인과; 보어와, 보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통되어 있되 복수의 분지라인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유입포트 그리고 보어의 축중심과 정렬되게 연통되는 드레인포트를 갖는 몸체와, 보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입포트와 드레인포트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복수의 유입포트를 모두 폐쇄시키는 스풀로 된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압동력원의 입출력단으로부터 압유를 압송 또는 회수시키는 제 1유압라인 및 제 2유압라인에 대해, 압유의 흐름을 제 1유압라인 또는 제 2유압라인에만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에 교대로 동시에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회로구성 방식과 그 입출구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하나의 유압장치로도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유압장치{HYDRAULIC DEVICE}
본 고안은 유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의 회로구성 방식과 그 입출구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하나의 유압장치로도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착기, 로우더 등과 같은 건설장비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굴착기는 땅파기 작업에 용이한 버킷(bucket)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 철거 및 철근 절단 작업에 용이한 크러셔(crusher), 암석 및 콘크리트 파쇄 작업에 용이한 브레이커(breaker) 그리고 고철 및 암석 운반 작업에 용이한 그랩(grab) 등,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작업 도중 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러한 건설장비는 장착된 어태치먼트들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공급원을 갖추고 있는데, 이 유압공급원은 압유를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압유의 운동방향과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압유를 압송 또는 회수하기 위한 유압라인, 그리고 오일탱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유압공급원은 그 입출력단을 통해 어태치먼트의 유압라인과 연결되어 유압펌프에서 발생된 압유를 어태치먼트의 유압액츄에이터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건설장비는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해야 하거나 또는 작업 중에 장착하고자 하는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작업 도중 유압장치를 변경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건설장비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는 그 종류에 따라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액츄에이터의 회로구성 방식이 각각 다르고, 또한 그 입출구의 설치방향이 각각 다른 바, 이에 공급되는 압유의 운동 방향도 각기 다르게 된다. 상세하게는, 단방향 회로로 구성된 액츄에이터를 갖는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브레이커의 경우에는 도입되는 압유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공급되도록 구성되므로 유압공급원과 브레이커를 연결하는 한 쌍의 유압라인이 하나는 압송라인, 다른 하나는 회수라인으로 각각 구분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대부분의 단방향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회수라인에 배압이 적게 걸리고 어태치먼트 액츄에이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수라인은 유압공급원의 제어밸브를 거치지 않고 바로 오일탱크로 상시 드레인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특히 브레이커의 경우 회수라인이 상시 드레인되게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치즐안착이 어렵게 되어 파쇄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는 브레이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양방향 회로로 구성된 액츄에이터를 갖는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크러셔의 경우에는 유압공급원과 크러셔를 연결하는 한 쌍의 유압라인에 흐르는 압유의운동방향이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압송과 회수가 상호 반복적으로 바뀌어 크러셔의 액츄에이터로 공급되어야 된다.
