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14B1 - 영상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14B1
KR940002614B1 KR1019910010438A KR910010438A KR940002614B1 KR 940002614 B1 KR940002614 B1 KR 940002614B1 KR 1019910010438 A KR1019910010438 A KR 1019910010438A KR 910010438 A KR910010438 A KR 910010438A KR 940002614 B1 KR940002614 B1 KR 940002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m
difference
time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982A (ko
Inventor
가즈따까 나까
다까시 후루하따
히로아끼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0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and simultaneously, e.g. corresponding to SECAM-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도시한 합차라인 순차회로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의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시간축 변환회로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의 블럭도를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차신호의 레벨 변환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합차라인 순차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2차원 필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3도는 제12도의 블럭도를 설명하는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한 노이즈 제거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노이즈 검출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기록 또는 전송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의 영상신호 기록 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 비젼등의 고해상도 및 고정밀도한 영상신호는 종래의 NTSC신호, PAL 신호 또는 SECAM 신호의 대역보다 약 5배나 큰 광대역을 가지므로, 그러한 고해상도, 고정밀도한 영상신호는 종래의 NTSC신호, PAL 신호 또는 SECAM 신호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필요한 양보다 약 5배나 많은 비디오 테이프의 소비량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하이 비젼 신호를 처리장치에 따르면, 테이프 헤드 시스템은 기록밀도가 증가되도록 개선되고, 영상신호는 기록 영상신호의 라인의 수를 줄이거나 또는 조밀하지 않게 하여 저감된 대역상에 기록된다. 상술한 형식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예는 JP-A-1-228282 및 JP-A-1-228283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영상신호의 수평 주사선의 원래의 수의 약 반으로 수평 주사선의 수를 줄여서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때문에 재생 영상신호의 수직 해상도가 매우 저하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제거하여 재생 영상신호의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거의 저하시키는 일 없이 기록신호의 대역을 저감할 수 있고, 영상신호의 질을 저하 시키는 일없이 고해상도, 고정밀도한 영상신호의 정시간 기록 및 재생을 달성할 수 있는 영상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1개념에 따르면, 영상신호의 1필드내 또는 필드 사이 또는 프레임 사이의 2차원 대해서 또는 3차원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라인 신호에 대해서 합신호 및 차신호가 각각 연산된다. 차신호의 전송대역이 합신호의 전송대역에 대해 저감되도록, 시간축을 변환시키는 것에 의해 영상신호가 기록된다.
또한, 상기 2라인의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에 부가해서 상기 2라인의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각각을 전송하는 최고 주파수에 따라서 영상신호는 시간축 변환되고, 시분할 다중된다.
또한, 상술한 시간축 변환에 의해서 입력 영상신호의 1필드마다 존재하는 리던던트 수직 블랭킹 시간, 또는 입력 영상신호의 1필드마다 존재하는 수평 블랭킹 기간이 저감되고, 필요에 따라서 영상신호는 임의의 기간에 리던던트 시간을 갖도록 시간축 상에 시프트된다.
그의 진폭이 작을때 상술한 차신호의 이득을 증가시키고, 또한 그의 진폭이 클때 차 신호의 이득을 저감하여 영상신호를 기록 또는 전송시킨다.
또, 합신호 및 차신호에 의해 재생되는 2라인의 라인 블럭과 다음의 합신호 및 다음의 차신호에 의해 재생하는 2라인의 라인 블럭 사이에서 일어나는 신호의 불연속을 방지하기 위해, 2차원 필터처리가 2개의 상호 인접하는 라인 블럭사이에서 실행된다.
휘도신호의 대역보다 좁은 대역에서 전송된 색신호상에 중첩되는 노이즈는 저주파수에 분포해서 화질 저하의 주요 요인으로 된다. 그러므로, 색신호의 S/N 비특성 저하를 저감하기 위해, 노이즈 제거회로를 재생된 라인 순차 색신호에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신호는 합신호 및 차신호로 변환되고, 차신호의 전송대역은 신호를 기록 및 전송하기 위해 저감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시각특성 및 일반 화면 화상의 성질에 의한 화질의 저하가 거의 없이 기록 또는 전송신호의 대역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회전 2헤드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1도에서, (1)은 기록해야할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입력단자, (2)는 단자(1)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의 1필드내, 필드 사이에 또는 프레임 사이에서 상호 인접하는 2라인 사이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연산하고, 라인순차로 연산의 결과를 출력하는 합차(Sum and Difference)라인 순차회로이다. (3)은 라인 순차된 합신호및 차신호의 시간축을 변환하는 시간축 변환회로, (4)는 시간축 변환된 기록 합차신호를 테이프 헤드시스템의 기록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예를 들면, FM변조)하는 변조기, (5a) 및 (5b)는 변조된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 회전 자기 헤드, (6)은 자기 테이프이다. (7a) 및 (7b)는 자기 테이프(6)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회전 자기 헤드, (8)은 재생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9)는 복조된 재생 합차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1 : 1의 비율로 시간축으로 역변환하는 시간축 역변환회로, (10)은 시간축 변환된 합신호 및 차신호를 원래의 영상신호의 형태로 연산해서 재생 영상신호로써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합차 복호회로, (11)은 재생 영상신호의 출력단자이다.
상기 2개의 회전 자기 헤드(5a) 및 (5b) (또는 (7a) 및 (7b))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체에 서로 180도의 각도로 마련된다. 자기 테이프(6)이 180도 보다 조금 큰 각도록 이 회전체에 감겨져 있으므로, 2개의 회전 자기 헤드(5a) 및 (5b) (또는 (7a) 및 (7b))는 동시에 이 자기 테이프(6)과 접촉하여 같은 신호가 기록된다. 따라서, 소위 오버랩부가 형성된다.
다음에, 필드내에서 상호 인접하는 2개의 라인의 신호가 변환되는 경우에 대한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파형도에 따라 설명한다. 영상신호가 단자(1)에 인가될때, 합차라인 순차회로(2)는 필드내에서 서로 상호 인접하는 2라인 사이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연산하고, 이들 양자를 라인 순차화한다.
제2a도는 입력 영상신호의 파형도로, L2n-1은 (2ㆍn-1)번째의 라인신호, L2n은 2ㆍn번째의 라인신호이다. 필드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라인신호 L2n-1 및 L2n에 대해서, 합차리인 순차회로(2)는 식(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신호 LAn및 차신호 LSn을 연산한다.
LAn=(L2-1+L2)/2 …………………………………………………………(1)
LSn=(L2-1-L2n)/2 …………………………………………………………(2)
합차라인 순차회로(2)는 그후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신호 및 차신호가 교대로 나타나도록, 라인순차로 연산결과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L1,L2,L3,L4……의 순서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 합차라인 순차회로(2)는 식(3)~(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합신호 LAn및 차신호 LSn을 연산하고, LA1,LS1,LA2,LS2……의 순서로 출력한다.
LA1=(L1+L2)/2 ………………………………………………………………(3)
LS1=(L1+L2)/2 ………………………………………………………………(4)
LA2=(L3+L4)/2 ………………………………………………………………(5)
LS2=(L3+L4)/2 ………………………………………………………………(6)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축 변환회로(3)은 제2b도에 도시한 합차라인 순차회로(2)에 의해 라인의 순서로 순차화된 합신호 및 차신호를 변환해서, 합신호 LAn이 합신호 LAn의 1H수평주사 기간을 P(P>1)배로 시간축 신장한 결과인 신호 LAn'로 변화되고, 차신호 LSn이 차신호 LSn의 1H 수평주사 기간을 1/Q(Q>1)로 시간축 압축한 결과인 LSn'로 차신호 변환된다. 그후 시간축 변환회로(3)은 이들 신호를 시분할 다중해서 합신호 LAn', 차신호 LSn'를 출력한다.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간축 변환회로(3)에 의해 시간축 변환된 신호는 변조기(4)에 의해 주파수 변조등으로 변조된후, 기록 헤드(5)를 거쳐서 테이프(6)에 기록된다. 재생시에는 재생 헤드(7)에 의해 테이프(6)으로부터 재생된 신호가 복조기(8)에 의해 복조되고,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와 같이 합신호 LAn은 시간축 신장되고, 차신호 LSn은 1/Q 시간축 압축되어 시분할 다중된 신호가 얻어진다. 복조기(8)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해서, 시간축 역변환 회로(9)는 합신호 LA'를 1/P로 시간축 압축하고, 차신호 LSn'를 Q배 시간축 신장해서,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신호 LAn및 차신호 LSn이 1H수평주사 기간에서 교대로 나타나는 합차라인 순차상태로 이들 신호가 역변환된다. 시간축 역변환회로(9)에 의해 시간축 역변환된 결과인 합신호 LAn및 차신호 LSn의 라인 순차화된 신호는 합차 복호회로(10)에 의해 식(7) 및 (8)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합신호 LAn및 차신호 LSn을 가산및 감산해서 원래 영상신호의 2개의 상호 인접하는 라인의 신호 라인의 신호 L2n-1및 L2n을 얻기위해 연산되고, L2n-1및 L2n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라인을 출력하므로, 원래의 영상신호와 마찬가지인 상태로 재생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LAn+LSn=(L2n-1+L2n)/2+(L2-1-L2n)/2=L2n-1……………………(7)
LAn+LSn=(L2n-1+L2n)/2+(L2n-1-L2n)/2=L2n……………………(8)
상기 합신호 LAn은 영상신호의 인접하는 2라인의 평균값이다. 이 신호만 전송될 때, 영상의 수직 라인등의 수직 상관이 강한 신호성분은 재생될 수 있지만, 가는 옆 라인등의 수직 상관이 약한 신호성분은 전송될 수 없다. 한편, 차신호 LSn은 영상신호의 인접하는 2라인의 차분값으로, 수직 상관이 약한 신호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합신호 LAn및 차신호 LSn가 저하하는 일 없이 완전히 전송되지 않으면 원래의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없다. 그러나, 인간의 시각특성에서 일반 영상신호의 화질의 열화는 수직 상관이 강한 신호성분 및 수평상관이 강한 신호성분이 만족스럽게 재생되는한 인간의 눈으로 거의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직상관이 강한 신호성분을 갖는 합신호 LAn및 수직 상관이 약한 신호성분을 갖는 차신호 LSn으로부터 수평 상관이 강한 신호성분에 대응하는 저주파성분만을 전송해서 전송해서 화질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원래의 영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b 및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신호 LAn은 P배 시간축 신장되고, 차신호 LSn은 1/Q로 시간축 압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이유에 의해서, 원래의 영상신호의 최고 주파수가 WB일때,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합신호 LAn을 기록 및 재생하도록 적어도 WR=WB/P의 기록 영상신호의 대역을 갖는 것은 충분한다. 그러므로, 변조기에서 테이프 헤드 시스템을 구비하는 복조기까지의 기록 전송 대역을 1/P로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1.33, Q=1/(2-P)=1.5 이고, 영상신호의 최고 주파수 WB=20㎒일 때, 식(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한 기록전송 대역 WR를 약 15㎒로 저감할 수 있다.
