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311B1 - 전기 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 면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5311B1 KR940005311B1 KR1019870002901A KR870002901A KR940005311B1 KR 940005311 B1 KR940005311 B1 KR 940005311B1 KR 1019870002901 A KR1019870002901 A KR 1019870002901A KR 870002901 A KR870002901 A KR 870002901A KR 940005311 B1 KR940005311 B1 KR 940005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ar
- electric shaver
- pivot axis
- tangent
- d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8—Complete cutting head being mov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대칭연장부, 직선 및 전단평면을 도시한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비대칭 아치형 연장부를 도시한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
제3도는 원주형태와 빗나간 비대칭 아치형 연장부를 도시한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
제4도는 선회축(Z)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전단헤드 시스템을 구비한 면도기의 사시도.
제5도는 바닥부재의 단면을 나타내기 위해 비회전 상태에서 도시한 전단헤드 시스템의 사시도.
제6도는 한 상부카터, 두 하부카터 및 전단헤드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내는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
제7도는 두 상부카터, 두 하부카터 및 전단헤드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내는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
제8도는 한 상부카터, 한 하부카터 및 전단헤드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내는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
제9도는 한 상부카터, 한 하부카터 및 전단헤드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내는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
제10도, 제11도는 전단헤드 프레임의 한 지지러그와 한 단부벽 위에 있는 선회축(Z)을 위한 베어링 형태의 단면도.
제12도는 전단평면위에 선회축(Z)을 구비한 면도기의 사시도.
*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1.1, 1.2 : 하우징 어셈블리
2 : 전단헤드 시스템 4 : 상부카터
3 : 전단헤드 프레임 7 : 구동부재
8 : 구동단 11, 12 : 지지러그
14 : 스위치 15 : 저지구(detent)
16 : 바닥부재 17, 18 : 단부벽
19,20 : 열쇠장치 21, 22 : 스톱장치
23 : 구동판 25, 26, 30, 34 : 하부카터
27 : 커플링 블록 29 : 안내장치
33 : 브리지 36 : 관통구멍
42,43 : 홈 44 : 구동홈
S1,S2: 정점
본 발명은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써, 선회축에 대하여 하우징과 관련하여 선회되는 전단헤드 시스템 및 하우징을 구비하고, 전단헤드 프레임의 종면을 향하여 아치형 연장부가 있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상부카터로 전단평면인 전단헤드 프레임을 구성하며 상부카터와 상호작용하는 관계하에 모터로써 구동된 적어도 1개 이상의 하부카터를 구성하는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의장특허 제232,494호에는 선회된 한쌍의 헤드전단 시스템의 선회축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에 관해 발표되있는데 그 선회축은 알려진 선회반경에 의해 결정되며 전단헤드 프레임에 대한 아치형 연장부의 면도 가능한 유효전단구역 변이점을 상호 연결하는 선 아래에 놓이고, 그 결과 일정하기만한 하나의 전단헤드는 피부와 접촉한 상태로 있는 사이에 다른 전단헤드 시스템은 피부표면과 떨어지게 되는데 심지어 두 전단헤드가 피부위를 각각 여러 방향으로 전단운동을 하여 피부표면과 아주 잘 접촉할때도 한단밖에 접촉이 안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2,099,537호에는 면도개의 손잡이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나 및 두 개의 전단평면 표면이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전단헤드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데, 내용을 보면 접촉압력에 대해 노출된 전단평면이 폭은 상부 및 하부카터로 형성된 전단평면 범위에 걸쳐 뻗어있다는 것이다. 그폭은 종방향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전단평면 범위에 대해 피부를 보호하도록 두 로울러에 의해 경계가 생겨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2,099,537호의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평면은 두 로울러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레버선상의 선회축을 구비한다. 전단평면과 전단평면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레버선 사이의 거리와 선회축을 통하여 전단평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접촉 압력의 힘 때문에 미끄럼 운동으로 피부표면위를 움직이게 되는 전단평면은 그 평면이 운동방향에 따라 피부표면과 접촉이 생기도록 하는 토오크(torque)를 생기게 하기 위한 미끄럼 마찰을 겸하고 있어서, 한편으로 운동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전단평면이 피부표면과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이렇게 한쪽이 피부와 떨어지는 현상은 로울중 한개를 통해서 면도가 되도록 피부표면과 접촉하여서 피부위를 이동할 때 확실히 나타난다.
전단평면이 피부표면과 떨어지게 하는 그 토오크는 미합중국 특허 제2,099,537호의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전단평면의 선회축이 두 로울러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레버선 아래에 배치된다면 더욱 크게 될 것이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평면의 비접촉 효과는 미합중국 특허 제2,526,153호의 제3도에 나타나 있는데 이 장치를 보면 그 전단평면은 두 원형전단 헤드의 둘레를 연결하는 접선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두 아치형 연장부의 유효전단 구역은 전단헤드 프레임의 각 변이점에서 아치형 연장부와 전단평면내에 있는 연장부의 접점의 범위에 걸쳐있다. 이 장치에서 두 전단헤드를 연결하는 레버아암(lever arm)용 선회축은 전단헤드 프레임에 대한 아치형 연장부의 유효전단구역에 있는 두 변이점을 연결하는 선 아래에 있다.
