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054B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054B1
KR940005054B1 KR1019910018543A KR910018543A KR940005054B1 KR 940005054 B1 KR940005054 B1 KR 940005054B1 KR 1019910018543 A KR1019910018543 A KR 1019910018543A KR 910018543 A KR910018543 A KR 910018543A KR 940005054 B1 KR940005054 B1 KR 94000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requency
information
program
progr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에다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쯔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쯔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38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llowing the recording of a program of operation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34Display history of used, selected programs, their frequenc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27Selection out of several programs,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3Oven, coo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치
전자레인지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 전자레인지의 제1예의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종래 전자레인지의 조작패널의 평면도.
제3도는 조작패널부의 분해도.
제4도는 관련전자레인지의 제2예의 외관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전자레인지의 조작패널의 평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전자레인지의 외부기억매체와 메인메모리를 도시한 모식도.
제7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전자레인지의 표시패널의 표시의 천이를 도시한 모식도.
제8도는 종래 전자레인지의 다른 예의 표시패널을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전자레인지의 블록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의 원리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1도는 제어부의 블록도.
제12도는 사용빈도 계측부의 블록도.
제13도는 사용빈도 정보발생부의 블록도.
제14도는 조리부의 블록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저레인지의 외관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의 컨트롤유니트의 확대도.
제17도는 컨트롤유니트의 분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를 CPU를 이용해서 실현한 경우의 블록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의 메인메모리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제20도-제29도는 메인메모리의 각 에리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제30도는 칼라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
제31도는 칼라 액정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심볼의 표준적인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패턴을 도시한 모식도.
제32도는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심볼의 사용빈도에 편중이 있는 경우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33도, 제34도는 외부기억매체의 "교환시"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의 예.
제3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의 동작모드 천이를 도시한 모식적 플로우 차트.
제36도는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심볼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플로우 차트.
제37a도, 제37b도, 제38a도-제38c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의 오퍼레이션을 도시하는 오퍼레이션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2 : 조리부
14 : 제어부 패널 16 : 사용빈도 계측부
18 : 사용빈도 정보발생부 20 : 메뉴 검색부
24 : 드라이버 28 : 액정패널
30 : 입력패널 39 : 영상 메모리
101 : 아우터케이스 캐비닛 102 : 오븐도어
103 : 오븐트레이 104 : 롤러스테이
105a : 컨트롤유니트 106, 119, 151 : 디스플레이
107 : 제1메뉴키 108 : 취소키
109 : 가열 스위치 110 : 제2메뉴키
111 : 가열모드 선택키 112 : 타이머 스위치
113 : 오버레이 116 : 회로기판
123 : 동작모드 명칭표시부 153 : 가열스타트키
159 : 조리프로그램 입력키 205 :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콤이라 한다)를 내장하여,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레인지의 컨트롤시스템 및 오퍼레이션 방법의 개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의 가열기능의 확대로 실시할 수 있는 가열조리법이 증대하고, 조리가능한 메뉴수도 증가했다. 가열기능의 확대란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수단으로서의 히터의 채용이나 전원으로서의 인버터 전원의 도입 등이다.
이들의 활동에 의해 마이콤에 의한, 시퀀스제어하에 그릴가열, 오븐가열, 이른바 복합가열(마이크로파 가열과 히터가열등이 교대로 행해진다), 또 동시가열(마이크로파 출력과 히터 출력이 주어진 비율로 행해진다)등의 가열조리법이 생겼다.
조리메뉴의 확대에 따라 많은 메뉴에 대해 마이크로파 조리, 히터가열 조리, 복합가열 조리, 동시가열 조리등이 마이콤과 센서 디바이스를 구사해서 적용되고, 조리자동화가 실현되어 왔다.
상기와 같이 자동화된 가열조리법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다양한 조리프로그램을 독출하기 위한 메뉴키등이 컨트롤유니트라고 불리는 조리를 제어하기 위한 부분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외관도이다. 제1도를 참조해서, 전자레인지는 아우터케이스 캐비닛(101)과, 오븐도어(102)와, 오븐트레이(103)와, 롤러스테이(104)와, 컨트롤유니트(105a)를 포함한다.
제2도는 컨트롤유니트(105a)의 페널부 확대도이다. 패널부는 디스플레이(106)와, 제1메뉴키(107)와, 취소키(108)와, 가열시위치(109)와, 제2메뉴키(110)와, 가열모드 선택키(111)와, 타이머 스위치(112)를 구비한다.
가열모드 선택키(111)와, 타이머 스위치(112)는 제1메뉴키(107) 및 제2메뉴키(110)으로 카바할 수 없는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해 준비된 것이다.
컨트롤유니트(105a)의 조작부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키의 윤곽 또는 그 명칭등이 인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면에 접점을 갖는 오버레이(113)와, 입력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회로기판(116)과, 오퍼레이(113)의 소정의 위치를 누름으로써 오버레이(113)에 설치된 각 접점과, 회로기판(116)상의 대응하는 입력스위치의 접점과의 접촉을 확실히 하기 위한 멤브레인 시트(membrane sheet)(114)와, 스페이서(115)를 포함한다.
가열조리가 자동화된 종래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컨트롤유니트(105a)상으로 제한된 스페이스에 조리 프로그램을 독출하기 위한 복개의 메뉴키(107 및 110)이 설치되어 있다. 메뉴키(107 및 110)의 각각은 특정의 프로그램을 담당한다. 따라서 메뉴키의 조작성 및 메뉴명칭의 인식의 용이함에 제약이 있어서 일정수 이상의 메뉴키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컨트롤유니트(105a) 위라는 한정된 범위중에서 메뉴키 수를 최대한 증대시킨 경우에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선택시 불필요한 메뉴키가 중대한 것으로 된다. 때문에 설치된 다수의 메뉴키 중에서 원하는 하나의 메뉴키를 찾아내기가 번거로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한 전자레인지가 일본특원소 63-27423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의 요점은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 채용되어 온 컨트롤유니트(105a)에 설치된 메뉴키(107 및 110)의 레이아웃 또는 메뉴 명칭을 영상정보에 의해 "시간적으로 분할"해서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컨트롤유니트(105a)상의 메뉴키 배열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4도를 참조해서, 이 전자레인지는 오븐캐비티(117)를 갖는 아우터케이스 캐비닛(101)과, 오븐도어(102)와, 롤러스테이(104)와, 히팅엘레멘트(118)와, 컨트롤유니트(105b)를 포함한다.
제5도는 컨트롤유니트(105b)의 패널부 확대도이다. 패널부는 디스플레이(119)와, 메뉴명 표시부(120)와, 메뉴선택 스위치(121)와, 동작모드 선택 스위치(122)와, 동작모드 명칭표시부(123)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119), 메뉴명 표시부(120) 및 동작모드 명칭표시부(123)는 칼라 액정디스플레이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19), 메뉴명 표시부(120), 동작모드 명칭표시부(123)에 출력되는 문자정보나 영상정보는, 후술하는 외부기억수단인 이른바 IC카드 또는 이른바 RAM 팩에 기억되어 있다. 다만 동작모드 명칭 표시부(123)에 출력되는 동작모드 명칭(예를 들면 "클럭", "마이크로", "그릴", "레디"등의 문자열)의 정보는 컨트롤유니트(105b)에 설치된 오퍼레이션 컨트롤용 ROM(도시하지 않음)에 등록되어 있다.
제6도는 컨트롤유니트(105b)에 설치된 메인메모리(12)(RAM으로 구성된다)에 기억시키기 위한 각종 조리정보를 기억한 외부기억수단인 IC카드(124a) 또는 RAM 팩(124b)의 외관 및 메인메모리의 기억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IC카드(124a), RAM 팩(124b)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메인메모리(12)의 대응하는 에리어에 격납된다.
(1) 내용정보…데이터 에리어(125a)에 격납된다. 이것은 메인메모리(12)의 격납내용을 디스플레이(119)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2) 조리프로그램…에리어(125b)에 격납된다.
(3) 메뉴 영상데이터…에리어(125c)에 격납된다. 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119)에 표시된다. 메뉴의 준비 상태를 도시한 영상정보이다.
(4) 메뉴명 데이터…에리어(125d)에 격납된다. 메뉴명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메뉴명 또는 메뉴명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칼라 일러스트 등의 영상정보이다.
IC카드(124a), RAM 팩(124b)의 데이터 에리어, 즉 메인메모리(12)의 데이터 에리어에 있어서는 조리시스템, 메뉴 영상데이터, 메뉴명 데이터의 각종 조리정보가 각각 가열조리볍(마이크로파 가열, 그릴 가열 등)별로 분류되어 기억되어 있다.
제4도-제7도를 참조해서, 전자레인지의 컨트롤유니트(105b)에 있어서의 표시의 천이 및 조작을 설명한다. 동작모드 선택스위치(122)를 1회 누를 때마다 미리 정해진 순서로 동작모드가 변환된다(제7도(a)→(b)→(c)→(d)→(e)). 메뉴가 일순하면 동작모드는 최초의 동작모드로 돌아간다.(제7도(e)→(a)).
동작모드는 다음과 같은 모드를 포함한다.
(1) 클럭 표시모드(제7도(a))
컨트롤유니트(105b)에 통전을 개시했을 때, 또는 전자레인지 본체가 조리운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시각 표시모드이다. 이때의 동작모드 표시의 예는, "클럭"이다.
(2) 마이크로파 조리모드(제7도(b))
마그네트론 등의 마이크로파 발생수단의 발진에 의한 가열모드이다. 이 경우의 모드명칭의 표시예는 "마이크로"이다. 이 동작모드일 때 메뉴명 표시부(120)에는 마이크로파로 조리되는 메뉴명칭(또는 메뉴 일러스트 및 메뉴 명칭)이 표시된다. 제7도에 있어서는 메뉴명은 "M-1","M-2","M-3"으로 표시되어 있다.
(3) 그릴 조리모드(제7도(c))
히팅엘레멘트(118)의 발열에 의한 가열모드이다. 이 경우의 동작모드 표시에는 "그릴"이다. 이 동작모드시에는 메뉴명 표시부(120)에 그릴 조리 메뉴명이 표시된다. 제7도(c)에 있어서는 메뉴명은 "G-1","G-2","G-3"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상은 3개의 동작모드에 대한 설명이다. 각 동작모드시에 메뉴선택스위치(121)를 누르면 표시는 다시 변화한다. 예를 들면, 제7도(d)는 메뉴명 "G-3"에 대응하는 메뉴선택스위치(121)를 눌렀을 때의 컨트롤유니트(105b)의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119)에는 메뉴 G-3의 완성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이 나타나 있다.