WR=20/1.33=1.5[㎒] …………………………………………(9)
이 경우에, 차신호 LSn은 1/Q로 시간축 압축된 후에 WB/P의 대역을 갖도록 제한된다. 그러므로, 전송 가능한 신호의 최고 주파수는 WB/(PㆍQ)로 제한된다. 상기 예에서, 차신호 LSn의 대역은 합신호 LAn의 대역의 약 반으로 제한된다. 상기 처리가 실행되더라도, 영상의 수직 상관이 강한 신호성분 및 수평 상관이 강한 신호성분은 저하되지 않고, 시각특성상 눈으로 쉽게 인식 못하는 비스듬한 방향의 해상도만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화질의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원래의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처리에 의해, 수평 및 수직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기록 영상신호의 대역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 헤드 시스템의 개선에 의한 고밀도 기록 기능에 따라서 상기 장점의 잇점을 취하는 것에 의해 고정밀, 고품위의 영상신호를 소형의 카세트에 장시간에 걸쳐서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이하, 제1도의 합차리인 순차회로(2)의 상세한 실시예를 제3도의 블럭도 및 제4도의 동작 파형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3도에서, (200)은 신호의 합차를 라인 순차화하는 영상신호의 입력단자, (201)은 라인을 교대로 순차화해서 라인마다 합신호 및 차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202)는 입력단자(200)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와 1H지연된 입력 영상신호를 가산하는 가산회로이다. (203)은 단자(200)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1수평주사 기간 지연하는 1H지연회로, (204)는 1H지연회로(203)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서 입력단자(200)으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감산하는 감산회로, (205)는 감산회로(204)로부터의 출력을 1수평 주사 기간 지연하는 1H지연회로, (206)은 1H지연회로(205)로부터의 출력과 가산회로(202)로 부터의 출력을 라인마다 교대로 전환해서 단자(201)로 출력하는 전환회로이다.
제4a도는 단자(200)에 입력될 영상신호 V1의 파형도로써, L1,L2,L3,……은 순차로 입력될 영상신호의 라인이다.
입력단자(200)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 VI는 1H지연회로(203)에 의해 1수평 주사 기간 지연된다. 제4b도는 1H지연회로(203)의 출력 DVI를 도시한 것으로, 이 도면에서 제4a도에 도시한 입력 영상신호 VI와 1H지연회로(203)으로부터의 출력 DVI를 함께 가산해서, 제4c도에 도시한 출력 파형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감산회로(204)는 제4b도의 1H지연회로(203)으로부터의 출력 DVI에서 제4a도의 입력 영상신호 VI를 감산해서, 제4d도의 출력 파형이 얻어진다. 가산회로(202)및 감산회로(204)는 각 출력신호의 최대 진폭(최소값에서 최대값까지)이 각 입력신호의 최대 진폭과 같아지도록 신호에 계수 1/2을 각각 곱한다. 감산회로(204)는 감산의 결과가 부의 값일 경우에 출력신호가 혹 레벨이하로 되지않도록 최대 진폭의 1/2의 DC 오프세트를 인가한다. 따라서, 입력 영상 신호를 VI, 1H지연된 영상신호를 DbI, 입력 영상신호의 동기 신호를 제외한 영상신호부의 최대 진폭값을 Vmax로 한 경우에, 가산회로(202)의 출력 VAD와 감산회로(204)의 출력 VSB는 식(10)과 (11)로 주어진다.
VAD=(DSB+VI) …………………………………………(10)
VSB=(DVI+VI)+Vmax…………………………………………(11)
제4d도에 도시한 감산회로(204)의 출력 VSB는 1H지연회로(205)에 의해 1수평 주사 기간 지연되어, 제4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얻어진다. 전환회로(206)은 제4c도에 도시한 가산회로(202)로부터의 출력 VAD와 제4e도에 도시한 1H지연히로(205)로부터의 출력 DVSB를 1수평 주사 기간마다 전환해서, 합신호 VAD및 차신호 VSB의 라인 순차 신호인 신호가 제4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단자(201)에서 얻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1H지연회로(203) 및 (205)는 글라스 지연 라인 또는 전하 결합 소자(CCD)에 의해 쉽게 실현된다. 이 실시예의 회로가 디지탈 회로로 실현될 때, 라인 메모리에 상술한 1H지연회로(202) 및 (250)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소규모로 1수평 수사 기간의 지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산회로(202), 감산회로(204) 및 전환회로(206)은 논리회로로 쉽게 실현될 수 있으므로, 회로를 콤팩트하고 저가의 소자를 갖도록 직적회로로 형성할 수 있다. 합차라인 순차회로(2)가 디지탈 회로로 구성될때, 단자(1)로부터의 입력 영상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A/D변환회로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얻어진 디지탈 신호는 단자 (200)에 공급된다.
이상은 입력 영상신호로부터 합신호 및 차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블럭도인 제1도에 도시한 제1도의 합차라인 순차회로(2)의 구체적 구성예였다. 합신호 및 차신호로부터 원래의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기능블럭인 제1도의 합차 복호회로(10)은 제3도의 것과 마찬가지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3도에서, 입력단자(200)은 시간축 역변환 회로(9)로부터 재생된 합차라인 순차신호의 입력단자로 되고, 출력단자(201)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진 재생 영상신호의 출력단자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세트는 차신호가 부의 값을 취할때에도 출력신호가 혹레벨 또는 더 낮은 레벨로 되지 않도록 인가된다. 그러므로, 합차 라인 순차신호를 VI, 상기 신호 VI를 1H지연회로(203)에 의해 1수평 라인 지연해서 얻은 신호를 DVI,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제외한 최대 진폭을 Vmax로 할때, 가산회로(202)의 출력 VAD와 감산회로(204)의 출력 VSB는 다음의 식(12)와 (13)으로 주어진다.
VAD=DVI+VI-Vmax…………………………………………(12)
VSB=DVI-VI-Vmax…………………………………………(13)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처리의 계수 및 오프세트값을 바꿔서 같은 회로로 입력 영상신호의 합차라인 순차화 및 재생신호의 합차복호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회로가 두개의 동작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회로 규모가 저감 된다는 경제적 효과도 있다.
다음에 제1도의 시간축 변환회로(3)의 상세한 예를 제5도의 블럭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5도는 디지탈 회로로 실현될 시간축 변환회로(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상술한 합차라인 순차회로(2)도 디지탈 회로로 구성되고, 회로(2)에의해 라인 순차화된 영상신호는 디지탈 신호의 형태로 시간축 변환회로(3)로 공급한다. 제5도에서, (300)은 합차라인 순차회로(2)로부터 주어진 합신호 및 차신호의 라인 순차화 결과인 연상신호에 대한 입력단자, (301)은 시간축 변환된 영상신호에 대한 출력단자이다. (302)는 선입선출(FIFO)메모리, (303)은 FIFO메모리(302)에 대한 라이트 제어 회로, (304)는 FIFO 메모리(302)에 대한 리드제어 회로이다. 단자(301)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D/A변환회로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변조기(4)에 인가된다. 단자(300)으로 입력된 합신호 및 차신호의 라인 순차화된 신호인 영상신호는 FIFO메모리(302)에 입력된다. 이 경우에, 라이트 제어 회로(303)은 합신호가 단자(300)에 입력되는 기간동안 모든 샘플이 데이타로써 FIFO메모리에 라이트되도록 제어한다 차신호가 단자(300)에 입력되는 기간동안, 샘플은 2샘플당 1샘플의 비율로 저감되고, 이것은 데이타로써 FIFO메모리(302)에 라이트된다. 한편, 리드측에서, 데이타는 리드제어 회로(304)에 의해 FIFO메모리로부터 소정의 사이클로 순차적으로 리드되고, 시간축 변환된 영상신호로의 샘플로써 단자(301)로 출력된다.
예를 들면, 1수평 주사기간을 1440샘플로 샘플링하는 시스템의 경우에, 합신호는 모든 1440샘플을 데이타로써 라이트하는 것에 의해 FIFO메모리(302)에 라이트되고, 차신호는 2샘플마다 1샘플의 비율로 샘플을 저감한 후의 샘플의 전체수의 반인 720샘플을 데이타로써 라이트하는 것에 의해 라이트된다. 따라서, 라이트측에서, 2160샘플의 데이타 즉, 1440+720=2160샘플은 라인 순차화된 합신호및 차신호의 2수평 주사 기간동안 라이트된다. 한편, FIFO메모리의 리드측에서, 데이타는 2수평 주사기간 동안 2160샘플의 비율로 소정의 사이클에서 순차적으로 리드되고, 그 데이타는 시간축 변환된 영상신호의 샘플로써 출력단자(301)로 출력된다. 상기 처리의 결과로써, 합신호는 1.33배(즉, 1440×2/2160=1.33)로 시간축 확장되고, 차신호는 1/1.5(즉, 720×2/2160=1/1.5)로 시간축 압축된다. 이 실시예에서, 합신호 및 차신호를 1조로써 가정한 2수평 기간동안 각각 FIFO메모리(302)로부터 리드되는 데이타수와 라이트되는 데이타 수는 같다. 따라서, FIFO메모리(302)의 용량에 대해서 2수평 주사기간(즉, 2160샘플)에 리드 및 라이트되는 데티아 수를 갖는 것이 충분하다. 차신호의 샘플 수를 1/2로 저감하는 처리는 샘플링 주파수를 1/2로 저감하는 것과 같다. 저감처리로 인한 에이리어징(aliasing)에 기인하는 왜곡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저역 통과특성의 대역 제어처리를 도시하지 않은 프리 필터처리 회로에 의해 상술한 차신호에 대해 미리 실행되고, 그의 출력을 메모리(302)로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상술한 처리에 의해서, 합신호의 시간축은 1.33배 신장되고, 차신호의 시간축은 1/1.5로 압축되어 전체의 전송 신호 대역은 1/1.33으로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실시에에서는 차신호가 1/2로 저감 되었지만, 차신호는 1/3 또는 1/4로 저감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재생될 화상의 화질은 차신호의 전송 대역의 저감에 의해 약간 저하되지만, 기록 신호의 대역은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신호의 샘플을 FIFO메모리에 라이트할 때에 저감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 대신에, 라이트 시에 차신호의 모든 샘플을 라이트하고, 리드시에 샘플을 저감하여도 좋다. 샘플을 저감하는 것 대신에, 합신호가 리드될때 라이트 사이클보다 느린 사이클에서 데이타를 리드하는 것에 의해 차신호가 리드될 때 라이트 사이클보다 빠른 사이클에서 데이타를 리드하는 것에 의해 시간축의 신장 및 압축을 실행해도 좋다. 또한, 합차라인 순차회로(2)에 의해 주어진 합신호 및 차신호를 아니 순차화한 결과인 영상신호에 대해, 합신호를 샘플하는 사이클 보다 늦은 차신호를 샘플하는 사이클을 갖는 것도 좋다. 상기 처리에 의해 얻은 차신호의 샘플 값은 합신호의 사이클과 같은 사이클에서 샘플링한 후 1/N(여기서 N은 N≥2의 정수)으로 저감해서 얻은 샘플값과 같다. 샘플의 저감비율을 1/2, 1/3. 1/4, /…등의 정수비율로 제한하지 않고 어떠한 임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은 제1도에 도시한 시간축 변환회로(3)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지만, 제1도으 시간축 역변환회로(9)도 제5도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5도의 입력단자(300)에는 각각 시간축 신장 및 시간축 압축된 복조회로(8)로부터 입력된 차신호 및 합신호의 재생신호가 입력된다. 출력단자(301)로부터는 FIFO메모리(302)에 의해 1수평 주사 기간마다 합신호 및 차신호가 교대로 시간축 변환되어 출력된다. 시간축의 신장 및 압축처리는 시간축 변환회로(3)에 의해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도시하지 않은 화소 보간 회로에 의해, 기록 시의 상술한 처리에 의해 저감된 차신호의 샘플 화소는 그들이 출력되지 전에 필요에 따라서 인접하는 또는 주변의 화소에 의해 보간된다.