독일에서 공개되고 심사된 특허출원 제DE-AS 1,048,509호에는 면도기가 전단평면 표면과 인접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단헤드를 구비하고 있음이 기재되어 있으며 그 헤드는 손잡이에 고정되게 장착된 전단헤드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전단헤드는 그 전단헤드가 피부에 영향을 주는 접촉압력에 대응해서 자동적으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다른 헤드와 관련하여 이동가능하게 되고, 전단헤드 표면은 같은 평면이나 다소 큰 상대각을 이룬다. 적용된 접촉압력에 따라 전단헤드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단면을 가진 손잡이가 손잡이용으로 편리하도록 작은 각도만이 전단헤드가 피부와 접촉하도록 허용되기 때문에 거의 우측각에서 피부표면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알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종방향으로 설치된 구름부분이 피부와 접촉할 때 이 기재된 장치의 전단표면은 상기 접촉과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이 전형각도를 피부에 대해 유지되는 중에 면도할 수 있는 전단면의 피부표면과 접촉하는 방법에 의해 면도기의 전단헤드를 선회 가능하게 장착하며, 전단구역 즉 면도가 가능한 전단구역은 피부표면위를 전단헤드의 미끄럼 운동 방향이 변함으로 인해 즉, 노출된 각각의 접촉압력에 관계없이 피부표면의 만곡선을 따라서 면도할 수 있는 전 구역으로 움직일 때 피부표면과는 떨어지지 않게 되도록 하는 면도기를 만드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두직선(T3)(G)의 공통점(sp)을 통해 뻗어있는 선회축(Z)을 구비한 최초의 면도기로 수행될 수 있는데 그 두직선 즉 "T3"는 아치형 연장부(B1)(B2)에 대한 공통접선이고, "G"는 거리(A)의 중심에서 우측각의 접선(T3)을 가로지르는 직선이며 그거리 "A"는 아치형 연장부에 대한 접선(T3)의 접점(TP1)과 (TP2)간의 거리이다.
면도기의 손잡이를 통해 생긴 각각의 접촉압력은 전단평면이 피부표면과 접촉하면서 유효 전단평면위에 고루 가해지는 전단헤드 시스템의 균형장치를 구비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최초장치에 있어서, 이 목적은 두직선(T3)와 (G)의 공통점(sp)에 인접한 범위에 뻗어있는 선회축(Z)을 구비하고, 연결선(V)위에 인접한 범위에 배치됨으로써 수행되며 여기에서 "T3"는 아치형 연장부(B1)(B2)에 대한 공통접선이고 "G"는 거리(A) 중심에서 우측각의 접선(T3)을 가로지르는 직선이고, 그 "A"는 아치형 연장부(B1)(B2)에 대한 접선(T3)의 접점(Tp1)과 (Tp2)간의 거리이고, "V"는 접점(Tp1)(Tp2)에서 간격진 아치형 연장부 유효 전단구역의 하부 한계점 간의 연결선이다.
앞서 상기한 각각이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전형각내에서 면도기의 전단헤드는 보통 피부표면에 유지되며, 운용된 전단헤드 시스템으로 면도가 가능한 최적의 전단구역이 자동적으로 전단평면 형태로 피부표면을 따라 움직이는 전단헤드 방향이 변하고 접촉압력의 작용에 관계없이 피부와 접촉하도록 움직이고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단헤드 시스템의 선회축(Z)은 직선(G)에서 연결선(V)에 대한 접선(T3)의 반인 상호거리(B)인 지점에서 직선(G)상의 접선(T3)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단헤드 시스템의 선회축(Z)은 열배 거리(B)인 지점에서 직선(G)상의 접선(T3)위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전단헤드 시스템이 선회축(Z)은 직선(G)상의 지점에서 설치되어 있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선회축을 바꾸어 놓는 것은 선회축에 의해 나누어진 전단평면 또는 전단구역위에 적용된 각각의 접촉압력을 불균일하게 가압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전단헤드 시스템의 장착을 불균일상태로 만드는 원인이 된다. 만일 선회축이 직선에 대해 특별한 거리내에 배치된다면, 피부표면으로부터 전단구역 또는 전단평면이 피부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허용 가능한 거리는 수학적으로 계산될 수 없으므로 실지 테스트로써만 산정될 수 있다.
맨 마지막에 설명한 실시예에는 전단헤드 시스템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링이 제공된다.
그 전단헤드 프레임은 구동단의 프레임을 덮는 바닥부재에 의해 사방으로 둘러쌓여 있다. 사방으로 둘러쌓인 전단헤드 시스템의 내부에 생긴 공간은 면도기를 여러회 사용후에 축적되는 찌꺼기를 모아두는 통의역할을 해서 바닥부재를 전단헤드 프레임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찌꺼기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구동부재에서 하부카터까지 움직임을 위해 구동판은 바닥부재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구동부재에 의해 접촉하도록 구동홈이 설치되어 있다.
