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264B1 - 압력솥 - Google Patents

압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264B1
KR940005264B1 KR1019870015744A KR870015744A KR940005264B1 KR 940005264 B1 KR940005264 B1 KR 940005264B1 KR 1019870015744 A KR1019870015744 A KR 1019870015744A KR 870015744 A KR870015744 A KR 870015744A KR 940005264 B1 KR940005264 B1 KR 94000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er
control member
pressure
l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25A (ko
Inventor
크레자 쥐르겐
로쓰 에버하드
볼렉 존자
Original Assignee
베엠에프 뷔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악티엔게젤샤프트
닥터, 아이크-프리츠 벤드, 롤프 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엠에프 뷔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악티엔게젤샤프트, 닥터, 아이크-프리츠 벤드, 롤프 리터 filed Critical 베엠에프 뷔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8001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5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6With external means for opposing bi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6With external means for opposing bias
    • Y10T137/7877With means for retaining external means in bias oppos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Safety Valv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솥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압력해제밸브가 동작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1a도는 제1도에서의 레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압력해제밸브가 증기 방출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2a도는 제2도에서의 레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에서 청소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3a도는 제3도에서의 레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제어장치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동작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5a도는 제5도에서의 레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는 제5도에서 증기방출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6a도는 제6도에서의 레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제5도에서 청소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7a도는 제7도에서의 레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는 제5도의 실시예에서 제어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9도는 슬라이딩블럭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동작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10a도는 제10도에 따른 레일의 평면도.
제10b도는 제10a도에 따른 레일의 측면도.
제10c도는 제10도에 따른 잠금부재의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동작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11a도는 제11도에 따른 레일의 평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에 따른 레일의 측면도.
제11c도는 제11도에 따른 잠금부재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동작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12a도는 제12도에 따른 레일의 평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에 따른 잠금부재의 측면도.
제12c도는 제12도에 따른 잠금부재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동작위치에 있을 경우의 단면도.
제13a도는 제13도에 따른 레일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솥 2 : 뚜껑
2 : 조리용기 4, 5 : 반쪽핸들
5a : 인입구멍 7 : 구멍
8 : 압력해제밸브 10 : 밀폐부재
12 : 스프링지지대 13 : 회동핀
14, 68 : 회동판 15 : 안내구멍
16, 40, 48, 56, 72, 75 : 제어장치 17, 23 : 구멍
18 : 슬라이드노브 19, 41, 49, 57, 73, 77 : 제어부재
25 : 정지웨브 27 : L형요홈
28 : 인입구멍 29 : 슬라이딩블럭
31, 46, 53, 65 : 잠금부재 38, 79 : 정지구
본 발명은 압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해제밸브의 회동판이 동작위치와 청소위치 및 증기 방출위치까지 회동될수 있도록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압력솥에 대해서는 유럽특허 제8,465호를 들 수 있는바, 이러한 통상의 압력솥에서는 압력해제밸브가 압력지시용 태핏과 함께 하우징에 구비되어지고, 하우징은 뚜껑의 안쪽면에 지지되어지게 되며, 밸브캡은 압력솥바깥면의 밸브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밸브캡과 뚜껑의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캡의 안쪽에는 스프링지지용 스프링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다른쪽은 압력해제밸브용밸브몸체에 지지되면서 밸브시트에 대해 상기 밸브몸체를 눌러주게되며, 그에따라 밸브캡을 위, 아래로 조여줌으로써 압력해제밸브의 응답압력을 조절해줄 수 가 있게된다.
한편 압력해제밸브는 정상적인 조리과정중에 조리용기내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증기압보다 스프링장력이 큰 특정영역에서 동작위치를 유지하게 되나. 조리용기내의 증기압이하로 스프링장력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증기 방출위치로 밸브캡의 나사를 윗쪽방향으로 풀어주면 증기가 신속히 방출되어 뚜껑이 열러질 수 있게 된다. 또, 압력솥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너트를 풀어서 전체밸브하우징을 뚜껑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며, 그런다음 밸브시트에 접근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밸브캡을 더 풀어주고 압력해제밸브를 부품들로 분해시켜 주어야하는바, 이를 행할 경우에는 각 부품을 분실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항상 모든 구성부품들을 하우징내에 정확한 위치에 올바른 순서로 재삽입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밸브하우징을 너트로 뚜껑에 공정결합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밸브하우징의 청소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청소를 행할 여유가 없게되며, 이 때문에 밸브에 부착된 음식찌꺼기나 기름막으로 인해 압력해제밸브가 만족할 만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미국특허제 2,614,724호에는 압력해제밸브에 작용하는 부하가 스프링이 아닌 중량판에 의해 가해지도록 된 압력솥이 제시되어져 있는데, 이는 밸브몸체가 아랫쪽 중량판에 의해 지지안내되고 밸브시트가 뚜껑에 위치되며, 중량판이 각기 서로 회동될수 있도록 뚜껑에 반복됨으로써 조리용기내의 소정 압력에 대한 압력해제밸브의 응답압력을 변화시켜줄 수 있도록 각각 윗쪽으로 회동되어질 수가 있게된다. 이와같은 경우 청소작업이 상대적으로 간편해지는 효과를 가질수는 있으나. 조리용기를 사용중일때는 사고의 위험으로 인해 다룰수가 없는바, 예컨데 잠금기구들이 해제되기전에 모든 중량판들이 증기방출을 위해 윗쪽으로 올라갈 경우 뚜껑의 밸브시트로부터 사용자의 손근처로 강력한 증기가 방출되는 바, 이러한 증기분사는 거의 필연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게 된다.
또한 중량판은 필연적으로 뚜껑의 무게를 증가시켜주게되어 한손으로는 상끼 뚜껑을 지지하기가 어렵고, 중량을 유지하기 위해 밸브구멍의 크기가 작게 열려질 경우 구멍이 막힐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형태의 압력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가볍고 간편한 뚜껑을 제공하면서 사용 및 청소가 용이하고, 사고발생의 위험성이 크게 감소되어질수 있도록 된 압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은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의해 달성되는 바, 이 제1항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청소를 위해 압력해제밸브를 분해결합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압력해제밸브의 모든 부품에 접근할 수 있으며, 압력해제밸브의 적정기능에 장애를 줄수 있는 부착된 모든 음식찌꺼기들을 손으로, 혹은 물을 분사하여 쉽게 제거할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의 특정증기방출위치의 적절한 배치로 증기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되어 강력한 열분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한편, 사용자의 손이 뜨거운 증기가 빠져나가는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될 수 있게되며, 더욱이 조리용기의 뜨꺼운 부분과 접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청구범위 제2항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목적을 위한 접근성이 보다 개선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은 특히 제어장치의 유용한 구조설계를 설명한다.
청구범위 제4항은 조작장치의 제1실시예로서, 특히 단순하고 쉬운 방법으로 수동조작될 수 있는 것을 설명한다.
청구범위 제5항에 따르면 회동판의 회동판배열이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제6-8항에 따른 실시예는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기능상 신뢰성이 높다.
제9항은 안내면배열의 한예를 설명한다.
제10항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작동이 용이하다.
제11 및 12항은 제어부재에 의해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한예를 설명한다.
제13-15항은 제어부재가 회동판을 움직이게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두 번째 예를 설명한다.
제18-20항은 제어부재가 회동판을 움직이게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세 번째 예를 설명한다.