시간축 변동이 복조기(8)에 의해 복조되는 재생신호에 포함될때, 시간축 변동을 제거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시간축 보정회로가 제1도의 시간축 역변회로(9)와 복조기(8)사이에 삽입되어도 좋다 재생신호의 시간축 흔들림에 추종해서, 라이트 제어회로(303)에 있어서 시간축 역변환회로에 사용될 FIFO메모리의 라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시간축 보정회로의 상술한 기능을 갖는 시간축 역변환 회로를 또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시간축 보정 및 시간축 변환이 하나의 FIFO메모리에 의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규모가 저감된다는 경제적 효과도 있다.
이상은 시간축 신장된 합신호 및 시간축 압축된 치신호가 2H(2수평 주사 기간)시간내에 다중되는 실시예를 설명했다. 다중하는 이 시간을 2수평 주사 기간보다 길게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의 실시예에 따른 파형도를 제6도에 도시한다. 제6a도는 필드비율로 나타낸 입력 영상신호의 파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필드내의 수직 블랭킹기간(V-BLK)에 대응하는 리던던트 기간이 있다. 이 리던던트 기간을 각 라인에 분포시킬 수 있으므로, 각 1라인에 대해 2수평 주사 기간보다 긴 시간을 갖을 수 잇다.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를 1필드당 다수의 세그먼트 블럭(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세그먼트 블럭)으로 분할할 수 있고, 분할된 각각의 세그먼트 블럭 사이에서 소정의 리던던트 기간 τ를 갖는 기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세그먼트 블랙내의 각 라인의 파형도가 제6d및 제6e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e도는 시간축 신장된 합신호(L1+L2)와 시간축 압축된 차신호(L1-L2)가 2H(2수평 주사 기간)보다 긴 기간(2H+h)으로 시분할 다중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합신호의 시간축 신장의 비율을 제2도에 되시한 실시예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차신호의 시간축 압축의 비율을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것보다 적게 할 수 있어서, 재생신호의 대역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라이트 제어회로(303)은 상기 리던던트 수직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영상신호만이 시간축변환에 사용되는 FIFO메모리(302)에 라이트되도록 제어한다. 영상신호를 2이상의 세그먼트 예를 들면, 3세그먼트로 분할해서 기록하는 경우에, 제6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 블럭 단위로 영상신호의 유효기간을 시간축 시프트해서, 분할된 세그먼트 블럭사이에 리던던트 기간 τ를 마련해서 신호를 기록해도 좋다.
이 경우에,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리드 제어회로(304)는 신호가 상술한 FIFO메모리(302)로부터 각 세그먼트 블럭 단위로 리드되고 메모리로부터의 리드가 각 세그먼트 블럭 단위의 리드의 각 끝에서 소정의 기간(τ)에 대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제어해서, 상술한 리던던트 기간 τ가 형성된다.
이 리던던트 기간 τ는 재생시에 세그먼트 블럭 사이에서 헤드가 전환될때 발생되는 스큐(기간축의 스텝적인 변동)을 제거하도록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헤드(7a) 및 (7b)가 리던던트 기간 τ내에서 변환된후, 리던던트 기간 τ는 제거되고 세그먼트 블럭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시간축 보정회로에 의해 연속해서 생성되므로, 스큐가 제거된다. 스큐를 제거하기 위한 재생시의 회진헤드의 전환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영상신호는 리던던트 기간 τ가 오버랩부에 위치하는 타이밍으로 헤드(5a) 및 (5b)에 의해 기록된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 헤드는 오버랩부에 기록된 리던던트 기간 τ내에서 재생시에 확실하게 전환된다. 또한, 이 동작에 의해, 기록 세그먼트의 종래 방식에서 문제로 되었던 스큐를 본 발명에 의해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상신호로서 1개의 시노, 예를 들면 휘도신호만을 취급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색신호도 휘도신호와 함께 동시에 취급될 때, 제6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신호에 따라서 색신호가 2H+h 기간동안 시분할 다중으로 전송되고 기록된다. 이하 이 휘도신호 Y와 PB/PR 또는 CW/CN 등의 2개의 색신호를 라인마다 라인 순차화한 색신호C를 시분할 다중해서 기록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제7도의 블럭도 및 제8도의 파형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7도에서, (1)은 휘도신호 Y의 입력단자(10)은 제1색신호 PR의 입력단자, (102)는 제2색신호의 PB의 입력단자이다. (2)는 입력단자(1)에서 이 회로에 입력으로써 부여된 휘도신호 Y를 갖는 합차라인 순차회로, (12)는 제1색신호 PR 및 제2색신호 PB를 입력으로서 갖고 이들 신호를 라인마다 교대로 전환해서 2개의 입력 색신호를 라인 순차화한 결과인 색신호 C를 출력하는 색신호라인 순차회로이다. (2001)은 색신호 라인 순차회로에 의해 라인 순차화된 색신호C를 입력으로써 갖고 PB 및 PR중의 하나의 색신호와 같은 종류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2라인을 라인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합차라인 순차회로이다. (3)은 합차라인 순차회로(2)로 입력된 휘도신호 Y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시간축을 변환하는 시간축 변환회로이다. (3001)은 합차라인 순차회로(2001)로 입력된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시간축을 변환하는 시간축 변환회로이다. (13)은 동기생성회로, (14)는 시간축 변환회로(3)으로부터의 휘도신호 Y의 출력, 시간축 변환회로(3001)으로부터의 색신호C의 출력 및 동기생성회로(13)으로부터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회로이다. (4)는 전환회로로 부터의 출력을 테이프 헤드 시스템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하는 변조기(5a) 및 (5b)는 테이프상에 변조된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 회전 자기 헤드, (6)은 자기 테이프, (7a) 및 (7b)는 자기 테이프(6)상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회전 자기 헤드이다. (8)은 재생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15)는 복조된 신호를 휘도신호 및 색신호로 분리하고 전환하는 전환회로, (9) 및 (901)은 분리된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원래의 시간축으로 각각 역변환하는 시간축 역변환회로, (10)은 시간축 역변환된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영상신호의 원래의 상태로 변환하는 합차복호회로이다.
(1001)은 시간축 역변환된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라인 단위로 교대로 출력될 수 있는 원래의 제1색신호 PR 및 제2색신호 PB로 변환하는 합차복호회로이다. (16)은 휘도신호에 가산될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생성회로이다. (17)은 합차복호회로(10)에 의해 원래의 영상신호로 변환된 결과인 신호에 동기 생성회로에서 생성된 신호를 가산하고 이들 두개의 신호의 가산한 결과를 출력하는 전환회로이다. (11)은 동기신호와 가산된 휘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18)은 두개의 색신호를 라인 단위로 라인 순차회로된 신호C로부터 제1색신호 PR 및 제2색신호 PB를 분리하고, 연속적인 신호로 출력하기 위해 색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기간동안 이 기간 전후의 신호로 보간하는 색신호 보간회로이다. (1101)은 색신호 보간회로(18)에의해 분리하고 보간해서 얻은 제1색신호 PR의 출력단자, (1102)는 색신호 보간회로(18)에 의해 분리하고 보간해서 얻은 제2색신호 PB의 출력단자이다.
단자(1)로 입력된 휘도신호에 대해서, 합차라인 순차회로(2)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필드내의 상호 인접하는 2개의 라인 사이에서 합신호 및 차신호를 연산하고 양신호를 라인 순차화한다. 이 신호처리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1H지연회로(203) 및 (205), 가산회로(202), 감산회로(204) 및 전환회로(206)을 포함하는 회로에 의해 실행된다. 휘도신호의 상기 라인 순차화된 합신호 및 차신호는 제7도에 도시한 시간축 변환회로(3)으로 입력되고, 이 회로(3)에 의해 합신호는 시간축 신장되고 차신호는 시간축 압축된다. 이 경우에, 제8b도의 파형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축 변환회로(3)은 영상신호의 수평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유효기간만을 처리해서 소정의 기간 ts의 제1블랭킹 신호를 생성한 후, 시간축 신장된 휘도신호의 합신호, 시간축 압축된 휘도신호의 차신호 및 소정기간 ts의 제2블랭킹 기간이 2H기간동안 연속해서 출력되도록 시간축 변환한다. 이 시간축 변환회로(3)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FIFO메모리(302), 라이트 제어회로(303) 및 리드 제어회로(304)를 포함한다. 합차라인 순차회로(2)가 아날록 회로로 구성될 때, A/D변환기는 합차라인 순차회로의 출력을 다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탈 회로로 구성된 합차라인 순차회로(2)에 의해 합신호 및 차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합차라인 순차회로(2)의 출력을 디지탈 신호의 형태로 FIFO메모리로 입력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FIFO메모리(302)로의 데이타의 라이트와 FIFO메모리(302)로부터의 데이타의 리드를 서로에 독립적으로 제어해서 합신호의 시간축을 신장하고 차신호의 시간축을 압축한다. 이 경우에, 상기 기간 ts 및 tc의 블랭킹 신호를 얻기 위해, FIFO메모리(302)의 리드 사이클은 FIFO메모리(302)의 차신호 및 합신호의 유효기간만을 라이트한 후, 이전 실시예보다 빠르게 제어된다. 예를 들면, 1440샘플을 사용해서 1수평 주사 기간을 샘플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수평 블랭킹 기간의 샘플 수를 176으로 가정하면, 합신호의 1440샘플에서 수평 블랭킹 기간의 176샘플을 제외한 나머지 유효 샘플 1264샘플은 데이타로써 FIFO메모리(302)에 모두 라이트된다 차신호의 유효 1264샘플은 2샘플당 1샘플의 비율로 저감되어 전체 유효 샘플의 반인 합계 632샘플은 데이타로서 FIFO메모리(302)에 라이트된다. 따라서, 1896샘플(1264+632=1896)의 데이타는 라인 순차화된 합신호 및 차신호의 2H기간동안 라이트된다.
한편, FIFO메모리(302)의 리드측에서, 리드는 기간 ts동안 일시 정지하여 제1블랭킹 신호가 생성된다. 그후 데이타는 2H기간당 1896샘플의 비율보다 빠른 속도의 비율, 예를 들면 2H기간당 2500샘플의 비율로 일정기간에서 순차적으로 리드된다. 리드동작은 모든 1896샘플 데이타가 2H기간동안 리드된후 일시적으로 정진된다. 그후, 제2블랭킹 신호가 생성된다. 제2블랭킹 신호를 정지하는 기간은 색신호를 다중하는 기간 ts에 상당한다. 상기 처리에 의해서, 휘도신호의 합신호는 1.15(1440×2/2500=1.15)배로 시간축 신장되고 차신호는 1/1.74(720×2/2500=1/1.74)로 시간축 압축되며, 동기신호를 다중하는 기간 ts 및 색신호를 대중하는 기간 tc를 얻을 수 있다. 단자(101) 및 단자(102)로 입력된 2개의 색신호 PR 및 PB는 색신호 라인 순차회로(12)에 의해 라인 순차화되어 PR 및 PB가 라인마다 교대로 나타난다.
