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10Y1 -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 Google Patents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10Y1
KR940002110Y1 KR2019910013170U KR910013170U KR940002110Y1 KR 940002110 Y1 KR940002110 Y1 KR 940002110Y1 KR 2019910013170 U KR2019910013170 U KR 2019910013170U KR 910013170 U KR910013170 U KR 910013170U KR 940002110 Y1 KR940002110 Y1 KR 940002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earing
frame
feed roll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319U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13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110Y1/ko
Publication of KR930005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제1도는 상, 하용지이송롤러에 의해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장치를 가지는 시스템(system)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용지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 용지이송장치를 적용되는 상, 하측베어링을 보이는 것으로서, 제3도는 a는 상측베어링 사시도, b는 a의 베어링이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제4도의 a는 하측베어링 사시도, b는 a의 베어링이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제5도의 a,b는 본 고안의 적용된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용지이송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베어링을 보이는 것으로, a는 상부프레임과 상측베어링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b는 하측베어링이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측베어링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 상, 하이송롤러 3, 5 : 상, 하부프레임
3b : 힌지핀 5a, 21 : 장공부
14 : 상측베어링 15 : 하측베어링
16 : 구동전동기어 17, 18 : 상, 하전동기어
19 : 탄성체 22 : 상측베어링지지돌기
본 고안은 레이저빔 프린터(LBP)나, 복사기등과 같이 상, 하롤 러를 이용하여 용지를 이송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이송시 발생하는 스큐(skew)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상, 하부용지이송롤러에 의행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장치를 가지는 시스템(system)의 개략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이송롤러(1)와 전사부(2)를 포함하는 상부프레임(3)과, 상기 상이송롤러(1)와 접촉하여 용지를 이송시키는 하이송롤러(4)를 가지는 하부프레임(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3)은 힌지핀(3a)을 중심으로 상이송롤러(1)와, 하이송롤러(4)가 구분되어서 열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은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 7은 급지롤러, 8은 감광드럼, 9는 대전기, 10은 현상기, 11은 정착기, 12는 배지롤러, 13은 배지박스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은 시스템의 용지이송장치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 하이송롤러(1)(4)가 그 축(1a)(4a)에 의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 하부프레임(3)(5)의 양측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고 상기 축(1a)(4a)의 양단부에는 상, 하부베어링(14)(15)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5)에 설치된 구동전동기어(16)와 맞물리는 하전동기어(17) 및 상전동기어(18)가 상기축(1a)(4a)의 일측부에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프레임(3)(5)의 일측부에는 축(1a)(4a)에 결합된 상, 하측베어링(14)(15)을 고정지지하는 안내장(3a)(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베어링(14)은 그 베이링(14)에 형성된 핀(14a)과 상부프레임(3)의 일측부에 형성된 돌기부(3b)사이에 착설된 탄성체(19)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상, 하로 작은 변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상부프레임(3)이 하부프레임(3)이 하부프레임(5)에 닫혀 상, 하이송롤러(1)(4)가 맞물려야 하므로 힌지핀(3a)을 중심으로 상부프레임(3)을 닫으면, 상이송롤러(1)의 표면이 서로 접촉되고 탄성체(19)에 의해 상, 하이송롤러(1)(4)는 일정입력만큼 밀착된다. 이때 상, 하전동기어(18)(17)도 서로 맞물리어 구동전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같은 상태에서 용지가 급지부에 의해 이송되어 상, 하이송롤러(1)(4)에 접촉되면, 구동전동기기어(16)의 회전에 따라 하전동기어(17) 및 상전동기어(18)에 의해 하이송롤러(4)와 상이송롤러(1)가 회전하면서 그 이송롤러(1)(4)상이의 가압력과 함께 용지를 일정속도로 이송시키며, 통상 이러한 동작을 하는 용지이송장치는 상부프레임(3)을 하부프레임(5)에 닫아서 상, 하이송롤러(1)(4)가 일정압력으로 일저위치에서 평행하게 맞물려야만 용지이송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용지이송장치는 상부프레임(3)이 닫힐때 상, 하이송롤러(1)(4)가 서로 어긋나게 맞물릴 수있고 이렇게 어긋나게 맞물리면, 용지의 선단 이 가지런히 인입되지 않고 어긋나게 인입되므로 스큐(skew)가 발생한 채 이송되게 도어 용지이송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종래 구조에서는 상부프레임(3)의 상이송롤러(1)를 지지하고 있는 상측베어링(14)이 상, 하방향으로만 변위가능하고, 하부프레임(5)의 하이송롤러(4)를 지지하고 있는 하측베어링(15)은 변위없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부프레임(3)양측의 장공부(3a)와 힌지핀(3b)과의 치수가 약간 다르다거나 하부 프레임(5)의 베어링(15)위치가 다르다거나 하여, 상, 하부프레임(3)(5)의 조립오차가 발생하면 상, 하이송롤러(1)(4)의 평행동를 보강할 수 없고 이로인하여 상기의 스큐 발생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측베어링이 지지되는 상부프레임의 자공부를 상, 하뿐만아니라 좌, 우로도 변위가능하도록 일정크리만큼 크게 형성하여 상측 베어링을 지지하도록 하고, 하부프레임의 일측부에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상측베어링이 하측에 맞물릴때 상측베어링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시 상, 하이송롤러가 평행하게 맞물릴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용지지송장치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 하부프레임(3)(5)의 양측장공부에 고정지지된 상, 하측베어링(14)(15)에 의해 그 축(1a)(4a)의 양단이 지지되어 있는 상, 하이송롤러(1)(4)의 회전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이송롤러(1)의 축(1a)단부가 결합된 상측베어링(14)을 고정지지하는 상부프레임(3)의 장공부(21)를 일정크기 만큼 크게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14)이 장공부(21)내에서 상, 하, 좌, 우로 일정변위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하부프레임(5)의 일측부에 상측베어링(4)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지지돌기(22)를 형성하여, 항시 상, 하이송롤러(1)(4)가 평행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면에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용지이송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프레임(3)이 열려 있을 경우의 상이송롤러(1)는 상부프레임(3)의 장공부(21)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게 되어있고, 하부프레임(5)의 상측베어링지지돌기(22)는 하측베어링(15)지지장공부(5a)에서 상이송롤러(1)가 일정위치에 자리잡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프레임(3)이 닫히면, 상부프레임(3)의 장공부(21)내에서 상, 하, 좌, 우로 변위가능한 상측베어링(14)이 임의의 위치에서 하부프레임(5)의 상측베어링지지돌기(22)시이로 들어가게 되고 상이송롤러(1)가 하이솔롤러(4)에 접촉될때 상측베어링(14)은 상, 하로만 변위가능하게 되며 상, 하부프레임(3)(5)이 체결될때 상, 하이송롤러(1)(4)는 탄성체(19)에 의해 일저압력을 가하면 서 변위없이 지지되어 하이송롤러(4)에 전동되는 구동력으로 상, 하이송롤러(1)(4)는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측베어링(14)은 상부프레임(30)에서 상, 하, 좌, 우 임의의 위치에 있고 하부프레임(5)의 위치선정에 의한 지지돌기(22)로 상측베어링(14)이 제위치를 잡게 되므로 제품치수정도의 차나 조립오차로 인한 상, 하이송롤러(1)(4)의 어긋난 물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인하여 용지의 선단이 상, 하이송롤러(1)(4)의 인입점에서 평행하게 스큐불량없이 진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용지이송장치는 종래구조의 상, 하부프레임의 치수정도차 및 조립 오차로 인하여 상, 하이송롤러가 평행하지 않게 물려 발생되는 스큐현상을 상측베어링의 변위가능범위를 확대함과 아울러 그 베어링의 외주면을 슬라이딩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하부프레임에 형성함으로써 방지할수 있다.
즉, 상, 하부프레임의 치수정도차나 조립오차를 상측롤러지지방법과 하부프레임의 지지방법으로 상쇄시킬 수 있어 항시 상이송롤러가 하이송롤러에 대하여 평행하게 맞물려 스큐현상없이 용지를 이송시킬 수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측베어링(14)을 슬라이딩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5)에 형성한 상측베어링지지돌기(22)는 그 지지돌기(22)와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하측베어링(15)의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된 용지이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용지이송장치는 상, 하이송롤러(1)(4)의 구성위치가 반대인 경우의 장치도 포함한다.

