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944B1 -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 Google Patents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944B1
KR940002944B1 KR1019850004122A KR850004122A KR940002944B1 KR 940002944 B1 KR940002944 B1 KR 940002944B1 KR 1019850004122 A KR1019850004122 A KR 1019850004122A KR 850004122 A KR850004122 A KR 850004122A KR 940002944 B1 KR940002944 B1 KR 94000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anker
tank
tru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185A (ko
Inventor
스팔라틴 게오르지
Original Assignee
맥그리거-나비어 인터내셔널 에이비
뵤른 안더슨, 스텐 올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그리거-나비어 인터내셔널 에이비, 뵤른 안더슨, 스텐 올슨 filed Critical 맥그리거-나비어 인터내셔널 에이비
Publication of KR86000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조선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는 도시된 유조선의 주 갑판을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트렁크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Ⅳ-Ⅳ를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 3도의 선 Ⅴ- Ⅴ를 따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트렁크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Ⅶ-Ⅶ선을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조선의 수직방향 부분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선측외판에서의 밸브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조선에서의 화물적재를 단면으로 나타낸 개략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유조선의 주 갑판상에서의 화물적재를 도시한 평면도.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유조선을 수평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14도 내지 제16도는 제11도 내지 제13도에 상응하는 유조선에서의 화물하역을 나타낸 도면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조선의 주 갑판의 부분도.
제18도는 제17도의 유조선에서 하나의 트렁크의 하부의 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선 XIX-XIX를 따른 단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선 XX-XX을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재부 11 : (이중)저판
11a : 저판 12 : (이중)갑판
12a : 주갑판 13 : 선측외판
14,15,17,50,51 : 격벽 16,16a,16b : 트렁크
18 : 밸브박스 18a,35 : 드롭파이프
19,19a,19b : 화물탱크 20 : 원통관
21 : 플랭지판 22 : 해치
23,23a,23b : 펌프 24 : 제1밸브
25,25a : 밸러스트 탱크 26 : 제2밸브
27 : 통관(well) 28 : 폐기물 탱크
29 : 양정축 30 : 양정 콘베이어
31,55 : 파이프 32 : 열교환기
33 : 개방부 34,39 : 밸브
36 : 해수용 밸브 37 : 호오스 연결부
38 : 분기파이프 40 : 분무노즐
52 : 통로 53 : 상판
54 : 해수함
본 발명은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이중의 저판과 화물탱크를 형성하는 격벽이 제공되어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류등의 액체화물을 수송하는 유조선(tanker vessel)에 관한 것이다.
액체화물을 수송하는데는 두가지 유형의 선박이 사용되어 왔다.
첫번째 유형의 선박으로는 단지 한가지 화물만을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선박이다. 이러한 선박들은 분리된 펌프실에 각각 위치하는 여러개의 액체 화물취급용 펌프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펌프는 액체 화물탱크의 내부의 설치된 흡입 파이프와 연결되어 있다.
두번째 유형의 선박은, 다양한 종류의 액체화물을 동시에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선박이다. 이들 선박에서의 액체 화물취급용 펌프는, 첫번째 유형의 선박에서 처럼 흡입파이프와 연결되는 대신에 각 화물탱크의 선저에 설치된다.
이들 두 유형의 선박들은 가로 및 세로격벽에 의해 몇개의 탱크로 분할된 적재부를 갖추고 있다. 나머지 부수적인 액체화물 취급장치는 선박상의 여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형들의 선박들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번째 유형의 선박은 융통성이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이 유형의 선박은 서로 다른 형태의 액체 화물을 동시에 취급하는데는 사용할 수 없다.