이 경우에, 각각의 색신호는 2라인당 1라인의 비율로 저감된다. 이 저감 처리에 의해 에이리어징에 기인하는 왜곡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색신호 라인 순차회로(12)내부에 마련된 프리 필터 처리회로는 색신호가라인 순차회로(12) 내부에 마련된 프리 필터 처리회로는 색신호가 라인 순차화되기 전에 수직 방향으로 대역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라인 순차화된 2종류의 색신호 PB 및 PR의 색신호C에 대해서, 합차라인 순차회로(2001)은 PB 및 PR에 대한 같은 종류의 색신호의 2라인 사이에서 합신호 및 차신호를 각각 연산한 후 신호를 라인 순차화한다.
예를 들면, PR1,PB2,PR3,PB4,PB5,PB6,…, 의 순서로 입력된 색신호C에 대해서, PR신호의 합 및 차와 PB신호의 합및 차가 PR1+PR3+, PR1-PR3, PB2+PB4, PB2-PB4,…의 순서로 라인 순차화되도록 신호는 라인 순차화된다. 상기 라인 순차화된 색신호 C의 합신호 및 차신호는 제7도의 시간축 변환회로(3001)로 입력되어 수평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유효기간만이 시간축 변환되어 그 결과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 시간축 변환회로(3001)은 제8c도의 파형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간 ts의 제3블랭킹 신호 및 기간 ty의 제4블랭킹 신호를 생성한 후, 시간축 압축된 색신호 C의 합신호(C1+C2) 및 시간축 압축된 색신호C의 차신호(C1-C2)가 2H기간 동안 출력되도록 신호를 시간축 변환한다. 시간축 변환회로(3001)은 시간축 변환회로(3)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FIFO메모리(302), 라이트 제어회로(303) 및 리드제어회로(304)를 포함한다. 합차라인 순차회로(2001)이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될때, 합차라인 순차회로의 출력은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그 결과는 FIFO메모리(302)로 출력된다. 단자(101) 및 단자(102)로 입력된 2개의 색신호가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디지탈 회롤 구성된 합차라인 순차회로(2001) 및 색신호 라인 순차회로(12)가 이들 신호를 처리하고 합차라인 순차회로(2001)의 출력을 디지탈 신호의 형태로 FIFO메모리(302)에 입력해도 좋다.
또한 색신호 라인 순차회로(12)를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하고, A/D변환기로 색신호 라인 순차회로의 출력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이후의 신호처리를 디지탈 회로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색신호C의 최고 주파수는휘도신호 Y의 약 1/2~1/4이다. 그러므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샘플링 주파수는 휘도신호의 샘플링 주파수의 약 1/2~1/4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1440샘플을 사용해서 휘도신호의 1수평 주사 기간을 샘플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색신호의 1수평 주사 기간은 색신호의 최고 주파수가 휘도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1/4일때 360샘플(1440/4=360)을 사용해서 처리해도 좋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색신호의 시간축 변환회로(3001)은 라인 순차화된 합신호 및 차신호에 대해 다음의 처리를 실행한다.
합신호(PR4m-3+PR4m-1또는 PB4m-2+PB4m)가 FIFO메모리(302)에 입력되는 기간동안, 합신호의 360샘플에서 수평 블랭킹 기간44(176/4샘플=44)를 제외한 후의 유효기간의 316샘플은 데이타로써 FIFO메모리(302)에 모두 라이트되고, 차신호(PR4m-3-PR4m-1또는 PB4m-2+PB4m)가 FIFO메모리(302)에 입력되는 기간동안 316유효 샘플이 2샘플당 1샘플의 비율로 저감되어 합계158 샘플이 데이타로써 FIFO메모리(302)에 라이트된다. 따라서, 474샘플 데이타(316+158=474)가 라인 순차화된 합신호 및 차신호의 2H기간동안 라이트된다. 한편, FIFO메모리(302)측에서, 리드는 2H기간의 기간 ty 및 기간 ts 동안 일시적으로 정지된 후, 데이타는 2H당 474샘플보다 빠른 속도의 비율, 예를 들면 2H당 2500샘플의 비율로 일정한 사이클에서 순차적으로 리드되어, 2H기간동안 리이트된 474샘플의 데이타가 모두 리드된다. 상기 처리에 의해서,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는 1/3.47(360×2/2500=1/3.47), 1/6.94(810×2/2500=1/6.94)로 각각 시간축 압축되며, 또한 동기 신호를 다중하는 기간 ts 및 휘도신호를 다중하는 기간 ty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신호 처리에 의해서,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기간 ty 동안의 시간축 변환 및 시분할 다중의 결과인 신호가 시간축 변환회로(3)으로부터의 휘도신호의 출력으로써 얻어지고, 제8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기간 tc동안의 시간측 변환 및 시분할 다중의 결과인 신호가 변환회롤(3001)로부터의 색신호의 출력으로써 얻어진다. 제7도에 도시한 동기 생성회로(13)은 제8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극성 동기신호 및 벌스트 신호를 포함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시간축 변환회로(3)으로부터의 휘도신호의 출력, 시간축 변환회로(3001)로부터의 색신호의 출력 및 동기 생성회롤(13)의 출력은 전환회로(14)에 모두 입력된다. 전환회로(14)는기간 ts동안 동기회로(13)으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고, 기간 ty동안 시간축 변환회로(3)으로부터의 휘도신호의 출력을 선택하고, 기간 tc동안 시간축 변환회로(301)로부터의 색신호의 출력을 선택하여 각각 출력한다. 따라서, 제8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극성 동기신호, 벌스트 신호,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순서로 시분할 다중한 신호는 전환회로(14)의 출력으로써 얻어진다.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와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중,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휘도신호의 합신호는 1.15배 시간축 신장되고, 색신호의 합신호는 1/3.47로 시간축 압축되어 색신호의 합신호에 대한 휘도신호의 합신호의 다중기간의 비율은 4 : 1이다. 따라서, 색신호의 합신호는 휘도신호의 합신호의 1/4로 시간축 압축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색신호의 최고 주파수는 휘도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1/4이다. 그러므로, 시간축 변환후의 휘도신호의 합신호의 최고 주파수는 색신호의 최고 주파수와 같게 되어, 신호 전송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휘도신호 및 색신호 모두에 대해서, 차신호의 다중기간에 대한 합신호의 비율은 각각 2 : 1(1.15 : 1/1.74. 1/3.47 : 1/6.94)이고 차신호의 최고 주파수는 합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1/2로 제한된다. 그러나, 제1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스듬한 방향의 해상도 특성만이 저하되므로, 큰 화질의 저하가 없는 매우 충실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휘도신호의 합신호가 1.15배 시간축 신장되므로, 기록신호의 최고 주파수를 휘도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1/1.15로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신호로부터 수평 블랭킹 기간을 제외해서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와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 각각의 유효기간을 시간축 변환하고 다중하는 것에 의해, 색신호에 대해 별도의 채널을 마련하지 않고 색신호를 유효하게 기록하고 전송할 수 있다. 전환회로(14)의 동기신호에 의해 다중된 색신호의 합신호 합신호 및 차신호와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는 신호를 테이프 헤드 시스템에 대해 알맞은 형태의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기(4)로 입력된다. 변조기(4)는 주파수 변조등을 실행하는 아날로그 신호회로이다. 그러므로, 시간축 변환회로(3) 및 (3001)이 디지탈 회로로 구성될때 동기 생성회로(13)도 리드 온리 메모리(ROM)으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는 디지탈 포맷의 신호 처리회로로 구성되어, 전환회로(14)로부터의 디지탈 신호의 출력은 출력 신호가 D/A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에 변조된다. 변조 시스템이 펄스 코드 변조등의 디지탈 신호 처리를 실행할 때, 전환회로(14)의 출력은 디지탈 신호의 형태로 처리된다. 변조기(4)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기록 회로 자기 헤드(5a) 및 (5b)에 의해 자기 테이프(6)상에 기록된다.
기록시에, 재생 회전 자기 기록 헤드(7a) 및 (7b)에 의해 자기 테이프(6)으로부 재생된 신호는 복조기(8)에 의해 복조되고, 제8e도으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복조기(8)에 의해 복조되고, 제8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극성 동기신호, 벌스트신호, 1.15배 시간축 신장된 휘도신호의 합신호, 1/1.74로 시간축 압축된 휘도신호의 차신호, 1/3.47로 시간축 압축된 색신호의 합신호 및 1/6.94로 시간축 압축된 색신호의 차신호의 시간축 다중된 신호가 얻어진다. 복조기(8)의 출력은 전환회로(15)로 입력되고,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가 재생되는 기간 ty동안 복조기(8)의 출력이 휘도신호의 시간축 역변환회로(9)에 인가되고,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가 재생되는 기간 tc동안 복조기(8)의 출력은 색신호의 시간축 역변환회로(901)에 인가되도록 신호가 전환된다.
시간축 역변환회로(9) 및 (901)은 전환회로(15)에 의해 주어진 시간축 신장 또는 압축된 합신호 또는 차신호를 원래의 시간축 신호로 역변환한다. 시간축 역변환회로(9) 및 (901)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FIFO메모리(302), 라이트 제어회로(303) 및 리드 제어회로(304)를 포함하고, 시간축 변환회로(3) 및 (3001)의 기능에 거의 반대되는 기능으로 신호처리를 실행한다. 시간축 역변환회로(9) 및 (9001)은 다중된 부극성 동기신호(2H)의 기간동안 2500샘플을 사용해서 복조기(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샘플처리하고, 휘도신호의 차신호의 632샘플 및 합신호의 1264샘플을 각각 시간축 역변환회로(9)의 FIFO메모리(302)에 라이트하고, 색신호의 158샘플 및 색신호의 합신호의 316샘플을 시간축 역변환회로(901)의 FIFO메모리(302)에 라이트한다. 휘도신호의 시간축 역변환회로(9)의 리드 제어회로(304)는 FIFO메모리(302)로부터의 합신호의 모든 샘플을 리드하고, 이들 샘플의 인접하는 샘플에 의해 2샘플당 1샘플의 비율로 저감된 샘플을 보간해서 차신호를 보간하며, 1H기간동안 1440샘플의 비율로 순차적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리드는 수평 블랭킹 기간에 대응하는 기간동안 정지된다. 상기 처리에 의해서, 합신호는 1/1.15(2500/(1440×2)=1/1.15)로 시간축 압축되고, 차신호는 1.74(2500/720×2)=1.74)배 시간축 신장되며, 신호는 원래의 시간축으로 역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색신호에 대해서, 색신호의 시간축 역변환회로(901)의 리드 제어회로(304)는 FIFO메모리로 부터의 색신호의 합신호의 모든 샘플을 리드하고, 이들 샘플의 인접하는 샘플에 의해, 2샘플당 1샘플의 비율로 저감된 차신호를 보간하며, 1H기간동안 360샘플의 비율로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휘도신호를 처리하는 경우처럼, 리드는 수평블랭킹 기간에 대응하는 기간동안 정지된다. 상기 신호처리에 의해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는 3.47(2500/(360×2)=3.47) 및 6.94(2500/(180×2)=6.94)배로 각각 시간축 신장되고, 신호는 원래의 시간축으로 역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시간축 역변환회로(9) 및, 1H기간마다 합신호 및 차신호를 교대로 출력하면서 시간축 변환된 합신호 및 차신호를 라인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시간축 역변환회로(9)로부터의 휘도신호의 출력은 합차 복호회로(10)에 의해 영상신호의 원래의 상태로 변환되고, 동기 생성회로(16)에 의해 생성된 기준 동기신호가 전환회로(17)에 의해 수평 블랭킹 기간에 부가되고, 단자(11)로부터 출력된다. 시간축 역변환회로(901)로부터의 색신호의 출력은 2개의 색신호 PR 및 PB가 합차 복호회로(1001)로부터 1H마다 교대로 출력되도록 변환된다. 그후 색신호 보간회로(18)은 2개의 색신호 PR 및 PB를 분리하고, 라인 전후의 신호에 의해 신호를 보간해서 2개의 색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동안 연속적인 신호로써 단자(1101) 및 (1102)로 출력한다.