제21-23항은 회동판의 회동핀이 제어장치와 떨어져서 마주하는 압력해제밸브면옆에 배열되어진 경우의 다섯째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극히 간단하고 견고한 구조설계를 갖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4,25항은 회동판이 푸쉬버튼에 의해 회동되는 경우의 여섯째 예를 설명한다.
제26항에 따른 한 반쪽핸들의 내부에 설치되어진 제어장치는 광범위하게 손상이 방지된다.
제27항에 따르면 요홈에 걸리는 슬라이딩블럭과의 결합에 있어서, 조작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레일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상기 레일은 뚜껑이 아직 조리용기상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청소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없도록 보장되며(제27항-제30항), 압력해제밸브가 무의식중에 완전히 열려지지 않도록 간단한 방법으로 보장된다.
부정확한 동작을 방지하는 부가적이 안정장치가 제31항에서 설명되는 바, 이러한 방법으로, 뚜껑이 조리를 위해 예정된 위치에서 조리용기위에 놓여진 경우 압력해제밸브와 그 동작위치로만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보장해주며, 뚜껑이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을 경우 내부압력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제32-37항은 잠금부재의 여러 가지 구조설계를 설명한다.
제38-40항에 따른 구조설계는 뚜껑을 닫는데 유용한바, 또한 이 구조에 근거하여 요홈을 차단하는 잠금부재가 그 잠금위치로부터 보다 쉽게 상승될 수 있다.
제41항에 따르면, 압력해제기능을 위한 응답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뚜껑(2)과 조리용기(3)로 구성된 압력솥(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바, 조리용기(3)는 통상의 핸들인 하나의 반쪽핸들(4)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반쪽핸들(5)은 뚜껑(2)에 연결되어 있으며, 뚜껑(2)은 예컨대 공지의 총검결합을 통해 조리용기(3)와 결합되어지게 되며, 조리위치에서 반쪽핸들(4,5)은 서로 정렬되어져야 하고, 뚜껑(2)과 용기(3)는 통상의 방법대로 밀봉링(6)에 의해 상호 밀폐되어지게 된다.
또 뚜껑(2)에는 구멍(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7)과 일정간격을 두고 밸브시트(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압력해제 밸브(8)를 위해 이용된다. 압력해제밸브(8)는 또한 밀폐부재(10)를 포함하는 밸브몸체(9)를 가지며, 압축스프링(11)은 한쪽끝이 밀폐부재(10)의 상부(10a)에 지지되고, 다른쪽끝은 스프링지지대(12)에 지지되는바, 상기 스프링지지대(12)는 회동판(14)상에 회동핀(13)을 매개로 회동될수 있도록 배열되어지고, 회동판(14)에는 뚜껑(2)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도되록 안내구멍(15)형성되어짐으로써, 그안에 밸브몸체(9)가 안내되어지게 되며, 밸브몸체(9)는 헤드(9a)에 의해 안내구멍(15)내로 빠져들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또 회동판상의 스프링지지대(12)는 어느 정도 뚜껑(2)을 향해 회동되어 눌려질 수 있으므로 스프링(11)이 제1도에 도시된 동작위치에서는, 스프링지지대(12)와 상부(10a)상이에서 미리 압축되고, 밀폐부재(10)를 갖춘 밸브몸체(9)는 작동위치에서 스프링지지대(12)와 뚜껑(2)사이의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밸브몸체(9)가 구멍윗쪽끝에서 안내구멍(15)위로 돌출되게 된다. 회동핀(13)은 핸들과 마주보는 압력해제밸브옆에 배열되면서 반쪽의 핸들(5)내에서 적당히 지지되고, 이 반쪽의 핸들(5)은 그 내부의 공간에 제어장치(16)가 설치되며, 반쪽핸들(5)의 윗면에는 슬라이드노브(18)로 이루어져 제어장치(16)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장치가 연장설치되도록 긴구멍(17)이 형성되어져 있는바, 상기 조작장치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16)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부재(19)가 구비되어지는바, 이 제어부재(19)는 탄성강재로 된 스트립형구조를 가지며, 그 한쪽끝에는 밑면에 요홈(21)을 감싸는 절곡부(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곡부(20)는 제어부재(19)보다 폭이 좁아 절곡부(20)양면에 접촉부(22)가 형성되게 되고, 제어부재(19)는 절곡부(20)를 통해서 뚜껑위의 회동판(14)윗면에 형성된 긴구멍(23)과 결합되며, 안내면(24)은 긴구멍(23)의 양면상에 연장되고, 제어부재(19)의 접촉부(22)가 이 안내면(24)과 접촉되게 된다.
이때 안내면(24)은 반드시 노브(18)의 작동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노브(18)의 이동경로에 대해 윗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안내면(24)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노브(18)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제1영역(24a)과, 슬라이드노브(18)쪽으로 상기 제1영역(24a)에 이어지는 제2영역(24b)으로 구성되는바, 제어부재(19)의 접촉부(22)는 제1도에 도시된 동작위치에서 제1영역(24a)에 위치되게 되고, 회동핀(13)에 인접한 구멍(23)의 끝에는 절곡부(20)의 요홈(21)과 결합되는 정지웨브(25)가 형성되어져 있는바,절곡부(20)의 반대쪽 제어부재끝은 19a, 19b에서 절곡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노브(18)는 판형금속스트립으로 된 L-형레일(26)의 수직레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이 레일(26)의 수평레그에는 종단(27a)을 갖는 L-형요홈(27)이 수직레그 부근에 배열된 인입구멍(28)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이 인입구멍(28)과 L-형요홈(27)은 슬라이딩블럭(29)이 수납되어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슬라이딩 블록(29)은 용기(3)에 설치된 반쪽 핸들(4)에 끼워진채로 반쪽핸들(5)쪽으로 돌출되어짐으로써 반쪽핸들(4,5)이 서로결합되어질때 윗쪽반쪽핸들(5)의 인입구멍(5a)에 끼워지게 되며, 예컨대 노브(18)가 반쪽핸들(4,5)이 서로 결합되어질 때 윗족반쪽핸들(5)의 인입구멍(5a)에 끼워지게 되며, 예컨데 노브(18)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7)의 끝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딩블럭(29)은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L-형요홈(27)의 내부에 위치되게 되어, 결국 레일(26)에 의해 인입구멍(5a)을 따라 이동되지 못하도록 잠겨지게 됨으로써 반쪽핸들(5,4)이 서로 각각 움직일수가 없게되고, 압력솥(1)은 슬라이드노브(18)가 상기위치에 있는 한 열려질 수가 없게 된다.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드노브(18)에 연결되는 레일(26)의 수직레그에는 홈(30)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잠금부재(31)가 연장되어지게 되고, 이 잠금부재(31)는 판형금속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끝에 앵글부(32)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앵글부(32)는 반쪽핸들(4)과 대향하는 반쪽핸들(5)내면에 틸팅될 수 있도록 지지되면서 반쪽핸들(5)의 공간내에 설치된다.
