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220A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4220A KR20150024220A KR20130108626A KR20130108626A KR20150024220A KR 20150024220 A KR20150024220 A KR 20150024220A KR 20130108626 A KR20130108626 A KR 20130108626A KR 20130108626 A KR20130108626 A KR 20130108626A KR 20150024220 A KR20150024220 A KR 201500242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ecording medium
- vibration
- support region
- image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저장유닛과, 상기 기록매체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유닛과,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제1 지지영역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영역과 상기 제2 지지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영역에서 상기 제2 지지 영역으로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 차단 슬릿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이를 위해,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유닛, 픽업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이송된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 및 화상이 형성된 기록매체를 정착하는 정착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유닛들은 소정의 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화상형성유닛 중 적어도 하나라도 진동에 노출될 경우, 이는 화상품질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화상형성유닛에 전달되는 진동은 화상형성유닛 자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화상형성유닛이 아닌 다른 유닛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기록매체를 화상형성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송유닛에 발생한 진동은 이송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경유하여 화상형성유닛에 전달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화상형성유닛이 순간적으로 흔들리게 되어,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진동이 발생하는 이송유닛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이 하나의 프레임에 지지되면서도, 이들 사이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저장유닛; 상기 기록매체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유닛;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제1 지지영역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영역과 상기 제2 지지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영역에서 상기 제2 지지 영역으로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 차단 슬릿을 구비한다.
상기 진동 차단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지지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차단 슬릿의 길이는,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의 축 방향 길이의 80% ~ 150% 일 수 있다.
상기 진동 차단 슬릿과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의 축 방향 길이의 1.5% ~ 30% 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구동 회전하는 제1 이송롤러이며,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이송롤러를 따라 종동 회전하는 제2 이송롤러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롤러는 상기 제1 지지영역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픽업유닛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업유닛과의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에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는, 상기 기록매체의 후단이 상기 픽업유닛과 상기 마찰유닛 사이를 빠져나올 때, 상기 기록매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영역과 상기 제2 지지영역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지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분리된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감광부재와, 상기 감광부재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광을 주사하는 노광유닛과,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부재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부재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광유닛은 상기 제2 지지영역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이송유닛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이송유닛과 동일한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화상형성유닛에 의해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서 기록매체가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유닛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c에서 픽업유닛과 마찰유닛 사이로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송유닛과 노광유닛이 측면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VI-VI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서 VIII-VIII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베이스 프레임에서 진동 전달이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진동 차단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 프레임(비교예)에 의해 제2 이송롤러와 노광유닛이 지지된 상태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이며, 도 11a 내지 도 11b는 진동 차단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실시예)에 의해 제2 이송롤러와 노광유닛이 지지된 상태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이다.
도 12a 및 12b는 진동 차단 슬릿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서 기록매체가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유닛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c에서 픽업유닛과 마찰유닛 사이로 기록매체가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송유닛과 노광유닛이 측면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VI-VI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서 VIII-VIII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베이스 프레임에서 진동 전달이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진동 차단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 프레임(비교예)에 의해 제2 이송롤러와 노광유닛이 지지된 상태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이며, 도 11a 내지 도 11b는 진동 차단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실시예)에 의해 제2 이송롤러와 노광유닛이 지지된 상태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이다.
도 12a 및 12b는 진동 차단 슬릿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이다. 토너의 색상은 예를 들어 블랙색상이다.
도 1을 보면,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 저장유닛(10, 10A), 픽업유닛(20, 20A), 마찰유닛(30), 이송유닛(40), 화상형성유닛(70), 정착유닛(80) 및 배출유닛(90)을 포함한다.
기록매체 저장유닛(10, 10A)은 기록매체(P)를 저장하며, 화상형성장치에 기록매체(P)를 공급한다. 일 예로서, 기록매체 저장유닛(10)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에 탈착 가능한 트레이(11)와, 기록매체(P)를 상부에 적재하며, 기록매체(P)를 픽업유닛(20)에 접촉시키는 녹업 플레이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녹업 플레이트(12)는 탄성부재(13)에 의해 픽업유닛(20)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다른 예로서, 기록매체 저장유닛(10A)은 기록매체(P)를 수동으로 급지하기 위해 기록매체(P)가 적재되는 플레이트(14)일 수 있다.