제7도(e)는 제7도(d)에 도시한 상태에서, 메뉴 G-3의 메뉴선택스위치(121)를 한번 눌렀을 때의 컨트롤유니트(105b)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7도(d)에서 메뉴명 표시부(120)에 출력되어 있던 메뉴명은 선택된 G-3이외는 없어져 있다. 디스플레이(119)도 메뉴 G-3이 선택된 것을 의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다. 동작모드 명칭표시부(123)에도 메뉴선택 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 "레디"가 출력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동작선택스위치(122)를 누름으로써 동작모드가 변환된다. 또 메뉴명 표시부(120)에 출력되는 메뉴명도 대응시켜 변환함으로써 메뉴키 레이아웃을 "시간적으로 분할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밝힌 것처럼, 제4도-제6도에서 도시한 전자레인지는 제1도-제3도에 도시한 종래 시판 모델의 전자레인지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즉 컨트롤유니트(105b)의 패널상이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메뉴키의 조작성과 메뉴명칭 인식의 용이함을 확보하고 가능한 한 많은 조리프로그램의 이용을 가능케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된 수단은, IC카드 등의 외부기억수단에 필요한 각종 조리정보를 기억시켜 둠으로써 컨트롤유니트의 메인메모리에 기억시킨 정보를 수시로 교체할 수 있게 하고, 또 메뉴명 표시부를 디스플레이로 형성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표시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을 취함으로써 가열 방법에 있어서, 하드면의 제약이 허용하는 한 메뉴키의 조작성을 확보하고, 개발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칼라 액정디스플레이에 선택된 메뉴의 완성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선택결과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그 결과, 이하와 같은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아직 원하는 메뉴를 결정하지 않았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가 메뉴선택 스위치를 몇 개 눌러서 출력된 완성 영상을 비교 평가할 수 있다. 평가 결과, 가장 좋다고 판단된 메뉴를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메뉴의 완성 영상에 의해 환기된 식욕을 사용자가 비교한다는 주관적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주관적인 기준뿐만 아니라, 보다 객관적인 기준에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도 행해지고 있다. 제8도, 제9도는 전자레인지로 조리할 때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카운트해서 그 회수를 메모리에 기억해 둘 수 있는 전자레인지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에서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조리프로그램의 최근의 사용회수를 각 메뉴마다 체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는 이른바 "패스트 푸드"점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업무용이다. 이런 종류의 전자레인지는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62-1950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제8도는 상기 업무용 전자레인지의 제어장치부의 조작패널 부분을 도시한다. 제8도를 참조해서, 조작패널은 선택된 조리프로그램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51)와, 각 메뉴에 대응한 메모리에 격납된 조리프로그램을 단일 어드레스로 하기 위한 전용 메뉴키(152)와, 가열스타트키(153)와, 조리프로그램을 기억시킨 RAM 팩 등의 메모리 모듈(156a 및 156b)의 제어장치 본체로서 부착부분(157)과, 각 전용메뉴키(152)마다의 사용회수(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메모리에서 독출해서 디스플레이(151)로 출력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카운트수 호출키(158)와, 제어장치 내부에 설치된 마이콤의 지령에 따라, 마찬가지로 내부에 설치된 메인메모리에 메모리 모듈(156a 및 156b)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의 전송(로드)을 지시하기 위한 조리프로그램 입력(MENU ENTRY) 키(159)와, 각 전용 메뉴키(152)에 대응하는 메인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격납되어 있는 조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3)를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출력키(160)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 출력키(160)는 조리프로그램의 내용과 각 전용 메뉴키(152)에 기재된 메뉴명이 바르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사용자가 조회할 때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 모듈(156a 및 156b)의 부착부분(157)에 대해서는, 도면에서는 메모리 모듈 탈착시에 개폐하는 액세스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제8도에서, 디스플레이(151)는 메인메모리의 전용메뉴키(152)의 4번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조리프로그램의 코드 N3이 "111"인 것을 표시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제9도는 이러한 전자레인지의 블록도이다. 제9도에서 전자레인지는 좌측부터 출력수단, 입력수단, 제어수단 및 내부기억수단, 외부기억수단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어 잇다.
입력수단은 전용 메뉴키(152)와, 3종류의 오퍼레이션키(카운트수 호출키(158), 메뉴 호출키(160), 조리프로그램 입력키(159))를 포함한다.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51)에는 오퍼레이션키를 조작했을 때에 대응하는 표시가 나타난다.
제어수단은, CPU, 오퍼레이션 컨트롤 ROM, 입출력 인터페이스(I/O)로 이루어지는 마이콤을 포함한다.
기억수단은 RAM을 포함한다. RAM은 후술하는 외부기억수단(메모리 모듈)과 구별하기 위해 메인메모리라 한다.
도면에 도시한 RAM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전용 메뉴키(152)의 1번이 담당하는 메뉴(도면에서는 "스탠다드 버거")의 조리프로그램(P)의 사용회수 N2가 15회이고, 그 프로그램 코드 N3은 "111"이라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메모리 모듈의 한 예인 ROM 모듈(156a)에서 새로운 조리프로그램이 RAM에 격납되는 경우, 제9도에 도시함 바와 같이 전용 메뉴키(152)의 1번이 담당하는 메인메모리의 어드레스 N1에 조리프로그램 코드(211)의 조리프로그램이, 2번째에는 프로그램 코드(221)의 조리프로그램이, 3번째에는 프로그램 코드(231)의 조리프로그램이 각각 격납된다.
메인메모리에는 전용 메뉴키(152)의 수에 대응해서, 예를 들면 10개의 어드레스 N1-N10이 준비되어 있다. 각 어드레스 마다에 사용회수 N2를 기억시키기 위한 로케이션, 조리프로그램 코드 N3을 기억시키기 위한 로케이션 및 조리프로그램P를 기억시키기 위한 로케이션이 준비되어 있다.
외부기억수단은 메모리 모듈로서, 예를 들면 RAM 팩 또는 ROM 모듈(156a 및 156b)등을 포함한다.
각 로케이션에 기억되는 정보는 사용회수 N2를 제외하고, ROM 모듈(156a 및 156b) 등의 외부기억수단에서 공급된다.
제9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회수 N2는 조리프로그램 P에 의한 전자레인지 본체의 조리운전 종료시에 발신되는 조리종료 통보신호를 내기 위해 전자 버저(bugger)로 드라이브 신호가 보내진 시점에서 조리프로그램의 메모리의 해당 번지에 신호가 보내져 1회분으로서의 카운트가 기록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업무용 전자레인지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의 카운트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준비된 복수의 메뉴중에서 원하는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은 각 메뉴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전용 메뉴키(152)를 선택해서 눌러서 실행한다. 따라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이 독출된다.
(2) 각 프로그램의 사용회수는 조리종료 통지신호의 출력지시 명령이 실행된 시점에서 변경 기억된다.
(3) 카운트 결과의 체크는 사용자의 뜻에 따라 수시로 실행가능하다. 이러한 체크는 메뉴선택에 의한 조리와는 독립해서 실행된다. 체크를 위한 조작은 카운트수 호출키(58)를 누르는 조작과, 호출 대상인 조리프로그램을 지정하기 위한 해당 전용 메뉴키(152)를 누르는 조작을 포함한다. 체크 결과 디스플레이(151)에 지정된 메뉴키의 번호와 사용회수가 출력된다.
(4) 상기 체크조작은 하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의 체크에 필요한 조작이다. 복수의 프로그램을 체크하는 경우, 필요한 수만큼 상기의 체크 조작이 반복된다.
(5) 사용회수의 체크 조작 결과, 출력되는 데이터는 어디까지나 개개의 조리프로그램 마다의 사용회수이다. 데이터의 해석 및 그 해석에 기초해서 취해야 할 행동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맡겨져 있다.
2번째로 설명한 전자레인지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전자레인지에서는 디스플레이(119)(제5도)에 메뉴의 완성 영상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 완성영상을 보고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의 주관에 따른 것이다.
한편, 전자레인지의 주된 사용자(예를 들면 주부)는 원칙적으로 가족의 요리취향, 영양면에서의 배려, 냉장고에 보관하고 있는 식품, 요리순서등 각종 요리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감안한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의 실정은 상기 서술한 다양한 요소 보다도 오히려 사용자 자신의 기호를 강하게 반영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이른바 "요리에 자신이 없는 사용자"나 어떤 이유로 식사준비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사용자들에게는 특히 잘 받아들여지는 사항으로 생각된다.
특히, 식단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케이스에는 대부분의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를 주로 하여 메뉴 선택을 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메뉴 선택의 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긴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메뉴의 완성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킴으로써 영상정보로 식욕을 환기시켜서 메뉴 선택을 가능케 하는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뉴 선택에서 생기는 편중이 크게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외부기억수단에 많은 조리프로그램이 사용가능하게 준비되어도 사용되지 않는 프로그램이 많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전자레인지는 어느 것도 준비된 조리프로그램을 전체적으로 편중없이 사용하기는 어렵다. 즉, 준비된 조리프로그램을 남김없이 사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 신규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을 구해서 선택적으로 외부기억매체를 구입하기 때문에 타이밍을 적절히 하는 것도 곤란하다.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사용상황을 용이하고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는 조리수단의 동작순서를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장치와,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억된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중 하나를 선택해서 조리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선택장치와,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억된 각 조리프로그램의 선택장치에 의해 선택된 빈도를 기억하기 위한 사용빈도 메모리와, 사용빈도 메모리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에 따라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장치와, 분류장치에 의해 분류된 각 그룹에 속하는 조리프로그램의 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빈도 정보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레인지에서는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이 사용될 때 사용빈도 메모리가 그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갱신해서 기억한다. 모든 조리프로그램은 그 사용빈도에 기초해서 분류장치에 의해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각 그룹에 속하는 조리프로그램의 수에 관한 정보는 사용빈도 정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따라서,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사용빈도 정보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분류장치로 분류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사용빈도 분포패턴과 일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사용빈도 분포패턴 일치 검출장치와, 사용빈도 분포빈도 분포패턴 일치 검출장치에 의해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의 분류 결과와 일치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미리 정해진 사용빈도 분포패턴에 따른 예정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의 전자레인지에서는, 사용빈도의 분포가 특정패턴과 일치하는 것이 검출되면, 그 패턴에 미리 할당되어 있던 특정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빈도 정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빈도 정보를 해석하지 않고 표시된 특정 정보에 따라, 후의 조리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의 전자레인지는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기억한 외부기억매체에서 조리프로그램 메모리로 조리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장치를 포함하고, 사용빈도 분포패턴 일치 검출장치는 모든 조리프로그램이 예정된 회수보다도 다수의 선택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 모두가 소정회수 이상 사용된 경우에 특정 정보, 예를 들면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을 교환해야 한다는 메세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메세지에 따라 새로운 외부기억매체에서 새로운 조리프로그램을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 전송해야 할 시점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의 전자레인지는, 선택장치는 사용자가 분류장치에 의해 분류된 복수의 그룹중 하나를 지정함으로써 원하는 사용빈도를 지정하기 위한 사용빈도 지정장치를 포함하고, 사용빈도 정보디스플레이는 사용빈도 지정장치에 의해 지정된 범위내의 사용빈도인 조리프로그램을 조리프로그램 메모리에서 검색하기 위한 검색장치와, 검색장치에 의해 검색된 조리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사용빈도 지정장치를 이용해서 소정의 사용빈도 범위내에 있는 조리프로그램, 예를 들면 사용빈도가 적은 조리프로그램의 검색을 지정할 수 있다. 검색된 조리프로그램은 이용자에게 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특정한 사용빈도가 조리프로그램을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프로그램 선택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리제어데이터 메모리를 검색해서 조리프로그램을 특정하기위한 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조리특정정보 작성장치와, 조리특정정보 작성장치에 의해 검색된 각 조리제어데이터가 선택된 그룹에 속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해서, 속한다고 판단된 조리제어데이터에 대해서는 조리특정정보 작성장치에 의해 작성된 리스트의 해당 개소에 특정정보를 부가해 두기 위한 판정장치와, 조리특정정보 작성장치에 의해 작성된 리스트를 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기위한 표시장치와, 판정장치에 의해 선택된 그룹에 속한다고 판정된 조리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요소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다른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형태 변경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의 전자레인지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의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그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 사용빈도의 조리프로그램이 다른 조리프로그램과는 상이한 형태로 표시된다. 특정 사용빈도의 조리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판단은 매우 용이해진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원리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10도를 참조해서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제어부(10과 사용자와의 사이의 맨-머신(man-machine) 인터페이스로의 제어부 패널(14)와, 마그네트론 등의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제어부(10)로 제어되어 주어진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마그네트론 등을 제어함으로써 조리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조리부(12)와 조리부(12)에서 실행되는 조리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메모리(22)와, 제어부(10) 및 메모리(22)에 접속되어 제어부 패널(14)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프로그램을 제어부(10)에서의 지령에 기초해서 메모리(22)에서 꺼내서 제어부(10)에 공급하기 위한 메뉴 검색부(20)와, 외부기억매체인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기억한 RAM 팩(26)(또는 IC카드)에서 조리프로그램을 메모리(22)에 전송하기 위한 드라이버(24)와, 제어부(10)에 접속되어 제어부 패널(14)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계측하기 위한 사용빈도 계측부(16)와, 사용빈도 계측부(16)에 접속되어 메모리(22)에 기억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에 관해서 소정의 정보를 발생해서 제어부(10)에 공급하기 위한 사용빈도 정보발생부(18)를 포함한다.