상기 실시예 있어서는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와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가 연속해서 시간축 다중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그 처리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신호의 각각에 대한 여러 샘플(예를 들면, 2의 누승과 같이 2샘플, 4샘플 또는 8샘플)의 리던던트 가이드 기간을 갖는 것에 의해, 각신호의 리드의 끝마다 FIFO메모리의 리드가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처리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파형의 과도왜곡이 전송 시스템에서 신호 기간마다 발생해도, 가아드 기간동안의 나머지 신호의 영향으로부터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와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는 각각의 필요한 전송대역에 따라 시간축 변환되고, 재생시의 신호처리를 위해 신호측 또는 레벨의 기준으로 되는 벌스트신호 및 부극성 동기신호는 2H기간 내에서 다중된다. 그러나, 제6도의 실시예의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수직 블랭킹 기간을 저감해서 2H보다 긴 기간(즉,2H+h)동안 상기 신호를 다중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색신호의 최고 주파수는 휘도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1/4이고, 차신호는 합신호의 1/2로 시간축 압축된다. 따라서,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의 모두 4종류의 다중기간의 비율은 8 : 4 : 2 : 1이다. 비율을 2의 누승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디지탈 신호 처리에 대한 제어회로를 구비한 회로를 매우 간단히 할 수 있고, 회로 규모도 저감되어 경제적 효과도 있다. 또, 상기 비율에 한정되지 않고 색신호의 합신호의 다중기간 및 휘도신호의 합신호의 다중기간의 비율과 같게 되도록 휘도신호의 최고 주파수 Wy 및 색신호의 최고 주파수 Wc의 비율을 설정하거나, 또는 각 차신호의 다중기간이 각 합신호의 다중기간보다 짧게 되도록 신호를 시간축 변환해서 각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 화질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신호를 기록 및 전송하는 대역을 저감할 수 있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축 변동이 복조회로에서 복조되는 재생신호에 포하될 때, 재생신호에 포함된 시간축 변동은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역변화회로(9) 및 (901)에 사용되는 FIFO 메모리의 라이트 신호를 재생신호의 시간축 변동에 따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FIFO 메모리의 라이트 제어신호은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벌스트 신호등의 시간축 기준으로 되는 신호에 따라서 생성된다.
상기 실시예 서는 1필드의 상호 인접하는 2라인의 신호가 처리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필드 사이 또는 프레임 사이의 상호 인접하는 2라인의 신호에 대해서 처리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필드의 라인은 L1.1,L1.2,L1.3,L1.4,…으로 표현되고, 제2필드의 라인은 L2.1,L2.2,L2.3,…으로 표현된다. 즉, 제N필드의 제M라인은 LM.N으로 표현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 필드내의 상호 인접하는 2개의 라인인 L1.1,및 L1.2,L1.3,및 L1.4,…과 LN.2m-1및 LN.2m,…등의 신호의 2조에 대해 신호처리가 실행되었다. 필드 사이의 상호 인접하는 2개의 리인인 L1.1및 L1.2,L1.2, 및 L2.2…, L2n-1.M및 L2n.M…등의 신호의 2조에 대해서 처리해도 좋다. 또한, 프레임 사이의 상호 인접하는 신호인 L1.1과 L3.1,L1.2과 L3.2…, L4n-3.m과 L4n.M,…, L2.1과 L4.1, L2.2과 L4.2…, L4n-2.m과 L4n.M,…등의 신호의 2조를 처리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1필드내의 상호 인접하는 2라인에 대한 신호의 처리에 있어서는 1필드내의 신호에 대한 수평 및 수직의 2차원 신호처리가 실행되었다.
그러나 필드 사이 또는 프레임 사이의 인접하는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와 같은 시간축을 포함하는 3차원 신호처리로 신호처리를 확장해서 시간축상의 상관이 강한 정지화상부의 화질이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있어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개의 색신호 PR 및 PB에 대해서, 기수 라인애서는 PR이 서택되고, 우수 라인에서는 PB가 선택되도록 신호가 라인 순차적으로처리된후, 합 및 차가 동일 종류의 색신호의 2라인에 따라 연산된다. PR1,PR2,PR3,PR4,…,PRN,…의 순서로 입력된 제1색신호와 PB1,PB2,PB3,PB4,…,PBN,…의 순서로 입력된 제2색신호는 PR1,PB2,PR3,PB4,…,PR2n-1,PB2n,…의 순서로 라인 순차화되고, 2라인 신호는 PR1과 PR3,PB2과 PB4,PB6과 PR7,PB6과 PB8,…,PR4m-3과 PR4m-1,PB4m-2과 PB4m,…의 순서로 처리된다. 기수 라인에서는 PB가 선택되고, 우수 라인에서는 BR이 선택되도록 신호가 라인 순차적으로 처리된후,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어도 좋다. PR1,PR2,PR3,PR4,…,PRN,…의 순서로 입력된 제1색신호와 PB1, PB2, PB3,PB4,…, PBN,…의 순서로 입력된 제2색신호는 PR1, PR2, PB3, PB4, PR5, PR6, PB7, PB8,…,PR4m-3, PR4m-2, PB4m-1, PB4m…의 순서로 라인 순차화되고 2라인신호는 PR1과 PR2,PB3과 PB4,…PR4m-3과 PR4m-2,PB4m-1과 PB4m,…등으로 처리되어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신호가 PR1,PB2,PR3,PB4,…,PR2n-1, PB2n,…의 순서로 라인순차화되고, 합 및 차가 PR1과 PB2, PR3과 PB4,…,PR2n-1과 PB2n,…의 순서로 PR 및 PB를 포함하는 2라인 신호에 대해 연산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색신호의 2종류가 라인 순차화된 후, 합 및 차연산이 같은 종류의 색신호 사이에서 실행되고, 신호가 시간축 변환되어 휘도신호와 다중된다. 또한, 2개의 색신호를 라인 순차 처리하는 대신에, 휘도신호와 마찬가지로 2개의 인접하는 라인 사이에서 신호처리를 실행하고, 제1및 제2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 각각을 휘도신호와 다중해도 좋다. 즉,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에 뒤이어서, 제1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와 제2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포함하는 모두 6종류의 신호가 각 신호의 최고주파수에 따라서 시간축 변환된 후, 시간축 다중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휘도신호와 제1및 제2색신호의 합신호 각각의 다중기간이 비율은 이들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비율과 같도록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휘도신호의 최고 주파수가 21M㎒, 제1색신호의 최고 주파수가 7㎒, 제2색신호의 최고 주파수가 5.5㎒일 때, 휘도신호와 제1및 제2색신호 각각에 대한 합신호의 다중기간의 비율을 12 : 4 : 3(=21 : 7 : 5.5)으로 설정하면 좋다. 각 신호에 대한 합신호 및 차신호의 비율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2 : 1, 3 : 1로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또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는 2라인마다 합신호 및 차신호로 변환된 후에 기록되고 전송되며, 재생시에는 2라인의 영상신호가 합신호 및 차신호로부터 복원된다. 일반적인 영상신호인 경우에, 인접하는 라인의 신호는 수평 에지부이외의 부분에서 유사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라인 사이의 차신호의 레벨은 작다. 한편, 신호의 재생시에 2라인의 영상신호는 식(7)및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신호 및 차신호의 감산 및 가산에 의해 재현된다. 그러므로, 재생될 영상신호는 합신호에 중첩된 노이즈와 차신호에 중첩된 노이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차신호의 레벨1에 따라서, 차신호의 레벨이 낮을 때 이득을 크게 하고, 차신호의 레벨이 높을 때 이득을 작게하도록 차신호의 이득을 변환해서 신호를 기록 및 전송하는 것에 의해 차신호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신호처리를 사용하는 경우의 신호처리를 제9도의 특성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9a도는 차신호 VSB의 레벨을 VSB'의 레벨로 변환하는 비선형 함수의 특성을 도시한 것이고, 재9b도는 영상신호의 2라인을 연산해서 얻은 차신호 VSB를 도시한 것이고, 제9c도는 비선형 함수에 의해 레벨 변환된 기록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이 비선형함수의 기울기는 레벨 변환후의 레벨에 대한 입력신호의 레벨의 비, 즉 이득을 나타낸다. 이득은 입력 레벨이 낮을 때 1보다 크게, 입력 레벨이 높을 때 1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레벨 변환후의 풀 스케일 값은 입력 차신호의 풀 스케일 값과 같도록 설정된다. 이 비선형 함수에 의해서,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진폭의 차신호는 제9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진폭을 갖도록 레벨 변환되후, 그 결과가 기록된다. 재생시에는 제9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생신호가 변환시 비선형 함수의 역 함수를 갖는 역변환 특성에 의해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진폭을 갖도록 역변환된다. 이 경우에, 재생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의 진폭도 동시에 억압되므로, 복원될 영상신호는 노이즈로 인한 영향을 적게 받는다. 이러한 상기 비선형 함수는 다이오드 등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 쉽게 실현될 수 있다. 본 신호처리 장치가 디지탈 신호처리에 의해 실현될 때, 비선형 함수의 각 입력 레벨에 대응하는 출력값은 사전에 리드 온리 메모리(ROM)에 라이트되고, 입력신호 데이타는 이 ROM의 어드레스에 접속되며, ROM으로부터의 데이타 출력은 레벨전환후의 데이타로써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변환특성및 역변환 특성을 바라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변환정밀도가 높은 비선형 함수를 소규모 회로로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비선형 함수에 의한 레벨 변환을 차신호에 적용한 경우의 제1도의 합차라인 순차회로(2)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10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0도는 상술한 비선형 함수에 의한 레벨 변환을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적용한 경우의 색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구성과 비교해서, 제10도는 ROM으로 구성되는 비선형 회로(207)이 1H지연회로(205)와 전환회로(206)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다른다. 감사회로(204)에 의해 얻어진 차신호는 1H 지연회로(205)에 의해 지연되고, 이 신호는 비선형 회로(207)에 의해 레벨 변환되어 전환회로(206)에 의해 합신호와 다중된후 출력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비선형 함수에 의한 레벨 변환을 차신호에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신호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재생시에는 상기 비선형 함수와 역함수의 특성을 갖는 역 비선형 회로를 상승한 비선형 회로(207) 대신에 제10도의 구성과 마찬가지 구성으로 사용하고, 재생된 차신호의 레벨에 대해서 역비선형 함수에 의해 역변환한후, 영상신호를 합신호 및 차신호의 가산 및 감산에 의해 복원한다.