또한, 어태치먼트 제조사별로 어태치먼트의 압유 입출구 포트의 방향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건설장비에 설치된 유압라인의 방향과 어태치먼트의 입출구 방향이 서로 맞지 않을 경우, 또는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여 사용할 때 어태치먼트의 압유 유입포트와 배출포트가 서로 뒤바뀌게 될 경우는, 압유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공급해주어야만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건설장비는 어태치먼트 액츄에이터의 회로구성 방식과 그 설치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유압 공급 경로를 갖는 별도의 유압장치를 설치해야 하거나 또는 유압장치의 유압라인과 유압제어밸브 등을 변경함으로써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의 특성에 알맞게 압유의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주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액츄에이터의 회로구성 방식과 그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하나의 유압장치로도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유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방향제어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2의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 1입출구 2: 제 2입출구
10: 유압공급원 11: 제 1입출력단
12: 제 2입출력단 13: 유압펌프
14: 제어밸브 20: 제 1유압라인
22: 제 1분지라인 24: 제 1연결라인
26: 제 1릴리프밸브 30: 제 2유압라인
32: 제 2분지라인 34: 제 2연결라인
36: 제 2릴리프밸브 40: 방향제어밸브
42: 몸체 43: 보어
44: 제 1유입포트 45: 제 2유입포트
46: 제 3유입포트 47: 제 4유입포트
48: 드레인포트 48a: 드레인라인
50: 스풀 56: 오일통로
이러한 목적들은 유압공급원의 입출력단에 연결되어 압유가 흐를 수 있는 복수의 유압라인과; 상기 각 유압라인들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분지라인과; 보어와, 상기 보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통되어 있되 상기 복수의 분지라인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유입포트 그리고 상기 보어의 축중심과 정렬되게 연통되는 드레인포트를 갖는 몸체와, 상기 보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입포트와 드레인포트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유입포트를 모두 폐쇄시키는 스풀로 된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라인은 상기 유압공급원의 입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이고, 상기 분지라인은 상기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으로부터 분지되는 제 1분지라인과 제 2분지라인이며,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유입포트는 상기 제 1분지라인과 제 2분지라인과 각각 접속 연통되는 제 1유입포트와 제 2유입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압장치는 건설장비의 유압공급원(10)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압공급원(10)은 내연기관 또는 전기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13)와, 이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 및 운동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4)와, 압유를 압송하거나 회수하기 위한 유압라인, 그리고 오일탱크(T)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압펌프(13)는 오일탱크(T)의 오일을 흡입하여 고압으로 토출하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움직이는 제어밸브 (14)는 유압펌프(13)에서 토출된 압유의 운동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입출력단(11, 12)에서의 압유의 운동방향을 제어한다. 도 1에서 예시한 제어밸브(14)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제어밸브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중립위치(N)'에서는 두 입출력단(11, 12)을 모두 차단하여 액츄에이터(A)의 작동을 멈추게 하거나, '작동위치(L, R)'에서는 두 입출력단(11, 12) 중 어느 하나에서 압유가 토출되고 다른 하나에서 압유가 회수되도록 하여 액츄에이터(A)의 회로구성 방식이나 설치방향에 맞추어 압유를 흐르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유압장치는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을 보유한다.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은 유압공급원(10)의 입출력단(11, 12)과 각기 연결되며, 그 말단은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와 직결된다. 이러한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은 유압공급원(10)으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압유를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까지 압송하고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은, 액츄에이터(A)의 회로구성방식이 단방향 회로인 경우, 설치방향에 따라 제 1유압라인(20)이 압송라인, 제 2유압라인(30)이 회수라인이 될 수도 있으며,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A)의 회로구성방식이 양방향 회로로 구성된 경우는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이 압송과 회수 역할을 번갈아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에는 제 1분지라인(22)과 제 2분지라인(32)이 각각 분지되어 있으며, 이 제 1 및 제 2분지라인(22, 32)은 방향제어밸브(40)에 각각 접속 연통된다. 