제어부 패널(14)는 제어부(10)에 접속되어 메모리(22)에 격납된 조리프로그램 메뉴 혹은 사용빈도 정보등을 출력하기 위한 액정패널(28)과, 사용자가 제어부(10)에 소정의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입력패널(30)를 포함한다.
제11도를 참조해서, 제어부(10)는 메뉴 검색부(20)에서 메모리(22)에 격납되어 있는 조리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받아서 액정패널(28)에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조하고, 입력패널(30)에서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해서 다음의 처리를 선택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의 요리프로그램이 지정된 경우에 그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정보를 조리부(12)에 공급하기 위한 처리 선택부(32)와, 사용빈도 계측부(16)와 사용빈도 정보발생부(18)에 접속되어 각부에서 공급되는 액정패널(28)에 표시되어야 할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영상메모리(39)와, 영상 메모리(39)에 접속되고 영상 메모리(39)에 기억된 영상정보를 액정패널(28)을 구동함으로써 표시하기 위한 액정패널 드라이버(38)와, 처리 선택부(32)와 사용빈도 정보발생부(18)에 접속되어 액정패널(28)에 어떤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가를 기억하기 위한 출력데이터 메모리(34)와, 출력데이터 메모리(34) 및 입력패널(30)에 접속되어 입력패널(30)에서 공급되는 정보와, 출력 데이터 메모리(34)의 격납 내용을 조회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해독해서 처리 선택부(32)에 공급하기 위한 입력 해독부(36)를 포함한다.
제12도를 참조해서, 사용빈도 계측부(16)는 처리 선택부(32)에 접속되어 처리 선택부(32)에 의해 조리부(12)에 로드되어 실행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카운트하기 위한 계수부(40)와, 계수부(40)에 접속되어 실행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메모리(22)에 격납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에 대해 기억함과 동시에, 처리선택부(32)에서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사용빈도를 갖는 조리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그러한 요지의 정보를 영상메모리(39)에 공급하기 위한 사용빈도 메모리(42)를 포함한다.
제13도를 참조해서, 사용빈도 정보발생부(18)는 사용빈도 메모리(42)에 접속되고 사용빈도 메모리(42)에 기억된 메모리(22)의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소정의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사용빈도 분류부(46)와, 사용빈도 분류부(46)에 접속되어 사용빈도 분류부(46)에 의해 분류된 메모리(22)의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의 패턴이 특정의 패턴과 일치하는가 어떤가를 인식하기 위한 패턴식별부(48)와, 사용빈도 분류부(46)와, 패턴식별부(48)에 접속되어 분류된 사용빈도의 패턴 및 패턴식별부(48)에 의해 특정된 패턴에 따라 특정 심볼을 나타내는 신호를 영상메모리(39)에 공급하기 위한 심볼 발생부(49)를 포함한다.
심볼발생부(49)는 미리 정해진 사용빈도 분포의 패턴에 따라 정해진 심볼 영상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심볼 메모리(52)와, 사용빈도 분류부(46) 및 패턴 식별부(48)에 접속되어 사용빈도의 분포패턴 및 식별된 특정의 패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심볼메모리(52)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심볼을 검색해서 영상메모리(39)에 공급하기 위한 심볼 검색부(50)를 포함한다.
제14도를 참조해서, 조리부(12)는 제어부(10)에서 공급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리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해서 메모리(22)를 검색하여 해당 조리프로그램을 꺼내기 위한 조리프로그램 검색부(60)와, 조리프로그램 검색부(60)에서 공급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시퀀스에 따른 조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리 실행부(62)를 포함한다.
제10도-제14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RAM 팩(또는 IC카드)(26)을 구입해서 드라이버(24)를 통해 메모리(22)에서 RAM 팩(26)에 기억되어 있는 조리프로그램을 전송해서 기억시킨다.
제어부(10)의 처리 선택부(32)는 통상,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로 계측된 시각에 관한 정보 및 오퍼레이션 가이드에 관한 정보를 영상 메모리(39)로 출력한다. 영상 메모리(39)에 격납된 시각 표시 정보 및 오퍼레이션 가이드 정보는 액정패널 드라이버(38)를 통해 액정패널(28)상에 표시된다. 액정패널(28)상에 표시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출력데이터 메모리(34)에도 격납된다. 이 데이터에 의해 입력패널(30)에 각 키에 할당된 기능을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사용자는 액정패널(28)에 표시된 정보에 따라 입력패널(30)의 해당 키를 누른다. 따라서 입력 해독부(36)에 그 키에 따른 소정의 신호(코드)가 공급된다. 입력 해독부(36)는 출력데이터 메모리(34)에 격납된 액정패널(28)에 표시된 정보에 관한 데이터와, 입력된 코드를 조회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의미를 해독한다. 해독된 정보는 처리 선택부(32)로 공급된다.
조리의 선택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조작자는 액정패널(28)의 표시를 보고, 조리의 선택을 지정하는 입력패널(30)의 소정키를 소정 회수만큼 누른다. 입력해독부(36)는 입력패널(30)에서 공급되는 코드와, 출력데이터 메모리(34)에 격납된 정보를 대조해서 사용자가 메뉴의 선택을 희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그러한 요지의 신호를 처리 선택부(32)로 준다.
처리 선택부(32)는 이 신호에 응답해서, 메뉴 검색부(20)에 의해 메모리(22)에 격납된 조리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받아서 액정패널(28)상에 표시한다.
조작자는 다시 액정패널(28)상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원하는 메뉴를 지시하기 위해 입력패널(30)상의 소정의 키를 소정회수 누른다. 따라서, 입력해독부(36)에 그 키가 눌렸음을 나타내는 코드가 공급된다.
입력 해독부(36)는 출력데이터 메모리(34)에 격납된 액정패널(28)에 표시된 메뉴의 일람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입력패널(30)에서 공급된 코드를 조회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식별해서 그 메뉴를 나타내는 신호를 처리 선택부(32)로 공급한다.
처리 선택부(32)는 입력해독부(36)에서 공급된 정보에 따라 그 메뉴를 특정하는 정보를 조리부(12)의 조리프로그램 검색부(60)에 공급한다.
조리프로그램 검색부(60)는 처리 선택부(32)에서 공급된 조리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해서 메모리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조리프로그램 뽑아낸다. 조리프로그램 검색부(60)는 조리프로그램을 조리 실행부(62)로 준다.
조리 실행부(62)는 공급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마그네트론 등을 동작시켜서 소정의 조리 시퀀스를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가 실행된다.
조리의 실행이 종료한 경우, 처리 선택부(32)는 선택된 소정의 처리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빈도 계측부(16)으로 준다.
사용빈도 계측부(16)의 계수부(40)는 해당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1카운트 업하여 사용빈도 메모리(42)로 준다. 사용빈도 메모리(42)는 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갱신하여 최신의 값을 기억한다.
메모리(22)에 기억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를 확인할 때에는 사용자는 입력패널(30)의 해당키를 누른다. 따라서 입력 해독부(36)에 그 키가 눌렸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다.
입력 해독부(36)는 출력데이터 메모리(34)에 기억된 정보와, 입력패널(30)에서 공급된 코드를 조회함으로써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상황 체크가 지정되었다고 판단하여 처리 선택부(32)에 그 내용의 신호를 공급한다.
처리 선택부(32)는 사용빈도 정보발생부(18)의 사용빈도 분류부(46)에 사용빈도의 분류를 지시하는 신호를 준다.
사용빈도 분류부(46)는 사용빈도 메모리(42)에 기억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독출해서, 그 사용빈도의 범위에 따라 소정의 복수의 그룹에 분류한다. 예를 들면, 사용빈도 분류부(46)는 전혀 사용되지 않은 조리프로그램, 1-3회, 4-6회, 7회이상 각각 사용된 프로그램의 4가지 그룹으로 조리프로그램을 분류한다.
패턴식별부(48)는 각 그룹에 속하는 조리프로그램의 수가 형성하는 패턴이 원하는 패턴과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소정의 패턴과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패턴식별부(48)는 그 내용의 정보 및 그 패턴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심볼 검색부(50)으로 공급한다.
심볼검색부(50)는 사용빈도 분류부(46)에 의해 분류된 결과 및 패턴식별부(48)에서 공급되는 정보에 따라 액정패널(28)상에 표시되어야 할 사용빈도 분포패턴을 도시하는 심볼을 특정하는 정보를 결정한다. 심볼검색부(50)는 결정된 심볼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심볼 메모리(52)에서 꺼내서 영상 메모리(39)로 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 상황을 체크하고자 할 때에는 액정패널(38)상에 심복검색부(50)에 의해 특정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상황을 나타내는 심볼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 상황이 표시됨으로써 특히 사용빈도가 작은 조리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실행해 보는 것도 좋다. 이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리프로그램의 선택 편중을 시정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액정패널(28)에는 상기와 같이 사용빈도의 분포패턴이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심볼의 조합으로서 표시된다. 이용자는, 원하는 사용빈도를 갖는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려고 생각한 경우, 표시된 심볼 중 해당하는 사용빈도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패턴(30)상의 소정의 키를 누른다. 특정의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키 입력으로 발생한 코드는 입력 해독부(36)로 공급된다.
입력해독부(36)는 출력데이터 메모리(34)에 격납되어 있는 출력 영상신호와, 입력된 코드를 조회하여 사용자가 특정의 사용빈도를 갖는 조리프로그램의 선택을 희망하고 있는 것을 알고, 그 요지의 신호를 처리선택부(32)에 공급한다. 처리선택부(32)는 상기메뉴 표시와 마찬가지로 메뉴 검색부(20)를 이용해서 메모리(22)에 격납되어 있는 조리프로그램의 메뉴를 영상 메모리(39)에 기입한다. 처리선택부(32)는 또 사용빈도 계측부(16)의 사용빈도 메모리(42)로 지정된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정보와, 그 사용빈도를 갖는 조리프로그램을 갖는 조리프로그램의 검색을 나타내는 정보를 준다.
사용빈도 메모리(42)는 처리선택부(32)에서 공급된 정보에 따라 그 격납내용을 검색하여 조리프로그램중 지정된 사용빈도를 갖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영상메모리(39)에 준다. 그래서 영상메모리(39)에 해당하는 조리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영상의 부분에 선택된 사용빈도를 갖는 조리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내는 심볼을 기입한다.