비선형 함수에 의한 차신호의 레벨 변환에 의해, 기록하기 전에 제로 레벨 부근에 밀집되기 쉬운 차신호를 대 진폭으로 하고, 재생시에 신호를 역변환하는 것에 의해 주파수에 중첩된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합신호 및 차신호에 의해 재생된 2라인에 대한 라인 블럭과 다음의 합신호 및 차신호에 의해 재생된 2라인에 대한 다음의 라인 블럭 사이에서 발생되는 경사 에부에서의 비연속을 평활화하는 2차원 필터가 휘도신호에 적용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제11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1도에서는 2차원 필터(19)가 제7도의 실시에에 도시한 동기신호를 가산하는 전환회로(17)과 합신호 복호회로(10) 사이에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7도의 구성과 동일 구성을 갖는다. 합차신호 복호회로(10)에서 원래의 영상신호의 상태로 변환된 휘도신호는 2차원 필터(19)로 입력되고, 인접하는 2라인의 라인 블럭 사이의 에지 정보가 평활된 후에 전환회로(17)에 입력된다. 전환회로(17)에 인가된 입력은 동기 신호와 가산되어 단자(11)로 출력된다. 이 2차원 필터(19)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출력단자(11)로부터 출력된 재생휘도신호는 2차원 필터(19)에 의해 소정의 지연양만큼 지연되므로, 휘도신호의 시간축 변환회로(9)에서의 처리 지연 시간은 소정의 지연양만틈 사전에 지연된다. 또는, 휘도신호에 지연 시간의 증가에 따라서 시간축 변환회로(901), 합차복호회로(1001)과 색신호 보간회로(18)중의 어느 하나에서 색신호 처리의 처리 지연시간을 증가시켜서 색신호 및 휘도신호의 재생출력의 위상을 매치시키면 좋다.
2차원 필터(19)의 상세한 구성예를 제12도에 도시한다. 제12도에 있어서, (1901)은 복원된 합신호 및 차신호의 영상신호에 대한 입력단자, (1902)는 필터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한 출력단자, (1903) 및 (1904)는 신호를 1 수평 주사 기간(1H) 지연하는 지연회로이다. (1905)는 전환회로, (1906)은 고주파 특성(ω)을 갖는 고역 통과회로, (1907)은 주파수 특성 1-(ω)을 갖는 저역 강조회로, (1908)은 가산회로이다. 복원된 합신호 및 차신호의 영상신호는 입력단자(1901)에 입력된후, 전환회로(1905) 및 지연회로(1903)에 입력된다. 지연회로(1903)에 의해 1H 지연된 신호는 저역 강조회로 및 지연회로(1904)로 입력된다. 지연회로(1904)로부터의 출력은 전환회로(1905)에 입력된다. 즉, 전환회로(1905)의 입력단자에는 지연회로(1903) 및 (1904)에 의해 모두 2H 지연된 신호와 단자(1901)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인가된다. 전환회로(1905)는 입력단자(1901)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지연회로에서 주어지는 2H 지연된 신호를 1H마다 전환해서, 그 결과를 고역 통과회로(1906)에 입력한다. 한편, 지연회로(1903)에 의해 신호를 1H 지연한 결과인 신호는 저역 강조회로(1907)에 입력된다. 저역 강조회로(1907)로부터의 출력과 고역 통과회로(1906) 출력은 가산회로(1908)에 의해 가산되고, 그 결과는 2차원 필터의 출력으로써 단자(1902)로부터 나온다.
다음에 2차원 필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3도는 상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복원된 합 및 차신호의 파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L1,L2,…,L2n-1및 L2n은 복원된 합 및 차신호의 각 라인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LK는 K번째 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L1및 L2의 2라인은 합차복호뢰로(10)에 의해 1쌍의 합신호 및 차신호로 복호되고, L3및 L4의 2라인은 다음의 합 및 차신호에 의해 복호되고, L2n-1및 L2n의 라인은 1쌍의 합신호 및 차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복호되며, 복호된 신호는 2차원 필터(19)에 입력된다. 합 및 차신호가 완전히 전송되면, 모든 라인의 신호는 완저히 재생된다. 그러나, 차신호의 전송대역은 영상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약 1/2~1/3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특별히 차신호의 에지부는 충분히 재생되지 않고, 1쌍의 합신호 및 차신호에 의해 복호된 L1및 L2, L3및 L4와 L2n-1및 L2n의 2라인 신호는 에지부에서 유사한 신호로 된다. 따라서, L2및 L3, L4및 L5, L2n및 L2n+1등의 예비주에서의 불연속이 일어나기 쉽게 되어 그 결과 경사진 에지부에서의 불연속이 일어나기 쉽게 되어 그 결과 경사진 에지부에서의 화질의 저화가 일어나기 쉽다 이하,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호된 합 및 차신호의 신호가 입력단자(1901)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L1및 L2가 이미 단자(1901)에 순차적으로 입력되었고, L3이 지금 단자(1901)에 입력된다고 가정하자. 입력신호를 1H 지연한 결과인 신호 즉 L2는 출력으로써 지연회로(1903)에서 출력되고, 이 신호는 L저역 강조회로(1907)로 입력된다. 전환회로(1905)는 제12도의 a측으로 전환되고 입력신호 즉, 신호 L3이 선택되어 고역 통과회로(1906)으로 입력된다.
출력단자(1902)로부터 얻은 2차원 필터의 출력은 저역 강조회로(1907)의 출력과 고역 통과회로(1906)의 출력을 가산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L2를 포함한 고역성분을 약간 감쇄시키고, 이것을 L3의 고역성분에 가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것은 L2의 저역 성분에 L2및 L3의 고역 성분의 평균인 신호를 가산한 결과이다. 단자(1901)로 L3이 입력된 후에 L4가 입력되는 기간 동안, 전환회로(1905)는 제12도의 b측으로 전환되고, 입력신호를 2H 지연한 결과인 신호는 고역 통과회로(1906)으로 입력된다. 지연회로(1903)에 의해 입력신호를 1H 지연한 결과인 신호 즉, L3은 저역 강조회로(1907)에 인가된다. 이 경우에, 출력단자(1902)의 출력에서 얻은 2차원 필터(19)의 출력은 L3에 포함된 고역 성분을 약간 감쇄시키고, 이것을 L2에 포함된 고역 성분에 가산해서 얻은 신호이다. 이것은 L3의 저역 성분에 L2및 L3의 고역 성분의 평균인 신호를 가산한 결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도의 전환회로(1905)는 L1,L3,…및 L2n-1의 기수 라인이 단자(1901)에 입력되는 기간 동안 a측으로 전환되고, L2,L4,…및 L2n이 우수 라인이 단자(1901)에 입력되는 기간 동안 b측으로 전환되므로, 합신호 및 차신호에 의해 재생된 2라인의 라인 블럭과 다음의 합신호및 차신호에 의해 재생된 2라인의 다음의 라인 블럭 사이에서 일어나는 신호의 불연속은 상호 인접하는 라인 블럭 사이의 고역성분(에지 정보)을 평균화 하는 것에 의해 저감된다.
제12도에 도시한 2차원 필터가 디지탈 회로로 실현될 대, 지연회로(1903) 및 (1904)는 라인 메모리로 쉽게 실현될 수 있다. 고역 통과회로(1906) 및 저역 강조회로(1907)이 트랜스버설 필터에 의해 실현될 때, 선형 위상 특성을 갖고 같은 지연회로을 갖는 고역 통과회로 및 저역 강조회로가 쉽게 얻어질 수 있으므로, 2차원 필터를 비교적 소규모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필터를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휘도신호에 대해서만 적용하였지만, 2차원 필터를 색신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2차원 필터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합차신호 복호회로(1001) 및 색신호 보간회로(18) 사이에 삽입된다. 2차원 필터가 색신호 보간회로(18)의 전단에 있을 때, PB 및 PR 각각에 대한 독립회로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하나의 회로에 의해 PB 및 PR의 처리를 동시에 실행하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이 경우에, 휘도신호에 대한 2차원 필터의 구성예로써 제12도에 도시한 지연회로(1903) 및 (1904)는 1 수평 주사 기간(1H)에서 2수평 주사기간의 지연시간을 갖도록 변경된 구성으로 2차원 필터를 구성하면 좋다.
제12도에 도시한 고역 통과회로(1906)이 영상신호의 에지 정보를 점출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고, 고역 통과 특성이 회로에 한정되지 않고 대역 통과 특성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에 고역 통과회로(1906)의 주파수특성이 H(ω)일 때, 저역 강조회로(1907)의 주파수 특성이 1H(ω)인 상보 특성을 가지면 좋다.
휘도신호의 대역보다 좁은 대역에서 전송되는 것에 의해 색신호에 중첩된 노이즈는 더 낮은 주파수 성분에 분포해서 회질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으로 된다. 따라서, 노이즈 제거회로가 색신호에 적용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제14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4도는 색신호의 노이즈 제거회로가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노이즈 제거회로가 색신호의 합차신호 복호회로(1001)과 색신호 보간회로(18) 사이에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7도의 구성과 같은 구성이다. 합차신호 복호회로(1001)에 의해 원래의 영상신호의 상태로 변환된 색신호는 2종류의 색신호 PB 및 PR이 라인 순차화되는 상태에서 노이즈 제거회로에 입력되어 노이즈가 제거된다. 2개의 색신호 필드 및 PR은 색신호 보간회로(18)에 의해 노이즈 제거된 색신호로부터 분리되고, 색신호는 각각의 색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기간 동안 라인 전후의 신호에 의해 보간된후, 단자(1001) 및 (1002)로부터 연속적인 신호로써 출력된다. 노이즈 제거회로의 삽입에 의해 색신호에 지연이 발생될 때 제11도의 2차원 필터가 적용된 경우의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색신호 및 휘도신호의 재생출력의 위상이 매치되도록 색신호 또는 휘도신호의 처리 지연이 조정된다.