방향제어밸브(40)는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을 따라 흐르는 압유를 선택적으로 오일탱크(T)로 연통되게 하여 상기 유압라인의 역할을 회수라인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압송라인과 회수라인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기능을 제공한다. 즉, 제 1유압라인(20)을 오일탱크(T)로 연통시키면 제 1유압라인(20)은 회수라인의 기능만 할 수 있게 되고, 제 2유압라인(30)을 오일탱크(T)로 연통시키면 제 2유압라인(30)이 회수라인의 기능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 모두를 오일탱크(T)와 차단시키면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은 각기 압송라인과 회수라인의 두 기능을 모두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향제어밸브(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2)를 갖는다. 몸체(42)는 육면체(六面體)로서, 정면(42a)과 배면(42b)과 좌우측면(42c, 42d) 그리고 상면(42e)과 하면(42f)을 갖추고 있으며, 아울러 상면(42e)을 향해 트여있는 보어(43)를 갖추고 있다. 특히, 몸체(42)는 도 4에서와 같이 보어(43)로부터 방사상으로 정면(42a)과 배면(42b) 그리고 좌우측면(42c, 42d)을 향해 트여져 있는 제 1 내지 제 4유입포트(44, 45, 46, 47)와, 도 3에서와 같이 보어(43)의 중심을 따라 하면(42f)으로 트여져 있는 드레인포트(48)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정면(42a)의 제 1유입포트(44)와 배면(42b)의 제 2유입포트(4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분지라인(22)과 제 2분지라인(32)과 각각 접속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하면(42f)의 드레인포트(48)는 드레인라인(48a)과 접속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몸체(42)의 보어(43)에는 스풀(50)이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몸체(42)의 상면(42e)에는 스풀(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49)가 조립된다. 여기서, 스풀(50)은 헤드(52)를 갖추고 있으며, 이 헤드(52)는 커버(49)의 관통구멍(49a)을 통과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헤드(52)는 스풀(5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으로 구성되며, 그 상면에는 홈(52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커버(49)와 스풀(50)의 사이에는 환형의 스페이서(54)가 배치되는데, 이 스페이서(54)는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제작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9)와 스풀(50)간의 상대운동시 마찰을 줄여 스풀(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스풀(50)과 보어(43)와의 사이에는 복수의 시일(55)들이 배치되는데, 이 시일(55)들은 스풀(50)과 보어(43)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스풀(50)은 오일통로(56)를 갖추고 있다. 이 오일통로(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2)의 드레인포트(48)와 정렬되는 수직통로(57)와, 몸체 (42)의 제 1 내지 제 4유입포트(44, 45, 46, 47) 중, 어느 하나의 포트와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는 수평통로(58)로 구성되는데, 이 오일통로(5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50)을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드레인포트 (48)를 제 1 내지 제 4유입포트(44, 45, 46, 47)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포트와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유압장치에서는 제 1유입포트(44)와 제 2유입포트(45)만이 제 1분지라인(22)과 제 2분지라인(32)과 각각 접속 연통되므로 제 1 내지 제 4유입포트(44, 45, 46, 47) 중, 제 1유입포트(44)와 제 2유입포트 (45)만을 사용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용하지 않는 제 3유입포트(46)와 제 4유입포트(47)는 나사결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 플러그(46a, 47a)에 의해 폐쇄된다.