픽업유닛(20)은 기록매체 저장유닛(10)에 저장된 기록매체(P)를 픽업한다. 픽업유닛(20)은 원형의 롤러일 수 있다. 픽업유닛(20)은 회전축(rotation shaft; 21)에 의해 지지되며, 외주면이 녹업 플레이트(12)와 대면하여 닙을 형성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픽업유닛(20)은 외주면이 기록매체(P)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기록매체(P)를 기록매체 저장유닛(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마찰유닛(30)은 픽업유닛(2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마찰유닛(30)은 탄성 부재(31)에 의해 픽업유닛(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마찰유닛(30)은 픽업유닛(20)과의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P)의 배면에 이송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마찰유닛(30)과 픽업유닛(20) 사이에 복수의 기록매체(P)가 위치할 경우, 픽업유닛(20)에 직접 접촉하는 기록매체(P)를 제외한 나머지 기록매체(P)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송유닛(40)으로 복수의 기록매체(P)가 한꺼번에 이송되는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유닛(30)의 예로서, 도면과 같이 마찰 패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마찰 패드 방식은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기록매체(P)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찰유닛(30)으로서 리타드 롤러 방식, 또는 세미 리타드 롤러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픽업유닛(20)로서, 일부 영역이 녹업 플레이트(12)와 접촉하며, 다른 일부 영역이 마찰유닛(30)이 접촉하는 단일의 롤러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픽업유닛(20)은 복수의 롤러, 예를 들어 픽업 롤러와 포워드 롤러를 포함하며, 픽업 롤러가 녹업 플레이트(12)에 접촉하며, 포워드 롤러가 마찰유닛(30)에 접촉할 수도 있다.
이송유닛(40)은 픽업유닛(20)에 의해 픽업된 기록매체(P)를 화상형성유닛(70)으로 이송한다. 이송유닛(40)은 픽업유닛(20)으로부터 기록매체(P)의 이송방향 하류에 배치되며, 픽업유닛(20)에 의해 픽업된 기록매체(P)를 화상형성유닛(70)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유닛(40)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들(50, 60)을 포함하며, 한 쌍의 이송롤러들(50, 60)은 서로 맞물려 회전한다.
한 쌍의 이송롤러들(50, 60)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50)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예를 들어, 제1 이송롤러(50)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회전하며, 제2 이송롤러(60)는 제1 이송롤러(50)를 따라 종동 회전할 수 있다. 이송유닛(40)은 기록매체(P)를 정렬시키는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기능을 수행하거나, 기록매체(P)를 공급하는 피딩(feed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유닛(70)은 기록매체(P)에 전사사진방식에 의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유닛(70)은 감광부재(71), 노광유닛(72), 현상유닛(73), 전사유닛(76)을 포함한다. 현상유닛(73)은 대전롤러(74), 현상롤러(75)를 포함한다.