선회축(Z)에 대해 움직이도록 적용된 전단 시스템의 선회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두 스톱장치는 하우징 외부로 뻗어 있어서 스위치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스톱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저지구뿐만 아니라 바닥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단헤드 시스템은 하우징에 설치된 두 지지러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전단헤드 시스템은 두 베어링 핀 또는 장착나사(제10도, 제11도)에 의해 지지러그에 양호하며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그 전단헤드 시스템은 두 안내요소[제12도]에 의해 지지러그에 설치된 홈에 미끄럼 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과 함께 다음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장점과 상세한 설명이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으로 아치형 연장부(B1)(B2)가 있는 상부카터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아치형 연장부(B1)(B2)는 동일반경이 원호의 각부분이고 아치형 연장부(B1)과 (B2)를 연결하는 접선평면은 설명될 전단평면(SE)의 가상평면이다. 아치형 연장부(B1)(B2)의 만곡된 선에 대한 공통접선(T3)은 접점(TP1)(TP2)에 따라 전단평면(SE)의 폭인 접점(TP1)과 (TP2)의 상호거리(A)에 의해 전단평면(SE)에서 아치형 연장부(B1)(B2)까지의 변이를 결정한다.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에 평행한 전단평면(SE)의 총종방향 연장부는 제공된 프레임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아치형 연장부(B1)(B2)의 유효 전단 구역은 상부 및 하부카터가 전단면에서 작용가능한 면적이 된다. 즉 한 위치에 놓여서 상부 및 하부카터가 절단가능한 상호 접촉상태로 있기 때문에 이면에서 적용하게 된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아치형 연장부(B1)(B2)의 유효 전단구역인 한계점(P1)(P2)은 접점(TP1)(TP2)에서 측면으로 간격져 있으며, 즉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에 대한 하부카터(4)의 변이에 따라 결정된다. 한계점(P1)(P2)의 연결선은 참조부호 "V"로 표시하고 한편으로 연결선(V)과 접선(T3)의 상호 직선은 참조부호 "G"로 표시한다.
직선(G)은 접점(TP1)(TP2)의 상호거리(A)에 대한 중심에서 우측 각의 접선(T3)을 가로질러 놓여있다. 그렇게 놓음으로써 생긴 공통점(sp)은 선회축(Z) 중심 및 선회축내에 제공된 참조점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축(Z)은 전단평면(SE)과 공통점(sp)으로도 뻗어 있으며 전단평면(SE)의 종방향에 있는 전단헤드 프레임의 종면(5)(6)에 평행하다.
제2도는 아치형 연장부(B1)과 (B2)가 비대칭인 전단헤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아치형 연장부(B1)과 (B2)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진 원호의 한 부분이다. 아치형 연장부(B1)(B2)의 만곡된 선에대한 공통접선(T3)은 접점(TP1)(TP2)에 따라 전단평면(SE)의 폭이 접점(TP1)과 (TP2)의 상호거리(A)에 의해 전단평면(SE)에서 아치형 연장부(B1)(B2)까지의 변이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아치형 연장부(B1)과 (B2)의 가장 먼거리인 한계점(P1)(P2)로 정해진다. 따라서 아치형 연장부(B1)의 유효전단 구역은 접선(T3)의 접점(TP1)에 이르는 아치형 연장부의 정점(S1)을 지나 한계점(P1)에서 아치형 연장부(B1)까지의 범위를 내포하고 한편으로 아치형 연장부(B2)의 유효 전단구역은 접선(T3)의 접점(TP2)에 이르는 한계점(P2)에서 아치형 연장부(B2)까지의 범위를 내포하며 접점(TP2)은 정점(S2)전에 온다. 연결선(V)으로 표시된 직선은 한계점(P1)과 (P2)를 연결한 선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단평면(SE)의 폭은 접선(T3)상의 접점(TP1)과 (TP2)의 상호거리(A)로 정해지며 폭, 즉 상호거리(A)의 중간에서 뻗은 직선(G)은 공통점(sp)에 있는 우측각에서 접선(T3)을 가로질러 놓여 있는데 이 공통점(sp)은 선회축(Z)이다.
제3도는 상부카터와 상호 관련되게 배치되어 상부카터(4) 및 하부카터(25)(26)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부카터(4)의 아치형 연장부(B1)과 (B2)는 비대칭형이고, 원형의 돌출부에서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으로 벗어나 있으며 그 종면에 죄여있다. 이 실시예에서 아치형 연장부(B1)(B2)의 만곡된 선상에 있는 유효 전단구역을 제한하는 점(P1)(P2)는 마찬가지로 상부카터(4)를 지닌 아치형 하부카터(25)와 (26)의 접속상태로 주어진 면적의 한계점 보다 위에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계점(P1)(P2)의 절단 및 면도 작용단으로 이용가능한 하부카터(25)(26)의 만곡된 선은 상부카터(4)에서 전단헤드 프레임(3)의 내부로 뻗어있다. 한계점(P1)과 (P2)를 연결하는 직선은 연결선 "V"로 표시된다.
아치형 연장부(B1)(B2)의 만곡된 선에 대한 공통접선(T3)은 접점(TP1)(TP2)에 따라 전단평면(SE)의 폭인 접점(TP1)과 (TP2)의 상호거리(A)에 의해 전단평면(SE)에서 아치형 연장부(B1)(B2)까지의 변이를 결정한다. 아치형 연장부(B1)(B2)의 유효전단 구역은 각 접점(TP1)과 (TP2)에서 아치형 연장부(B1)(B2)의 만곡된 선상의 접점에서 간격져 놓여있는 각각의 한계점(P1)과 (P2)까지 범위에 걸쳐있다.
직선(G)은 접점(TP1)과 (TP2)의 상호거리(A)의 중심에서 우측각의 접선(T3)을 가로질러 놓여있는데 그렇게해서 생긴 공통점(sp)은 전단 시스템의 선회축(Z) 중심이 된다.