제14도에 도시한 노이즈 제거회로(20)의 상세한 구성의 실시예를 제15도에 다라 설명한다. 제15도에서, (2101)은 합차 복호회로(1001)에 의해 라인 순차화된 색신호에 대한 입력단자, (2102)는 노이즈가 제거된 색신호에 대한 출력단자, (2103) 및 (2104)는 감산회로, (2105)는 1필드 지연해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필드 지연회로, (2106)은 필드 차신호 DF로부터 노이즈 신호 N을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회로이다. 합 및 차신호가 복호된 색신호는 입력단자(2101)에 입력된후, 감산회로(2103)의 정입력단자와 감산회로(2104)의 정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노이즈 검출회로(2106)에 의해 검출된 노이즈 신호 N은 감산회로(2104)의 부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정입력단자에 접속되는 단자(2101)에서 입력된 입력 색신호에서 감산된다. 감산회로(2104)로부터의 출력은 노이즈 제거회로(20)의 출력으로써 단자(2102)에서 출력된다. 감산회로(2104)의 출력은 필드지연회로(2105)에도 입려된다. 필드 지연회로(2105)에 의해 1필드 지연된 신호는 감산회로(2103)의 부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정입력단자에 접속된 단자(2101)에서 입력된 색신호에서 정입력 단자로 입려된 필드 지연회로(2105)의 출력을 감산해서, 필드 차신호를 출력한다. 필드 차신호 DF는 노이즈 신호 N이 출력되는 노이즈 검출회로에 입력된다. 노이즈 검출회로(2106)에 의해 검출된 노이즈 신호 N은 감산회로(2104)의 부입력단자에 입력되고, 이것은 입력 색신호에서 노이즈 성분을 저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5도의 노이즈 제거회로의 동작을 제15도 및 제16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5도의 필드 차신호 DF는 단자(2102)로의 출력을 1필드 지연한 신호를 단자(2101)에서의 입력신호에서 감산해서 얻은 신호이다. 입력영상신호에 움직임이 있을 때, 필드 차신호 DF는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필드 차신호와 필드내 상관이 없는 노이즈 성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필드 차신호는 노이즈 성분의 소진폭 레벨을 가지면서, 대신호 레벨을 갖는다. 그러므러,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출력 특성을 갖는 노이즈 검출회로(2106)에 의해 노이즈 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다. 제16도는 노이즈 검출회로(2106)의 출력 N 및 입력DF의 입출력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 입력 영상 신호의 레벨이 0과 255 사이일때, DF의 레벨이 약 -10~+10이면, 필드차신호 DF는 노이즈로써 판정되고, DF에 비례한 신호가 노이즈 출력 N으로서 출력된다. DF 레벨이 -10보다 낮거나 같을때 또는 +10보다 높거나 같을때, 필드차 신호 DF는 움직임에 의한 차신호로써 판정되고, 노이즈 출력 N이 제로로 된다. 따라서, 필드차 신호 DF의 레벨이 신(scene)의 변화시에 또는 격한 움직임이 있을때, 영상신호에 대해 높게 되어 노이즈 신호 N에 대해 제로가 출력되고, 입력 영상신호가 감산회로(2104)를 통해서 그대로 출력된다. 정지 화상 또는 화면내의 정지영역에 대해서, 필드차신호 DF는 저레벨 노이즈 성분만을 포함하고, DF에 비례하는 노이즈 신호는 노이즈 검출신호(2106)필드차신호 DF는 저레벨 노이즈 성분만을 포함하고, DF에 비례하는 노이즈 검출신호(2106)으로 부터 출력된다. 노이즈 성분은 감산회로(2104)에 의해 압력 영상신호로 부터 감산되고, 노이즈가 저감된 영상신호를 단자(2101)에서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필드차 신호 DF의 레벨을 사용해서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움직임이 있을 때에도 잔상을 최소화하는 노이즈 제거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제15도에 도시한 노이즈 제거회로에서, 이 회로에 입력된 신호가 라인 순차화된 2종류의 색신호 PB 및 PR일때도, PB 및 PR의 전송 순서가(우수 또는 기수) 필드에 관계없이 일정하면, 필드차연산이 같은 종류의 색신호중의 필드 지연된 신호에 대해 실행되고, 노이즈는 필드차 신호 DF에 따라서 제거된다. 그러므로, 2종류의 색신호가 라인 순차화되는 상태에서 노이즈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회로가 상술한 바와 같은 색신호에 적용될때, 저주파수 성분에 분포해서 화질 저하를 일으키는 색신호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2종류의 색신호 PB 및 PR이 라인순차화되는 상태에서 색신호 보간회로(18)의 전단에 노이즈 제거회로가 적용될때, 회로 규모 저감의 효과와 더불어 하나의 회로도 동시에 PB 및 PR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잇다.
제1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이즈를 필드차 신호에 검출하여, 노이즈가 저감된다. 그러나, 프레이차신호에서 노이즈 신호를 검출해도 좋다. 이 경우에, 제15도의 필드 지연회로(2105)는 프레임을 지연하는 회로로 대체된다. 제1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제거회로는 색신호에만 적용되었다. 그러나 노이즈 제거회로를 휘도신호에 적용해도 좋다. 노이즈 제거회로에 의한 색신호의 노이즈 저감의 효과와 함께 휘도신호의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에 의해 보다 고화질의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노이즈 제거회로는 제14도의 동기 신호를 가산하는 전환회로(17)과 합차복호회로(10) 사이에 삽입된다. 색신호와 비교해서, 휘도신호는 눈에 띄기 쉬운 잔상을 마련한다. 그러므로, 노이즈 신호 N이 필드차 신호 DF에서 생성될때 차신호가 비교적 작을 때에도 움직임을 판정할 수 있도록 노이즈 검출회로(2106)이 구성된다. 이하, 이 방법의 1예를 설명한다. 제16도에 도시한 노이즈 검출회로(2106)의 입출력 특성의 1예에 있어서, DF의 절대값이 10이상일때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한 후, 출력 N이 제로로 된다. 그러나, DF의 절대값이 이 값 이상일때, 이 판정 레벨을 낮게(예를들면, 7) 설정하고, N을 제로로 설정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휘도신호의 잔상에 기인하는 화질의 저하없이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보다 고화질로 재생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기록 및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영상신호를 합신호 및 차신호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차신호에 대해 보다 낮은 전송 대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인간의 시각 특성 및 일반 영상의 특성에 의한 화질의 저하가 거의 없이 기록 또는 전송 신호의 대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와 함께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를 신호의 전송에 대한 최고 주파수에 따라서 시간축 변환하고 다중해서 하나의 전송 경로에서 색 영상신호를 기록 및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간축 변환에 의해 입력 영상신호의 수직 또는 수평 블랭킹 기간을 저감하고, 상기 저감된 기간에 대응하는 기간만큼 합신호 및 차신호의 유효 다중기간을 길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높은 효율로 기록 및 전송 대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시간축 변환시에 영상신호의 유효 기간을 임의로 분할하여 시간축 시프트하고, 세그먼트 기록시에 분할된 세그먼트 사이에 리던턴트 기간을 마련해서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시에 이 리던던트 기간을 저감하도록 마련해서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시에 이 리던던트 기간을 저감하도록 마련해서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시에 이 리던던트 기간을 저감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자기 헤드의 전환시의 화상의 불연속 또는 노이즈에 기인하는 화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폭이 작을때 큰 이득을 갖고 진폭이 클때 작은 이득을 갖는 것에 의해 차신호를 기록하고, 재생시에 역특성을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제로 레벨 부근에 밀집되기 쉬운 차신호의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재생된 영상 신호상에 중첩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처리장치가 1필드내에 인접하는 2라인의 합차처리에 의해 실현될때, 정지화상의 화질과 동등한 화질의 움직임 화상을 갖을 수 있다. 적어도 합신호 및 차신호를 생성하는 수평 주사 기간의 라인 메모리로 신호처리에 필요한 소규모로 실현할 수 있다.
휘도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와 색신호의 합신호 및 차신호가 시간축 변화되고 다중될때, 상기 신호 각각의 다중시간을 8 : 4 : 2 : 1등의 2의 누승으로 선택해서, 시간축 변환처리 회로등의 제어회로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회로규모의 저감에 의한 경제적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차신호의 대역 제어에 의해 생성된 차신호 및 합신호에 의해 재생된 2라인의 라인 블럭과 다음의 합신호 및 차신호에 의해 생성된 2라인의 라인 블럭 사이의 에지 정보의 불연속에 관해서, 상호 인접하는 라인 블럭 사이에서 2차원 필터 처리를 실행해서 인접하는 라인 블럭 사이의 에지 정보를 평활하 할 수 있다. 이것은 에지 정보의 불연속에 의해 생성된 화질 열화를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노이즈 제거회로를 라인 순차화된 색신호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저주파수에 분포하고 색신호에 중첩되어 화질 저하의 큰 요인으로 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은 재생된 영상신호의 노이즈 증가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으면서 하나의 노이즈 제거회로로 2종류의 색신호 PB 및 PR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의 다른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든 점에서 본 발명의 단순한 1예시에 불과하고, 한정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Claims (26)

  1. 수평 주사기간(H) 단위의 다수의 라인의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기록재생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 사이 또는 수직 주사 주파수 단위의 필드 사이 또는 필드내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적어도 인접하는 2라인의 신호의 각각의 차에 따른 차신호와 신호의 합에 따른 합신호로 상기 영상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수단, 상기 차신호의 시간축이 상기 합신호의 시간축 보다 짧게 되도록 상기 합신호 및 상기 차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축을 변환하는 시간축 변환수단과 상기 시간축 변환된 합신호 및 차신호를 시간축 다중하는 신호다중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수단은 상기 차신호에 소정 레벨의 오프세트를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수단은 상기 차신호의 진폭 레벨에 따라서 비선형 레벨변환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상기 차신호보다 상기 합신호를 시간선행해서 상기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부극성 동기 정보 및 벌스트 정보의 동기 정보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른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생성수단과 상기 합신호 및 차신호보다 상기 동기신호를 시간선행해서 상기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신호 지연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6.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상기 수평 주사 기간 단위에 포함된 상기 합신호 및 상기 차신호의 수평 블랭킹 기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후에 남은 유효 기간동안 신호만을 추출해서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상기 수직 주사 기간 단위에 포함된 상기 합신호 및 상기 차신호의 수직 블랭킹 기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후에 남은 유효 기간동안의 신호만을 추출해서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 변환수단은 상기 라인 신호의 수평 주사 기간(H)의 2배(2H) 이상의 기간내에 상기 신호가 시분할 다중되도록 상기 신호를 시간축 할당해서 상기 합신호 및 상기 차신호를 시간축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9.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 변환수단은 2 : 1의 비율로 상기 신호가 시분할 다중되도록 상기 신호를 시간축 할당해서 상기 합신호 및 차신호를 시간축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0. 휘도신호(Y) 및 2개의 색신호(PB,PR)를 포함하고, 1수평주사 기간(H) 단위의 다수의 라인신호로 구성되는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서 전송하고 또는 기록 재생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Y)의 프레임 사이 또는 필드 사이 또는 수직 주사 기간 단위의 필드내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적어도 인접하는 2라인의 신호의 각각의 합 및 차에 따른 제1합신호 및 제1차신호로 상기 휘도신호를 변환하는 제1의 신호 변환수단, 상기 색신호의 프레임 사이 또는 필드 사이 또는 수직 주사 기간단위의 필드내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적어도 인접하는 2라인 또는 교대로 인접하는 라인의 신호의 각각의 합 및 차에 따른 제2합신호 및 제2차신호로 상기 2개의 색신호(PB,PR)의 색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는 제2의 신호 변환수단, 상기 제2합신호의 시간축이 상기 제1합신호의 시간축보다 짧게 되도록 상기 제1합신호와 상기 제2합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축을 변환하고, 상기 제2차신호의 시간축이 상기 제1차신호의 시간축보다 짧게 되도록 상기 제1차신호와 상기 제2차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축을 변환하는 시간축 변환수단과 상기 시간축 변환된 제1합성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시간축 변환된 제2합신호 및 차신호를 각각 시분할 다중하는 신호 다중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신호 변환수단은 상기 2개의 색신호(PB,PR)를 라인 단위로 교대로 라인 순차화하고, 교대로 인접하는 라인의 적어도 2라인의 신호(PB4n과 PB4n+2, 여기서, 첨자는 라인 번호를 나타내고 n은 임의의 정수) 각각의 합(PB4n+ PB4n+2)및 차(PB4n- PB4n+2)에 따른 상기 제2합신호 및 상기 제2차신호로 상기 신호의 한쪽(PB)를 변환하며, 교대로 인접하는 라인의 적오도 2라인의 신호(PR4n+1과 PR4n+3, 여기서 첨자는 라인 번호를 나타낸다)의 각각의 합(PR|4n+1+ PR4n+3)및 차(PR4n+1과 PR4n+3)에 따른 상기 제2합신호 및 상기 제2차신호로 다른 쪽 신호(PR)을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신호 변환수단은 상기 제2차신호에 소정의 레벨의오프세트를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신호 변환수단은 상기 제2차신호의 진폭 레벨에 따라서 비선형 레벨 변환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4.