감광부재(71)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대전롤러(74)는 감광부재(7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롤러(74)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74)는 대전기의 일 예에 불과하며, 대전롤러(74)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노광유닛(72)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부재(71)의 표면에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유닛(72)으로서,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 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부재(7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75)는 감광부재(7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이를 통해, 감광부재(71)의 표면에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전사유닛(76)은 감광부재(71)의 표면과 대면되도록 위치된다. 전사유닛(76)에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기록매체(P)가 감광부재(71)와 전사유닛(76)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록매체(P)에 감광부재(7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다. 전사유닛(76)의 예로서, 전사롤러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사롤러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유닛(76)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유닛(80)은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정착유닛(80)을 통과한 기록매체(P)는 배출유닛(9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 저장유닛(10)에 저장된 기록매체(P)는 픽업유닛(20), 이송유닛(40)을 거쳐 화상형성유닛(70)으로 이송되며, 화상형성유닛(7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록매체(P)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서 기록매체(P)가 픽업유닛(20)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유닛(40)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기록매체(P)의 이송 과정 및 기록매체(P)의 이송 과정에서 이송유닛(40)에 진동이 발생하는 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2a를 참조하면, 픽업유닛(20)은 회전 구동하며, 기록매체(P)를 이송한다. 픽업유닛(20)은 녹업 플레이트(12)에 적재된 기록매체(P)와 마찰 접촉하여, 기록매체(P)를 이송유닛(40) 방향으로 이송한다. 기록매체(P)가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통과할 때, 마찰유닛(30)에 의해 기록매체(P)의 배면에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이 작용한다. 만일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P)가 복수 장일 경우, 마찰유닛(30)에 의해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픽업유닛(20)과 직접 접촉하는 기록매체(P)를 제외한 나머지 기록매체(P)는 이송이 제한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기록매체(P)의 선단(Pf)이 이송유닛(40)에 도달한 이후에는, 기록매체(P)를 한 장씩 소정 간격으로 화상형성유닛(70)에 이송하기 위하여, 픽업유닛(2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차단된다. 이 때, 기록매체(P)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기록매체(P)의 선단(Pf)이 이송유닛(40)에 도달하기 전에 이송유닛(40)은 회전 구동되고 있는 상태이다. 구동 신호가 차단된 픽업유닛(20)은 구동 회전되지 않으며, 이송유닛(40)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P)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아이들(idle) 회전된다. 여기서, 기록매체(P)의 선단(Pf)이 이송유닛(4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유닛(40)의 하류 측에 용지검출센서(미도시)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기록매체(P)의 선단(Pf)이 이송유닛(4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픽업유닛(2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에는, 이송유닛(40)의 이송 속도보다 픽업유닛(20)의 이송 속도가 빠를 수 있다. 이 경우, 이송유닛(40)과 픽업유닛(20) 사이에 위치한 기록매체(P)의 영역이 점선처럼 늘어질 수 있다. 이후, 픽업유닛(2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차단될 경우, 픽업유닛(20)은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가 된다. 정지된 픽업유닛(20)보다 빠른 이송 속도를 가지는 이송유닛(40)에 의해, 이송유닛(40)과 픽업유닛(20) 사이에 위치한 기록매체(P)의 늘어진 영역은 팽팽한 상태가 된다. 팽팽한 상태에서 이송유닛(40)에 의해 기록매체(P)가 이송되기 때문에, 기록매체(P)와 접촉하는 픽업유닛(20)은 기록매체(P)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점선 화살표와 같이 아이들 회전된다.
도 2c는 기록매체(P)의 후단(Pb)이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이송유닛(40)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P)의 후단(Pb)이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빠져나올 때, 기록매체(P)의 후단(Pb)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갑자기 해제되기 때문에, 기록매체(P)는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에 의한 마찰력과 반대방향으로 튕기게 된다. 그로 인해, 기록매체(P)를 지지하고 있는 이송유닛(4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그 결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도 2c의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로 기록매체(P)가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픽업유닛(20)의 외주면이 탄성 변형됨에 따라, 마찰유닛(30)과 픽업유닛(20) 사이에는 닙이 형성된다.
닙의 일부 영역(N1)에는 기록매체(P)의 후단(Pb)이 위치하여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이 직접 접촉되지 않지만, 닙 구간의 다른 영역(N2)에는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이 직접 접촉된다. 이와 같이 픽업유닛(20)의 일부 영역(N2)에서 마찰유닛(30)과 직접 접촉함으로 인해, 픽업유닛(20)은 도 2b와 같은 아이들 회전이 제한된다. 즉, 픽업유닛(20)은 이송유닛(40)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P)와의 접촉함에도 불구하고, 순간적으로 정지하거나, 회전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기록매체(P)가 빠져나오는 순간, 이송유닛(40)에 작용하는 충격은 더 크게 나타나며, 이는 이송유닛(40)을 더욱 진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1)에 탈착 가능한 트레이(11)에 인접하여 배치된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진동 발생 원인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개시된 다른 기록매체 저장유닛(10A)의 플레이트(14)에 인접 배치된 픽업유닛(20A)과 마찰유닛(30A) 사이를 기록매체(P)가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이송유닛(40)에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참조번호 31A는 마찰유닛(30A)을 가압하는 탄성부재이며, 21A는 픽업유닛(20A)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또한, 기록매체(P)가 녹업 플레이트(12)와 픽업유닛(20) 사이를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이송유닛(40)에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송유닛(40)과 노광유닛(72)이 프레임(100, 20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진동이 발생한 이송유닛(40)의 지지 구조 및 이송유닛(40)과 노광유닛(72)의 관계에 대하여 이하에서 살펴본다. 여기서, 이송유닛(40)과 동일한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된 화상형성유닛(70)의 하나로서 노광유닛(72)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형성유닛(70)의 다른 구성들인 감광부재(71), 현상유닛(73) 및 전사유닛(76) 중 적어도 하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송롤러(50)를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200)과, 제2 이송롤러(60) 및 노광유닛(72)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이 개시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 측에 측면 프레임(200)이 배치된다.