실제 사용에 적합하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전단헤드 시스템의 실시예는 아주 우수한 선회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 졌는데 만일 선회축(Z)이 공통점(sp)을 지나 뻗어 있도록 배치된다면 그 전단평면(SE)은 피부와 완전한 접촉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동가능한 전단헤드 시스템(2)의 선회축(Z)은 제1도∼제2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되도록 공통점(sp) 주위에 인접한 범위에 설치될 수 있고, 이 배치는 면도용으로 이 이용가능한 모든 전단구역이 전형적인 각도로 면도기의 하우징과 피부가 유지된채로 피부와 접촉하도록 하며 이용가능한 전단구역은 피부위로 전단헤드의 미끄럼 운동 방향이 변할때도 피부표면과는 떨어지지 않게한다. 공통점(sp)의 인접범위에 선회축(Z)을 배치할 때 특히 고려할 사항은 아치형 연장부(B1)(B2)의 곡율, 전단평면(SE)의 폭, (sp)와 (sp1)간의 상호거리(A) 및 피부표면과 전단구역(SE)이 접촉 및 마찰에 의해 생긴 압력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인접범위의 경계가 제약을 받게된다. 접점(TP1)과 (TP2)로 경계진 전단평면(SE)에서 시작함으로써 그 인접범위는 공통점(sp)과 연결선(V)에서 직선(G)의 공통점(sp1)으로 정해진 절반의 거리(B)에 이르는 전단평면 아래로 뻗어있고, 한편으로는 앞서 형성된 약 10배 거리에 이르는 전단평면 위에 뻗어있다. 접점(TP1)(TP2)에 대한 선회축(Z) 중심에서 동일한 상호거리 때문에 그 동일한 상호거리는 우측각의 접선(T3)을 가로지르는 직선(G)상의 선회축(Z)을 제공한다면 면도기 하우징을 통과해서 생긴 접촉압력이 피부표면과 전단평면이 접촉하게 되는 전단평면의 전구역에 걸쳐 고루 가해지는 효과와 더불어 전단헤드 시스템을 균형있게 지지하는 것이 초래된다.
또한, 전단평면 내부 또는 위 및 아래에 축을 배치함으로써 접점(TP1) 및 (TP2)의 방향에서 직선(G)에 대해 상호 거리에서 선회축(Z)을 설치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선회축(Z)에 대하여 전단헤드 프레임 또는 전단평면(SE)의 불균형한 운동이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피부표면과 전단평면(SE)의 접속상태에 따라 면도기의 접촉압력은 불균일한 접촉압력을 받으면 전단평면(SE)이 피부표면과 접촉할 때 불균일하게 전단평면 위에 가해지게 될 것이다. 전단평면(SE)의 불균일한 운동은 전단헤드 시스템을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변화가능한 다수의 영향 즉, 아치형 연장부의 만곡된 선, 전단평면에서 직선(G)의 공통점(sp)와 (sp1)간의 거리(B), 연결선(V), 피부에 미치는 면도기의 접촉압력범위 및 피부에 대한 상부카터의 마찰등을 고려해 볼 때, 직선(G)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선회축(Z)에 대한 상호거리의 한계는 각각의 실시예를 실제로 레스트함으로써만 결정될 수 있다.
제4도는 면도기의 도시도인데, 그 면도기는 선회축(Z)에 대해 이동가능한 전단헤드 시스템(2) 및 손잡이(1)를 갖춘 하우징을 구비하며,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을 향하여 아치형 연장부(B1)(B2)를 구비하는 이중 아치형인 상부카터(4)로써 형성된 전단평면과 전단헤드 프레임(3)을 구성한다. 손잡이(1)에는 그 바깥으로 돌출된 구동부재(7)에 진동을 일으키는 전기모터가 수용되어 있으며 그 구동부재(7)는 제5도의 구동부재(8)에 대하여 손잡이(1)단 외부로 뻗어있고, 하부카터(제4도에 도시되지 않음)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6도∼제9도는 하부 및 상부 카터의 상호작용 관계와 실시가능한 형태가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데 손잡이(1)의 구동단(8)에서 측벽(9)(10)은 선회 전단헤드 프레임(3)용 베어링을 제공하는 두개의 돌출 지지러그(11)(12) 형태로 뻗어있다.
제4도의 면도기 장치는 손잡이(1)가 열쇠버튼(13)에 의해 작동가능한 열쇠기구로써 수용된 분리가능한 두개의 하우징 어셈블리(1.1)(1.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손잡이(1)면의 하우징 어셈블리(1.2)에 설치된 스위치(14)는 저지구(15)를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제5도는 전단헤드 프레임(3)의 면이 도시된 구동단(8)에 인접해서 있는 위치에 도시된 전단헤드 프레임(3)과, 제4도의 손잡이(1)의 하우징 어셈블리(1.2)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단헤드 프레임(3)에는 열쇠장치(19)(20)에 의해 이동가능 즉, 분리가능하게 전단헤드 프레임(3)의 단부벽(17)과 (18) 사이에 있는 바닥부재(16)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축(Z)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4도 및 제5도의 전단헤드 프레임(3) 또는 전단헤드 시스템의 각(角)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두 스톱장치(21)(22)는 스위치(14)에 의해 제어가능한 저지구(15)가 뻗어있는 상태로 접촉하는 바닥부재(16)에 설치되어 있고, 한편으로 전단헤드 프레임(3)은 철수된 상태에서 저지구(15)로 선회축(Z)에 대해 360°회전이 자유롭게 한다.
전단헤드 프레임(3)에 배치된 하부카터(S)와 연결된 구동판(3)은 바닥부재(16)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구동판(23)은 모터에서 하부카터까지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부재(7)로써 접촉을 위해 구동홈(44)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카터와 바닥부재 사이의 진동이 생기도록 배치된 바닥부재(16) 및 하부카터(S)와 전단평면을 형성하는 상부카터(4)와 함께 제4도 및 제5도의 전단헤드 프레임(3)은, 선회축(Z)에 대해 지지러그(11)(1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사방으로 둘러싸인 전단헤드 시스템(2)을 형성하며, 각(角)운동은 면도기가 사용될 때 진동을 하는 구동부재(7)에서 하부카터까지 운동을 전달하도록 스톱장치(21)(22) 및 저지구(15)에 의해 제약될 수 있다.