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상기 제2차신호보다 상기 제2합신호를 시간선행해서 상기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보다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를 시간선행해서 상기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6.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벌스트 정보 및 부극성 동기 정보의 동기정보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보다 상기 동기신호를 시간선행해서 상기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신호 지연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7.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상기 수평 주사 기간 단위에 포함된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의 수평 블랭킹 기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후에 남은 유효기간 동안의 신호만을 추출해서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8.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다중수단은 상기 수직 주사 기간 단위에 포함된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의 수직 블랭키 기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후에 남은 유효기간 동안의 신호만을 추출해서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19.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 변환수단은 상기 라인 신호의 수평 주사 기간(H)의 2배(2H) 이상의 기간내에서 상기 신호가 시분할 다중되도록 상기 신호를 시간축 할당해서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를 시간축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0.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 변환수단은 8 : 4 : 2 : 1의 비율로 상기 신호가 시분할 다중되도록 상기 신호를 시간축 할당해서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를 시간축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1.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 변환수단은 상기 제1합신호와 상기 제1차신호 사이 및 상기 제2합신호와 상기 제2차신호 사이에 소정의 시간폭의 가아드 기간을 각각 마련하도록 시간측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2.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 변환수단은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 중의 하나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단위 신호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블럭의 신호를 형성하고, 1수직 주사 기간 동안 적어도 2개의 상기 세그먼트 블럭의 신호로 상기 신호를 분할하는 세그먼트 분할 수단과, 상기 세그먼트 블럭 신호 사이에 소정의 시간폭의 리던던트 기간을 생성하는 시간축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3. 휘도신호(Y) 및 2개의 색신호(PB,PR)을 포함하고, 수평 주사 기간(H) 단위의 다수의 라인 신호로 구성되는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서 전송하고 또는 기록재생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Y)의 프레임 사이 또는 필드 사이 또는 수직 주사 기간 단위의 필드내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적어도 인접하는 2라인의 신호의 각각의 합 및 차에 따른 제1합신호 및 제 신호로 상기 휘도신호(Y)를 변환하는 제1의 신호 변환수단, 상기 색신호의 프레임 사이 또는 필드 사이 또는 수직 주사 기간의 필드내에서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적어도 인접하는 2라인 또는 교대로 인접하는 라인의 신호의 각각의 합 및 차에 따른 제2합신호 및 제2차신호로 상기 2개의 색신호(PB,PR)의 색신호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는 제2의 신호 변환수단, 상기 라인 신호의 수평 주사기간(H)의 2배(2H) 이상의 기간내에서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를 시분할 다중하고, 상기 제1차신호의 시간축이 상기 제1합신호의 시간축 보다 짧게 되고, 또한 상기 제2차신호의 시간축이 상기 제2합신호의 시간축 보다 짧게 되도록 상기 신호를 시간축 변환하는 제1의 시간축 변환수단, 전송 또는 기록매체에 따라서 상기 시간축 변환된 신호를 적절하게 변조하는 신호 변조수단, 상기 변조된 신호를 매체에 전송 또는 기록하는 신호 기록수단, 상기 매체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신호 재생수단, 상기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 복조수단, 상기 복조된 신호에 시분할 다중된 상기 제1합신호 및 차신호와 상기 제2합신호 및 차신호를 상기 복조된 신호에서 분리하여 추출하고, 상기 제1합신호의 시간축이 상기 제1차신호의 시간축과 같게되고, 또한 상기 제2합신호의 시간축이 상기 제2차신호의 시간축과 같게 되도록 상기 신호를 시간축 변환하는 제2의 시간축 변환수단, 상기 제2의 시간축 변환수단에 의해 시간축 변환된 상기 제1합신호 및 상기 제1차신호의 각각의 합 및 차에 따른 제2합신호 및 제3차신호를 생성하는 제1의 신호 생성수단, 상기 제2의 시간축 변환수단에 의해 시간축 변환된 상기 제2합신호 및 상기 제2차신호의 각각의 합 및 차에 따른 제4합신호 및 제4차신호를 생성하는 제2의 신호 생성수단과 상기 제1의 신호 생성수단의 출력에서 상기 수평주사 기간(H) 단위의 상기 휘도신호(Y)에 따른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제2의 신호 생성수단의 출력에서 상기 수평 주사 기간(H) 단위의 상기 2개의 색신호(PB,PR)에 따른 신호를 재생하는 신호재생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4. 특허청구의 범위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재생 출력수단은 상기 제1의 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출력에서 영상신호에 포함된 에지 정보에 따른 에지 신호를 검출하는 에지 신호 검출수단과 인접하는 서로 다른 신호인 적어도 2쌍의 상기 제1합신호 및 상기 제1차신호에서 생성된 상기 제1의 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출력신호 사이에서 상기 검출된 에지 신호를 평균화하는 에지 신호 평균화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5. 특허청구의 범위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재생 출력수단은 상기 제2의 신호 생성수단의 출력 신호에서 필드 사이 또는 프레임 사이의 차에 따른 차신호를 생성하는 차신호 생성수단, 상기 차신호로부터의 노이즈에 따른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노이즈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노이즈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의 신호 생성수단의 상기 출력 신호에서 노이즈를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6. 휘도신호(Y) 및 2개의 색신호(PB,PR)을 포함하고, 수평 주사 기간(H) 단위의 다수의 라인 신호로 구성되는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서 전송하고 또는 기록재생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라인 단위로 교대로 라인 순차화해서 상기 2개의 색신호(PB,PR)을 일련의 신호로 변환하는 색신호 라인 순차화수단, 상기 라인 순차화된 색신호와 상기 휘도신호(Y)를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기록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수단, 상기 변환된 기록신호를 전송 또는 기록매체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조하는 신호 변조수단, 사이 변조된 신호를 매체에 전송 또는 기록하는 신호 기록수단, 상기 매체에서 신호를 재생하는 신호 재생수단, 상기 재생된 시노를 복조하는 신호 복조수단, 상기 복조된 신호를 일련의 라인 순차화된 색신호 및 차신호로 분할하는 신호 분할수단, 상기 분할된 일련의 라인 순차화된 색신호의 노이즈를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수단과, 상기 신호 분할수단에 의해 분할된 신호에서 상기 수평 주사 기간(H) 단위의 상기 휘도신호(Y)에 따른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노이즈 저감수단의 출력 신호에서 상기 수평 주사 기간(H)의 상기 2개의 색신호(PB,PR)에 따른 신호를 재생하는 신호재생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KR1019910010438A 1990-06-27 1991-06-24 영상신호 처리장치 KR940002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6594 1990-06-27
JP16659490 1990-06-27
JP90-166594 1990-06-27
JP?2-314018 1990-11-21
JP2-314018 1990-11-21
JP2314018A JP2954328B2 (ja) 1990-06-27 1990-11-21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82A KR920001982A (ko) 1992-01-30
KR940002614B1 true KR940002614B1 (ko) 1994-03-26

Family

ID=2649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438A KR940002614B1 (ko) 1990-06-27 1991-06-24 영상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72519A (ko)
JP (1) JP2954328B2 (ko)
KR (1) KR940002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42242D1 (de) * 2000-12-21 2009-07-02 Datalogic Sp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okussierung eines elektrischen Signals, welches einen optischen Kode repräsentiert
DK3139636T3 (da) * 2015-09-07 2019-12-09 Bernafon Ag Høreanordning, der omfatter et tilbagekoblingsundertrykkelsessystem baseret på signalenergirelok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9587A (ja) * 1982-02-13 1983-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再生装置
US4415931A (en) * 1982-03-18 1983-11-15 Rca Corporation Television display with doubled horizontal lines
US4558347A (en) * 1983-08-26 1985-12-10 Rca Corporation Progressive scan television system employing vertical detail enhancement
US4623913A (en) * 1984-04-13 1986-11-18 Rca Corporation Progressive scan video processor
DE3464189D1 (en) * 1984-08-03 1987-07-16 Itt Ind Gmbh Deutsche Videorecorder with a magnetic tape storage medium
JPS61157193A (ja) * 1984-12-28 1986-07-16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再生装置
US4908697A (en) * 1987-07-24 1990-03-13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Two-line mac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
US4816899A (en) * 1987-07-27 1989-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atible widescreen television system
JPH07121099B2 (ja) * 1988-03-08 1995-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装置
JPH01228282A (ja) * 1988-03-08 1989-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4985769A (en) * 1988-03-23 1991-0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plex TV signal processing apparatus
NL8901661A (nl) * 1989-06-30 1991-01-16 Philips Nv Televisiesysteem voor digitale overdracht van beeldsignalen.
EP0454115B1 (en) * 1990-04-26 1996-08-28 Canon Kabushiki Kaisha Television signal conver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82A (ko) 1992-01-30
US5272519A (en) 1993-12-21
JPH04126491A (ja) 1992-04-27
JP2954328B2 (ja)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8220328A (nl) Televisie weergeef stelsel met gereduceerde lijnaftastartifacten.
EP0486185A2 (en) Image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5576837A (en) Digital modulators for use with sub-nyquist sampling of raster-scanned samples of image intensity
EP02412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playback
US4266240A (en) Television system
US5486929A (en) Time division multiplexed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JPS648516B2 (ko)
KR940002614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
US5043798A (en) Band compression transmission system for video signal using sub-Nyquist sampling
NL8203576A (nl) Video-signaalregistratie door frequentie-modulatie van luminatie- en in multiplex gebrachte chrominantie-komponenten.
JPH0686324A (ja) 映像信号重畳及び広げ回路
JPH06101855B2 (ja) ビデオ信号変換装置
KR940005179B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S60127894A (ja) カラ−映像信号の記録方法
JP2780730B2 (ja) 映像信号交番重畳及び広げ回路
JP275325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12825B2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265660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8127B1 (ko) 화질향상을 위한 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
JPS6218849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70393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576027A (ja) 雑音低減装置
JP2550299B2 (ja) 映像信号の再生装置
JPS628693A (ja) 画像信号記録装置
JPH04302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