제1 이송롤러(50)는 회전축(51)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된다. 제1 이송롤러(50)는 회전축(51)에 지지되며, 회전축(51)의 양 단부는 측면 프레임(200)에 지지된다. 회전축(51)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구동 기어(52)가 형성되며, 구동 기어(52)는 측면 프레임(200)에 설치된 다른 구동 기어(53)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이송롤러(60)는 회전축(61)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된다. 복수 개의 제2 이송롤러(60)는 복수 개의 제1 이송롤러(50)에 대응된다. 제1 이송롤러(50)와 제2 이송롤러(60)는,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을 가압하는 탄성부재(62)에 의해 가압 접촉한다. 탄성부재(62)의 예로서,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62)에 의해 가압 접촉되는 제1 이송롤러(50)와 제2 이송롤러(60) 사이에는 닙이 형성되며, 닙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기록매체(P)를 화상형성유닛(70; 도 1 참조)으로 이송한다.
제2 이송롤러(60)는 회전축(61)에 지지되며, 회전축(61)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축(61)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복수의 하부 지지부(111)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에서, 탄성부재(62)에 의해 제1 이송롤러(50) 방향으로 가압된다. 탄성부재(62)는 일단(62a; 도 8 참조)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62b; 도 8 참조)이 회전축(61)에 접촉한다. 회전축(61)의 양 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사이드 지지부(112)에 삽입된다. 사이드 지지부(112)에 의해 회전축(61)의 위치가 제한된다.
기록매체(P)가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빠져나오는 순간 제1 이송롤러(50) 및 제2 이송롤러(60)에 발생하는 진동은, 제1 이송롤러(50)의 회전축(51)을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200)과,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각각 전달된다.
제1 이송롤러(50)에 가해지는 충격은 회전축(51)을 따라 측면 프레임(200)에 전달된다. 측면 프레임(200)에 전달된 진동은 측면 프레임(200)에 고정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전달될 수 있지만, 진동이 측면 프레임(200)을 따라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당 부분 소멸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된 노광유닛(72)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 이송롤러(60)에 가해지는 진동은 회전축(61)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에 전달된다. 특히,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은 제1 이송롤러(5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2)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진동은 탄성부재(62)를 따라 베이스 프레임(100)에 전달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2 이송롤러(60)와 함께 노광유닛(72)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2 이송롤러(60)를 지지하는 제1 지지영역(110)과 노광유닛(72)을 지지하는 제2 지지영역(120)을 포함한다. 제1 지지영역(110)에는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111), 사이드 지지부(112) 및 탄성부재(62)를 지지하는 지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영역(120)에는 노광유닛(72)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제2 이송롤러(60)와 노광유닛(72)이 지지될 경우, 제2 이송롤러(60)에 발생한 진동이 노광유닛(7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제2 이송롤러(60)에 작용하는 진동이 노광유닛(72)에 전달될 경우, 노광유닛(72)이 흔들리게 되며, 이는 감광부재(71)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제2 이송롤러(60)에 작용하는 진동이, 베이스 프레임(100)을 따라 노광유닛(72)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지지영역(110)과 제2 지지영역(120) 사이에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은 제2 이송롤러(60)로부터 제1 지지영역(110)에 전달된 진동이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진동 차단 슬릿(130)은 제1 지지영역(110)에서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경로에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한 것으로써, 진동이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으로 인해, 제2 지지영역(120)을 향해 전달되는 진동이 진동 차단 슬릿(130)을 우회하는 과정에서, 진동의 상당 부분이 소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광유닛(72)의 진동으로 인한 화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은 제1 지지영역(110)에서 제2 지지영역(120)을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영역(110)에서 제2 지지영역을 향하는 방향(y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VI-VI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서 VIII-VIII 절단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1 지지영역(110)에서 제2 이송롤러(60)가 지지되며, 제2 지지영역(120)에서 노광유닛(72)이 지지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측면 프레임(200)을 거치지 않고, 제1 지지영역(110)과 제2 지지영역(12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0)은 도면과 같이 제1 지지영역(110)과 제2 지지영역(12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 프레임(100)의 구조는 제1 지지영역(110)과 제2 지지영역(1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영역(110)과 제2 지지영역(120)이 연결되는 구조라면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은 제1 지지영역(110)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프레임(101)과, 제2 지지영역(120)을 포함하며 제1 서브 프레임(101)과 분리된 제2 서브 프레임(102)을 포함하되, 제1 서브 프레임(101)과 제2 서브 프레임(102)에 체결부재(10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103)의 예로서,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영역(110)은 상부로 돌출된 하부 지지부(111)를 포함하며, 하부 지지부(111)가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하중을 지지한다. 