두번째 유형의 선박은 수익성이 낮은 단점을 갖고 있다. 원하는 융통성을 얻기 위해 이들 선박에는 다수의 펌프와 액체화물취급 장치를 갖춰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인 다수의 펌프와 액체화물취급 설비가 필요없이,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서로 분리된 다수의 격실내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벨러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이중의 저판과, 액체화물탱크를 형성하는 격벽을 구비한 유조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중공용 트렁크가 갑판에서저판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파이프를 통해 유조선의 갑판상의액체 화물취급용 파이프와 소통하는 펌프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유조선에 있어서, 트렁크가 적어도 두개의 화물탱크에 의해 경계지어지며, 트렁크의 하단부는 제1밸브수단을 통해서 저판내의 밸러스트 탱크와 서로 소통하는 동시에 제2밸브수단을 통해서 화물탱크와 소통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수의 제1밸브수단은 그 둘레로 배열된 밸러스트 탱크로 직접 개방될 수 있는 반면에, 제2밸브수단은 화물탱크를 형성하는 이중의 저판의 플랜지판 내에서 통관(well)과 서로 소통하고 있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는 또 다른 밸브수단에 의해서 주위 해수와 직접 소통한다.
트렁크는 액체화물과 밸러스트를 취급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펌프수단들을 포함하고 있다. 밸러스트 취급용 펌프수단은 주위해수와 소통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탱크가 각각 앞뒷쪽에 제공된 두쌍의 화물탱크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 화물탱크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격벽들에 의해 한정되며, 각각의 트렁크는 저판내에 제공된 통관을 통해 뒷쪽의 한쌍의 화물 탱크와 소통하고 있으며, 트렁크에서 앞쪽의 한쌍의 화물탱크까지 저판을 따라 연장하는 통로에 의해서 이들 앞쪽의 한쌍의 화물탱크와도 소통하도록 구성된다.
트렁크는 또한, 화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가열된 화물이 다시 화물탱크로 회수되는 분기 파이프를 갖춘 파이프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트렁크는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탱크와, 화물 탱크의 세척액을 취급하기 위한 분기파이프를 갖춘 파이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중의 선측외판을 갖추고 있는 본 발명의 유조선에서, 액체화물탱크는 또 다른 밸러스트탱크를 포함하는 이중의 갑판에 의해 윗쪽으로 경계가 지어진다. 트렁크는 이중의 갑판내의 또 다른 밸러스트 탱크에 연결될 수 있는 분기 파이프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화물탱크는 이중의 선측외판내의 통로에 의해서 저판내의 밸러스트탱크와 소통하고 있다.
펌프와 파이프를 갖춘 트렁크는 일체의 유니트로 만들어져서 갑판내의 개방부를 통해 유조선 안으로 삽입되어 저판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트렁크로 부터 앞쪽 및 뒤쪽 라인까지 방사상으로 뻗친 두개의 격벽과 다수의 트렁크를 갖추고 있는 유조선이 제공되며, 인접한 트렁크로 부터 연장되는 격벽들은 선박의 선측외판에서 만나면서 드롭 파이프를 형성하고 있는 챔버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드롭파이프의 하단부에는 화물탱크와 서로 소통하는 밸브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화물은 액체화물, 예를들면 유류등을 지칭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에만 관련된 것이며, 다른 종류의 화물수송에는 별로 연관이 없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조선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이러한 유조선의 적재부(10)의 기본구획을 나타내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는 이중의 저판(11), 이중의 갑판(12), 이중의 선측외판(13), 그리고 전방 및 후방의 횡방향 격벽(14 및 1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중의 저판(11)은 각각 2개의 저판(11a)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중의 갑판(12)은 상부에 주 갑판(12)을 포함하고 있다. 적재부(10)내에는 유조선의 중심선을 따라서 배열된 4개의 화물용 트렁크(16)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트렁크(16)는 유조선의 한쪽 저판(11a)에서 부터 주 갑판(12a)까지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4개의 화물분할용 격벽(17)이 각각의 트렁크(16)에서 선측외판(13)쪽으로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이들 격벽(17)이 선측외판(13)과 결합되는 곳에는 드롭파이프(drop pipe) (18a)와 관련된 밸브박스(18)가 제공되어 있다(제9도 참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적재부(10)가 각각 13개의 화물탱크(19)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동일한 적재부내에 더 많은 격벽(17)을 설치하여 보다 많은 수의 화물탱크를 만들 수도 있다.