또 잠금부재(31)는 상기 앵글부(32)의 반대쪽에 제1도에 되시된 위치에서 레일(26)의 홈(30)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영역(33)이 구비되어져 있는바, 상기 영역(33)은 뚜껑쪽으로 위치한 전단부(34a)와 그에 대향하는 후단부(34b)가 구비되어져 있는 홈(34)과 이어지고, 이홈(34)의 깊이는 레일(26)의 홈(30)의 깊이와 최소한 같아야 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홈(30)보다 약간 더 큰 것이 좋다. 또 상기 홈(34)에는 앵글부(32)쪽으로 절곡부(35)가 이어지는데, 이 절곡부(35)는 후단부(34b)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31)는 후단부(24b)근처에서 절곡부(35)뒤로 슬라이딩블럭(29)에 의해 지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35)의 저면에는 경사진 램프면이 형성되어 있는바, 그 작용은 이하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한편 제1도 및 4도에서 분명히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제어부재(19)에는 레일(26)이 관통하는 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어부재(19)는 슬라이드노브(18)가 구멍(17)내에서 이동되어질 때 함께 이동되게 되며, 슬라이드노브(18)의 제어부재(19)쪽을 향한 면에는 돌출캠(37)이 제공되어져 있으며, 제어부재(19)는 절곡부의 하단(19a)이 절곡부(35)와 앵글부(32)사이의 잠금부재(31)위에 얹혀지고, 절곡부의 상단(19b)이 슬라이드노브(18)에 밀착하도록 설치된다.
제1도에 도시된 동작위치에서 캠(37)은 절곡부의 하단(19a)이 잠그부재(31)상에 실려진 위치와 접촉부(22)가 안내면(24)에 밀착된 위치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아래로 돌출되어지는바, 이렇게 되면 탄성제어부재(19)가 미리 장력을 받게되어 제어부재(19)와 접촉부(22)에 걸쳐 회동판(14)의 안내면(24)상으로 힘을 가하게 되며, 이힘은 압력해제기능을 위한 스프링 장력과 함께 스프링지지대(12)를 통해서, 압력해제벨브(8)의 스프링(11)에 미리 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장력은 다른 응답장력을 갖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미리 장력을 받게된다.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 반쪽핸들(4,5)이 상호 결합되어지게 되면 조리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이어 소정의 조리기간이 완료되고 압력솥(1)의 압력이 급속히 저하되게 되면, 슬라이드노브(18)는 구멍(17)내에서 반쪽핸들(4,5)의 자유단쪽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절곡부(20)는 구멍(23)내에서 정지웨브(25)쪽으로 이동하고, 그에따라 접촉부(22)가 안내면(24)의 제1영역(24a)에서 제2영역(24b)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나 이는 회동판(14)상의 제어부재(19)를 통해, 그리고 스프링(11)상의 스프링지지대(12)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약간 감소시켜줄 뿐이며, 따라서 압력솥 내부의 높은 내압은 밀폐부재(10)를 밸브시트(7a)로부터 밀어올려주게 된다. 슬라이드노브(18)가 구멍(17)내로 더 밀려지게 되면 스프링(11)은 완전히 이완되게 되고, 따라서 회동판(14)이 스프링(11)에 아무런 하중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밀폐부재(10)가 밸브시트(7a)에 대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로 들려지게 되는바, 이러한 위치는 제2도 및 2A도에 도시되어진 바와같은 증기방출위치로서, 증기방출은 압력솥(1)의 내부압력에 따라 보다 빨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도 및 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노브(18)는 L형요홈(27)의 종단(27a)이 슬라이딩블럭(29)에 접촉되도록 구명(17)내에서 이끌리게 되는데, 이위치에서 잠금부재(31)의 홈(34)은 레일(26)의 홈(30)과 함께 같은 높이로 위치됨으로써, 잠금부재(31)는 슬라이딩 블록(29)에 의해 아무런 지지도 받지 않게 된다.
또 절곡부(20)는 구멍(23)의 전체길이를 따라 이동되면서 그 요홈(21)을 이용하여 구멍(23)의 정지웨브(25)를 둘러싸게 되고, 따라서 절곡부(20)는 회동핀(13)에 최근접하면서 압력해제밸브(8)와 대향하는 면에 살짝 얹혀지게 된다. 전체 압력이 제로로 감소하게 되면 용기는 열려질 수 있는바, 이를 위해 반쪽핸들(4,5)이 서로 상응되게 이동됨으로써 뚜껑(2)과 조리용기(3)사이의 총검결합이 해제되고 뚜껑(2)이 열려질 수가 있다.
한편 반쪽핸들(4,5)이 서로 상응되게 회동되어 슬라이딩블럭(29)이 인입구멍(28)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면 곧이어 잠금부재(31)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위치로 떨어지게되고, L형요홈(27)의 종단(27a)은 슬라이딩블럭(29)과 접촉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드노브(18)는 제3도 및 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7)내에서 완전히 밀려져 청소위치까지 이동되어질 수가 있게된다. 이 이동과정에서 회동판(14)은 정지웨브(25)와 결합된 절곡부(20)에 의해 완전히 윗쪽으로 회동되는데, 이때 반쪽핸들(5)에는 회동판(14)을 위한 적절한 정지구(38)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제어부재(19)는 반드시 이완되어져야 하거나 정지웨브(25)가 절곡부(20)의 홈(21)내에 유지되어지는 한도내에서 장력을 받게되어야 하며, 이렇게 됨으로써 압력해제밸브(8)와 그 밀폐부재(10)가 구멍(7)과 함께 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청소하기에 용이하도록 놓여지게 된다. 또, 상기 인입구멍(28)위에 놓여진 잠금부재(31)와, 일정높이에서 슬라이딩블럭(29)과 함께 놓여지는 레일(26)의 수직레그는 슬라이딩블럭(29)이 청소위치에서 L-형요홈(27)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주며, 여기서 사용자가 뚜껑(2)과 조리용기(3)를 재결합시켜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노브(18)를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레일(26)의 수직레그가 홈(34)의 전단부(34a)와 접촉될 때 까지 레일(26)을 뚜껑(2)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노브(18)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되고, 압력해제밸브(8)는 그동작위치로 아직 옮겨질 수가 없게되는바, 이는 뚜껑(2)이 아직 정확하게 닫혀지지 않은채 압력솥(1)내에 과잉압력이 발생될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입구멍(28)은 다시 일정높이에서 슬라이딩블럭(29)위에 놓여지게 되고, 슬라이딩블럭(29)의 인입은 아직도 단지 잠금위치에 있는 잠금부재(31)에 의해서만 방해받게 된다.
또 반쪽핸들(4,5)이 서로를 향해 더 이동하게 되면, 제9도에 도시된 경사면(39)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슬라이딩블럭(29)이 절곡부(35)의 램프면아래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잠금부재(31)가 상승되면서 영역(33)의 전단부(34a)가 일정높이에서 레일(26)내의 요홈(30)내에 다시위치하도록 해주며, 따라서 구동장치인 슬라이드노브(18)가 제1도에 도시된 전방위치에 놓여질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전단부(34a)가 홈(30)을 통해 이동되며, 슬라이딩블럭(29)은 압력해제밸브(8)가 그 동작위치로 회동되어질 때까지 L-형요홈(27)내로 완전히 들어가게 된다.
한편 제5-8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부분이나 유사한 구조부분을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쪽핸들(5)의 공간에는 슬라이드노브(18)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장치(40)가 설치되며, 이 제어장치(40)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곡된 스틸와이어로 이루어진 제어부재(41)를 갖추고 있는바, 이 제어부재(41)에는 고정부(41a)가 구비되어있어 슬라이드노브(18)에 형성된 후크(18a)에 끼워지게 된다. 이 후크 구조는 제어부재(41)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면서, 고정부(41a) 아래로 결합되거나 고정부둘레로 연장됨으로써, 슬라이드노브(18)가 구멍(17)내에서 이동될때 제어부재(41)가 약간의 유동도 없이 이동되어질 수가 있도록 해주게 된다. 이 제어부재(41)에는 구멍(41c)을 둘러싸는 안내영역(41b)이 추가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41a)의 반대쪽에는 제2안내영역(41e)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판(14)은 속이 빈 상태로서 반쪽 핸들(5)에 대향하는 면 끝의 회동핀(13)근처에 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반쪽핸들(5)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구멍(42)의 끝에는 안내면(43)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회동핀(13)아래로 회동핀(13)과 상관되는 공간에까지 연장되어져 있으며, 이 안내면 (43)은 필요에 따라 회동판(14)아래에서 양쪽으로 연장된 웨브상에 배열되어질 수도 있다.