이렇게, 스풀(50)의 오일통로(56)를 통해 제 1유입포트(44)와 드레인포트 (48) 또는 제 2유입포트(45)와 드레인포트(48)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제 1분지라인(22)과 드레인라인(48a) 또는 제 2분지라인(32)과 드레인라인(48a)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제 1유압라인(20) 또는 제 2유압라인(30)의 압유는 제 1분지라인(22) 또는 제 2분지라인(32)으로 바이패스되어 오일탱크(T)로 선택적으로 드레인되는 것이다. 결국, 제 1유압라인(20) 또는 제 2유압라인(30)의 압유가 오일탱크(T)로 선택적으로 드레인됨에 따라 제 1유압라인 (20) 또는 제 2유압라인(30)은 회수라인의 기능만 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강제적으로 제한되는 것이다. 한편, 스풀(50)의 수평통로(58)를 제 1유입포트(44)과 제 2유입포트(45) 중 그 어느 곳에도 정렬시키지 않게 되면, 즉 제 3유입포트(46) 또는 제 4유입포트(47)의 방향으로 정렬시키게 되면, 당연히 제 1분지라인(22)과 제 2분지라인(32)은 폐쇄되며, 이에 따라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은 오일탱크(T)로 드레인되지 않으므로 압송라인과 회수라인의 기능을 모두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향제어밸브(40)는 스풀(50)을 회전시켜 제 1분지라인(22)과 드레인라인(48a) 또는 제 2분지라인(32)과 드레인라인(48a)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A)의 설치방향에 따라 압송라인과 회수라인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 상기 라인방향에 맞추어 제 1유압라인(20) 또는 제 2유압라인(30)의 기능을 회수라인으로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유압라인의 방향이 액츄에이터의 설치방향과 일치하도록 적절하게 바꾸어준다. 또한, 두 유압라인이 모두 압송기능과 회수기능을 하여야 할 경우, 즉, 양방향 회로구성방식의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킬 경우, 스풀(50)을 회전시켜 제 1분지라인(22)과 제 2분지라인(32)을 동시에 폐쇄시킴으로써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이 유압공급원(10)의 상태에 따라 압송라인이 되거나 회수라인이 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분지라인(32)과 드레인라인(48a)을 연통시키는 스풀(50)의 위치를 '제 1위치(A)'로, 제 1분지라인(22)과 드레인라인 (48a)을 연통시키는 스풀(50)의 위치를 '제 2위치(B)'로, 제 1분지라인(22)과 제 2분지라인(32)을 동시에 폐쇄시키는 스풀(50)의 위치를 '제 3위치(C)로 임의로 정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방향제어밸브(42)를 제 1유입포트(44)와 제 2유입포트 (45)만을 사용함으로써 3방향 3위치 방향제어밸브로만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유압라인(20, 30) 이외에 제 3유압라인과 제 4유압라인 그리고 이로부터 분지되는 제 3분지라인과 제 4분지라인을 추가로 더 갖는 경우, 제 3포트(46)와 제 4포트(47)도 사용하여 4방향 4위치 그리고 5방향 5위치 방향제어밸브로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유압장치는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을 연결시키는 제 1연결라인(24)과 제 2연결라인(34)을 가지며, 이 제 1연결라인(24)과 제 2연결라인(34)상에는 제 1릴리프밸브(26)와 제 2릴리프밸브(36)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제 1릴리프밸브(26)는 제 1유압라인(20)을 따라 흐르는 압유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제 1연결라인(24)을 개방하여 제 1유압라인(20)의 압유를 제 2유압라인(30)으로 바이패스시킨다. 물론, 바이패스된 압유는 제 2분지라인(32)과 방향제어밸브(40)와 드레인라인(48a)을 통하여 오일탱크(T)로드레인되거나 유압공급원(10)의 제어밸브(14)를 거쳐 드레인된다.
그리고 제 2릴리프밸브(36)는 제 2유압라인(30)을 따라 흐르는 압유가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제 2연결라인(34)의 개방하여 제 2유압라인(30)의 압유를 제 1유압라인(20)으로 바이패스시킨다. 물론, 바이패스된 압유는 제 1분지라인(22)과 방향제어밸브(40)와 드레인라인(48a)을 통하여 오일탱크(T)로 드레인되거나 유압공급원(10)의 제어밸브(14)를 거쳐 드레인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사용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제 1입출구(1)가 유입포트, 제 2입출구(2)가 배출포트인 단방향 회로로 구성된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가 제 1유압라인(20)을 압송라인으로, 제 2유압라인(30)을 상시 회수라인으로 하여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방향제어밸브 (40)의 스풀(50)을 '제 1위치(A)'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 2분지라인(32)은 몸체 (42)의 제 2유입포트(45)를 거쳐 드레인포트(48)로 연통되어 제 2유압라인(30)은 상시 회수라인으로 고정된다. 물론, 제 1분지라인(22)과 드레인라인(48a)은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공급원(10)을 작동시키면, 유압펌프(13)에서 토출된 압유는 제어밸브(14)의 밸브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된다. 즉, 제어밸브(14)가 '중립위치(N)'에 있을 때는 오일탱크(T)로 회수되고, 제어밸브(14)의 '제 1작동위치(R)'에서는 제 1입출력단(11)으로 압유가 압송되고 제 2입출력단 (12)으로 회수되는 상태로 된다. 제어밸브(14)가 '제 1작동위치(R)'의 상태인 경우, 제 1유압라인(20)에 도입된 압유는 상기 제 1유압라인(20)을 통해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의 유입포트인 제 1입출구(1)로 유입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액츄에이터(A)의 배출포트인 제 2입출구(2)에서 흘러나온 회수압유는 제 2유압라인(30)통해 제 2분지라인(32)과 방향제어밸브(40)의 제 2유입포트 (45)와 드레인포트(48) 그리고 드레인라인(48a)을 통하여 오일탱크(T)로 드레인된다. 물론 회수압유의 일부는 제 2입출력단(12)을 거쳐 제어밸브(14)를 통해서도 오일탱크(T)로 회수된다.