제3도 내지 제8도에서 두가지 실시예에서 확대하여 도시된 트렁크(16)는 조립가능한 하나의 유니트(unit)로 이루어져 있으며, 갑판(12)을 열고 보면 유조선의 내부로 아랫쪽에 설치된 것이다. 이들 트렁크(16)는 용접에 의해서 유조선 내부에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각각의 트렁크(16)는 원통관(20), 상부의 플랜지판(21) 및 해치(hatch) (22)를 포함하고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서, 트렁크(16)의 내부에는 화물용 펌프(23)가 제공되어 있으며, 또한 트렁크(16)의 둘레로 배열된 밸러스트 탱크(25)로 직접 개방될 수 있는 다수의 제1밸브(24) 및 각각의 화물 탱크(19)로 개방되도록 통관(well) (27)내에 설치된 다수의 제2밸브(26)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트렁크(16)에는 폐기물 탱크(28), 양정 콘베이어(30)를 갖춘 수직방향의 양정축(29), 파이프(31), 액체화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32), 및 화물탱크(19)와 밸러스트 탱크(25)에 대한 각각의 개방부(33)가 제공되어 있다.
한편, 제6도 내지 제8도에서는, 화물과 밸러스트를 분리하여 하역하는데 적합한 트렁크의 제2실시예를 나타냈다. 이렇게 화물과 밸러스트를 각각 별도로 하역하기 위해, 트렁크의 하부는 상하로 두개의 트렁크(16a,16b)로 분할되어 있다. 밸러스트 탱크(25)는 다수의 제1밸브(24)를 통해 하부의 밸러스트용 트렁크(16a)와 소통하게 구성되고, 화물탱크(19)는 다수의 제2밸브(26)를 통해 상부의 화물용 트렁크(26b)와 소통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펌프(23a)가 하부트렁크(16a)의 흡입단부에 배치되어서 밸러스트용 물(ballast water)만을 취급하게 된다. 또한, 두개의 펌프(23b)가 상부트렁크(16b)내의 양쪽으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의 트렁크(16b)내에 설치된 이들 펌프(23a,23b)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 화물들이 서로 접촉하여 오염될 염려가 없이 이들 화물을 완벽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환경학적으로 유해한 물질을 배출시키지 않고서도 밸러스트 탱크(25)를 채우거나 비워낼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의 트렁크(16a,16b)는 다른 구성면에서는 전술한 제3도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제9도 및 제10도에는 이중의 선측외판(13)에 배치된 밸브박스(18)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밸브박스(18)에는 세개의 밸브(34)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밸브(34)는 각각 세개의 인접한 화물탱크(19)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소통하게 구성되어 있다. 드롭파이프(18a)는 유조선의 갑판(12)의 상부에서 제12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배관시스템으로 부터 밸브박스(18)를 향해 수직방향 아랫쪽으로 연장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별도의 드롭파이프(35)가 이중의 선측외판(13)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어서 갑판(12)내의 밸러스트 탱크(25)와 저판(11)내의 밸러스트 탱크(25)를 연결시킨다. 저판(11)내의 밸러스트 탱크(25)는 유조선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는 해수용 밸브(36)를 개방시킴으로써 해수로 채워질 수 있다.
트렁크 내의 펌프가 밸러스트 탱크와 소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중의 저판내에서의 복잡한 배관시스템이 필요없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조선은 적재부(10)가 동일한 네개의 설비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각각의 설비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트렁크(16)는 액체화물을 적재, 수송 및 하역하는데 필요한 장비와 부속품들을 갖춘 조립형 유니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갑판상의 호오스 연결구(37)에 의해서 화물을 적재중인 유조선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유조선은 여섯종류의 서로 다른 유형의 액체화물을 동시에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체화물은 배관시스템이 설치된 갑판(12)을 통해서 여러개의 화물탱크(19)로 분배되는데, 갑판(12)상에 설치된 배관시스템이 다수의 분기파이프(38)와 밸브(39)를 통해서 각각의 트렁크(16) 및 밸브박스(18)에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의 화물탱크(19)에서 독자적으로 적재 또는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호오스 연결부(37)를 통해서 공급된 액체화물은 밸브(39)와 분기파이프(38)에 의해서 여섯개의 드롭파이프(18a)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며, 그리고 나서 액체 화물은 밸브박스(18)를 통해서 인접한 세개의 화물탱크(19)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향하여 운반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방향의 격벽(14,15)에 인접한 화물탱크(19)는 각각의 관련된 화물용 트렁크(16)를 통해서 화물을 수용하게 된다.