따라서, 액정패널(28)상에는 조리프로그램 메뉴의 일람이 표시되고, 그 표시된 조리프로그램중,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사용빈도를 만족하는 조리프로그램에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심볼이 부가되어 있다. 사용자는 심볼이 부가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의 편중을 간단히 시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어디까지나 장치의 원리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실제 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주로 마이콤을 이용해서 실현한다. 또, 메뉴 선택 모드 등도 다양한 배리에이션이 가능하다. 이하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전자레인지를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의 외관도이다. 제15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는 아우터케어스 캐비닛(101)과 오븐도어(102)와, 아우터케이스 캐비닛(101)의 전면에서 오븐도어(102)의 상방으로 가로가 길게 배치되어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격납된 컨트롤유니트(105)를 구비한다.
제16도는 컨트롤유니트(105)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17도는 컨트롤유니트(105)의 분해도이다.
제16도, 제17도를 참조해서, 컨트롤유니트(105)는 칼라 액정디스플레이(204)와, 칼라 액정디스플레이(204)상에 적층설치되어 14개의 스위치 시트를 갖는 투명 전극시트(202)와, 투명전극시트(202)상에 적층된 투명의 오버레이 시트(201)와, 칼라 액정디스플레이(204) 아래 설치된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와 컨트롤유니트 패널(208)이 배치된 컨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를 포함한다. 투명 전극시트(202)는 리드선(203)를 갖는다. 디스플레이(204)는 리드선(203)에 접속되는 리드선(206)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는 그 좌측에 후술하는 RAM팩 또는 IC카드 등이 삽입되는 삽입구(207)를 갖는다 됫되어 있지 않으나 삽입구(207) 안쪽에는 RAM 팩 등의 외부기억수단과 디스펠레이 컨트롤유니트(205)의 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유니트 패널(208)은 오버레이(201)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까지의 모든 디바이스를 마운트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유니트 패널(208)은 그의 좌측에 형성된 외부기억수단의 삽입구(210)를 갖는다. 삽입구(210) 및 삽입구(207)의 형상 및 위치는 컨트롤 패널(105)의 조립시에 양 삽입구(201 및 210)이 중첩하도록 되어 있다.
칼라 액정디스플레이(204), 투명전극시트(202), 오버레이(201)는 제10도에 도시한 액정 패널(28) 및 입력 패널(30)로서 역할하는 것이다. 즉 오버레이시트(201)는 입력조작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직접 터치하기 위한 것이다. 투명전극시트(202)는 종래의 메뉴선택 스위치 및 각종 기능 스위치에 상당하는 것이다. 오버레이(201)상에서 시트(202)를 누름으로써 소정의 신호가 리드선(203 및 206)을 통해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에 보내지고, 또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로 보내진다. 칼라 액정디스플레이(204)는 삽입구(207)의 삽입된 외부기억수단에 기억된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에 기초하여, 입력화면의 정보 및 출력화면 정보 전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는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가 담당하는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4)에 의한 표시, 사용자에 의해 메뉴선택 오퍼레이션(조리프로그램의 선택) 이외의 모든 컨트롤유니트의 컨트롤 기능(가열운전, 오븐내 조명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유니트 패널(208)에는 터미널(211)이 설치되어 있다. 터미널(211)은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 저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터미널(도시하지 않음)과 접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에서 출력된 전자 정보를 컨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로 전송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8도는 컨트롤유니트(105)의 블럭도이다. 컨트롤유니트(105)는 도면중 왼쪽에서부터 입력수단, 제어수단, 기억수단 및 출력수단에 상당하는 것으로 구분해서 나타나 있다.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오퍼레이션 모드, 메뉴 및 식품재료를 지정하는 수단으로서 칼라 액정디스플레이(204)상에 적층된 투명전극 스위치 시트(202)와, 투명 오버레이(201)를 포함한다. 이들 입력수단과,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4), 디스플레이 컨트롤유니트(205)를 묶어서 디스플레이 유니트부라 한다.
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 유니트부 및 컨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 CPU(213)와 제어용 ROM(212)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포함한다.
기억수단은 컨트롤유니트(105)의 오퍼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으로 RAM으로 구성되는 메인메모리(215)와 외부기억수단인 IC카드(216a) 또는 RAM팩(216b)를 포함한다. 외부기억수단은 메인메모리(215)와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가지고, 복수의 논리프로그램 및 그것에 관련하는 데이터를 격납하고 있다. 메인메모리(215)에 IC카드(216a) 또는 RAM팩(216b)에 격납된 데이터의 로드는 컨트롤유니트 패널(208) 좌측 사이드에 설치된 삽입구(210)에 상기 IC카드(216a) 혹은 RAM팩(216b)를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각 데이터는 IC카드(216a) 또는 RAM팩(216b)에 각 데이터 에리어에 대응하는 메인메모리(215)의 각 데이터 에리어에 격납된다.
출력수단은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4)상에는 상기와 같이 투명전극 스위치 모드(202), 오버레이(201)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04)는 드라이버(217)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214)에 접속되어 있다.
제19도 및 제20도-제28도는 메인메모리(215)의 각 데이터 에리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낸다. 메인메모리에 격납된 데이터는 검색용데이터, 사용회수 관리프로그램, 조리프로그램, 영상정보, 명칭표시데이터, 및 심볼표시데이터로 대별된다.
검색용 데이터는 어드레스 0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01)에 격납된다. 이 데이터는 후술하는 "식품재료 지정에 의한 메뉴선택" 오퍼레이션시의 검색용 데이터이다. 제20도를 참조해서, 에리어의 각 어드레스에는 어느 메뉴에 할당된 메뉴코드, 그 메뉴에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재료(주재료)를 특정하기 위한 주재료 코드, 그 요리에서 사용되는 주된 재료중 주 재료를 제외한 재료(부재료)를 특정하기 위한 2개의 부재료 코드와 그 메뉴의 조리완성 영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리 완성 영상 코드와, 그 메뉴에 대응하는 각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기억하기 위한 로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에리어(302)에 격납되어 있다. 제21도를 참조해서, 에리어의 각 어드레스에는 프로그램의 사용상황을 분석하거나, 필요한 심볼을 표시하거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정된 사용빈도를 갖는 조리프로그램을 검색하여 해당 메뉴인 것을 표시하거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카운트하거나 하는 프로그램이 그 프로그램 코드와 함께 격납되어 있다. 이들 각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에리어(302)는 어드레스 1010에서 개시한다.
조리프로그램은 어드레스 2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03)에 격납되어 있다. 제22도를 참조해서, 이 에리어의 각 어드레스에는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처리의 각 메뉴마다의 가열오퍼레이션 제어프로그램(조리프로그램)이 그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논리프로그램 코드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영상정보는 어드레스 3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04,305 및 306)에 격납되어 있다. 영상정보는 메뉴의 완성 영상 데이터, 주재료의 영상데이터, 부재료의 영상데이터를 포함한다.
조리완성 영상은 어드레스 3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04)에 격납된다. 제23도를 참조해서, 이 에리어의 각 어드레스에는 후술하는 "식품재료의 지정에 의한 메뉴선택" 조작 및 "메뉴명지정에 의한 메뉴선택" 조작의 쌍방에서 표시되는 메뉴의 완성 영상에 관한 데이터가 그의 조리완성 코드 및 사용되는 조리프로그램코드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주재료 영상정보는 어드레스 4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05)에 격납되어 있다. 제24도를 참조해서, 이 에리어의 어드레스에는 후술하는 "식품재료지정에 의한 메뉴 선택"조작시에 표시되는 "메뉴를 구성하는 주재료"의 영상정보가 주재료 코드와 함께 격납된다.
부재료 영상정보는 어드레스 5010으로 시작되는 에리어(306)에 격납되어 있다. 제25도를 참조해서, 이 에리어의 각 어드레스에는 후술의 "식품재료지정에 의한 메뉴 선택"조작시에 표시되는 "부재료"의 영상정보가 그 부재료의 코드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또, 명칭표시정보는 메뉴 명칭표시정보와, 오퍼레이션키 표시정보와, 기능키 표시정보로 분류된다.
메뉴명칭 표시정보는 어드레스 6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07)에 격납된다. 제26도를 참조해서, 이 에리어의 각 어드레스에는 "메뉴명지정에 의한 메뉴선택" 조작시에 출력되는 메뉴 명칭정보가 가열카테고리모드(예를 들면 마이크로가열, 그릴가열등) 별도 구별되어 메뉴명칭코드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오퍼레이션키 표시정보는 어드레스 8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09)에 격납되어 있다. 제28도를 참조해서, 이 에리어의 각 어드레스에는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4)(제17도)의 소정의 세그먼트에 표시되는 선택된 오퍼레이션 모드를 나타내는 명칭정보가, 그의 오퍼레이션키 코드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제30도는 디스플레이(204)의 표시의 한 예이다. 제30도를 참조해서, 본 예에서는 디스플레이(204)의 우단에서 2렬째의 상하의 각 세그먼트의 양쪽 또는 한쪽에 오퍼레이션키 정보가 표시된다.(제30도에서는 "카운트"모드가 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오퍼레이션키 명칭은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9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기능키 표시정보는 어드레스 9010에서 시작되는 에리어(310)에 격납된다. 제20도를 참조해서, 이 에리어의 각 번지에는 디스플레이(204)에 표시되는 기능키의 명칭이 그 기능키 코드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제30도를 참조해서, 이들 기능키 명칭은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4)의 오른쪽에서 1렬째의 상하의 각 세그먼트에 고정적으로 표시된다.
심볼, 문자정보는 후술하는 "카운트 모드 오퍼레이션"이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204)에 표시되는 정보를 포함해서, 어드레스 7010에서 시작되는 카운트 코드 표시 데이터 에리어(308)에 격납되어 있다. 제30도를 참조해서, 이들 심볼이나 문자정보는 디스플레이(204)의 좌측 5렬의 하측 각 세그먼트에 표시되는 심볼("대","중","소","프리(free)"등) 및 에리어(311)에 표시되는 오퍼레이션 가이드등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만 제30도에 있어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오퍼레이션 가이드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27도를 참조해서, 에리어(308)의 각 어드레스에는 카운트 모드시의 표시데이터인 문자·심볼 정보가 카운트모드를 나타내는 코드와 함께 격납되어 있다. 다만 제30도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오퍼레이션가이드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27도를 참조해서, 에리어(308)의 각 어드레스에는 카운트 모드시의 표시데이터인 문자·심볼정보가 카운트모드를 나타내는 코드와 함께 격납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마이콤을 이용한 전자레인지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작한다.
이 전자레인지의 동작은 메뉴선택처리, 조리프로그램 사용회수 관리처리 및 조리프로그램 입력회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오퍼레이션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중심을 이루는 사상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8도에 도시한 외부기억수단인 IC카드(216a) 또는 RAM팩(216b)을 통해 메인메모리(215)에 기억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을 그 사용회수에 따라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리프로그램은 그 사용빈도에 따라 대, 중, 소 및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것의 4그룹으로 분류된다. 분류는 각 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일정한 사용빈도 기준치와 비교해서 행해진다. 분류결과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3종류의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심볼 조합으로 표시된다.
사용빈도 기준은 본 실시에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4종류로 준비되어 있다. 첫번째는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경우이다. 2번째는 프로그램의 사용회수가 1회-3회의 범위인 경우이다. 이 범위의 프로그램의 존재가 모든 프로그램의 15% 이상의 수인 때에는 심볼 "소"가 표시된다. 3번째는 사용회수가 4회-6회인 경우이다. 이 범위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의 수가 모든 프로그램수의 15% 이상일 때에는 심볼 "중"이 표시된다. 4번째는 사용회수 7회 이상이다. 이 범위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의 수가 전체 프로그램수의 30% 이상일 때에는 심볼 "대"가 표시된다.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4종류의 사용빈도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빈도 대-소의 프로그램의 존재만이 표시된다. 그러나 사용회수 0회의 프로그램의 심볼을 추가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회수 0회의 프로그램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예를 들면 "무"라는 심볼을 추가하면 된다. 이 경우 1회라도 사용된 적이 없는 "사장프로그램"의 존재가 나타난다.