한편, 속이 비어있는 반쪽핸들(5)의 안쪽면에는 구멍(17)앞쪽에 지지대(44)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지지대는 반쪽핸들(5)이 공간내에서 후크(18a)상의 제어부재(41)를 위한 지지면보다 더 돌출됨으로써 안내영역(41b,41e)이 제어부재(41)에 미리 장력을 가하도록 지지대(44)에 대해 이끌려지게 해주며, 또 안내영역(41b)은 구멍(42)을 통해 회동판(14)내부로 돌출되면서, 제5도에 도시된 동작위치에서는 안내면(43)위에 놓여지게된다.
또 제어부재(41)를 후크(18a)와 지지대(44) 및 회동핀(13)상의 지지위치사이에서 미리 장력을 받도록 설정해놓기 위해서는 안내영역(41b)이 안내면(43)에 힘을 가해야 하며, 이 힘은 회동판(14)을 뚜껑(2)에 지지되는 위치로 유지시켜주게 되고, 스프링(11)은 스프링지지대(12)에 의해서 압력해제기능에 요구되는 장력으로 미리 긴장되어진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레일(45)은 슬라이드노브(18)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바, 상기 레일(45)에는 홈(30)과 함께 인입구멍(28)이 구비된 L형요홈(27)이 제공되어짐으로써 반쪽핸들(4)로부터 돌출된 슬라이딩블럭(29)이 결합되고, 상기 인입구멍(28)은 앞에서 설명한대로 윗쪽반쪽핸들(5)내에서 인입구멍(5a)과 정렬되어 있다. 이때 레일(45)과 레일(26)간의 차이점은 레일(45)이 180°회전되게 설치되고, 종단(27a)과 인입구멍(28)이 L형요홈의 수직래그 반대쪽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잠금부재(46)가 제공되는 바, 이 잠금부재(46)는 판형의 탄성강체로 된 U자형스트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한쪽레그(46a)는 고정부(41a)와 인접해서 제어부재(41)에 접촉되고, 연결웨브(46b)는 뚜껑(2)에, 바람직하기로는 반쪽핸들(5)을 뚜겅(2)에 고정시켜주는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어 짐이 좋다. 또 다른 쪽 레그(46c)는 인입구멍(5a)이상으로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연장되면서 슬라이딩블럭(29)에 의해 지지되고, 그에따라 레그(46a)쪽으로 미리 긴장되게 되는바, 이러한 지지구조는 홈(30)에 상응하는 홈(47)이 레그(46c)에 형성되어짐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압력해제밸브(8)가 제6도의 증기방출위치로 이동되면 슬라이드노브(18)는 레일(45)의 종단(27a)이 슬라이딩블럭(29)과접촉되는 위치까지 밀려지게 되고, 따라서 제어부재(41)는 안내영역(41b)이 안내면(43)에서 해제될때까지 즉, 안내면(43)상에서의 긴장이 제거될때까지 이동되어지게 된다. 또 제어부재(41)의 접촉부(41d)가 회동핀(13)위로 회동판(14)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증기를 방출하도록 하는 위치까지 회동판(14)을 들러올려주게 되며, 잠금부재(46)의 레그(46c)는 레일(45)의 홈(30)밖으로 완전히 이동된다. 뚜껑(2)은 총검결합으로 풀어주도록 회전되어 제거되며, 슬라이딩블럭(29)이 인입구멍(28)에서 빠져나가자마자 레그(46c)가 아래로 이동되면서 인입구멍(28)과 인입구멍(5a)을 막아주게 된다. 이렇게 슬라이딩블럭(29)이 레일 (45)로부터 해제되면 슬라이드노브(18)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청소위치로 밀려질 수가 있으며, 이 위치에서 제어부재(41)는 접촉부(41d)가 회동판(14)을 가장 높은 위치로, 정지구(38)에 이르기까지 회동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L형요홈(27)의 종단(27a)은 인입구멍(5a)위로 이동되는바, 이는 슬라이드노브(18)가 청소위치에 있는 동안 슬라이딩블럭(29)이 인입구멍(5a)내로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뚜껑(2)이 조리용기(3)와 재결합될 경우에는 슬라이드노브(18)가 제6도에 도시된 증기방출위치로 이동해서 인입구멍(28)이 인입구멍(5a)과 함께 정열되어져야 하는바, 이 과정에서 잠금부재(47)의 후단부(47a)가 홈(30)아래에서 레일(45)의 수직레그영역(30a)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드노브(18)가 동작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또 반쪽핸들(4,5)이 상호정열될 경우 슬라이딩 블록(29)은 제9도의 경사면(39)으로 다시 지지되는 상태에서 잠금부재(46)의 레그(46c)아래로 이동되면서 후단부(47a)를 홈(30)의 일정높이에서 다시 놓여지도록 들어올려주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노브(18)는 제5도에 도시된 동작위치까지 완전히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안내영역(41b)은 안내면(43)위로 이동되면서 스프링을 소정방법대로 미리 긴장시켜 안내면(43)에 다 뚜껑방향으로 부하를 가해주게 된다.
제10도 및 10a-10c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바, 상부반쪽 핸들(5)의 내부공간에는 슬라이드노브(18)에 의해 조작되는 제어장치(48)가 배열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48)에는 판형탄성강으로 된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제어부재(49)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 제어부재(49)는 통상의 방법대로 슬라이드노브(18)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며, 슬라이드노브(18)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인해 미리 긴장된 상태에서 구멍(17)저면의 앞뒤로 연장된 지지대에 접촉된 상태로 끌려 지게된다. 상기 제어부재(49)는 회동판(14)의 끝면에 상향절곡부(49a)가 형성되어 있어, 회동판(14)윗면의 회동핀위에 형성된 안내면(50)에 얹혀지게 된다.