제14도 내지 제16도는 액체화물이 트렁크(16)에 배치된 호오스 연결부(37)까지 펌프되도록 하역중인 유조선을 도시한 것이다. 화물은 필요에 따라서 일부의 화물탱크 또는 모든 화물탱크의 각각의 제2밸브(26) (제9도 참조)를 개방시킴으로써 화물탱크(19)로 부터 하역될 수 있다.
원유와 같은 액체화물은 수송중에 유체상태로 유지되도록 가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열은, 화물을 펌프질하여 열교환기(32) (제3도, 제6도 및 제9도 참조)를 통과시킨 후에, 가열된 화물을 드롭파이프(18a) 및 이와 관련된 밸브박스(18)를 통해서 화물탱크(19)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열교환기(32)는 전기로 가열시키거나 또는 유조선의 엔진실에서 발생된 증기로 가열시킨다.
화물을 하역한 다음에는 일반적으로 화물탱크(19)를 세척하는데, 이러한 세척은 잔류하는 액체화물을 펌프질하여 트렁크(16)를 통해서 각각의 화물탱크(19)에 배치된 분무노즐(40)까지 유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그러고 나서, 해수와 같은 세척수로 화물탱크를 헹군다. 마지막으로, 물과 원유의 온합물이 트렁크(16)내의 폐기물 탱크(28)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분리된다.
밸러스트 탱크를 채우려면, 선박의 양측면에 위치한 해수용 밸브(36)를 개방시키면 된다. 이때 해수용 밸브(36)가 트렁크(16)와 주위 해수를 연결시킨다. 트렁크(16)내의 펌프(23)와 다수의 제1밸브(24)에 의해서, 물이 저판(11)내의 밸러스트 탱크(25)와 갑판(12)의 밸러스트 탱크(25a) 사이로 필요한 만큼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조선은 원유나 여러가지 형태의 석유화학제품 또는 화학제품과 같이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유형의 액체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물을 유조선에 적재하기 위한 설비가 유조선으로 부터 이러한 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설비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 및 하역작업을 서로 다른 화물탱크(19)에서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역작업이 끝나면 즉시 또다른 형태의 화물을 빈 화물탱크에 채워 넣을 수 있다.
유조선에 화물이 적재됨과 동시에 트렁크(16)를 통해서 밸러스트 탱크를 비워 버리고 유조선을 물속에서 평행상태로 유지시킨다. 밸러스트 탱크의 처리는 화물과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다. 폐기물 탱크(28)는 트렁크(16)내에 위치하는데, 이는 종래의 유조선에서 필요했던 배관시스템에 비해서 본 발명의 유조선의 갑판상에서 배관시스템을 보다 짧게 구성할 수 있는 이유이다. 또한 트렁크(16)내의 펌프(23)는 화물을 가열시키고 순환시키며, 화물탱크를 세척하고 밸러스트를 처리하는데 모두 사용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또한 긴 파이프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본 발명의 유조선은 종래의 유조선에 비해서 상당히 적은 수의 펌프로서 작업이 가능하며, 여러가지 서로 다른 유형의 화물을 동시에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조선의 화물탱크(19)는 어떠한 내부배관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화물탱크(19)의 내부가 매끄럽고 세척이 용이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화물과 밸러스트를 취급하기 위한 설비의 주요부분은, 완전히 적재된 화물탱크(19)를 갖춘 트렁크(16)내에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접근이 가능하다. 더우기, 화물취급 설비의 이러한 집중으로 인해서 펌프와 밸브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제어시스템의 설계가 간단해 진다.
제17도 내지 제20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조선을 약간 변형하여 설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조선의 주 갑판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제17도에서 트렁크(16a)는 장방형 단면을 갖추고 있어서 선박의 내부구조에 보다 간단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유조선의 선체는 이중의 저판 및 선측외판을 갖춘 제1도의 실시예와 그 기본설계가 동일하다. 그러나, 화물탱크(19)는 세로방향의 중앙 격벽(50)과 이 중앙 격벽에 수직으로 배열된 횡방향 격벽(51)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트렁크(16a)는 4개의 화물탱크(19a,19b)에 연결되어 있다. 하역작업의 최종단계중에 오일이 흡입구쪽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역할때 주의하여 유조선을 선미트림이 되도록 한다.