이 전자레인지는 클릭 모드, 카운트 모드, 메뉴선택 모드 및 조리 실행이란 동작모드를 갖는다. 클릭 모드란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전자레인지의 전원투입시 및 조리동작이 실행되고 있지 않을 때의 동작 모드이다.
제30도는 컨트롤유니트(105)에서, 클릭모드 다음에 준비되어 있는 "카운트 모드"시의 디스플레이(204)의 표시이다. 카운트 모드란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상황을 조사해서 표시하는 것이다. 제30도에 도시한 표시는 프로그램이 상기 기준에 따라 사용빈도가 큰 그룹에 속하는 것, 중간에 속하는 것, 작은 그룹에 속하는 것이 적어도 3종류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전자레인지에서는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이 진전됨에 따라 표시되는 심볼의 종류 및 조합에 변화가 생긴다. 조리프로그램의 편중사용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는, 특히 심볼조합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에 독특한 경향이 나타난다. 제31도(a)-(e)는 심볼의 변화(즉, 조리프로그램의 사용 상황의 변화)의 표준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이 패턴은 "사용경험이 있는 조리프로그램"과 "미사용의 조리프로그램"의 쌍방을 분류해서, 모든 프로그램을 남김없이 사용해 온 경우에 보이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패턴에서는 먼저, 제 3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가 낮은 그룹의 존재만이 표시된다. 또 사용해 가면서 사용빈도 심볼의 조합중에 보다 사용빈도가 높은 그룹의 존재를 나타내는 심볼 "중"(제31도(b)), 그리고 가장 높은 그룹의 존재를 나타내는 심볼 "대"(제31도(c))가 추가된다.
조리프로그램이 빠짐없이 사용되어 가면, 제31도(d), 제31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의 하위, 중위의 심볼표시가 점차 소멸되어 간다. 최종적으로는 "대"이 심볼만이 남고, 모든 조리프로그램이 빠짐없이 높은 빈도를 사용된 것을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용패턴의 구체에로서는 이하의 경우가 생각된다. 맞벌이 주부등은 출근일에는 요리준비에 할애하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 경험이 있어서 기본준비에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조리까지 신속히 진행되는 익숙한 메뉴(이하 "관숙 메뉴"라 한다)의 조리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메뉴는 사용빈도 그룹"중"이상에 속하는 것이다.
한편, 요리 준비를 할 시간이 충분한 휴일 또는 국경일에는 이러한 사용자들도 조리경험이 적은 메뉴(이하"신규 메뉴"라 한다.)를 적극적으로 시도한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해서 휴일 및 국경일에 3회까지 조리경험을 쌓은 메뉴는 상기 "관숙 메뉴"로 이행한다.
상기와 같이 "관숙 메뉴"와 "신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을 병행해서 사용함으로써, 사용빈도의 심볼의 조합은 제31도에 도시한 표준적 패턴에 따라 변화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제32도(a)-(c)에는, 사용빈도 패턴의 변화중 "극단적인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이 패턴은 조리프로그램의 선택에 편중이 있는 경우의 심볼조합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다. 편중이 있는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이란 일정수까지 "신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을 사용한 후는, 아직 "신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경험이 있는 조리프로그램만을 사용하는 패턴을 말한다.
이 패턴은 제3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가 작은 심볼이, 이어서 사용빈도 "중"의 심볼로 표시된 후, 조리경험이 있는 "관숙 메뉴"만이 선택된다. 그 결과 사용경험이 "중"의 심볼이 없어지고, "대의 심볼"과 "소"의 심볼만이 남는다.
이와 같은 패턴의 경우, 조리 준비, 조리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렵게 준비한 모든 메뉴를 충분히 이용한 넒은 범위에서의 선택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동일 메뉴가 자주 반복되어 메뉴변화가 한정되게 된다. 조리를 제공받는 측에서는 이른바 "식상 기미"상태가 조기에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또, 한번도 사용된 적이 없는 "사장 프로그램"도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편중이 있는 사용 패턴에 따라 메뉴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것이 제 1특징이다. 제32도(c)의 표시는 그와 같은 표시의 한 예이다. 이 표시에서는 프로그램의 사용빈도가 "대"와 "소"로 편중되어 있을 것을 "중"의 위치에 "주의"라는 심볼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 표시에 의해 프로그램의 선택에 편중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신규 메뉴"의 조리 프로그램의 사용을 하리라 기대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이후의 이용상황은 상기 제31도(c)-(e)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화를 거쳐 상기 "표준적인 패턴"과 동일 경과를 거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자는 제32도(c)와 같은 사용빈도 심볼의 조합이 표시되는 일이 없도록 "관숙 메뉴"와 병행해서 "신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좋다. 따라서, 준비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을 빠짐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를 제공받는 측에서도 조기에 "식상 기미"가 나타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준비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이 빠짐없이 사용된 경우에는 조리프로그램을 교체할 필요가 생긴다. 제33도, 제34도는 상기 IC카드 또는 RAM팩 등의 외부기억수단의 교환시기의 도래를 나타내는 심볼"교환시"가 출력된 때의 표시를 나타낸다. 외부기억수단을 교환함으로써 메인메모리에 새로운 조리프로그램이 로드되게 되어 조리프로그램의 변화가 실현된다.
제33도는 제31도(d)에 있어서, "교환시"의 심볼이 본래 "소"의 심볼이 표시되어야 할 장소에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31도(d)는 사용회수 3회 이하의 사용빈도가 낮은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게된 단계를 나타낸다. 준비된 조리프로그램은 모두 이용된 단계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시점을 1회째의 외부기억수단의 교환에 적절한 시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에게 외부기억수단의 교환을 재촉하는 심볼 "교환시"가 자동적으로 제시됨으로써 이용자가 새로운 외부기억매체를 구입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조리프로그램이 메인메모리에 격납됨으로써, 한정된 범위가 조리가 반복실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34도는 제32도(e)에 도시한 패턴과 동일 패턴이나, 제33도의 "교환시"심볼에 추가로 심볼 "중"이 표시되어야 할 장소에 새롭게 "교환시"의 심볼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제34도에 도시한 단계에 있어서는 모든 조리프로그램이 7회 이상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모든 조리프로그램에 대해 빠짐없이 사용되어 있다.
조리를 제공받는 측 뿐만 아니라, 장치의 사용자도 먼저 준비된 외부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던 메뉴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식상"해 있을 것이다.
이 단계에서 제34도에 도시한 심볼 "교환시"가 2개 표시됨에 따라 새로운 IC카드나 RAM팩 등의 구입계기로 될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제 2특징인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지정해서 메뉴를 선택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제30도를 참조해서, 특정의 사용빈도(예를 들면 빈도"소"그룹에 속하는 조리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4)의 심볼"소"의 부분을 누른다. 심볼 "소"가 눌렸다는 신호는 투명전극시트(202)에 의해 CPU(213)로 전달된다. CPU(213)는 메인메모리(215)를 검색해서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 지정된 사용빈도를 갖는 메뉴명의 부분에 해당하는 메뉴인 것을 나타내는 특징의 심볼(예를 들면 "*")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심볼 "*"가 표시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메뉴의 사용 상황의 편중을 시정할 수 있다.
사용빈도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심볼 "프리"를 누르면 된다.
제35도, 제37a도-제37b도를 참조해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지정해서 메뉴를 선택하는 조리메뉴선택처리,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의 카운트 처리 및 조리프로그램의 입력 처리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37a도-제37b도에서, 우측에는 조작 방법이, 중앙에는 조작 완료시에 컨트롤유니트(105)의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4)로 출력되는 표시 내용이 좌측에는 CPU(213)(제18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플로우 차트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35도를 참조해서, 컨트롤유니트(105)를 전원과 접속하면 오퍼레이션 모드는 자동적으로 "클럭모드"로 설정된다. 도시하지 않은 로터리 엔코더 등에 의해 설정된 현재시각이 칼라액정디스플레이(204)의 "오퍼레이션키부" 및 "기능키부"를 제외한 부분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오퍼레이션 모드명 "클럭"이 표시된 오퍼레이션키부를 누름으로써 오퍼레이션 모드는 카운트모드로, 또 오퍼레이션키부를 누름으로써 명칭지정메뉴선택 모드로, 또 오퍼레이션키부를 누름으로써 재료지정 메뉴선택 모드로 각각 오퍼레이션 모드가 이동한다. 재료지정 메뉴선택 모드에 있어서, 해당 오퍼레이션키부를 누름으로써, 동작 모드는 클럭 모드로 돌아온다. 이하, 그 동안의 오퍼레이션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7a도를 참조해서, 스텝(S001)에 있어서 조작스텝(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모드명 "클럭"이 표시된 오퍼레이션키부를 사용자가 누른다. 이것은 "카운트 모드"선택조작에 해당한다.
스텝(S002)에서 "카운트 모드"가 실행된다. 스텝(S002)에서는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심볼, 사용자에게 어드바이스하는 심볼 "주의", "교환시"의 심볼중에서,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현재 사용회수를 반영한 심볼의 조합을 결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의 플로우 차트는 후술하며, 여기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스텝(S003)에서 선택하는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 출력된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심볼의 조합은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상황이 상기 3종류의 사용빈도그룹으로 구분되어 나타나도록 되어있다.
스텝(S003)에 있어서, 표시스텝(D0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모드가 "카운트 모드"로 설정된 것이 표시 "카운트"로 나타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오퍼레이션 메세지 에리어(311)에 사용빈도를 지정하는 경우 및 지정하지 않는 경우의 조작방법이 문언으로 표시되어 있다.
스텝(S004)에 있어서, 조작스텝(00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빈도 "소"의 그룹에 속하는 것이 선택된다.
스텝(S005)에 있어서, 조작스텝(00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트"로 표시되어 있는 오퍼레이션키 표시부를 사용자가 누른다. 따라서, 메뉴선택 오퍼레이션 모드의 선택조작이 실행된다.
스텝(S006)에 있어서, 메뉴명칭 서치가 메뉴 검색용 데이터 에리어(301)(제19도)에서 실행된다. 이때 각 메뉴가 스텝(S004)에서 지정된 사용빈도 상황을 만족하는가 아닌가가 체크된다.
스텝(S007)에 있어서, "메뉴명칭 일람식 메뉴선택 모드"의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표시스텝(D0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키부에 표시되는 오퍼레이션 모드 명칭은 그때까지의 "카운트"대신 "카테고리"로 된다. 오퍼레이션 모드의 소구분 표시는 "마이크로"로 되어 있다. 이것은 "메뉴명칭 일람식 메뉴선택 모드"에서 마이크로파 가열이라는 가열카테고리에 속하는 메뉴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디스플레이에는 "마이크로파 가열"의 메뉴명칭이 표시되어 있다. 또 스텝(S006)의 서치 결과 스텝(S004)에서 지정된 사용빈도 상황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메뉴의 메뉴코드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심볼 "*"가 표시되어 있다.
스텝(S008)에 있어서, 조작스텝(00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볼 "*"가 붙은 메뉴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의 메뉴선택키부를 누른다.
스텝(S009)에 있어서, 표시스텝(D0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008)에서 지정된 메뉴의 완성영상이 표시된다. 이 완성영상은, 제20도의 "조리완성 영상코드"에 기초해서, 제23도에 도시한 조리완성 영상데이터 에리어를 서치함으로써 얻어진다.