한편,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제 1유압라인(20)의 내부압력이 상승되면, 제 1릴리프밸브(26)가 제 1연결라인(24)을 개방하게 되고, 따라서 제 1유압라인(20)의 압유는 그 일부가 제 2유압라인(30)으로 바이패스되면서 그 압력을 해소시킨다. 물론, 제 2유압라인(30)으로 바이패스된 제 1유압라인(20)의 압유는 제 2유압라인(30)의 압유와 함께 오일탱크(T)로 드레인된다. 결과적으로, 유압공급원(10)에서 토출된 압유는 제 1유압라인(20)을 거쳐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로 유입되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방향제어밸브(40)가 상기와 같이 '제 1위치(A)'에 있는 상태에서 제어밸브 (14)를 '제 2작동위치(L)'로 전환하면 입출력단(11, 12)에서 압유의 흐름이 뒤바뀌어 제 2입출력단(12)으로 압유가 토출되어 제 2유압라인(30)으로 흐르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제어밸브(40)를 거쳐 오일탱크(T)로 드레인되므로 액츄에이터(A)의 제 2입출구(2)로 압유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액츄에이터(A)의 배출포트인 제 2입출구(2)에 압력형성이 안되게 하여 액츄에이터(A)를 보호하고, 회수라인을 상시 저압으로 드레인시킴으로써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의 반대로서, 제 1입출구(1)가 배출포트, 제 2입출구(2)를 유입포트로 하는 단방향 회로로 구성된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를 장착한 경우, 제 2유압라인(30)을 압송라인으로, 제 1유압라인(20)을 상시 회수라인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방향제어밸브(40)의 스풀 (50)을 '제 2위치(B)'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몸체(42)의 제 1유입포트(44)와 드레인포트(48)는 서로 연통되며, 이에 따라 제 1분지라인(22)과 드레인라인(48a)은 자연스럽게 연통된다. 물론, 제 2분지라인(32)과 드레인라인(48a)은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공급원(10)의 제어밸브(14)를 '제 2작동위치(L)'로 놓으면 제 2입출력단(12)에서 토출된 압유는 제 2유압라인(30)을 통해 액츄에이터(A)의 유입포트인 제 2입출구(2)로 유입되어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액츄에이터(A)의 배출포트인 제 1입출구(1)를 통해 밀려나오는 회수압유는 제 1유압라인(20)을 거쳐 제 1분지라인(22)과 방향제어밸브(40)의 제 1유입포트(44)와 드레인포트(48) 그리고 드레인라인(48a)을 통하여 오일탱크(T)로 드레인된다. 한편, 제 2유압라인(30)의 내부압력이 상승되면, 제 2릴리프밸브(36)가 제 2연결라인(34)을 개방하게 되고, 따라서 제 2유압라인(30)의 압유는 그 일부가 제 1유압라인(20)으로 바이패스되면서 압력을 해소시킨다. 물론, 제 1유압라인(20)으로 바이패스된 제 2유압라인(30)의 압유는 제 1유압라인(20)의 압유와 함께 오일탱크(T)로 드레인된다. 결과적으로, 유압공급원(10)으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제 2유압라인(30)을 거쳐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로 유입되면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제 6도의 상태에서 제어밸브(14)를 '제 1작동위치(R)'로 전환시키면 제 1입출력단(11)으로 압유가 토출되는데, 이 때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1유압라인(20)이 방향제어밸브(40)를 통해 오일탱크(T)로 드레인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A)의 배출포트인 제 1입출구(1)에 압유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끝으로, 도 7은 연결된 어태치먼트의 액츄에이터(A)가 양방향 회로로 구성된 경우,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이 각각 압송과 회수기능을 교대로 동시에 하도록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방향제어밸브(40)의 스풀(50)을 '제 3위치(C)'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당연히 제 1분지라인(22)과 제 2분지라인 (32)은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밸브(14)를 '제 1작동위치(R)' 또는 '제 2작동위치(L)'에 위치시키면, 그 위치에 따라 압유는 제 1유압라인(20) 또는 제 2유압라인(30) 중 한 쪽에 유입되고, 유입된 압유는 액츄에이터(A)의 입출구(1, 2) 중 어느 한 쪽으로 공급되어 액츄에이터(A)를 구동한다. 물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제어밸브(40)에 의해 두 분지라인(22, 32)이 모두 폐쇄되어 있으므로, 두 유압라인 (20, 30) 중에서 한 쪽이 압송라인이 되면 다른 한 쪽은 당연히 회수라인이 되어 회수된 압유는 제어밸브(14)를 통해 오일탱크(T)로 회수된다. 또한, 제어밸브(14)의 위치를 반대로 전환하면 압송과 회수라인이 바뀌어 액츄에이터(A)를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게 한다. 