상기 안내면(50)은 제1영역(50a)과, 이 제1영역(50a)으로부터 반쪽핸들(5)쪽으로 이어지는 제2영역(50b)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제1영역(50a)은 슬라이드노브(18)의 이동방향에 대해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고, 제2영역(50b)은 상기 슬라이드노브(18)의 이동방향에 대해 보다 큰 경사각도로 연장되어져 있으며, 회동판(14)은 토션스프링(51)에 의해 제어부재(49)쪽으로 밀려지게 되는바, 이는 회동축(13)둘레로 연장설치되는 것이 좋다. 제10도에 도시된 동작위치에서, 제어부재(49)는 슬라이드노브(18)와 고정결합되고 지지대(44)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향절곡부(49a)가 회동판(14)이 밀접될 안내면(50)에 가압되게 제어부재(49)가 미리 긴장되어 있고, 상향절곡부(49a)는 안내면(50)의 제1영역(50a)에 놓여지게 되는데, 상기 안내면(50)의 제1영역(50a)의 경사각은 제어부재(49)와 회동판(14)이 밀접될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고, 상기 회동판과 한편으로 회동판(14)의 토션스프링의 작용점 사이 다른 한편으로 상향절곡부(49a)사이의 레버조건은 토션스프링(51)이 제어부재(49)를 동작위치로부터 자동으로 해제시켜줄 수 없도록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제어장치(48)는 레일(52)과 잠급부재(53)가 구비되어져 있는바, 레일(52)은 제5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되고, 그 인입구멍(28)과 그 종단(27a)이 수직레그에 대향하는 홈(27)쪽으로 배열되어진 L-형요홈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인입구멍(28)과 떨어진 레일(52)의 한족면에서 홈(54)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수직레그내에 배열되어 홈(30)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며,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홈(54)은 슬라이드노브(18)영역내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제10c도의 잠금부재(53)는 판형탄성강으로 된 U자형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면서 짧은 레그(53a)와 연결웨브(53b) 및 긴 레그(5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짧은 레그(53a)는 지지대(44)쪽으로 밀착되고, 긴 레그에는 (53c)는 제10도의 동작위치에서 슬라이딩블럭(29)위에 얹혀지게 된다. 또, 앞사와 같은 방법으로 레그(53c)에는 홈(54)과 결합되는 홈(5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레그 (53c)가 슬라이딩블럭(29)위에 놓여지도록 해주며, 이레그(53c)는 또한 홈(54)의 아랫쪽이동범위를 한정하는 계단부(54a)위에 놓여지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노브(18)가 제10도의 동작위치에서 증기방출위치로 절환될 경우 제어부재(49)의 상향절곡부(49a)는 안내면(50)의 제1영역(50a)으로부터 하향으로 급경사진 제2영역(50b)으로 이동되며, 이때 미리 긴장된 제어부재(49)가 다소 이완되면서 제어부재(49)의 작용점이 회동핀(13)쪽으로 옮겨지게 된다. 이로인해 토션스프링(51)이 회동판(14)을 윗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스프링(11)의 장력이 소멸되게 되고, 앞서와 마찬가지로 밀폐부재(10)가 뚜껑(2)의 구멍(7)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떨어지도록 회동되어 조리압력이 증기방출위치에서 완전히 0까지 감소되어진다. 이 과정에서 L형요홈(27)의 종단(27a)은 앞서와 마찬가지로 잠금부재(53)가 레일(52)의 홈(54)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따라 슬라이딩블럭(29)과 접촉되게 된다. 뚜껑은 회전되면서 열려질 수가 있고, 잠금부재(53)의 긴 레그(53c)는 이 과정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청소를 위해 슬라이드노브(18)가 앞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완전히 뒤로 밀려지면, 상향절곡부(49a)가 회동핀(13)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로 이끌리게 되며 토션스프링(51)은 전체적으로 이완되어 질수가 있고, 또한 적절한 방법으로 회동판(14)을 회동시켜 정지구(38)와 접촉되게 해줄수가 있다. 동시에, 종단(27a)은 인입구멍(5a)을 지나서 이동되고, 조리용기를 덮어줌에 따라 동작위치에 이르기전에, 잠금부재(53)가 그 후단부(55a)를 통해 슬라이딩블럭(29)에 의해 계단부(54a) 이상으로 상승되어 질때까지 잠금부재(53)의 후단부(55a)가 레일(52)아래의 영역(52a)과 접촉되면서 슬라이드노브(18)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동일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위를 나타내는바, 상부반쪽핸들(5)의 내부공간에는 슬라이드노브(18)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도록 제어부재(57)가 구비된 제어장치(56)가 구비되어져 있는데, 이 제어부재(57)는 단단한 푸쉬바로 구성되면서 회동판(14)과 대향하는 끝에서 힌지(58)를 매개로 회동레버(59)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회동레버(59)의 다른쪽 끝은 제2힌지(60)에 의해 희동판(14)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각 힌지(58,60)의 회동축은 회동핀(13)과 평행으로 연장되며, 제2힌지(60)는 반쪽핸들(5)쪽으로 회동핀(13)상에 설치되면서 회동핀(13)에 대해 수평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배열된다. 또 제1힌지(58)는 제2힌지(60)아래에서 수직방향으로 회동핀(13)에서 약간 떨어져 배열됨으로써, 제어부재(57)가 동작위치쪽으로 혹은 벗어나려할 때 회동레버(59)가 사점(死點)이상으로 이동되도록 해준다. 또 지지레버(61)는 상기 제어부재(57)에 대해 회동레버(59)와 대향하도록 힌지(58)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바, 이 지지레버(61)는 회동레버(59)와 마찬가지방법으로 힌지(62)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또한, 슬라이드노브(18)가 제11도에 도시된 동작위치로부터 밀려지게 되면, 회동레버(59)와 지지레버(61)가 우선 사점이상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프링지지대(12)가 뚜껑(2)쪽으로 일정거리만큼 움직이게 해주나, 회동레버(59)의 사점을 초과하게 되면 곧 회동판(14)의 부하가 떨어지게 됨으로써 회동판(14)이 스프링(11)에 의해 윗쪽으로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밀폐부재(10)가 구멍(7)을 덮지 못하게되며, 그와 동시에 힌지(59,60)는 회동핀(13)과 일렬로 배열되려고 하면서 증기방출위치로 회동판(14)을 약간 들려지도록 회동시켜주게된다.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레일(63)의 수직레그는 슬라이드노브(18)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는바, 이는 제10도의 레일(52)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L형요홈(27)은 그 종단(27a) 및 인입구멍(28)이 상기 수직레그와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지는데, 이 수직레그에는 또한 홈(64)이 형성되어 있는바, 그 구조 및 배열상태는 레일(52)내의 홈(54)과 유사하다.
또한 제어장치(56)에는 스트립형구조의 잠금부재(65)가 구비되어져 있는바, 이는 상부 반쪽 핸들(5)에 배열된 핀(66)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며, 핀(66)의 회동축은 회동핀(13)아래에서 반쪽핸들(5)내부공간에 배열되면서 제11도와 같은 동작위치에서는 잠금부재(65)내의 홈(67)이 레일(63)내의 홈(64)에 결합되어지도록 배열되게 된다. 또 레일(63)이 증기방출위치로 옮겨지면, 상기 잠금부재에 형성된 홈(67)이 앞서 설명된 바와같은 방법으로 홈(64)에서 분리되고, 그에따라 잠금부재(65)가 잠금위치로 떨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노브(18)는 완전히 밀려지게 되고, 따라서 회동레버(59)가 회동판(14)을 청소위치로 이끌게 되는바,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노브(18)가 단지 2가지 위치만을 갖게 된다. 이 경우 회동판(14)은 두 번째위치인 슬라이드노브(18)의 증기방출위치로 완전히 제거되며, 그에 따라 상기 회동판(14)이 회동핀(13)에 대해 회동될 수 있게 되고, 또한 수동으로 청소위치로 쉽게 들려질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압력솥(1)을 닫아주기 위해서는 우선 종단(27a)을 인입구멍(5a)으로부터 제거시켜주어야 하며, 또한 이 과정에서 잠금부재(65)의 후단부(67a)가 레일(63)내의 홈(64)아래에 있는 영역(63a)과 접촉하게됨으로써, 경사면(39)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딩블럭(29)이 잠금부재(65)를 들어올려서, 레일(63)이 제11도의 위치로 이동되고 홈(67,64)이 상호결합되어 질때까지 슬라이드노브(18)가 옮겨지지 않도록 해준다.