제2 지지영역(120)은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121)를 포함하며, 지지부(121)가 노광유닛(72)을 지지한다. 제1 지지영역(110)과 제2 지지영역(120) 사이에는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되며, 진동 차단 슬릿(130)을 통해 제1 지지영역(110)에서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보강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를 통해, 진동 차단 슬릿(130)의 형성으로 인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진동 차단 슬릿(130)에 의해 차단된 진동이 보강부재(150)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재(150)는 진동이 전달되는 경로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은 탄성부재(62)에 의해 제1 이송롤러(50) 방향으로 가압된다. 탄성부재(62)는, 일단(62a)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지지부(11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타단(62b)이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을 접촉하여,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을 가압한다. 탄성부재(62)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이송롤러(60)는 제1 이송롤러(50)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 이송롤러(60), 제1 이송롤러(50) 중 적어도 하나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은 탄성부재(62)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진동이 탄성부재(62)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진동의 일부가 탄성부재(62)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62)는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을 강하게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부재(62) 자체에 의해 흡수된 진동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진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지지부(113)로 전달된다. 지지부(113)로 전달된 진동은 베이스 프레임(100)을 따라 화살표 방향(A)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베이스 프레임(100)을 따라 화살표 방향(A)으로 전달된 진동은 소정의 폭(w)을 가지는 진동 차단 슬릿(130)에 의해 차단된다.
도 9는 베이스 프레임(100)에서 진동 전달이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개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이송롤러(60)에 발생한 진동은 탄성부재(62)에 전달되며, 탄성부재(62)에 전달된 진동은 지지부(113)를 거쳐 베이스 프레임(100)을 따라 화살표 방향(A)으로 전달된다. 화살표 방향(A)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진동 차단 슬릿(130)에 의해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직접적인 전달이 차단된다. 제1 지지영역(110)에 발생한 진동은 진동 차단 슬릿(130)을 우회하여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멸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2 지지영역(120)에 의해 지지된 노광유닛(72)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2 이송롤러(60)에 발생한 진동은 탄성부재(62)를 경유하지 않고 복수의 하부 지지부(111)에서도 전달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11)에 전달된 진동 역시 진동 차단 슬릿(130)에 의해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직접적인 전달이 차단된다. 그로 인해, 제1 지지영역(110)에 발생한 진동은 제2 지지영역(120)에 의해 지지된 노광유닛(72)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만일, 베이스 프레임(100)에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100)을 따라 제1 지지영역(110)에서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진동이 바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지지영역(120)에 의해 지지된 노광유닛(72)까지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영역(110)과 제2 지지영역(120) 사이에 형성된 진동 차단 슬릿(130)을 통해, 충격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노광유닛(72)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은 제1 지지영역(110)에서 제2 지지영역(120)을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의 형상은 도면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진동 차단 슬릿(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2a, 12b와 같이 진동 차단 슬릿(130A, 130B)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진동 차단 슬릿(130)의 길이(LH)는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의 80% ~ 15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가 약 300 mm 일 경우, 진동 차단 슬릿(130)의 길이(LH)는 약 240mm ~ 약 450mm 일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의 길이(LH)가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의 