제6도∼제9도는 전단 프레임(3)의 상부 및 하부 카터간의 상호 작용관계와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6도는 하부카터(25)(26)의 원형부위에 만곡되고 전단헤드 프레임의 종면(5)(6)에 고착된 상부카터(4)를 도시한다.
안내로울러(24)는 두개의 하부카터 사이에 생긴 U-형 부각(附角) 및 안내로울러(24) 주위에 안내된 상부카터(4)와 함께 하부카터(25)와 (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로울러(24)는 종면(5)(6)에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로울러가 회전하지 않을 때 전단평면(SE)에 대해 우측각에 설치된 홈으로써 종방향 안내장치(29)의 단부벽(17)(18)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카터(25)(26)에 구동부재의 진동운동을 전달하는 커플링 블럭(coupling block)(27)은 종면(5)와 (6)을 접하는 바닥부재(16)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TP1)(TP2)로 경계지고, 아치형 연장부(B1)와 (B2)를 연결하는 접선평면과 전단헤드 프레임(3)에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접선은 상부카터(4)의 길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전단평면(SE)에 대한 가상평면이다. 접점(TP1)과 (TP2)에서 떨어진 아치형 연장부((B1)(B2)의 유효전단 구역에서의 한계점(P1)(P2)은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에 있는 상부카터의 장착단에서 볼 때 상부카터를 구비한 하부카터(25)(26) 원주의 첫번째 접촉점이다. 내경(28)은 단부벽에 선회축(Z)을 받치도록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내경(28)의 중심축은 선회축의 일부분이며 제6도의 실시예에 따른 전단평면(SE) 아래 작은 일부분에 놓인다. 면도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커플링블럭(27)에 스프링이 장착된 하부카터(25)(26), 즉 수직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커플링 블럭(27) 때문에 피부표면에 대한 면도기의 접촉압력은 선회축과 관련하여 전단평면(SE)을 이동하도록 그 전단평면(SE)은 최소한 간헐적으로 신회축(Z)을 수평으로 가로지를 것이다.
제7도의 전단헤드 시스템은 제6도의 전단헤드 시스템과 상이하게 하부카터(25)(26)의 원호부위에 만곡된 두개의 상부카터(4.1)(4.2)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카터(4.1)는 하부카터(25)와 (26) 중간의 안내로울러(24)와 접촉되기까지 전단헤드 프레임의 종면(6)에 고착되어 하부카터(26) 주위로 안내되고 또한 종면(5)에 고착된 상부카터(4.1)(4.2)는 용접이나 리벳팅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안내로울러(24)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장치(29)에 미끄럼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8도는 전단헤드 시스템이 1개의 상부카터(4)와 하부카터(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하부카터(30)는 단일요소를 형성하도록 브리지(33)로 연결된 반구형인 카터헤드(31)(32)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카터(30)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장치(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수직카터나 또는 함께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커플링 블록(27)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카터(4)는 도시된 하부카터(30)의 만곡부 주위에 굽어있고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에 고착되어 있다. 공급 로울러(24)는 안내장치(29)에 미끄럼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로울러 주위에 안내된 상부카터(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카터(4)가 하부카터와 필요한 접촉 즉 스프링이 장착된 하부카터(30)가 상부카터(4)와 접촉하도록 한다.
제9도는 하부카터(34)위에 설치된 상부카터(4)를 구비하는 전단헤드 시스템을 도시한다. 하부카터(34)의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양면은 전단평면(SE)에서 뻗어 눕혀있는 상부카터(4)용 아치형 연장부(B1)(B2)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으로 휘어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부카터(34)의 하부면(35)은 아치형 연장부(B1)(B2)상의 점(P1) 및 (P2)를 연결하며 중간점(M1) 및 (M2)를 통해 뻗어있는 연결선(V)과 일치한다. 하부카터의 만곡부가 중간점(M1)(M2)의 중심축위에 수직으로 놓인 접점(TP1)과 (TP2)를 연결하는 전단평면(SE)과 같아질 때, 하부카터는 그 위에 설치된 상부카터(4)와 결합하여 아치형 전단구역과 평면전단 구역을 갖도록 한다. 선회축(Z)을 떠받은 내경(28)은 단부벽(17)에 설치되어 있다. 선회축(Z)은 전단평면을 통해 뻗어있다. 면도기의 사용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이 걸린 커플링 블록(27) 또는 스프링이 장착된 하부카터(34)로 인해 피부표면에 대한 면도기의 접촉압력은 전단평면(SE)이 스프링이 이동한 거리에 해당하는 변이량인 선회축(Z) 아래 지역으로 이동을 일으킬 것이다.