제17도 내지 제20도의 실시예에서는, 트렁크(16a)가 뒷쪽에 위치한 한쌍의 화물탱크(19a) 내에 설치되어서 통관(27)을 통해 직접 이들 화물탱크(19a)와 서로 소통한다. 앞쪽에 위치한 한쌍의 화물탱크(19b)는 저판의 상판(53) (제18도 참조) 아랫쪽으로 바람직하게 위치한 통로(52)에 의해서 관련된 트렁크와 소통하게 된다.
밸러스트 탱크(25)의 크기는 저판의 높이에 따라서 정해지며,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의 격벽(50)의 각 측면에 대해 화물탱크(19a 및 19b) 아래로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25)가 제공되어 있다.
트렁크(16a)의 하부에는 밸러스트용 펌프(23a)가 있고, 이 펌프(23a)는 트렁크 주변에 위치한 해수함(54)과 소통한다. 또한, 펌프(23a)는 짧은 파이프(55) 및 흡입 박스(56)를 통해서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25)와도 소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는 단지 두개의 밸러스트 탱크(25)가 트렁크(16a)에 의해 지지된 4개의 화물탱크(19a,19b)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밸러스트용 펌프(23a)상에는 두개의 화물용 펌프(23b) 및 인접한 화물탱크(19a)에 대한 연결부(57)가 제공되어 있고, 통관(27)이 상판(53)내에 배열되어 있다. 통로(52)는 화물탱크(19b)쪽으로 전방으로 뻗어있다(제18도 내지 제20도에는 도시안됨).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여러가지 연결부와 밸브수단이 통상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렁크내의 수직방향 파이프(31)는 갑판상에 제공된 화물용 분기 파이프(38)에 연결된다.
제18도 내지 제20도는 제17도의 트렁크(16a)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제1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주요부분은 여러가지 처리작업을 위한 가열수단, 폐기물 탱크 및 분기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밸러스트 탱크(25)를 포함하는 이중의 저판(11)과, 화물탱크(19)를 형성하는 격벽(17)과, 갑판(12)으로 부터 상기 저판(11)까지 수직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렁크(16)와, 그리고 파이프(31)를 통해 상기 갑판(12)상의 분기파이프(38)와 소통하는 펌프(23)를 포함하고 있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6)가 적어도 두개의 상기 화물탱크(19)에 의해서 경계가 지어지며, 상기 트렁크(16)의 하단부가 다수의 제1밸브(24)를 통해서 상기 저판(11)내에 제공된 상기 밸러스트 탱크(25)와 서로 소통하는 동시에 다수의 제2밸브(26)를 통해서 상기 화물탱크(19)와 서로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밸브(24)가 그 둘레로 배열된 상기 밸러스트 탱크(25)로 직접 개방되며, 상기 다수의 제2밸브(26)는 상기 화물탱크(19)를 형성하는 상기 저판(11)의 플랜지판(21)내에서 통관(27)과 서로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25)가 해수용 밸브(36)에 의해서 해수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6)가 밸러스트 및 화물을 취급하는 각각의 별도의 펌프(23a,23b)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5. 제4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를 취급하는 상기 펌프(23a)가 해수함(54)과 서로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탱크(19)가 유조선의 양측으로 마주하며 각각 쌍의 이루고 있는 두쌍의 화물탱크(19a,19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화물탱크(19a,19b)가 각각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격벽(50,51)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트렁크(16)가 상기 저판(11)의 내부에 제공된 통관(27)을 통해서 뒷쪽의 상기 한쌍의 화물탱크(19a)와 소통하는 동시에 상기 저판을 따라서 상기 트렁크로 부터 앞쪽으로 연장하는 통로(52)에 의해서 앞쪽의 상기 한쌍의 화물탱크(19b)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화물 수송용 유조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6)가 화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파이프(31)가 가열된 화물을 각각의 상기 화물탱크(19)로 회수시키기 위한 분기파이프(3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6)가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탱크(28)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파이프(31)가 상기 화물탱크(19)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을 취급하는 분기파이프(3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9. 