제12도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져 있는데.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에서 압력해제밸브(8)에는 회동핀(69)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결합된 회동판(68)이 구비되어져 있는바. 이 회동핀(69)은 상부반쪽핸들(5)은 맞은편쪽 뚜껑(2)면에 설치되고, 회동판(68)은 뚜껑(2)의 전체지름이상으로 연장되면서 반쪽핸들(5)과 대향하는 면에는 제1 및 제2결합턱(70,71)이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제2결합턱(71)은 반쪽핸들(5)에 인접하여 위치하면서 제1결합턱(70)보다 뚜껑(2)쪽에 더 가깝게 놓여져 있고, 그 회동핀(69)쪽으로는 제1결합턱(71)이 이어져 있으며, 압력해제밸브(8)는 회동판(68)의 한부위에 배열된다.
또 반쪽핸들(5)의 내부에는 제어장치(72)가 배열되어 있는바, 이는 단단한 제어부재(73)를 포함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슬라이드노브(18)에 의해 조작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제어부재(73)가 슬라이드노브(18)에 반드시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 매우적합하다.
또 제어부재(73)에 회동판(68)과 대향하는 끝에 결합면(74)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슬라이드노브(18)에 의해 결합턱(70,71)과 연속적으로 결합되어지게 되며, 이 경우 제어부재(73)는 반쪽핸들(5)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지지대와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또, 제어부재(73)가 제12도에 도시된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승되면, 결합면(74)는 제1결합턱(70)위에 놓여지면서, 회동판(68)을 통해 스프링지지대(12)를 스프링(11)이 압력해제기능이 이루어지도록 미리 긴장되어지는 위치로 유지시켜주게되며, 슬라이드노브(18)가 밀려지게 되면 결합면(74)이 제1결합턱(70)에서 제2결합턱(71)으로 미끄러지게 되면서 스프링이 이완되어 스프링지지대(12)가 뚜껑(2)에서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압력솥내의 증기압이 구멍(7)을 통해 감소되어지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72)에는 제11도의 레일(63) 및 잠금부재(65)와 유사한 레일 및 잠금부재를 갖추고, 결합면(74)이 제2결합턱(71)과 맞닿게 될 때에 상기 레일(63)의 L형요홈(27)의 종단(27a)이 슬라이딩블럭(29)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2개의 반쪽핸들(4,5)이 뚜껑(2)을 열기 위해 서로 상대회전될때에 슬라이딩 블록(29)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L형요홈(27) 바깥으로 이동되어 제어부재(73)가 완전히 물러나게 되고, 이 제어부재(73)가 완전히 물러날 때에 상기 결합면(74)이 제1,2결합턱(70,71)과 분리되면서 결과적으로 회동판(68)과도 분리되어 이 회동판(68)이 청소할 수 있도록 완전히 윗쪽으로 회동될수 있게 된다. 앞서 서술한 바와같이 상기 뚜껑(2)이 부착되고 스팀압력솥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재(73)가 물러나기 이전에 회동판(68)이 반드시 닫혀져 있어야 한다.
한편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바,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구성부위에 표시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처럼 본 실시예에서도 역시 반쪽핸들(5)쪽의 압력해제밸브(8)옆에 회동핀(13)이 설치된 회동판(14)을 갖추고, 상기 회동핀(13)은 반쪽핸들(5)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반쪽핸들(5)내의 공간에는 제어장치(75)가 설치되는바, 이는 푸쉬버튼(76)과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어장치(75)에는 스트립형상의 제어부재(77)가 구비되어져 있는바, 이는 탄성강판으로 만들어져서 구멍(78)을 통해 회동판(14)내부까지 돌출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구멍(78)의 상부끝에는 정지구(79)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제어부재(77)의 윗면에 접촉되어지며, 회동판(14)의 맞은편쪽 대향하는 제어부재끝에는 절곡부(77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블럭이 인입구멍(5a)내에 위치하는 동안 슬라이딩블럭(29)위에 놓여지게 된다. 또, 정지구(79)가 제13도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블럭(29)에 의해 지지되는 제어부재위에 놓여지고 푸쉬버튼(76)이 구동되지 않을 경우에, 압력해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스프링지지대(12)가 뚜껑(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절곡부(77a)와 정지구(79)가 서로 작용하면서 회동핀(13)과도 적절히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또 푸쉬버튼(76)에는 제어부재(77)위에 배열되는 플랜지(76a)와 상기제어부재(77)를 통해 연장된 핀(76b)이 구비되어져 있는바, 동작위치에서 상기 플랜지(76a)는 제어부재(77)보다 약간 위로 놓여지거나 제어부재(77)에 살짝 접촉되도록 배열되며, 핀(76b)은 제어부재(77)를 관통해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면서 레일(81)에 연결된 경사면(80)윗부분에 지지된다. 또 레일(81)에는 L형요홈(27)이 형성되어져 있는바, 그 종단(27a)과 대향하는 레그는 짧고, 그 인입구멍(28)에는 경사부(2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홈(27)의 다른쪽에는 압력스프링(83)을 위한 스프링지지대(82)가 레일(81)의 상향절곡부에 배열되어 있고, 압력스프링(83)의 다른쪽 끝은 반쪽핸들(5)의 벽에 지지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83)은 레일(81)을 슬라이딩블럭(29)이 L형요홈(27)내에서 유지되는 잠금위치로 이동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이어 푸쉬버튼(76)이 증기방출을 위해 눌러질 경우, 플랜지(76a)가 탄성제어부재(77)와 접촉하면서 상기제어부재(77)를 휘어지게 해주는데, 이는 제어부재(77)가 정지구(79)에서 떨어지도록 해줌으로써 스프링(11)이 스프링지지대(12)를 뚜껑(2)으로부터 다소 큰 간격으로 떨어지는 위치까지 눌러주게 되고, 또한 압력솥(1)내의 과잉압력이 구멍(7)을 통해 감소될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동시에 핀(76b)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83)에 대응하여 경사면(80)을 눌러줌으로써 레일을 종단(27a)이 슬라이딩블럭(29) 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밀어주게되는데, 이 위치에서 2개의 반쪽핸들(4,5)은 뚜껑(2)을 열어주기 위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가 있다.
또 슬라이딩블럭(29)이 L형요홈(27)에서 이탈될 경우 절곡부(77a)는 슬라이딩블럭(29)에서 해제되고, 제어부재(77)는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제어부재(77)가 정지구(79)로부터 완전히 해제됨으로써 회동판(14)이 청소하기 쉽게 수동으로 들려질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동시에 스프링(83)은 다시 이완되면서 경사부(28a)를 인입구멍(5a)을 지나서 이동시켜주고, 경사면(80)을 핀(76b) 아래로 이동시켜줌으로써 푸쉬버튼(76)이 그 기동위치로 돌아가도록 해주는데, 이때 제어부재(77)는 이완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 동작위치쪽으로 압력해제밸브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제거시켜 준다.