스텝(S010)에 있어서, 조작스위치(00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된 완성영상을 확인하고 마음에 들면 기능키중 하나인 "록크"키 표시부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메뉴가 선택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하나의 기능키"취소"키 표시부를 누른다. 이 조작에 의해 이번에는 스텝(S007)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메뉴선택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스텝(S011)에 있어서, 선택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이 독출되어 상기 컨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로 전송된다. 콘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중에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가열 컨트롤부에, 상기의 조리프로그램이 로드된다.
스텝(S012)에 있어서, 로드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조리가 실행된다.
스텝(S013)에 있어서, 상기 "메뉴검색용 데이터 에리어"(301)의 실행된 조리프로그램의 어드레스 사용실적 로케이션에 기억되어 있는 메뉴의 사용실적 데이터를 갱신한다.
제38a도-제38c도는 "식품재료지정에 의한 메뉴선택"의 오퍼레이션 차트이다.
스텝(S101)에 있어서, 조작스위치(01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럭"으로 표시된 오퍼레이션키부를 누름으로써 카운트모드가 선택된다.
스텝(S102)에서 카운트모드의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이 이러한 처리에 의해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상황을 도시한 심볼, 및 사용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나타내는 심볼 "주의", "교환시"의 조합을 경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스탭(S103)에 있어서, 표시스텝(D1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하는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상기와 같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출력화면을 겸한다. 표시스텝(D101)에는 제32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단적인 패턴"에서의 "문제로 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심볼 "주의"가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는 특정의 조리프로그램이 반복 사용되고 있고, 한편 사용회수가 3회 이하로 적은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이 표시에 의해 조리프로그램이 편중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이때, 오퍼레이션 모드 명칭은 "클럭"대신 "카운트"로 되어 있다.
스텝(S104)에 있어서, 조작스텝(01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볼 "주의"에 의한 경고를 고려해서 사용빈도가 낮은 그룹에 속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심볼 "소"가 표시된 사용빈도키를 누른다.
스텝(S105)에 있어서, 조작스위치(01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모드 선택키부를 2회 누른다. 이 조작으로 제35도를 참조해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식품재료지정에 의한 메뉴선택 모드"가 선택된다.
스텝(S015)에서 "식품재료지정에 의한 메뉴선택 모드"가 기동된다.
스텝(S107)에서 각 메뉴, 즉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가 독출된다.
제38b도를 참조하여 스텝(S108)에서 독출된 사용회수와, 선택된 사용빈도치가 대조된다.
스텝(S109)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치가 지정된 사용 빈도치를 만족하는지 아닌지가 판정되어, 만족하는 경우에는 스텝(S1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11)으로 진행한다.
스텝(S110)에 있어서는, 조리프로그램의 메뉴에 포함되는 주재료 코드가 돌출되어 그후 스텝(S111)으로 진행된다.
스텝(S111)에 있어서는, 스텝(S107)에서 스텝(S111)까지의 처리가 모든 조리프로그램에 대해서 실시되었는가 어떤가가 판별된다. 응답이 "예"이면 S11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S107)으로 되돌아 온다.
스탭(S112)에 있어서, 스텝(S111)에서 독출된 주재료 코드에 기초하여, 주재료 영상데이터 에리어(305)(제19도)에서 독출된 식품 주재료의 영상이 표시된다. 표시스텝(D1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모드 명칭은 "카운트"에서 "재료"로 되고, 또 "재료"의 세부항목으로서 "메인"이 표시된다. 이 표시는 오퍼레이션 모드가 "식품재료 지정에 의한 메뉴선택 모드"에 있어서 "식품주재료의 선택 오퍼레이션"인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에는 주재료의 영상과 함께 스텝(S107-S111)의 처리 결과, 선택된 사용빈도치를 만족하는 메뉴에 포함되는 주재료 영상의 가로에 선택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심볼인 "*"가 표시되게 된다.
스텝(S113)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0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볼 "*"가 표시된 주재료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주재료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주재료 선택키부를 누른다.
스텝(S114)에 있어서, 선택된 식품재료(주재료)를 포함하고, 또 지정된 사용빈도를 만족하는 메뉴가 검색된다.
스텝(S115)에 있어서, 스텝(S114)의 처리결과 검색된 메뉴에 포함되는 부재료코드가 독출된다.
제38c도를 참조하여 스텝(S116)에서, 표시스텝(D1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모드 명칭의 세부 항목에 "메인"대신 "서브"가 표시된다. 이것은 동작모드가 식품 부재료의 선택오퍼레이션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스텝(S116)에서 독출된 부재료코드에 기초하여, 부재료 영상데이터 에리어(306)(제19도)가 검색되어 해당하는 부재료의 영상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부재료를 지정하는가 아닌가의 의사결정을 한다.
스텝(S117)에 있어서, 조작스위치(S01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료를 지정한다. 지정하는 경우 1종류 또는 2종류의 부재료 선택키부를 누를 수 있다.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부재료 영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키부를 1번 누르면 된다.
스텝(S118)에 있어서, 선택된 식품제료의 조합과 지정된 사용빈도를 만족하는 메뉴검색이 실행되어 해당하는 메뉴코드 및 메뉴의 완성영상 코드가 독출된다.
스텝(S119)에 있어서, 표시스텝(D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S118)에서 독출된 완성영상 코드에 기초해서, 메뉴의 완성영상이, 조리완성 영상데이터 에리어(304)(제19도)에서 독출되어 표시된다. 오퍼레이션 모드 세부항목에는 "서브"대신 "메뉴"가 표시된다. 이것은 독출된 완성영상 코드가 복수인 경우 키부를 눌러서 전환 표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독출된 완성영상 코드가 복수인 경우에는 표시된 완성영상의 좌상방에 "1/2→" 또는 "1/3→"의 심볼이 표시된다. 심볼"→"는 메뉴키부의 누름 조작을 지시하는 것이다. 심볼 "1/2"은 독출된 완성영상 코드가 2건인데 현재 표시되어 있는 것은 1건째임을 나타낸다.
스텝(S120)에 있어서, 조작스텝(010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기능키부의 "록크"키 표시부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표시된 메뉴선택 정보가 프로그램에 공급된다. 오퍼레이션 차트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된 메뉴를 채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능키부 "취소"키 표시부를 1번 또는 2번 누르면 된다. 취소키를 1번 누른 경우에는 스텝(S116)으로 돌아오고, 2번 누른 경우에는 스텝(S112)으로 돌아온다.
스텝(S121)에서, 선택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이 조리프로그램 격납 에리어(303)(제19도)에서 독출되고, 컨트롤유니트 컨트롤부(209)(제17도(d))로 전송되어 이중에 설치된 전자레인지의 가열, 컨트롤부로 로드된다.
제20도의 메뉴 검색용 데이터 에리어(3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제료의 지정에 의한 메뉴선택에 있어서는, 주재료 코드 1종류, 부재료 코드 2종류가 검색용 코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주재료 코드만 지정되면 남은 부재료 코드는 필수조건은 아니다. 이것들은 사용자가 알고 있는 범위에서 지정하면 된다. 지정된 부재료 코드가 많을수록 출력되는 메뉴영상은 적다. 역으로 지정코드수가 적을수록 출력 영상은 많다.
부재료를 최대 지정건수의 2건 모두 지정하고, 또 그 조합이 잘못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이 경우, 동일 주재료가 지정된다는 전제하에, 부재료 1건씩의 지정이 2번 행해졌다고 해석되어 검색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재료 코드 MZ-01이 지정된 경우를 보자. 이 경우, 예를 들면 부재료 코드 SZ-01, SZ-03이 선택된 것으로 한다. 특히 코드 SZ-01, SZ-03의 조합이 잘못된 경우, 주재료 MZ-01과 부재료 SZ-01의 조합 및 주재료 MZ-01과 부재료 SZ-03의 조합이 함께 지정된 것으로 검색이 행해진다.
스텝(S122)에 있어서, 선택된 조리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스텝(S123)에 있어서, 선택된 메뉴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의 가산이 행해진다. 또, 상기 제19도의 메뉴검색용 데이터 에리어(301)의 해당 조리프로그램의 어드레스의 사용실적 로케이션(제20도)에 기억되어 있는 메뉴의 사용실적 데이터가 갱신된다.
이상과 같은 오퍼레이션에 의해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를 지정한 후, 주재료 및 부재료의 조합의 지정을 병용한 메뉴선택 및 조리가 행해진다. 이 처리에서도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실적 분포가 표시된다.
제36도를 참조해서,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를 분석하여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심볼 조합의 결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제36도에서는 기호로서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 한번도 사용되지 않은 조리프로그램수 n0, 1-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 4-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2,7회 이상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3이 사용되고 있다.
제36도에 있어서는, 사용빈도의 대중소를 나타내는 심볼로서 "대", "중", "소"가, 사용분포에 편중이 생겼을 때,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하기 위한 심볼로서 "주", 외부기억매체의 교환시 임을 나타내는 "환"이 각각 이용된다. 또, 표시상 스페이스는 "-"로 나타낸다.
제36도를 참조해서, 스텝(S301)에서 한번도 사용되지 않은 프로그램수 n0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과 동일한지 어떤지가 판단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 A1로 이동하여, 모든 심볼이 스페이스라고 결정된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모든 조리프로그램 중 어느 것도 한번도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스텝(S301)에 있어서, 판단의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S302)으로 진행한다.
스텝(S302)에서 모든 조리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가 그 사용회수 순으로 소트된다.
이어서 스텝(S303)에서 7회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3이 0보다 큰가 어떤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S302)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S309)으로 진행한다.
스텝(S304)에서는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3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의 15%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S305)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S309)으로 진행한다.
스텝(S303)은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함으로써, 심볼의 조합을 결정할 때의 경우를 나누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스텝(S304)는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와 같은 프로그램이 일정수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조건을 설정하지 않으면 7회이상 사용된 프로그램이 겨우 1건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심볼 "대"가 표시되게 되어 분포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는 부적당한 것으로 되어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조건(사용빈도 조건을 만족하는 조리프로그램이 일정수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빈도의 프로그램의 존재를 나타내는 심볼을 표시하지 않는다는 조건)은 다른 사용빈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하 설명에서 그러한 것들에 대해서는 개개로 설명하지 않는다.
스텝(S305)에서는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2가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S315)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S306)으로 진행한다.
스텝(S306)에서는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2가 모든 조리프로그램수의 20%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S30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S315)으로 진행한다.
스텝(S307)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0보다 큰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S30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318로 진행한다.
스텝(S308)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15%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A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S318)으로 진행한다.
스텝(S308)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15%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A2)으로 진행하고,그렇지 않으면 스텝(S318)으로 진행한다.
스텝(A2)에는 1회-3회, 4회-6회, 7회 이상의 각 사용빈도에 속하는 조리프로그램이 각각 존재하고, 또 각각이 일정수 이상이므로 심볼 "대", "중", "소" 모두 표시된다.
스텝(S318)에서는 1회도 사용되지 않는 프로그램수 n0이 0이외인가 어떤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A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A4)으로 진행한다.
스텝(A3)에는 4회-6회, 7회 이상의 각 사용빈도의 조리프로그램이 일정수 이상 존재함과 동시에, 한번도 사용되지 않은 프로그램도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심볼 "대", "중"만이 표시된다. 스텝(A4)에는 4회-6회, 7회 이상의 각 사용빈도의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고, 또 3회 이하의 사용빈도의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심볼 "대", "중"과 함께 외부기억 매체의 교환시를 나타내는 심볼 "환"이 표시된다.
이하 스텝(S303 및 S304)에서 스텝(S309)으로 진행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일정수 이상은 존재하지 않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스텝(S309)에서는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2가 0보다 큰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S31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S310)으로 진행한다.