Claims (2)

  1. 상, 하부프레임(3)(5)의 양측장공부(21)(5a)에 고정지지된 상, 하측베어링(14)(15)에 의해 그 축(1a)(4a)의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상, 하이송롤러(1)(4)의 회전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장치이 있어서,상기 상이송롤러(1)의 축(1a)단부가 결합된 상측베어링(14)을 고정지지하는 상부프레임(30의 장공부(21)내에서 상, 하, 좌, 우로 일정변위 이동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14)의 외주면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상측베어링지지돌기(22)를 상기 하부프레임(5)의 장공부(5a) 주위에 돌출형성하여 항시 상, 하이송롤러(1)(4)가 평행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베어링(15)의 형상으로 상측베어링(14)을 슬라이딩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KR2019910013170U 1991-08-20 1991-08-20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KR940002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170U KR940002110Y1 (ko) 1991-08-20 1991-08-20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170U KR940002110Y1 (ko) 1991-08-20 1991-08-20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19U KR930005319U (ko) 1993-03-22
KR940002110Y1 true KR940002110Y1 (ko) 1994-04-06

Family

ID=1931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170U KR940002110Y1 (ko) 1991-08-20 1991-08-20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1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220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220A (ko) * 2013-08-26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19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3851A (en) Electrostatic copying machine comprising improved arrangement of operating units
US5794176A (en) Adaptive electronic registration system
KR100441543B1 (ko)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 장치
KR860008480A (ko) 한번에 한장이상의 종이공급 방지장치
US4647032A (en) Sheet delivering device for business machine
US5640901A (en) Nip roller installation
KR940002110Y1 (ko)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JP3403305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
KR100869978B1 (ko)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EP0239317B2 (en) Paper conveying roll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90526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4900004A (en) Sheet feeder
KR100324651B1 (ko) 정전화상형성장치
JP4289697B2 (ja) シート搬送装置、複写機
KR930003002Y1 (ko) 용지 급지장치
KR100251953B1 (ko) 양면인쇄장치의 용지 반전 장치
JP3228570B2 (ja) 給紙装置
JP3810811B2 (ja) 用紙搬送装置
JP2001019209A (ja) シート搬送装置
JPH0449141A (ja) 動力伝達装置
KR850002999Y1 (ko) 복사기의 원고반송장치
JPH032529Y2 (ko)
JPH06266181A (ja) 画像直線曲がり調整装置
JPH04112833U (ja) 画像形成装置
JPH0781797A (ja) 用紙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