80% 미만일 경우, 진동이 노광유닛(7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어려울 수 없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이송롤러(60)에 발생한 진동은 상술한 탄성부재(62) 외에도 제2 이송롤러(6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 지지부(111)를 통해서도 전달될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의 길이(LH)가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의 80% 미만일 경우, 하부 지지부(111)를 통해서 전달되는 진동이 차단되지 않고 제2 지지영역(120)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노광유닛(72)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진동 차단 슬릿(130)의 길이(LH)가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의 150% 초과일 경우, 진동 전달을 차단하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으나, 그로 인해 베이스 프레임(100)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는 화상형성장치 자체의 크기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의 폭(w)는 약 0.3 mm ~ 200 mm 일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의 폭(w)이 0.3mm 미만일 경우, 진동 차단 슬릿(130)의 형성 자체가 까다로워질 수 있다. 반면에, 진동 차단 슬릿(130)의 폭(w)이 200 mm 초과일 경우, 노광유닛(72)과 감광부재(71) 사이의 광 경로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과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이격 거리(D)는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의 1.5% ~ 30%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가 약 300 mm 일 경우, 진동 차단 슬릿(130)과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이격 거리(D)는 약 5mm ~ 약 90mm 일 수 있다. 진동 차단 슬릿(130)과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이격 거리(D)가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의 1.5% 미만일 경우, 제1 지지영역(110)을 위한 공간이 좁아져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진동 차단 슬릿(130)과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이격 거리(D)가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의 30%를 초과할 경우, 제2 지지영역(120)으로 전달되려는 진동을 조기에 차단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도 9에서는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이 단일의 부재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은 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의 축 방향 길이(LS)는 복수의 부재가 축 방향으로 차지하는 전체 길이를 의미한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 프레임(비교예)에 의해 제2 이송롤러(60)와 노광유닛(72)이 지지된 상태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이며, 도 11a 내지 도 11b는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실시예)에 의해 제2 이송롤러(60)와 노광유닛(72)이 지지된 상태에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제2 이송롤러(60)의 회전축(61)으로부터 이격 거리(D)가 31mm이며, 길이(LH)가 약 310mm이며, 폭(w)이 약 5mm인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된 상태이며, 비교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에는 진동 차단 슬릿(130)을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 외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유닛들의 구성은 도 1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한 상태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가속도 측정은 약 8초 동안 측정되었다.
도 10a 및 11a는 픽업유닛(20)의 회전축(61)에서의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으로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픽업유닛(20)의 가속도 값의 변화를 개시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들어온 약 1초 부근에서 소정 크기의 가속도 값이 측정되기 시작한다. 이후, 픽업유닛(20)에 구동 신호가 전달되는 순간인 약 3초 부근에서 가속도 값이 갑자기 증가하는 제1 피크(P1S)가 발생한다. 이후 가속도 값은 감소하다가 픽업유닛(2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차단되는 순간인 약 4초 부근에서 가속도 값이 갑자기 증가하는 제2 피크(P2S)가 나타난다. 이후, 가속도 값은 다시 감소하다가 기록매체(P)의 후단(Pb)이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빠져나오는 순간인 약 5.3초 부근에서, 가속도 값이 갑자기 증가하는 제3 피크(P3S)가 나타난다. 도 11a에서도 비록 가속도 값이 다소 차이가 발생하지만, 제1 피크(P1S), 제2 피크(P2S) 및 제3 피크(P3S)를 보이는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