한편 뚜껑(2)을 조리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슬라이딩블럭(29)을 인입구멍(5a)내로 재삽입시켜주어야 하는바, 레일(81)은 인입구멍(28)의 경사부(28a)를 통해 슬라이딩블럭(29)이 인입구멍(28)에 들어가도록스프링(83)의 작용에 대항해서 이동된다. 또 슬라이딩블럭(29)의 경사면(39)은 제어부재(77)의 절곡부(77a)를 다시 제13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승시켜주며, 이때 회동판(14)은 정지구(79)에 의해 동작위치를 향하도록 힘을 받게된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의 구현예로서 각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된 내용은 달리 변형될수도 있는바, 예컨대 절곡부(35)는 도시된 모든 잠금부재에 형성될 수있고, 또한 슬라이딩블럭의 경사면(39)과 함께, 혹은 선택적으로 이용될수 도 있다. 또 제어부재에 안내면은 회동판(14)이 회동될수 있는 한 회동판(14)의 어느 위치에나 설치될수 있으며, 제5-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안내면이 연속면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다른 경사각을 갖는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또 뚜껑(2)에 구비된 밸브시트는 단순한 구멍으로 이루어지거나 통상의 공지기술인 정교한 밸브시트의 일종으로 이루어질수도 있고, 이때 밸브시트가 밸브몸체상의 밀폐부재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회동판(14)의 지름, 특히 동작위치에서의 스프링지지대와 뚜껑 사이의 간격은 조리공정동안 요구되는 증기압에 따라서, 그리고 압력해제밸브의 스프링탄성력에 따라서 변경되어질수가 있다. 더욱이 밸브몸체가 회동판과 함께 회동될 필요는 없고, 예컨대 안내구멍내에서 느슨하게, 다른 헤드없이 밸브몸체를 안내하거나 뚜껑에 연결할수 가 있으며, 따라서 회동판이 증기방출위치로 회동될 경우 부하의 스프링이 이완됨으로써 과잉압력이 방출될 수가 있게된다.
아울러 청소위치에서 회동판은 밸브몸체로부터 완전히 들려짐으로써 압력해제밸브에 청소를 위해 접근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반쪽핸들의 내부공간이 매우 단순하고 공간활용이 잘되어 있을지라도 제어장치를 뚜껑의 다른 부분에 설치해줄 수도 있다.

Claims (41)

  1. 핸들(4,5)과 뚜껑(2) 및 압력해제밸브(8)가 구비되면서, 이 압력 해제밸브(8)는 밸브시트(7a)와, 스프링지지대(12)에 지지된 스프링(11)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7)방향으로 가압되는 밸브몸체(9)를 갖추고, 상기 밸브몸체(9)가 밸브시트(7a)에 가압된 동작위치로부터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스프링(11)의 탄성력이 경감되는 증기방출위치 및 뚜껑(2)로부터 제거되는 청소위치까지 밸브몸체(9)를 이동시키는 제어장치(16,40,48,56,72,75)를 갖춘 압력솥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9)가 장착되어 최소한 동작위치 및 증기방출위치까지 안내되는 회동판(14,68)상에 상기 스프링지지대(12)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16,40,48,56,72,75)에 의해 회동판(16,68)이 동작위치로부터 증기방출위치 및 청소위치까지 회동되면서 핸들(4,5)이 뚜껑(2)에 상대고정될때에 스프링지지대(12)를 이동시키기 위해 복귀되며, 청소위치에서 상기 압력해제밸브(8)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9)는 청소위치에서 뚜껑(2)위에 배열된 밸브시트(7)로부터 떨어지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6,40,48,56,72,75)가, 회동판(14,68)에 작용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제어부재(19,41,49,57,73,77)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이 제어부재(19,41,49,57,73)에 연결된 슬라이드노브(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4)의 회전축이 제어장치(16,40,48,56,75)을 향해 압력해제밸브(8)의 한쪽옆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9,41,49)가 회동판(14)의 회동핀(13)축을 가로질러 미끄럽이동될수 있도록 안내되는 안내면(24,43,50)이 회동판(14)에 형성된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9,41,49)가 안내면(24,43,50)에서 접촉되게 눌려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19,41,43)가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면서 안내면(24,43,50)쪽으로 눌려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24,50)이 뚜껑(2)으로부터 떨어져 회동핀(13)의 윗쪽에 회동판(14)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24,43,50)이 슬라이드노브(18)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1. 제6항 내지 10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4)에 안내면(24)과 나란히 연장되면서 상기 제어부재(19)에 형성된 절곡부(20)가 걸려지는 긴구멍(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23)의 한쪽 끝에서는 정지웨브(25)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0)에는 최소한 청소위치까지 정지웨브(25)를 둘러싸서 걸려지는 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3. 제6항 내지 8항중의 어는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43)이 동작위치에서 회동핀(13)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41)가 적어도 청소위치로 변환될 때 회동핀(13)위에 위치된 회동판(14)의 일부와 결합되게 동작되는 접촉부(41d)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41)가 작동위치로부터 증기방출위치로 변환될 때 안내면(43)으로부터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6. 제6항 내지 10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4)이 안내면(50)위에얹혀진 제어부재(49)쪽으로 스프링(51)에 의해 밀어붙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24,50)이 슬라이드노브(18)의 이동방향에 대해 보다 적은 각도로 연장되는 제1영역(24a,50a)과 슬라이드노브(18)의 이동방향에 대해 보다 큰 각도로 연장되는 제2영역(24b,50b)으로 구성되고, 상기제어부재(19,49)가 작동위치에서 상기 제1영역(24a,50a)과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8.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57)가 회동핀(13)과 일정간격 떨어져 배열된 힌지(60)를 매개로 회동판(1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60)가 압력해제밸브(8)로 떨어진 회동핀(13)옆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57)가 힌지(60)를 매개로 회동될수 있는 회동레버(59)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동레버(59)가 동작위치로부터 증기방출위치로 변환될때에 사점위치를 통해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1. 제1항 내지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68)의 회동핀(69)이 제어장치(72)와 떨어져 마주보는 압력해제밸브(8)의 한쪽 옆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및 제2결합턱(70.71)과, 이 결합턱(70.71)들과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면(74)이 형성되어, 이결합면(74)이 제1결합턱(70)과 결합되면 상기 압력해제밸브(8)가 동작위치로 밀어붙여지는 반면에, 상기 결합면 (74)이 제2결합턱(71)과 결합되면 압력해제밸브(8)가 증기방출위치로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70,71)이 회동판(68)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면(74)은 제어부재(73)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이 제어부재(77)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푸쉬버튼(76)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77)가 탄성재질로 만드렁져 회동핀(13)을 매개로 회동될수 있도록 장착되면서 이 회동핀(13)의 맞은 편쪽 끝부위는 지지대(29)상에 얹혀져서 상기 회동판(14)상에 형성된 정지구(79)와 상호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6,40,48,56,72,75)가 뚜껑(2)에 부착된 제1반쪽핸들(5)내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수단이 핸들의 벽을 통해 핸들외부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럭(29)이 조리용기(3)에 부착된 제2반쪽핸들(4)로부터 제1반쪽핸들(5)을 향해 돌출해서 동작위치에서 반쪽핸들(4,5)을 잠가주기 위해 요홈(27)에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7)이 조작수단에 의해잠금위치로 또는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레일(26)에 L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2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이동이 청소위치로 변환되기에 앞서 종단(27a)에 의해 정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의 이동이 슬라이딩블럭(29)에 인접한 L형요홈의 종단(27a)에 의해 저지되고, 동작위치에서 상기 요홈(27)에 슬라이딩블럭(29)이 끼워져 2개의 핸들(4,5)이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1. 제27항에 내지 30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이 조리를 위해 예정된 위치에서 조리용기(3)상에 위치되어진 경우에서만 밸브몸체(9)를 동작위치에서 밸브시트(7a)위로 가압하는 잠금부재(31,46,53,65,7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31,46,53,65,77)가 압력해제밸브(8)의 동작위치에서 슬라이딩블럭(29)상에 얹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위치로부터 조작수단이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자므뭅재(31,46,53,65,77)가 슬라이딩블럭(29)으로부터 벗어나서 잠금위치로 하향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력솥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53,65)가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면서 그 자중에 의해 잠금위치로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31,46,77)가 스프링탄력을 받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31)가 탄성제어부재(19)에 의해 외력을 받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6,77)가 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럭(29)이 삽입될수 있도록 잠금부재(31,46,53,55,65,77)를 들어 올려주는 절곡부(35) 및 경사면(3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39)이 슬라이딩블럭(29)에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35)가 잠금부재(31,46,65,77)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해제밸브(8)의 스프링(11)이 최소한의 응답 압력으로 미리 압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솥.