제10도와 제11도는 제4도의 지지러그중 하나로 지지되는 베어링인 전단헤드 시스템의 선회축(Z)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두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중 제10도는 하부카터뿐만 아니라 지지러그(11), 단부벽(17), 바닥부재(16) 및 상부카터(4)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지지러그(11)의 한면에 있는 구멍(28)은 보이지 않는 단부구멍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한편으로 관통구멍(36)은 단부벽(17)에 설치되어 있다. 관통구멍(36)속에 고정된 베어링핀(37)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구멍(28)과 접촉하여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선회축(Z)은 상부 카터(4)의 전단평면과 대등하게 놓인 관통구멍(36) 및 구멍(28)의 중심축을 통해 뻗어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손잡이(1) 및 단부벽(18)의 지지러그(12)는 상응하는 베어링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1도는 지지러그(11)가 손잡이(1)의 측벽(5)에 대해 다소 오프셋트(offset)된 것을 도시한다. 그 지지러그(11)는 전단헤드 프레임(3)의 내부로 뻗어있으며 일부는 단부벽(17)으로 둘러싸여 있다. 관통구멍(36)과 랩구멍(38)은 각각 단부벽(17)과 지지러그(11)에 설치되어 있다. 전단헤드 시스템 및 단부벽(17)을 회전가능하게 하도록 안내요소(40)가 설치된 장착나사(35)는 관통구멍(36) 속으로 뻗어있고 랩구멍(38)에 조여있다. 손잡이(1)의 지지러그(12)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응하는 베어링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선회축(z)은 지지러그(11)(12)의 랩구멍(38) 및 관통구멍(36)의 중심축 속으로 뻗어있다.
제12도는 면도기를 도시한 것인데 그 면도기는 손잡이(1)와 선회축(Z)에 대해 이동가능한 전단헤드 시스템(2)을 구비하며,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을 향하여 뻗어있는 아치형 연장부(B1)(B2)가 있으며 이중 아치형 상부카터(4)로 형성된 전단평면(SE) 및 전단헤드 프레임(3)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1)의 측벽(9)(10)에서 뻗어있기 때문에 두개의 돌출된 지지러그(11)과 (12)는 전단평면(SE)위에 놓인 선회축(Z)에 대해 전단헤드 프레임을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단헤드 시스템(2)의 종방으로 뻗어있는 선회축(Z)은 직선(G)를 가로지르고, 그 직선(G)은 공통점(SF) 주위에 인접한 범위로 놓인 전단평면 위에서 공통점(sp)의 전단평면(SE) 및 연결선(V)을 차례로 가로질러 놓여있다. 이 범위는 접선(T3) 및 연결선(V)의 전단평면(SE)에 있는 직선(G)의 공통점을 있는 상호거리(B)의 10배까지 이를수 있다.
전단평면 프레임(3)은 지지러그(11)(12)에 설치된 홈(42)(43)의 안내요소(40)(41)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안내요소(40)(41)와 홈(42)(43)은 선회축의 반경(R)이 동일한 아치형 형태로 되어있다.
Claims (16)
- 선회축(Z)에 대해 하우징(1)과 관련하여 선회되는 전단헤드 시스템(2) 및 하우징(1)과, 전단헤드 프레임(3)의 종면(5)(6)을 향하여 아치형 연장부(B1)(B2)가 있는 적어도 1개이상의 상부카터(4)에 의해 형성된 전단평면(SE)인 전단헤드 프레임(3) 및 상부카터(4)와 연관되어 상호 작용하도록 모터로 구동된 적어도 1개이상의 하부카터(25)(26)(34)를 구성하는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선회축(Z)은 두 직선(T3)(G)의 공통점(sp)을 통하여 뻗어있어서, T3는 아치형 연장부(B1)(B|2)에 대한 공통접선이 되고, G는 거리(A)의 중심에서 우측각의 접선(T3)을 가로지르는 직선이고, A는 아치형 연장부(B1)(B2)에 대한 접선(T3)의 접점(TP1)과 (TP2)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1항에 있어서, 선회축(Z)은 두 직선(T3)(G)의 공통점(sp)에 인접한 범위로 뻗어있으며 그 인접한 범위는 연결선(V) 위에 놓여있고, T3는 아치형 연장부(B1)(B2)에 대해 공통접선이 되고, G는 거리(A)의 중심에서 우측각의 접선(T3)을 가로지르는 직선이 되고, A는 아치형 연장부(B1)(B2)에 대한 접선(T3)의 접점(TP1)과 (TP2)간의 거리가 되고, "V"는 접점(TP1)(TP2)에서 떨어진 아치형 연장부(B1)(B2)의 유효전단 구역인 하부 한계점(P1)과 (P2)의 연결선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2항에 있어서, 선회축(Z)은 직선(G)의 구역에서 연결선(V)에 대한 거리가 접선(T3)의 절반거리(B)에서 직선(G)상의 접선(T3) 아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2항에 있어서, 선회축(Z)은 거리(B)의 10배에 이르는 지점에서 직선(G)상의 접선(T3)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2항에 있어서, 선회축(Z)은 직선(G)에 대한 거리에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이상의 스프링이 전단헤드 시스템(2)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단헤드 프레임(3)은 구동단에 덮혀있는 바닥부재(16)에 의해 사방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7항에 있어서, 구동판(23)은 바닥부재(16)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8항에 있어서, 구동판(23)에는 구동홈(4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7항에 있어서, 두 스톱장치(21)(22)는 바닥부재(16)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10항에 있어서, 스톱장치(21)(22)와 상호작용하며 하우징(1) 바깥으로 뻗어있고 스위치(14)에 의해 제어가능한 저지구(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단헤드 시스템(2)은 하우징(1)에 설치된 두 지지러그(11)(12)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12항에 있어서, 전단헤드 시스템(2)은 두개의 장착나사(39) 또는 베어링핀(37)(제10,11도)에 의해서 지지러그(11)(12)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12항에 있어서, 전단헤드 시스템(2)은 두 안내요소(40)(41)(제12도)에 의해서 지지러그(11)(12)에 설치된 홈(42)(43)에 미끄럼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8항에 있어서, 두 스톱장치(21)(22)는 바닥부재(16)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 제15항에 있어서, 스톱장치(21)(22)와 상호작용하며 하우징(1) 바깥으로 뻗어있고 스위치(14)에 의해 제어가능한 저지구(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P3610736.0 | 1986-03-29 | ||