도 10b 및 도 11b는 노광유닛(72)이 지지되는 제2 지지영역(120)에서 가속도 값을 측정한 것으로서,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노광유닛(72)을 지지하는 제2 지지영역(120)의 가속도 값의 변화를 개시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도 10a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들어온 약 1초 부근에서 소정의 가속도 값이 측정되기 시작한다. 이 후, 픽업유닛(20)에 전달되는 구동 신호가 차단되는 순간인 약 4초 부근에서 가속도 값이 갑자기 증가하는 제1 피크(P1L)가 나타난다. 이후 가속도 값은 감소하다가 기록매체(P)의 후단(Pb)이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빠져나오는 순간인 약 5.3초 부근에서, 가속도 값이 갑자기 증가하는 제2 피크(P2L)가 나타난다. 제1 피크(P1L)일 때, 가속도 값은 약 4 m/s2 로 나타났으며, 제2 피크(P2L)일 때, 가속도 값이 약 7 m/s2 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도 11b를 참조하면,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2 지지영역(120)의 가속도 값 변화는 도 10b의 그래프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들어온 후부터 소정 크기의 가속도 값이 측정되기 시작하지만, 대부분의 가속도 값은 2 m/s2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가속도 값은 최대 약 2.36 m/s2 에 불과하였다. 진동 차단 슬릿(130)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2 지지영역(120)에서는, 픽업유닛(20)에 구동 신호가 차단되는 순간인 약 4초 부근에서는 물론 기록매체(P)의 후단(Pb)이 픽업유닛(20)과 마찰유닛(30) 사이를 빠져나오는 순간인 약 5.3초 부근에서도 가속도 값이 2.5 m/s2 미만을 유지하였다. 즉, 도 10b의 제1, 제2 피크(P1L, P2L)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가속도 값의 크기가 힘에 비례한 점을 고려할 때, 제2 지지영역(120)에 갑작스러운 진동이 작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진동 차단 슬릿(130)이 제2 지지영역(120)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본체 10, 10A : 기록매체 저장유닛
11 : 트레이 12 : 녹업 플레이트
13 : 탄성 부재 14 : 플레이트
20, 20A : 픽업유닛 21, 21A : 회전축
30, 30A : 마찰유닛 31, 31A : 탄성부재
40 : 이송유닛 50 : 제1 이송롤러
51 : 회전축 52 : 구동 기어
53 : 다른 구동 기어 60 : 제2 이송롤러
61 : 회전축 62 : 탄성부재
70 : 화상형성유닛 71 : 감광부재
72 : 노광 유닛 73 : 현상유닛
74 : 대전롤러 75 : 현상롤러
76 : 전사유닛 80 : 정착유닛
90 : 배출유닛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제1 지지 영역 111 : 하부 지지부
112 : 사이드 지지부 113 : 지지부
120 : 제2 지지 영역 121 : 지지부
130 : 진동 차단 슬릿 150 : 보강부재
200 : 측면 프레임 P : 기록매체
11 : 트레이 12 : 녹업 플레이트
13 : 탄성 부재 14 : 플레이트
20, 20A : 픽업유닛 21, 21A : 회전축
30, 30A : 마찰유닛 31, 31A : 탄성부재
40 : 이송유닛 50 : 제1 이송롤러
51 : 회전축 52 : 구동 기어
53 : 다른 구동 기어 60 : 제2 이송롤러
61 : 회전축 62 : 탄성부재
70 : 화상형성유닛 71 : 감광부재
72 : 노광 유닛 73 : 현상유닛
74 : 대전롤러 75 : 현상롤러
76 : 전사유닛 80 : 정착유닛
90 : 배출유닛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제1 지지 영역 111 : 하부 지지부
112 : 사이드 지지부 113 : 지지부
120 : 제2 지지 영역 121 : 지지부
130 : 진동 차단 슬릿 150 : 보강부재
200 : 측면 프레임 P : 기록매체
Claims (12)
- 기록매체가 저장되는 기록매체 저장유닛;
상기 기록매체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유닛;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된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된 상기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제1 지지영역과, 상기 화상형성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영역과 상기 제2 지지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영역에서 상기 제2 지지 영역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 차단 슬릿을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차단 슬릿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지지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차단 슬릿의 길이는,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의 축 방향 길이의 80% ~ 150% 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차단 슬릿과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축의 축 방향 길이의 1.5% ~ 30% 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도록 구동 회전하는 제1 이송롤러이며,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이송롤러를 따라 종동 회전하는 제2 이송롤러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롤러는 상기 제1 지지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업유닛과의 사이로 이송되는 기록매체에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는,
상기 기록매체의 후단이 상기 픽업유닛과 상기 마찰유닛 사이를 빠져나올 때, 상기 기록매체를 지지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영역과 상기 제2 지지영역이 일체로 형성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지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분리된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감광부재와,
상기 감광부재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광을 주사하는 노광유닛과,
상기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부재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부재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닛을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유닛은 상기 제2 지지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4839307.7A EP3039488B1 (en) | 2013-08-26 | 2014-08-04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vibration handling |
CN201480043567.5A CN105556395B (zh) | 2013-08-26 | 2014-08-04 | 振动处理得到改善的电子照相成像设备 |
PCT/KR2014/007176 WO2015030382A1 (en) | 2013-08-26 | 2014-08-04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vibration handling |
US14/461,546 US9291987B2 (en) | 2013-08-26 | 2014-08-18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vibration hand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361869885P | 2013-08-26 | 2013-08-26 | |