한편, 제 1유압라인(20) 또는 제 2유압라인(30)의 내부압력이 상승되면, 제 1릴리프밸브(26) 또는 제 2릴리프밸브(36)가 제 1연결라인(24) 또는 제 2연결라인(34)을 개방하게 되고, 따라서 제 1유압라인(20) 또는 제 2유압라인(30)의 압유는 제 2유압라인(30)과 제 1유압라인(20)으로 상호 바이패스되면서 그 압력을 해소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압장치는 유압공급원(10)의 압유를 압송하는 제 1유압라인(20) 및 제 2유압라인(30)에 대하여, 제 1유압라인(20)에만 또는 제 2유압라인(30)에만 선택적으로, 또는 제 1유압라인(20)과 제 2유압라인(30) 모두에 교대로 동시에 흐를 수 있도록 압유를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40)를 갖춤으로써 액츄에이터의 회로구성 방식과 그 입출구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하나의 유압장치로도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치는 유압공급원의 압유를 압송하는 제 1유압라인 및 제 2유압라인, 그리고 압유의 흐름을 제 1유압라인 또는 제 2유압라인 각각에 선택적으로, 또는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에 동시에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회로구성 방식와 그 입출구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하나의 유압장치로도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유압공급원의 입출력단에 연결되어 압유가 흐를 수 있는 복수의 유압라인과;
    상기 각 유압라인들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분지라인과;
    보어와, 상기 보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통되어 있되 상기 복수의 분지라인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유입포트 그리고 상기 보어의 축중심과 정렬되게 연통되는 드레인포트를 갖는 몸체와, 상기 보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입포트와 드레인포트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유입포트를 모두 폐쇄시키는 스풀로 된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라인은 상기 유압공급원의 입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이고, 상기 분지라인은 상기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으로부터 분지되는 제 1분지라인과 제 2분지라인이며,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유입포트는 상기 제 1분지라인과 제 2분지라인과 각각 접속 연통되는 제 1유입포트와 제 2유입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을 연결하는 제 1연결라인과 제 2연결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연결라인과 제 2연결라인상에는 상기 제 1유압라인과 제 2유압라인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제 1연결라인과 제 2연결라인을 개방하여 상호 바이패스시키는 제 1 및 제 2릴리프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
KR2020010029535U 2001-09-25 2001-09-25 유압장치 KR200260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35U KR200260600Y1 (ko) 2001-09-25 2001-09-25 유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35U KR200260600Y1 (ko) 2001-09-25 2001-09-25 유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00Y1 true KR200260600Y1 (ko) 2002-01-16

Family

ID=7305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535U KR200260600Y1 (ko) 2001-09-25 2001-09-25 유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6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30B1 (ko) 2010-01-13 2012-07-09 임채기 중장비용 오일 교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30B1 (ko) 2010-01-13 2012-07-09 임채기 중장비용 오일 교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7431B2 (ja) 油圧回路
JPH1113091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2004324741A (ja) 油圧バルブ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US6453585B1 (en) Hydraulic drive device of working machine
KR200260600Y1 (ko) 유압장치
EP3686442A1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JP3410365B2 (ja) 破砕機等を使用可能な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100656046B1 (ko) 소형 굴삭기의 암속도 제어장치
JP4260850B2 (ja) 油圧回路
KR100663696B1 (ko) 암반천공장치 구동을 위한 굴삭기의 유압 회로시스템
KR100532176B1 (ko) 중장비의 주행직진 유압회로
JP2816383B2 (ja) 油圧式バケット駆動装置の操作装置
JPS61113932A (ja) 建設機械の補助作業機用油圧回路
KR200182131Y1 (ko) 소형굴삭기의 브레이커 합유회로
KR100406278B1 (ko)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KR100208736B1 (ko) 유압식 기계장비의 제어밸브
KR100221597B1 (ko) 합류 차단 장치
KR100621941B1 (ko) 토목건설기계의 유압구동시스템
KR900004000Y1 (ko) 유압식 굴삭기의 선회 2속 구동회로
JP2858296B2 (ja) 油圧式バケットの駆動装置
JPH11270504A (ja) 油圧回路
JP2707394B2 (ja) 建設機械の作業機操作弁
JP3724187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970009530B1 (ko) 굴삭기 유압제어 시스템
JP2001355603A (ja)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