DE19863610736 DE3610736A1 (de) | 1986-03-29 | 1986-03-29 | Elektrischer rasierapparat mit einem schwenkbaren scherkopf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8668A KR870008668A (ko) | 1987-10-20 |
KR940005311B1 true KR940005311B1 (ko) | 1994-06-16 |
Family
ID=629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2901A KR940005311B1 (ko) | 1986-03-29 | 1987-03-28 | 전기 면도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4796359A (ko) |
EP (1) | EP0239920B1 (ko) |
JP (1) | JP2749571B2 (ko) |
KR (1) | KR940005311B1 (ko) |
AT (1) | ATE51562T1 (ko) |
DE (2) | DE3610736A1 (ko) |
ES (1) | ES2014269B3 (ko) |
HK (1) | HK54791A (ko) |
SG (1) | SG50191G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721243A1 (de) * | 1987-06-27 | 1989-01-12 | Braun Ag | Rasierapparat mit einem schwenkbaren scherkopfsystem |
DE3726354A1 (de) * | 1987-08-07 | 1989-02-16 | Braun Ag | Elektrischer rasierapparat mit scherkopfsteuerung |
DE3843936C1 (ko) * | 1988-12-24 | 1990-05-31 | Braun Ag, 6000 Frankfurt, De | |
DE3917847C1 (ko) * | 1989-06-01 | 1990-05-31 | Braun Ag, 6000 Frankfurt, De | |
DE3917849C1 (ko) * | 1989-06-01 | 1990-11-29 | Braun Ag, 6000 Frankfurt, De | |
DE3926894C1 (ko) * | 1989-08-16 | 1990-12-06 | Braun Ag, 6000 Frankfurt, De | |
DE9010731U1 (de) * | 1990-07-18 | 1990-10-31 | Peukert, Gerhard, 3500 Kassel | Elektrisch betriebener Rasierapparat |
US5131148A (en) * | 1990-11-23 | 1992-07-21 | Wahl Clipper Corporation | Electric shaver with flexible cutter holder |
US5189792A (en) * | 1990-12-20 | 1993-03-0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eciprocatory electric shaver |
US5138767A (en) * | 1991-03-11 | 1992-08-18 | Remington Products, Inc. | Enhanced cutting system for electric dry shavers |
DE4117990A1 (de) * | 1991-06-03 | 1992-12-10 | Braun Ag | Elektrischer rasierapparat |
DE4128220C1 (ko) * | 1991-08-26 | 1992-08-06 | Braun Ag, 6000 Frankfurt, De | |
DE4128219A1 (de) * | 1991-08-26 | 1993-03-04 | Braun Ag | Rasierapparat |
DE4128221A1 (de) * | 1991-08-26 | 1993-03-04 | Braun Ag | Elektrischer rasierapparat |
DE4128218C1 (ko) * | 1991-08-26 | 1992-08-06 | Braun Ag, 6000 Frankfurt, De | |
US5611145A (en) * | 1991-12-20 | 1997-03-18 | Wetzel; Matthias | Dry-shaving apparatus |
DE4303972C1 (de) * | 1993-02-11 | 1993-10-14 | Braun Ag | Trockenrasierapparat mit einem schwenkbar gelagerten Scherkopfsystem |
JP3699736B2 (ja) | 1995-01-11 | 2005-09-28 |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 電気かみそり |
JP3716353B2 (ja) * | 1995-07-31 | 2005-11-16 |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
DE19601780C1 (de) * | 1996-01-19 | 1997-06-26 | Braun Ag | Rasierapparat |
DE19736776C2 (de) * | 1997-08-23 | 1999-06-02 | Braun Gmbh | Trockenrasierapparat |
JP3979052B2 (ja) | 2001-09-25 | 2007-09-19 | 松下電工株式会社 | 往復式電気かみそり |
DE10246519A1 (de) | 2002-10-05 | 2004-04-15 | Braun Gmbh | Haarentfernungsgerät |
US8627573B2 (en) | 2002-10-05 | 2014-01-14 | Braun Gmbh | Hair-removing device |
JP2005040358A (ja) * | 2003-07-22 | 2005-02-1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シェーバー |
JP3972903B2 (ja) * | 2003-12-26 | 2007-09-05 | 松下電工株式会社 | 電気かみそり |
KR100660979B1 (ko) * | 2004-10-08 | 2006-12-26 | 오태준 | 헤드무빙면도기 |
KR200373624Y1 (ko) * | 2004-10-12 | 2005-01-27 | 오태준 | 왕복식 헤드무빙면도기 |
KR200373625Y1 (ko) | 2004-10-12 | 2005-01-27 | 오태준 | 헤드무빙면도기 |
DE102005044175A1 (de) | 2005-09-16 | 2007-03-29 | Braun Gmbh | Haarentfernungsgerät |
DE102005044176A1 (de) | 2005-09-16 | 2007-03-29 | Braun Gmbh | Haarentfernungsgerät |
JP4715425B2 (ja) * | 2005-09-27 | 2011-07-06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電気かみそり |
DE102006004675A1 (de) * | 2006-02-02 | 2007-08-09 | Braun Gmbh | Elektrisch betriebener Rasierer |
KR200426275Y1 (ko) | 2006-06-08 | 2006-09-19 | 오태준 | 멀티형 헤드무빙면도기 |
DE102006030947A1 (de) | 2006-07-05 | 2008-01-10 | Braun Gmbh | Elektrischer Trockenrasierapparat |
JP4265666B2 (ja) * | 2007-02-23 | 2009-05-20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脱毛装置 |
JP5576175B2 (ja) * | 2010-04-27 | 2014-08-20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電気かみそり |
EP3854538B1 (en) | 2020-01-23 | 2024-10-16 | Braun GmbH | Electric beard trimmer |
EP3854540A1 (en) * | 2020-01-23 | 2021-07-28 | Braun GmbH | Electric beard trimmer |