스텝(S310)에서는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2가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20%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S313)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S311)으로 진행한다.
스텝(S309 및 S310)에 의해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는가 아닌가가 나누어지게 된다.
스텝(S311)에서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A10)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A312)으로 진행한다.
스텝(S312)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15%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A10)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A9)으로 진행한다.
스텝(S311 및 S312)에 의해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는가 아닌가 나누어지게 된다.
스텝(A9)에서는 7회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고, 또 1회-3회 및 4회-6회 사용된 프로그램이 함께 어느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심볼 "중", "소"가 표시된다. 스텝(A10)에서는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만이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기 때문에 심볼 "중"만이 표시된다.
스텝(S313)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4회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어느정도 이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스텝(S313)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0이외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S314)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A12)으로 진행한다.
스텝(S314)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15%이상인가 어떤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A12)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A11)으로 진행한다.
스텝(A11)에서는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중 사용회수 1회-3회인 것이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기 때문에 심볼 "소"만이 표시된다. 스텝(A12)에서는 1회이상 사용된 프로그램이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심볼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하에는 스텝(S305 및 S306)에서의 판단 결과, 제어가 스텝(S315)으로 진행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7회이상 사용된 프로그램이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고 또 4회-6회 사용된 프로그램이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스텝(S315)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0보다 큰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S316)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S318)으로 진행한다.
스텝(S316)에서는,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1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15%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아니오"이면 스텝(S318)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S316)으로 진행한다.
스텝(S315 및 S316)에 의해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가 어느정도 이상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나누어지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스텝(S316)에서는, 1회도 사용되지 않은 조리프로그램수 n0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55% 이하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S317)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A6)으로 진행한다.
스텝(S317)에서는, 7회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3이 모든 조리프로그램수 N의 30%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A5)으로, 그렇지 않으면 스텝(A6)으로 진행한다.
스텝(A5)에서는,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가 상당히 많고, 한편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도 어느정도 존재하고, 또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는 매우 적던가, 또는 전혀 존재하지 않으므로 심볼은 "대", "소"와 함께 편중된 사용을 나타내는 심볼 "주"로 결정된다.
스텝(A6)에서는, 1회-3회 및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가 일정수 이상 존재하고, 또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는 일정수 이하 밖에 존재하지 않고, 한편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도 특별히 많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또 조리프로그램의 사용 패턴에 극단적인 편중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되지 않고, 심볼 "대", "소"의 2개만이 표시되게 된다.
이하, 스텝(S315 및 S316)의 판단결과 제어가 스텝(S318)으로 진행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 n3이 어느정도 이상이고, 4회-6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는 어느정도 이하이고, 1회-3회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수도 어느정도 이하인 것에 주의해야 한다.
스텝(S318)에서는 1회도 사용되지 않은 프로그램수 n0이 0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응답이 "예"이면 스텝(A7)으로, 그렇지 않으면 A8로 진행한다.
스텝(A7)에서는 한번도 사용되지 않은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고, 또 7회 이상 사용된 조리프로그램이 특히 많으므로, 심볼 "대"이외에 외부기억매체를 교환시임을 나타내는 심볼 "환"이 표시된다.
스텝(A8)에서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7회이상 사용되어 있으나 아직 사용되지 않은 프로그램도 존재하므로, 아직 외부기억매체를 교환해야 할 때라고는 판단하지 않고, 심볼 "대"만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제36도에 도시한 흐름에 따른 프로그램에 의해,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에 따른 심볼의 조합을 결정하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밝힌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전자레인지는 IC카드나 RAM 팩 등의 외부기억수단을 통해 공급된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사용상황을 소정의 복수 종류의 사용빈도 기준치로 분류한다.
분류결과에 기초해서, 각 사용빈도 기준을 나타내는 심볼의 조합이 정해져서 표시된다. 따라서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 분포가 알기 쉬운 형태로 표현된다. 따라서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상황 전모를 순식간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각 사용빈도 그룹에 속하는 메뉴 프로그램의 건수 및 구체적인 메뉴명은 필요에 따라 조회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서술한 것처럼, 표시된 메뉴 일람에서 지정된 사용빈도 그룹에 속하는 메뉴 코드의 근방에 심볼 "*"가 표시되어, 확실하고 용이하게 해당메뉴를 알 수 있다.
사용빈도 심볼의 조합에 의한 모든 조리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사용상황 표시는 전체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나타난다. 전체가 빠짐없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혹은 일부 특정 프로그램만이 집중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표시되는 심볼의 조합에 의해 그와 같은 정보가 사용자에게 명확히 제시된다. 예를 들어, 특정 프로그램만이 편중 사용되는 형태가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심볼 "주의"가 그 예이다.
한편, 외부기억매체에 준비된 모든 조리프로그램이 빠짐없이 사용되어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4회이상 사용된 경우에는 외부기억매체의 "교환시"를 나타내는 심볼이 표시된다. 또 대부분의 조리프로그램이 7회이상 사용된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교환시"를 나타내는 심볼이 2개 표시된다. 따라서 정확한 시점에서 사용자에 대해 새로운 외부기억매체로의 교환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게 된다.
사용빈도가 높은 조리프로그램의 메뉴는, 사용자에게는 절차에 익숙한 메뉴이다. 한편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는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것이거나 혹은 장시간의 조리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밖에 선택할 수 없는 메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조리에 할애하는 시간이 한정된 사용자도, 예를 들면 맞벌이 부부에 있어서는 조리에 할애하는 시간에 따라 사용빈도의 대소를 기준으로 구분해서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인 식단 작성의 방침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합리적인 식단 적성이 가능하도록 사용빈도를 지정함으로써 선택 대상 메뉴를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주어진 시간적 여유에 따른 메뉴선택이 단시간에 가능해졌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프로그램을 편중 사용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는 심볼이 표시된다. 따라서 그후의 메뉴선택에 있어서 사용빈도가 낮은 메뉴를 의도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빈도가 낮은 프로그램, 이른바 "사장프로그램"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다.

Claims (33)

  1. 상기 조리수단의 동작수순을 특정하기 위한 조리프로그램에 따라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수단, 복수개의 조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리를 제어하기 위한 조리제어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조리제어 데이터 기억수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리제어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조리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해서 선택된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상기 조리프로그램에 공급하기 위한 조리프로그램 선택수단, 상기 조리제어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각 상기 조리프로그램의 상기 조리프로그램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빈도를 기억하기위한 사용빈도 기억수단, 상기 사용빈도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한 분류수단, 및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된 각 상기 그룹에 속하는 조리프로그램의 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빈도 정보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빈도 정보 표시수단이,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사용빈도 분포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사용빈도 분포패턴 일치 검출수단, 및 상기 사용빈도 분포패턴 일치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분류 결과와 일치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상기 사용빈도 분포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외부기억매체에서 상기 조리프로그램 기억수단에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빈도 분포패턴 일치 검출수단이 상기 조리프로그램 기억수단에 기억된 모든 상기 조리프로그램이 미리 정해지는 회수보다도 많은 회수만큼 선택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는 전자레인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프로그램 선택수단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된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원하는 그룹을 지정함으로써 원하는 사용빈도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사용빈도 지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빈도 정보 표시수단이 상기 사용빈도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내의 사용빈도를 가는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상기 조리프로그램의 기억수단에서 검색하기 위한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이 상기 사용빈도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복수의 그룹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선택적 분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빈도 기억수단이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누적 사용회수를 기억하기 위한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분류수단이 상기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각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와, 미리 정해진 한계치와 대소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각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상기 그룹 중 어느 것에 분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빈도 기억수단이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누적 사용회수를 기억하기 위한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분류수단이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3개의 한계치 중 상기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각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누적 사용회수보다도 작은 것중에 최대치가 어느 것이냐에 따라, 각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4개의 그룹중 어느 것으로 분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한계치가 0,3 및 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빈도 정보 표시수단이,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상기 분류수단에 의해 분류된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가를 검출하기 위한 조건만족 검출수단과, 상기 만족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만족한 조건에 대한 미리 관련지어져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수단이 상기 사용빈도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을 복수의 그룹의 하나로 선택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선택적 분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빈도 기억수단이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누적 사용회수를 기억하기 위한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분류수단이 상기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각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사용회수와 , 미리 정해진 한계치와의 대소관계를 조사함으로써 각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그룹중 어느 것에 분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빈도 기억수단이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 각각에 대해, 누적 사용회수를 기억하기 위한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분류수단이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3개의 한계치중, 상기 누적 사용회수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된 각 상기 복수의 조리프로그램의 누적 사용회수보다도 작은 것중에 최대치가 어느 것이냐에 의해 각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4개의 그룹중 어느 것으로 분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한계치가 0,3 및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4개 그룹이, 그 누적 사용회수가 0보다 크지 않은 조리프로그램이 속하는 제1그룹, 누적 사용회수가 3보다 크지 않은 조리프로그램이 속하는 제2그룹, 누적 사용회수가 6보다 크지 않은 조리프로그램이 속하는 제3그룹, 및 누적 사용회수가 6보다 큰 조리프로그램이 속하는 제4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만족 검출수단이, 상기 조리프로그램의 누적 사용회수의 총합을 검출하기 위한 총사용회수 검출수단, 각 상기 그룹에 속하는 상기 조리프로그램의 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각 상기 그룹에 속하는 상기 조리프로그램수의 상기 누적 사용회수의 총합에 대한 사용비율합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비율합 산출수단, 상기 각 그룹마다 각 상기 그룹의 상기 사용율이 각 상기 그룹마다에 미리 정해진 기준치보다 큰가 아닌가를 판정하기 위한 사용율 크기 판정수단, 및 상기 사용율 크기 판정수단의 출력의 실제 조합과 미리 준비된 조합과의 일치를 판정하기 위한 일치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판정수단이 상기 사용율 크기 판정수단의 출력의 실제 조합과, 미리 준비된 복수개의 조합중 어느것과의 일치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준비된 복수개의 조합이 상기 제4그룹의 사용율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크고, 또 그밖의 그룹이 사용율이 모두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작다는 제1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수단이 상기 사용율크기 판정수단의 출력의 실제 조합이 상기 제1조합과 일치하고 있는 것에 응답해서 조리프로그램의 교체를 사용자에게 시사하기 위한 제1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준비된 복수개의 조합이 상기 제3 및 제4그룹의 사용율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고, 또 그밖의 그룹의 사용율이 모두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작다는 제1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수단이 상기 사용율 판정수단의 출력이 실제 조합이 상기 제1조합과 일치하고 있는 것에 응답해서 조리프로그램의 교체를 사용자에게 시사하기 위한 제1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준비된 복수개의 조합이 상기 제2그룹과, 상기 제4그룹과의 사용율이 각각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고, 또 상기 제3그룹의 사용율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작은 제1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수단이 상기 사용율 크기 판정수단의 출력의 실제 조합이 상기 제1조합과 일치하고 있는 것에 응답하여 조리프로그램의 사용에 편중이 생기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시사하기 위한 제1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제어 데이터 기억수단이 각 상기 조리프로그램이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되는 