US61/869,885 | 2013-08-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4220A true KR20150024220A (ko) | 2015-03-06 |
KR102063944B1 KR102063944B1 (ko) | 2020-01-08 |
Family
ID=5302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8626A KR102063944B1 (ko) | 2013-08-26 | 2013-09-10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3039488B1 (ko) |
KR (1) | KR102063944B1 (ko) |
CN (1) | CN105556395B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2110Y1 (ko) * | 1991-08-20 | 1994-04-06 | 주식회사 금성사 |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
JPH0713207Y2 (ja) * | 1986-04-14 | 1995-03-29 | 松下電工株式会社 | 電磁装置 |
JP2005226948A (ja) * | 2004-02-16 | 2005-08-25 | Yamaha Livingtec Corp | 燃焼機器 |
JP2009128481A (ja) * | 2007-11-21 | 2009-06-11 | Ricoh Co Ltd |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1059512A (ja) * | 2009-09-11 | 2011-03-2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30972A (en) * | 1988-04-22 | 1991-07-09 | Seiko Epson Corporation | Solid ink supply for ink jet |
JP2003191569A (ja) * | 2001-12-27 | 2003-07-09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4429856B2 (ja) * | 2004-09-29 | 2010-03-1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記録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
KR100584617B1 (ko) * | 2005-01-20 | 2006-05-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JP4438841B2 (ja) * | 2007-08-31 | 2010-03-2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JP4766106B2 (ja) * | 2008-12-02 | 2011-09-0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ベルト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2013
- 2013-09-10 KR KR1020130108626A patent/KR1020639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8-04 CN CN201480043567.5A patent/CN10555639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8-04 EP EP14839307.7A patent/EP30394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3207Y2 (ja) * | 1986-04-14 | 1995-03-29 | 松下電工株式会社 | 電磁装置 |
KR940002110Y1 (ko) * | 1991-08-20 | 1994-04-06 | 주식회사 금성사 | 용지이송장치의 용지이송롤러 구조 |
JP2005226948A (ja) * | 2004-02-16 | 2005-08-25 | Yamaha Livingtec Corp | 燃焼機器 |
JP2009128481A (ja) * | 2007-11-21 | 2009-06-11 | Ricoh Co Ltd |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1059512A (ja) * | 2009-09-11 | 2011-03-2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39488B1 (en) | 2020-03-11 |
CN105556395A (zh) | 2016-05-04 |
KR102063944B1 (ko) | 2020-01-08 |
EP3039488A1 (en) | 2016-07-06 |
EP3039488A4 (en) | 2017-03-29 |
CN105556395B (zh) | 2019-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87721B2 (ja) |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1064917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7248618A (ja)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JP200711923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726429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611493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227254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063273B2 (ja) |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9291987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vibration handling | |
KR20150024220A (ko)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JPH1039577A (ja) | 画像形成装置 | |
US20070019983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belt | |
JP6560569B2 (ja) | 媒体供給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602365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24300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702539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246559B2 (ja) | エンコーダ、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493687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034438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1130917A (ja) | 電子写真装置 | |
KR200151924Y1 (ko) | 보조카세트 급지장치 | |
JP2016012057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2019990A (ja) |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2023113212A (ja) |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H10268601A (ja) | 画像記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