EP3854541B1 (en) | 2020-01-23 | 2024-06-26 | Braun GmbH | Electric beard trimmer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48509B (ko) * | 1959-01-08 | |||
US1997096A (en) * | 1931-01-26 | 1935-04-09 | Andis Mathew | Cutter head for power driven hair clipping and shaving devices |
US2099537A (en) * | 1936-06-17 | 1937-11-16 | Schmitt George Philip | Razor and hair clipper |
US2148712A (en) * | 1936-11-11 | 1939-02-28 | Gustave T Reich | Multiple effect distillation of alcoholic liquids and the like |
US2164425A (en) * | 1937-07-09 | 1939-07-04 | Remington Rand Inc | Multiple head dry shaver |
US2265382A (en) * | 1937-10-20 | 1941-12-09 | Angus A Martin | Hair clipping instrument |
US2146712A (en) * | 1938-05-18 | 1939-02-14 | Knapp Monarch Co | Shearing head construction |
FR871290A (fr) * | 1940-02-25 | 1942-04-17 | Rasoir électrique | |
US2526153A (en) * | 1946-11-20 | 1950-10-17 | Herbert E Page | Multihead dry shaver |
FR1158440A (fr) * | 1956-10-23 | 1958-06-13 | Perfectionnements aux rasoirs électriques | |
US3279056A (en) * | 1964-10-28 | 1966-10-18 | Andis Clipper Co | Double-edge combination dry shaver and finishing hair clipper with adjustable head |
NL7108090A (ko) * | 1971-06-12 | 1972-12-14 | ||
GB1460732A (en) * | 1973-03-01 | 1977-01-06 | Gillette Co | Safety razor |
US4505036A (en) * | 1982-03-15 | 1985-03-19 | Kyushu Hitachi Maxell, Ltd. | Electric shaver arranged to be tilted |
GB2118886B (en) * | 1982-03-15 | 1985-07-17 | Hitachi Maxell | Electric shaver |
JPH0246227B2 (ja) * | 1983-03-11 | 1990-10-15 | Hitachi Maxell | Denkikamisori |
NL8402778A (nl) * | 1984-09-12 | 1986-04-01 | Philips Nv | Scheerapparaat. |
-
1986
- 1986-03-29 DE DE19863610736 patent/DE3610736A1/de active Granted
-
1987
- 1987-03-14 JP JP62059925A patent/JP274957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7-03-23 US US07/029,304 patent/US479635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3-24 ES ES87104364T patent/ES2014269B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3-24 EP EP87104364A patent/EP0239920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3-24 AT AT87104364T patent/ATE51562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03-24 DE DE8787104364T patent/DE3762101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7-03-28 KR KR1019870002901A patent/KR94000531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
- 1991-06-25 SG SG501/91A patent/SG50191G/en unknown
- 1991-07-18 HK HK547/91A patent/HK54791A/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8668A (ko) | 1987-10-20 |
EP0239920A3 (en) | 1989-04-05 |
HK54791A (en) | 1991-07-26 |
EP0239920B1 (de) | 1990-04-04 |
DE3610736A1 (de) | 1987-10-01 |
ATE51562T1 (de) | 1990-04-15 |
DE3762101D1 (de) | 1990-05-10 |
ES2014269B3 (es) | 1990-07-01 |
DE3610736C2 (ko) | 1988-04-21 |
US4796359A (en) | 1989-01-10 |
EP0239920A2 (de) | 1987-10-07 |
JPS62227395A (ja) | 1987-10-06 |
SG50191G (en) | 1991-08-23 |
JP2749571B2 (ja) | 1998-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05311B1 (ko) | 전기 면도기 | |
KR930000832B1 (ko) | 면도기 | |
JP3514794B2 (ja) | 乾式ひげそり装置 | |
JP2798210B2 (ja) | ドライシェービング装置 | |
US6115924A (en) | Razor with a movable cartridge | |
KR0150199B1 (ko) | 케이블 스트리핑 공구 | |
US11298839B2 (en) | Hair removal device | |
RU202357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точки лезвия | |
EP0231966B1 (en) | Dry-shaving apparatus | |
ES8107081A1 (es) | Un aparato de afeitar perfeccionado | |
JPH0422388A (ja) | 安全かみそり | |
KR970010845B1 (ko) | 면도날 유닛 | |
US20030010802A1 (en) | Device for cutting soft flexible, sheet-like workpieces | |
JP3504343B2 (ja) | 歯ブラシの剛毛の選択的分離のための装置と歯ブラシの剛毛の選択的カットのための装置 | |
US4275497A (en) | Shaving apparatus | |
US3949469A (en) | Electric shaver comprising a rotatable cylindrical shearing foil | |
CN1212647A (zh) | 保险剃刀 | |
US5904085A (en) | Sheet material cutting apparatus | |
JPH0724782A (ja) | シート切断方法およびシート切断装置 | |
JPS6122994B2 (ko) | ||
GB1499890A (en) | Device for cutting sheet material | |
CA1114143A (en) | Shaving apparatus | |
JPH05177585A (ja) | シート材切断装置 | |
US3401454A (en) | Shaving head for an electric shaver | |
US4779332A (en) | Safety raz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50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