제1항에 있어서, 이중의 선측외판(1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화물탱크(19)의 상부가 상기 갑판(12)에 의해서 경계를 이루고 있고, 상기 갑판(12)이 또 다른 밸러스트 탱크(25a)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16)내의 파이프(31)가 상기 갑판(12)내의 상기 또 다른 밸러스트 탱크(25a)에 연결되는 분기파이프(38)를 포함하며, 상기 또 다른 밸러스트 탱크(25a)는 상기 선측외판(13)내에 제공된 드롭파이프(35)를 통해서 상기 저판(11)내의 상기 밸러스트 탱크(25)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3) 및 파이프(31)를 갖춘 상기 트렁크(16)가 일체의 유니트로서 만들어져서, 상기 갑판(12)의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유조선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저판(1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1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트렁크(16) 및 2개의 격벽(17)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2개의 격벽(17)이 유조선의 선측외판(13)에서 인접한 각각의 상기 트렁크(16)의 그 양측면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뻗어 있고, 드롭파이프(18a)를 형성하는 챔버와 상기 격벽(17)이 상기 선측외판(13)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롭파이프(18a)의 하단부는 상기 화물탱크(19)와 서로 소통하는 밸브(34)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KR1019850004122A 1984-06-20 1985-06-12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KR940002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403311-7 1984-06-20
SE8403311A SE8403311L (sv) 1984-06-20 1984-06-20 Tankfarty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185A KR860000185A (ko) 1986-01-27
KR940002944B1 true KR940002944B1 (ko) 1994-04-09

Family

ID=2035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122A KR940002944B1 (ko) 1984-06-20 1985-06-12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H0653514B2 (ko)
KR (1) KR940002944B1 (ko)
SE (1) SE8403311L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3796A (ko) * 2010-10-27 2012-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CN110431071A (zh) * 2017-04-13 2019-11-08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8580B2 (ja) * 2017-07-10 2019-09-25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3796A (ko) * 2010-10-27 2012-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CN110431071A (zh) * 2017-04-13 2019-11-08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403311L (sv) 1985-12-21
JPH0653514B2 (ja) 1994-07-20
SE8403311D0 (sv) 1984-06-20
KR860000185A (ko) 1986-01-27
JPH0653515B2 (ja) 1994-07-20
JPS6112492A (ja) 1986-01-20
JPS619389A (ja) 198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939B1 (ko) 튜브를 이용한 자동 밸러스트 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US3209715A (en) Bilge, ballasting, deballasting and cargo oil pumping system
KR20030019063A (ko) 석유 및 청수 탱커의 선체 구조
US3399645A (en) Tanker construction
US4389959A (en) Cargo handling system for tanker vessels
KR940002944B1 (ko) 액체화물 수송용 유조선
CN115476957A (zh) 一种污液舱及带有污液舱的液货船
US4233922A (en) Fluid transfer system for tanker vessels
JP2008179327A (ja) 液体貨物輸送船の貨物倉構造
KR100971895B1 (ko) 해양 선박 및 해양 선박용 가스 팽창 트렁크
EP1030804A1 (en) Ballasting of semi-submersible rig
US2120286A (en) Barge
JP6992942B2 (ja) ばら積み貨物船
US3016866A (en) Buoyant pressure vessels for gases
US3255724A (en) Combination dry bulk and bulk oil carriers
JP2001018885A (ja) 船舶のバラスト水置換装置
US97787A (en) Improvement in ships or vessels for carrying liquid cargo
WO1997031817A1 (en) Semi-submersible vessels
JP2007276622A (ja) 貨物船のバラストタンク注排水装置および貨物タンククリーニング装置
CN116729545B (zh) 一种原油船的储油系统
CN219884040U (zh) 一种化学品船液货舱间缓冲间结构
KR900002221Y1 (ko) 선체구조
JP2001180576A (ja) ケミカル船
JPH08119189A (ja) オイルタンカーの船体構造
CN117163215A (zh) 一种大型集装箱船甲醇舱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