KR1019870015744A 1987-03-09 1987-12-31 압력솥 KR940005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7103357.7 1987-03-09
EP87103357A EP0281646B1 (de) 1987-03-09 1987-03-09 Dampfdruckkochgefä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25A KR880010725A (ko) 1988-10-24
KR940005264B1 true KR940005264B1 (ko) 1994-06-15

Family

ID=819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744A KR940005264B1 (ko) 1987-03-09 1987-12-31 압력솥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99782A (ko)
EP (1) EP0281646B1 (ko)
JP (1) JPH0667346B2 (ko)
KR (1) KR940005264B1 (ko)
AT (1) ATE72389T1 (ko)
BR (1) BR8801037A (ko)
DD (1) DD280691A5 (ko)
DE (1) DE3776644D1 (ko)
ES (1) ES2006365A6 (ko)
TR (1) TR271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11685Y (es) * 1989-10-16 1990-11-16 Fagor, S. Coop. Ltda. Olla a presion perfeccionada.
DE4004377A1 (de) * 1990-02-13 1991-08-14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Dampfdruckkochgefaess
DE4239552C1 (de) * 1992-11-25 1994-04-28 Karl Niese Dampfdruckkochtopf
US6005233A (en) * 1997-07-15 1999-12-21 Aladdin Synergetics, Inc. Pressure relief system for inductively heated heat retentive server
CH692128A5 (de) 1997-09-22 2002-02-28 Kuhn Rikon Ag Sicherheitsventil für einen Dampfdruckkochtopf.
ES1039652Y (es) * 1998-03-02 1999-07-01 Fagor S Coop Olla expres con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la tapa.
EP1884179B1 (de) * 2006-07-25 2016-05-04 WMF Group GmbH Dampfkochtopf
TWM305811U (en) * 2006-09-07 2007-02-01 Michilin Prosperity Co Ltd Coupling mechanism of buckling switch and air release valve of vacuum storage container
US7780485B2 (en) * 2008-08-12 2010-08-24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9296467B1 (en) * 2009-06-09 2016-03-29 The Boeing Company Pressure test door for use with a fuel tank
CN102961040B (zh) * 2012-12-07 2014-10-22 董宜周 一种电压力锅
CN108261089B (zh) * 2016-12-30 2023-07-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的锅盖及电饭煲
DE102017200906A1 (de) * 2017-01-20 2018-07-26 Wmf Group Gmbh Schnellkochtop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3297A (en) * 1946-03-16 1949-09-27 Mcglynn Hays Ind Inc Pressure cooker
US2614723A (en) * 1946-06-15 1952-10-21 Revere Copper & Brass Inc Closure means for pressure cookers
US2649775A (en) * 1946-06-15 1953-08-25 Revere Copper & Brass Inc Relief valve and pressure indicating means for pressure cookers
US2614724A (en) * 1948-05-13 1952-10-21 Revere Copper & Brass Inc Pressure cooker with selectively adjustable vent valve
BR7306085D0 (pt) * 1973-08-09 1975-04-08 Alcan Brasil Aperfeicoamentos em ou relativos em valvula de escape
US3973694A (en) * 1975-04-16 1976-08-10 Oberschwabische Metallwarenfabrik Gmbh & Co. Kg Pressure-cooker
CA1093383A (en) * 1976-09-06 1981-01-13 Yo Sato Ink supply device for hand labeler
DE2837188A1 (de) * 1978-08-25 1980-03-06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Sicherheitsventil fuer einen dampfdruckkochtopf
DE2854840C2 (de) * 1978-12-19 1982-11-25 Fissler Gmbh, 6580 Idar-Oberstein Dampfdruckkochtopf
DE2901639A1 (de) * 1979-01-17 1980-07-24 Braun & Kemmler Dampfdruckkochtopf
DE3223142A1 (de) * 1982-06-22 1983-12-22 Braun & Kemmler Gmbh & Co Kg, 7410 Reutlingen Dampfdruckkochtopf mit sicherheitseinrichtung
DE3314346A1 (de) * 1983-04-20 1984-10-25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7340 Geislingen Topfdeckel mit loesbarem griff
DE3400356A1 (de) * 1984-01-07 1985-07-18 Heinrich Baumgarten KG, Spezialfabrik für Beschlagteile, 5908 Neunkirchen Dampfdruckkochtopf
US4560143A (en) * 1984-04-09 1985-12-24 The Prestige Group Plc Pressure cooker relief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D280691A5 (de) 1990-07-18
EP0281646A1 (de) 1988-09-14
JPH0667346B2 (ja) 1994-08-31
DE3776644D1 (de) 1992-03-19
KR880010725A (ko) 1988-10-24
US4899782A (en) 1990-02-13
ATE72389T1 (de) 1992-02-15
ES2006365A6 (es) 1989-04-16
TR27105A (tr) 1994-11-08
JPS63288115A (ja) 1988-11-25
EP0281646B1 (de) 1992-02-05
BR8801037A (pt) 198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264B1 (ko) 압력솥
US6523459B1 (en) Safety device for opening a pressure cooker with lug-bayonet type closure
US6425320B1 (en) Device for locking/unlocking a pressure cooker with lug-bayonet type closure
KR0143773B1 (ko) 압력쿠커용의 뚜껑을 개방, 밀폐 및 잠그는 기구
US6648162B1 (en) Button actuated pressure release and locking device for pressure cookers
KR20040089719A (ko) 회전식 락킹/언락킹 제어 장치를 구비한 압력 조리 기구
JPS61501248A (ja) 危険なしに圧力料理器を開放及び閉鎖するための安全装置
US4735190A (en) Steam-pressure cooking utensil
US4541543A (en) Regulation and control device for pressure cookers
JPS6063623A (ja) ガスシリンダの出口接続部に取付けるレギユレ−タ
US6353968B1 (en) Single-button support mechanism
US5619907A (en) Contact grill apparatus
GB2125098A (en) Door lock apparatus of microwave cooker
JP5752491B2 (ja) 圧力式炊飯器
WO1993019270A1 (en) A lock for the automatic closing
US4362148A (en) Cooking device with cover locking means
EP0887038A2 (de) Ausgiessbares Thermosgefäss
FR2648175A1 (fr) Verrou de securite pour portes de tambour de machines a laver
JP3120026B2 (ja) 圧力調理器
KR0124389Y1 (ko) 전기압력취사기
JPH111949A (ja) 浴槽用遠隔操作式排水栓
JP3592607B2 (ja) 炊飯ジャーの調圧装置
EP0720829A1 (de) Garvorrichtung sowie Deckel für Gargefäss
KR200188018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JP2875405B2 (ja) 蒸気圧力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