복수개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카테고리 정보 기억수단, 미리 정해진 복수개의 상기 카테고리에 직접 관련지어지는 제1메뉴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뉴정보 기억수단, 상기 각 조리프로그램에 의한 조리명칭을 상기 복수개의 카테고리의 적어도 하나에 관련지어 기억하기 위한 조리프로그램 기억수단, 상기 각 조리프로그램을 대응하는 상기 조리명칭에 관련지어 기억하기 위한 조리프로그램 기억수단, 및 상기 각 조리프로그램마다의 조리외관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조리외관 이미지 기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정보가 상기 각 카테고리의 명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프로그램 선택수단이, 각각이 소정의 화상을 선택적으로 표시가능한 복수개의 화상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수단, 각각이 상기 각 화상표시영역의 어느 것에 관련지어져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각각 식별가능한 조작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수조작 가능한 조작신호 발생수단, 상기 각 화상표시영역에 표시된 화상에 관련지어진 정보를 미리 기억하여 상기 조작신호에 응답해서 대응하는 상기 화상표시영역에 표시된 화상에 관련지어진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조작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해독수단,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후속의 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처리 선택수단, 및 상기 처리 선택수단이 조리프로그램의 실행개시를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상기 조리프로그램 기억수단에서 꺼내어 상기 조리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조리프로그램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선택수단이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이 메뉴명을 지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메뉴정보를 상기 메뉴정보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메뉴정보에 관련지어진 카테고리 정보의 명칭리스트를 상기 화상표시수단 및 상기 해독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메뉴선택 수단,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이 카테고리명을 지정하는 데 응답하여 해당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카테고리 정보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카테고리 정보에 관련지어진 조리프로그램의 명칭리스트를 상기 화상표시수단 및 상기 해독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카테고리 선택 수단,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이 조리명칭을 지정하는 것에 응답해서 해당하는 조리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조리프로그램 정보 기억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조리프로그램정보에 관련지어진 조리프로그램의 외관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조리외관 이미지 기억수단에서 독출해서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조리 선택수단, 및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이 소정의 특정처리의 실행을 지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특정처리를 선택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특정처리 실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처리수단이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이 상기 분류수단의 기동을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분류수단을 기동시키기 위한 분류 기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처리수단이 상기 분류 기동수단에 의한 상기 분류수단의 기동후, 상기 사용빈도 정보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정보를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하기 위한 빈도정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처리수단이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이 특정치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의 특정한 한 개를 선택하기위한 그룹선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 선택수단이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관련지어진 조리프로그램이 상기 선택된 그룹에 속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의 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화상수단에 공급되는 리스트내의 각 상기 조리특정정보에 각각이 상기 선택된 그룹에 속하는가 아닌가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표시수단이 주어진 상기 조리특정정보에 상기 부가 정보가 부가되어 있을때는 상기 조리특정정보의 표시형태를 그 이외의 때와 달리하는 표시형태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형태 변경수단이 상기 표시되는 조리특정정보에 미리 정해진 아이콘을 부가해서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부가수단이 상기 조리명칭에 부가하는 아이콘이 아스테리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선택수단이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각 그룹은 특정하기 위한 그룹특정정보를 상기 화상표시수단상에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어딘가에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해독수단의 출력이 화상표시영역의 어디에 대응하는가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화상표시영역에 관련지어진 그룹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판정하기 위한 그룹 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프로그램이 사용자가 상기 그룹중 특정한 한 개를 선택하기 위한 그룹선택수단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조리제어 데이터 기억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조리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조리특정정보 작성수단과 상기 조리특정정보 작성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조리제어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특정 그룹에 속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해서 상기 특정그룹에 속한다고 판단된 상기 조리제어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조리특정정보 수단에 의해 작성된 리스트의 해당개소에 특정정보를 부가해 두기 위한 판정수단과, 상기 조리특정정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리스트를 인식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특정의 그룹에 속한다고 판정된 조리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요소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다른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형태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형태 변경수단이 상기 표시되는 조리특정정보에 미리 정해진 아이콘을 부가해서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부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2. 제31항에 잇어서, 상기 아이콘 부가수단이 상기 조리특정정보에 부가하는 것이 아스테리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선택수단이, 각각이 화상을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한 복수개의 화상표시영역을 갖는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각 화상표시영역의 각각과 관련지어져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표시영역중 어딘가와 관련지어지는 조작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작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각 그룹을 특정하기 위한 그룹특정정보를 상기 화상표시수단상에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어딘가에 관련지어 표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조작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이 상기 화상표시영역의 어디에 대응하느냐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화상표시영역에 관련지어진 그룹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판정하기 위한 그룹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1019910018543A 1990-10-22 1991-10-21 전자레인지 KR940005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4962A JP2589592B2 (ja) 1990-10-22 1990-10-22 電子レンジ
JP90-284962 1990-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054B1 true KR940005054B1 (ko) 1994-06-10

Family

ID=1768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543A KR940005054B1 (ko) 1990-10-22 1991-10-21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74209A (ko)
EP (1) EP0482578B1 (ko)
JP (1) JP2589592B2 (ko)
KR (1) KR940005054B1 (ko)
AU (1) AU645356B2 (ko)
CA (1) CA2053830C (ko)
DE (1) DE6910018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4005B1 (fr) * 1991-03-11 1998-03-06 Jdc Ingenierie Dispositif de controle d'un appareil de chauffage
US5382939A (en) * 1993-07-23 1995-01-17 Gold Star Co., Ltd. Cooking stat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television
KR970000539B1 (ko) * 1993-09-17 199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 조리기의 고압/저압분리 장치
NL1000219C2 (nl) 1995-04-25 1996-10-28 Atag Keukentechniek Bv Bediening voor apparatuur.
US5883801A (en) * 1996-05-14 1999-03-16 Microwave Scienc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age
US5812393A (en) * 1996-05-14 1998-09-22 Microwave Science, Llc Interpretive BIOS machine and method of use thereof
TW339399B (en) * 1996-07-10 1998-09-01 Sharp Kk Cooking apparatus sequentially displaying cooking methods on its display and cooking methods using such cooking apparatus
IT1291005B1 (it) * 1997-01-13 1998-12-14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stema di controllo per un apparato elettrodomestico.
AT409172B (de) * 1998-01-29 2002-06-25 Hanazeder Erwin Vorrichtung zum bedienen eines elektrischen küchenherdes
EP0948240B1 (en) * 1998-03-30 2004-08-25 Sharp Kabushiki Kaisha Cooking apparatus
DE19834230B4 (de) * 1998-07-29 2016-08-18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Betriebsprogramms eines programmgesteuerten Haushaltgeräts
US6557756B1 (en) * 1998-09-04 2003-05-06 Ncr Corporation Communications, particularly in the domestic environment
IT1304664B1 (it) * 1998-09-30 2001-03-28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stema per la programmazione di un apparato elettrodomestico acontrollo elettronico.
US6550681B1 (en) 1999-02-18 2003-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net related appliances
JP2002022176A (ja) * 2000-07-12 2002-01-23 Sharp Corp 電子レンジ
JP2002365059A (ja) * 2001-06-05 2002-12-18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111247B2 (en) * 2001-07-02 2006-09-19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nu display of microwave oven
US6624390B1 (en) * 2001-07-20 2003-09-23 Cape Simulations, Inc. Substantially-uniform-temperature annealing
US7069091B2 (en) 2001-11-01 2006-06-27 Salton, Inc. Intelligent microwave oven appliance
US7151968B2 (en) 2001-11-01 2006-12-19 Salton, Inc. Intelligent coffeemaker appliance
DE10227880A1 (de) * 2002-06-22 2004-02-19 Diehl Ako Stiftung & Co. Kg Anpassung einer Bedienvorrichtung an das Benutzerverhalten
FR2842888B1 (fr) * 2002-07-26 2004-09-03 Thirode Grandes Cuisines Poligny Systeme de commande de four
KR20040059142A (ko) * 2002-12-28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67641A (ko) * 2003-01-24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US6933477B2 (en) 2003-04-10 2005-08-23 Maytag Corporation Menu driven control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8053708B2 (en) * 2006-11-10 2011-11-08 Electrolux Home Porducts, Inc. User-configurable interface for a cooking appliance
US8659978B2 (en) * 2007-11-12 2014-02-25 Prince Castle, Inc. Memory card programmable timer device and method
DE102008014006B4 (de) * 2008-03-13 2023-06-22 Rational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intelligenten Mensch-Maschinen-Interfaces bei Gargeräten und zugehöriges Gargerät
DE102008013995A1 (de) * 2008-03-13 2009-09-24 Rational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intelligenten Mensch-Maschinen Interface bei Geräten
US20110087987A1 (en) * 2009-10-09 2011-04-1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interface system
US9265097B2 (en) 2010-07-01 2016-02-16 Goji Limited Processing objects by radio frequency (RF) energy
US9992824B2 (en) * 2010-10-29 2018-06-05 Goji Limited Time estimation for energy application in an RF energy transfer device
JP1562586S (ko) 2016-06-01 2016-11-07
JP1599562S (ko) 2017-09-28 2018-03-12
CN110007607A (zh) * 2018-01-05 2019-07-12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烹饪系统及应用于其上的方法
CN114831498A (zh) * 2021-01-31 2022-08-02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最佳成熟度判断食材烹饪完成的方法及其智能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8864A (en) * 1978-06-05 1990-11-06 Keiichiro Doi Magnetic card control microwave oven
JPS5664235A (en) * 1979-10-30 1981-06-01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High frequency heater
US4323773A (en) * 1980-01-17 1982-04-06 Litton Systems, Inc. Bar code controlled microwave oven
US4415789A (en) * 1980-12-10 1983-1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crowave oven having controllable frequency microwave power source
AU552208B2 (en) * 1982-04-30 1986-05-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heating appliance
US4628351A (en) * 1984-04-23 1986-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with a video display
JPS6219501A (ja) * 1985-07-17 1987-01-28 Hokko Chem Ind Co Ltd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H0354322Y2 (ko) * 1985-12-12 1991-11-29
US4841125A (en) * 1985-07-18 1989-06-20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unit for a heating system with memory means
JPS63108125A (ja) * 1986-10-24 1988-05-13 Sharp Corp 電子レンジ
JPH0781718B2 (ja) * 1988-02-19 1995-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JPH06100342B2 (ja) * 1988-10-28 1994-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JP2680716B2 (ja) * 1990-04-26 1997-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レ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2578B1 (en) 1993-07-21
AU8604491A (en) 1992-04-30
CA2053830A1 (en) 1992-04-23
DE69100184T2 (de) 1994-03-03
JP2589592B2 (ja) 1997-03-12
CA2053830C (en) 1996-01-23
JPH04158115A (ja) 1992-06-01
EP0482578A1 (en) 1992-04-29
DE69100184D1 (de) 1993-08-26
US5274209A (en) 1993-12-28
AU645356B2 (en) 199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054B1 (ko) 전자레인지
US4841125A (en) Control unit for a heating system with memory means
US6097016A (en) Cooking apparatus having display unit and item selection unit
US6660982B2 (en) Programmable cooking systems
JP2680716B2 (ja) 電子レンジ
JP2700966B2 (ja) 電子レンジ
US4454501A (en) Prompting control
EP0498669B1 (en) Heating apparatus
GB2160694A (en) Cooking apparatus
AU2001284276A1 (en) Programmable cooking systems
US6903318B2 (en) Programmable food service systems and method
JPH09264541A (ja) 加熱調理装置
JPH11281064A (ja) 加熱調理器
KR0159579B1 (ko) 정보출력 기능을 가지는 전자렌지 및 그 제어 방법
KR920009585B1 (ko) 전자레인지의 메뉴카드 착탈장치.
JP2004080398A (ja) データ伝送装置
JPS63251728A (ja) 電子制御式調理器
JP2860115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H04236013A (ja) 調理器
JPH0350322Y2 (ko)
KR20050031802A (ko) 전자레인지
AU2004208230B2 (en) Programmable food service systems and method
JPS63238334A (ja) 電子制御式調理器
JP2005182270A (ja) 注文入力装置
JPS6326978A (ja) 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